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329B1 - 책장용 책꽂이 커버 - Google Patents

책장용 책꽂이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329B1
KR101628329B1 KR1020140072189A KR20140072189A KR101628329B1 KR 101628329 B1 KR101628329 B1 KR 101628329B1 KR 1020140072189 A KR1020140072189 A KR 1020140072189A KR 20140072189 A KR20140072189 A KR 20140072189A KR 101628329 B1 KR101628329 B1 KR 101628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ook
cover
bookcas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3110A (ko
Inventor
김다인
윤희
Original Assignee
김다인
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다인, 윤희 filed Critical 김다인
Priority to KR1020140072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329B1/ko
Publication of KR20150143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장의 각 층을 이루는 선반 상에 배치하여 책들을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가지런하게 진열할 수 있는 동시에 빈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는 책장용 책꽂이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책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각 층을 이루는 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된 책장용 책꽂이 커버로서, 수평면 및 이 수평면의 끝단에서 절곡된 수직면을 갖는 제1홀더와, 상기 제1홀더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홀더와, 상기 제1 및 제2홀더에 전면부에 여닫이 방식으로 장착되어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덮개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책장용 책꽂이 커버 {BOOK COVER OF BOOKSHELF}
본 발명은 책장용 책꽂이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장의 각 층을 이루는 선반 상에 배치하여 책들을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가지런하게 진열할 수 있는 동시에 빈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는 책장용 책꽂이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은 물론 회사 등지에 배치되어 있는 책장에는 학습 혹은 업무와 관련하여 다양한 책들이 비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책들은 대부분 책장의 선반 상에 보기 좋게 정리한 상태에서 필요할 때마다 책장에서 빼내어 사용하게 되며, 다 본 책들은 다시 책장 내에 수납하여 보관한다.
그런데, 책장에 책들이 빽빽하게 수납되어 있지 않고 책들을 꽂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넓게 남아 있는 경우에는 책들이 쓰러져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쓰러진 책의 무게로 인하여 책을 책꽂이에서 빼고 다시 수납하는 것이 쉽지 않고 또 다시 책을 보기 좋게 정리하여야 하는 등의 여러 불편함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이미 공지되어 있는 종래기술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440324호 공보에는 이동이 용이하고 책장 패널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도 상관없이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책장용 도서 분류 표지기"에 대해 기재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0446024호 공보에는 책장에 보관하는 책을 쓰러지지 않게 하여 책을 용이하게 빼고 제자리에 넣을 수 있는 동시에 책장의 일부 칸 내에 책을 종류별로 꽂아 놓을 수 있도록 한 "책장용 책꽂이 장치"에 대해 기재되어 있으며, 또 등록실용신안 제0455030호 공보에는 이동이 용이하며, 책장에 형성된 패널의 두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책장용 도서 분류 홀더"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은 단순히 책장에 배열된 도서를 분류하기 위한 인덱스 부착수단을 구비하거나 혹은 책장의 패널 두께에 관계없이 도서 분류를 재 구성하는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 책이 쓰러지지 않도록 종류별로 꽂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불과한 것들이다.
한편, 공개특허 제2012-0126713호나 제2013-0027619호 공보에는 책장과 천장 사이에 밀착되도록 끼워넣어 쓸모없이 낭비되는 책장 위의 빈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하는 동시에 책들이 쓰러지지 않도록 안정되게 지지해 줄 수 있는 "책장 쓰러짐 방지용 기능성 보조 책꽂이"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책장의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면에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기는 하지만 책꽂이에 일정 간격으로 칸막이가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치해야 할 책의 두께에 따라 칸막이 사이사이의 일 부분이 비어 여전히 외관을 해치게 되며, 책들이 책꽂이에 꽂혀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패널의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상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40324호(2008.06.02. 등록) 고안의 명칭: 책장용 도서 분류 표지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46024호(2009.09.10. 등록) 고안의 명칭: 책장용 책꽂이 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5030호(2011.08.05. 등록) 고안의 명칭: 책장용 도서 분류 홀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26713호(2012.11.21. 공개) 발명의 명칭: 책장 쓰러짐 방지용 기능성 보조 책꽂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27619호(2013.03.18. 공개) 발명의 명칭: 슬라이드 패널과 상부 패널을 구비한 책장 쓰러짐 방지용 기능성 보조 책꽂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장에 진열되는 책들의 두께에 폭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홀더를 구비함으로써, 책들이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 책들을 가지런하게 진열할 수 있으며, 선반에 빈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책장용 책꽂이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은 덮개를 홀더로부터 인출하여 전면부 개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인쇄층 혹은 스티커 등에 의해 외관을 임의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책장 외부에서 볼 때 책이 꽂혀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연출하는 등의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는 책장용 책꽂이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책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각 층을 이루는 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된 책장용 책꽂이 커버로서, 수평면 및 이 수평면의 끝단에서 절곡된 수직면을 갖는 제1홀더와, 상기 제1홀더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홀더와, 상기 제1 및 제2홀더에 여닫이 방식으로 장착되어 전면부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덮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홀더의 전면부 가장자리에는 보강철편이 부착되는 꺽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꺽임부에 대응하는 덮개의 가장자리에는 자석이 설치되어 상기 꺽임부와 덮개의 가장자리가 상기 자석에 의하여 상호 탈,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홀더는 수평면 및 이 수평면의 끝단에서 절곡된 수직면을 갖는 동시에 제1홀더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1홀더의 좌우 폭방향 넓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덮개의 중앙부 상측에 가로방향으로 긴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제1홀더의 일측 상,하단에는 절곡편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가 절곡편 내로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전면부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덮개의 표면에는 책이 꽂힌 형상의 모양이나 그림이 인쇄되어 책장 외부에서 볼 때 책이 꽂혀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책장용 책꽂이 커버에 의하면, 홀더를 분할 구성하여 폭방향 길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들의 진열되는 두께에 맞춰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가지런하게 진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책장의 선반 상에 빈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면부 덮개의 외관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임의로 책장의 진열 상태를 변경하여 새로운 변화를 추구함에 따라 장식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더구나, 덮개의 표면에 책이 꽂힌 형상의 모양이나 그림을 인쇄하여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장 외부에서 볼 때 책이 진열되어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장용 책꽂이 커버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책꽂이 커버의 전개도,
도 3은 책꽂이 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전체 분해 사시도,
도 4는 책꽂이 커버를 구성하는 홀더의 전개도,
도 5는 책꽂이 커버를 구성하는 덮개의 전개도,
도 6a, 도 6b는 책꽂이 커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7a, 도 7b는 책꽂이 커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장용 책꽂이 커버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책꽂이 커버의 전개도로서, 본 발명은 책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각 층을 이루는 선반(도시 생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홀더(10)를 포함한 제2홀더(20) 및 덮개(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홀더(10)는 수평면(11a) 및 이 수평면 (11a)의 일측 끝단에서 점선(a)을 기준으로 90°로 구부러지는 수직면(11b)을 가지며, 상기 수평면(11a)의 전면부에는 점선(b)을 기준으로 90°로 구부러지는 꺽임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홀더(20)는 제1홀더(10)의 수평면(11a)으로부터 점선(c)을 기준으로 90°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그 전면부에는 점선(d)을 기준으로 90°로 구부러지는 꺽임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홀더(10)의 수평면(11a)에 형성된 꺽임부(12)를 포함하여 제2홀더 (20)의 꺽임부(23)에는 얇은 보강철편(24)이 부착된다.
또, 상기 제1 및 제2홀더(10,20)의 전면부에는 덮개(30)가 여닫이 방식으로 장착되어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30)의 중앙부 상측에는 가로방향으로 긴 슬롯(31)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홀더(10,20)의 내부에 있는 책이 어떤 종류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단부 및 일 측면부에 자석(32)이 매립되고, 전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인쇄층이나 스티커, 예를 들면 책이 꽂힌 형상의 모양이나 그림이 인쇄되어 책장 외부에서 볼 때 책이 진열되어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임의로 외관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우선 도 2에 도시된 전개도의 형상에 맞춰 소정 규격으로 제1 및 제2홀더(10,20), 덮개(30)를 각각 타발하여 제작한 후 각각의 점선(a,b,c,d) 부분을 90°로 구부려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홀더(10,20)를 포함한 덮개(30)의 경우, 다소 두껍고 견고한 종이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덮개(30)의 경우에는 종이를 합지하는 과정에서 상단부 및 일 측면부에 자석(32)을 매립시킴과 동시에 슬롯(31)을 형성한 후 전면에 인쇄층이나 스티커 등을 부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홀더(10,20)의 전면부에 형성된 꺽임부(12,23)에는 미리 얇은 보강철편(24)을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며, 책장에 진열된 책들의 상측 및 양 측면부에 제1 및 제2홀더(10,20)를 끼워 넣음과 동시에 자석(32)을 이용하여 덮개 (30)를 닫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책장의 선반에 빈 공간이 있는 경우에도 책꽂이 커버를 그대로 꽂아둠에 따라 외부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책장에 책이 모두 진열되어 있는 느낌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홀더에 의해 책들의 진열되는 두께에 맞춰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가지런하게 진열할 수 있게 되며, 책장의 선반 상에 빈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면부 덮개의 외관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임의로 책장의 진열 상태를 변경하여 새로운 변화를 추구할 수 있다.
더구나, 덮개 전면에 책이 꽂힌 형상의 모양이나 그림을 인쇄하는 경우 책장 외부에서 볼 때 책이 진열되어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연출할 수 있어 장식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3은 책꽂이 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전체 분해 사시도, 도 4는 책꽂이 커버를 구성하는 홀더의 전개도, 도 5는 책꽂이 커버를 구성하는 덮개의 전개도, 도 6a, 도 6b는 책꽂이 커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7a, 도 7b는 책꽂이 커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로서, 앞서 설명한 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한다.
이들 각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책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각 층을 이루는 선반(도시 생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ㄱ자형으로 절곡된 제1홀더(10)와, 이 제1홀더(10)의 좌우 폭방향 넓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ㄱ자형으로 절곡된 제2홀더(20)와, 상기 제1 및 제2홀더(10,20)의 전면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덮개(30)로 이루어져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홀더(10)는 수평면(11a) 및 이 수평면 (11a)의 일측 끝단에서 점선(a)을 기준으로 90°로 구부러지는 수직면(11b)을 가지며, 상기 수평면(11a)의 전면부에는 점선(b)을 기준으로 90°로 구부러지는 꺽임부 (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홀더(10)를 구성하는 수평면(11a)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일측 절곡편(13a)을 포함하여 절취홈(14a)에 의해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절곡편(14b)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면(11b)의 끝단부에도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절곡편(1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홀더(20)는 수평면(21a) 및 이 수평면(21a)의 일측 끝단에서 점선(c)을 기준으로 90°로 구부러지는 수직면(21b)을 가지며, 상기 제1홀더(10)의 측면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결속된다.
즉, 상기 제2홀더(20)를 구성하는 수평면(21a)에는 삽입편(22)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수평면(21a) 및 수직면(21b)의 전면부에는 점선(d)을 기준으로 90°로 구부러지는 꺽임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홀더(10)의 수평면(11a)에 형성된 꺽임부(12)를 포함하여 제2홀더 (20)의 수평면(21a) 및 수직면(21b)에 형성된 꺽임부(23)에는 얇은 보강철편(24)이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1홀더(10)의 수평면(11a)에 제2홀더(20)의 삽입편(22)이 결속됨과 동시에 제1홀더(10)를 기준으로 제2홀더(20)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에 따라 좌우 폭방향 넓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홀더(10,20)에 전면부에는 덮개(30)가 여닫이 방식으로 장착되어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30)에는 중앙부 상측에 가로방향으로 긴 슬롯(31)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홀더(10,20)의 내부에 있는 책이 어떤 종류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1홀더(10) 측으로 끼워지는 부분을 제외한 상단부 및 일 측면부에 자석(32)이 매립되고, 전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인쇄층이나 스티커, 예를 들면 책이 꽂힌 형상의 모양이나 그림이 인쇄되어 책장 외부에서 볼 때 책이 진열되어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임의로 외관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덮개(30)의 경우, 제1홀더(10)를 구성하는 수직면(11b)의 상,하단에 형성된 절곡편(13b,14b)의 내측으로 매립되어 유지됨과 동시에 제1홀더(10)로부터 인출되어 전면부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우선 도 4에 도시된 전개도의 형상에 맞춰 소정 규격으로 제1 및 제2홀더(10,20), 덮개(30)를 각각 타발하여 제작한 후 각각의 점선(a,b,c,d) 부분을 90°로 구부려줌에 따라 ㄱ자형의 제1홀더(10)와 제2홀더 (2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홀더(10,20)를 포함한 덮개(30)의 경우, 다소 두껍고 견고한 종이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에서와 같이 덮개(30)의 경우에는 종이를 합지하는 과정에서 상단부 및 일 측면부에 자석(32)을 매립시킴과 동시에 슬롯(31)을 형성한 후 전면에 인쇄층이나 스티커 등을 부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홀더(10,20)의 전면부에 형성된 꺽임부(12,23)에는 미리 얇은 보강철편(24)을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1홀더(10)의 일측에 형성된 절곡편(13b,14b) 내로 덮개(30)를 끼워넣어 조립시킴으로써 책장용 책꽂이 커버를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a 내지 도 7b에서와 같이, 책장에 진열된 책들의 상측 및 양 측면부에 제1 및 제2홀더(10,20)를 끼워 넣음과 동시에 자석(32)을 이용하여 덮개 (30)를 닫아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및 제2홀더(10,20)의 내부 폭을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덮개(30)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2홀더(20)를 수평방향으로 밀어 제1홀더 (10)의 절곡편(13a,14b)으로부터 제2홀더(20)의 삽입편(22)을 빼내 좌우 폭방향 넓이를 확장시킴으로써 책들의 전체 폭에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홀더(10,20)의 넓이가 확장되는 경우, 제1홀더(10)의 절곡편(13b,14b)에 유지되어 있던 덮개(30)를 확장된 폭만큼 인출시킴과 동시에 자석(32)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홀더(10,20)의 꺽임부(12,23)에 부착된 보강철편 (24)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책장의 선반에 빈 공간이 있는 경우에도 책꽂이 커버를 그대로 꽂아둠에 따라 외부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책장에 책이 모두 진열되어 있는 느낌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홀더를 분할 구성하여 길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들의 진열되는 두께에 맞춰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가지런하게 진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책장의 선반 상에 빈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면부 덮개의 외관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임의로 책장의 진열 상태를 변경하여 새로운 변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덮개 전면에 책이 꽂힌 형상의 모양이나 그림을 인쇄하는 경우 책장 외부에서 볼 때 책이 진열되어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연출할 수 있어 장식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 제1홀더 11a: 수평면
11b: 수직면 12: 꺽임부
13a,13b: 절곡편 14a: 절취홈
14b: 절곡편 20: 제2홀더
21a: 수평면 21b: 수직면
22: 삽입편 23: 꺽임부
24: 보강철편 30: 덮개
31: 슬롯 32: 자석

Claims (5)

  1. 삭제
  2. 책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각 층을 이루는 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된 책장용 책꽂이 커버로서,
    수평면(11a) 및 이 수평면의 끝단에서 절곡된 수직면(11b)을 갖는 제1홀더 (10)와,
    상기 제1홀더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홀더(20)와,
    상기 제1 및 제2홀더(10,20)에 여닫이 방식으로 장착되어 전면부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덮개(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홀더(10,20)의 전면부 가장자리에는 보강철편(24)이 부착되는 꺽임부 (12,23)가 형성되고, 상기 꺽임부에 대응하는 덮개(30)의 가장자리에는 자석(32)이 설치되어 상기 꺽임부와 덮개(30)의 가장자리가 상기 자석(32)에 의하여 상호 탈,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홀더(20)는 수평면(21a) 및 이 수평면의 끝단에서 절곡된 수직면(21b)을 갖는 동시에 제1홀더(1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1홀더(10)의 좌우 폭방향 넓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용 책꽂이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0)의 중앙부 상측에 가로방향으로 긴 슬롯(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용 책꽂이 커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10)의 일측 상,하단에는 절곡편 (13b,14b)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30)가 절곡편 내로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전면부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용 책꽂이 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0)의 표면에는 책이 꽂힌 형상의 모양이나 그림이 인쇄되어 책장 외부에서 볼 때 책이 진열되어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용 책꽂이 커버.
KR1020140072189A 2014-06-13 2014-06-13 책장용 책꽂이 커버 KR101628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189A KR101628329B1 (ko) 2014-06-13 2014-06-13 책장용 책꽂이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189A KR101628329B1 (ko) 2014-06-13 2014-06-13 책장용 책꽂이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110A KR20150143110A (ko) 2015-12-23
KR101628329B1 true KR101628329B1 (ko) 2016-06-08

Family

ID=5508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189A KR101628329B1 (ko) 2014-06-13 2014-06-13 책장용 책꽂이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3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59760U (zh) * 2010-04-30 2010-12-01 冯静 一种形似精装书的装饰书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812U (ko) * 1997-02-27 1998-10-26 이규희 여러단 결합이 가능한 운반용기 겸용 책꽂이
KR100446024B1 (ko) 2000-04-27 2004-08-3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긴 벨트형상 워크의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100455030B1 (ko) 2001-07-16 2004-11-12 홍승호 프로피버스에서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대역폭 할당방법
KR100440324B1 (ko) 2002-03-25 2004-07-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루프 용접장치
KR20100043155A (ko) * 2010-03-08 2010-04-28 진목호 개폐문이 형성된 책꽂이
KR20120126713A (ko) 2011-05-12 2012-11-21 전임숙 책장 쓰러짐 방지용 기능성 보조 책꽂이
KR20130027619A (ko) 2011-05-27 2013-03-18 전임숙 슬라이드 패널과 상부 패널을 구비한 책장 쓰러짐 방지용 기능성 보조 책꽂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59760U (zh) * 2010-04-30 2010-12-01 冯静 一种形似精装书的装饰书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110A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998B2 (en) File organizer with divider bar
US104204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rrying items
USD871203S1 (en) Transaction card presentation box
US7954694B2 (en) File folder
US9744794B2 (en) File folder
US9585451B2 (en) Card holder
EP2771530B1 (en) Structure for retractable sliding doors and the like
US2119407A (en) Means for filing micro-slides
KR101628329B1 (ko) 책장용 책꽂이 커버
USD931737S1 (en) Gift card holder
US10471767B2 (en) Folder with movable divider
JP3170653U (ja) クリアファイル
USD722232S1 (en) Travelkey pocket passport for printed materials
US20080223908A1 (en) Expanding filing box having a sorting function and facilitating a user placing and taking out files
JP5292566B1 (ja) 背見出収納具の標題紙フォルダー部表側シート
AU2005100242A4 (en) Rigid wallet
KR20120048159A (ko) 책가방용 책꽂이
KR200206764Y1 (ko) 다용도 수납장
JP3168147U (ja) 折畳み式簡便書見台
KR200467596Y1 (ko) 선반형 서류함
JP5192197B2 (ja) 収納用立体構造シート
JP2011025421A (ja) 新聞用バインダ
JP3194885U (ja) 卓上紙収納ケース
KR200322388Y1 (ko) 독서대 겸용 보관함
CN205457181U (zh) 思想政治教育资料文档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