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931B1 - 펄스폭 변조장치 - Google Patents

펄스폭 변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931B1
KR101629931B1 KR1020140066560A KR20140066560A KR101629931B1 KR 101629931 B1 KR101629931 B1 KR 101629931B1 KR 1020140066560 A KR1020140066560 A KR 1020140066560A KR 20140066560 A KR20140066560 A KR 20140066560A KR 101629931 B1 KR101629931 B1 KR 101629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label
main body
fixing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044A (ko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931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2Labels, e.g. for identification, markings or configuration sto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27Natural conv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펄스폭 변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와, 본체부에 결합되어 본체부의 일측을 커버하는 덮개부와, 덮개부에 부착되는 멤브레인부를 포함하고, 멤브레인부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덮개부에 부착되므로, 본체부와 덮개부의 접합이 완료된 후 멤브레인부를 덮개부에 부착한다.

Description

펄스폭 변조장치{PULSE WIDTH MODULATION}
본 발명은 펄스폭 변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의 조립성을 개선하는 펄스폭 변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펄스폭 변조장치(Pulse Width Modulation)는 복수의 출력 펄스 중 개개의 펄스폭을 변화시켜 신호파와 동일한 성분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신호파를 정현파, 반송파를 삼각파로 할 경우, 신호파가 반송파보다 큰 경우에는 펄스를 출력하고, 신호파가 반송파보다 작은 경우에는 펄스를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펄스폭 변조장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을 커버하는 덮개와, 본체부의 타측을 커버하고 열을 방출하는 히트싱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9-0069269호(1999.09.06 공개, 발명의 명칭 : 펄스폭 변조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멤브레인이 덮개와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는바, 접착제를 사용하여 멤브레인이 결합된 덮개를 본체에 접합하면, 본체 내부의 공기가 접착제를 통해 배출되므로 접착제에 기포가 생기거나 접착제가 넘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와 덮개를 조립한 후 테이프를 이용하여 멤브레인을 덮개에 부착하여, 본체와 덮개의 조립성을 개선하는 펄스폭 변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커버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에 부착되는 멤브레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부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상기 덮개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는: 상기 덮개부에 부착되어 상기 멤브레인부를 보호하고, 제품 식별용 표기가 표시되는 라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덮는 덮개판부; 상기 덮개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판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라벨부의 부착위치를 표시하는 부착표시부; 상기 덮개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부착표시부의 내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덮개판부의 내부로 돌출되는 유로부; 및 상기 덮개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로부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판부의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덮개판부 보다 낮게 위치되어 상기 멤브레인부가 부착되는 통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표시부는 사각띠 형상을 하고, 상기 부착표시부의 내측으로 상기 라벨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부는: 상기 통기부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통기부 보다 낮은 수렴부; 및 상기 수렴부에 연통되고, 유체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벨부에 형성되는 라벨홀부는 상기 분기부와 연통되어 유체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벨부에는 상기 멤브레인부를 확인하기 위한 투명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조립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소자가 장착되는 기판부; 및 상기 고정부에 조립되고, 상기 본체부의 타측을 커버하며,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본체부와 덮개부를 접합하고, 이들간의 조립이 완료된 후 덮개부에 멤브레인부를 부착하므로, 본체부와 덮개부의 조립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는 라벨부가 멤브레인부를 커버하여 멤브레인부를 보호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는 멤브레인부를 통과한 기체가 라벨홀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는 투명창을 통해 멤브레인부의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에서 본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에서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에서 방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에서 고정부가 본체부에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방열부가 고정부에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에서 덮개부와, 덮개부에 부착되는 멤브레인부와 라벨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에서 덮개부와, 덮개부에 부착되는 멤브레인부와 라벨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1)는 본체부(10)와, 덮개부(20)와, 고정부(30)와, 기판부(40)와, 방열부(50)를 포함한다.
본체부(10)에는 각종 단자가 설치되고, 덮개부(20)는 본체부(10)에 결합되어 본체부(10)의 일측을 커버한다.
고정부(30)는 본체부(10)에 조립되고, 소자가 장착되는 기판부(40)는 고정부(30)에 고정된다.
방열부(50)는 고정부(30)에 조립되고, 본체부(10)의 타측을 커버한다. 방열부(50)는 본체부(10) 내부 열을 신속히 외부로 배출하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에서 본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는 테두리부(11)와, 확장부(12)와, 받침부(13)와, 고리부(14)를 포함한다.
테두리부(11)는 사각 띠 형상을 하며, 확장부(12)는 테두리부(11)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받침부(13)는 확장부(1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부(30)를 지지하고, 고리부(14)는 받침부(13)에 연결되어 기판부(40)를 지지한다. 고리부(14)에는 고정부(30)가 걸림 고정된다.
확장부(12)는 테두리부(11)의 내측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예로, 테두리부(11)의 4면 각 중앙부를 제외한 부분에 확장부(12)가 형성되도록, 4개의 확장부(12)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테두리부(11)의 상단부는 확장부(12)의 상단부보다 높게 위치된다(도 3 참조).
받침부(13)는 확장부(12)의 내측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예로, 테두리부(11)의 내측으로 4개의 확장부(12)가 돌출되고, 각 확장부(12)의 내측으로 받침부(13)가 돌출된다.
이때, 받침부(13)의 상단부는 확장부(12)의 상단부보다 낮게 위치된다(도 3 참조).
고리부(14)는 받침부(13)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이격된 받침부(13)를 연결한다. 고리부(14)의 형상으로 인해, 고리부(14)와 테두리부(11)의 내벽 사이에는 본체홀부(15)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11)와, 확장부(12)와, 받침부(13)와, 고리부(14)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미설명부호 16은 기판부(4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바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에서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0)는 고정몸체부(31)와, 내부고정부(32)와, 외부고정부(33)와, 하부고정부(34)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부(30)는 일체로 성형된다.
고정몸체부(31)는 본체부(10)에 안착된다. 일 예로, 고정몸체부(31)는 사각 띠 형상을 하며 받침부(13)에 안착된다.
내부고정부(32)는 고정몸체부(3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하방에 배치되는 기판부(40)를 고정시킨다.
외부고정부(33)는 고정몸체부(31)의 외측에 형성된다. 일 예로, 외부고정부(33)는 경사를 갖는 경사면(331)과, 경사면(331)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332)을 포함한다.
하부고정부(34)는 고정몸체부(31)의 하측에 형성되며, 본체부(10)에 걸림 고정된다. 일 예로, 하부고정부(34)는 고정몸체부(3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돌기(341)와, 하부돌기(34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후크돌기(342)를 포함한다.
하부돌기(341)는 본체홀부(15)에 삽입되고, 후크돌기(342)는 고리부(14)의 저면에 걸림 고정된다.
한편, 기판부(40)는 고리부(14)의 상측에 안착되고, 내부고정부(32)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에서 방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50)는 방열판(51)과, 삽입판(52)과, 체결판(53)을 포함한다.
방열판(51)은 본체부(10)의 타측을 커버하고, 삽입판(52)은 방열판(5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본체부(10)에 안착된다. 체결판(53)은 방열판(51)에 형성되어 고정부(30)에 걸림 고정된다.
일 예로, 방열판(51)은 사각형 형상을 하고, 방열판(51)의 4면 각 중앙부에 체결판(53)이 형성되며, 체결판(53)을 제외한 지점에 삽입판(52)이 배치된다.
체결판(53)에는 체결홀부(531)가 형성되고, 체결판(53)이 외부고정부(33)에 걸림 고정되면, 삽입판(52)이 확장부(12)에 안착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에서 고정부가 본체부에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방열부가 고정부에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에서 덮개부와, 덮개부에 부착되는 멤브레인부와 라벨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에서 덮개부와, 덮개부에 부착되는 멤브레인부와 라벨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와,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1)는 멤브레인부(60)와 라벨부(70)를 더 포함한다.
멤브레인부(60)는 덮개부(20)에 부착되어 본체부(10)의 통기성을 유지한다. 즉, 멤브레인부(60)에는 미세한 홀들이 형성되며, 이들 홀들에 의해 유체가 통과한다.
라벨부(70)는 덮개부(20)에 부착되되, 멤브레인부(60)를 커버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멤브레인부(60)를 보호한다. 라벨부(70)에는 제품 식별용 표기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20)는 덮개판부(21)와, 부착표시부(22)와, 유로부(23)와, 통기부(24)를 포함한다.
덮개판부(21)는 본체부(10)의 일측을 커버하되, 테두리 부분은 본체부(10)에 삽입되어 융착된다. 일 예로, 덮개판부(21)는 금속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부착표시부(22)는 덮개판부(21)에 형성된다. 이러한 부착표시부(22)는 덮개판부(21)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라벨부(70)의 부착위치를 표시한다.
일 예로, 덮개판부(21)의 배면에 프레스 가공을 하여 덮개판부(21)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착표시부(22)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부착표시부(22)는 평탄면을 갖는 덮개판부(21)보다 높게 형성된다.
부착표시부(22)는 사각띠 형상을 하고, 라벨부(70)는 부착표시부(22)의 내측에 해당되는 덮개판부(21)에 부착된다.
유로부(23)는 덮개판부(21)에 형성되고, 부착표시부(22)의 내측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유로부(23)는 덮개판부(21)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일 예로, 덮개판부(21)의 전면에 프레스 가공을 하여 덮개판부(21)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유로부(23)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유로부(23)는 평탄면을 갖는 덮개판부(21)보다 낮게 형성된다.
통기부(24)는 덮개판부(21)에 형성되고, 유로부(23)에 배치된다. 이러한 통기부(24)는 덮개판부(21)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일 예로, 덮개판부(21)의 배면에 프레스 가공을 하여 덮개판부(21)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통기부(24)가 형성된다. 이때, 통기부(24)의 평탄한 면은 덮개판부(21)의 평탄한 면보다 낮게 형성된다.
통기부(24)의 평탄한 면에는 유체 이동을 위한 복수의 통기홀부(241)가 형성되고, 미세한 홀이 형성되는 멤브레인부(60)는 평탄한 면에 부착되어 통기홀부(241)를 커버하면서 통기홀부(241)를 통한 유체 이동을 허용한다.
이때, 양면테이프(88)의 일측면이 통기부(24)에 부착되고, 타측면이 멤브레인부(60)에 부착된다.
따라서, 본체부(10)와 덮개부(20)의 열융착 결합이 완료된 후, 멤브레인부(60)를 통기부(24)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부(23)는 수렴부(231)와 분기부(232)가 구비된다.
수렴부(231)는 통기부(24)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수렴부(231)의 중앙부에 통기부(24)가 형성되되, 수렴부(231)는 통기부(24)보다 낮게 형성된다.
분기부(242)는 수렴부(231)에 연통되되, 복수개가 이격되어 유체를 안내한다. 일 예로, 수렴부(231)가 사각형 형상을 하고, 분기부(242)는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서 부착표시부(22) 방향으로 연장되어 부착표시부(22)에 근접된다.
한편, 라벨부(70)에는 라벨홀부(71)가 형성된다. 라벨홀부(71)는 각 분기부(242)의 상방에 위치되는 라벨부(70)에 형성되어, 본체부(10)에서 배출되는 기체를 외부로 유도한다. 그 외, 라벨홀부(71)는 부착표시부(22)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분을 배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라벨부(70)에는 투명창(72)이 형성된다. 투명창(72)은 멤브레인부(60)의 상방에 위치되는 라벨부(70)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멤브레인부(60)의 부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리부(14)에 기판부(40)가 안착될 때, 본체부(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바(16)가 기판홀부(41)에 삽입되어 기판부(40)를 안내한다.
고리부(14)에 기판부(40)가 안착되면, 고정부(30)가 본체부(10)에 조립된다. 즉, 고정몸체부(31)가 받침부(13)에 지지될 때, 하부고정부(34)가 본체홀부(15)를 관통하여 고리부(14)의 저면에 걸림 고정되고, 내부고정부(32)가 기판부(40)의 상측에 접촉되어 기판부(40)가 고정된다(도 6 참조).
기판부(40)와 고정부(30)의 조립이 완료되면, 방열부(50)를 고정부(30)에 조립한다. 이때, 삽입판(52)이 확장부(12)에 안착되고, 체결판(53)이 외부고정부(33)에 후크 결합된다(도 7 참조).
방열부(50)는 고정부(30)에 가조립된 후 접합공정에 의해 본체부(10)에 접합될 수 있다. 방열부(50)와 본체부(10)의 접합을 위해, 확장부(12)와 삽입판(52)의 접촉부위에 접합제가 도포된다.
따라서, 고정부(30)는 본체부(10)에 후크 결합되어 기판부(40)를 고정할 뿐만 아니라, 방열부(50)가 고정부(30)에 후크 결합된다.
이로 인해, 본체부(10)에는 기판부(40) 또는 방열부(50)와의 결합을 위한 형상이 삭제되므로, 본체부(10)의 성형이 간소화된다.
한편, 덮개판부(21)가 본체부(10)에 접합된 후, 양면테이프(88)를 사용하여 통기부(24)에 멤브레인부(60)를 부착한다.
그리고, 부착표시부(22)의 내측에 위치되는 덮개판부(21)에 제품 식별용 표기가 표시되는 라벨부(70)를 부착하여 멤브레인부(60)를 보호한다.
멤브레인부(60)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는 유로부(23)를 통해 이동되고, 라벨홀부(7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 외, 유로부(23)에 형성되는 수분도 라벨홀부(7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1)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본체부(10)와 덮개부(20)를 접합하고, 이들간의 조립이 완료된 후 양면테이프(88)를 사용하여 덮개부(20)에 멤브레인부(60)를 부착하므로, 본체부(10)와 덮개부(20)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1)는 라벨부(70)가 멤브레인부(60)를 커버하여 멤브레인부(60)를 보호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1)는 멤브레인부(60)를 통과한 기체가 라벨홀부(7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변조장치(1)는 투명창(72)을 통해 멤브레인부(60)의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부 11 : 테두리부
12 : 확장부 13 : 받침부
14 : 고리부 15 : 본체홀부
16 : 삽입바 20 : 덮개부
21 : 덮개판부 22 : 부착표시부
23 : 유로부 24 : 통기부
30 : 고정부 31 : 고정몸체부
32 : 내부고정부 33 : 외부고정부
34 : 하부고정부 40 : 기판부
41 : 기판홀부 50 : 방열부
51 : 방열판 52 : 삽입판
53 : 체결판 60 : 멤브레인부
70 : 라벨부 71 : 라벨홀부
72 : 투명창 88 : 양면테이프
231 : 수렴부 232 : 분기부
241 : 통기홀부

Claims (8)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커버하는 덮개부;
    양면테이프에 의해 상기 덮개부에 부착되는 멤브레인부;
    상기 덮개부에 부착되어 상기 멤브레인부를 보호하고, 제품 식별용 표기가 표시되는 라벨부;
    상기 본체부에 조립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소자가 장착되는 기판부; 및
    상기 고정부에 조립되고, 상기 본체부의 타측을 커버하며,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덮는 덮개판부;
    상기 덮개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판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라벨부의 부착위치를 표시하는 부착표시부;
    상기 덮개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부착표시부의 내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덮개판부의 내부로 돌출되는 유로부; 및
    상기 덮개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로부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판부의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덮개판부 보다 낮게 위치되어 상기 멤브레인부가 부착되는 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는
    상기 통기부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통기부 보다 낮은 수렴부; 및
    상기 수렴부에 연통되고, 유체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분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벨부에 형성되는 라벨홀부는 상기 분기부와 연통되어 유체를 배출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에 안착되는 고정몸체부;
    상기 고정몸체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부를 고정시키는 내부고정부;
    상기 고정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부고정부; 및
    상기 고정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에 걸림 고정되는 하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폭 변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표시부는 사각띠 형상을 하고, 상기 부착표시부의 내측으로 상기 라벨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폭 변조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부에는 상기 멤브레인부를 확인하기 위한 투명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폭 변조장치.
  8. 삭제
KR1020140066560A 2014-05-30 2014-05-30 펄스폭 변조장치 KR101629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560A KR101629931B1 (ko) 2014-05-30 2014-05-30 펄스폭 변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560A KR101629931B1 (ko) 2014-05-30 2014-05-30 펄스폭 변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044A KR20150139044A (ko) 2015-12-11
KR101629931B1 true KR101629931B1 (ko) 2016-06-14

Family

ID=5502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560A KR101629931B1 (ko) 2014-05-30 2014-05-30 펄스폭 변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93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955B1 (ko) * 2006-07-27 2013-03-29 한라공조주식회사 팬 콘트롤러의 내부 압력 및 온도 유지를 위한 에어벤트구조
KR101413604B1 (ko) * 2012-11-12 2014-07-04 동아전장주식회사 펄스폭 변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044A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234B1 (ko) 광원 유닛
JP6130407B2 (ja) 改善されたベント装置の取り付け方法
JP2009029512A (ja) 羽部を有するパッキングが一体で形成された容器蓋
JP2010147700A (ja) センサー固定装置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RU2012121881A (ru) Уплотнение для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для стомическ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2009137508A (ja) 車両用ドアにおける窓ガラス用センターチャンネル
US8999486B2 (en) Composite molded article
KR101629931B1 (ko) 펄스폭 변조장치
KR101629917B1 (ko) 펄스폭 변조장치
TWI557479B (zh) 背光模組
WO2017012230A1 (zh) 一种用于扬声器的磁路系统及扬声器
JP2017084778A (ja) 発光ダイオード信号モジュール
KR101872994B1 (ko) 반도체 패키지와 그 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조립장치
WO2014019953A1 (en) Sealed led light module
JPH05177869A (ja) Ledヘッド
KR101563513B1 (ko) 펄스폭 변조장치
US9690030B2 (en)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len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backlight unit comprising same
JP6983534B2 (ja) 換気扇カバー
JP541943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接合構造
KR101544092B1 (ko) 펄스폭 변조장치
JP2008164688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JP2006106750A5 (ko)
JP2010081760A (ja) ワイヤハーネスの固定部材及び内装材の取付構造
JP6796960B2 (ja) 照明器具
JP2007005735A (ja) 電子部品の封止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