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515B1 -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515B1
KR101628515B1 KR1020140152520A KR20140152520A KR101628515B1 KR 101628515 B1 KR101628515 B1 KR 101628515B1 KR 1020140152520 A KR1020140152520 A KR 1020140152520A KR 20140152520 A KR20140152520 A KR 20140152520A KR 101628515 B1 KR101628515 B1 KR 101628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or
fuel tank
time
determination step
tank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4072A (ko
Inventor
김희섭
박종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515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sensors or parameter dete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은 연료탱크 압력센서의 고장진단에 필요한 변수값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변수값에 기반하여 고장진단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판단단계 수행결과, 고장진단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연료탱크 압력에 따라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와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를 수행하며,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 및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 수행결과, 제1 오진단조건과 제2 오진단조건을 불만족하면 고장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Method for detecting error of pressure sensor in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압력센서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기 환경 보호를 위해 가솔린 차량의 경우 연료 시스템(Evaporation System) 및 테일 파이프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에 대한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 그 중 연료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는 주로 연료 탱크와 관련이 된다.
북미/국내 가솔린 차량은 연료 탱크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줄이기 위해 연료 시스템에 대한 리크 모니터링을 실시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연료 시스템에 탱크 압력센서가 필요하게 되었다. 정확한 연료 시스템 리크 진단을 위해 연료탱크의 압력센서에 대한 고장진단 관련 항목들(Circuit/Stuck/Drift)이 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가솔린 차량의 연료 탱크 압력값은 연료 성상(증발압 특성) 및 연료온도, 차량상태(연료유동, 캐니스터 통기저항 상태)에 따라 변화의 폭이 크기 때문에, 일반적인 주행 조건하에서 탱크압력 센서 출력값이 기준값을 얼마나 벗어나는지 정확히 판단하기가 힘들다. 그래서 신뢰가 확보된 출력값을 얻기 위해 일정 시간 소킹단계를 수행한 후 시동 온(ON)하고 탱크 압력값이 기준값을 벗어나는지 판단함으로써 고장진단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동절기 증발특성이 높은 연료를 주유한 후 상대적으로 외기온이 높은 장소에서 소킹단계를 수행하는 상황, 연료 주유 중이거나 주유한 후 압력해소 이전에 시동 온(ON)이 되는 상황, 시동 수온, 시동 흡기온이 높은 상황 또는 연료 과다 주유 후 롤 오버 밸브(ROV:Roll Over Valve)가 막힌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인 경우 정상적인 압력센서를 고장센서로 오진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0-0046490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연료탱크 압력센서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들을 수신하여 고장진단을 수행함으로써 고장진단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은 연료탱크 압력센서의 고장진단에 필요한 변수값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수값에 기반하여 고장진단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단계 수행결과, 고장진단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연료탱크 압력에 따라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와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를 수행하며,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 및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 수행결과, 상기 제1 오진단조건과 제2 오진단조건을 불만족하면 고장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변수값들은 소킹시간, 시동 냉각수온, 시동 흡기온, 연료레벨 및 대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장진단조건은, 소킹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이고 시동 냉각수온, 시동 흡기온, 연료레벨 및 대기압이 각각 기설정된 구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와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는, 상기 연료탱크 압력이 압력 상한치보다 클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는 차속이 제1 차속을 초과하여 누적되는 제1 타이머의 시간이 제1 시간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이머의 시간이 제1 시간 미만인 경우, 시동흡기온과 현재 흡기온의 차이가 제1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이가 제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오진단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는 상기 제1 타이머의 시간이 제1 시간 이상인 경우, 제1 오진단조건을 불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는 차속이 제2 차속일 때 누적되는 제2 타이머의 시간이 제2 시간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타이머의 시간이 제2 시간 미만인 경우, 현재 연료레벨과 시동 전 연료레벨의 차이가 제2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이가 제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오진단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는 상기 제2 타이머의 시간이 제2 시간 이상인 경우, 제2 오진단조건을 불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를 수행할 시, 차속이 제1 차속 이하이면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를 수행할 시, 차속이 제2 차속 이상이면 상기 변수값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를 수행할 시, 시동 흡기온과 현재 흡기온의 차이가 제1 기준값 이하이면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를 수행할 시, 현재 연료레벨과 시동 전 연료레벨의 차이가 제2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변수값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변수값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시, 제1 타이머 및 제2 타이머의 누적시간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에 따르면 다양한 외부 환경(연료성상, 외기온, 고도)과 진단 조건(주유, 연료레벨 상태)에 따라 고장진단을 수행함으로써 정확한 고장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압력센서의 정확한 고장진단이 가능해짐으로써 오진단으로 인한 불편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장치는 연료탱크에 마련되어 연료탱크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센서(110); 상기 압력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연료탱크 압력값에 따라 압력센서(110)의 고장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120); 상기 제어기(120)로부터 고장신호를 입력받을 시 점멸되는 표시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기(120)는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ECU)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기(120)는 압력센서(110)의 고장진단을 위해 필요한 인자인 변수값들을 차량의 압력센서, 온도센서, 레벨센서, 차속센서, 타이머 및 대기압센서 등으로부터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은 연료탱크 압력센서의 고장진단에 필요한 변수값들을 수신하는 단계(S200); 및 상기 변수값에 기반하여 고장진단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05);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단계(S205) 수행결과, 고장진단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연료탱크 압력에 따라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300)와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400)를 수행하며, 상기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300) 및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400) 수행결과, 제1 오진단조건과 제2 오진단조건을 불만족하면 고장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변수값들은 소킹시간, 시동 냉각수온, 시동 흡기온, 연료레벨 및 대기압일 수 있다. 고장진단조건은, 소킹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이고 시동 냉각수온, 시동 흡기온, 연료레벨 및 대기압이 각각 기설정된 구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연료탱크의 정밀한 압력값을 산출하기 위해 일정 시간 소킹작업을 수행한 후, 시동 온(ON)되었을 때의 압력센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압력센서의 고장여부를 진단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압력센서(110)의 고장진단방법의 경우 다양한 외부환경 및 운전조건으로 인해 정상적인 압력센서(110)를 고장이라고 오진단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특성값들에 기반하여 고장진단조건을 판단함으로써 정확한 압력센서(110)의 고장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고장진단조건으로 소킹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이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연료 시스템이 안정적인 상태에서 고장진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동 냉각수온 또는 시동 흡기온이 높은 경우에는 연료의 증발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압력센서(110)가 고장상태로 진단될 수 있다. 따라서, 고장진단조건으로 시동 냉각수온과 시동 흡기온이 안정된 기설정된 범위 구간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함으로써 정확한 압력센서(110)의 고장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장진단조건으로 대기압이 기설정된 범위 구간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함으로써 안정적인 압력센서()의 고장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료가 과다 주유되면 롤오버밸브(Roll Over Valve:ROV)를 막아 통기저항 증대로 인한 압력센서 고장오진단이 발생할 수 있다(S205). 따라서, 고장진단조건으로 연료레벨이 안정된 기설정된 범위 구간내에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압력센서(110)의 고장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고장진단조건을 불만족하는 경우에는 압력센서의 고장진단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하여 본 제어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압력센서(110)의 고장진단조건을 외부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함으로써 압력센서(110)의 오진단이 발생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300)와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400)는, 상기 연료탱크 압력이 압력 상한치보다 클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압력센서(110)로부터 측정된 연료탱크 압력이 정압방향으로 드리프트(Drift)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시점의 값을 압력 상한치로 설정하고, 부압방향으로 드리프트(Drift)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시점의 값을 압력 하한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압력센서(110)로부터 측정된 연료탱크 압력이 압력 상한치보다 클 경우에는 정압방향으로 드리프트(Drift)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하는데, 이 경우에 본 발면은 정압방향 드리프트(Drift) 고장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300)와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400)를 수행한다.
또한, 연료탱크 압력이 압력 상한치보다 작은 경우, 연료탱크 압력을 압력 하한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15). 만약, 연료탱크 압력이 압력 하한치보다 작으면 부압방향으로 드리프트(Drift) 고장이 발생한다고 판단하여 바로 압력센서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다(S220). 반면 연료탱크 압력이 압력 상한치보다 작고 압력 하한치보다 큰 경우이면 압력센서(1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하여 압력센서가 정상상태라고 진단할 수 있다(S225).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300)는 차속이 제1 차속을 초과하여 누적되는 제1 타이머의 시간이 제1 시간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315); 및 상기 제1 타이머의 시간이 제1 시간 미만인 경우, 시동흡기온과 현재 흡기온의 차이가 제1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20)를 포함하고, 상기 차이가 제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오진단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S330). 제1 오진단조건이 만족된 경우라면 압력센서(110)가 오진단된 상황이라고 판단하여 표시장치(130)에 고장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S340).
종래에는, 증발특성이 높은 동절기 연료가 차량에 주유되고, 상대적으로 외기온이 높은 장소에서 소킹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높은 증발특성으로 인해 정압방향으로 압력센서(110)의 드리프트(Drift) 고장이 진단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300)를 통해 차속이 특정 값 이상인 상태로 충분히 주행될 때까지 시동 흡기온 대비 현재 흡기온이 제1 기준값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즉, 차량이 충분하게 주행하여 흡기온이 안정된 상태로 변화하였을 때 압력센서(110)의 고장을 진단함으로써 정확한 압력센서의 고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증발 특성이 높은 연료 주유 후 높은 외기온으로 인하여 증발압 상승함으로써 압력센서(110)의 고장오진단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300)는 차속이 제1 차속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S305), 제1 타이머의 누적시간을 증가하는 단계(S31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타이머의 시간이 제1 시간 이상인 경우에 제1 오진단조건을 불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S325).
즉,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300)를 수행하였지만, 제1 타이머의 누적시간이 제1 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시동 흡기온과 현재 흡기온의 차이값이 제1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라면 실제 연료탱크의 압력센서(110)에 정압방향으로 드리프트(Drift)고장이 발생한 상황이기 때문에 제1 오진단조건을 불만족하는 것으로(S325) 고장신호를 표시장치(130)로 출력한다(S335).
또한,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400)는 차속이 제2 차속일 때 누적되는 제2 타이머의 시간이 제2 시간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415); 및 상기 제2 타이머의 시간이 제2 시간 미만인 경우, 현재 연료레벨과 시동 전 연료레벨의 차이가 제2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420)를 포함하고, 상기 차이가 제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오진단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S430). 제2 오진단조건이 만족된 경우라면 압력센서(110)가 오진단된 상황이라고 판단하여 표시장치(130)에 고장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S440).
이는 주유 판정 조건으로써 종래에 연료 주유 중 또는 주유 후 압력해소가 발생하기 전에 시동이 온(ON)되어 압력센서(110) 고장 오진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건이다.
즉,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400)를 통해, 차속이 특정차속 미만으로 유지될 때의 연료레벨과 이전 시동 오프(OFF)일 때의 연료레벨을 비교함으로써 차량의 주유유무를 판단하여 압력센서(110)의 고장진단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주유가 이루어져 현재 연료레벨과 시동 전 연료레벨의 차이가 제2 기준값을 초과하게 되면 시동 전 주유가 이루어져 압력센서(110)의 센싱값이 불안정하다고 판단하여 압력센서(110)의 고장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S440).
여기서,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400)는 차속이 제2 차속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S405), 제2 타이머의 누적시간을 증가하는 단계(S41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타이머의 시간이 제2 시간 이상인 경우에 제2 오진단조건을 불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S425).
즉,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400)를 수행하였지만, 제2 타이머의 누적시간이 제2 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현재 연료레벨과 시동 전 연료레벨의 차이가 제2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라면 실제 연료탱크의 압력센서(110)에 정압방향으로 드리프트(Drift)고장이 발생한 상황이기 때문에 제2 오진단조건을 불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S425) 표시장치(130)로 고장신호를 출력한다(S435).
한편, 상기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300)를 수행할 시, 차속이 제1 차속 이하이면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400)를 수행하고, 상기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400)를 수행할 시, 차속이 제2 차속 이상이면 상기 변수값들을 수신하는 단계(S20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차속이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300)를 수행할 수 없는 속도이고,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400)도 수행할 수 없는 속도라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변수값들을 수신하는 단계(S200)를 수행함으로 다시 압력센서(110)의 고장진단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300)를 수행할 시, 시동 흡기온과 현재 흡기온의 차이가 제1 기준값 이하이면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400)를 수행하고, 상기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400)를 수행할 시, 현재 연료레벨과 시동 전 연료레벨의 차이가 제2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변수값들을 수신하는 단계(S20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300)와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400) 수행으로 제1 오진단조건과 제2 오진단조건의 만족 여부가 도출되지 않은 경우라면 다시 제1 오진단조건과 제2 오진단조건의 만족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변수값들을 수신하는 단계(S200)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300)와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400)의 수행순서를 서로 바꾸더라도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S300,S400) 간의 수행순서에 있어서 한정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다시 변수값들을 수신하는 단계(S200)를 수행할 경우에는 제1 타이머 및 제2 타이머의 누적시간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S230). 이로 인해, 일정시간동안 제1 오진단조건과 제2 오진단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압력센서(110)가 실제 고장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에 따르면 다양한 외부 환경(연료성상, 외기온, 고도)과 진단 조건(주유, 연료레벨 상태)에 따라 고장진단을 수행함으로써 정확한 고장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압력센서의 정확한 고장진단이 가능해짐으로써 오진단으로 인한 불편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10: 압력센서 120: 제어기
130: 표시장치

Claims (11)

  1. 연료탱크 압력센서의 고장진단에 필요한 변수값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수값에 기반하여 고장진단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단계 수행결과, 고장진단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연료탱크 압력에 따라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와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 및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 수행결과, 제1 오진단조건과 제2 오진단조건을 불만족하면 고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는 차속이 제1 차속을 초과하여 누적되는 제1 타이머의 시간이 제1 시간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이머의 시간이 제1 시간 미만인 경우, 시동흡기온과 현재 흡기온의 차이가 제1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이가 제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오진단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값들은 소킹시간, 시동 냉각수온, 시동 흡기온, 연료레벨 및 대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진단조건은, 소킹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이고 시동 냉각수온, 시동 흡기온, 연료레벨 및 대기압이 각각 기설정된 구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와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는, 상기 연료탱크 압력이 압력 상한치보다 클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는 상기 제1 타이머의 시간이 제1 시간 이상인 경우, 제1 오진단조건을 불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는 차속이 제2 차속 미만일 때 누적되는 제2 타이머의 시간이 제2 시간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타이머의 시간이 제2 시간 미만인 경우, 현재 연료레벨과 시동 전 연료레벨의 차이가 제2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이가 제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오진단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는 상기 제2 타이머의 시간이 제2 시간 이상인 경우, 제2 오진단조건을 불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를 수행할 시, 차속이 제1 차속 이하이면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를 수행할 시, 차속이 제2 차속 이상이면 상기 변수값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를 수행할 시, 시동 흡기온과 현재 흡기온의 차이가 제1 기준값 이하이면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2 오진단조건 판단단계를 수행할 시, 현재 연료레벨과 시동 전 연료레벨의 차이가 제2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변수값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값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시, 제1 타이머 및 제2 타이머의 누적시간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KR1020140152520A 2014-11-05 2014-11-05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KR101628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520A KR101628515B1 (ko) 2014-11-05 2014-11-05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520A KR101628515B1 (ko) 2014-11-05 2014-11-05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072A KR20160054072A (ko) 2016-05-16
KR101628515B1 true KR101628515B1 (ko) 2016-06-09

Family

ID=5610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520A KR101628515B1 (ko) 2014-11-05 2014-11-05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5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174B1 (ko) * 2011-11-29 2013-05-0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자동차의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909B1 (ko) * 2001-11-07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증발가스 시스템의 리크 오판정 제어 방법
KR20100046490A (ko) 2008-10-27 2010-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탱크 압력센서 진단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174B1 (ko) * 2011-11-29 2013-05-0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자동차의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072A (ko)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3467B2 (en) Device for detecting response characteristics of sensor
US9416694B2 (en) Crankcase integrity breach detection
US9695782B2 (en) Abnormality diagnosis device for evaporated-gas purging system
US7878057B2 (en) System for detecting failures in fuel systems
JP4873378B2 (ja) 吸入空気量センサの異常診断装置
JP2007218122A (ja) 漏れ診断装置
CN104948323B (zh) 燃料供应系统的诊断装置
US7117729B2 (en) Diagnosis apparatus for fuel vapor purg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008898B2 (en) In-vehicle electronic control unit, diagnosis tool and diagnosis system
US83657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the tightness of a fuel tank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20123134A (ko) 연료의 탈기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유닛
JP3669305B2 (ja) 燃料蒸気ガス処理装置
US7594427B2 (en) Rate-based monitoring for an engine system
US9945330B2 (en) Method for diagnosing a fuel tank vent valve
KR100858620B1 (ko) 자동차의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의 누설 진단 방법
JP2010174872A (ja) 内燃機関の二次空気供給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US6289880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of vapor purge system
KR101628515B1 (ko) 연료탱크 압력센서 고장 진단방법
US6738709B2 (en) Failure diagnostic system of evaporated fuel processing system
US9404463B2 (en) Method for performing evaporative emission system diagnostics on engines configured for stop-start operation
JP2019183775A (ja) エンジンオイル劣化判定方法及び車両動作制御装置
JP2009097347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7313132B2 (ja) インテークホース劣化判定方法及び車両動作制御装置
US20170335785A1 (en) Vehicle control device
KR102042817B1 (ko) Ffv 차량의 연료시스템 진단방법 및 이를 통해 운용되는 ffv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