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200B1 -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200B1
KR101630200B1 KR1020140168862A KR20140168862A KR101630200B1 KR 101630200 B1 KR101630200 B1 KR 101630200B1 KR 1020140168862 A KR1020140168862 A KR 1020140168862A KR 20140168862 A KR20140168862 A KR 20140168862A KR 101630200 B1 KR101630200 B1 KR 101630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mergency
exit
emergency situa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774A (ko
Inventor
김현식
전호익
김민호
이선권
김태오
양승국
Original Assignee
(주)매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매트론 filed Critical (주)매트론
Priority to KR1020140168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2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이나 선박 등의 특정영역에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그 특정영역을 회피하여 비상구로 안전하게 안내하도록 하는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은, 다수의 영역마다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각 영역에서 발생한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부; 다수의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는 다수의 방향안내부; 및 상기 다수의 센서부 및 방향안내부별로 위치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특정영역의 센서부로부터 비상상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상상황 감지신호에 포함된 고유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영역의 센서부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특정영역의 위치 및 상기 다수의 방향안내부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영역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상기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방향안내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EMERGENCY TAKING SHELTER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이나 선박 등의 특정영역에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그 특정영역을 회피하여 비상구로 안전하게 안내하도록 하는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환경이 급격히 다변화되면서 크고 작은 재난사고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고 있다. 특히 재난사고 발생시 대피요령이나 행동지침을 공지하고 교육하고 있다.
건물이나 선박 등에 화재나 정전이 발생하거나 침수나 유독가스가 퍼지는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대피유도등을 설치하여 빠르게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재난 대비 조치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화재발생시 연기로 인한 질식 사망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사고 현장에 있는 사람들의 현황을 알지 못한 채, 일률적인 대피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에만 그치고 있어, 재난 발생시 인명을 신속하게 구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 비상상황 발생 시 대피방송에 따라 비상탈출을 시도하는 기술에서 최근에는 스마트기기의 확산에 따라 대피 안내 정보를 스마트기기를 통해 안내하는 시스템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제한된 영역에서 실제 화재가 발생하면 당황한 상태에서 스마트기기를 볼 여유가 없고 실제 대피유도등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대피유도등은 비상구 방향으로 안내만 할 뿐 화재가 발생한 영역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으므로 대피유도등만 따라가다가 화재가 발생한 영역으로 들어갈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0-0135447호 등록특허 제10-1147351호 등록특허 제10-114543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건물이나 선박 등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영역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대피하도록 비상구를 안내하도록 하는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영역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각 영역에서의 비상상황의 정도를 나타내는 레벨을 확인하고 비상상황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방향으로 비상구를 안내하도록 하는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추가적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은,
다수의 영역마다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각 영역에서 발생한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부; 다수의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는 다수의 방향안내부; 및 상기 다수의 센서부 및 방향안내부별로 위치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특정영역의 센서부로부터 비상상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상상황 감지신호에 포함된 고유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영역의 센서부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특정영역의 위치 및 상기 다수의 방향안내부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영역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상기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방향안내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센서부는 상기 각각의 영역의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비상상황의 정도를 나타내는 감지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둘 이상의 센서부로부터 비상상황 감지신호가 수신되고 적어도 하나의 방향안내부가 상기 둘 이상의 센서부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둘 이상의 센서부에서의 감지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감지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의 방향으로 상기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방향안내부를 동작시킨다.키는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의 센서부는 비상상황을 감지하면 상기 비상상황 감지신호에 기설정된 자신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상황 감지신호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의 위치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비상구마다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특정영역, 비상구 및 방향안내부의 각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영역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방향안내부를 동작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 비상구에 설치되고 상기 비상구를 통과한 물체를 감지하여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트부에서 카운트된 물체의 개수가 적은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방향안내부를 동작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향안내부는 양쪽 방향을 각각 나타내는 두 개의 방향표시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상황이 감지된 특정영역의 위치에 따라 상기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두 개의 방향표시램프 중 어느 하나를 점등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방향표시램프 중 상기 특정영역의 반대방향에 있는 비상구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표시램프를 점등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둘 이상의 센서부로부터 비상상황 감지신호가 수신되고 적어도 하나의 방향안내부가 상기 둘 이상의 센서부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둘 이상의 센서부에서의 감지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감지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의 방향으로 상기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방향안내부를 동작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부 및 방향안내부는 각각 기설치된 선로에 연결된 커플러 및 상기 선로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커플러는, 내부에 중공부가 마련된 원통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수용되도록 다수의 링 형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페라이트 자심재료; 상기 다수 개로 적층된 페라이트 자심재료 간의 공간 또는 상기 페라이트 자심재료와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경화성수지; 상기 다수의 자심체에 권선된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양단부를 외부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신호입출력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이나 선박 등의 특정영역에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그 특정영역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비상상황이 발생한 특정영역을 회피하여 대피를 안내하도록 하기 때문에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일률적으로 비상구 방향만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의 위치와 연동하여 효율적인 동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영역에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비상상황의 정도가 낮은 방향으로 비상구를 안내할 수 있으므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이 적용된 현장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안내부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 및 방향안내부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발생 시 방향안내부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여러 영역에서 비상상황이 동시에 발생 시 방향안내부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대피 안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이 적용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100)은 다수의 센서부(110), 다수의 방향안내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100)은 카운트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센서부(110)는 건물이나 선박 등의 내부에 다수의 영역(210)마다 각각 설치되어 각 영역(210)에서 화재나 정전 등 각종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센서부(110)는 다양한 비상상황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화재시 연기나 가스 등을 감지하는 가스검출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온도, 침수, 정전 등과 같은 각종 상황을 감지가능한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들 다수의 상황을 한번에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센서를 하나의 모듈로 구현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여러 영역(210)을 하나의 센서부(110)에서 감지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센서부(110)는 비상상황 감지신호에 기설정된 자신의 위치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는 센서부(110)의 위치로서 센서부(110)가 설치된 영역(210)의 위치로도 사용되며, 또한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가 된다. 한편, 이러한 센서부(110)는 각각의 해당 영역(210)의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경우 그 비상상황의 정도를 나타내는 감지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화재발생의 경우 가스를 검출함에 있어서 가스량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지레벨을 통해 화재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영역보다 제2영역에서 동일시간 내에 가스량이 많이 검출된 경우 제2영역에서 더 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제어부(130)는 둘 이상의 센서부(110)로부터 비상상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이들 센서부(110)에서의 비상상황 감지신호의 감지레벨을 확인하고 감지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의 방향으로 비상구(220)로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방향안내부(120)를 동작시키도록 한다. 이는 양쪽에 비상상황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 상대적으로 더 약한 비상상황의 영역으로 급히 대피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방향안내부(120)는 여러 곳에 분산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비상구(220)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위치에서 비상구(220)로의 방향으로 안내가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방향안내부(120)는 비상구(220)로의 방향을 가르키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해당 위치에서 비상구(220)가 여러 방향으로 존재할 경우에는 그 다양한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한다. 예컨대, 방향안내부(120)는 양방향 안내뿐만 아니라 3방향, 4방향 안내도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방향안내부(120)는 바람직하게는 방향지시램프로 구현된다. 이러한 방향지시램프는 메인전원이 아닌 배터리나 비상발전기 등과 같은 보조전원(미도시)을 사용함으로써 비상상황 발생시에도 점등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방향안내부(120)는 자신의 고유한 위치정보가 기설정되며 이는 후술하는 제어부(130)에 의해 어느 방향으로 비상구(220)를 안내할지를 결정할 때 이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상 양방향 안내에 대한 일례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러한 일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방향으로 안내가 가능할 것이다.
제어부(130)는 다수의 센서부(110)로부터 비상상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영역(210)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영역(210)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비상구(220)로의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방향안내부(120)를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다수의 센서부(110) 및 방향안내부(120)별로 위치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특정영역의 센서부(110)로부터 비상상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그 비상상황 감지신호에 포함된 해당 센서부(110)의 고유식별정보를 기초로 그 해당 영역(210)의 센서부(110)의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그 해당 센서부(110)의 위치 및 다수의 방향안내부(120)의 위치를 이용하여 그 센서부(110)가 설치된 영역(210)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비상구(220)로의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방향안내부(120)를 동작시킨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센서부(110)로부터 수신한 비상상황 감지신호에 포함된 센서부(110)의 위치를 기초로 그 영역(210)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그 영역(210)의 위치가 곧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2110)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비상구(220)를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다.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을 회피하는 방향이라 함은 그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210)이 아닌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 이는 비상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비상구(220)로 사람들이 대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카운터부(140)는 각 비상구(220)에 설치되고 비상구(220)를 통과한 물체를 감지하여 그 개수를 카운트한다. 특히, 비상상황 발생시 각각의 비상구(220)를 통과한 사람의 수를 카운트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카운트부(140)에서 카운트된 사람의 수가 적은 비상구(220)로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방향안내부(120)를 동작시키도록 한다. 이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210)을 회피하도록 하는 방향의 비상구가 여러 개 있을 경우 사람이 더 적은 비상구(220)로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덜 복잡한 곳으로 대피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110)는 감지부(111), 저장부(112), 신호생성부(113), 제1통신부(114) 및 센서제어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지부(111)는 화재, 침수, 정전 등과 같은 비상상황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각 비상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11)에서 비상상황을 감지하면 신호를 센서제어부(115)로 전송한다.
저장부(112)는 센서부(1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특히, 자신의 고유식별정보 및 자신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위치정보는 해당 센서부(110)가 설치된 영역(210)의 위치정보가 된다.
신호생성부(113)는 감지부(111)에서 비상상황을 감지하면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비상상황 감지신호는 전기신호로도 구현이 가능하고 디지털 데이터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제1통신부(114)는 센서제어부(115)의 제어에 의해 신호생성부(113)에서 생성한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센서제어부(115)는 센서부(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한 감지부(111)를 동작시켜 실시간으로 비상상황을 감지하도록 하고 비상상황이 감지되면 신호생성부(113)를 동작시켜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생성하도록 하고, 이후에 저장부(112)에 저장된 센서부(110)의 고유식별정보를 비상상황 감지신호에 포함시켜 제1통신부(114)를 통해 제어부(1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저장부(112)에 저장된 센서부(110)의 위치정보를 비상상황 감지신호에 포함시켜 제어부(1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안내부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향안내부(120)는 제2통신부(121), 메모리부(122), 표시부(123) 및 안내제어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통신부(121)는 제어부(130)로부터 전송되는 동작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동작신호는 방향안내부(120)의 동작신호로서,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이 방향안내부(120)가 방향지시램프로 구현되는 경우 다양한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을 표시하도록 하는 점등신호가 될 수 있다.
메모리부(122)는 해당 방향안내부(120)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위치정보는 해당 방향안내부(120)가 동작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제어부(130)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210)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비상구(220)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다수의 방향안내부(120)를 동작시키는데, 이때 제어부(130)는 동작시킬 다수의 방향안내부(130)의 각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동작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후술하는 안내제어부(124)는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된 동작신호에 포함된 각 위치정보와 메모리부(122)에 저장된 자신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에 대한 동작신호에 맞게 동작시키는 것이다. 물론, 제어부(130)는 기저장된 방향안내부(120)의 각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안내부(120)의 동작신호를 전송하면 그의 안내제어부(124)는 자신에 대한 동작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한다.
표시부(123)는 일례로 양방향 중 어느 일방향을 나타내는 제1표시부(123a)와 그 일방향과 다른 방향을 나타내는 제2표시부(123b)를 포함한다. 이러한 양방향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상에 따른 일례이므로, 더 많은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일례로 양방향인 경우 상기한 다른 방향은 상기한 일방향과 반대방향일 수도 있고 일정한 각도를 갖는 또 다른 방향일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는 제1,2 표시부(123a,123b)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둘 이상의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3개나 4개의 방향을 각각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어느 위치에서 볼 때 비상구(220)가 세 방향 또는 네 방향으로 위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표시부(123a,123b)는 방향지시램프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일방향을 표시할 때 다른 방향의 램프는 소등된 상태에서 일방향의 램프만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비상구(220)로의 방향을 한 눈에 빨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안내제어부(124)는 방향안내부(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한 제2통신부(121)를 동작시켜 실시간으로 제어부(130)로부터 동작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고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부(122)에 저장된 자신의 위치정보와 동작신호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에 맞는 동작신호에 따라 표시부(123)를 동작시킨다. 예컨대, 일방향으로 점등시키는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제1표시부(123a)를 점등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 및 방향안내부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센서부(110) 및 방향안내부(120)는 건물이나 선박 등의 각 영역(210)에 기설치된 선로(51)에 커플러(52)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선로(51)는 각 영역(2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저 전력선일 수도 있고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각종 전선, 에어컨 배관, 전화선, 동축선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센서부(110)는 건물, 빌딩, 선박 등의 내부에 기설치된 선로(51)에 커플러(52)를 통해 연결되어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커플러(52)를 통해 선로(51)에 전달한다. 또한, 방향안내부(120)는 선로(51)를 따라 전달되는 동작신호를 커플러(52)를 통해 수집하도록 한다.
이때, 커플러(52)는 선로(51)와 연결된다. 이러한 커플러(52)의 연결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중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예컨대 접촉식의 경우 선로(51)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비접촉식의 경우 선로(51)에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 비접촉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커플러(52)는 선로(51)를 비접촉식으로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전자기 유도원리를 이용하여 신호를 선로(51)에 전달하고, 반대로 선로(51)로부터의 신호를 수집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선로(51)가 센서부(110)와 방향 안내부(120)가 각각 제어부(130)과 통신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선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52)는 하우징(521), 페라이트 자심재료(522), 경화성수지(523), 코일(524) 및 신호입출력단자(5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의 (a)는 다수의 페라이트 자심재료(522)를 하우징(521)에 수용하는 도면, 도 5의 (b)는 하우징(521)의 내부를 몰딩 처리한 후 선로(51)를 둘러싸도록 결합하기 위해 자른 도면, 그리고, 도 5의 (c)는 자른 후 내부 단면도이다.
하우징(521)은 내부에 중공부가 마련된 원통형상을 갖는다. 이 하우징(521)은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며 내면과 외면 간의 공간에 다수의 링(ring) 형상의 페라이트 자심재료(522)가 적층된다. 내면의 중공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선로(51)가 삽입된다. 페라이트 자심재료(522)는 투자율 및 비저항 특성을 고려하여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 예컨대, 삽입손실, 전송손실이 적은 고주파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경화성수지(523)는 다수 개로 적층된 페라이트 자심재료(522) 간의 공간 또는 페라이트 자심재료(522)와 하우징 내면과 외면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역할을 한다. 이는 경화된 이후에 진동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성능과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코일(524)은 적층된 다수의 페라이트 자심재료(522)를 동시에 권선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코일(524)은 바람직하게는 1~2회 권선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심재료(522)의 재료 및 신호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신호입출력단자(525)는 코일(524)의 양단부를 외부장치, 즉 센서부(110) 또는 방향안내부(120)와 연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플러(52)를 기설치된 선로(51)에 체결하기 위해 반으로 자른 후 선로(51)를 둘러싸도록 하여 다시 결합시킨다. 이때, 갈라진 두 개의 구성품 간의 에어갭(air gap)은 최소일수록 유리하다. 이러한 체결에서 커플러(52)는 선로(51)에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발생 시 방향안내부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면에는 일례로 특정영역(210c)에 화재가 발생한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특정영역(210c)에 화재가 발생하면 그 영역(110c)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110c)에서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화재발생 감지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해당 센서부(110c)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위치를 중심으로 비상구(220a,220b)까지 다수의 방향안내부(120a,120b,120c,120d,120e)의 위치를 확인한 후, 각 방향안내부(120a,120b,120c,120d,120e)의 방향지시램프를 점등시킨다. 이때, 화재발생 영역(210c)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비상구(220a,220b)의 방향을 가르키도록 점등한다. 따라서, 도 7의 일례에서는 화재발생 영역(210c)의 반대방향으로 비상구(220a,220b)를 각각 가르키도록 하기 위해 도면에서 좌측에 있는 3개의 방향안내부(120a,120b,120c)는 좌측에 있는 비상구(220a)의 방향을 가르키도록 좌측방향의 방향지시램프가 점등되고, 반대로 우측에 있는 2개의 방향안내부(120d,120e)는 우측에 있는 비상구(220b)의 방향을 가르키도록 우측방향의 방향지시램프가 점등되도록 한다. 이는 종래에 한방향 안내등만 표시되어 가까운 비상구로만 안내함으로써 비상구와 가까운 영역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가 발생한 영역으로 대피시키는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화재가 발생한 영역을 회피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여러 영역에서 비상상황이 동시에 발생 시 방향안내부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둘 이상의 영역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방향안내부(120)의 동작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는 설명의 편의상 일례로 2개의 영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예를 도시한다.
두 영역(210b,210c)에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그 영역(210b,210c)에 각각 설치된 두 센서부(110b,110c)는 비상상황(화재)을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도 7과 같은 원리로 상기 두 센서부(110b,110c)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위치를 중심으로 비상구(220a,220b)까지 다수의 방향안내부(120a,120b,120c,120d,120e)의 위치를 확인한 후, 각 방향안내부(120a,120b,120c,120d,120e)의 방향지시램프를 점등시킨다. 이때, 화재가 두 군데 발생하였으므로 두 화재의 가운데 있는 방향안내부(120c)를 어떻게 동작시키느냐가 중요하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둘 이상의 센서부(110b,110c)에서 비상상황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그 감지신호에 포함된 비상상황 감지레벨을 확인하고 그 감지레벨이 상대적으로 작은 방향으로 방향안내부(120)를 동작시킨다. 즉, 도 8의 예시와 같이 좌측 화재발생 영역(210b)의 좌측에 있는 2개의 방향안내부(120a,120b)는 좌측에 있는 비상구(220a)의 방향을 가르키도록 좌측방향의 방향지시램프가 점등되고, 반대로 우측 화재발생 영역(210c)의 우측에 있는 2개의 방향안내부(120d,120e)는 우측에 있는 비상구(220b)의 방향을 가르키도록 우측방향의 방향지시램프가 점등되도록 한다. 또한, 두 화재발생 영역(210b,210c)의 중간에 있는 방향안내부(120c)는 감지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은 좌측 화재발생 영역(210b)의 비상구(220a)의 방향을 가르키도록 좌측방향의 방향표시램프가 점등되도록 한다. 이는 양방향에 화재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 상대적으로 더 약한 화재방상상황 감지신호가 수신되고 제어부(130)는 화재가 발생한 영역의 센서부(110)의 위치와 그 위치를 중심으로 배치된 방향안내부(120)의 위치를 고려하여 둘 이상의 센서부(110)가 비상상황이 발생한 다수의 영역(210) 사이에 위치한 경우에 둘 이상의 센서부(110)에서의 감지레벨을 확인하고 감지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의 방향으로 비상구(220)로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방향안내부(120)를 동작시킨다. 이로써 더 큰 화재로부터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대피 안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대피 안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특정영역의 센서부(110)가 비상상황을 감지하면(S101),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S103). 제어부(130)는 그 특정영역의 위치를 확인하고(S105), 그 특정영역의 위치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있는 방향안내부(120)의 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특정영역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비상구(220)로 안내하도록 방향안내부(120)의 어느 일방향의 방향표시램프를 점등하도록 한다(S107).
도 10을 참조하면, 2개 이상의 특정영역의 센서부(110)에서 비상상황을 감지하면(S201), 각각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S203). 그러면 제어부(130)는 각 감지신호로부터 2개 이상의 특정영역의 위치를 확인하고(S205), 그 특정영역의 위치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있는 방향안내부(120)의 위치를 확인하여 2개 이상의 특정영역 사이에 방향안내부(120)가 있지 않으면(S207), 특정영역을 회피하도록 각 방향안내부(120)의 방향표시램프를 점등하도록 하고(S209), 반대로 2개 이상 특정영역 사이에 방향안내부(120)가 하나 이상 있으면(S207), 수신된 2개 이상의 감지신호 중에서 감지레벨을 서로 비교한다(S211). 이러한 비교결과 상대적으로 감지레벨이 낮은 영역의 방향으로 비상구(220)로 안내하도록 방향안내부(120)의 방향표시램프를 점등하도록 한다(S213).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영역에 설치된 센서부(110)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로부터 해당 영역(210)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영역(210)의 위치로부터 비상구(220)까지의 방향에 위치한 다수의 방향안내부(120)의 위치를 추가로 확인하여, 그 비상상황 발생 영역(210)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비상구(220)를 안내하도록 방향안내부(120)의 방향표시램프를 점등하도록 한다. 이로써 비상상황 발생에 따라 실시간으로 비상구까지의 대피 방향을 표시하도록 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대피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둘 이상의 영역에서 화재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 상대적으로 정도가 더 낮은 영역으로 대피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더 큰 피해를 방지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센서부 120 : 방향안내부
130 : 제어부 140 : 카운터부
210 : 영역 220 : 비상구

Claims (6)

  1. 다수의 영역마다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각 영역에서 발생한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부;
    다수의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는 다수의 방향안내부; 및
    상기 다수의 센서부 및 방향안내부별로 위치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특정영역의 센서부로부터 비상상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상상황 감지신호에 포함된 고유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영역의 센서부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특정영역의 위치 및 상기 다수의 방향안내부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영역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상기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방향안내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센서부는 상기 각각의 영역의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비상상황의 정도를 나타내는 감지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둘 이상의 센서부로부터 비상상황 감지신호가 수신되고 적어도 하나의 방향안내부가 상기 둘 이상의 센서부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둘 이상의 센서부에서의 감지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감지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의 방향으로 상기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방향안내부를 동작시키는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영역, 비상구 및 방향안내부의 각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영역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방향안내부를 동작시키는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비상구에 설치되고 상기 비상구를 통과한 물체를 감지하여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트부에서 카운트된 물체의 개수가 적은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방향안내부를 동작시키는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안내부는 양쪽 방향을 각각 나타내는 두 개의 방향표시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상황이 감지된 특정영역의 위치에 따라 상기 두 방향표시램프 중 상기 특정영역의 반대방향에 있는 비상구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표시램프를 점등시키는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및 방향안내부는 각각 기설치된 선로에 연결된 커플러 및 상기 선로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커플러는, 내부에 중공부가 마련된 원통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수용되도록 다수의 링 형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페라이트 자심재료; 상기 다수 개로 적층된 페라이트 자심재료 간의 공간 또는 상기 페라이트 자심재료와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경화성수지; 상기 다수의 자심체에 권선된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양단부를 외부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신호입출력단자를 포함하는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KR1020140168862A 2014-11-28 2014-11-28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KR101630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862A KR101630200B1 (ko) 2014-11-28 2014-11-28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862A KR101630200B1 (ko) 2014-11-28 2014-11-28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774A KR20160064774A (ko) 2016-06-08
KR101630200B1 true KR101630200B1 (ko) 2016-06-14

Family

ID=5619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862A KR101630200B1 (ko) 2014-11-28 2014-11-28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709B1 (ko) * 2017-12-14 2018-08-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대피용량을 고려한 재난 대피 시스템 및 방법
KR102137600B1 (ko) * 2018-09-14 2020-07-24 정준호 화재감지장치와 화재대피를 위한 대피방향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피방향유도시스템
KR102408020B1 (ko) * 2021-12-27 2022-06-14 (주)세명기술단 공동주택 소방용 전기 구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604B1 (ko) * 2005-03-28 2006-12-05 이효성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101354772B1 (ko) * 2008-10-24 2014-01-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재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5447A (ko) 2009-06-17 2010-12-27 심경순 건물 내의 재난 발생시 인명 파악을 통한 인명 대피 안내시스템 및 인명 대피 안내 방법
KR101141740B1 (ko) * 2010-04-27 2012-05-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기반정보를 이용한 대피경로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7351B1 (ko) 2010-09-30 2012-05-23 (주) 에이스뷰테크 비상 안내 단말기 및 비상 안내 시스템
KR20130022876A (ko) * 2011-08-26 2013-03-07 기정희 비상구 안내시스템
KR101145438B1 (ko) 2011-12-21 2012-05-15 최두순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774A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50230A1 (en) Electrical wall outlet fire detection system
KR101705753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101630200B1 (ko)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KR101006461B1 (ko) 위치인식 및 센서네트워크 기반 능동형 비상관제 시스템
KR101725802B1 (ko) 아이씨티 기반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06665A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86564B1 (ko) IoT 기반의 지능형 피난 유도 시스템
KR200472941Y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최적의 대피 경로를 방향표시,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EA027946B1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линий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KR102252814B1 (ko) 산업현장 스마트무선방송장치
KR200475222Y1 (ko) 비상 대피 유도 장치
KR101185405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9124A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101807263B1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CN111292511A (zh) 一种事故预警方法及系统
KR102063919B1 (ko) 건물 재난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재난 알림 방법
KR20110008331U (ko) 피난구 유도등
KR101363542B1 (ko) 주변환경 음성안내장치
US20070182539A1 (en) Emergency area confinement and safety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093448A (ko) 블루투스 아이비콘을 이용한 전자식 화재감지기 및 수신시스템
EP2083406B1 (en) Electric energy consumption meter with gas detector
KR101807261B1 (ko)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JP6399572B1 (ja) 火災用無線通信装置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KR20180049498A (ko)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피안내기능을 가지는 방독면
KR101807262B1 (ko)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