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284B1 - 손톱깍이 - Google Patents

손톱깍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284B1
KR101628284B1 KR1020140175815A KR20140175815A KR101628284B1 KR 101628284 B1 KR101628284 B1 KR 101628284B1 KR 1020140175815 A KR1020140175815 A KR 1020140175815A KR 20140175815 A KR20140175815 A KR 20140175815A KR 101628284 B1 KR101628284 B1 KR 101628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lastic plate
cutting
elastic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쎄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쎄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쎄븐
Priority to KR1020140175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284B1/ko
Priority to CN201580058795.4A priority patent/CN107155292A/zh
Priority to JP2017543679A priority patent/JP6465990B2/ja
Priority to US15/525,073 priority patent/US10383424B2/en
Priority to EP15867327.7A priority patent/EP3231318B1/en
Priority to PCT/KR2015/006978 priority patent/WO201609345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 A45D29/023Nail clippers or cutters with retainers for nail clipp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 A45D2029/026Nail clippers or cutters for toenails, e.g. with a rod acting over the clip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4Nail files, e.g. manually opera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손톱깍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쌍의 절단날이 서로 마주하면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내부탄성판을 갖추고, 상기 내부탄성판의 외부면을 감싸면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외부탄성판을 갖추며, 상기 내,외부탄성판에 각각 관통형성된 내,외부축공에 배치되는 지지축에 일단이 조립되어 누름작동시 상기 내,외부탄성판을 탄성변형시키는 누름판을 갖추어 서로 마주하는 절단날에 의한 절단력을 발생시키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가 삽입배치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제1본체를 갖추고, 상기 제1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본체를 갖추어 상기 누름판을 누름조작하는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 ; 및 상기 제1본체에 형성된 안내로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돌기를 갖는 이동체를 갖추어 상기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절단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손톱깍이{Nail Clipper}
본 발명은 손톱깍이에 관한 것으로, 사용된 날체를 간편하게 교체함과 동시에 손톱 손질시 발생하는 절단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손톱깍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톱깎이는 사람의 손톱과 발톱을 적당한 길이로 자르는 기구로서, 현대인의 위생도구 중,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 중의 하나이다.
사람은 살아가는 동안 손톱 및 발톱이 자라게 되는데, 일정길이 이상으로 자라난 손톱 및 발톱은 일상 생활에서 매우 불편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매우 비위생적인 느낌을 갖게 한다.
이에 따라, 손톱 및 발톱의 관리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앞서 말한 손톱깎이이다.
이러한 손톱깍이는 손톱 또는 발톱을 소제하기 위한 도구로서 관리 역시 위생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하나의 손톱깎이를 이용해 다수의 사람이 사용하는 것은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용실이나 목욕탕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많은 사람들에 의해 공용으로 이용되는 경우, 손톱깍이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더욱 비위생적인 단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손톱깎이를 주기적으로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지만 교체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의 연령이나 용도에 따라 형태가 다른 날체의 손톱깎이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다른 형태의 날체를 갖는 다수의 손톱깍이를 구매하여 사용해야만 하고, 다수의 손톱깍이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관리가 힘들고 분실될 경우 손톱깎이 전체를 재구매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손톱깍이를 사용하여 손톱이나 발톱을 손질하는 경우에는 아무리 주의를 하더라도 본체의 절단날 사이에서 눌리면서 절단되는 손, 발톱(이하 절단물)이 손톱깍이의 후방으로 비산되면서 다시 밖으로 방향성없이 튀어 나가게 되어 사용후 바닥에 떨어진 절단물을 주워 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손톱깍이는 서로 마주하는 절단날을 갖는 상,하부판체가 2켭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이 파지하게 되는 본체를 구비하게 되고, 절단날을 형성하기 위해 상,하부판체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상,하부판체는 각각 절단, 프레싱가공을 거친 다음 탄성력을 가지면서 선단의 절단날이 서로 마주하도록 스폿용접공정에 의해서 합체해야만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금속소재 사용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절감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허문헌 1) KR20-0358516 Y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금속소재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외부형태 및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시 발생하는 절단물의 외부비산을 방지하면서 수거할 수 있는 한편, 절단날을 갖는 날체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손톱깍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한쌍의 절단날이 서로 마주하면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내부탄성판을 갖추고, 상기 내부탄성판의 외부면을 감싸면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외부탄성판을 갖추며, 상기 내,외부탄성판에 각각 관통형성된 내,외부축공에 배치되는 지지축에 일단이 조립되어 누름작동시 상기 내,외부탄성판을 탄성변형시키는 누름판을 갖추어 서로 마주하는 절단날에 의한 절단력을 발생시키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가 삽입배치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제1본체를 갖추고, 상기 제1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본체를 갖추어 상기 누름판을 누름조작하는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 ; 및 상기 제1본체에 형성된 안내로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돌기를 갖는 이동체를 갖추어 상기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절단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 를 포함하는 손톱깍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탄성판은 일단에 절단날이 구비되고, 내부축공이 관통형성된 상,하부판과, 상기 상,하부판의 타단사이를 연결하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절곡된 밴딩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탄성판은 일단에 외부축공이 관통형성된 상,하부판과, 상기 상,하부판의 타단사이를 연결하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절곡된 밴딩판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축은 상기 내부탄성판의 상,하부판 및 탄성판을 따라 연속되는 장공형태의 내부축공에 관통배치되고, 상기 외부탄성판의 상,하부판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원형공의 외부축공에 관통배치되는 지지축의 하단은 상기 제1본체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걸림공에 걸림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체는 상기 내부탄성판과 외부탄성판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안내로에 배치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본체는 상기 지지축의 하단이 걸림배치되는 걸림공을 관통형성한 제1바닥판과, 상기 제1바닥판의 좌우양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이동체의 안내돌기가 안내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로를 구비하는 한쌍의 내부측벽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미용기구를 임시보관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파지체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본체는 상기 파지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하는 덮개부재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파지체는 상기 보조미용기구가 진출입되고, 상기 보조미용기구의 일단과 결합된 결합체가 삽입배치되도록 개구형성된 고정공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파지체는 내부공간에 임시보관되는 보조미용기구의 외면과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제1스토퍼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파지체의 내부공간에 임시보관되는 보조미용기구의 외면과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제2스토퍼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사이에 격벽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체는 제2바닥판의 좌우양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본체의 안내로에 안내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돌기를 구비하는 한쌍의 외부측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바닥판은 상기 제1본체와의 사이에 절단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배출요홈을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내,외부탄성판 및 누름판으로 이루어진 절단부가 삽입배치되는 제1본체의 외측에 이동체를 대응배치함으로써, 내부탄성판의 절단날에 의한 손톱 또는 발톱의 절단시 발생하는 절단물의 비산을 방지하고,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무방향성으로 외부비산되는 절단물에 기인하는 주변환경의 오염을 예방하고, 절단물을 수거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
(2) 누름판과 조립되는 상하한쌍의 금속판체를 대략 U자형으로 밴딩되는 내,외부금속판체로 대체함으로써, 금속소재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외부형태 및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조립공정을 줄일 수있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3) 손톱 및 발톱 절단시 사용되는 절단날을 갖는 내부탄성판을 외부탄성판에 대하여 외측으로 전진이동시켜 분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연령이나 사용용도에 따라 날체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관리가 용이하고 부품의 교체작업에 의해서 손톱깍이의 기능을 다양화하고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톱깍이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톱깍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톱깍이에 채용되는 손잡이부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톱깍이에 채용되는 절단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조립 사시도이다.
(b)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톱깍이에 채용되는 비산수거부의 이동체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톱깍이에 채용되는 이동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6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톱깍이에 채용되는 덮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톱깍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 절단물 비산방지를 위한 이동체의 대기상태의 단면 사시도이고,
(b) 절단물의 배출과 내부탄성판의 교체를 위한 이동체의 이동상태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톱깍이에서 절단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깍이(1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톱이나 발톱의 절단시 발생하는 절단물의 외부비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절단날을 갖는 날체구조물을 간편하게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절단부(110), 손잡이부(120), 비산방지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부(110)는 손질대상물인 손톱이나 발톱의 일부를 절단하는 절단날(114)을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하는 내부탄성판(111)과, 그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탄성판(114)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탄성판(111)은 한쌍의 절단날(114)이 절단작업이 가능하도록 서로 마주하면서 외력해제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밴딩형 탄성판체로 이루어질수 있다.
상기 외부탄성판(112)은 상기 내부탄성판(111)의 외부면을 감싸면서 외력해제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밴딩형 탄성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탄성판(111)은 양단에 절단날(114)이 각각 형성된 일정길이의 금속판체를 절단날이 서로 마주하도록 대략 U자형으로 밴딩가공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탄성판(112)은 양단에 외부축공(116)이 각각 관통형성된 일정길이의 금속판체를 상기 외부축공이 서로 마주하도록 대략 U자형으로 밴딩가공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탄성판(111)의 금속판체는 상기 외부탄성판(112)의 금속판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탄성판(111)은 일단에 절단날(114)과 내부축공(115)이 각각 구비된 상,하부판(111a,111b)과, 상기 상,하부판의 타단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절곡된 밴딩판(111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탄성판(112)은 일단에 외부축공(116)이 각각 관통형성된 상,하부판(112a,112b)과, 상기 상,하부판의 타단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절곡된 밴딩판(112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외부탄성판(111,112)에 각각 구비되는 밴딩판(111c,112c)은 상기 상,하부판의 타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하부판의 타단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별도의 밴딩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탄성판(111)은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내부축공(115)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외부탄성판(112)은 상기 내부축공과 대응하여 동일한 수직축상에 위치되도록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외부축공(116)을 관통형성한다.
이러한 내,외부축공(115,116)에는 일정길이의 지지축(117)이 삽입되어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부판체(112)의 상측 외부축공(116)을 통해 외부노출되는 지지축(117)의 상단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누름판(113)의 일단인 선단의 일부가 접하여 후단에서 지렛대원리에 의한 누름조작이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외부판체(112)의 하측 외부축공(116)을 통해 외부노출되는 지지축(117)의 하단에는 상기 제1본체부의 제1바닥판(121a)에 관통형성된 걸림공(127)으로부터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걸리는 걸림턱(117a)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내,외부탄성판(111,112)은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누름판(113)과, 상기 지지축의 하단에 구비된 걸림턱(117a)에 의해서 구속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누름판(113)의 일단에는 일정각도로 절곡된 연결편(113a)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편(113a)에는 상기 누름판의 지렛대 작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함몰형성된 걸림홈에 걸림연결되는 연결공(113b)을 관통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핀공을 관통형성하는 경우 이에 대응조립되는 핀부재를 갖는 연결공을 관통형성하여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상기 절단부(110)의 누름판(113)을 누름조작하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단부(110)와 결합되는 제1본체(121)와, 이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본체(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121)는 상기 절단부(110)의 내,외부탄성판(111,112)이 삽입배치되도록 입구와 상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바, 이러한 제1본체(121)는 상기 지지축(117)의 하단이 걸림배치되는 걸림공(127)이 관통형성된 제1바닥판(121a)과, 상기 제1바닥판(121a)의 좌우양측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수거부(130)의 이동체(131)에 형성된 안내돌기(131c)가 안내이동되는 안내로(121c)를 구비하는 좌우한쌍의 내부측벽(121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돌기(131c)가 배치되어 상기 이동체의 수평왕복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로(121c)는 일단이 개방된 장공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단이 닫혀진 장공형태로 구비되거나 상기 내부측벽(121b)의 내면에 함몰형성되는 안내홈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122)는 내부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하는 덮개부재(122b)를 구비하는 파지체(122a)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2본체(122)는 줄칼, 귀이개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보조미용기구(123)를 상기 파지체의 내부공간에 배치하여 임시보관하면서 보조기구사용시 이를 간편하게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체의 외부면에 고정공(122c)을 개구형성한다.
이러한 고정공(122c)은 상기 보조미용기구(123)가 진출입되는 통로기능을 하면서 상기 보조미용기구의 일단과 결합된 결합체(123a)가 삽입배치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임시보관되는 보조미용기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파지체(122a)의 내부공간에는 삽입배치되는 보조미용기구(123)를 분실염려없이 보다 안전하게 임시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공(122c)을 통해 진입된 보조미용기구(123)의 외면과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제1스토퍼(124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124a)는 상기 파지체(124)의 내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파지체(122a)의 개방된 외면에 덮도록 조립되는 덮개부재(122b)에도 상기 보조미용기구(123) 또는 이에 결합되는 결합체(123a)의 외면과 각각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제2스토퍼(124b,124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121)와 제2본체(122)는 격벽(125)에 의해서 상기 절단부가 삽입배치되는 내부공간과 상기 보조미용기구가 임시보관되는 내부공간이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2본체(121,122)는 수지물을 소재로 성형되는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산방지부(130)는 상기 제1본체(121)의 내부측벽(121b)에 형성된 안내로(121c)에 활주이동가능하게 대응조립되는 안내돌기(131b)를 갖추어 상기 제1본체(121)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체(13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체(131)가 상기 제1본체(121)와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절단날에 의해서 절단된 절단물은 상기 절단부의 외측 및 상기 제1본체의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체(131)는 상기 제1본체의 제1바닥판(121a)과 대응하는 제2바닥판(131a)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바닥판의 좌우양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되어 상기 내부측벽(121b)과 마주하여 대응하는 좌우한쌍의 외부측벽(131b)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측벽(131b)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본체의 내부측벽에 형성된 안내로(121c)에 대응조립되어 안내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돌기(131c)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131)는 상기 지지축에 구속된 외부탄성판(112)에 대하여 절단날을 갖는 내부탄성판(111)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본체의 안내로(121c)에 배치되면서 상기 외부탄성판과 내부탄성판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132)를 구비한다.
이러한 걸림돌기(132)는 상기 내부탄성판(111)의 밴딩부위인 밴딩판(111c)과 상기 외부탄성판(112)의 밴딩부위인 밴딩판(112c)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본체(121)와 겹쳐지도록 배치된 이동체(131)의 전진이동시 상기 이동체(131)는 안내로와 안내돌기 또는 안내로와 걸림돌기간의 결합에 의해서 전진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에 간섭되는 내부탄성판(111)은 제1본체로부터 외부노출되도록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축(117)이 관통배치되는 내부탄성판(111)의 내부축공(115)은 상,하부판(111a,111b) 및 탄성판(111c)을 따라 연속되는 장공형태로 구비되는 반면에 상기 지지축(117)이 관통배치되는 외부탄성판(112)의 외부축공(116)은 상기 상,하부판(112a,112b)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원형공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의 하단은 상기 제1본체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걸림공에 걸림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축(117)에 구속되어 위치고징된 외부탄성판(112)에 대하여 상기 이동체(131)의 걸림돌기(132)에 간섭되는 내부탄성판(111)을 이동체와 더불어 제1본체 및 외부탄성판으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전진이동시키거나 새로운 내부탄성판을 교체장착할 수 있도록 완전히 분리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부탄성판(111)의 상,하부판(111a,111b)은 양측 외측테두리에 상기 이동체와 더불어 전진이동 및 후진복귀시 상기 제1본체의 내부측벽과의 접촉면적을 줄여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톱니부(111f)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131)의 제2바닥판(131a)에는 상기 제1본체(121)의 제1바닥판과의 사이에 배출통로를 형성하도록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배출요홈(133)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동체의 전진이동시 내부탄성판의 상,하부판사이에 잔류되도록 수거된 절단물을 하부로 낙하시킨 다음 상기 배출요홈(133)에 의해서 형성되는 배출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바닥판(131a)에는 상기 지지축의 하단이 배치되도록배치홈(131d)을 함몰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절단부
111 : 내부탄성판
112 : 외부탄성판
111a,112a : 상부판
111b,112b : 하부판
111c,112c : 밴딩판
113 : 누름판
114 : 절단날
115 : 내부축공
116 : 외부축공
117 : 지지축
120 : 손잡이
121 : 제1본체
122 : 제2본체
122b : 덮개부재
123 : 보조미용기구
124a : 제1스토퍼
124b,124c : 제2스토퍼
130 : 비산방지부
131 : 이동체
131c: 안내돌기
132 : 걸림돌기
133 : 배출요홈

Claims (13)

  1. 한쌍의 절단날이 서로 마주하면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내부탄성판을 갖추고, 상기 내부탄성판의 외부면을 감싸면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외부탄성판을 갖추며, 상기 내,외부탄성판에 각각 관통형성된 내,외부축공에 배치되는 지지축에 일단이 조립되어 누름작동시 상기 내,외부탄성판을 탄성변형시키는 누름판을 갖추어 서로 마주하는 절단날에 의한 절단력을 발생시키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가 삽입배치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제1본체를 갖추고, 상기 제1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본체를 갖추어 상기 누름판을 누름조작하는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 ; 및
    상기 제1본체에 형성된 안내로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돌기를 갖는 이동체를 갖추어 상기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절단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내부탄성판과 외부탄성판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안내로에 배치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이.
  2. 한쌍의 절단날이 서로 마주하면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내부탄성판을 갖추고, 상기 내부탄성판의 외부면을 감싸면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외부탄성판을 갖추며, 상기 내,외부탄성판에 각각 관통형성된 내,외부축공에 배치되는 지지축에 일단이 조립되어 누름작동시 상기 내,외부탄성판을 탄성변형시키는 누름판을 갖추어 서로 마주하는 절단날에 의한 절단력을 발생시키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가 삽입배치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제1본체를 갖추고, 상기 제1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본체를 갖추어 상기 누름판을 누름조작하는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 ; 및
    상기 제1본체에 형성된 안내로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돌기를 갖는 이동체를 갖추어 상기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절단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는 상기 지지축의 하단이 걸림배치되는 걸림공을 관통형성한 제1바닥판과, 상기 제1바닥판의 좌우양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이동체의 안내돌기가 안내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로를 구비하는 한쌍의 내부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이.
  3. 한쌍의 절단날이 서로 마주하면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내부탄성판을 갖추고, 상기 내부탄성판의 외부면을 감싸면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절곡된 외부탄성판을 갖추며, 상기 내,외부탄성판에 각각 관통형성된 내,외부축공에 배치되는 지지축에 일단이 조립되어 누름작동시 상기 내,외부탄성판을 탄성변형시키는 누름판을 갖추어 서로 마주하는 절단날에 의한 절단력을 발생시키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가 삽입배치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제1본체를 갖추고, 상기 제1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본체를 갖추어 상기 누름판을 누름조작하는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 ; 및
    상기 제1본체에 형성된 안내로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돌기를 갖는 이동체를 갖추어 상기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절단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제2바닥판의 좌우양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본체의 안내로에 안내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돌기를 구비하는 한쌍의 외부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탄성판은 일단에 절단날이 구비되고, 내부축공이 관통형성된 상,하부판과, 상기 상,하부판의 타단사이를 연결하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절곡된 밴딩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탄성판은 일단에 외부축공이 관통형성된 상,하부판과, 상기 상,하부판의 타단사이를 연결하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절곡된 밴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내부탄성판의 상,하부판 및 탄성판을 따라 연속되는 장공형태의 내부축공에 관통배치되고, 상기 외부탄성판의 상,하부판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원형공의 외부축공에 관통배치되는 지지축의 하단은 상기 제1본체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걸림공에 걸림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닥판은 상기 제1본체와의 사이에 절단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배출요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미용기구를 임시보관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파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는 상기 파지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이. .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체는 상기 보조미용기구가 진출입되고, 상기 보조미용기구의 일단과 결합된 결합체가 삽입배치되도록 개구형성된 고정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체는 내부공간에 임시보관되는 보조미용기구의 외면과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제1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파지체의 내부공간에 임시보관되는 보조미용기구의 외면과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이.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사이에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이.
  13. 삭제
KR1020140175815A 2014-12-09 2014-12-09 손톱깍이 KR101628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815A KR101628284B1 (ko) 2014-12-09 2014-12-09 손톱깍이
CN201580058795.4A CN107155292A (zh) 2014-12-09 2015-07-07 指甲刀
JP2017543679A JP6465990B2 (ja) 2014-12-09 2015-07-07 爪切り
US15/525,073 US10383424B2 (en) 2014-12-09 2015-07-07 Nail clipper
EP15867327.7A EP3231318B1 (en) 2014-12-09 2015-07-07 Nail clipper
PCT/KR2015/006978 WO2016093454A1 (ko) 2014-12-09 2015-07-07 손톱깍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815A KR101628284B1 (ko) 2014-12-09 2014-12-09 손톱깍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284B1 true KR101628284B1 (ko) 2016-06-08

Family

ID=5610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815A KR101628284B1 (ko) 2014-12-09 2014-12-09 손톱깍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83424B2 (ko)
EP (1) EP3231318B1 (ko)
JP (1) JP6465990B2 (ko)
KR (1) KR101628284B1 (ko)
CN (1) CN107155292A (ko)
WO (1) WO20160934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722B1 (ko) 2019-12-03 2020-10-05 고광웅 손톱깍이의 일회용 손톱비산방지 스티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0328B2 (en) * 2016-05-12 2021-04-20 Rami Nikaran Fingernail clipper safety system
USD897604S1 (en) 2016-08-24 2020-09-29 Three Seven Corporation Nail clipper
USD876822S1 (en) 2017-07-07 2020-03-03 Three Seven Corporation Pocket for nail care kits
JP1617785S (ko) 2017-07-07 2018-11-12
US10420409B1 (en) * 2017-12-07 2019-09-24 Wayne C. Crolley Nail clipper
USD845547S1 (en) 2017-12-11 2019-04-09 Three Seven Corporation Nail clippers
USD846194S1 (en) 2017-12-11 2019-04-16 Three Seven Corporation Nail clippers
USD856585S1 (en) 2018-02-26 2019-08-13 Three Seven Corporation Push stick for nail
KR102153812B1 (ko) * 2019-02-02 2020-09-08 윤성노 회전식 손톱깎이용 절단 손, 발톱 수집케이스
USD865294S1 (en) * 2019-06-14 2019-10-29 Yun Deng Nail clipper
CN110141035B (zh) * 2019-06-18 2023-11-24 陈建满 可更换刀片和具有指甲收纳功能的指甲钳
USD978437S1 (en) * 2021-03-15 2023-02-14 Green Bell Co., Ltd. Nail clippers
US11311091B1 (en) 2021-08-04 2022-04-26 Tessa Lee Petry Baby-safe fingernail and toenail nipp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466A (ko) * 2003-05-27 2003-09-26 정창록 손톱깎이
JP2006204637A (ja) * 2005-01-28 2006-08-10 Kai R & D Center Co Ltd 爪飛散防止ケース付き爪切り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389A (en) * 1904-12-15 1905-08-01 Jacob D Wright Finger-nail cutter, cleaner, and file.
US3154850A (en) * 1962-12-27 1964-11-03 Okuno Tsutomu Nail clipper with receiver for clippings
JPS514570U (ko) * 1974-06-29 1976-01-13
US4117591A (en) * 1977-02-22 1978-10-03 Terry Catherine S Nail clipper with trim retaining clamp
US4996771A (en) * 1990-06-04 1991-03-05 Williams Craig A Nail clipper retainer
US5031765A (en) * 1990-09-17 1991-07-16 Chen Shih Fang Protective casing for nail scissors
US6523545B2 (en) * 2001-07-16 2003-02-25 Vincent N. Rende Device for retaining nail clippings in a nail clipper
TWI271165B (en) 2002-12-10 2007-01-21 Jeong-Sik Han Nail clipper and nail cutter, lever and supporting shaft for the same
KR100479827B1 (ko) 2003-04-08 2005-06-23 김경환 손톱깍기의 절단물 수납 및 배출장치
KR200358516Y1 (ko) 2004-04-21 2004-08-11 신승리 손톱깍기용 커버
BRPI0403280A (pt) * 2004-08-04 2006-03-21 Michel Merheje & Cia Ltda cortador de unhas com dupla alavanca
US20080301946A1 (en) * 2007-06-11 2008-12-11 Keum Sook Baek Nail clipper with clippings-catcher
KR101143904B1 (ko) 2009-11-16 2012-05-11 주식회사 쓰리쎄븐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
KR101249313B1 (ko) 2011-04-05 2013-04-01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손톱깎이
KR101312416B1 (ko) * 2012-04-23 2013-09-27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손톱깎이
CN202842710U (zh) * 2012-10-15 2013-04-03 程光杰 一种可更换钳头的指甲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466A (ko) * 2003-05-27 2003-09-26 정창록 손톱깎이
JP2006204637A (ja) * 2005-01-28 2006-08-10 Kai R & D Center Co Ltd 爪飛散防止ケース付き爪切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722B1 (ko) 2019-12-03 2020-10-05 고광웅 손톱깍이의 일회용 손톱비산방지 스티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1318A1 (en) 2017-10-18
WO2016093454A1 (ko) 2016-06-16
CN107155292A (zh) 2017-09-12
US10383424B2 (en) 2019-08-20
JP6465990B2 (ja) 2019-02-06
JP2017535389A (ja) 2017-11-30
EP3231318B1 (en) 2019-10-09
US20180279739A1 (en) 2018-10-04
EP3231318A4 (en)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284B1 (ko) 손톱깍이
EP2172315B1 (en) Electric shaver
CA2538975A1 (en) Hybrid scissors and razor
US20110061239A1 (en) Nail clipper assembly
KR200479433Y1 (ko) 손톱깎기용 손톱 비산방지 장치
KR101637162B1 (ko) 비산방지 구조를 갖는 손톱깍기
KR101208112B1 (ko) 네일 커터
KR101906368B1 (ko) 손톱깎이
US20140243853A1 (en) Suture cutting and removal tool
KR20170056392A (ko) 손톱 길이 조절구가 구비된 손톱깎이
KR101998195B1 (ko) 날체 교체형 손톱깎이
US20080168665A1 (en) Swab cutter
KR102153812B1 (ko) 회전식 손톱깎이용 절단 손, 발톱 수집케이스
KR101398876B1 (ko) 큐티클 제거날이 부설된 손톱깍기
KR20090009922U (ko) 손톱깎기용 비닐백
KR200382300Y1 (ko) 손톱깎이
KR20140013443A (ko) 손톱이 튀지 않는 손톱깎이
KR101001721B1 (ko) 휴대용 손톱깍이
KR200443977Y1 (ko) 손톱 절단편 수납 케이스
KR200313461Y1 (ko) 신체의 굳은살 제거 겸용 일회용 면도기
KR200425203Y1 (ko) 미용 채칼
KR20020065161A (ko) 손톱깍이
KR20240009840A (ko) 손톱깎이 및 이를 포함하는 손톱깎이 케이스
KR200409678Y1 (ko) 손톱깍기
JP2016000104A (ja) 爪切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