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050B1 -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및 버스바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및 버스바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050B1
KR101632050B1 KR1020140036817A KR20140036817A KR101632050B1 KR 101632050 B1 KR101632050 B1 KR 101632050B1 KR 1020140036817 A KR1020140036817 A KR 1020140036817A KR 20140036817 A KR20140036817 A KR 20140036817A KR 101632050 B1 KR101632050 B1 KR 101632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racket
slice
insertion groov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500A (ko
Inventor
오석환
Original Assignee
오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석환 filed Critical 오석환
Priority to KR1020140036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05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10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및 버스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에 각각의 차단기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전송 및 분배하는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및 이를 위한 버스바의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의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결합시키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긴 평판 막대 형상의 절편부 및 일단은 상기 절편부의 일면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절편부의 일면 타단에 결합되며, 일단과 타단의 사이는 상기 절편부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어 이격된 형상을 갖는 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편부와 곡면부 사이에는 상기 절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향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편부의 두께는 상기 곡면부의 두께보다 두껍다.
본 발명의 버스바의 제조방법은, 버스바를 성형하는 버스바성형단계, 상기 버스바의 일부분에 마스킹시트를 부착하는 마스킹시트부착단계, 상기 마스킹시트가 부착된 상기 버스바의 외면에 피막층을 형성하는 피막층형성단계, 상기 마스킹시트를 제거하여 상기 피막층이 형성되지 않은 접속부를 형성하는 접속부형성단계로 이루어지되, 다수개의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및 버스바의 제조방법{DISTRIBUTION PANEL HAVING BUS BA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US BAR}
본 발명은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및 버스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에 각각의 차단기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전송 및 분배하는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및 이를 위한 버스바의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공급장치라 함은, 분/배전반, 저압반, 고압반, 변압반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주로 차단기나 마그네틱과 같은 전력소자가 구비되어 외부의 전력을 개폐하거나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렇게, 여러 전력공급장치 중에서도 산업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전력공급장치에서는 배전반(配電盤)이 필수적인데, 배전반은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 계기, 릴레이(계전기) 등을 일정하게 넣어 관리하고, 한국전력공사로부터 공급된 특별고압의 전기를 공장, 빌딩, 병원, APT단지, 및 각종 산업 시설등에서 사용하는 각종 전기 시설물의 정격에 맞는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전반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10)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차단기(20) 및 버스바(30: BUS BAR))와, 상기 박스(10)의 일 측에서 상기 버스바(30)의 내부 중공과 연통하여 공기를 직접 송풍시키는 냉각송풍수단(50)과, 상기 버스바(30)와 상기 차단기(20)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전반(60)에는 상기 각각의 차단기(20)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다수개의 버스바(30)가 설치되는데, 상기 버스바(30)는 전원 케이블을 대신하여 사용되는 긴 금속의 제품을 총칭하며, 이러한 버스바는 케이블에 비해 방열효과가 크고, 또한 그 표면적이 넓어 도체의 표면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의 임피던스를 낮추어 줄 수 있어 전류가 큰 고전력의 배전설비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버스바(30)는 일측이 메인차단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버스바와, 상기 모선버스바에 연결되어 분배받은 전력을 각각의 보조차단기에 공급하는 자선버스바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30)는 외관의 형상에 따른 직사각형의 막대 구조로 이루어진 판상형과, 동심원의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의 상기 버스바(30)는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알루미늄재의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를 외부에서 감싸면서 동 재질로 이루어진 피복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원통형의 버스바는 원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버스바의 부피가 크고, 면적에 비해 통전전류량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버스바의 발열이 심하여도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열전달량 및 전류밀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판상형의 버스바의 경우 기계적 강도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버스바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버스바가 산소 또는 염분 등이 있는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면 상기 버스바는 산화 또는 부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버스바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기 버스바의 외면에 산화방지층을 형성하여 상기 버스바가 산화 또는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다수개의 버스바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버스바의 길이를 늘여야 하는 경우, 다수개의 상호 버스바의 전기적 연결부분에 산화방지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버스바의 본래 면접촉 저항을 증가시켜 통전전류량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15402호(2009, 08, 2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버스바의 크기를 줄이면서 통전전류량을 높이고, 버스바의 발열량을 낮추어 열전달량 및 전류밀도를 높이며, 버스바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버스바의 산화 및 부식을 저지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버스바의 도전율이 저하되는 것을 저지하는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및 버스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및 버스바의 제조방법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결합시키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및 버스바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긴 평판 막대 형상의 절편부 및 일단은 상기 절편부의 일면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절편부의 일면 타단에 결합되며, 일단과 타단의 사이는 상기 절편부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어 이격된 형상을 갖는 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편부와 곡면부 사이에는 상기 절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향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편부의 두께는 상기 곡면부의 두께보다 두껍다.
상기 절편부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면부는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곡면부의 길이방향 양쪽 끝단부에는 상기 절편부 끝단부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곡면부의 길이보다 상기 절편부의 길이가 더 길다.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돌출된 나사부로 이루어진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편부의 타면에는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은, 상기 머리부가 삽입되는 머리부삽입홈 및 상기 나사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으며 상기 나사부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삽입홈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머리부삽입홈과 연통되는 나사부삽입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부는 일단의 폭이 타단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삽입홈은 상기 머리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절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은 외부로 개방되고, 타단은 외부와 차단되며, 상기 삽입홈의 길이는 상기 절편부의 길이보다 짧다.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절편부 또는 상기 곡면부에서 돌출형성된 냉각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버스바가 삽입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버스바가 1개 이상일 때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은, 일단이 상기 버스바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브라켓, 타단이 상기 버스바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1브라켓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가 삽입배치되는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브라켓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가 삽입배치되고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되는 제2관통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결합시키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외면에 제1피막층이 형성된 제1버스바 및 외면에 제2피막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1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버스바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버스바에는 상기 제1피막층이 형성되지 않은 제1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버스바에는 상기 제2피막층이 형성되지 않는 제2접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는 상기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접속부는 상기 제1버스바의 일단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접속부는 상기 제2버스바의 타단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버스바의 일단과 상기 제2버스바의 타단 연결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는 상호 면접촉하여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의 접속면적(S1)은, 상기 제1버스바의 일단과 상기 제2버스바의 타단의 접속면적(S2)과 같거나 작다.
상기 버스바는, 긴 평판 막대 형상의 절편부 및 일단은 상기 절편부의 일면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절편부의 일면 타단에 결합되며, 일단과 타단의 사이는 상기 절편부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어 이격된 형상을 갖는 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편부와 곡면부 사이에는 상기 절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향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편부의 두께는 상기 곡면부의 두께보다 두껍다.
버스바를 성형하는 버스바성형단계, 상기 버스바의 일부분에 마스킹시트를 부착하는 마스킹시트부착단계, 상기 마스킹시트가 부착된 상기 버스바의 외면에 피막층을 형성하는 피막층형성단계, 상기 마스킹시트를 제거하여 상기 피막층이 형성되지 않은 접속부를 형성하는 접속부형성단계로 이루어지되, 다수개의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긴 평판 막대 형상의 상기 절편부에 일단과 타단 사이가 상기 절편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곡면부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버스바의 크기를 줄임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통전전류량을 높이고, 상기 버스바의 발열량을 낮추어 열전달량 및 전류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편부의 두께가 상기 곡면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버스바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절편부의 길이가 상기 곡면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곡면부의 양끝단이 상기 절편부 양끝단부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다수개의 버스바를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절편부의 타면에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스바가 상기 브라켓 등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의 일단 폭이 타단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역삼각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머리부보다 비교적 적은 용량의 사출물로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브라켓과 상기 버스바가 서로 강한 조임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절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은 외부로 개방되고, 타단은 외부와 차단되며, 상기 삽입홈의 길이는 상기 절편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삽입홈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버스바의 기계적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절편부 또는 상기 곡면부로부터 냉각핀이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버스바의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버스바가 삽입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버스바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버스바가 1개 이상일 때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버스바가 외부의 힘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상기 관통공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이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체결되며, 상기 제1브라켓에 상기 제1관통공이 형성되 제2브라켓에 상기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에 상기 버스바가 삽입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장착된 상기 버스바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의 강한 조임력으로 상기 버스바를 상기 브라켓에 강한 조임력으로 고정킬 수 있다.
상기 제1버스바에 상기 제1피막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버스바에 상기 제2피막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버스바와 상기 제2버스바가 산화 또는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버스바에 상기 제1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버스바에 상기 제2접속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가 상호 접함으로써, 상기 제1버스바와 상기 제2버스바가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는 상기 제1버스바의 일단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접속부는 상기 제2버스바의 타단 상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보스바와 제2버스바를 산호 면접촉 방식으로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의 접속면적(S1)을, 상기 제1버스바의 일단과 상기 제2버스바의 타단의 접속면적(S2)과 같거나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가 산화 또는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에 피막층을 형성할 때, 상기 마스킹시트를 부착함으로써, 다수개의 상기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접속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의 버스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3은 도 2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버스바를 브라켓 등에 고정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에서 버스바의 삽입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버스바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버스바가 장착된 상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의 버스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3은 도 2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버스바를 브라켓 등에 고정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에서 버스바의 삽입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버스바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버스바가 장착된 상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은, 케이스(도시하지 않음), 버스바(100), 고정부재(200), 브라켓(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부품들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는 종래의 배전반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그 설명 생략한다.
상기 버스바(100)는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300)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절편부(110), 곡면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절편부(110)는 긴 평판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편부(110)의 일면에는 상기 곡면부(120)가 결합되며, 상기 절편부(110)의 타면에는 삽입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11)은 상기 절편부(110)의 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00)가 삽입배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절편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고, 타단은 외부와 차단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11)의 길이는 상기 절편부(1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111)은 상기 고정부재(200)가 삽입배치될 때, 상기 고정부재(200)가 상기 삽입홈(111)을 따라 용이하게 삽입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111)의 타단이 외부와 차단되어 상기 삽입홈(111)의 길이가 상기 절편부(110)의 길이보다 짧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절편부(110)의 기계적 강도가 더욱 높아져 상기 절편부(110)가 상기 삽입홈(111)을 따라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11)은 머리부삽입홈(111a), 나사부삽입홈(11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부삽입홈(111a)과 상기 나사부삽입홈(111b)은 서로 연통되어 형성되 상기 고정부재(200)가 삽입배치된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버스바(100)를 상기 브라켓(300) 등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머리부(210), 나사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부(210)는 바람직하게는 일단의 폭이 타단의 폭보다 ?게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220)는 상기 머리부(21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돌출되고,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머리부(210)의 일단 폭이 타단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역삼각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머리부(210)보다 비교적 적은 용량의 사출물로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200)에 의해 상기 브라켓(300)과 상기 버스바(100)가 서로 강한 조임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11)의 상기 머리부삽입홈(111a)은 상기 머리부(2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부삽입홈(111b)은 상기 나사부삽입홈(111b)은 상기 머리부삽입홈(111a)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22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부(220)가 상기 나사부삽입홈(111b)에 삽입될 때, 상기 나사부(220)의 일부가 상기 나사부삽입홈(111b)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상기 나사부(220)의 일부가 상기 브라켓(300) 등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부(220)에 상기 너트(230)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100)를 상기 브라켓(300) 등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상기 브라켓(300) 등에 상기 고정부재(200)의 나사부(220)를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부(220)에서 상기 머리부(21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나사부삽입홈(111b)의 두께만큼의 여유를 남기고 삽입한 후, 상기 브라켓(300) 등으로부터 삽입 관통된 상기 나사부(220)에 상기 너트(230)를 체결시킨다.
이어서, 상기 고정부재(200)의 머리부(210)와 상기 나사부(220)의 일부분에 각각 상기 삽입홈(111)의 머리부삽입홈(111a)과 나사부삽입홈(111b)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버스바(100)를 상기 브라켓(300) 등에 고정한다.
상기 곡면부(120)는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면부(120)의 길이방향 양쪽 끝단부에는 상기 절편부(110) 끝단부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21)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편부(110)의 단면 형상은 직각으로 절곡된 판재 및 다단으로 절곡된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120)의 단면 형상은 타원 및 다양한 형상의 곡선으로 형성됨도 가능하나, 상기 절편부(110)는 직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120)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버스바(100)는 단면 형상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원통형 버스바(100)보다 단면적을 줄일 수 있고, 상기 버스바(100)의 면적대비 통전전류량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다.
상기 절편부(110)는 상기 곡면부(120)의 길이보다 길어 상기 절편부(110)의 양쪽 끝단부에는 상기 곡면부(120)의 양쪽 끝단부보다 양쪽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12)는 결합홈(113)이 형성되고,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버스바(10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연장시킬 때, 상기 연장부(112)를 상하방향으로 적층시키고 상기 결합홈(113)에 결합부재(114)를 삽입 고정시켜 상기 다수개의 버스바(100)를 길이방향으로 연장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버스바(100)를 직각으로 연장시켜야 하는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12)에 직각으로 형성된 별도의 연결판재(400)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별도의 연결판재(400)를 매개로 상기 다수의 버스바(100)를 직각방향으로 결합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편부(110)의 길이는 상기 곡면부(1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절편부(110)의 양쪽 끝단부에 연장부(112)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곡면부(120)의 양끝단이 상기 절편부(110) 양끝단부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21)이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연장부(112)를 서로 적층하여 상기 버스바(100)를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절편부(110)의 단면 두께는 상기 곡면부(120)의 단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절편부(110)의 단면 두께가 상기 곡면부(120)의 단면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버스바(100)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는것 저지하고 상기 버스바(100)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절편부(110)의 단면 두께가 상기 곡면부(120)의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면, 상기 절편부(110)의 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삽입홈(111)의 깊이로 인해 상기 삽입홈(111)이 형성된 부분의 상기 절편부(11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버스바(100)의 기계적강도가 낮아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편부(110)의 단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홈(111)이 형성된 부분의 상기 절편부(110)의 두께도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100)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곡면부(120)의 일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편부(110)의 일면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절편부(110)의 일면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타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곡면부(120)의 일단과 타단 사이는 상기 절편부(110)로부터 볼록하게 돌출 이격됨으로써, 상기 절편부(110)와 상기 곡면부(120) 사이에는 중공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120)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122)는 상기 절편부(110)와 곡면부(120)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절편부(110)와 곡면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향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상기 중공부(122)를 통해 뜨거운 공기는 상기 중공부(122)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중공부(122)의 하부를 통해 찬공기가 상기 중공부(122)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상기 중공부(122)에 유입된 찬공기에 의해 통전에 의한 상기 버스바(100)의 발열량을 낮추어 상기 버스바(100)의 전류밀도가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10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핀(1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면부(120) 외측면과 절편부(110)의 측면에는 냉각핀(123)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버스바(100)에 발생된 열이 상기 냉각핀(123)을 통해 상기 버스바(100)로부터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상기 중공부(122)와 함께 상기 버스바(100)의 발열량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냉각핀(123)이 상기 곡면부(120)의 외측면과 상기 절편부(110)의 측면에 냉각핀(123)이 돌출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버스바(100)에 발생된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면, 상기 냉각핀(123)은 상기 곡면부(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절편부(110)의 측면 중 어느 한쪽에만 연장형성됨도 가능하다.
상기 브라켓(300)은 상기 버스바(100)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300)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관통공(330)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30)은 상기 버스바(100)가 삽입배치되는 공간으로써, 상기 관통공(330)의 형상은 상기 버스바(10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330)의 내측면은 도 8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100)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관통공(330)은 상기 버스바(100)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버스바(100)가 외부의 힘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상기 브라켓(30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330)의 형상은 1개로 이루어진 상기 버스바(10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관통공(330)의 형상은 도 9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버스바(100)의 절편부(110) 타면이 각각 서로 밀착된 상태의 형상으로 형성됨도 가능하다.
즉, 상기 관통공(330)의 형상은 상기 버스바(10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00)은 하나의 브라켓(300)에 한 개 이상의 상기 버스바(100)가 삽입배치될 수 있지만, 상기 버스바(100)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300)은 조립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립식으로 형성된 상기 브라켓(3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300)은 제1브라켓(310), 제2브라켓(320), 체결부재(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브라켓(310)은 일단이 상기 버스바(100)의 외측면 일부분에 밀착되고, 이를 위해 상기 제1브라켓(310)의 일단에는 제1관통공(331)이 형성된다.
상기 제2브라켓(320)은 타단이 상기 제1브라켓(310)에 밀착된 상기 버스바(100)의 나머지 외측면 일부분과 밀착되어 상기 제1브라켓(310)과 결합되고, 이를 위해 상기 제2브라켓(320)의 타단에는 제2관통공(33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340)는 상기 제1브라켓(310)과 상기 제2브라켓(320)이 상호 밀착되면 상기 제1브라켓(310)과 제2브라켓(320)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브라켓(310)과 상기 제2브라켓(320)을 체결시킨다.
상기 제1관통공(331)은 상기 제1브라켓(3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100)의 외측면 일부분이 삽입배치된다.
상기 제2관통공(332)은 상기 제1관통공(331)과 서로 연통되고, 상기 제1관통공(331)에 삽입된 상기 버스바(100)의 나머지 일부분이 삽입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브라켓(310)과 제2브라켓(320)은 상호 체결부재(340)의 강한 조임력으로 인해 상기 버스바(100)를 상기 브라켓(3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관통공(331)과 상기 제2관통공(332)의 내측면 형상은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버스바(100) 절편부(110) 타면이 각각 서로 밀착된 상태의 형상으로 형성됨도 가능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평판 막대 형상의 상기 절편부(110)에 일단과 타단 사이가 상기 절편부(110)로부터 이격된 상기 곡면부(12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버스바(100)의 크기를 줄임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통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절편부(110)의 두께가 상기 곡면부(12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버스바(100)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머리부(210)의 일단 폭이 타단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역삼각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머리부(210)보다 비교적 적은 용량의 사출물로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200)에 의해 상기 브라켓(300)과 상기 버스바(100)가 서로 강한 조임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100)는 제1버스바(130) 및 제2버스바(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100)는 일반적으로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버스바(100)는 산소 또는 염분 등이 있는 외부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면 산화 또는 부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버스바(130)는 외면에는 제1피막층(131)이 형성된다.
상기 제1피막층(131)은 바람직하게는 액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버스바(100)에 도포 후 굳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피막층(131)은 상기 제1버스바(13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버스바(130)의 외면에 도포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피막층(131)은 상기 제1버스바(130)가 산소 또는 염분 등이 있는 외부 환경에 의해 산화 또는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버스바(130)에는 제1접속부(13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접속부(132)는 상기 제2버스바(140)와 접속하여 상기 제1버스바(130)와 제2버스바(14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1접속부(132)는 상기 제1버스바(130)의 외면에서 상기 제1피막층(131)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버스바(140)와 접촉하는 상기 제1버스바(130)의 일단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버스바(140)는 상기 제1버스바(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외면에 제2피막층(141)과 제2접속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제2피막층(141)은 상기 제1버스바(1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접속부(142)는 상기 제1버스바(130)의 제1접속부(132)와 접하여 상기 제1버스바(130)와 제2버스바(14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1접속부(132)는 상기 제2버스바(140)의 외면에서 상기 제2피막층(141)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버스바(130)와 접촉하는 상기 제2버스바(140)의 타단 상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접속부(132)와 상기 제2접속부(142)가 상호 면접촉 방식으로 접함으로써, 상기 제1버스바(130)와 상기 제2버스바(140)가 상호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제1버스바(130)의 외면에는 상기 제1피막층(13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버스바(140)의 외면에는 상기 제2피막층(14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버스바(130)와 상기 제2버스바(140)가 산소 또는 염분 등이 있는 외부 환경에 의해 산화 또는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버스바(130)와 상기 제2버스바(140)가 상호 접하는 영역에는 상기 제1피막층(131)과 상기 제2피막층(141)이 형성되지 않은 제1접속부(132)와 상기 제2접속부(142)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버스바(130)와 상기 제2버스바(140)가 면접촉되어 도전율이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속부(132)와 상기 제2접속부(142)의 접속면적(S1)은, 상기 제1버스바(130)의 일단과 상기 제2버스바(140)의 타단이 상호 접하는 접속면적(S2)과 같거나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만약, 상기 제1접속부(132)와 상기 제2접속부(142)의 접속면적(S1)이 상기 제1버스바(130)의 일단과 상기 제2버스바(140)의 타단의 접속면적(S2)보다 큰 경우, 상기 제1버스바(130)와 제2버스바(140)에서 상기 제1피막층(131)과 제2피막층(141)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버스바(130)와 상기 제2버스바(140)에서 상기 제1피막층(131)과 제2피막층(141)이 형성되지 않은 각각의 영역이 산소 또는 염분 등이 있는 외부 환경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버스바(130)과 상기 제2버스바(140)에서 상기 제1피막층(131)과 제2피막층(141)이 형성되지 않은 각각의 영역이 산화 또는 부식되고, 이러한 상태로 오랜 시간이 지나면 산화 또는 부식영역이 상기 제1버스바(130)와 제2버스바(140) 전체에 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접속부(132)와 상기 제2접속부(142)의 접속면적(S1)은 상기 제1버스바(130)의 일단과 상기 제2버스바(140)의 타단이 상호 접하는 접속면적(S2)보다 같거나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접속부(132)와 상기 제2접속부(142)의 접속면적(S1)보다 상기 제1버스바(130)의 일단과 상기 제2버스바(140)의 타단이 상호 접하는 접속면적(S2)이 같거나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버스바(130)의 일단과 상기 제2버스바(140)의 타단에서 상호 접하는 면이 상기 제1접속부(132)와 상기 제2접속부(14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게 됨으로써, 상기 제1버스바(130)와 상기 제2버스바(140)가 산소 또는 염분 등이 있는 외부 환경에 의해 산화 또는 부식되는 것이 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1버스바(130)와 제2버스바(140)는 절편부(110) 및 곡면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는 상기 제1실시예에 설명한 절편부(110) 및 곡면부(120)와 동일한 구성 및 구조 이루어짐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접속부(132)의 일단과 상기 제2접속부(142)의 타단이 상호 면접촉 방식으로 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접속부(132)와 상기 제2접속부(142)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연결판재(40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버스바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버스바의 제조방법은, 버스바성형단계(S10), 마스킹시트부착단계(S20), 피막층형성단계(S30), 접속부형성단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스바성형단계(S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버스바(100)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버스바(10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의 금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100)는 제1실시예의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스바(100)는 상기 제1실시예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반원으로 형성된 곡면부(120)와 단면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절편부(110)가 서로 결합된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버스바(100)는 상기 절편부(110)의 단면형상과 같은 직사각형상의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에서는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버스바를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마스킹시트부착단계(S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100)의 일부분에 마스킹시트(133)를 부착하는 단계로서, 다수개의 버스바(100)가 상호 접하는 영역에 상기 마스킹시트(133)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마스킹시트(133)는 상기 제1버스바(130)의 일단과 상기 제2버스바(140)의 타단이 상호 접하는 접속면적(S2)과 같거나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마스킹시트(133)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버스바(100)에 상기 제1피막층(131)과 제2피막층(141)을 형성할 때, 다수개의 상기 버스바(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제1접속부(132)와 제2접속부(14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피막층형성단계(S3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킹시트(133)가 부착된 상기 버스바(100)의 외면에 상기 제1피막층(131)과 제2피막층(141)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피막층형성단계(S30)는 상기 버스바(100)의 외면에 상기 제1피막층(131)과 제2피막층(141)을 형성시켜 상기 버스바(100)가 산소 또는 염분 등이 있는 외부에 노출되어 산화 또는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버스바(100)가 구리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버스바(100)의 외면에 은(銀) 도금 후 산화방지처리를 하여 상기 버스바(100)의 외면에 상기 제1피막층(131)과 제2피막층(14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100)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버스바(100)의 외면에 양극산화방지처리를 하여 상기 버스바(100)의 외면에 상기 제1피막층(131)과 제2피막층(141)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접속부형성단계는(S4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피막층(131)과 제2피막층(141)이 형성된 버스바(100)에서 상기 마스킹시트(133)를 제거하여 상기 제1피막층(131)과 제2피막층(141)이 형성되지 않은 제1접속부(132)와 제2접속부(142)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마스킹시트부착단계(S20)에서 부착된 상기 마스킹시트(133)가 상기 제1버스바(130)의 일단과 상기 제2버스바(140)의 타단이 상호 접하는 접속면적(S2)과 같거나 작은 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접속부(132)와 상기 제2접속부(142)의 접속면적(S1)이 상기 제1버스바(130)의 일단과 상기 제2버스바(140)의 타단이 상호 접하는 접속면적(S2)과 같거나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다수개의 상기 버스바(100)는 상기 제1접속부(132)와 제2접속부(142)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버스바(130)에 상기 제1피막층(13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버스바(140)에 상기 제2피막층(14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버스바(130)와 상기 제2버스바(140)가 산화 또는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버스바(130)에 상기 제1접속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버스바(140)에 상기 제2접속부(1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부(132)와 상기 제2접속부(142)가 상호 접함으로써, 상기 제1버스바(130)와 상기 제2버스바(140)가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100)에 상기 제1피막층(131)과 제2피막층(141)을 형성할 때, 상기 마스킹시트(133)를 부착함으로써, 다수개의 상기 버스바(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제1접속부(132) 및 제2접속부(12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버스바 110: 절편부
111: 삽입홈 111a: 머리부삽입홈
111b: 나사부삽입홈 112: 연장부
113: 결합홈 114: 결합부재
120: 곡면부 121: 경사면
122: 중공부 123: 냉각핀
130: 제1버스바 131: 제1피막층
132: 제1접속부 133: 마스킹시트
140: 제2버스바 141: 제2피막층
142: 제2접속부 200: 고정부재
210: 머리부 220: 나사부
230: 너트 300: 브라켓
310: 제1브라켓 320: 제2브라켓
330: 관통공 331: 제1관통공
332: 제2관통공 333: 체결부재
400: 연결판재

Claims (15)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결합시키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긴 평판 막대 형상의 절편부; 및
    일단은 상기 절편부의 일면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절편부의 일면 타단에 결합되며, 일단과 타단의 사이는 상기 절편부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어 이격된 형상을 갖는 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편부와 곡면부 사이에는 상기 절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향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편부의 두께는 상기 곡면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고,
    상기 절편부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면부는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절편부 타면이 각각 서로 밀착된 상태의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브라켓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갖게 되고,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돌출된 나사부;로 이루어진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편부의 타면에는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은,
    상기 머리부가 삽입되는 머리부삽입홈; 및
    상기 나사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으며 상기 나사부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삽입홈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머리부삽입홈과 연통되는 나사부삽입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머리부는 일단의 폭이 타단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된 역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삽입홈은 상기 머리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스바의 일부분에 마스킹시트를 부착하여 피막층을 형성한 후, 상기 마스킹시트를 제거하여, 상기 피막층이 형성되지 않은 곳의 상기 버스바에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의 길이방향 양쪽 끝단부에는 상기 절편부 끝단부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곡면부의 길이보다 상기 절편부의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절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은 외부로 개방되고, 타단은 외부와 차단되며, 상기 삽입홈의 길이는 상기 절편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절편부 또는 상기 곡면부에서 돌출형성된 냉각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버스바가 삽입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버스바가 1개 이상일 때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일단이 상기 버스바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브라켓;
    타단이 상기 버스바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1브라켓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가 삽입배치되는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브라켓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가 삽입배치되고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되는 제2관통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1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결합시키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외면에 제1피막층이 형성된 제1버스바; 및
    외면에 제2피막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1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버스바;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버스바에는 상기 제1피막층이 형성되지 않은 제1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버스바에는 상기 제2피막층이 형성되지 않는 제2접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는 상기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는 상기 제1버스바의 일단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접속부는 상기 제2버스바의 타단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버스바의 일단과 상기 제2버스바의 타단 연결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는 상호 면접촉하여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의 접속면적(S1)은, 상기 제1버스바의 일단과 상기 제2버스바의 타단의 접속면적(S2)과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긴 평판 막대 형상의 절편부; 및
    일단은 상기 절편부의 일면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절편부의 일면 타단에 결합되며, 일단과 타단의 사이는 상기 절편부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어 이격된 형상을 갖는 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편부와 곡면부 사이에는 상기 절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향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편부의 두께는 상기 곡면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15. 버스바를 성형하는 버스바성형단계;
    상기 버스바의 일부분에 마스킹시트를 부착하는 마스킹시트부착단계;
    상기 마스킹시트가 부착된 상기 버스바의 외면에 피막층을 형성하는 피막층형성단계;
    상기 마스킹시트를 제거하여 상기 피막층이 형성되지 않은 접속부를 형성하는 접속부형성단계;로 이루어지되,
    다수개의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에 장착되는 버스바의 제조방법.
KR1020140036817A 2014-03-28 2014-03-28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및 버스바의 제조방법 KR101632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817A KR101632050B1 (ko) 2014-03-28 2014-03-28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및 버스바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817A KR101632050B1 (ko) 2014-03-28 2014-03-28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및 버스바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500A KR20150112500A (ko) 2015-10-07
KR101632050B1 true KR101632050B1 (ko) 2016-06-17

Family

ID=5434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817A KR101632050B1 (ko) 2014-03-28 2014-03-28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및 버스바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0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814A (ko) * 2016-10-13 2018-04-23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배전반용 고방열 터널형 버스바 및 이것이 장착된 배전반
KR20200127612A (ko) 2019-05-03 2020-11-11 오석환 배전반, 무정전 전원장치(ups), 버스덕트의 셀프 냉각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820Y1 (ko) * 2003-04-16 2003-07-22 제일중전기산업 주식회사 폐쇄배전반의 부스바 조립체
KR101256158B1 (ko) * 2012-09-26 2013-04-19 박기주 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2827A (ja) * 1992-11-24 1994-06-10 Fujitsu Ltd バスバー構造
KR100906774B1 (ko) * 2007-07-27 2009-07-09 대진전기 (주) 수배전반의 전력선용 부스바
KR100915402B1 (ko) 2009-07-10 2009-09-03 (주)시그너스시스템 원통형 부스바 및 클램프를 이용하는 배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820Y1 (ko) * 2003-04-16 2003-07-22 제일중전기산업 주식회사 폐쇄배전반의 부스바 조립체
KR101256158B1 (ko) * 2012-09-26 2013-04-19 박기주 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814A (ko) * 2016-10-13 2018-04-23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배전반용 고방열 터널형 버스바 및 이것이 장착된 배전반
KR20200127612A (ko) 2019-05-03 2020-11-11 오석환 배전반, 무정전 전원장치(ups), 버스덕트의 셀프 냉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500A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33779A (en) Neutral wire connector
KR100543965B1 (ko)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 고정장치
CN106463293B (zh) 电气开关装置及用于其的跳线和相关方法
KR102427792B1 (ko) 전력 전자 부품과 dc 전압 버스바를 구비하는 장치
US2905923A (en) Electric terminal board connector assembly
US9396888B1 (en) Copper-aluminum electrical joint
US8366492B2 (en) Terminal reversing block
KR101632050B1 (ko)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및 버스바의 제조방법
KR20110125229A (ko) 고전압 전기기기의 도체
EP2645487B1 (en) A pole connector for in-series circuit breakers
US3125398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neutral bars
US8801475B2 (en) Manifold
KR200331163Y1 (ko) 배전반
CN111989834B (zh) 用于将断路器连接到叠层式汇流条的传导层的组件和包括这样的组件的开关设备
EP1130683A1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RU2013104886A (ru) Элемент соединител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узел и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ие такой элемент соединителя
US20090273425A1 (en) Power supply center
US7520786B2 (en) Transformer stud connector
KR101387411B1 (ko) 변형 형태의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JP4730950B2 (ja) 回路遮断器の端子構造
JP2018076013A5 (ko)
JP7314478B2 (ja) 電気配線板を備えた装置
KR20060117647A (ko) 분,배전반용 모선버스 바와 자선버스 바의 접속방법 및 장치
KR20060098498A (ko) 고,저압폐쇄 배전반의 모선과 분기모선 연결용 클램프의 구조
JP4667970B2 (ja) ノーヒューズ遮断器の取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