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517B1 -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517B1
KR101631517B1 KR1020140169550A KR20140169550A KR101631517B1 KR 101631517 B1 KR101631517 B1 KR 101631517B1 KR 1020140169550 A KR1020140169550 A KR 1020140169550A KR 20140169550 A KR20140169550 A KR 20140169550A KR 101631517 B1 KR101631517 B1 KR 101631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umption
unit
user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090A (ko
Inventor
추승연
류정림
전재홍
이권형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51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각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생성되는 업체전화번호정보, 결제금액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관련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등록한 소비정보제공 가맹업체로부터 소비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소비정보 수집부와, 상기 소비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정보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인덱싱하는 카테고리 분류부와,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에서 분류된 소비정보가 저장되는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소비정보를 분석하여 가계부 정보 테이블을 생성시키는 정보 처리부와,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비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카테고리 집단의 평균화된 소비패턴 정보를 산출하는 공공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정보 처리부에서 생성된 가계부 정보 테이블과 상기 공공데이터 분석부에서 산출된 소비패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가능한 형태로 가공생성, 수정, 배포 또는 업데이트하는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포함하는 가계부 관리서버와, 소비관련 이벤트 발생시 상기 소비관련 정보를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에서 생성된 가계부 정보 및 소비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사용자 정보에 의한 소비정보를 공공데이터로 구축하여 사용자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집단의 소비패턴 정보를 제공받아 본인의 소비패턴과 비교하여 합리적인 소비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금결제가 이루어지더라도 기저장되는 소비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소비정보를 유추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매번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소비관련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도록 하여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SMART HOUSEKEEPING BOOK SERVICE AND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사용자 정보에 따른 소비정보를 공공데이터로 구축하고,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특성에 대응되는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피드백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소비패턴과 비교하여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계부는 수기로 사용자가 수입/지출 사항을 손으로 직접 기입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수기 가계부는 지출과 잔액을 손으로 계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월말에 통계를 내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 투자가 필요하며, 계산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수기 가계부는 현금의 경우에는 기입이 용이하나, 신용카드, 직불카드, 백화점카드, 교통카드 등과 같은 다양한 결제수단의 지출은 기입과 현황 파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대중적으로 보급되어 스마트폰에 가계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지출합계와 잔액산출, 월별통계와 같은 계산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나, 사용자가 매번 소비내역을 스마트폰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이에, 카드사나 은행사를 통해 결제시 스마트폰으로 제공되는 SMS문자내용에 포함되는 소비내역을 추출하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자동적으로 등록되도록 하는 기술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카드결제가 아닌 현금결제로 이루어지는 소비활동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소비관련 정보를 등록할 수 없어 사용자가 별도로 스마트폰에 소비정보를 등록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가계부들은 사용자가 제한된 금액으로 최대 만족을 이끌어 내며 과소비를 막고 계획적인 소비를 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지만, 실제로는 사용자 본인의 월간/연간 내역만이 비교가능하므로 선택적 지각(Selective perception)에 의해 본인의 소비를 합리화 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비교대상이 없음으로 인해 특정 카테고리에 대한 개인 지출의 과부족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가계부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현금결제로 소비활동이 이루어지더라도 기저장된 소비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소비정보를 유추하여 사용자가 매번 소비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덜도록 하며, 다양한 사용자 정보에 따른 소비정보를 공공데이터로 구축하여 사용자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집단의 소비패턴 정보를 제공받아 본인의 소비패턴과 비교하여 합리적인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7-363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사용자 정보에 따른 소비정보를 공공데이터로 구축하여 사용자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집단의 소비패턴 정보를 단말기로 제공받아 본인의 소비패턴과 비교하여 합리적인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드결제 이외 현금결제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로 소비관련 정보가 제공되지 않더라도, 기저장되어 있는 소비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소비정보를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각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생성되는 업체전화번호정보, 결제금액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관련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등록한 소비정보제공 가맹업체로부터 소비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소비정보 수집부와, 상기 소비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정보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인덱싱하는 카테고리 분류부와,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에서 분류된 소비정보가 저장되는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소비정보를 분석하여 가계부 정보 테이블을 생성시키는 정보 처리부와,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비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카테고리 집단의 평균화된 소비패턴 정보를 산출하는 공공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정보 처리부에서 생성된 가계부 정보 테이블과 상기 공공데이터 분석부에서 산출된 소비패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가능한 형태로 가공생성, 수정, 배포 또는 업데이트하는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포함하는 가계부 관리서버와, 소비관련 이벤트 발생시 상기 소비관련 정보를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에서 생성된 가계부 정보 및 소비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 또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영상 또는 오디오 신호 데이터가 저장되는 멀티미디어 정보 저장부와, GPS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수신되는 GPS수신부와, 카드사 서버 또는 은행사 서버로부터 카드사용 내역 또는 통장사용 내역정보가 수신되는 SMS문자수신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저장부, GPS수신부 및 SMS문자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어 따라 소비정보 관련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소비정보 수집부는 상기 SMS문자수신부에서 전송되는 문자내용에서 업체전화번호, 결제시간, 결제업체명, 결제금액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정보를 추출하는 문자 추출모듈과,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저장부에서 전송되는 영상 또는 오디오 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의 소비정보를 추출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추출모듈과, 상기 문자추출모듈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추출모듈에서 추출된 소비정보 데이터와,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저장부에 위치정보 데이터가 포함되거나, 상기 SMS문자수신부에 문자가 수신되는 시간대의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소비정보를 코드화하여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소비정보 데이터생성모듈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또한, 상기 SMS문자수신부로 수신되는 카드사용 내역 정보는 전화번호, 결제시간, 결제업체명, 결제금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SMS문자수신부로 수신되는 정보와, 상기 GPS수신부에서 상기 SMS문자가 수신되는 시간대의 사용자 단말기 위치정보가 포함된 소비정보가 상기 소비정보 수집부로 전송되어,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생성모듈에서 상기 GPS수신부에서 수신된 위치정보와 상기 SMS문자수신부에서 수신된 결제업체명 정보를 매칭시켜, 매칭된 소비정보가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결제예정금액, 결제예정장소, 결제예정시간, 카테고리 분류정보를 포함하는 소비관련 예정 스케줄을 설정하는 스케줄 설정부와, 상기 스케줄 설정부에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른 예정 소비내역 정보를 상기 결제예정시간에 기초한 일정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는 알람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되는 예정 스케줄 정보가 실제 소비내역 정보와 일치될 경우, 상기 스케줄 설정부에 저장되는 소비내역 정보가 상기 가계부관리서버로 전송된다.
더욱이,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는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소득, 성별, 거주지, 연령, 학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와, 상기 소비정보 수집부에 기초하여 지출 종류 카테고리, 사용처, 지출비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특성추출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특성추출모듈에서 분류된 카테고리는 상기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로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가계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카테고리 이외에 사용자 임의의 특정 카테고리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임의 특정 카테고리 정보가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에 추가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소비패턴 정보는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소비정보를 조합하여 평균화된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에서는 상기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카테고리의 지출금액값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 분석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보에 따른 지출금액값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카테고리의 지출금액값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경고알람이 출력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소비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소비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받아 단말기 내부에 관련 소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저장부와,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수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메모리저장부에 저장되는 누적 소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가계부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소비관련 이벤트 발생시 결제금액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관련 데이터가 포함된 소비관련 정보를 가계부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소비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소비정보의 특성을 추출하여 유형별로 상기 소비정보를 일정한 특성 카테고리로 인덱싱하는 단계, 상기 특성 카테고리로 분류된 소비정보를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단계,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비정보를 정보 처리부를 통해 분석하여 가계부 정보 테이블을 생성시키고,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비정보를 공공데이터 분석부를 통해 일정 카테고리별로 평균화된 소비패턴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정보 처리부에서 생성된 가계부 정보 테이블과 상기 공공데이터 분석부에서 카테고리별로 평균화된 소비패턴 정보를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가능한 형태로 가공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소비패턴 정보는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이다.
또한, 상기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 상기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가계부 정보 테이블에 따른 특정 카테고리의 지출금액값 정보와 상기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에 따른 특정 카테고리의 지출금액값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지출금액값을 비교하여 가계부 정보 테이블에 따른 일정 카테고리의 지출금액값이 일정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경고알람이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소비관련 이벤트 정보가 발생될 경우, 상기 이벤트 정보가 발생된 시간대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된 소비정보가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위치정보가 포함된 소비정보가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로 전송될 경우,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에서는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위치정보에 따른 소비정보와 매칭시켜 가계부 정보 테이블이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또한,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소비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SMS문자정보 또는 영상 음성신호정보에서 업체전화번호, 결제시간, 결제업체명, 결제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정보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소비정보 데이터와 상기 소비관련 정보가 수집되는 시간대의 사용자 단말기 위치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가 포함된 소비정보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가계부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결제예정금액, 결제예정장소, 결제예정시간, 카테고리 분류정보를 포함하는 소비관련 예정 스케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결제예정시간에 기초한 일정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스케줄 정보를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되는 예정 스케줄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수신되는 소비관련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예정 스케줄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수신되는 소비관련 이벤트 정보가 일치할 경우, 상기 예정 스케줄 정보를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단계,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비정보를 정보 처리부를 통해 분석하여 가계부 정보 테이블을 생성시키고,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비정보를 공공데이터 분석부를 통해 일정 카테고리별로 평균화된 소비패턴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정보 처리부에서 생성된 가계부 정보 테이블과 상기 공공데이터 분석부에서 카테고리별로 평균화된 소비패턴 정보를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가능한 형태로 가공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사용자 정보에 의한 소비정보를 공공데이터로 구축하여 사용자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집단의 소비패턴 정보를 제공받아 본인의 소비패턴과 비교하여 합리적인 소비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금결제가 이루어지더라도 기저장되는 소비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소비정보를 유추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매번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소비관련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도록 하여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계부 관리서버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정보 수집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개인의 소비활동 점검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사용자가 소비관련 예정 스케줄에 따른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계부 관리서버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정보 수집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은 스마트폰이나 PC 등의 사용자 단말기(100)와 사용자가 등록한 신용 카드사, 은행, 보험사, 증권회사, 백화점, 대형 할인점 등의 소비정보제공 가맹업체(300)로부터 제공되는 소비관련 데이터를 가계부 관리서버(200)에 전송하여, 가계부 관리서버(200)에서 소비관련 데이터를 가공하고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80)를 통해 가계부 정보 테이블과 소비패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출력가능한 형태로 제공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카메라 또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영상 또는 오디오 신호 데이터가 저장되는 멀티미디어 정보 저장부(110)와, GPS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가 수신되는 GPS수신부(120)와, 카드사 서버 또는 은행사 서버로부터 카드사용 내역 또는 통장사용 내역정보가 수신되는 SMS문자수신부(130)와, 멀티미디어 정보 저장부(110), GPS수신부(120) 및 SMS문자수신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와, 제어부(140)의 제어어 따라 소비정보 관련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가계부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통신부(150)와, 가계부 관리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가계부 관리서버(200)는 인터페이스부(210),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220), 소비정보 수집부(230), 카테고리 분류부(240),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250), 정보 처리부(260), 공공데이터 분석부(270),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80)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위터페이스를 처리하도록 한다.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소득, 성별, 거주지, 연령, 학력 등의 각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다.
소비정보 수집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생성되는 업체전화번호정보, 결제금액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 등의 소비관련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등록한 소비정보제공 가맹업체(300)로부터 제공되는 소비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소비정보에 따라 문자 추출모듈(231)과 멀티미디어 정보 추출모듈(232) 및 이러한 문자 추출모듈(231) 또는 멀티미디어 정보 추출모듈(232)에서 추출된 소비정보 데이터를 위치정보와 매칭시키는 소비정보 데이터생성모듈(2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문자 추출모듈(231)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SMS문자수신부(130)에서 전송되는 문자내용에서 업체전화번호, 결제시간, 결제업체명, 결제금액의 소비정보 등을 추출한다. 이러한 문자 추출모듈(231)은 주로 카드사나 은행에서 제공되는 카드 또는 통장사용 내역 문자알림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문자내용을 추출하도록 한다.
멀티미디어 정보 추출모듈(232)은 멀티미디어 정보 저장부(110)에서 전송되는 영상 또는 오디오 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비정보를 추출하는데, 예를 들면 대금결제영수증을 사용자 단말기(100)의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소비정보 수집부(230)로 전송하면, 멀티미디어 정보 추출모듈(232)에서 전송된 이미지 파일에서 소비관련 텍스트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더욱이 이미지 파일 자체에서 GPS위치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아울러 영상 정보 이외에 사용자가 육성으로 녹음한 음성 녹음파일의 음성 내용을 추출하여 소비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음성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결제업체명, 결제금액 등의 소비정보를 직접 입력할 필요없이 소비관련 정보를 육성으로 녹음하여 가계부 관리서버(200)에서 음성내용 중에 포함된 소비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소비정보 데이터생성모듈(233)은 문자 추출모듈(231) 또는 멀티미디어 정보 추출모듈(232)에서 추출된 소비정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정보 저장부(110)에 위치정보 데이터가 포함되거나, 상기 SMS문자수신부(130)에 문자가 수신되는 시간대의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소비정보를 코드화하고, 코드화된 소비정보는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다.
예를 들자면, GPS수신부(120)에서 수신된 위치정보와 SMS문자수신부(130)에서 수신된 결제업체명 정보를 매칭시켜, 매칭된 소비정보가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러한 매칭은 추후, 카드결제가 아닌 현금결제로 소비활동이 이루어 진 경우, SMS문자수신부(130)를 통한 소비정보가 가계부 관리서버(200)로 제공될 수 없는데, 이런 경우에는 결제가 이루어지는 장소의 위치정보와 결제금액 정보만 제공되더라도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서 기존에 구축된 위치정보와 매칭시켜 결제업체명과 소비특성 카테고리를 자동적으로 설정하여 가계부 어플리케이션에 바로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카테고리 분류부(240)는 소비정보 수집부(230)에서 수집한 정보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인덱싱하는 것으로,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소득, 성별, 거주지, 연령, 학력 등의 카테고리와, 상기 소비정보 수집부(23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출 종류 카테고리, 사용처, 지출비용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특성추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지출 종류 카테고리는 식비, 주거/통신, 생활용품, 의복/미용, 건강/문화, 교육/육아, 교통/차량, 경조사/회비, 세금/이자, 용돈/기타, 카드대금, 저축/보험, 이체/대체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에 따라서도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추출모듈에서 분류된 카테고리는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80)로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는 가계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카테고리 이외에 사용자가 가계부 어플리케이션에 임의의 특정 카테고리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임의 특정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카테고리 분류부(240)에 추가되도록 할 수 있다.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상기와 같이 소비정보 수집부(230)와 카테고리 분류부(240)에서 추출되어 가공된 소비정보가 카테고리별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정보 처리부(260)는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는 소비정보를 분석하여 가계부 정보 테이블을 생성시킨다.
공공데이터 분석부(270)는 단일의 사용자 정보가 아닌 가계부 관리서버(200)로 제공되어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는 다양한 사용자의 소비정보를 특정 카테고리 집단의 평균화된 소비패턴 정보로 산출하는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카테고리 분류부(240)에서 분류된 각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다수의 소비정보를 평균화한 소비패턴 정보로 산출하여 산출된 소비패턴 정보를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80)로 제공한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소비정보를 조합하여 평균화된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를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80)에서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기(100)에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특성과 유사한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예를 들자면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220)로 제공된 사용자 정보가 연령 35세, 성별 남자, 월소득액 300만원이라고 가정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는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상기의 사용자 정보와 대응되는 소비정보만을 추출하여 평균화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와 가장 유사한 특성을 갖는 집단의 소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출력되는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를 보고 사용자와 유사한 집단의 소비패턴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하며, 특정 카테고리에서의 과부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어부(140)에서는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8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가계부 지출금액값 정보와 공공데이터 분석부(27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에 따른 지출금액값 정보를 비교하여, 특정 카테고리의 지출금액값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경고알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지출 종류중 의복/미용 카테고리의 누적 지출금액값 정보가 현재까지 35만원이고, 동일한 사용자 집단의 카테고리 특성별 소비패턴정보에 따른 월간 지출금액값이 30만원이고, 초과 기준값이 5만원으로 설정될 경우, 의복/미용 카테고리의 누적 지출금액값과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에 따른 월간 지출금액값을 비교하면, 의복/미용 카테고리의 누적 지출금액값이 5만원 초과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14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경고알람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특정 카테고리별로 월간 지출금액값을 설정하여 기준치 이상으로 사용될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경고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소비습관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100)는 결제예정금액, 결제예정장소, 결제예정시간, 카테고리 분류정보를 포함하는 소비관련 예정 스케줄을 설정하는 스케줄 설정부(170)와, 스케줄 설정부(170)에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른 예정 스케줄 정보를 결제예정시간에 기초한 일정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60)로 출력시키는 알람 발생부(180)를 더 포함하여, 제어부(14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 출력되는 예정 스케줄 정보와 실제 소비내역 정보를 판단하여 일치될 경우, 스케줄 설정부(170)에 미리 저장되는 스케줄 정보가 바로 가계부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스케줄 정보가 소비정보 수집과정과 카테고리 분류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가계부 정보 테이블로 생성되도록 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가계부 어플리케이션에 가계부 소비정보로 등록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소득, 성별, 거주지, 연령, 학력 등의 사용자 개인정보를 가계부 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시킨다(S510).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소비관련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결제금액정보, 결제위치정보, 결제시간정보 등의 소비관련 데이터가 포함된 소비관련 정보를 가계부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S520).
이렇게 전송된 소비관련 정보는 소비정보 수집부(230)에서 수집되고, 카테고리 분류부(240)에서 수집된 정보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인덱싱한다(S530).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가계부 관리서버(200)로 전송되는 소비관련 정보는 카드사 또는 은행사에서 제공되는 SMS문자정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카메라를 통해 대금결제 영수증을 촬영한 영상신호나 사용자 단말기(100)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육성으로 입력되는 소비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단말기(100)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소비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소비관련 정보는 소비자정보 수집부에서 문자 추출모듈(231), 멀티미디어 정보 추출모듈(232)을 이용하여 SMS문자정보 또는 영상 음성신호정보에서 업체전화번호, 결제시간, 결제업체명, 결제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정보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소비정보 데이터는 소비관련 정보가 수집되는 시간대의 사용자 단말기(100) 위치정보를 매칭시키고, 위치정보가 포함된 소비정보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한다.
이와 함께, 카테고리 분류부(240)에서는 수집된 소비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소비정보의 특성을 추출하여 유형별로 소비정보를 일정한 특성 카테고리로 인덱싱한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 카테고리로 분류된 소비정보를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한다(S540).
이렇게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소비정보는 정보 처리부(260)에서 가계부 정보 테이블로 생성되며, 공공데이터 분석부(270)에서는 일정 카테고리별로 평균화된 소비패턴 정보가 산출된다(S550).
그리고 정보 처리부(260)에서 생성된 가계부 정보 테이블과 공공데이터 분석부(270)에서 산출된 소비패턴 정보를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8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출력가능한 형태로 가공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되며(S560), 사용자 단말기(100)는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80)를 통해 제공되는 가계부 정보를 출력시킨다(S570).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소비패턴 정보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특성 카테고리의 소비정보를 조합하여 평균화된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의 소비패턴과 비교하여 사용자 본인의 합리적인 소비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이러한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의 소비패턴을 점검하여 합리적인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소비활동 점검순서를 나타낸 순서도로, 도면을 참조하면 공공데이터 분석부(270)에서 산출된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를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8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610).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80)를 통해 제공되는 가계부 정보 테이블에 의한 특정 카테고리의 지출금액값과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에 따른 특정 카테고리의 지출금액값 정보를 비교한다(S620).
이와 같이 지출금액값을 비교하여 가계부 정보 테이블에 의한 특정 카테고리의 지출금액값이 일정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에는(S630) 사용자 단말기(100)로 경고알람이 출력되도록 한다(S640).
이와 같이 특정 카테고리별로 사용자의 지출금액값과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에 따른 지출금액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의 소비패턴 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의 소비패턴을 점검할 수 있으며, 유형별로 다른 사용자에 비해 과소비가 이루어지는 카테고리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공공데이터 분석부(270)에 의해 산출된 소비패턴 정보는 공공기관에서 개인의 소득 및 지출형태의 기본 이력 사항을 바탕으로 하여 연령, 성별, 거주지 등 여러가지 카테고리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국가별 소비형태 분석이 가능하며, 추후 이러한 공공 데이터를 이용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가 소비관련 예정 스케줄에 따른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먼저 단말기 사용자 정보를 가계부 관리서버(200)에 등록시키고(S710), 사용자 단말기(100)에 결제예정금액, 결제예정장소, 결제예정시간, 카테고리 분류정보를 포함하는 소비관련 예정 스케줄 정보를 설정한다(S720).
그리고 결제예정시간에 기초한 일정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60)로 상기 스케줄 정보를 출력시키고(S730), 사용자 단말기(100)로 출력된 예정 스케줄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0)로 수신되는 소비관련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여(S740), 예정 스케줄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0)로 수신되는 소비관련 이벤트 정보가 일치할 경우(S750), 예정 스케줄 정보를 가계부 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스케줄 정보를 저장한다(S760).
그리고 제일실시예와 같이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소비정보를 바탕으로 가계부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소비패턴정보를 산출하고(S770),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8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관련 정보를 전송시킨다(S780).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관련 정보를 출력시킨다(S790).
상기에서 소비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소비관련 정보를 다시 가계부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카테고리를 분류한 다음(S800~S810),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소비관련 예정 스케줄을 미리 설정하여 소비정보 수집과정과 카테고리 분류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가계부 정보 테이블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정 스케줄 정보의 예를 들자면, 경조사 비용과 같이 카테고리 분류정보와 날짜 및 장소가 지정되어 있으며, 지출금액 또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어, 행사날짜에 사용자 단말기(100)에 팝업창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제 소비내역과 비교하여 일치될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 예정 스케줄 정보가 바로 가계부 정보 테이블로 생성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소비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소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비콘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며, 사용자 단말기(100)는 가계부 관리서버(200)의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는 소비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전송받아 단말기 내부에 관련 소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저장부(190)와, 블루트스 기반의 비콘수신모듈(151)을 더 포함하여, 소비정보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는 소비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부(150)를 통해 전송받아 메모리저장부(190)에 저장되고, 제어부(140)에서 메모리저장부(190)에 저장되는 누적 소비정보에 기초하여 비콘수신모듈(151)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상점이나 대형 할인마트 등을 방문하여 실내에 설치되는 비콘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쇼핑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받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소비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소비정보 중 대금결제된 업체명 정보의 누적 카운팅수에 따라 일정 카운팅 이상인 업체의 쇼핑정보만을 출력되도록 하거나, 소비정보의 카테고리별로 누적 소비정보가 많은 카테고리의 쇼핑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멀티미디어 정보 저장부
120 : GPS수신부 130 : SMS문자수신부
140 : 제어부 150 : 통신부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스케줄 설정부
180 : 알람 발생부
200 : 가계부 관리서버 210 : 인터페이스부
220 :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 소비정보 수집부
231 : 문자 추출모듈 232 : 멀티미디어 정보 추출모듈
233 : 소비정보 데이터생성모듈 240 : 카테고리 분류부
250 :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 260 : 정보 처리부
270 : 공공데이터 분석부 280 :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300 : 가맹업체

Claims (17)

  1.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각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생성되는 업체전화번호정보, 결제금액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관련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등록한 소비정보제공 가맹업체로부터 소비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소비정보 수집부와;
    상기 소비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정보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인덱싱하는 카테고리 분류부와;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에서 분류된 소비정보가 저장되는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소비정보를 분석하여 가계부 정보 테이블을 생성시키는 정보 처리부와;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비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카테고리 집단의 평균화된 소비패턴 정보를 산출하는 공공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정보 처리부에서 생성된 가계부 정보 테이블과 상기 공공데이터 분석부에서 산출된 소비패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가능한 형태로 가공생성, 수정, 배포 또는 업데이트하는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포함하는 가계부 관리서버와;
    소비관련 이벤트 발생시 상기 소비관련 정보를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에서 생성된 가계부 정보 및 소비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실행하며, 카메라 또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영상 또는 오디오 신호 데이터가 저장되는 멀티미디어 정보 저장부와, GPS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수신되는 GPS수신부와, 카드사 서버 또는 은행사 서버로부터 카드사용 내역 또는 통장사용 내역정보가 수신되는 SMS문자수신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저장부, GPS수신부 및 SMS문자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어 따라 소비정보 관련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와, 결제예정금액, 결제예정장소, 결제예정시간, 카테고리 분류정보를 포함하는 소비관련 예정 스케줄을 설정하는 스케줄 설정부와, 상기 스케줄 설정부에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른 예정 소비내역 정보를 상기 결제예정시간에 기초한 일정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는 알람발생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되는 예정 스케줄 정보가 실제 소비내역 정보와 일치될 경우, 상기 스케줄 설정부에 저장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는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소득, 성별, 거주지, 연령, 학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와, 상기 소비정보 수집부에 기초하여 지출 종류 카테고리, 사용처, 지출비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특성추출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특성추출모듈에서 분류된 카테고리는 상기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로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가계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카테고리 이외에 사용자 임의의 특정 카테고리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임의 특정 카테고리 정보가 상기 가계부 관리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에 추가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소비패턴 정보는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소비정보를 조합하여 평균화된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에서는 상기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카테고리의 지출금액값 정보와 상기 공공데이터 분석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맞춤 소비패턴 정보에 따른 지출금액값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카테고리의 지출금액값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경고알람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정보 수집부는
    상기 SMS문자수신부에서 전송되는 문자내용에서 업체전화번호, 결제시간, 결제업체명, 결제금액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정보를 추출하는 문자 추출모듈과,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저장부에서 전송되는 영상 또는 오디오 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의 소비정보를 추출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추출모듈과,
    상기 문자추출모듈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추출모듈에서 추출된 소비정보 데이터와,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저장부에 위치정보 데이터가 포함되거나, 상기 SMS문자수신부에 문자가 수신되는 시간대의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소비정보를 코드화하여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소비정보 데이터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SMS문자수신부로 수신되는 카드사용 내역 정보는 전화번호, 결제시간, 결제업체명, 결제금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SMS문자수신부로 수신되는 정보와, 상기 GPS수신부에서 상기 SMS문자가 수신되는 시간대의 사용자 단말기 위치정보가 포함된 소비정보가 상기 소비정보 수집부로 전송되어,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생성모듈에서 상기 GPS수신부에서 수신된 위치정보와 상기 SMS문자수신부에서 수신된 결제업체명 정보를 매칭시켜, 매칭된 소비정보가 상기 소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소비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소비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받아 단말기 내부에 관련 소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저장부와,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수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메모리저장부에 저장되는 누적 소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40169550A 2014-12-01 2014-12-01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 KR101631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550A KR101631517B1 (ko) 2014-12-01 2014-12-01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550A KR101631517B1 (ko) 2014-12-01 2014-12-01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090A KR20160066090A (ko) 2016-06-10
KR101631517B1 true KR101631517B1 (ko) 2016-06-20

Family

ID=5619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550A KR101631517B1 (ko) 2014-12-01 2014-12-01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3536A (ja) * 2016-10-12 2018-04-19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家計簿管理支援システム
CN106875024A (zh) * 2017-01-21 2017-06-20 浙江沛宏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家政预约系统及预约方法
KR101952807B1 (ko) * 2017-04-05 2019-02-27 주식회사 이팝콘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KR102145673B1 (ko) * 2018-12-21 2020-08-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을 통한 위치 기반의 가계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0287221A (zh) * 2019-05-21 2019-09-27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消费记录生成方法、设备、存储介质及装置
KR102446096B1 (ko) * 2019-12-12 2022-09-21 박의준 법률사건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516B1 (ko) 2010-09-17 2012-08-23 김성규 온라인을 통한 지출 분석 및 자산 관리 시스템
KR101232676B1 (ko) 2010-11-22 2013-02-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재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재정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스마트 카드 및 장치, 재정관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6301A (ko) 2005-09-29 2007-04-03 주식회사 케이티 웰빙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516B1 (ko) 2010-09-17 2012-08-23 김성규 온라인을 통한 지출 분석 및 자산 관리 시스템
KR101232676B1 (ko) 2010-11-22 2013-02-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재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재정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스마트 카드 및 장치, 재정관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090A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517B1 (ko)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
US10453038B2 (en) Purchase data transmission and analysis system
US10269014B2 (en) Automated contactless access device lo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70161745A1 (en) Payment account fraud detection using social media heat maps
NO20101457L (no) System og fremgangsmate for overvakning av kommersielle transaksjoner
US20180060834A1 (en) Financial transaction routing
TW201528176A (zh) 應用於行動支付之加値應用程式整合系統及其運作方法
CN109146474A (zh) 一种支付限额定制方法及装置
KR101726713B1 (ko) 개인별 맞춤형 신용 카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N104598653A (zh) 电子收据管理装置及方法
KR101176516B1 (ko) 온라인을 통한 지출 분석 및 자산 관리 시스템
US20160307224A1 (en) Card benefi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card benefits for each customer by applying card usage information
JP6723680B2 (ja) 携帯端末、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50771A (ko) 모바일 포인트 적립 시스템 및 방법
CA3165152A1 (en) Providing a buy now pay later product to a credit account holder
KR20190109320A (ko) 개인별 맞춤형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01832B1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JP6273516B2 (ja) 積立年金処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9658085B (zh) 一种刷脸识别会员的收银系统
JP2018072932A (ja) サイネージ付き給電システム
US20230056653A1 (en) Document analysis to identify document characteristics and appending the document characteristics to a record
KR101815558B1 (ko) 비콘을 이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KR101758712B1 (ko) 영수증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127137A (ko) 지출 가이드 장치 및 방법
KR2013008291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몰 운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