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857B1 -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857B1
KR101629857B1 KR1020140183583A KR20140183583A KR101629857B1 KR 101629857 B1 KR101629857 B1 KR 101629857B1 KR 1020140183583 A KR1020140183583 A KR 1020140183583A KR 20140183583 A KR20140183583 A KR 20140183583A KR 101629857 B1 KR101629857 B1 KR 101629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vehicle traveling
map
user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공운
김종근
곽종욱
설진현
진현철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83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6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economical dri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주행 경로 탐색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차량 주행 경로를 갱신하여 기존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지 않은 경로를 반영하고 경로 탐색 시 중간 시설물의 조회를 통해 중간 시설물을 기준으로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구간을 신호등 유무, 제한 속도, 일방 통행 등의 차량 주행 도로 규정이 반영된 사용자 경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경로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 위주의 경로 탐색이 가능한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OTHOD FOR SERCHING DRIVING ROUTE OF CAR BASED USER EXPERIENCE}
본 발명은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로 탐색 서비스는 지도 정보 제공 서비스의 일부인 길찾기로 불려지며, 차량의 네비게이션 단말을 통해 제공하거나 포털 지도 사이트와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의 네비게이션 단말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속하는 복수의 GPS 위성에서 보내오는 반송파 신호의 위상을 측정하거나 반송파 신호의 코드를 추적하여 위성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삼각측량법으로 단말의 위치를 검출한다. 그러나 GPS만을 활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위할 경우 많은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GPS, WiFi, Cell-ID, 센서 등의 다양한 하드웨어적인 요소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위치 보정, 디지털 컴퍼스 등의 복합적인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포털 지도 사이트는 단말이 취득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내 위치 검색, 길찾기, 거리측정, 로드뷰, 항공뷰 등의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종래 경로 탐색 서비스는 지도 맵을 기반으로 제공하는 데, 최근 들어서는 지도 관련 사이트의 개방 API를 이용하여 지도 관련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다. 이 경우, 종래 경로 탐색 서비스는 별도의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필요없이 개방 API를 이용한 지도 서비스와 실시간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형태를 매시업(mashup)이라 한다. 매시업은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웹 사이트를 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예로 하우징맵(www.housingmaps.com)이 있다. 하우징맵은 구글의 지도 서비스와 부동산 정보 사이트인 그레이그 리스트(www.craigslist.com)를 결합시킨 것으로 지도에서 특정 영역을 클릭하면 그 지역의 부동산 매물 정보를 보여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런데, 기존의 구축된 지도 API를 이용한 경로 탐색 서비스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어 있는 지적도(地籍圖)를 중심으로 경로를 탐색하므로, 지적도나 경로 탐색 방법으로 찾을 없는 경로에 대해서는 실제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경로에도 불구하고 탐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경로 탐색은 큰 도로를 위주로 이루어지고 신호등 유무나 일방 통행에 대해서는 반영되지 않아 실제 운전자가 이용하는 차량 주행 경로와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0463호(발명의 명칭: 지식 기반의 주행 경로 탐색 방법 및 네비게이션 단말, 공개일: 2014년 03월 12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차량 주행 경로를 갱신하여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지 않은 경로를 반영함으로써 경로 탐색 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주행 탐색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중간 시설물에 대한 조회를 통해 구간별로 신호등 유무, 제한 속도, 일방 통행 등의 차량 주행 도로 규정이 반영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경로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 위주의 경로 탐색이 가능한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갱신된 차량 주행 경로에 대하여 일정 기간 동안 통행한 빈도 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등록 또는 삭제를 처리하는 주행 경로의 등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중간 구간에 해당하는 시설물에 대하여 정보 조회가 가능하고 상기 시설물을 경유하는 차량 주행 경로의 탐색 요청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구간별 신호등 유무, 제한속도, 일방 통행과 관련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 또는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차량 주행 경로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 주행 경로의 탐색이 요청되면 상기 요청과 함께 입력받은 출발지, 목적지 또는 시설물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검색하며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는, 외부의 지도 서버와 연계하여 지도 맵 정보를 제공하는 지도 제공부; 구간별 신호등 유무, 제한속도, 일방 통행과 관련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 또는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를 입력받고 상기 지도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지도 맵 정보와 함께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신규 경로 등록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경로의 탐색이 요청되면 상기 요청과 함께 입력받은 출발지, 목적지 또는 시설물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지도 제공부로 전달하는 경로 탐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은, 경로 탐색 화면을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의 검색 및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중간 구간에 해당하는 시설물에 대하여 정보 조회가 가능하고,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시설물에 대응하는 차량 주행 경로의 탐색을 요청하는 경로 탐색 요청부; 상기 경로 탐색 요청부의 요청에 의해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를 수신하여 표시부로 지도 맵 정보와 매칭하여 제공하는 주행 경로 수신부; 및 구간별 신호등 유무, 제한속도, 일방 통행과 관련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 또는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를 입력받아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로 등록 요청하는 신규 주행 경로 등록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방법은,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가 외부의 지도 서버와 연계하여 지도 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가 구간별 신호등 유무, 제한속도, 일방 통행과 관련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 또는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를 입력받고 상기 지도 맵 정보와 함께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중간 구간에 해당하는 시설물에 대하여 입력받고 입력받은 구간에 대한 차량 주행 경로의 탐색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상기 시설물에 대응하는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가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지도 맵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에서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경로 탐색 화면에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중간 구간에 해당하는 시설물에 대하여 정보를 조회하고 원하는 시설물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설정한 출발지, 목적지, 시설물에 대응하는 차량 주행 경로의 탐색을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요청에 의해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부에 지도 맵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구간별 신호등 유무, 제한속도, 일방 통행과 관련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 또는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를 입력받으면 상기 서버에 신규 경로로 등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차량 주행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여 일반 지도 맵 정보에서 탐색되지 않은 경로, 신호등 유무, 일방 통행 등을 포함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까지 반영함으로써 경로 탐색 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차량 주행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주행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차 막힘이나 사고 발생 시 우회할 수 있는 다른 경로를 제공해 줌으로써 경로 탐색 서비스의 질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주행 경로를 탐색할 때 중간 시설물을 위주로 경로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 위주의 경로 탐색을 통한 사용자의 편이성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갱신된 차량 주행 경로 또는 기 등록된 차량 주행 경로에 대하여 일정 시간 동안 통행한 빈도 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등록 또는 삭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차량 주행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차량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인터페이스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경로 등록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최적의 주행 경로와 네이버지도의 추천경로를 비교한 지도화면의 예.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이하,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200)을 매개로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300)이 서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주행하고자 하는 출발지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구간에 대하여 사용자 경험에 기반하여 최적화된 차량 주행 경로를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 경험이란 사용자 즉, 운전자가 직접 통행한 이력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차량 주행 경로는 현재 차량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경로가 될 수 있고 또는 검색 과정을 통해 획득한 주행 경로로 과거에 통행한 이력이 있는 경로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300)이 이동하는 주행 경로를 추적하고 추적한 주행 경로를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주행 경로로 등록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의 경험에 기초한 경로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고, 구간별로 신호등 유무, 제한 속도, 일방 통행 등에 대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경로 탐색 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경험 기반 데이터, 차량 주행 도로 규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운전자에게 최적화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주로 스마트 폰, 패블릿(phablet), 태블릿(tablet) 등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PC, 노트북, TV 등 본 발명의 경로 탐색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거나 서버에 접속하여 경로 탐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통신망(200)은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300)간 통신 방식에 따라 2G, 3G, 4G, WiBro, WiMax, LTE 등 다양한 세대의 이동 통신망, 무선랜(WLAN) 또는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망,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 등을 포함한 근거리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 이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지도 제공부(110), 위치 정보 제공부(120), 경로 탐색부(130), 시설물 정보 조회 및 등록부(140), 신규 경로 등록부(150),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한다.
지도 제공부(110)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외부의 지도 서버(400)와 연계하여 지도 맵 정보를 제공한다.
위치 정보 제공부(120)는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ystem: LBS)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한 위치를 외부의 지도 서버(400)와 연계하여 지도 맵 정보 상에 표시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측정은 그 대상이 사용자 단말일 수 있고, 또는 시설물 정보 등록 시 입력받은 위치 좌표값이나 주소지 등을 근거로 한 시설물이 될 수 있다.
시설물 정보 조회 및 등록부(140)는 지도 제공부(110)에서 제공하는 지도 맵 정보와 매칭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중간 구간에 해당하는 시설물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시설물 정보 조회 및 등록부(140)는 데이터베이스(170)에 존재하지 않는 시설물에 대하여 건물명, 연락처, 위치 좌표값, 주소지 등을 포함한 시설물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0)는 지도 서버(400)에 존재하지 않는 주행 도로 정보 및 주행 도로의 구간별 신호등 유무, 제한 속도, 일방 통행 등에 관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70)는 시설물 정보 조회 및 등록부(140)에서 입력받은 시설물 정보를 저장한다.
경로 탐색부(130)는 출발지 및 목적지 설정을 위한 경로 탐색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경로 탐색 화면으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의 구간 설정과 함께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 주행 경로의 탐색이 요청되면 경로 탐색부(130)가 입력받은 출발지, 목적지 또는 시설물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경로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를 지도 제공부(110)로 전달하여 지도 맵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한다.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차량 주행 경로가 반영되어 있다. 또한, 구간별 신호등 유무, 제한 속도, 일방 통행 등에 관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 정보가 반영되어 있다.
예컨대, 일방 통행이 있는 경우 경로 탐색부(130)는 출발지, 목적지, 시설물에 대응되는 주행 경로에서 단축 경로에 일방 통행이 있는 경우 이를 우선순위로 탐색할 수 있다.
또는, 경로 탐색부(130)가 최적의 단축 경로를 탐색하는데 신호등 유무, 제한속도 등을 고려하여 검색할 수 있다.
신규 경로 등록부(150)는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를 입력받고 지도 제공부(110)에서 제공하는 지도 맵 정보와 함께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170)에 등록한다.
이때,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는 신규 시설물의 정보를 등록할 때 시설물을 경유하는 경로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는 주행 경로를 획득하여 획득한 주행 경로를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신규 경로 등록부(150)는 도로 구간별 신호등 유무, 제한 속도, 일방 통행 등에 관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70)에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간내 학교 주변 도로의 경우 어린이보호구역인지 여부와 어린이보호구역의 경우 제한속도가 30km/h 이하로 제한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70)에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임의 구간에서 일반 주행 도로를 우회하는 도로에 대하여 일방 통행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70)에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신규 경로 등록부(150)는 입력받은 신규 경로에 대하여 일정 기간 동안 주행하는 빈도 수를 체크하여 빈도 수가 일정 임계값 이상인 여부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70)로의 등록 또는 삭제를 처리한다. 이처럼, 신규 경로 등록부(150)는 입력받은 신규 주행 경로에 대하여 모두 데이터베이스화를 수행하지 않고 일정 사용 빈도수가 있는 경로에 한하여 등록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차량 주행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여 일반 지도 맵 정보에서 탐색되지 않은 경로를 반영하고, 도로 구간별 신호등 유무, 제한 속도, 일방 통행 등에 관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경로 탐색 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차량 주행 경로를 제공한다. 특히 사용자의 주행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함은 물론, 기존에는 차량 주행 도로로 등록되지 않았으나 새로 갱신되는 도로 규정 정보에 의해 차량 주행 도로로 등록하여 경로 탐색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사용자 단말(300)은 기본적으로 입력부(310), 앱 구동부(320), 표시부(330)를 포함하고, 앱 구동부(320)와 연동하여 각 동작을 수행하는 경로 탐색 요청부(340), 주행 경로 수신부(350), 신규 주행 경로 등록 요청부(360)를 포함한다.
입력부(310)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입력부(310)는 키패드 형태일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과 같이 터치 입력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입력부(310)는 표시부(3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앱 구동부(320)는 경로 탐색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입력부(3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인터페이스한다.
경로 탐색 요청부(340)는 도 4에서 도시한 예시 화면과 같이 표시부(330)에 경로 탐색 화면을 제공하고, 제공된 경로 탐색 화면을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원하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받는다(도 4의 (a)참조). 이때, 출발지 및 목적지는 주소나 건물 또는 상호명 등을 직접 입력하는 방법, 지도 맵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말의 현 위치를 출발지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경로 탐색 요청부(340)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중간 구간에 해당하는 시설물의 정보 조회가 가능하도록 제공하며 조회를 통해 시설물의 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도 4의 (b)참조). 그러면, 경로 탐색 요청부(340)는 입력받은 출발지와 목적지, 시설물에 대응하는 차량 주행 경로의 탐색을 서버(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로 요청한다.
주행 경로 수신부(350)는 경로 탐색 요청부(340)의 요청에 의해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를 수신하여 표시부(330)로 지도 맵 정보와 매칭하여 제공한다.
신규 주행 경로 등록 요청부(360)는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를 입력받아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로 등록을 요청한다.
이때, 신규 주행 경로 등록 요청부(360)는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동하여 단말의 이동에 따른 차량 주행 경로를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로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신규 주행 경로 등록 요청부(360)가 경로 탐색 요청부(340)의 요청에 의해 검색된 주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주행 경로 등록 요청부(360)는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동하여 차량 주행 경로를 획득할 때,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해 추적한 단말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의 경로에 대해서만 차량 주행 경로로 획득하고, 일정 속도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는 보행자 경로로 간주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300)에서 차량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 경험 기반의 경로 탐색을 위해 신규 경로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S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단말에 설치된 경로 탐색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다음 S11 및 S12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지도 맵 정보를 요청하고,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외부의 지도 서버와 연계하여 지도 맵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한다.
이후 S1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지도 맵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등록 화면으로 한정하였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등록 화면이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것인 바 경로 탐색을 위한 화면과 함께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 S1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에 위치하는 신규 시설물이 있는 경우 지도 맵 정보 상에서 시설물의 위치를 조회하고 시설물과 관련한 정보를 입력한다. 또는, 사용자 단말(300)이 신규 시설물에 대한 건물명, 연락처, 위치 좌표값, 주소지 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받으면 지도 맵 정보와 매칭하여 해당 위치에 신규 시설물을 표시하고 입력받은 시설물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후 S1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입력받은 시설물 정보를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전송하여 시설물 정보의 등록을 요청한다.
이후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신규 시설물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는 신규 경로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 경험 기반의 신규 경로를 등록하는 과정을 거친다.
등록 과정의 일 예로, 앞서 단계에서 신규 시설물의 정보 등록으로 새롭게 생성된 주행 경로를 신규 경로로 등록할 수 있다.
즉, S16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출발지, 목적지, 시설물의 정보를 입력받아 경로 탐색을 위한 조건을 설정한다.
다음 S17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입력받은 출발지, 목적지, 시설물에 대응하는 차량 주행 경로를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탐색 요청한다.
다음 S18 단계에서,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받은 조건에 대응하는 차량 주행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를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한다.
다음 S19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차량 주행 경로를 지도 맵 정보와 매칭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확인한다.
다음 S2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표시한 차량 주행 경로를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하여 신규 경로로 등록을 요청한다.
한편, 등록 과정의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300)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말이 이동하는 차량 주행 경로를 획득하고 획득한 차량 주행 경로를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하면서 신규 경로로 등록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온, 오프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하면 위치 정보 제공에 동의한 경우에 한하여 자동 위치 기반 서비스가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말이 이동하는 차량 주행 경로를 획득할 때,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해 추적한 단말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의 경로에 대해서만 차량 주행 경로로 획득할 수 있다. 일정 속도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는 보행자 경로로 간주할 수 있다.
이후 S21 단계에서,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등록 요청을 받은 신규 경로에 대하여 일정 기간 동안 주행하는 빈도 수를 체크할 수 있다.
체크 이후 S22 단계에서,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일정 기간 동안 신규 경로를 주행하는 빈도 수가 일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일반 통행로로 등록을 처리한다. 빈도 수가 일정 임계값 미만이면 데이터베이스로 등록된 정보를 삭제 처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초기에는 주행로로 등록되지 않아 그 도로가 통행로로 등록되지 않더라도 다수의 사용자가 그 도로를 통행할 경우 빈도 수가 높아져서 일반 통행로로 반영한다. 반대로, 이전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통행로이거나, 처음에는 통행로가 아니었지만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통행로로 지정된 경우라도 일정 기간 동안 통행이 없으면 통행로 정보에서 삭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S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단말에 설치된 경로 탐색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다음 S2 및 S3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지도 맵 정보를 요청하고,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외부의 지도 서버와 연계하여 지도 맵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한다.
이후 S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지도 맵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탐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S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경로 탐색을 위한 출발지, 목적지를 검색하여 지정한다. 지정 방법은 출발지, 목적지의 주소 또는 건물명, 상호명을 직접 입력하여 검색을 통해 추출된 지점을 선택하는 방법, 지도 맵 정보 상에서 해당 위치를 선택하는 방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이후 S6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시설물 정보 조회 화면을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중간 구간에 해당하는 시설물의 정보를 조회하여 원하는 중간 구간을 지정할 수 있다.
다음 S7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출발지, 목적지, 시설물에 대응하는 경로 탐색을 요청한다.
다음 S8 단계에서,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구간에서 해당 시설물을 경유하는 차량 주행 경로를 검색한다. 이때, 사용자의 경험 및 차량 주행 도로 규정 정보에 기반한 차량 주행 경로에 기초하여 검색할 수 있다.
다음 S9 및 S10 단계에서,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300)에게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300)은 제공받은 차량 주행 경로를 화면에 지도 맵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한다. 예컨대, 표시된 화면은 도 7 및 도 8에서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출발지 '중앙도서관'에서 목적지 '행복원룸'까지 구간에서의 추천 경로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출발지 '중앙도서관'에서 목적지 '기계공작실습실'까지의 추천 경로를 보여주고 있다.
각 구간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학습 경로와 네이버 지도의 추천 경로를 비교하면 아래의 표 1과 같이 전체적으로 14%~16% 추천 거리가 단축된 것을 알 수 있다.
출발지 목적지 네이버(m) 학습(m) 거리차 단축율
중앙도서관 행복원룸 1630 1400 230 14.11
중앙도서관 기계공작실습실 1100 918 182 16.55
한편,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서의 제공 방법을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예컨대, 기록 매체는 각 재생 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
200: 통신망 300: 사용자 단말
400: 지도 서버 110: 지도 제공부
120: 위치 정보 제공부 130: 경로 탐색부
140: 시설물 정보 조회 및 등록부
150: 신규 경로 등록부 170: 데이터베이스
310: 입력부 320: 앱 구동부
330: 표시부 340: 경로 탐색 요청부
350: 주행 경로 수신부 360: 신규 주행 경로 등록 요청부

Claims (19)

  1.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중간 구간에 해당하는 시설물에 대하여 정보 조회가 가능하고 상기 시설물을 경유하는 차량 주행 경로의 탐색 요청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구간별 신호등 유무, 제한속도, 일방 통행과 관련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 또는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차량 주행 경로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 주행 경로의 탐색이 요청되면 상기 요청과 함께 입력받은 출발지, 목적지 또는 시설물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검색하며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동하여 단말의 이동에 따른 차량 주행 경로를 획득하고, 획득한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차량 주행 경로로 간주하여 상기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
  3. 외부의 지도 서버와 연계하여 지도 맵 정보를 제공하는 지도 제공부;
    구간별 신호등 유무, 제한속도, 일방 통행과 관련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 또는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를 입력받고 상기 지도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지도 맵 정보와 함께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신규 경로 등록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경로의 탐색이 요청되면 상기 요청과 함께 입력받은 출발지, 목적지 또는 시설물에 대응되는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지도 제공부로 전달하는 경로 탐색부
    를 포함하는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지도 맵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중간 구간에 해당하는 시설물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시설물에 대하여 건물명, 연락처, 위치 좌표값을 포함한 시설물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시설물 정보 조회 및 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경로 등록부는
    입력받은 신규 경로에 대하여 일정 기간 동안 주행하는 빈도 수를 체크하여 상기 빈도 수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의 등록 또는 삭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
  6. 경로 탐색 화면을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의 검색 및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중간 구간에 해당하는 시설물에 대하여 정보 조회가 가능하고,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시설물에 대응하는 차량 주행 경로의 탐색을 요청하는 경로 탐색 요청부;
    상기 경로 탐색 요청부의 요청에 의해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를 수신하여 표시부로 지도 맵 정보와 매칭하여 제공하는 주행 경로 수신부; 및
    구간별 신호등 유무, 제한속도, 일방 통행과 관련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 또는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를 입력받아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로 등록 요청하는 신규 주행 경로 등록 요청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입력부로부터 애플리캐이션의 실행이 요청되면 경로 탐색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앱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 탐색 요청부, 상기 주행 경로 수신부, 상기 신규 주행 경로 등록 요청부는 상기 앱 구동부와 연동하여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주행 경로 등록 요청부는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동하여 단말의 이동에 따른 차량 주행 경로를 획득하고 획득한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주행 경로 등록 요청부는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동하여 단말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인 경우에 해당되는 경로에 대해서만 차량 주행 경로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주행 경로 등록 요청부는
    상기 경로 탐색 요청부의 요청에 의해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1.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가 외부의 지도 서버와 연계하여 지도 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가 구간별 신호등 유무, 제한속도, 일방 통행과 관련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 또는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를 입력받고 상기 지도 맵 정보와 함께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중간 구간에 해당하는 시설물에 대하여 입력받고 입력받은 구간에 대한 차량 주행 경로의 탐색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상기 시설물에 대응하는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가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지도 맵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행 경로의 탐색을 요청받는 단계 이전에,
    상기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의 검색, 상기 시설물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원하는 시설물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시설물의 건물명, 연락처, 위치 좌표값을 포함한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 탐색 서비스 제공 서버가 입력받은 신규 경로에 대하여 일정 기간 동안 주행하는 빈도 수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빈도 수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의 등록 또는 삭제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별 신호등 유무, 제한속도, 일방 통행과 관련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갱신되거나,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방법.
  15. 사용자 단말이 경로 탐색 화면에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중간 구간에 해당하는 시설물에 대하여 정보를 조회하고 원하는 시설물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설정한 출발지, 목적지, 시설물에 대응하는 차량 주행 경로의 탐색을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요청에 의해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부에 지도 맵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구간별 신호등 유무, 제한속도, 일방 통행과 관련한 차량 주행 도로 규정 또는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를 입력받으면 상기 서버에 신규 경로로 등록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주행 경로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동하여 단말의 이동에 따른 차량 주행 경로를 획득하고, 획득한 차량 주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주행 경험에 기반한 신규 경로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요청에 의해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가 상기 서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요청에 의해 검색된 차량 주행 경로를 신규 경로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방법.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한의 방법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183583A 2014-12-18 2014-12-18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629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583A KR101629857B1 (ko) 2014-12-18 2014-12-18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583A KR101629857B1 (ko) 2014-12-18 2014-12-18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857B1 true KR101629857B1 (ko) 2016-06-13

Family

ID=5619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583A KR101629857B1 (ko) 2014-12-18 2014-12-18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8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978A (ko) 2017-04-11 2018-10-2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V2x 기반 동적 통행 배정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9353222A (zh) * 2018-08-28 2019-02-19 河南速达电动汽车科技有限公司 电动汽车准备用车模式的控制方法
KR20220001275A (ko) * 2020-06-29 2022-01-05 (주)뉴빌리티 사용자의 경험 데이터를 이용한 소형 모빌리티용 경로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464A (ko) * 2006-03-06 2007-09-1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다중 구간 탐색방법
KR20100048944A (ko) * 2008-10-30 2010-05-11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경로 탐색 장치 및 정보 관리 서버
JP2012063260A (ja) * 2010-09-16 2012-03-29 Denso Corp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464A (ko) * 2006-03-06 2007-09-1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다중 구간 탐색방법
KR20100048944A (ko) * 2008-10-30 2010-05-11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경로 탐색 장치 및 정보 관리 서버
JP2012063260A (ja) * 2010-09-16 2012-03-29 Denso Corp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978A (ko) 2017-04-11 2018-10-2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V2x 기반 동적 통행 배정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9353222A (zh) * 2018-08-28 2019-02-19 河南速达电动汽车科技有限公司 电动汽车准备用车模式的控制方法
KR20220001275A (ko) * 2020-06-29 2022-01-05 (주)뉴빌리티 사용자의 경험 데이터를 이용한 소형 모빌리티용 경로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63687B1 (ko) * 2020-06-29 2022-02-16 (주)뉴빌리티 사용자의 경험 데이터를 이용한 소형 모빌리티용 경로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566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avigation guidance via proximate devices
US9068846B1 (en) Systems,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to provide building information to on-site mobile-devices
EP30484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levant point of interest on a multi-modal route
US201700692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lternative route based on traffic light status
JP5560229B2 (ja) 経路探索システム及び経路探索方法
CN105403224A (zh) 用于收集导航系统中兴趣点的装置、系统和方法
US112872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recommended vehicle parking or stopping location based on a next destination
CN104380815A (zh) 使用代理位置服务器的室内位置服务器供应和发现
KR101665655B1 (ko) 사용자 경험 기반의 보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629857B1 (ko)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US9400184B2 (en) Method for preparing and displaying timetable information
US97063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ssociation between a location and a user
JP2013156096A (ja) 情報共有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共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07120B1 (ko) 경로 탐색 방법, 장치 및 서버
US20210180978A1 (en) Facility information display system, facility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facility information display program
JP5913250B2 (ja) 発信機、測位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2009002784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その検索方法及び検索プログラム
CN109672972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系统和存储程序的非暂时性存储介质
JP6847000B2 (ja) 経路探索装置及び経路探索方法
KR101612933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관리 서버 및 이들의 제어 방법
KR102192724B1 (ko) 경로 안내 방법
KR101587976B1 (ko) 위치인식 기반의 동영상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
KR101105145B1 (ko) 서버,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교통 정보 제공 방법
KR101712798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들의 동작 방법
JP2017219445A (ja) 案内情報表示装置、案内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