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896B1 -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 및 이를 이용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 - Google Patents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 및 이를 이용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896B1
KR101629896B1 KR1020150066589A KR20150066589A KR101629896B1 KR 101629896 B1 KR101629896 B1 KR 101629896B1 KR 1020150066589 A KR1020150066589 A KR 1020150066589A KR 20150066589 A KR20150066589 A KR 20150066589A KR 101629896 B1 KR101629896 B1 KR 101629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base plate
connector
groov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재
이주훈
Original Assignee
(주)스마트엑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트엑세스 filed Critical (주)스마트엑세스
Priority to KR1020150066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트랙터블 케이블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정리가 깔끔하게 할 뿐만 아니라 리트랙터블 케이블의 교체가 용이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 및 이를 이용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 및 이를 이용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containing member for tablet PC charging and contai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트랙터블 케이블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정리가 깔끔하게 할 뿐만 아니라 리트랙터블 케이블의 교체가 용이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 및 이를 이용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태블릿pc 충전함으로써,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 제10-1490399호)에 도시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특허문헌 1의 복수의 멀티 태블릿 PC용 충전함(30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부(310), 바디부(310)의 내부에 구비되며 멀티 태블릿 PC(500)를 삽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중공 칸막이(320), 복수의 중공 칸막이(320)를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중공커버(321), 멀티 태블릿 PC(500)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도시되지 않음), 상기 SMPS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의 멀티 태블릿PC(500)에 전달하기 위한 USB 단자(330), USB 단자(330)와 멀티 태블릿 PC(500)를 연결하여 상기 SMPS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태블릿 PC(500)를 충전하기 위한 USB 케이블(도시되지 않음), 복수의 멀티 태블릿 PC용 충전함(300)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340), 도어(340)가 닫힘으로 인해 자동으로 복수의 멀티 태블릿 PC용 충전함(300)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1 작동스위치(350), 도어(340)가 열린 상태로도 상기 복수의 멀티 태블릿 PC용 충전함(300)을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파워스위치(360), 파워스위치(360)에 의해 작동됨을 표시하기 위한 파워 LED(370), 멀티 태블릿 PC(500)의 충전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투톤 칼라의 충전 LED(380), 복수의 멀티 태블릿 PC용 충전함(300)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장치(390)를 포함한다.
USB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은 USB 단자(300)에 접속되는 USB와, 태블릿PC(500)의 커넥터 단자에 접속되는 커넥터로 이루어진 동기화 케이블이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서 태블릿PC(500)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아래쪽 USB 단자(300)에 USB 케이블의 USB를 꽂고 위쪽에 있는 태블릿PC(500)의 커넥터 단자에 USB 케이블의 커넥터를 꽂아 충전해야 한다.
따라서, 외부로 USB 케이블이 노출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커넥터를 뺀 상태로 USB 케이블이 아래로 처지게 되어, 외관상 깔끔하지도 않고 서로 엉킬 우려도 커서 보관 등에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태블릿PC 충전함은 특허문헌 2(한국등록특허 제10-1287123호)와 같이 멀티 탭(101)과 어댑터(미도시)를 이용하고, 충전케이블 릴(120)에 자동으로 감긴 충전케이블(130)의 커넥터로 태블릿pc(2)의 커넥터 포트에 접속하는 방식입니다.
즉, 특허문헌 2의 전원공급부(100)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환기공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충전 전원의 출력을 위한 복수의 출력단자(102)가 설치된 한 쌍의 멀티소켓(101)과, 한쪽 끝 부분이 멀티소켓(101)의 출력단자(102)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케이블(110)과, 한 쌍의 측면여유공간(52) 앞쪽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연결케이블(110)의 다른 쪽 끝 부분이 연결되는 입력단자(126)가 구비되며 입력단자(126)와 태블릿PC(2)를 연결하는 충전케이블(130)이 자동으로 감기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충전케이블 릴(120)과, 측면여유공간(52)의 전면 쪽에 세워져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자동 릴(120)을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며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브래킷(140)은 측면칸막이(50)의 앞쪽 끝 부분과 전면칸막이(60) 사이를 가로막고 설치되고 충전케이블 릴(120)의 케이스(121) 한쪽 측면과 밀착되며 고정되는 수직판부(141)와 상기 수직판부(141)의 한쪽 끝 부분에서 직각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충전케이블 릴(120)의 케이스(121) 다른 한쪽 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전면칸막이(60) 내면에 고정되는 수평판부(144)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충전케이블 릴(120)의 케이스(121) 한쪽 측면에는 도 13과 같이 조립돌기(122)가 형성되고, 브래킷(140)의 수직판부(141)에는 조립돌기(122)가 조립되는 조립구멍(142)이 형성된다.
이러한 충전 케이블 릴(120)로 인해 케이블의 정리가 깔끔하게 이루어지지만, 충전케이블(130)의 고장 등으로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는 브래킷(140)을 측면칸막이(50)와 전면칸막이(60)에서 떼 내어야 하고 다시 본체(10)에서 칸막이(50)(60)들을 떼 내어야 하는 등 그 분해 및 다시 조립하는 공정이 매우 복잡하다.
특허문헌 2의 충전케이블은 USB가 없는 단순 충천용 케이블이라 한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490399호 특허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10-128712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동기화 리트랙터블 케이블의 정리가 깔끔할 뿐만 아니라 교체가 대단히 편리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 및 이를 이용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는, 릴부와, 상기 릴부의 후방 쪽에 나와 태블릿pc의 커넥터 포트에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릴부의 전방 쪽에 나와 pcb의 usb포트에 접속되는 USB로 이루어진 리트랙터블 케이블을 수용하는 리트랙터블 케이블 충전용 태블릿PC 수납대로서, 전후 길이방향을 갖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하여 상기 태블릿pc가 수납되는 칸막이; 상기 베이스판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릴부를 수용하는 릴부 수용홈; 상기 커넥터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놓이게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커넥터 케이블 인출용 홈; 상기 베이스판의 후방 하면에 형성되는 제1착탈돌기;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2착탈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와 상기 제2착탈돌기 사이의 베이스판에는 아래로 오목한 커넥터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케이블 인출용 홈은 상기 커넥터 수용홈의 일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상기 베이스판의 전후 길이방향의 중심에 대해 돌출되고, 상기 칸막이의 후단측에는 상기 태블릿pc가 걸리는 걸림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수용홈에는 좌우로 분리하는 분리판이 더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에 있어서, 상기 릴부 수용홈은 좌측이 막힌 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커넥터가 인출되는 제1인출홈과, 상기 usb가 인출되는 제2인출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은, 복수의 usb포트가 좌우로 설치된 pcb가 내부에 탑재된 pcb박스; 상기 pcb박스의 상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놓이는 복수의 태블릿pc수납대; 상기 태블릿pc수납대의 하면에 릴부가 수납된 채 상기 usb포트에 접속되는 usb와 태블릿pc의 커넥터 포트에 접속되게 상기 태블릿pc수납대의 상면에 놓이는 커넥터를 갖는 리트랙터블 케이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에 있어서, 상기 태블릿pc수납대 각각은 전후 길이방향을 갖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하여 상기 태블릿pc가 수납되는 칸막이와, 상기 베이스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상기 릴부 수용홈과, 상기 커넥터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놓이게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커넥터 케이블 인출용 홈; 상기 베이스판의 후방 하면에 형성되는 제1착탈돌기와,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2착탈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pcb박스의 상판에는 상기 제1착탈돌기가 착탈되는 제1착탈홈과, 상기 릴부 수용홈이 통과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pcb박스의 전면에는 상기 제2착탈돌기가 끼워지는 제2착탈홈을 갖는 착탈전면판이 체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와 상기 제2착탈돌기 사이의 베이스판에는 아래로 오목한 커넥터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케이블 인출용 홈은 상기 커넥터 수용홈의 일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동기화 리트랙터블 케이블을 수납대의 하면에 수용시킴으로써, 케이블의 정리를 깔끔하게 처리하면서도 수납대의 착탈을 통해 동기화 리트랙터블 케이블의 교체가 매우 쉽다.
또한, 베이스판에 커넥터 수용홈을 형성시킴으로써, 동기화 리트랙터블 케이블의 커넥터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잘 수용되어 깔끔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PC 대량 충전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에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을 조립하는 순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e는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의 조립 순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의 우측 및 좌측 사시도.
도 7은 도 5의 후방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도 5에서 동기화 리트랙터블 케이블이 장착 상태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종래 동기화 충전함인 태블릿PC 대량 충전함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1은 종래 단순충전함인 태블릿PC 대량 충전함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종래 단순충전함인 태블릿PC 대량 충전함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종래 단순충전함인 태블릿PC 대량 충전함의 전원공급부의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PC 대량 충전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에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을 조립하는 순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e는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의 조립 순서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의 우측 및 좌측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후방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에서 동기화 리트랙터블 케이블이 장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블릿PC 충전용 보관함(400)은 전면이 개방된 본체(500)와, 본체(500) 내에 설치되는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700)과, 본체(500)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900)로 이루어진다.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700)은 본체(500) 내부의 바닥이나 양측벽 브라켓에 올려져 보관되어 있다.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700)은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B박스(1700)와, PCB박스(170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놓이는 복수의 태블릿PC수납대(2700)와, 태블릿PC수납대(2700)에 설치되는 리트랙터블 케이블(37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동기화용 리트랙터블 케이블(3700)은 릴부(3710)와, 릴부(3710)의 일측에 나온 케이블(3730a)에 연결된 커넥터(3730)와, 릴부(3710)의 타측에 나온 케이블(3750a)에 연결된 usb(3750)로 이루어진다.
케이블(3730a)과 케이블(3750a) 모두 릴부(3710) 내에 되감길 수 있지만, usb용 케이블(3750a)은 pcb(1711)의 usb포트(1712) 위치가 정해져 있어 되감지 않게 소정 길이 빼낸 상태로 유지하여도 좋다.
커넥터(3730)는 태블릿pc(2)의 커넥터 포트(2a)에 접속되고, USB(3750)는 USB포트(1712)에 접속된다.
PCB박스(170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1710)와, 박스(1710)의 상면에 체결되는 상판(1730)으로 이루어진다.
박스(1710)의 내부에는 복수의 usb포트(1712)가 좌우로 설치된 PCB(1711)와 SMPS(1713)가 탑재되어 있다.
박스(1710)의 전면에는 LED의 불빛이 나오는 관통공(1715)이 형성되어 있다.
박스(1710)의 전면 상단에는 후술된 제2착탈돌기(2780)를 지지하는 지지테(2782)의 하단이 수용되는 요홈(1717)이 소정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제2착탈돌기(2780)는 베이스판(2710)의 전방의 밑면에서 아래로 연장된 지지테(2782)의 하단 전방에서 앞으로 돌출한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pcb박스(1710)의 전면에는 제2착탈돌기(2780)가 끼워지는 제2착탈홈(1755)을 갖는 착탈전면판(1750)이 체결된다.
착탈전면판(1750)이 pcb박스(1710)의 전면에 체결됨으로써, 수납대(2700)의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상판(1730)은 그 전방측에 개구(1731)가 형성되고, 후방측에 제1착탈홈(1733)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1731)는 후술된 릴부 수용홈(2750)이 박스(1710) 내로 들어오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1착탈홈(1733)은 'ㅗ'자 형상으로 관통된 홈으로서, 제1착탈돌기(2770)가 출납되는 제1출납홈(1735)과, 제1착탈돌기(277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끼움홈(1737)으로 이루어진다.
제1출납홈(1735)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좌우 홈이고, 제1끼움홈(1737)는 제1출납홈(1735)의 후방쪽에서 슬롯 형상의 전후 홈이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제1끼움홈(1737)과 요홈(1717)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착탈돌기(2770)는 도 4a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2710)의 밑면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수직판(2771)과, 수직판(2771)의 하단에서 후방쪽으로 연장되는 수평판(2773)과, 수직판(2771)과 수평판(2773) 사이의 중심에 형성된 제1끼움돌기(2775)로 이루어진다.
수평판(2773)이 도 4c와 같이 제1출납홈(1735)에 넣은 후 도 4d와 같이 제1끼움돌기(2775)가 제1끼움홈(1737)에 끼워지면, 수직판(2771)은 더 이상 끼워지지 않는 스토퍼의 기능을 하고, 베이스판(2710)의 밑면과 수평판(2773)의 상면은 제1끼움홈(1737)의 상하에 놓여 좌우와 위쪽 및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관통공(1715)은 요홈(1717)과 요홈(1717) 사이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태블릿PC 수납대(2700) 각각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2710)과, 베이스판(2710)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하여 태블릿pc(2)가 수납되는 칸막이(2730)와, 베이스판(2710)의 하면에 형성되어 릴부(3710)를 수용하는 릴부 수용홈(2750)과, 커넥터(3730)가 베이스판(2710)의 상면에 놓이게 베이스판(2710)에 형성되는 커넥터 케이블 인출용 홈(2760)과, 베이스판(2710)의 후방 하면에 형성되는 제1착탈돌기(2770)과, 베이스판(27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2착탈돌기(2780)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판(2710)은 전후 길이방향을 갖는 띠 형상이다.
칸막이(2730)는 태블릿pc(2)를 좌우에서 받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면 충분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회사 로고 등을 새기기 위해 원형의 칸막이(2733)가 더 형성시켜 확실한 수납을 허용한다.
칸막이(2730)와 제2착탈돌기(2780) 사이의 베이스판(2710)에는 아래로 오목한 커넥터 수용홈(2720)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수용홈(2720)은 U자 형의 요홈으로서, 아래로 연장되는 전후 측벽(2721)(2723)과, 전후 측벽(2721)(2723)의 하면을 연결하는 바닥(2725)으로 이루어진다.
커넥터 케이블 인출용 홈(2760)은 커넥터 수용홈(2720)의 일측벽 보다 정확히는 후 측벽(2723)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칸막이(2730)는 베이스판(2710)의 전후 길이방향의 중심에 대해 돌출되어, 그 전후 양쪽이 태블릿PC(2)의 1/2 정도 받치게 한다. 따라서, 수납대(2700)와 수납대(2700)가 서로 좌우로 나란히 놓일 때 태블릿pc(2)의 밑면 전체를 받치게 된다.
칸막이(2730)가 중심에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수용홈(2720)에는 좌우로 분리하는 분리판(2727)이 더 형성되어 균형을 맞춰주는 게 좋다.
다른 한편, 칸막이(2730)의 후단측에는 태블릿pc(2)가 슬라이딩 수납될 때 최종 걸리는 걸림판(2740)이 더 형성되어 있다.
릴부 수용홈(2750)은 좌측이 막힌 홈부(2750)로 이루어진다.
또한, 홈부(2750)의 테두리에는 커넥터(2730)가 인출되는 제1인출홈(2751)과, usb(3750)가 인출되는 제2인출홈(2753)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인출홈(2751)은 커넥터 케이블(3730a)이 커넥터 수용홈(2720)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되게 전방측에 형성되고, 제2인출홈(2753)은 usb 케이블(3750a)이 인출되어 usb(3750)이 usb포트(1712)에 용이하게 접속되게 하방측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3a 및 도 4a와 같이, 박스(1710) 내부에 pcb(1711)와 smps(1713) 등을 탑재한다.
그 다음 도 3b 및 도 4b와 같이 박스(1710)의 상면에 상판(1730)을 체결한다.
수납대(2700) 각각에 리트랙터블 케이블(3700)을 도 8과 같이 설치한다.
도 8과 같이 설치된 1개의 수납대(2700)의 제1착탈돌기(2770)를 도 4c과 같이 제1착탈홈(173)에 넣은 후 후방쪽으로 밀어 넣고 도 4d와 같이 상판(1730) 위에 놓는다.
그 다음에 usb(1350)를 usb포트(1712)에 꽂는다.
물론, usb포트(1712)를 먼저 꽂고 수납대(2700)를 상판(1730)에 조립하여도 좋다.
도 8과 같은 수납대(2770)를 차례차례 그 옆으로 계속해서 조립해 간다.
수납대(2770)가 도 3c와 같이 다 조립된 후 도 3d 및 도 4e와 같이 착탈전면판(1750)이 pcb박스(1710)의 전면에 체결됨으로써 조립이 완성된다.
즉, 착탈전면판(1750)의 제2착탈홈(1755)이 수납대(2770)의 제2착탈돌기(2780)에 끼워진 체결됨으로써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리트랙터블 케이블(3700)이 박스 내에 위치해서 외부에서 볼 때 깔끔하고, 케이블의 정리도 깔끔하고, 사용하다가 커넥터나 usb의 접속 불량이 생길 때 분해 및 조립을 통해 간단히 교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2 : 태블릿pc 700 :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
1700 : pcb박스 1710 : 박스
1711 : pcb 1712 : usb포트
1730 : 상판 1731 : 개구
1733 : 제1착탈홈 1750 : 전면착탈판
1755 : 제2착탈홈 2700 : 태블릿pc수납대
2710 : 베이스판 2720 : 커넥터 수용홈
2727 : 분리판 2730 : 칸막이
2740 : 걸림판 2750 : 릴부 수용홈
2760 : 커넥터 케이블 인출용 홈 2751 : 제1인출홈
2753 : 제2인출홈 2770 : 제1착탈돌기
2780 : 제2착탈돌기 3700 : 리트랙터블 케이블
3710 : 릴부 3730 : 커넥터
3750 : usb

Claims (7)

  1. 릴부와, 상기 릴부의 후방쪽에 나와 태블릿pc의 커넥터 포트에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릴부의 전방쪽에 나와 pcb의 usb포트에 접속되는 USB로 이루어진 리트랙터블 케이블을 수용하는 리트랙터블 케이블 충전용 태블릿PC 수납대로서,
    전후 길이방향을 갖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하여 상기 태블릿pc가 수납되는 칸막이;
    상기 베이스판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릴부를 수용하는 릴부 수용홈;
    상기 커넥터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놓이게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커넥터 케이블 인출용 홈;
    상기 베이스판의 후방 하면에 형성되는 제1착탈돌기;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2착탈돌기;를 포함하는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와 상기 제2착탈돌기 사이의 베이스판에는 아래로 오목한 커넥터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케이블 인출용 홈은 상기 커넥터 수용홈의 일측벽에 형성되는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상기 베이스판의 전후 길이방향의 중심에 대해 돌출되고,
    상기 칸막이의 후단측에는 상기 태블릿pc가 걸리는 걸림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수용홈에는 좌우로 분리하는 분리판이 더 형성되는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부 수용홈은 좌측이 막힌 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커넥터가 인출되는 제1인출홈과, 상기 usb가 인출되는 제2인출홈이 형성되는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
  5. 복수의 usb포트가 좌우로 설치된 pcb가 내부에 탑재된 pcb박스;
    상기 pcb박스의 상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놓이는 복수의 태블릿pc수납대;
    상기 태블릿pc수납대의 하면에 릴부가 수납된 채 상기 usb포트에 접속되는 usb와 태블릿pc의 커넥터 포트에 접속되게 상기 태블릿pc수납대의 상면에 놓이는 커넥터를 갖는 리트랙터블 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태블릿pc수납대 각각은 전후 길이방향을 갖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하여 상기 태블릿pc가 수납되는 칸막이와, 상기 베이스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상기 릴부 수용홈과, 상기 커넥터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놓이게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커넥터 케이블 인출용 홈; 상기 베이스판의 후방 하면에 형성되는 제1착탈돌기와,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2착탈돌기로 이루어진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pcb박스의 상판에는 상기 제1착탈돌기가 착탈되는 제1착탈홈과, 상기 릴부 수용홈이 통과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pcb박스의 전면에는 상기 제2착탈돌기가 끼워지는 제2착탈홈을 갖는 착탈전면판이 체결되는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와 상기 제2착탈돌기 사이의 베이스판에는 아래로 오목한 커넥터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케이블 인출용 홈은 상기 커넥터 수용홈의 일측벽에 형성되는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
KR1020150066589A 2015-05-13 2015-05-13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 및 이를 이용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 KR101629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589A KR101629896B1 (ko) 2015-05-13 2015-05-13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 및 이를 이용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589A KR101629896B1 (ko) 2015-05-13 2015-05-13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 및 이를 이용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896B1 true KR101629896B1 (ko) 2016-06-13

Family

ID=56191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589A KR101629896B1 (ko) 2015-05-13 2015-05-13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 및 이를 이용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89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12Y1 (ko) * 2017-01-25 2018-04-17 (주)스마트엑세스 노트북 충전 보관함
KR102133155B1 (ko) * 2020-05-11 2020-07-13 주식회사 에스알솔루션 휴대 단말기 충전함
KR102322639B1 (ko) * 2021-08-24 2021-11-04 장재혁 스마트 기기 충전 및 거치대
KR20220105407A (ko) * 2021-01-20 2022-07-2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
KR20220161757A (ko) *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하늘항공 배터리 충전 관리 시스템
KR102628882B1 (ko) * 2023-08-22 2024-01-25 이종윤 태블릿 pc 충전장치
KR20240053418A (ko) 2022-10-17 2024-04-24 서성민 스마트 기기용 충전보관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764Y1 (ko) * 2005-06-27 2005-09-05 아이피텍 주식회사 휴대전화기용 멀티충전어셈블러
US20100110628A1 (en) * 2008-10-30 2010-05-06 Mark Barrenechea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Maintainability and Cooling of Computer Components on Trays in a Cabinet
US20110062268A1 (en) * 2009-09-17 2011-03-17 Chi-Wen Cheng Retractable cable device having protecting function
KR101287123B1 (ko) 2013-05-16 2013-07-17 주식회사 가구비스 태블릿pc 대량 충전함
KR101490399B1 (ko) 2013-08-14 2015-02-05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도난 및 파손 방지를 위한 다층구조 멀티 태블릿 pc용 충전함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764Y1 (ko) * 2005-06-27 2005-09-05 아이피텍 주식회사 휴대전화기용 멀티충전어셈블러
US20100110628A1 (en) * 2008-10-30 2010-05-06 Mark Barrenechea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Maintainability and Cooling of Computer Components on Trays in a Cabinet
US20110062268A1 (en) * 2009-09-17 2011-03-17 Chi-Wen Cheng Retractable cable device having protecting function
KR101287123B1 (ko) 2013-05-16 2013-07-17 주식회사 가구비스 태블릿pc 대량 충전함
KR101490399B1 (ko) 2013-08-14 2015-02-05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도난 및 파손 방지를 위한 다층구조 멀티 태블릿 pc용 충전함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12Y1 (ko) * 2017-01-25 2018-04-17 (주)스마트엑세스 노트북 충전 보관함
KR102133155B1 (ko) * 2020-05-11 2020-07-13 주식회사 에스알솔루션 휴대 단말기 충전함
KR20220105407A (ko) * 2021-01-20 2022-07-2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
KR102555759B1 (ko) * 2021-01-20 2023-07-1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
KR20220161757A (ko) *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하늘항공 배터리 충전 관리 시스템
KR102570235B1 (ko) * 2021-05-31 2023-08-30 주식회사 하늘항공 배터리 충전 관리 시스템
KR102322639B1 (ko) * 2021-08-24 2021-11-04 장재혁 스마트 기기 충전 및 거치대
KR20240053418A (ko) 2022-10-17 2024-04-24 서성민 스마트 기기용 충전보관함
KR102628882B1 (ko) * 2023-08-22 2024-01-25 이종윤 태블릿 pc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896B1 (ko) 태블릿pc 충전용 수납대 및 이를 이용한 태블릿pc 충전용 수납함
US20240057834A1 (en) Cleaner holder
JP5891433B2 (ja) 電気車両用充電スタンド
US10314453B2 (en) Cleaner holder
US11363928B2 (en) Cleaner holder
US10003204B2 (en) Portable multiple mobile electronic device charging station
WO2017196004A1 (ko) 청소기 거치대
JP5204884B2 (ja) 充電台
US10277042B2 (en) Multi-functional charger
KR101952658B1 (ko) 청소기 거치대
JP2007295677A (ja) 充電器
JP5662199B2 (ja) 電子機器収容台およびそれを備えるキャビネット
JP2021087224A (ja) 電力利用装置
CN107113011B (zh) 电气设备
JP5399656B2 (ja) 照明装置
CN213584506U (zh) 插座
KR101218201B1 (ko) 광분배반
KR101163906B1 (ko) 휴대용 램프장치
JP6944385B2 (ja) 配線コネクタ
CN216054949U (zh) 电池装置、储能充电系统、电池仓以及发光容器
JP6717635B2 (ja) 通電ユニット及び該通電ユニットの結線方法
KR20150001082U (ko)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JP2021171537A (ja) 電子端末用充電保管庫、及びこれを備えた映像表示装置
KR101676845B1 (ko) 라벨창 고정구가 구비되는 배선닥트
KR20150098298A (ko) 멀티텝 수납구조를 갖는 멀티정리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