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600B1 -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600B1
KR101630600B1 KR1020140101067A KR20140101067A KR101630600B1 KR 101630600 B1 KR101630600 B1 KR 101630600B1 KR 1020140101067 A KR1020140101067 A KR 1020140101067A KR 20140101067 A KR20140101067 A KR 20140101067A KR 101630600 B1 KR101630600 B1 KR 101630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ansistor
current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834A (ko
Inventor
박현
Original Assignee
(주)태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진기술 filed Critical (주)태진기술
Priority to KR1020140101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6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1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05F1/569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 G05F1/573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with overcurrent detector
    • G05F1/573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with overcurrent detector with foldback current lim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한 특징은 입력 전압이 인가되고 제어 단자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크기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패스 트랜지스터,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출력 단자에서 출력되는 상기 출력 전압을 분압하여 피드백 전압을 출력하는 피드백부,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을 입력 받아,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로 출력하는 에러 앰프, 그리고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설정 크기 이상인 과전류일 때,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와 상기 출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제어 신호의 크기를 변화시켜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류를 제한하여, 상기 출력 전압이 설정 전압 이하로 감소하기 전까지 상기 출력 전류를 제한 전류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설정 전압 미만에서는 상기 출력 전류를 단락 전류로 폴드백시키는 과전류 보호 회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VOLTAGE REGULATOR HAVING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본 발명은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전압 레귤레이터(voltage regulator)는 불안정한 전압을 안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이 전압을 사용하는 블록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종래의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종래의 전압 레귤레이터는 반전 단자(-)로 기준 전압(VREF)이 인가되는 에러 앰프(error amplifier)(11), 입력 전압(VIN)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에러 앰프(11)의 출력 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드레인 단자로 출력 전압(VOUT)을 출력하는 패스트랜지스터(MP1), 그리고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드레인 단자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에러 앰프(11)의 비반전 단자(+)에 공통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1, R2)을 구비한다.
이때, 패스 트랜지스터(MP1)는 P형 MOS(metal oxide silicon) 트랜지스터(즉, PMOS)로서 전류를 출력 단자로 전달하므로 패스 트랜지스터이며, 저항(R1, R2)은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량에 따른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드레인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에러 앰프(11)로 피드백 전압(VFB)을 인가한다.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는 출력 전압(VOUT)에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외부 부하에 의해 변동한다.
출력 전압(VOUT)은 분압 저항으로 기능하는 저항(R1, R2)에 의해 분압된 후 피드백 전압(VFB)으로서 에러 앰프(11)의 비반전 단자로 인가된다. 따라서, 저항(R1, R2)은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VOUT)을 분압하여 피드백 전압(VFB)을 생성하는 피드백부로 기능한다. 이때, 출력 전압(VOUT)은 'VOUT=VFB×(1+R1/R2)'의 크기를 갖게 된다.
피드백 전압(VFB)은 에러앰프(11)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되어 출력에 부하 등의 변동이 없는 경우에 피드백 루프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준 전압(VREF)의 값에 수렴한다.
이때, 에러 앰프(11)는 반전 단자(-)로 인가되는 기준 전압(VREF)과 비반전 단자(+)로 인가되는 피드백 전압(VFB)의 차이의 전압을 증폭하여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단자로 인가되므로,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의 양은 에러 앰프(11)에서 출력되는 전압(VDRIVE)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다.
피드백 전압(VFB)의 크기가 증가하면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전압을 출력하는 에러 앰프(11)의 출력 전압(VDRIVE)이 증가하여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감소하므로 출력 전압(VOUT)은 감소하게 되고, 반대로, 피드백 전압(VFB)의 크기가 감소하면 에러 앰프(11)의 출력 전압(VDRIVE)이 감소하여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증가하므로 출력 전압(VOUT)은 증가한다.
따라서, 출력 전압(VOUT)을 출력하는 단자에 연결된 외부의 임의의 부하를 가정 시에, 이 부하의 크기의 증감에 따라 출력 전압(VOUT)의 크기는 변화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피드백 전압(VFB)의 크기도 변화한다. 부하가 증가하여, 즉, 부하 저항이 감소하여 출력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출력 전압(VOUT)이 감소하면, 저항(R1, R2)에 분압된 전압의 크기가 감소하여 에러 앰프(11)로 인가되는 피드백 전압(VFB)은 감소한다. 이로 인해, 에러 앰프(11)의 출력 전압(VDRIVE)이 감소하고,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면 출력 전압(VOUT)이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부하가 감소하여, 즉, 부하 저항이 증가하여, 출력 전류가 감소함에 따라 출력 전압(VOUT)이 증가하면, 저항(R1, R2)에 분압된 전압의 크기가 증가하므로 에러 앰프(11)로 인가되는 피드백 전압(VFB)이 증가하여,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여 출력 전압(VOUT)은 감소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류가 부하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과도하게 흐르게 되면, 이 과전류로 인해 패스 트랜지스터(MP1)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저항(R31)과 P형 트랜지스터(MP21)를 추가하여 과전류 상태인 비정상 상태일 때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즉, 부하의 증가로 인해 출력 전류(IOUT)가 증가하여 전압 레귤레이터가 과전류 상태가 되면,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흐르는 전류는 증가하게 되고, 과전류 보호 회로로 기능하는 저항(R31)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 역시 증가한다.
이때, 저항(R31)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설정 전압 이상으로서 트랜지스터(MP21)의 문턱 전압보다 커지면 트랜지스터(MP21)는 턴온(turn-on)되기 시작하여 트랜지스터(MP21)를 통해 전류가 흐른다. 이때, 설정 전압은 설정된 과전류가 흐르기 시작할 때 문턱 전압에 달하도록 저항(R31)의 값으로 미리 조정된다. 이를 통해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전압, 즉 에러 앰프(11)의 출력 전압(VDRIVE)이 더 이상 낮아지지 않도록 하여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과전류가 흐르게 될 때, 저항(R31)과 트랜지스터(MP21)에 의해 패스 트랜지스터(MP1)로 흐르는 전류는 제한되므로, 과전류로 인한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손상이 방지된다.
도 2에 도시한 전압 레귤레이터의 전류-전압 특성을 간략화하여 살펴보면 도 3과 같다.
도 3을 참고로 하면, 무 부하에서 제한 전류(I1)까지 전압 레귤레이터의 저항(R1, R2)과 에러 앰프(11)의 동작에 의해 부하의 변화에 무관하게 출력 전압(VOUT)은 일정한 크기의 전압(V1)을 유지하게 되고, 설정된 제한 전류(I1)에 도달하게 되면,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 단자[즉, 출력 전압(VOUT)을 출력하는 단자]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IOUT)의 크기는 일정한 제한값(즉, 제한 전류)(I1)으로 제한된다.
이런 상태에서, 부하가 계속 증가하면, 즉 부하저항이 작아지면, 출력 전류(IOUT)가 제한 전류(I1)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출력 전압(VOUT)은 감소하게 된다.
부하의 증가로 인해 과전류 상태일 때,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출력 전류(IOUT)는 일정한 제한 전류(I1)를 유지하지만 출력 전압(VOUT)은 최대값인 전압(V1)에서 급격히 감소하고 최종적으로 접지 레벨까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과전류 제한 현상은 전압 레귤레이터가 접지와 단락(short)되었을 경우에도 도3에서 확인 가능하듯 동일하게 발생한다.
도 2의 전압 레귤레이터에서, 소모 전력(Pd)은 Pd=(VIN-VOUT)×IOUT으로 간략하게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전류제한 동작 시에, 입력 전압(VIN)이 고정일 때, 출력 전압(VOUT)이 감소할수록 소모전력(Pd)은 증가하여 출력 전압(VOUT)이 접지 레벨까지 감소하거나 단락 시와 같은 단락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소모 전력(Pd)은 크게 증가하여 전압 레귤레이터의 발열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소모 전력 증가로 인한 발열로 인해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열화 현상이 발생하면 전압 레귤레이터의 수명이 급격하게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출력 전류를 안정적으로 제한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락시의 과도한 소모 전력으로 인한 전압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발생 및 단락 시의 과도한 소모 전력으로 인한 패스 트랜지스터의 손상을 방지하여 전압 레귤레이터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는 입력 전압이 인가되고 제어 단자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크기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패스 트랜지스터,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출력 단자에서 출력되는 상기 출력 전압을 분압하여 피드백 전압을 출력하는 피드백부,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을 입력 받아,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로 출력하는 에러 앰프, 그리고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설정 크기 이상인 과전류일 때,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와 상기 출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제어 신호의 크기를 변화시켜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류를 제한하여, 상기 출력 전압이 제2 설정 전압 이하로 감소되기 전까지 상기 출력 전류를 제한 전류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제2 설정 전압 미만에서는 상기 출력 전류를 단락 전류로 폴드백시키는 과전류 보호 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전류 보호 회로부는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에러 앰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를 흐르는 전류를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킨 후 감지하는 출력 전류 감지부,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과전류일 경우,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제한하여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는 과전류 제한 구동부, 상기 출력 전류 감지부와 상기 과전류 제한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출력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의 미러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과전류 제한 구동부가 미러 전류를 이용해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에 과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류 미러부, 그리고 상기 출력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전류 미러부와 연결되어,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전압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여 상기 전류 미러부에서 생성되는 미러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 전류를 조절하고,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2 설정 전압 이하로 감소되기 전까지는 상기 출력 전류를 상기 제한 전류로 유지시키는 단락 회로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 전류 감지부는 상기 입력 전압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에러 앰프의 출력 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류 미러부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전류 제한 구동부는 상기 입력 전압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에러 앰프의 출력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 그리고 상기 입력 전압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과전류 제한 구동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와 상기 전류 미러부에 타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 미러부는 상기 출력 전류 감지부의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드레인 단자와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어 있고 접지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지스터, 그리고 상기 과전류 제한 구동부의 상기 저항의 타측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류 미러부의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접지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락 회로 보호부는 상기 전류 미러부의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드레인 단자와 게이트 단자가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 그리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출력 전압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접지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락 회로 보호부는 상기 피드백 전압에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레벨 조정 버퍼 그리고 상기 레벨 조정 버퍼의 출력 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접지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3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단락 회로 보호부의 제2 트랜지스터가 턴오프(turn-off)된 후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2 설정 전압까지 감소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단락 회로 보호부는 상기 전류 미러부의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드레인 단자와 게이트 단자가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 상기 피드백 전압에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레벨 조정 버퍼, 그리고 상기 레벨 조정 버퍼의 출력 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접지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3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전압 레귤레이터에 과전류가 인가될 때 전류 폴드백(fold-back) 기능에 의해 제한 전류가 단락 전류까지 감소하여 소모 전력(Pd)가 감소하므로, 고정 제한 전류 보호 기능을 가진 전압 레귤레이터에 비해 발열현상이 감소한다. 이로 인해, 발열로 인한 패스 트랜지스터의 손상이 방지되어 전압 레귤레이터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전류 폴드백 기능이 수행될 때 출력 전압이 설정 전압까지 감소할 때까지 출력 전류는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는 일정 전류 제한(constant current limit) 방식이 혼합된 방식이므로, 전형적인 폴드백 방식의 동작 특성인 즉각적인 전류의 감소 및 출력 전압 단락이 발생하지 않아, 순간적인 과도(transient) 전류가 발생하여 출력 전압이 순간적으로 다소 감소하더라도 부하쪽으로의 고정 제한 전류의 출력이 가능하므로 부하의 구동이 가능해지고 출력 전압도 바로 단락되지 않게 되므로, 전압 레귤레이터를 이용하는 시스템이 보다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해 준다.
도 1은 종래의 전압 레귤레이터의 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과전류 보호 회로를 구비한 전압 레귤레이터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류-출력 전압 특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류-출력 전압 특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전압 레귤레이터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2와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는 반전 단자(-)로 기준 전압(VREF)이 인가되는 에러(error) 앰프(11); 입력 전압(VIN)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에러 앰프(11)의 출력 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드레인 단자로 출력 전압(VOUT)을 출력하는 패스 트랜지스터(MP1);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드레인 단자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에러 앰프(11)의 비반전 단자(+)에 공통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1, R2); 그리고 과전류 보호 회로부(100)를 구비한다.
패스 트랜지스터(MP1)는 PMOS 트랜지스터로서, 입력 전압(VIN)이 인가되고 에러 앰프(11)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제어되어 출력 전압(VOUT)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통해 해당 크기의 출력 전류(IOUT)을 부하(도시하지 않음)로 전달한다.
저항(R1, R2)은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출력 단자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VOUT)을 분압하여 피드백 전압(VFB)을 에러 앰프(11)의 비반전 단자(+)로 인가하는 피드백부를 구성한다.
과전류 보호 회로부(100)는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설정 크기 이상인 과전류일 때,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와 출력 전압(VOUT)의 크기에 따라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에러 앰프(11)의 출력 전압(VDRIVE) 즉,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전압의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 전류(IOUT)을 제한하여 출력 전압(VOUT)이 설정 전압(V2)(예, 제2 설정 전압) 이하로 감소되기 전까지 출력 전류(IOUT)를 제한전류(I1)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설정 전압(V2) 미만에서는 단락 전류(I2)로 폴드백한다.
이러한 과전류 보호 회로부(100)는 입력 전압(VIN), 에러 앰프(11) 및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연결되어,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설정 된 비율로 감소시킨 후 감지하는 출력 전류 감지부(MP2); 입력 전압(VIN), 에러 앰프(11) 및 출력 전류 감지부(MP2)와 연결되어 있고,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과전류일 경우 패스 트랜지스터(MP1)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제한하여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는 과전류 제한 구동부(110); 출력 전류 감지부(MP2)와 과전류 제한 구동부(110)에 연결되어 있고, 출력 전류 감지부(MP2)에서 감지된 전류의 미러 전류를 생성하여, 과전류 제한 구동부(110)가 미러 전류를 이용해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과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류를 전달하는 전류 미러(current mirror)부(120); 그리고 출력 전압(VOUT)과 피드백 전압(VFB)이 인가되고 전류 미러부(120)와 연결되어, 출력 전압(VOUT)과 피드백 전압(VFB)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여 전류 미러부(120)에서 생성되는 미러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출력 전류(IOUT)를 조절하고, 이때, 출력 전압(VOUT)이 설정 전압(V2) 이하로 감소되기 전까지는 출력 전류(IOUT)를 제한 전류(I1)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락 회로(short circuit) 보호부(130)를 구비한다.
출력 전류 감지부(MP2)는 입력 전압(VIN)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에러 앰프(11)의 출력 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전류 미러부(120)와 단락회로 보호부(130)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PMOS 트랜지스터이다.
과전류 제한 구동부(110)는 입력 전압(VIN)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전류 미러부(120)에 타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3)과 입력 전압(VIN)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전류 미러부(120)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3)의 타측 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MP3)를 구비한다.
전류 미러부(120)는 출력 전류 감지부인 트랜지스터(MP2)의 드레인 단자와 단락 회로 보호부(130)에 드레인 단자와 게이트 단자가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고 접지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예, 제1 트랜지스터)(MN1) 및 과전류 제한 구동부(110)의 저항(R3)의 타측 단자 및 트랜지스터(MP3)의 게이트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트랜지스터(MN1)의 게이트 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접지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예, 제2 트랜지스터)(MN2)를 구비한다.
단락 회로 보호부(130)는 전류 미러부(120)의 트랜지스터(MN1)의 드레인 단자에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예, 제1 트랜지스터)(MN3), 트랜지스터(MN3)의 소스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드레인 단자인 출력 전압(VOUT) 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접지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예, 제2 트랜지스터)(MN4), 트랜지스터(MN4)의 드레인 단자와 트랜지스터(MN3)의 소스 단자의 공통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소스 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예, 제3 트랜지스터)(MN5), 그리고 피드백 전압(VFB)에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트랜지스터(MN5)의 게이트 단자에 출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레벨 조정 버퍼(level conditioning buffer)(13)를 구비한다.
도 4에서, 과전류 제한 구동부(110)의 트랜지스터(MP3)는 PMOS 트랜지스터이고, 전류 미러부(120)와 단락 회로 보호부(130의 트랜지스터(MN1-MN5)는 NMOS 트랜지스터이다.
다음, 도 5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도 4의 본 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회로를 구비한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본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는 에러 앰프(11)의 출력 전압(VDRIVE)이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되어 게이트 전압이 된다. 따라서, 게이트 전압의 전위 변화에 따라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 단자로 출력되는 출력 전압(VOUT)의 크기를 조정하여, 일정한 출력 전압(VOUT)이 출력 단자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미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면 출력 전압(VOUT)이 증가하여, 피드백부(R1, R2)에 의해 분압된 전압도 증가하므로 피드백 전압(VFB)은 증가한다.
피드백 전압(VFB)의 크기가 증가하면 에러 앰프(11)의 출력 전압(VDRIVE), 즉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전압이 증가하므로,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감소하므로 출력 전압(VOUT)은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면, 출력 전압(VOUT)이 감소하고 분압된 피드백 전압(VFB)도 감소한다.
피드백 전압(VFB)의 크기가 감소하면 에러 앰프(11)의 출력 전압(VDRIVE)이 감소하여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전압이 감소하므로,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단자-소스 단자 간 전압이 증가하여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증가하므로, 출력 전압(VOUT)은 증가한다.
따라서,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외부의 임의의 부하를 가정 시에, 부하가 증가하여, 즉, 부하 저항이 감소하여 출력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출력 전압(VOUT)이 감소하면, 저항(R1, R2)에 분압된 전압의 크기가 감소하여 에러 앰프(11)로 인가되는 피드백 전압(VFB)은 감소한다. 이로 인해, 에러 앰프(11)의 출력 전압(VDRIVE)이 감소하고,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면 출력 전압(VOUT)이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부하가 감소하여, 즉, 부하저항이 증가하여, 출력 전류가 감소함에 따라 출력 전압(VOUT)이 증가하면, 저항(R1, R2)에 분압된 전압의 크기가 증가하므로 에러 앰프(11)로 인가되는 피드백 전압(VFB)이 증가하여,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여 출력 전압(VOUT)은 감소하게 된다.
이처럼, 본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는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에러 앰프(11)의 출력 전압(VDRIVE)을 변화시켜,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VOUT)을 안정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패스 트랜지스터(MP1), 피드백부(R1, R2) 및 에러 앰프(11)가 동작될 때, 출력 전류 감지부인 PMOS 트랜지스터(MP2)의 게이트 단자와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단자는 모두 동일하게 에러 앰프(11)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패스 트랜지스터(MP1)와 출력 전류 감지부인 트랜지스터(MP2)의 게이트 단자로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은 서로 동일하다.
트랜지스터(MP2)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고, 본 예에서,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채널 크기(size)[폭(W)/길이(L)]에 비해 트랜지스터(MP2)의 채널 크기가 N배 작다. 즉, 트랜지스터(MP2)는 트랜지스터(MP1)에 비해 1/N 배의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트랜지스터(MP2)에 흐르는 전류는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의 1/N배이다.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MP2)는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1/N배의 비율로 감소시켜 과전류 제한 구동부(110)에 의해 감지되도록 하는 센싱 트랜지스터(sensing transistor)로서, 출력 전류 감지부를 구성한다.
도 4에서, 트랜지스터(MN1)의 드레인 단자의 노드를 122라 할 때, 노드(122)에 단락회로 보호부(130)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해 보면, 전류 미러부(120)의 트랜지스터(MN1, MN2)에서, 트랜지스터(MN1)와 트랜지스터(MN2)를 각각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두 트랜지스터(MN1, MN2)의 채널 크기의 비에 따라 정해진다.
즉, 트랜지스터(MN1)와 트랜지스터(MN2)의 크기 비가 1:1일 때, 트랜지스터(MN1)와 트랜지스터(MN2)에 각각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고, 트랜지스터(MN1)와 트랜지스터(MN2)의 크기 비가 MA:1일 때, 트랜지스터(MN2)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출력 전류 감지부인 센싱 트랜지스터(MP2)의 1/MA배가 된다.
트랜지스터(MN2)의 드레인 단자에는 저항(R3)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MN2)에 흐르는 전류는 전류제한 값을 설정하기 위해 값이 설정된 저항(R3)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된 후 트랜지스터(MP3)의 게이트-소스 전압을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해당 전압이 트랜지스터(MP3)의 문턱 전압(VthMP3)을 초과할 경우, 트랜지스터(MP3)는 턴온되어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전압을 조절하여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게 된다.
이제 정상적으로 단락회로 보호부(130)가 노드(122)에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을 때의 동작을 살펴본다.
단락 회로 보호부(130)의 트랜지스터(MN3)는 트랜지스터(MP2)의 드레인 단자인 노드(122)로부터 전류 미러부(120)의 트랜지스터(MN1)와 동일한 게이트-드레인 연결 구조를 가지고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MN4, MN5) 중 적어도 하나가 턴온되어 트랜지스터(MN3)의 소스 단자가 접지될 때, 단락 회로 보호부(130)는 전류 미러부(120)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트랜지스터(MN4)와 트랜지스터(MN5) 중 적어도 하나가 턴온 상태가 되어 두 개의 트랜지스터(MN1, NM3)를 통해 트랜지스터(MN2)에 전류가 흐를 때, 출력 전류(IOUT)는 제한 전류(I1)로 제한되고, 트랜지스터(MN4)와 트랜지스터(MN5)가 모두 턴오프되어, 전류 미러부(120)의 두 트랜지스터(NM1, NM2)만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면, 트랜지스터(MN2)로 미러링되는 전류의 비는 높아지고, 출력 전류(IOUT)는 단락 전류(I2)로 감소된다.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전압 레귤레이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을 경우, 즉, 트랜지스터(MN4)와 트랜지스터(MN5)가 동시에 혹은 하나 이상이 턴온 상태일 때, 트랜지스터(MN3)는 턴온 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MN1)와 함께 트랜지스터 (MP2)의 전류를 트랜지스터(MN2)로 미러링하게 되는 전류 미러 회로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MN2)에 흐르는 전류는 트랜지스터(MN1) 및 트랜지스터(MN3)의 크기와 트랜지스터(MN2)의 크기의 비에 따라 정해진다. 즉, 트랜지스터(MN1)와 트랜지스터(MN2)의 크기 비가 MA:1이고, 트랜지스터(MN3)와 트랜지스터(MN1)의 크기 비가 MB:1일 때, 트랜지스터(MN2)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센싱 트랜지스터인 트랜지스터(MP2)의 1/(MA+MB)배가 된다.
트랜지스터(MN2)의 드레인 단자에는 저항(R3)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MN2)에 흐르는 전류는 전류 제한값을 설정하기 위해 값이 설정된 저항(R3)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된 후 트랜지스터(MP3)의 게이트-소스 전압을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해당 전압이 트랜지스터(MP3)의 문턱 전압(VthMP3)을 초과할 경우, 트랜지스터(MP3)는 턴온되어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전압을 조절하여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제한하게 되는데, 이는 곧 제한 전류(I1)이다.
소자의 미스매치 등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제한 전류(I1)은 아래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6]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4074433651-pat00001
Figure 112014074433651-pat00002
Figure 112014074433651-pat00003
Figure 112014074433651-pat00004
Figure 112014074433651-pat00005
Figure 112014074433651-pat00006
여기서, IMP1은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흐르는 전류이고, IMP2는 트랜지스터(MP2)를 흐르는 전류이며, IMN1은 트랜지스터(MN1)를 흐르는 전류이고, IMN2는 트랜지스터(MN2)를 흐르는 전류이며, IMN3은 트랜지스터(MN3)를 흐르는 전류이고, VthMP3는 트랜지스터(MP3)의 문턱 전압이다.
하지만, 트랜지스터(MN4, MN5) 모두가 턴오프 상태일 때는 트랜지스터(MN3)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데, 이는 곧, 단락 회로 보호부(130)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어, 단락 회로 보호 기능이 가동됨을 의미한다. 이때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트랜지스터(MN2)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트랜지스터(MN1)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트랜지스터(MN2)에 흐르는 전류는 트랜지스터(MN1)와 트랜지스터(MN2)의 크기의 비에 따라 정해진다. 즉, 트랜지스터(MN1)와 트랜지스터(MN2)의 크기 비가 MA:1일 때, 트랜지스터(MN2)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센싱 트랜지스터(MP2)의 1/MA 배가 된다.
트랜지스터(MN2)의 드레인 단자에는 저항(R3)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MN2)에 흐르는 전류는 전류 제한값을 설정하기 위해 값이 설정된 저항(R3)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된 후 트랜지스터(MP3)의 게이트-소스 전압을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해당 전압이 트랜지스터(MP3)의 문턱 전압(VthMP3)을 초과할 경우, 트랜지스터(MP3)는 턴온되어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전압을 조절하여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제한하게 되는데, 트랜지스터(MN3)가 동작할 때와 비교하여 트랜지스터(MN2)에 상승된 비율의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낮은 출력 전류(IOUT)에서 트랜지스터(MP3)가 턴온되어, 결과적으로 낮은 출력 전류(IOUT)에서 전류 제한을 하게 되며, 이는 곧 단락 전류(I2)이다.
소자의 미스매치 등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단락 전류(I2)는 아래의 [수학식 7] 내지 [수학식 12]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4074433651-pat00007
Figure 112014074433651-pat00008
Figure 112014074433651-pat00009
Figure 112014074433651-pat00010
Figure 112014074433651-pat00011
Figure 112014074433651-pat00012
도 4의 단락 회로 보호부(130)의 트랜지스터(MN4), 트랜지스터MN5), 레벨조정 버퍼(13)의 기능에 대해 도 5를 이용하여 살펴보면, 트랜지스터(MN5)와 레벨조정버퍼(13)는 전압(V2) 레벨을 전압(V1)(예, 제1 설정 전압) 레벨에 대해 일정 비율로 유지할 수 있게 해주고, 트랜지스터(MN4)와 출력 전압(VOUT)은 전압(V2) 레벨을 전압(V1)과는 거의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레벨로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레벨 조정 버퍼(13)는 저항(R1, R2)의 분압 동작을 통해 얻어진 피드백 전압(VFB)을 1:1로 동일하게 버퍼링하거나, 혹은 미리 설정된 레벨로 상향 조정하여, 트랜지스터(MN5)의 턴온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레벨 조정 버퍼(13)의 전압 레벨은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류(IOUT)가 제한 전류(I1)로 제한되는 상태에서 추가적인 과전류로 인해 출력 전압(VOUT)이 감소하더라도 제한 전류(I1)가 단락 전류(I2)로 바로 폴드백(fold-back)되지 않고 출력 전압(VOUT)이 설정 전압(예, V2)으로 감소할 때까지 일정한 제한 전류(I1)를 유지할 수 있도록 트랜지스터(MN5)의 턴온을 유지하는 전압 레벨이다.
이러한 레벨 조정 버퍼(13)의 전압 조정 비율은 입력 전압(VIN), 제한 전류(I1)의 크기, 트랜지스터(MP1, MP2, MN1-MN5)의 특성, 출력 전류(IOUT)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정하고자 하는 전압 레벨(V2)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MN4)는 출력 전압(VOUT)에 따라 턴온 상태가 제어되며, 전압 레귤레이터에 단락 현상이 발생할 때 트랜지스터(MN5)와 동일하게 출력 전류(IOUT)를 제한 전류(I1)에서 단락 전류(I2)로 감소시키는 전류 폴드백 기능을 위한 트랜지스터이다. 이러한 트랜지스터(MN4)는 과전류로 인해 출력 단자가 단락되었을 때, 혹은 출력 전압(VOUT)이 정상 상태(즉, 과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보다 감소하여 트랜지스터(MN4)의 문턱 전압보다 낮아질 때, 턴오프된다.
본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에서, 전압 레귤레이터에 과전류가 흐르지 않는 정상 상태일 때, 출력 전압(VOUT)에 의해 단락 회로 보호부(130)의 트랜지스터(MN4)는 턴온 상태를 유지하고 트랜지스터(MN5) 역시 피드백 전압(VFB)의 레벨을 조절한 레벨 조정 버퍼(13)의 출력 전압 레벨에 의해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트랜지스터(MN5)는 레벨 조정 버퍼(13)의 출력 전압에 의해 동작하여, 출력 전압(VOUT)에 의해 트랜지스터(MN4)가 턴오프된 후 출력 전압(VOUT)이 설정 전압(예, V2)까지 감소할 때까지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과전류가 흐르지 않는 정상 상태일 때, 출력 전압(VOUT)은 최대값인 전압(V1)을 유지하므로 이 전압(V1)은 트랜지스터(MN4)를 턴오프 시키지 못하고 턴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트랜지스터(MM5) 역시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전압 레귤레이터에 과전류가 흐르지 않는 정상 상태일 때, 단락 보호부(130)는 동작하지 않는다.
하지만, 전압 레귤레이터에 과전류가 인가되는 비정상 상태일 경우, 부하가 증가하여도 출력 전류(IOUT)는 제한 전류(I1)로 제한되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이에 따라 출력 전압(VOUT)이 감소하여, 출력 전압(VOUT)이 설정 전압[즉, 트랜지스터(MN4)의 문턱 전압 미만의 전압] 이하로 감소하면 단락 회로 보호부(130)의 트랜지스터(MN4)는 턴온 상태에서 턴오프 상태로 변한다.
트랜지스터(MN5)의 게이트 단자는 피드백 전압(VFB)을 증폭하는 레벨 조정 버퍼(13)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미 설명한 것처럼, 미리 설정된 전압조정 비율에 따라서, 트랜지스터(MN5)는 트랜지스터(MN4)가 턴오프되더라도 턴온상태를 유지하거나, 트랜지스터(MN4)가 턴오프되기 이전에 트랜지스터(MN5)를 턴오프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제한전류(I1)를 설정 전압(V2)까지 유지되기를 원하는 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설정 전압(V2)은 트랜지스터(MN4)의 문턱 전압이거나, 레벨 조정 버퍼(13)에 의해 조정되는 트랜지스터(MN5)에 의해 트랜지스터(MN4)의 문턱 전압보다 더 낮은 전압으로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MN4)의 소스 단자를 접지와 연결하지 않을 경우, 레벨 조정 버퍼(13)에 의해 게이트 인가 전압이 설정된 트랜지스터(MN5)에 의해 트랜지스터(MN4)의 문턱 전압보다 훨씬 높은 전압으로도 설정 전압(V2)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MN4), 트랜지스터(MN5), 레벨 조정 버퍼(13)에 의해 설정 전압(V2)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랜지스터(MN4, MN5)의 동작 상태에서, 저항(R3)에 의해 감지된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통과 전류가 설정값 이상인 과전류 상태이면, 저항(R3)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정상 상태보다 증가된 전압[즉, 트랜지스터(MP3)의 문턱 전압을 초과한 전압]을 갖게 되므로, 과전류 보호 회로부(100)의 과전류 보호 기능이 발휘된다.
따라서, 저항(R3) 양단의 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MP3)는 턴오프에서 턴온되어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단자의 전압이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제한하여 유지시킨다.
이러한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전압 강하 방지로 인해,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제한되어 출력 전류(IOUT)는 제한 전류(I1)로 제한되고, 과전류로 인한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파손을 방지한다.
과전류 보호 회로부(100)의 동작으로 과전류 상태로 인한 출력 전류(IOUT)는 제한 전류(I1)로 제한되고 이때의 출력 전압(VOUT)은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최대값(V1)에서부터 감소하게 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출력 전압(VOUT)의 감소로 인해, 트랜지스터(MN4)와 트랜지스터(MN5)가 턴오프되기 전까지 저항(R3)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전류 미러부(120)의 트랜지스터(MN1, MN2)와 단락 회로 보호부(130)의 트랜지스터(MN3)의 영향을 받게 되어, 도 5와 같이 트랜지스터(MN4) 혹은 트랜지스터(MN5)가 턴온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출력 전류(IOUT)는 제한 전류(I1)를 유지한다.
그러나 과전류 보호 회로부(100)의 동작에 의해 출력 전압(VOUT)이 감소하여 설정 전압[도 5에서, 출력 전압(VOUT)이 V2으로 감소할 때의 전압] 이하로 감소하면,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MN4)와 트랜지스터(MN5)도 턴오프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로 인해, 저항(R3)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전류 미러부(120)의 트랜지스터(MN1, MN2)를 흐르는 전류에만 영향을 받게 된다.
즉, 트랜지스터(MN2)를 흐르는 전류는 트랜지스터(MN2)의 채널 크기와 트랜지스터(MN1)의 채널 크기의 비에 따라 정해지므로, 결국 트랜지스터(MN4) 및 트랜지스터(MN5)가 오프되었을 때, 트랜지스터(MN2)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트랜지스터(MN4) 또는 트랜지스터(MN5)가 턴온 상태일 때보다 증가하고, 이로 인해, 저항(R3)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 또한 트랜지스터(MN4) 또는 트랜지스터(MN5)가 턴온 상태일 때보다 증가한다.
따라서, 과전류 제한 구동부(110)의 트랜지스터(MP3)를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여,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전압은 트랜지스터(MN4) 혹은 트랜지스터(MN5)가 턴온 상태일 때 보다 상승하여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흐르는 전류 역시 감소한다.
이로 인해,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출력 전압(VOUT)이 V2일 때부터 출력 전류(IOUT)는 제한 전류(I1)에서부터 급격히 감소하여 단락 전류(I2)까지 감소하는 전류 폴드백 기능이 행해진다.
이처럼, 출력 전류(IOUT)를 제한전류(I1)에서 단락 전류(I2)로 감소시키므로, 소비되는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켜 발열 등으로 인해 전압 레귤레이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전압 레귤레이터에 단락 현상이 발생될 때, 출력 전류(IOUT)가 설정 전류인 단락 전류(I2)로 감소한 상태가 되므로, 전력 증가로 인한 발열 현상은 줄어든다. 단락 전류(I2)는 소비전력을 계산하여 전압 레귤레이터가 손상되지 않는 안전한 범위로 미리 설정하게 된다.
이처럼, 과전류 보호 회로부(100)의 과전류 보호 기능이 발휘될 때, 출력 전류(IOUT)는 출력 전압(VOUT)의 크기에 무관하게 제한 전류(I1)에서 단락 전류(I2)로 급격히 폴드백되는 것이 아닌, 항상 소정의 출력 전압(VOUT)의 강하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때까지는 [즉, 추가적인 과전류가 발생하여 출력 전압(VOUT)이 설정 전압(V2)까지 강하하기 전 까지는] 제한 전류(I1)를 유지한 후 단락 전류(I2)까지 감소한다. 즉, 과전류로 인한 제한 전류조건에서 일정 정도의 마진을 가지므로, 부하에 다소 강하된 전압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게 되며, 이는, 순간적으로 최대전류를 넘어서는 과도 전류의 발생시에 부하의 전원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순간적인 과전류로 인해 과전류 보호 회로부(100)가 동작할 때, 과전류 발생과 동시에 출력 전류(IOUT)이 급격하게 폴드백되어 출력 전류(IOUT)가 단락 전류(I2)로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가지는 일반적인 폴드백 구조의 전류 제한 구조의 문제를 방지하므로, 순간적인 과전류 시에도 부하로 제한 전류(I1)의 공급이 이루어져 부하의 동작이 행해진다.
도 4에서, 본 예에 따른 단락 회로 보호부(130)의 트랜지스터(MN4)가 생략되거나 레벨 조정 버퍼(13)와 트랜지스터(MN5)가 생략되더라고 트랜지스터(MN5) 또는 트랜지스터(MN4)의 턴온 및 턴오프 동작에 의해, 폴드백 기능과 제한 전류(I1)의 유지 기능이 행해지므로, 필요에 따라 트랜지스터(MN4) 또는 레벨 조정 버퍼(13)와 트랜지스터(MN5)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되는 트랜지스터의 개수가 감소하거나 레벨 조정 버퍼(13)가 생략되므로 전압 레귤레이터의 크기와 제조 비용이 줄어든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과전류 보호 회로부 110: 과전류 제한 구동부
120: 전류 미러부 130: 단락 회로 보호부
11: 에러 앰프 MP1: 패스 트랜지스터
R1, R2, R3, R31: 저항 MP2, MP3: PMOS 트랜지스터
MN1-MN5: NMOS 트랜지스터 13: 레벨 조정 버퍼

Claims (8)

  1. 입력 전압이 인가되고 제어 단자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크기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패스 트랜지스터,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출력 단자에서 출력되는 상기 출력 전압을 분압하여 피드백 전압을 출력하는 피드백부,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을 입력 받아,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로 출력하는 에러 앰프,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에러 앰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를 흐르는 전류를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킨 후 감지하는 출력 전류 감지부,
    상기 입력 전압과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설정 크기 이상인 과전류일 경우,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제한하여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는 과전류 제한 구동부,
    상기 출력 전류 감지부와 상기 과전류 제한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출력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의 미러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과전류 제한 구동부가 미러 전류를 이용해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에 과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류 미러부, 그리고
    상기 출력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전류 미러부와 연결되어,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전압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여 상기 전류 미러부에서 생성되는 미러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 전류를 조절하고, 상기 출력 전압이 설정 전압 이하로 감소되기 전까지는 상기 출력 전류를 상기 제한 전류로 유지시키고 상기 설정 전압 미만에서는 상기 출력 전류를 단락 전류로 폴드백시키는 단락 회로 보호부
    를 포함하는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출력 전류 감지부는 상기 입력 전압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에러 앰프의 출력 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류 미러부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4.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과전류 제한 구동부는 상기 입력 전압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에러 앰프의 출력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 그리고 상기 입력 전압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과전류 제한 구동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와 상기 전류 미러부에 타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을 포함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5. 제4항에서,
    상기 전류 미러부는,
    상기 출력 전류 감지부의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드레인 단자와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어 있고 접지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지스터, 그리고 상기 과전류 제한 구동부의 상기 저항의 타측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류 미러부의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접지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6. 제5항에서,
    상기 단락 회로 보호부는 상기 전류 미러부의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드레인 단자와 게이트 단자가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 그리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출력 전압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접지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7. 제6항에서,
    상기 단락 회로 보호부는 상기 피드백 전압에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레벨 조정 버퍼 그리고 상기 레벨 조정 버퍼의 출력 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접지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3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단락 회로 보호부의 제2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된 후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설정 전압까지 감소하도록 하는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8. 제5항에서,
    상기 단락 회로 보호부는 상기 전류 미러부의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드레인 단자와 게이트 단자가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
    상기 피드백 전압에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레벨 조정 버퍼, 그리고
    상기 레벨 조정 버퍼의 출력 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접지에 소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3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KR1020140101067A 2014-08-06 2014-08-06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KR101630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67A KR101630600B1 (ko) 2014-08-06 2014-08-06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67A KR101630600B1 (ko) 2014-08-06 2014-08-06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834A KR20160017834A (ko) 2016-02-17
KR101630600B1 true KR101630600B1 (ko) 2016-06-16

Family

ID=5545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067A KR101630600B1 (ko) 2014-08-06 2014-08-06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6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1244B2 (en) * 2019-07-17 2022-03-22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Output current limiter for a linear regulator
KR102602874B1 (ko) * 2022-01-10 2023-11-16 다믈파워반도체유한회사 발열을 개선한 넓은 입력 범위를 갖는 ldo 레귤레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8362A (ja) * 2007-08-17 2009-03-05 Ricoh Co Ltd 過電流制限及び出力短絡保護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と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8411A (ja) * 2002-09-25 2004-04-15 Seiko Instruments Inc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2006139673A (ja) * 2004-11-15 2006-06-01 Seiko Instruments Inc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KR100709856B1 (ko) * 2005-07-08 2007-04-23 주식회사 케이이씨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 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8362A (ja) * 2007-08-17 2009-03-05 Ricoh Co Ltd 過電流制限及び出力短絡保護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と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834A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238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KR101109308B1 (ko) 전압 레귤레이터
JP6130112B2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CN106444954B (zh) 稳压器
JP5099505B2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TWI397794B (zh) 低壓降調整器以及於調整器中提供過流保護的電路及其方法
US8547079B2 (en) Voltage regulator capable of enabling overcurrent protection in a state in which an output current is large
KR101401131B1 (ko) 전압 조정기
KR101898290B1 (ko) 전압 레귤레이터
US8450986B2 (en) Voltage regulator
US20130293986A1 (en) Current Limit Circuit Architecture For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s
JP4443301B2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KR20120087840A (ko) 전압 조정기
KR102187403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US7923978B2 (en) Regulator circuit having over-current protection
JP2008052516A (ja) 定電圧回路
US7772815B2 (en) Constant voltage circuit with higher speed error amplifier and current limiting
KR20180048326A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KR20150024272A (ko) 전압 레귤레이터
US8674671B2 (en) Constant-voltage power supply circuit
KR101630600B1 (ko)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KR101659901B1 (ko) 과전류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원 레귤레이터
KR101741170B1 (ko)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JP4892366B2 (ja) 過電流保護回路および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7401406B2 (ja) 定電圧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