KR101632510B1 -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510B1
KR101632510B1 KR1020140180110A KR20140180110A KR101632510B1 KR 101632510 B1 KR101632510 B1 KR 101632510B1 KR 1020140180110 A KR1020140180110 A KR 1020140180110A KR 20140180110 A KR20140180110 A KR 20140180110A KR 101632510 B1 KR101632510 B1 KR 101632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grease
bracket
pin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찬
Original Assignee
우창정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창정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창정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0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을 구성하는 브라켓(bracket) 상에 노브(knob)와 핸들(handle)을 조립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 및 핸들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용 조립유닛; 상기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용 조립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단계적으로 회전 가능한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의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 마련되며, 상기 노브와 핸들이 결합된 상기 브라켓을 안착시키는 다수의 지그부; 상기 턴테이블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핸들을 핀(pin)으로 조립하는 핀 조립 유닛; 상기 턴테이블에 회전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핀 조립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 상에 로트 넘버(Lot No)를 인쇄하는 로트 넘버 인쇄유닛; 및 상기 턴테이블에 회전되는 방향에 대하여 로트 넘버 인쇄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 상기 스프링 및 상기 노브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그리스 정량 도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핀 조립 유닛은 상기 핸들과 상기 노브에 기부착된 스트립 테이프의 존재여부를 검사하는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를 포함하며, 상기 로트 넘버 인쇄 유닛은, 부품 누락 여부를 검사하는 접촉식 검사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Assembling and inspecting apparatus for a inside handle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및 브라켓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그리스 도포공정, 부품을 조립하는 부품 조립공정, 로트 넘버(Lot No)를 인쇄하는 인쇄 공정, 그리고 핸들, 스프링 및 노브에 그리스를 정량 도포하는 그리스 정량 도포공정 등이 유기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시 필요한 각종 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은 자동차의 도어 내측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도어 내측에 부착되는 브라켓(bracket, 1) 상에 도어의 열림 및 닫힘 기능에 관여하는 노브(knob, 2)와 핸들(handle, 3)이 스프링(spring, 4), 핀(pin, 5), 밴드(band, 6), 범퍼(bumper, 7) 등의 부품과 함께 조립된다.
이러한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의 경우, 부품 제조사에서 도 1의 어셈블리 형태로 조립되어 자동차 제조사로 납품된다.
전술한 것처럼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의 경우, 여러 부품들의 조립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부품들 사이에 적당한 그리스를 도포하여야 하고, 또한 각 부품들이 누락되지 않도록 하면서 정해지 위치에 부품들이 제대로 조립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에는 표면 보호를 위해 일정한 색깔은 갖는 스트립 테이프들이 미리 결정된 부품 상에 부착되도록 조립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이 어셈블리 형태로 조립되어 납품되기 위해서는 미리 결정된 위치의 브라켓이나 핸들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그리스 도포공정, 부품을 조립하는 부품 조립공정, 로트 넘버(Lot No)를 인쇄하는 인쇄 공정, 그리고 스프링이나 노브에 그리스를 정량 도포하는 그리스 정량 도포공정 등이 유기적으로 진행되고, 스트립 테이프를 검사하는 스트립 테이프 검사공정, 각종 부품의 누락 또는 오조립 등을 검사하는 검사공정도 수행되어야 하나 아직까지는 이러한 공정들을 자동으로 진행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지 않아 수작업 조립 또는 육안 검사에 의존하여 왔으므로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3067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및 브라켓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그리스 도포공정, 부품을 조립하는 부품 조립공정, 로트 넘버(Lot No)를 인쇄하는 인쇄 공정, 그리고 핸들, 스프링 및 노브에 그리스를 정량 도포하는 그리스 정량 도포공정 등이 유기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시 필요한 각종 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을 구성하는 브라켓(bracket) 상에 노브(knob)와 핸들(handle)을 조립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 및 핸들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용 조립유닛; 상기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용 조립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단계적으로 회전 가능한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의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 마련되며, 상기 노브와 핸들이 결합된 상기 브라켓을 안착시키는 다수의 지그부; 상기 턴테이블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핸들을 핀(pin)으로 조립하는 핀 조립 유닛; 상기 턴테이블에 회전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핀 조립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 상에 로트 넘버(Lot No)를 인쇄하는 로트 넘버 인쇄유닛; 및 상기 턴테이블에 회전되는 방향에 대하여 로트 넘버 인쇄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 상기 스프링 및 상기 노브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그리스 정량 도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핀 조립 유닛은 상기 핸들과 상기 노브에 기부착된 스트립 테이프의 존재여부를 검사하는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를 포함하며, 상기 로트 넘버 인쇄 유닛은, 부품 누락 여부를 검사하는 접촉식 검사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핀 조립 유닛은, 상기 핀의 누락 또는 핀의 조립 길이를 검사하는 핀 검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는 칼라센서이며, 상기 핸들 상의 스트립 테이프의 존재여부를 검사하는 핸들측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 및 상기 노브 상의 스트립 테이프의 존재여부를 검사하는 노브측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트 넘버 인쇄유닛은, 범퍼(bumper)의 누락 여부를 접촉식으로 검사하는 제1 접촉식 검사 센서; 상기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에 결합되는 상기 핀의 누락 여부를 접촉식으로 검사하는 제2 접촉식 검사 센서; 상기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에 결합되는 상기 스프링의 누락 여부를 접촉식으로 검사하는 제3 접촉식 검사 센서; 상기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에 결합되는 밴드(band)의 누락 여부를 접촉식으로 검사하는 제4 접촉식 검사 센서; 및 상기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 상에 로트 넘버(Lot No)를 인쇄하는 인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및 브라켓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그리스 도포공정, 부품을 조립하는 부품 조립공정, 로트 넘버(Lot No)를 인쇄하는 인쇄 공정, 그리고 핸들, 스프링 및 노브에 그리스를 정량 도포하는 그리스 정량 도포공정 등이 유기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시 필요한 각종 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구조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의 평면 구조도,
도 4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의 공정 진행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5는 핀 조립 유닛의 측면 구조도,
도 6은 로트 넘버 인쇄유닛의 측면 구조도,
도 7은 도 6의 정면 구조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그리스 정량 도포유닛의 평면도로서, 로봇 아암이 동작된 상태의 도면들,
도 10 내지 도 13은 각각 그리스 정량 도포유닛의 동작도들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의 평면 구조도, 도 4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의 공정 진행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5는 핀 조립 유닛의 측면 구조도, 도 6은 로트넘버 인쇄유닛의 측면 구조도, 도 7은 도 6의 정면 구조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그리스 정량 도포유닛의 평면도로서, 로봇 아암이 동작된 상태의 도면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3은 각각 그리스 정량 도포유닛의 동작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의 브라켓(1) 및 핸들(3)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공정, 부품을 조립하는 부품 조립공정, 로트 넘버(Lot No)를 인쇄하는 인쇄 공정, 그리고 스프링(4) 및 노브(2)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스프링 및 노브용 그리스 정량 도포공정 등이 유기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스트립 테이프를 검사하는 스트립 테이프 검사공정, 각종 부품의 누락 또는 오조립 등을 검사하는 검사공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한 것으로서,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용 조립유닛(110), 턴테이블(120), 지그부(130), 핀 조립 유닛(140), 로트넘버 인쇄유닛(150), 그리스 정량 도포유닛(160), 그리고 취출 컨베이어(17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앞서 기술한 것처럼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은 자동차의 도어 내측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도어 내측에 부착되는 브라켓(bracket, 1) 상에 도어의 열림 및 닫힘 기능에 관여하는 노브(knob, 2)와 핸들(handle, 3)이 스프링(spring, 4), 핀(pin, 5), 밴드(band, 6), 범퍼(bumper, 7) 등의 부품과 함께 조립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 상에 조립되는 다수의 부품들 중에서 특히, 핀(5)의 경우, 핀 조립 유닛(140)에 의해 자동으로 조립될 수 있다.
브라켓(1) 및 핸들(3)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공정, 부품을 조립하는 부품 조립공정, 로트 넘버(Lot No)를 인쇄하는 인쇄 공정, 그리고 핸들, 스프링(4) 및 노브(2)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그리스 정량 도포공정 등은 개별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총 5개의 공정으로 이들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고 있다.
제1 공정(#1)에서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을 구성하는 브라켓(1) 상에 노브(2)와 핸들(3)을 조립하면서 그리스를 도포한다. 제2 공정(#2)에서는 노브(2)와 핸들(3)이 조립된 브라켓(1)에 스프링(4)을 결합시킨다. 제3 공정(#3)에서는핀(5)을 자동으로 조립한다. 이때, 스트립 테이프의 존재여부 검사가 추가 수행될 수 있다. 제4 공정(#4)에서는 로트 넘버(Lot No)를 인쇄한다. 이때, 각종 부품의 누락 또는 오조립 등을 검사가 추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5 공정(#5)에서는 스프링(4) 및 노브(2)에 그리스를 정량 도포하고 제품을 취출시킨다.
이하, 이들 공정의 순서대로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용 조립유닛(110)은 제1 공정(#1)을 진행한다. 즉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용 조립유닛(110)은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을 구성하는 브라켓(1) 상에 노브(2)와 핸들(3)을 조립하기 위해 브라켓(1) 및 핸들(3)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P1~P6, 도 2 참조)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핀(5) 조립이나 로트 넘버 인쇄 등의 모든 공정(단계)들이 턴테이블(120) 상에서 진행되고 있는데 반해, 브라켓(1) 및 핸들(3) 상에 그리스를 도포하고 브라켓(1) 상에 노브(2)와 핸들(3)을 조립하는 공정은 턴테이블(120)과는 이격된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용 조립유닛(110) 상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용 조립유닛(110)은 브라켓측 그리스 도포부(111)와, 핸들측 그리스 도포부(112)를 포함한다.
브라켓측 그리스 도포부(111)는 브라켓(1) 상에 노브(2)의 조립을 위한 그리스를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핸들측 그리스 도포부(112)는 브라켓측 그리스 도포부(111)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핸들(3)과 핀(5)이 결합되는 양쪽 부위, 스프링(4)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핸들(3)의 후면 부위, 브라켓(1) 상에 조립된 범퍼(7)와 핸들(3)이 맞닿는 부위로 그리스를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용 조립유닛(110)은 브라켓측 그리스 도포부(111)에 의한 그리스 도포 공정 수행여부를 감지하는 제1 리미트 스위치(113)와, 핸들측 그리스 도포부(112)에 의한 그리스 도포공정 수행여부를 감지하는 제2 리미트 스위치(114)를 더 포함한다.
이에 대해 좀 더 부연하면, 우선은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용 조립유닛(110) 상의 좌측 브라켓측 그리스 도포부(111)에 브라켓(1)을 삽입하여 그리스를 자동 도포한다. 도 2에 도시된 2개의 포인트(P1,P2)에 그리스가 자동 도포된다. 그리스를 도포한 후, 노브(2)를 브라켓(1)에 조립한다.
다음으로 핸들(3)을 브라켓(1) 상의 우측 파트에 삽입하여 그리스를 자동 도포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이때의 그리스는 핸들(3)과 핀(5)이 결합되는 양쪽 부위, 스프링(4)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핸들(3)의 후면 부위, 브라켓(1) 상에 조립된 범퍼(7)와 핸들(3)이 맞닿는 부위에 각각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113,114)는 그리스 도포공정이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게 되는데, 감지가 제대로 되어야 다음 공정이 진행될 수 있게 프로세싱된다. 즉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113, 114)가 눌려서 그리스 도포공정 수행되었다고 판단되지 않으면 턴테이블(120)을 비롯하여 핀 조립 유닛(140), 로트 넘버 인쇄유닛(150), 그리스 정량 도포유닛(160), 그리고 취출 컨베이어(170)가 동작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턴테이블(1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용 조립유닛(110)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단계적으로 회전되면서 나머지 공정, 즉 제2 내지 제5 공정(#2~#5)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턴테이블(120)이 90도 각도씩 단계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 내지 제5 공정(#2~#5)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지그부(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120)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다. 지그부(130)는 턴테이블(120)의 둘레면 4곳에 마련되며, 그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지그부(130)들 중에서 제2 공정(#2)에 배치되는 지그부(130)를 통해 스프링(4)이 조립된다. 즉 브라켓(1)과 핸들(3)을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는 스프링(4)이 제2 공정(#2)에 배치되는 지그부(130) 상에 미리 안착된 후, 노브(2)와 핸들(3)이 조립된 브라켓(1)과 결합 조립될 수 있다.
지그부(130)는 턴테이블(120)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모델에 따라 턴테이블(120) 상에서 지그부(130)를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조립 유닛(140)은 제3 공정(#3)을 진행한다. 즉 핀 조립 유닛(140)은 턴테이블(120)의 주변에 배치되며, 브라켓(1)과 핸들(3)을 핀(5)으로 조립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브라켓(1)과 핸들(3)을 핀(5)으로 조립하는 공정의 수행 전에, 핸들(3)과 노브(2)에 기부착된 스트립 테이프의 존재여부를 검사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핀 조립 유닛(140)은 핀(5)이 수용되는 원형 피더(141)와, 원형 피더(141)와 연결되며, 원형 피더(141)로부터 하나씩의 핀(5)이 제3 공정(#3)에 배치되는 지그부(130)로 전달되는 핀 트랜스퍼(142)와, 핀(5)을 가압하여 조립하는 핀 가압기(143)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핀 조립 유닛(140)은 스트립 테이프의 존재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핸들(3) 상의 스트립 테이프의 존재여부를 검사하는 핸들측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145)와, 노브(2) 상의 스트립 테이프의 존재여부를 검사하는 노브측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146)를 포함한다.
따라서, 핀 조립 유닛(140)을 통한 제3 공정(#3)에서는 스트립 테이프의 존재여부를 검사한 후, 핀(5)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핀(5)을 삽입하여 스프링(4)을 해당 위치에 조립하기 전에 칼라센서인 핸들측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145)와 노브측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146)를 이용하여 스트립 테이프들이 해당 위치에 제대로 부착되어 있는지를 먼저 검사한다.
참고로, 스트립 테이프들은 핸들(3)과 노브(2)에 부착되는데 핸들(3) 및 노브(2) 상부면에는 파란색 테이프가 부착되고 노브(2)의 측면에는 빨간색 테이프가 부착된다. 따라서 핸들측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145)와 노브측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146)가 각각 상부에 2개, 측부에는 1개 배치된다.
핸들측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145)와 노브측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146)에 의해 스트립 테이프의 존재여부가 검사된 후에는 원형 피더(141)와 핀 트랜스퍼(142)를 통해 전달된 핀(5)을 핀 가압기(143)가 가압하여 삽입 조립한다. 핀 가압기(143)는 공압식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핀 가압기(143)의 주변에는 핀 검사기(144)가 배치되어 핀(5)의 누락 또는 핀(5)의 조립 길이를 검사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트 넘버 인쇄유닛(150)은 제4 공정(#4)을 진행한다. 즉 로트 넘버 인쇄유닛(150)은 턴테이블(120)에 회전되는 방향에 대하여 핀 조립 유닛(140)의 후방에 배치되며, 인사이드 핸들(10) 상에 로트 넘버(Lot No)를 인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로트 넘버의 인쇄 공정의 수행 전에, 조립 완료된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을 검사하여, 각종 부품의 누락 또는 오조립 등을 검사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로트 넘버 인쇄유닛(150)은 로트넘버 인쇄를 위하여 인쇄기(155)를 포함하며, 부품 검사공정을 위하여 접촉식 센서로서의 제1 내지 제4 접촉식 검사 센서(151~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식 검사 센서(151)는 범퍼(7)의 누락 여부를 접촉식으로 검사하고, 제2 접촉식 검사 센서(152)는 핀(5)의 누락 여부를 접촉식으로 검사하며, 제3 접촉식 검사 센서(153)는 스프링(4)의 누락 여부를 접촉식으로 검사하고, 제4 접촉식 검사 센서(154)는 밴드(6)의 누락 여부를 접촉식으로 검사한다.
그리고 인쇄기(155)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 상에 로트 넘버(Lot No)를 인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로트 넘버 인쇄유닛(150)에 접촉식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부품 누락 여부를 검사한 후, 로트 넘버를 인쇄하는 공정 순서를 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 그리고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스 정량 도포유닛(160)은 제5 공정(#5)을 진행한다. 즉 그리스 정량 도포유닛(160)은 턴테이블(120)에 회전되는 방향에 대하여 로트 넘버 인쇄유닛(150)의 후방에 배치되며, 핸들(3), 스프링(4) 및 노브(2)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그리스 정량 도포유닛(160)은 로봇 아암(161), 이동식 그리스 정량 도포기(162), 그리고 이동식 블로워(163)를 포함한다.
로봇 아암(161)은 도 8 및 도 9처럼 턴테이블(120)과 취출 컨베이어(170) 사이를 왕복 이동함은 물론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을 파지하여 업/다운(up/down) 이동시키고, 또한 핸들(3), 스프링(4) 및 노브(2)에 그리스의 정량 도포를 위해 도 11 및 도 12처럼 파지된 인사이드 핸들(1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로봇 아암(161)에는 집게식으로 인사이드 핸들(10)을 그립핑하기 위한 한 쌍의 그립퍼(161a)가 마련된다.
이동식 그리스 정량 도포기(162)는 로봇 아암(161)의 주변에 배치되며, 로봇 아암(161)이 도 11에서 도 12처럼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을 회전시킬 때,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로 접근되어 핸들(3), 스프링(4) 및 노브(2)로 점 형태의 그리스를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동식 블로워(163)는 이동식 그리스 정량 도포기(162)의 주변에 배치되며, 이동식 그리스 정량 도포기(162)에 의해 점 형태의 그리스가 도포된 스프링(4)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점 형태의 그리스가 스프링(4)의 꼬아진 틈 사이사이로 침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이 도어의 내측 케이지에 조립되기 위하여 핸들(3) 및 노브(2)의 케이지 조립부 4개소와 스프링(4)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스프링(4) 표면에 그리스가 도포되는데, 이 작업이 그리스 정량 도포유닛(160)을 통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그리스 정량 도포기(162)를 통해 그리스는 점 형태로 도포되므로, 스프링(4) 표면에 뭉쳐진 점 형태의 그리스가 도포된다. 그러나 스프링(4)은 그 틈새에 모두 그리스가 도포되어야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고 마찰음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스프링(4)의 틈새로 그리스를 침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프링(4) 위에 뭉쳐진 점 형태의 그리스에 대하여 이동식 블로워(163)가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뭉쳐진 점 형태의 그리스가 퍼지면서 꼬여진 스프링(4) 틈 사이사이로 그리스가 침투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취출 컨베이어(170)는 그리스 정량 도포유닛(160)의 주변에 배치되며, 양품 또는 불량품의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을 취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취출 컨베이어(170)는 단일의 라인(line)을 이루되, 양품의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의 경우에는 정 방향으로 주행되고, 불량품의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의 경우에는 역 방향으로 주행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을 구성하는 브라켓(1) 상에 노브(2)와 핸들(3)을 조립하면서 그리스를 도포하는 제1 공정(#1), 노브(2)와 핸들(3)이 조립된 브라켓(1)에 스프링(4)을 결합시키는 제2 공정(#2), 핀(5)을 자동으로 조립하면서, 스트립 테이프의 존재여부를 검사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제3 공정(#3), 로트 넘버(Lot No)를 인쇄하면서, 각종 부품의 누락 또는 오조립 등을 검사할 수 있는 제4 공정(#4), 그리고 핸들(3), 스프링(4), 노브(2)에 그리스를 도포하고 제품을 취출시키는 제5 공정(#5)이 유기적으로 진행됨으로써, 대량의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10)을 생산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5단계의 공정으로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을 조립하고 있으나, 각 공정이 다수의 공정으로 분할 수행되거나, 핸들과 노브 래핑 공정이 추가되는 등 유연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및 브라켓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그리스 도포공정, 부품을 조립하는 부품 조립공정, 로트 넘버(Lot No)를 인쇄하는 인쇄 공정, 그리고 핸들, 스프링 및 노브에 그리스를 정량 도포하는 그리스 정량 도포공정 등이 유기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시 필요한 각종 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브라켓 2 : 노브
3 : 핸들 4 : 스프링
5 : 핀 6 : 밴드
7 : 범퍼 10 :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
110 :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용 조립유닛
111 : 브라켓측 그리스 도포부
112 : 핸들측 그리스 도포부 113 : 제1 리미트 스위치
114 : 제2 리미트 스위치 120 : 턴테이블
130 : 지그부 140 : 핀 조립 유닛
141 : 원형 피더 142 : 핀 트랜스퍼
143 : 핀 가압기 144 : 핀 검사기
145 : 핸들측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 146 : 노브측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
150 : 로트 넘버 인쇄유닛 151 : 제1 접촉식 검사 센서
152 : 제2 접촉식 검사 센서 153 : 제3 접촉식 검사 센서
154 : 제4 접촉식 검사 센서 155 : 인쇄기
151 : 접촉식 검사 센서 160 : 그리스 정량 도포유닛
161 : 로봇 아암 162 : 이동식 그리스 정량 도포기
163 : 이동식 블로워 170 : 취출 컨베이어

Claims (4)

  1.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을 구성하는 브라켓(bracket) 상에 노브(knob)와 핸들(handle)을 조립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 및 핸들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용 조립유닛;
    상기 브라켓 및 핸들 그리스 도포용 조립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단계적으로 회전 가능한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의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 마련되며, 상기 노브와 핸들이 결합된 상기 브라켓을 안착시키는 다수의 지그부;
    상기 턴테이블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핸들을 핀(pin)으로 조립하는 핀 조립 유닛;
    상기 턴테이블에 회전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핀 조립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 상에 로트 넘버(Lot No)를 인쇄하는 로트 넘버 인쇄유닛; 및
    상기 턴테이블에 회전되는 방향에 대하여 로트 넘버 인쇄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 일단부가 상기 핸들의 후면 부위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스프링 및 상기 노브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그리스 정량 도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핀 조립 유닛은 상기 핸들과 상기 노브에 기부착된 스트립 테이프의 존재여부를 검사하는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를 포함하며,
    상기 로트 넘버 인쇄 유닛은, 부품 누락 여부를 검사하는 접촉식 검사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조립 유닛은,
    상기 핀의 누락 또는 핀의 조립 길이를 검사하는 핀 검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는 칼라센서이며,
    상기 핸들 상의 스트립 테이프의 존재여부를 검사하는 핸들측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 및
    상기 노브 상의 스트립 테이프의 존재여부를 검사하는 노브측 스트립 테이프 검사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트 넘버 인쇄유닛은,
    범퍼(bumper)의 누락 여부를 접촉식으로 검사하는 제1 접촉식 검사 센서;
    상기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에 결합되는 상기 핀의 누락 여부를 접촉식으로 검사하는 제2 접촉식 검사 센서;
    상기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에 결합되는 상기 스프링의 누락 여부를 접촉식으로 검사하는 제3 접촉식 검사 센서;
    상기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에 결합되는 밴드(band)의 누락 여부를 접촉식으로 검사하는 제4 접촉식 검사 센서; 및
    상기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 상에 로트 넘버(Lot No)를 인쇄하는 인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
KR1020140180110A 2014-12-15 2014-12-15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 KR101632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110A KR101632510B1 (ko) 2014-12-15 2014-12-15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110A KR101632510B1 (ko) 2014-12-15 2014-12-15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510B1 true KR101632510B1 (ko) 2016-06-22

Family

ID=5636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110A KR101632510B1 (ko) 2014-12-15 2014-12-15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5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168A (ko) 2018-04-02 2019-10-11 황순관 로트 추적 시스템 및 그 실시 방법
KR102155443B1 (ko) * 2019-03-29 2020-09-11 성우일렉스(주) 원가절감형 와이퍼의 컨택트 홀더 조립 및 검사장치와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411A (ko) * 2010-05-11 2011-11-17 주식회사 금창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스 웨이 다 차종 부품 제조 시스템
KR20120034908A (ko) * 2010-10-04 2012-04-13 제이씨에이몬트롤 주식회사 자동차 인사이드핸들 반자동 조립장치
KR20120034962A (ko) * 2010-10-04 2012-04-13 제이씨에이몬트롤 주식회사 자동차 인사이드핸들 조립장치
KR20130039590A (ko) * 2011-10-12 2013-04-22 (주)우진하이텍 오토 레버 쉬프트의 조립검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411A (ko) * 2010-05-11 2011-11-17 주식회사 금창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스 웨이 다 차종 부품 제조 시스템
KR20120034908A (ko) * 2010-10-04 2012-04-13 제이씨에이몬트롤 주식회사 자동차 인사이드핸들 반자동 조립장치
KR20120034962A (ko) * 2010-10-04 2012-04-13 제이씨에이몬트롤 주식회사 자동차 인사이드핸들 조립장치
KR20130039590A (ko) * 2011-10-12 2013-04-22 (주)우진하이텍 오토 레버 쉬프트의 조립검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168A (ko) 2018-04-02 2019-10-11 황순관 로트 추적 시스템 및 그 실시 방법
KR102155443B1 (ko) * 2019-03-29 2020-09-11 성우일렉스(주) 원가절감형 와이퍼의 컨택트 홀더 조립 및 검사장치와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56960A1 (en) Method for checking a rivet
US20080121168A1 (en) Light Guided Assembly System
KR101632510B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
US9316512B2 (en) Nondestructive inspection system for difficult to access areas
US1014620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automated operations on a workpiece
US10526032B2 (en) Assembly station for vehicle body door assembly
US20120228892A1 (en) Automatic working device
Webb et al. Automated aerostructure assembly
CN105817423A (zh) 一种质检输送线及其质检方法
KR101632509B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장치
JP2012137445A (ja) リーク検査装置およびリーク検査方法
US8571824B2 (en) Vehicular door closing-inspection apparatus and vehicular door closing-inspection method
KR20100091283A (ko) 자동차용 볼조인트 결합장치
Yusuf et al. Stationary spot welding (ssw) quality improvement using six sigma methodology and a poka yoke jig design
CN207824891U (zh) 一种机器人实训平台
US10306122B2 (en) Multifunction end effector
KR20110124411A (ko)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스 웨이 다 차종 부품 제조 시스템
KR20160076691A (ko)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
TWM451226U (zh) 視覺辨識組裝設備
KR101678853B1 (ko) 차량부품용 검사장치
KR20160002439A (ko) 플라스틱 사출 제조 라인에서 로봇의 동적 임무할당 장치 및 방법
JP2004024977A (ja) 物品検査装置
Williams Vorsprung durch photonik: Machine vision technology is improving quality control in automotive manufacturing, writes Andrew Williams
CN220690434U (zh) 一种旋钮检测组件、旋钮及按钮检测装置
US11104310B2 (en) Systems and method for verifying vehicle peda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