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448B1 - 열교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448B1
KR101630448B1 KR1020140195206A KR20140195206A KR101630448B1 KR 101630448 B1 KR101630448 B1 KR 101630448B1 KR 1020140195206 A KR1020140195206 A KR 1020140195206A KR 20140195206 A KR20140195206 A KR 20140195206A KR 101630448 B1 KR101630448 B1 KR 101630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using
refrigerant
header unit
hous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영민
서정호
Original Assignee
변영민
(주)에프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영민, (주)에프엔씨 filed Critical 변영민
Priority to KR1020140195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19Arrangements for sealing end plates into casing or header box; Header box sub-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28F9/18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30/00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튜브와 헤더유닛의 결합 부위에서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만으로 기밀을 유지하기 어려운 냉매튜브와 헤더유닛의 결합 부위에서 안정되게 기밀을 유지하여 냉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열교환기와 이것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열교환기는 냉매튜브와, 헤더유닛과, 기밀하우징을 포함한다. 냉매튜브는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어 냉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헤더유닛은 냉매튜브의 일단부가 병렬로 결합되고, 냉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기밀하우징은 헤더유닛을 감싸는 하우징몸체와, 하우징몸체에서 연장되어 헤더유닛과 연결되는 냉매튜브의 단부 영역을 감싸는 하우징돌출부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헤더유닛과 하우징몸체 사이의 이격공간 및 냉매튜브와 하우징돌출부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경화되는 접착제를 통해 냉매튜브와 헤더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의 기밀을 유지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및 이의 조립 방법{HEAT EXCHANGE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열교환기와 이것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튜브와 냉매튜브가 연결되는 헤더유닛에 기밀하우징이 결합됨으로써, 냉매튜브와 헤더유닛의 결합 부위에서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만으로 기밀을 유지하기 어려운 냉매튜브와 헤더유닛의 결합 부위에서 안정되게 기밀을 유지하여 냉매의 누출을 방지하는 열교환기와 이것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에어컨 등에 구현되는 냉동사이클은 저온저압의 가스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승온승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입되는 고온고압의 가스냉매를 외기에 의해 냉각, 응축시켜 액체냉매로 변환시키는 응축기와, 다른 부분의 직경에 비해 협소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액체냉매를 감압하기 위한 모세관 및 상기 모세관을 통과한 액체냉매가 저압 상태에서 낮은 온도로 증발함에 따라 냉장고의 고내 또는 에어컨에서 송풍되는 실내공기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외기 등의 유체와 작동유체인 냉매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치 즉, 열교환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종래에 단면이 중공인 원형의 냉매튜브가 사행(蛇行)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밴딩되며, 상기 냉매튜브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냉각핀이 일정 간격으로 밀착되어 제공된다. 그러면, 상기 냉매튜브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상기 냉매튜브가 설치된 곳을 통과하는 공기 또는 냉각수 등과 같은 유체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냉각핀이 열교환 면적과 열전도율을 높임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다.
최근에는 열교환기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행 형상으로 밴딩된 냉매튜브는 종래의 냉매튜브 직경을 대폭 줄인 상태에서 상호 이격 적층시키고, 헤더유닛이 각각의 냉매튜브에 냉매가 유입되는 부분과 각각의 냉매튜브에서 냉매가 토출되는 부분에 각각 구비되어 냉매튜브를 병렬로 연결한다. 이때, 헤더유닛에는 각각의 냉매튜브가 삽입 지지되는 용접공이 형성된다.
그러면, 각각의 용접공에 냉매튜브를 삽입하고, 헤더유닛과 냉매튜브가 만나는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열교환기를 제작하였다.
하지만, 최근에 제작되는 열교환기는 종래에 비해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지만, 압축기의 동작에 따른 진동 또는 충격과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헤더유닛과 냉매튜브 사이의 용접 부위에서 틈새가 발생하여 냉매가 유출되거나 열교환 성능을 급격히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1633호(2009. 06. 01. 등록, 발명의 명칭 : 열교환기용 헤더)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매튜브와 냉매튜브가 연결되는 헤더유닛에 기밀하우징이 결합됨으로써, 냉매튜브와 헤더유닛의 결합 부위에서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만으로 기밀을 유지하기 어려운 냉매튜브와 헤더유닛의 결합 부위에서 안정되게 기밀을 유지하여 냉매의 누출을 방지하는 열교환기와 이것의 조립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어 냉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중공의 냉매튜브; 상기 냉매튜브의 일단부가 병렬로 결합되고, 냉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중공의 헤더유닛; 및 상기 헤더유닛을 감싸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헤더유닛과 연결되는 상기 냉매튜브의 단부 영역을 감싸는 하우징돌출부가 포함된 기밀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헤더유닛과 상기 하우징몸체 사이의 이격공간 및 상기 냉매튜브와 상기 하우징돌출부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경화되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냉매튜브와 상기 헤더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의 기밀을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몸체는, 상기 헤더유닛이 삽입되도록 상기 헤더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하우징몸체; 및 상기 헤더유닛이 삽입되도록 상기 헤더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몸체와 마주보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2하우징몸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몸체는, 상기 제1하우징몸체에 대하여 상기 제2하우징몸체가 회동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몸체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기밀리브부; 및 돌기와 홈의 조합으로 상호 끼움 고정되거나 상호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몸체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에 각각 구비되는 기밀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돌출부는, 상기 냉매튜브가 삽입되도록 상기 냉매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몸체에서 연장되는 제1하우징돌출부; 및 상기 냉매튜브가 삽입되도록 상기 냉매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하우징돌출부와 마주보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2하우징돌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돌출부는, 돌기와 홈의 조합으로 상호 끼움 고정되거나 상호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돌출부와 상기 제2하우징돌출부에 각각 구비되는 기밀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헤더유닛의 표면에는, 상기 냉매튜브와 상기 헤더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헤더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면을 이루는 튜브밀착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냉매튜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냉매튜브가 상기 헤더유닛에 삽입될 때, 상기 냉매튜브가 상기 헤더유닛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삽입제한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헤더유닛은, 냉매가 유입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1헤더부; 및 냉매가 토출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2헤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튜브는, 냉매가 유입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헤더부에 결합되는 제1튜브; 냉매가 이동되는 유로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튜브의 단부와 끼움 결합되고, 냉매가 토출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2헤더부에 결합되는 제2튜브; 및 상기 제1튜브와 상기 제2튜브가 상호 끼움 결합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제1튜브와 상기 제2튜브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튜브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매튜브와 상기 튜브하우징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경화되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제1튜브와 상기 제2튜브가 상호 끼움 결합되는 부분의 기밀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 조립 방법은 냉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냉매튜브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헤더유닛에 병렬로 끼움 결합되는 결합단계; 상기 헤더유닛을 감싸는 하우징몸체의 내측면과 상기 하우징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헤더유닛과 연결되는 상기 냉매튜브의 단부 영역을 감싸는 하우징돌출부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및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하우징몸체를 통해 상기 헤더유닛을 감싸고,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하우징돌출부를 통해 상기 헤더유닛과 연결되는 상기 냉매튜브의 단부 영역을 감싸는 케이싱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유닛과 상기 하우징몸체 사이의 이격공간 및 상기 냉매튜브와 상기 하우징돌출부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접착제가 경화됨으로써, 상기 냉매튜브와 상기 헤더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의 기밀을 유지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열교환기 조립 방법은 상기 케이싱단계에 앞서, 상기 냉매튜브와 상기 헤더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이 밀폐되도록 상기 냉매튜브와 상기 헤더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용접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와 이것의 조립 방법에 따르면, 냉매튜브와 냉매튜브가 연결되는 헤더유닛에 기밀하우징이 결합됨으로써, 냉매튜브와 헤더유닛의 결합 부위에서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만으로 기밀을 유지하기 어려운 냉매튜브와 헤더유닛의 결합 부위에서 안정된 기밀을 유지하여 냉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몸체의 세부 구성을 통해 기밀 유지를 위한 기밀하우징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기밀하우징 내부에 도포 또는 충진되는 접착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몸체 또는 하우징돌출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기밀하우징이 결합될 때, 냉매튜브와 헤더유닛의 결합 부위를 안정되게 감싸고, 도포 또는 충진되는 접착제의 누설을 방지하며, 기밀하우징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밀착부를 통해 헤더유닛에서 냉매튜브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며, 헤더유닛에서 냉매튜브가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제한부를 통해 냉매튜브가 헤더유닛에 삽입될 때, 냉매튜브가 헤더유닛에 삽입되는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냉매튜브와 헤더유닛 사이에서 냉매의 흐름이 간섭되지 않으며, 헤더유닛에서 냉매튜브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튜브의 세부 구성을 통해 냉매튜브가 분할되더라도 제1튜브와 제2튜브의 연결을 원활하게 하고, 제1튜브와 제2튜브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냉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가 적용된 냉동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헤드유닛과 냉매튜브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헤드유닛과 냉매튜브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제1튜브와 제2튜브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선에 따라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 선에 따라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와 이것의 조립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가 적용된 냉동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가 적용된 냉동사이클은 압축기(100)와, 응축기(300)와, 모세관(500)과, 증발기(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변화시킨다. 고온고압의 기체로 변화시킨 냉매는 토출관(150)을 통해 상기 응축기(300)로 토출시킨다.
상기 응축기(300)는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고온고압의 기체로 변화되어 상기 토출관(150)을 통하여 토출되는 냉매가 유입되며, 유입된 냉매를 사행(蛇行)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유로를 통하여 이송시키면서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로 변화시킨다.
상기 응축기(300)는 통상 상화좌우로 연속 절곡된 상태를 이루는 유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냉매튜브(10)로 이루어진 응축기(300)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브라켓(7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응축기(300)와 같은 열교환기는 상기 고정브라켓(70)에 의해 냉장고 또는 에어컨 등의 기계실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70)에는 상기 냉매튜브(10)의 절곡된 부분이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70)에는 상기 응축기(300)가 상기 기계실에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3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응축기(300)를 상기 기계실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응축기(300)의 일측에만 상기 고정브라켓(70)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응축기(300)를 거친 상온고압의 액체냉매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응축기(300)와 모세관(500) 사이에는 상기 응축기(300) 측에 근접되도록 상기 응축기(300) 측으로 편중되어 드라이어(200)가 구비된다. 상기 드라이어(200)에 의해 상기 응축기(300)를 거친 상온고압의 액체냉매가 제습되어 상기 모세관(500) 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모세관(500)은 상기 토출관(150)에 비해 길이가 길고 지름이 작은 관으로, 상기 응축기(300)를 거친 상온고압의 액체냉매가 상기 모세관(500)을 지나는 동안 냉매가 팽창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모세관(500)은 상기 압축기(100)가 작동되는 동안 상기 증발기(700)에서 기화되는 양을 충당할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는 알맞은 양의 액체냉매를 통과시킴으로써, 냉매량을 조절한다. 상기 모세관(500)은 고압의 액체냉매를 증발압력으로 저하시켜, 냉매가 상기 모세관(500)의 단부에 이르렀을 때 냉매의 일정 범위의 양이 기화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700)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전후 방향으로는 짧은 폭으로 이격되고, 좌우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긴 폭으로 이격된다. 그러면, 상기 증발기(700)는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코일 형상을 이루며 밴딩될 수 있으나, 그 밴딩 방법은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900)는 상기 압축기(100)와 상기 증발기(70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900)를 거친 냉매는 상기 압축기(100) 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900)는 상기 압축기(100)의 구동정지 시 내측으로 냉매가 유입되며, 그 일부가 액상으로 변하여 축적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900)에 의해 상기 압축기(100)는 가동에 적합한 일정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큐뮬레이터(900)의 입구 측에는 상기 증발기(700)와 연결되는 연결부(9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큐뮬레이터(900)의 출구 측에는 흡입관(130)에 의해 상기 압축기(100)가 연결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900)의 출구 측에는 상기 흡입관의 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9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300)와 상기 증발기(700)는 공기 또는 냉각수 등의 유체와 작동유체인 냉매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열교환기는 냉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냉매튜브(10)가 헤더유닛(20)에 다양한 형상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냉매튜브(10)가 설치되는 곳을 통과하는 공기 또는 냉각수 등과 같은 유체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열교환기는 상기 응축기(300)와 상기 증발기(700)가 모두 해당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상기 응축기(3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증발기(700)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응축기(300)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헤드유닛과 냉매튜브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헤드유닛과 냉매튜브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는 냉매튜브(10)와, 헤더유닛(20)과, 기밀하우징(30)을 포함한다. 그러면, 상기 기밀하우징(30)이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을 감싸 지지하고, 상기 기밀하우징(30)과 상기 냉매튜브(10) 사이 및 상기 기밀하우징(30)과 상기 헤더유닛(20) 사이에서 경화되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이 결합되는 부분의 기밀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냉매튜브(10)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냉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냉매튜브(10)는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냉매튜브(10)는 냉동사이클의 용량이나 효율 또는 관로저항에 따라 내경 또는 절곡되는 횟수가 달라진다.
상기 냉매튜브(10)의 외주면에는 삽입제한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삽입제한부(13)는 상기 냉매튜브(10)가 상기 헤더유닛(20)에 삽입될 때 상기 냉매튜브(10)가 상기 헤더유닛(20)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한다. 여기서, 삽입제한부(13)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통해 상기 냉매튜브(1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냉매튜브(10)의 단부는 상기 헤더유닛(20)에 형성되는 튜브접속홀(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절곡되어 상기 헤더유닛(20)의 내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냉매튜브(10)는 상기 삽입제한부(13)와 더불어 단부가 상기 헤더유닛(20)의 내부를 감쌈으로써, 상기 냉매튜브(10)가 상기 헤더유닛(20)에서 유동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헤더유닛(20)은 상기 냉매튜브(10)의 일단부가 병렬로 결합된다. 상기 헤더유닛(20)은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냉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헤더유닛(20)은 제1헤더부(21)와, 제2헤더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헤더부(21)는 냉매가 유입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제1헤더부(21)는 상기 압축기(100) 측에서 상기 토출관(150)에 연결된다.
상기 제2헤더부(22)는 냉매가 토출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제2헤더부(22)는 상기 드라이어(200) 측에서 상기 토출관(15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헤더유닛(20)에는 상기 냉매튜브(10)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하고자 하는 상기 냉매튜브(10)에 대응하여 튜브접속홀(2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튜브접속홀(23)은 상기 냉매튜브(10)의 배열 형태에 따라 복수 개가 상기 헤더유닛(2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헤더유닛(20)의 표면에는 튜브밀착부(24)가 구비된다. 상기 튜브밀착부(24)는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이 결합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헤더유닛(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면을 이룬다. 이때, 상기 튜브밀착부(24)에는 상기 튜브접속홀(2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냉매튜브(10)의 단부가 상기 헤더유닛(20)의 내부를 감쌀 때,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헤더유닛(20)에서 상기 냉매튜브(1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의 결합 부위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하우징(30) 내부에 접착제(a)를 도포 또는 충진할 때,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의 결합 부위로 접착제(a)가 충분히 충진되도록 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밀하우징(30)은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을 감싸 지지한다. 상기 기밀하우징(30)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고,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기밀하우징(30)은 하우징몸체(40)와, 하우징돌출부(5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몸체(40)는 상기 헤더유닛(20)을 감싼다. 상기 하우징몸체(40)는 상기 헤더유닛(20)이 삽입되도록 상기 헤더유닛(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하우징몸체(41)와, 상기 헤더유닛(20)이 삽입되도록 상기 헤더유닛(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하우징몸체(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몸체(41)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42)에는 각각 상기 헤더유닛(20)이 삽입되는 헤더안착부(43)가 함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몸체(41)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42)는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돌출부(50)는 상기 하우징몸체(40)에서 연장되어 상기 헤더유닛(20)과 연결되는 상기 냉매튜브(10)의 단부 영역을 감싼다. 상기 하우징돌출부(50)는 제1하우징돌출부(51)와, 제2하우징돌출부(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돌출부(51)는 상기 제1하우징몸체(41)에서 연장된다. 상기 제1하우징돌출부(51)는 상기 냉매튜브(10)가 삽입되도록 상기 냉매튜브(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제2하우징돌출부(52)는 상기 제2하우징몸체(42)에서 연장된다. 상기 제2하우징돌출부(52)는 상기 냉매튜브(10)가 삽입되도록 상기 냉매튜브(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제1하우징돌출부(51)와 상기 제2하우징돌출부(52)에는 각각 상기 냉매튜브(10)가 삽입되는 튜브안착부(53)가 함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돌출부(51)와 상기 제2하우징돌출부(52)는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기밀하우징(30)은 기밀리브부(31)와, 기밀고정부(32)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밀리브부(31)는 상기 제1하우징몸체(41)에 대하여 상기 제2하우징몸체(42)가 회동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몸체(41)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42)를 일체로 연결한다. 상기 기밀리브부(31)는 상기 제1하우징몸체(41)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42)에서 각각 구부러질 수 있고,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밀리브부(31)는 상기 하우징몸체(40) 내부에 접착제(a)를 도포 또는 충진할 때, 상기 제1하우징몸체(41)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42) 사이로 접착제(a)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밀고정부(32)는 돌기와 홈의 조합으로 상호 끼움 고정되거나 상호 걸림 고정된다. 상기 기밀고정부(32)는 하우징몸체(40)와 하우징돌출부(50)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다.
일예로, 상기 기밀고정부(32)는 상기 제1하우징몸체(41)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42)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기밀고정부(32)는 기밀돌부(32a)와, 기밀홈부(32b)를 포함한다. 상기 기밀돌부(32a)는 상기 제1하우징몸체(41)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42)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기밀홈부(32b)는 상기 기밀돌부(32a)가 끼움 고정 또는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몸체(41)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42) 중 다른 하나에서 함몰 형성된다. 상기 기밀고정부(32)는 상기 제1하우징몸체(41)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42)의 결합 안정성을 도모하고, 상기 제1하우징몸체(41)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42)가 안정되게 상기 헤더유닛(20)을 감싸 지지하도록 한다.
다른 예로, 상기 기밀고정부(32)는 상기 제1하우징돌출부(51)와 상기 제2하우징돌출부(52)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기밀고정부(32)는 기밀돌부(32a)와, 기밀홈부(32b)를 포함한다. 상기 기밀돌부(32a)는 상기 제1하우징돌출부(51)와 상기 제2하우징돌출부(52)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기밀홈부(32b)는 상기 기밀돌부(32a)가 끼움 고정 또는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돌출부(51)와 상기 제2하우징돌출부(52) 중 다른 하나에서 함몰 형성된다. 상기 기밀고정부(32)는 상기 제1하우징몸체(41)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42)의 결합 안정성을 도모함은 물론 상기 제1하우징돌출부(51)와 상기 제하우징돌출부(50)의 결합 안정성을 도모하고, 상기 제1하우징몸체(41)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42)가 상기 헤더유닛(20)을 감싸 지지할 때, 상기 제1하우징돌출부(51)와 상기 제2하우징돌출부(52)가 상기 냉매튜브(10)를 안정되게 감싸 지지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헤더유닛(20)과 상기 하우징몸체(40) 사이의 이격공간 및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하우징돌출부(50)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경화되는 접착제(a)를 통해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이 결합되는 부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접착제(a)는 상기 기밀하우징(30)의 내부에 도포되고, 접착제(a)가 도포된 상기 기밀하우징(30)이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을 감싸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접착제(a)는 상기 기밀하우징(30)이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을 감싸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헤더유닛(20)과 상기 하우징몸체(40) 사이의 이격공간에 충진되거나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하우징돌출부(50) 사이의 이격공간에 충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제1튜브와 제2튜브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 선에 따라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B-B' 선에 따라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냉매튜브(10)는 제1튜브(11)와 제2튜브(12) 및 튜브하우징(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튜브(11)는 냉매가 유입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헤더부(21)에 결합된다. 상기 제2튜브(12)는 냉매가 토출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2헤더부(22)에 결합된다. 상기 제2튜브(12)는 냉매가 이동되는 유로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튜브(11)의 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그러면, 상기 제1헤더부(21)와 상기 제2헤더부(22) 측에서 상기 제1튜브(11)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튜브(12)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삽입제한부(1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튜브(12)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1튜브(11)의 타측 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확관부(14)가 구비된다.
상기 튜브하우징(15)은 상기 제1튜브(11)와 상기 제2튜브(12)가 상호 끼움 결합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제1튜브(11)와 상기 제2튜브(12)를 감싸면서 고정된다. 상기 튜브하우징(15)은 제1튜브하우징(16)과, 제2튜브하우징(17)을 포함한다.
상기 제1튜브하우징(16)은 상기 제1튜브(11)와 상기 제2튜브(12)가 삽입되도록 상기 냉매튜브(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제2튜브하우징(17)은 상기 제1튜브(11)와 상기 제2튜브(12)가 삽입되도록 상기 냉매튜브(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제1튜브하우징(16)과 상기 제2튜브하우징(17)에는 각각 상기 냉매튜브(10)가 삽입되는 삽입안착부(15a)가 함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튜브하우징(16)과 상기 제2튜브하우징(17)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결합된다.
그러면,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튜브하우징(15)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경화되는 접착제(a)를 통해 상기 제1튜브(11)와 상기 제2튜브(12)가 끼움 결합되는 부분의 기밀을 유지한다. 이때, 접착제(a)는 상기 튜브하우징(15)의 내부에 도포되고, 접착제(a)가 도포된 상기 튜브하우징(15)이 상기 제1튜브(11)와 상기 제2튜브(12)를 동시에 감싸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접착제(a)는 상기 튜브하우징(15)이 상기 제1튜브(11)와 상기 제2튜브(12)를 동시에 감싸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튜브하우징(15) 사이의 이격공간에 충진될 수 있다.
상기 튜브하우징(15)은 밀폐리브부(18)와 밀폐고정부(19)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밀폐리브부(18)는 상기 제1튜브하우징(16)에 대하여 상기 제2튜브하우징(17)이 회동되도록 상기 제1튜브하우징(16)과 상기 제2튜브하우징(17)을 일체로 연결한다. 상기 기밀리브부(31)는 상기 제1튜브하우징(16)과 상기 제2튜브하우징(17)에서 각각 구부러질 수 있고,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밀폐리브부(18)는 상기 튜브하우징(15) 내부에 접착제(a)가 도포 또는 충진될 때, 상기 제1튜브하우징(16)과 상기 제2튜브하우징(17) 사이로 접착제(a)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밀폐고정부(19)는 돌기와 홈의 조합으로 상호 끼움 고정되거나 상호 걸림 고정된다. 상기 밀폐고정부(19)는 상기 제1튜브하우징(16)과 상기 제2튜브하우징(17)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밀폐고정부(19)는 상기 제1튜브하우징(16)과 상기 제2튜브하우징(17)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밀폐돌부(19a)와, 상기 밀폐돌부(19a)가 끼움 고정 또는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제1튜브하우징(16)과 상기 제2튜브하우징(17) 중 다른 하나에서 함몰 형성되는 밀폐홈부(19b)를 포함한다. 상기 밀폐고정부(19)는 상기 제1튜브하우징(16)과 상기 제2튜브하우징(17)의 결합 안정성을 도모하고, 상기 제1튜브하우징(16)과 상기 제2튜브하우징(17)이 안정되게 상기 냉매튜브(10)를 감싸 지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접착제(a)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통해 상기 헤더유닛(20)과 상기 하우징몸체(40) 사이에 도포 또는 충진되고,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하우징돌출부(50) 사이에 도포 또는 충진되며,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튜브하우징(15) 사이에 도포 또는 충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접만으로 기밀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의 결합 부위에서 안정된 기밀을 유지하여 냉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로써,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조립 방법은 결합단계(S1)와, 도포단계(S4)와, 케이싱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단계(S1)는 냉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냉매튜브(10)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헤더유닛(20)에 병렬로 끼움 결합된다. 상기 냉매튜브(10)는 상기 헤더유닛(20)에 구비되는 튜브접속홀(23)에 각각 끼움 결합된다.
상기 도포단계(S4)는 상기 헤더유닛(20)을 감싸는 하우징몸체(40)의 내측면과 상기 하우징몸체(40)에서 연장되어 상기 헤더유닛(20)과 연결되는 상기 냉매튜브의 단부 영역을 감싸는 하우징돌출부(50)의 내측면에 접착제(a)를 도포한다.
상기 케이싱단계(S3)는 접착제(a)가 도포된 상기 하우징몸체(40)를 통해 상기 헤더유닛(20)을 감싸고, 접착제(a)가 도포된 상기 하우징돌출부(50)를 통해 상기 헤더유닛(20)과 연결되는 상기 냉매튜브(10)의 단부 영역을 감싼다.
상기 케이싱단계(S3)는 상기 제1하우징몸체(41)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42)가 상기 기밀리브부(31)를 통해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단계(S3)는 상호 마주보는 상기 제1하우징몸체(41)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42)에 각각 구비되는 기밀고정부(32)를 통해 상호 끼움 고정 또는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우징몸체(40)가 상기 헤더유닛(20)을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단계(S3)는 상호 마주보는 상기 제1하우징돌출부(51)와 상기 제2하우징돌출부(52)에 각각 구비되는 기밀고정부(32)를 통해 상호 끼움 고정 또는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우징돌출부(50)가 상기 냉매튜브(10)의 단부 영역을 감쌀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헤더유닛(20)과 상기 하우징몸체(40) 사이의 이격공간 및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하우징돌출부(50)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접착제(a)가 경화됨으로써,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의 기밀이 유지된다.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이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냉매튜브(10)가 삽입되는 상기 튜브접속홀(23)과 상기 냉매튜브(10) 사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조립 방법은 용접단계(S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용접단계(S2)는 상기 케이싱단계(S3)에 앞서,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이 결합되는 부분을 밀폐한다. 상기 용접단계(S2)는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이 결합되는 부분을 용접한다. 상기 용접단계(S2)는 다양한 형태의 용접 공정을 통해 상기 용접단계(S2)를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열교환기와 이것의 조립 방법에 따르면,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냉매튜브(10)가 연결되는 상기 헤더유닛(20)에 상기 기밀하우징(30)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의 결합 부위에서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만으로 기밀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의 결합 부위에서 안정된 기밀을 유지하여 냉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몸체(40)의 세부 구성을 통해 기밀 유지를 위한 상기 기밀하우징(30)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상기 기밀하우징(30) 내부에 도포 또는 충진되는 접착제(a)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몸체(40) 또는 상기 하우징돌출부(5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상기 기밀하우징(30)이 결합될 때,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의 결합 부위를 안정되게 감싸고, 도포 또는 충진되는 접착제(a)의 누설을 방지하며, 상기 기밀하우징(30)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밀착부(24)를 통해 상기 헤더유닛(20)에서 상기 냉매튜브(1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며, 상기 헤더유닛(20)에서 상기 냉매튜브(10)가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제한부(13)를 통해 상기 냉매튜브(10)가 상기 헤더유닛(20)에 삽입될 때, 상기 냉매튜브(10)가 상기 헤더유닛(20)에 삽입되는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상기 냉매튜브(10)와 상기 헤더유닛(20) 사이에서 냉매의 흐름이 간섭되지 않으며, 상기 헤더유닛(20)에서 상기 냉매튜브(10)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튜브(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상기 냉매튜브(10)가 분할되더라도 상기 제1튜브(11)와 상기 제2튜브(12)의 연결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제1튜브(11)와 상기 제2튜브(12)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냉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냉매튜브 11: 제1튜브 12: 제2튜브
13: 삽입제한부 15: 튜브하우징 16: 제1튜브하우징
17: 제2튜브하우징 18: 밀폐리브부 19: 밀폐고정부
20: 헤더유닛 21: 제1헤더부 22: 제2헤더부
23: 튜브접속홀 24: 튜브밀착부 30: 기밀하우징
31: 기밀리브부 32: 기밀고정부 40: 하우징몸체
41: 제1하우징몸체 42: 제2하우징몸체 43: 헤더안착부
50: 하우징돌출부 51: 제1하우징돌출부 52: 제2하우징돌출부
53: 튜브안착부 a: 접착제

Claims (10)

  1.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어 냉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중공의 냉매튜브;
    상기 냉매튜브의 일단부가 병렬로 결합되고, 냉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중공의 헤더유닛; 및
    상기 헤더유닛을 감싸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헤더유닛과 연결되는 상기 냉매튜브의 단부 영역을 감싸는 하우징돌출부가 포함된 기밀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헤더유닛과 상기 하우징몸체 사이의 이격공간 및 상기 냉매튜브와 상기 하우징돌출부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경화되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냉매튜브와 상기 헤더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의 기밀을 유지하며,
    상기 하우징몸체는 상기 헤더유닛이 삽입되도록 상기 헤더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하우징몸체와, 상기 헤더유닛이 삽입되도록 상기 헤더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면서 상기 제1하우징몸체와 마주보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2하우징몸체와, 상기 제1하우징몸체에 대하여 상기 제2하우징몸체가 회동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몸체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기밀리브부와, 돌기와 홈의 조합으로 상호 끼움 고정되거나 상호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몸체와 상기 제2하우징몸체에 각각 구비되는 기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돌출부는,
    상기 냉매튜브가 삽입되도록 상기 냉매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몸체에서 연장되는 제1하우징돌출부; 및
    상기 냉매튜브가 삽입되도록 상기 냉매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하우징돌출부와 마주보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2하우징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돌출부는, 돌기와 홈의 조합으로 상호 끼움 고정되거나 상호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돌출부와 상기 제2하우징돌출부에 각각 구비되는 기밀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유닛의 표면에는, 상기 냉매튜브와 상기 헤더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헤더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면을 이루는 튜브밀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튜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냉매튜브가 상기 헤더유닛에 삽입될 때, 상기 냉매튜브가 상기 헤더유닛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삽입제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8.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유닛은,
    냉매가 유입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1헤더부; 및
    냉매가 토출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2헤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튜브는,
    냉매가 유입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헤더부에 결합되는 제1튜브;
    냉매가 이동되는 유로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튜브의 단부와 끼움 결합되고, 냉매가 토출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2헤더부에 결합되는 제2튜브; 및
    상기 제1튜브와 상기 제2튜브가 상호 끼움 결합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제1튜브와 상기 제2튜브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튜브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매튜브와 상기 튜브하우징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경화되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제1튜브와 상기 제2튜브가 상호 끼움 결합되는 부분의 기밀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9. 냉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냉매튜브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헤더유닛에 병렬로 끼움 결합되는 결합단계;
    상기 헤더유닛을 감싸는 하우징몸체의 내측면과 상기 하우징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헤더유닛과 연결되는 상기 냉매튜브의 단부 영역을 감싸는 하우징돌출부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및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하우징몸체를 통해 상기 헤더유닛을 감싸고,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하우징돌출부를 통해 상기 헤더유닛과 연결되는 상기 냉매튜브의 단부 영역을 감싸는 케이싱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유닛과 상기 하우징몸체 사이의 이격공간 및 상기 냉매튜브와 상기 하우징돌출부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접착제가 경화됨으로써, 상기 냉매튜브와 상기 헤더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의 기밀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조립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단계에 앞서, 상기 냉매튜브와 상기 헤더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이 밀폐되도록 상기 냉매튜브와 상기 헤더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용접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조립 방법.
KR1020140195206A 2014-12-31 2014-12-31 열교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1630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206A KR101630448B1 (ko) 2014-12-31 2014-12-31 열교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206A KR101630448B1 (ko) 2014-12-31 2014-12-31 열교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448B1 true KR101630448B1 (ko) 2016-06-14

Family

ID=56192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206A KR101630448B1 (ko) 2014-12-31 2014-12-31 열교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7491A1 (en) * 2019-06-04 2020-12-10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Tubular membrane heat exchang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4887U (ko) * 1985-05-28 1986-12-04
JPH0326897U (ko) * 1989-07-25 1991-03-19
JPH08110181A (ja) * 1994-10-12 1996-04-30 Sumitomo Precision Prod Co Ltd オープンラック式気化器の断熱構造
JPH10238992A (ja) * 1997-02-21 1998-09-11 Calsonic Corp 熱交換器用タンクへのパイプ取付構造
KR100901633B1 (ko) 2007-04-19 2009-06-08 주식회사 두원공조 열교환기용 헤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4887U (ko) * 1985-05-28 1986-12-04
JPH0326897U (ko) * 1989-07-25 1991-03-19
JPH08110181A (ja) * 1994-10-12 1996-04-30 Sumitomo Precision Prod Co Ltd オープンラック式気化器の断熱構造
JPH10238992A (ja) * 1997-02-21 1998-09-11 Calsonic Corp 熱交換器用タンクへのパイプ取付構造
KR100901633B1 (ko) 2007-04-19 2009-06-08 주식회사 두원공조 열교환기용 헤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7491A1 (en) * 2019-06-04 2020-12-10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Tubular membrane heat exchanger
US11624558B2 (en) 2019-06-04 2023-04-11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Tubular membrane heat exchan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806B1 (ko) 이중관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JP2009281593A (ja) 蒸発器ユニット
KR20050044325A (ko) 열 교환기, 열 교환기 헤더 탱크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78584A (ko) 차량용 공조 장치의 내부 열교환기
KR101630448B1 (ko) 열교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040018775A (ko) 냉장고 열교환기의 냉매 누설 방지 구조
US20090200756A1 (en) Seal structure
JP5540816B2 (ja) 蒸発器ユニット
KR20170109943A (ko)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JP6076851B2 (ja) 気体圧縮機
KR101461077B1 (ko) 열교환기
JP2009162305A (ja) フレキシブルホース
KR20100010704A (ko) 응축유닛 조립체
JP2014020412A (ja) 四方弁
JP2009162468A (ja) レシーバドライヤ一体型凝縮器
JP7465516B2 (ja) 冷蔵庫
KR100443925B1 (ko) 압축기의 소음 저감 장치
KR200406575Y1 (ko)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KR20180118292A (ko) 열교환기
KR100622446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JP2006077701A (ja) 密閉型圧縮機
KR200391919Y1 (ko) 냉동기용 응축기
KR20130120254A (ko) 냉장고
JP6702272B2 (ja) 膨張弁装置
KR200437968Y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의 중간부재 가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