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458B1 -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458B1
KR101630458B1 KR1020090130684A KR20090130684A KR101630458B1 KR 101630458 B1 KR101630458 B1 KR 101630458B1 KR 1020090130684 A KR1020090130684 A KR 1020090130684A KR 20090130684 A KR20090130684 A KR 20090130684A KR 101630458 B1 KR101630458 B1 KR 101630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pool
signal
opening amount
n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3885A (ko
Inventor
오준호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0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458B1/ko
Publication of KR2011007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45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는 유압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여 붐 실린더(20)에 공급하는 붐 제어밸브(30)와, 상기 유압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여 아암 실린더(40)에 공급하는 아암 제어밸브(50)와, 상기 유압펌프(10)와 상기 아암 실린더(40)를 연결하는 유로의 개도량이 조절되도록 입력되는 스풀이동신호에 따라 상기 아암 제어밸브(50)의 아암 스풀(53)을 이동시키는 아암스풀 신호인가부(54); 및 아암 조작부(41)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스풀이동신호를 산출하여 상기 아암스풀 신호인가부(54)에 출력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0)는 현재 작업상태가 아암 우선작업 작업인지를 판단하고, 현재 작업상태가 아암 우선작업이 아닌 경우 상기 유로의 개도량이 최대 개도량보다 작은 제한 개도량 이하가 되도록 상기 아암 스풀(53)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현재 작업상태가 아암 우선작업인 경우 상기 유로의 개도량이 최대 개도량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아암 조작부(41)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아암 스풀(53)을 최대 이동거리까지 이동시킨다.
붐 실린더, 아암 실린더, 개도량, 고르기 작업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FLOW CONTROL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종류에 따라 스풀 이동거리를 제어하여 붐 실린더와 아암 실린더에 분배되는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유량조절밸브의 추가없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는 붐을 구동시키기 위한 붐 실린더와 아암을 구동시키기 위한 아암 실린더를 구비한다. 통상, 붐의 하중이 크고 이동거리가 크기 때문에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아암 실린더보다 붐 실린더에 우선적으로 많은 유량이 배분되도록 유압 시스템이 설계되며, 그 일예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펌프(1)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붐 1속 밸브(4)를 통해 붐 실린더(3)에 공급됨과 아울러 아암 2속 밸브(8)에 공급된다. 제 2 펌프(2)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붐 2속 밸브(5)에 공급됨과 아울러 아암 1속 밸브(7)를 통해 아암 실린더(6)에 공급된다. 한편, 아암 2속 밸브(8)에 공급된 작동유는 암 1 속 밸브(7)의 전단에서 제 2 펌프(2)의 작동유와 합류되어 아암 실린더(6)에 공급되며, 붐 2속 밸브(5)에 공급된 작동유는 붐 1속 밸브(4)의 전단에서 제 1 펌프(1)의 작동유와 합류되어 붐 실린더(3)에 공급된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 1속 밸브(4)의 최대 개도량(AA)은 아암 2속 밸브(8)의 최대 개도량(AB)보다 크게 설정되어 제 1 펌프(1)의 작동유는 붐 실린더(3)에 우선적으로 많은 유량이 공급된다.
이러한 유량의 배분은 아암 2속 밸브(8)의 최대 개도량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아암 2속 밸브(8)의 최대 개도량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2속 스풀(8a)의 노치(9)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즉, 아암 2속 스풀(8)의 노치(9) 크기를 작게 형성하고, 붐 1속 스풀의 노치 크기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붐 실린더(3)에 우선적으로 많은 유량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고르기 작업(일면, 평탄화 작업)의 경우, 붐보다 아암의 이동거리 및 구동 빈도수가 높다. 따라서, 고르기 작업시 붐 실린더에 우선적으로 많은 유량을 공급할 경우, 고르기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르기 작업인 경우와 고르기 작업이 아닌 경우로 구별하여 아암 실린더와 붐 실린더에 배분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고르기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는 유압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여 붐 실린더(20)에 공급하는 붐 제어밸브(30)와, 상기 유압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여 아암 실린더(40)에 공급하는 아암 제어밸브(50)와, 상기 유압펌프(10)와 상기 아암 실린더(40)를 연결하는 유로의 개도량이 조절되도록 입력되는 스풀이동신호에 따라 상기 아암 제어밸브(50)의 아암 스풀(53)을 이동시키는 아암스풀 신호인가부(54); 및 아암 조작부(41)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스풀이동신호를 산출하여 상기 아암스풀 신호인가부(54)에 출력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0)는 현재 작업상태가 아암 우선작업인지를 판단하고, 현재 작업상태가 아암 우선작업이 아닌 경우 상기 유로의 개도량이 최대 개도량보다 작은 제한 개도량 이하가 되도록 상기 아암 스풀(53)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현재 작업상태가 아암 우선작업인 경우 상기 유로의 개도량이 최대 개도량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아암 조작부(41)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아암 스풀(53) 을 최대 이동거리까지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암 스풀(53)에는 상기 아암 스풀(53)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아암 실린더(40)에 연결된 토출유로(56)와 상기 유압펌프(10)에 연결된 유입유로(55)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노치(57)가 형성되며, 상기 노치(57)는 상기 아암 스풀(53)의 반경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제 1 노치(57a)와, 상기 제 1 노치(57a)와 상기 유입유로(55)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노치(57a)보다 반경방향 함몰 깊이가 크게 형성된 제 2 노치(57b)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0)는 현재 작업상태가 아암 우선작업이 아닌 경우, 상기 토출유로(56)가 상기 제 1 노치(57a)까지만 연결되도록 상기 아암 스풀(53)의 이동을 제한하고, 현재 작업상태가 아암 우선작업인 경우, 상기 토출유로(56)가 상기 제 2 노치(57b)까지 연결되도록 상기 아암 스풀(53)의 이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입력된 현재 작업패턴이 기설정된 고르기 작업패턴과 일치하거나 모드 스위치로부터 고르기 작업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작업상태가 고르기 작업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상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스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고르기 작업과 비고르기 작업시 암 실린더와 붐 실린더에 분배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유량 조절을 위한 별도의 밸브의 추가없이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아암 스풀에 제 1 노치와 제1노치보다 함몰 깊이가 큰 제 2 노치를 형 성하고, 제 1 및 제 2 노치의 경계를 중심으로 스풀의 이동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아암 실린더와 붐 실린더에 분배되는 유량의 차이를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는 유압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여 붐 실린더(20)에 공급하는 붐 제어밸브(30)와, 상기 유압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여 아암 실린더(40)에 공급하는 아암 제어밸브(50)와, 입력되는 스풀이동신호에 따라 상기 아암 제어밸브(50)의 아암 스풀(53)을 이동시키는 아암스풀 신호인가부(54)와, 아암 조작부(41)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아암 스풀(53)의 이동거리가 제어되도록 상기 아암스풀 신호인가부(54)에 스풀이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펌프(10)는 제 1 및 제 2 펌프(11)(1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펌프(11)(12)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각각 합류되어 상기 붐 실린더(20)와 아암 실린더(40)에 공급된다.
상기 붐 제어밸브(30)는 상기 제 1 펌프(11)와 연결된 붐 1속 제어밸브(31)와, 상기 제 2 펌프(12)와 연결된 붐 2속 제어밸브(32)를 포함한다. 상기 붐 1속 제어밸브(31)와 붐 2속 제어밸브(32)는 붐 조작부(미 도시)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 라 변환되어 상기 붐 실린더(20)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붐 1속 제어밸브(31)는 제 1 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어하고, 상기 붐 2속 제어밸브(32)는 제 2 펌프(12)의 작동유를 제어한다.
상기 아암 제어밸브(50)는 아암 1속 제어밸브(51)와 아암 2속 제어밸브(52)를 포함한다. 상기 아암 1속 제어밸브(51)는 제 2 펌프(12)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여 아암 실린더(40)에 공급하며, 상기 아암 2속 제어밸브(52)는 제 1 펌프(11)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여 아암 실린더(40)에 공급한다. 여기서, 아암 2속 제어밸브(52)와 붐 1속 제어밸브(31)는 제 1 펌프(11)의 작동유를 아암 실린더(40)와 붐 실린더(20)에 배분하는 기능을 한다. 즉, 아암 2속 제어밸브(52)의 개도량과 붐 1속 제어밸브(31)의 개도량에 따라 상기 아암 실린더(40)와 붐 실린더(20)에 배분되는 제 1 펌프(11)의 유량이 결정된다. 일 예로, 아암 2속 제어밸브(52)의 개도량이 작고 붐 1속 제어밸브(31)의 개도량이 크면 붐 실린더(20)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이 커져서 붐 실린더(20)의 구동 동력이 커지고, 아암 실린더(40)의 구동 동력이 작아진다.
통상, 붐이 아암에 비해 그 하중이 클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작업에서 구동량 및 구동빈도가 높다. 따라서, 일반적인 작업상태에서는 붐 실린더(20)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아암 실린더(40)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보다 크도록 설정하는 것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그러나 고르기 작업(평탄화 작업)과 같이 정상적인 경우와 다른 암 우선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 아암 실린더(40)의 구동량 및 구동빈도가 큰 반면, 붐 실린더(20)의 구동량 및 구동빈도는 작다. 따라서, 고르기 작업시 아암 실린더(40)에 많은 유량을 배분해야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는 아암 스풀(53)의 노치(57)를 기존보다 크게 형성하여 개도량을 증가시켰다. 그리고, 현재 작업상태가 고르기 작업 상태인 경우 아암 2속 제어밸브(52)를 통과하는 유량을 증가시키고, 현재 작업상태가 고르기 작업상태가 아닌 경우, 아암 스풀(53)의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개도량을 기존과 같이 작게하여 붐 실린더(20)에 배분되는 유량이 크도록 하였다.
상기 아암스풀 신호인가부(54)는 아암 2속 제어밸브(52)의 아암 스풀(53)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인가되는 전류 지령치(스풀이동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아암 스풀(53)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전자비례 감압 밸브(EPPR(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e) 밸브)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현재 작업상태가 고르기 작업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아암 스풀(53)의 아암스풀 신호인가부(54)에 스풀이동신호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는 패턴 판정부(7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나 모드 스위치(8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현재 작업상태가 고르기 작업 상태인지의 판단한다. 상기 패턴 판정부(70)는 기설정된 고르기 작업의 패턴에 대한 정보와 현재 작업상태를 비교하여 현재 작업 상태가 고르기 작업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르기 작업의 패턴은 붐 실린더와 아암 실린더 및 버켓 실린더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이나 조작부로부터 출력되는 조작신호가 시간에 대 한 함수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모드 스위치(80)는 작업자가 고르기 작업시 고르기 작업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로 모드 스위치(80)로부터 고르기 작업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60)는 현재 작업상태를 고르기 작업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메모리(9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에 입력된 아암 조작부(41)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량에 대한 아암스풀 신호인가부(54)에 출력할 아암 2속 스풀(53)의 이동거리에 대한 패턴이 설정된다. 메모리(90)에 설정된 작업패턴은 고르기 작업패턴과 비고르기 작업패턴으로 분류되어 설정되며, 고르기 패턴은 아암 2속 스풀(53)이 최대거리(b)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비고르기 작업패턴은 아암 2속 스풀(53)의 이동거리가 제한거리(a)까지 제한된다. 따라서, 고르기 작업패턴에서는 아암 조작부(41)로부터 조작량이 최대가 되면 아암 2속 스풀(53)의 이동거리가 최대거리인 b까지 이동하는 반면, 비고르기 작업패턴에서는 아암 조작부(41)로부터 조작량이 최대가 되더라도 아암 2속 스풀(53)의 이동거리는 제한거리인 a까지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암 2속 스풀(53)의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아암 1속 스풀도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아암 2속 스풀(53)을 아암 스풀(53)로 칭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아암 스풀(53)의 최대이동거리인 b에 도달하면 아암 스풀(53)의 개도량은 최대 개도량(Ab)이 되어 아암 실린더(40)에 공급되는 유량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고, 아암 스풀(53)의 제한이동거리인 a까지로 제한되면, 아암 스풀(53)의 개도량은 제한 개도량(Aa) 이하로 제한되어 붐 실린더(20)에 많은 유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밸브블록(58)에는 토출유로(56)와 유입유로(55)가 형성되며, 아암 스풀(53)에는 유입유로(55)와 토출유로(56)를 연결하기 위한 노치(57)가 형성된다. 상기 노치(57)는 상기 제한 이동거리(a) 까지는 제 1 노치(57a)로 형성되고, 상기 제한 이동거리(a) 이상(a~b)에는 제 1 노치(57a)보다 함몰깊이가 큰 제 2 노치(57b)가 형성된다. 따라서, 아암 스풀(53)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토출유로(56)는 제 1 노치(57a)를 통해 유입유로(55)와 연결되며, 이때 유로의 단면적은 제 1 노치(57a)의 단면적에 의해 결정된 작은 단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유입유로(55)를 통해 토출유로(56)로 이송되는 작동유의 유량이 작아지게 된다. 반면, 아암 스풀(53)이 좌측으로 더 이동하여 제 2 노치(57b)가 토출유로(56)와 연결되면, 토출유로(56)와 유입유로(55)는 제 2 노치(57b)에 의해 연결되며, 제 2 노치(57b)의 단면적에 의해 유로 단면적이 결정된다.
상기 제어부(60)는, 현재 작업상태가 고르기 작업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아암 스풀(53)의 이동거리를 a로 제한하며, 현재 작업상태가 고르기 작업상태인 경우 아암 스풀(53)의 이동거리를 b까지 확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노치(57a)와 제 2 노치(57b)의 함몰 깊이를 달리함으로써, 고르기 작업상태가 아닌 경우, 아암 스풀(53)을 통과하는 유량을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는 반면, 고르기 작업상태인 경우, 아암 스풀(53)을 통과하는 유량을 현격히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현재 작업상태에 따라 아암 실린더(40)와 붐 실린더(20)의 구동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60)는 패턴 판정부(7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또는 모드 스위치(8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현재 작업상태가 고르기 작업상태인지를 판단한다.
현재 작업상태가 고르기 작업이 아닌 경우, 제어부(60)는 도 5의 비고르기 작업패턴을 선택한다. 그리고, 아암 조작부(41)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비고르기 작업패턴으로부터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아암 스풀(53) 이동거리를 산출하여 아암스풀 신호인가부(54)에 출력한다. 그러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스풀(53)의 이동거리는 제한 이동거리인 a까지 제한되고, 이에 의해 아암 스풀(53)의 개도량은 제한 개도량(Aa)으로 제한된다. 이에 의해 제 1 펌프(11)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붐 1속 제어밸브(31)를 통과하는 유량이 커지게 되고, 아암 2속 제어밸브(52)를 통과하는 유량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아암 실린더(40)보다 붐 실린더(20)에 많은 유량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반면, 현재 작업상태가 고르기 작업인 경우, 제어부(60)는 도 5의 고르기 작업패턴을 선택한다. 그리고, 아암 조작부(41)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고르기 작업패턴으로부터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아암 2속 스풀 이동거리를 산출하여 아암스풀 신호인가부(54)에 출력한다. 그러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스풀(53)의 이동거리는 최대 이동거리인 b까지 확장되고, 이에 의해 아암 스풀(53) 의 개도량은 제한 개도량(Ab)까지 확장된다. 이에 의해 제 1 펌프(11)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아암 2속 제어밸브(52)를 통과하는 유량이 커지게 되고, 붐 1속 제어밸브(31)를 통과하는 유량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붐 실린더(20)보다 아암 실린더(40)에 많은 유량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가 2개이고, 붐 제어밸브와 아암 제어밸브가 2개씩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펌프가 1개이고 붐 제어밸브 및 아암 제어밸브가 각각 1개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은 종래 붐 실린더와 아암 실린더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 회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아암 2속 스풀과 붐 1속 스풀의 이동거리에 따른 유로 개도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도 1의 아암 2속 스풀과 유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도 4의 메모리에 설정된 조작부의 조작량에 따른 아암 2속 스풀의 이동거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아암 2속 스풀과 붐 1속 스풀의 이동거리에 따른 유로 개도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도 4의 아암 2속 스풀과 유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 부호에 대한 설명>
10; 유압펌프 11,12; 제 1 및 제 2 펌프
20; 붐 실린더 30; 붐 제어밸브
40; 아암 실린더 50; 아암 제어밸브
53; 아암 스풀 54; 아암스풀 신호인가부
57; 노치 57a, 57b; 제 1 및 제 2 노치
60; 제어부

Claims (3)

  1. 유압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여 붐 실린더(20)에 공급하는 붐 제어밸브(30)와, 상기 유압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여 아암 실린더(40)에 공급하는 아암 제어밸브(50)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10)와 상기 아암 실린더(40)를 연결하는 유로의 개도량이 조절되도록 입력되는 스풀이동신호에 따라 상기 아암 제어밸브(50)의 아암 스풀(53)을 이동시키는 아암스풀 신호인가부(54);
    상기 아암 스풀(53)에는 상기 아암 스풀(53)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아암 실린더(40)에 연결된 토출유로(56)와 상기 유압펌프(10)에 연결된 유입유로(55)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노치(57); 및
    아암 조작부(41)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스풀이동신호를 산출하여 상기 아암스풀 신호인가부(54)에 출력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며,
    상기 노치(57)는,
    상기 아암 스풀(53)의 반경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제 1 노치(57a)와,
    상기 제 1 노치(57a)와 상기 유입유로(55)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노치(57a)보다 반경방향 함몰 깊이가 크게 형성된 제 2 노치(57b)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0)는,
    현재 작업상태가 암 우선 작업인지를 판단하고, 현재 작업상태가 암 우선 작업이 아닌 경우 상기 유로의 개도량이 최대 개도량보다 작은 제한 개도량 이하가 되도록 상기 아암 스풀(53)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현재 작업상태가 암 우선 작업인 경우 상기 유로의 개도량이 최대 개도량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아암 조작부(41)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아암 스풀(53)을 최대 이동거리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현재 작업상태가 암 우선 작업이 아닌 경우, 상기 토출유로(56)가 상기 제 1 노치(57a)까지만 연결되도록 상기 아암 스풀(53)의 이동을 제한하고,
    현재 작업상태가 암 우선 작업인 경우, 상기 토출유로(56)가 상기 제 2 노치(57b)까지 연결되도록 상기 아암 스풀(53)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입력된 현재 작업패턴이 기설정된 고르기 작업패턴과 일치하거나 모드 스위치로부터 고르기 작업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작업상태가 암 우선 작업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
KR1020090130684A 2009-12-24 2009-12-24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 KR101630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684A KR101630458B1 (ko) 2009-12-24 2009-12-24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684A KR101630458B1 (ko) 2009-12-24 2009-12-24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885A KR20110073885A (ko) 2011-06-30
KR101630458B1 true KR101630458B1 (ko) 2016-06-14

Family

ID=4440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684A KR101630458B1 (ko) 2009-12-24 2009-12-24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4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950A (ja) * 1999-04-27 2000-11-0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8065B2 (ja) * 1993-09-06 1999-09-1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KR20000017715U (ko) * 1999-03-03 2000-10-05 토니헬샴 가변길이 오리피스를 구비한 카운터 밸런스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중장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950A (ja) * 1999-04-27 2000-11-0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885A (ko)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0780B2 (en) Slewing drive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
US9624647B2 (en) Slewing-type working machine
KR101693129B1 (ko) 작업 기계
EP1743980B1 (en) Hydraulic excavator having a hydraulic control apparatus
EP2128453B1 (en) Hydraulic control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
JP2004272873A (ja) 油圧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速度に基づく方法
KR20180037369A (ko) 건설기계의 제어 시스템 및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WO2015114061A1 (en) Engine and pump control device and working machine
KR20130137192A (ko) 건설기계의 붐-선회 복합구동 유압 제어시스템
CN110325747B (zh) 作业机械
KR101741703B1 (ko) 건설기계의 유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40050031A (ko) 건설기계의 압력 제어시스템
US20180030687A1 (en) Hydraulic speed modes for industrial machines
KR20180029490A (ko) 건설기계의 제어 시스템 및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CN112105785A (zh) 工程机械的液压驱动装置
KR101637575B1 (ko) 건설기계의 유압제어장치
EP29853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ariably controlling spool displacement of construction machine
JP2008025706A (ja) 作業機械の油圧制御回路
JP2019528415A (ja) 建設機械の制御システム及び建設機械の制御方法
KR101630458B1 (ko) 건설기계의 유량제어장치
JP6726127B2 (ja) 油圧システム
CN113474519B (zh) 工作机器的液压控制回路
KR102088091B1 (ko) 건설기계의 유압회로 제어 장치
JP6488966B2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5614814B2 (ja) 油圧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