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840A - 손톱깎이 및 이를 포함하는 손톱깎이 케이스 - Google Patents

손톱깎이 및 이를 포함하는 손톱깎이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840A
KR20240009840A KR1020220123348A KR20220123348A KR20240009840A KR 20240009840 A KR20240009840 A KR 20240009840A KR 1020220123348 A KR1020220123348 A KR 1020220123348A KR 20220123348 A KR20220123348 A KR 20220123348A KR 20240009840 A KR20240009840 A KR 20240009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clipper
body portion
head
head port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뷰리
Publication of KR20240009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8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 A45D29/023Nail clippers or cutters with retainers for nail clipp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1Polishing devices for nails
    • A45D29/12Polishing devices for nails manually operated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톱깎이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절단날이 상하로 각각 배치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가 손톱을 깎도록 작동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회전 방식이 아닌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헤드부를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바디부의 전방측을 기준으로 해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톱깎이 및 이를 포함하는 손톱깎이 케이스{A Nail Clipper and A Nail Clipper Cas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손톱깎이 및 이를 포함하는 손톱깎이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편하고 용이하게 손톱을 깎을 수 있도록 하며 심미감이 형성된 손톱깎이 및 이를 포함하는 손톱깎이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톱깎이는 손톱과 발톱을 적당한 길이로 깎고 손질하는 데 사용하는 현대인의 위생도구로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 중의 하나이다.
사람은 살아가는 동안 손톱과 발톱은 지속적으로 자라나게 되므로,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손톱 및 발톱을 적절한 길이로 깎아야만 한다.
이러한 손톱깎이는 통상 탄성력을 가진 금속제 프레임으로 상하 두 갈래로 나누어진 형태로 제작되며, 금속제 프레임의 후면부가 결합되고 전면부가 손톱의 끝 부분처럼 반달 모양의 날이 위아래로 구비되고 그 끝에 예리한 커팅날을 형성한 것으로서 그 사이에 손톱을 끼워 넣고 맞물어서 잘라내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손톱깎이는 어른들이 사용하기에는 아무 문제가 없으나, 신체 움직임이 미숙한 아이들이나 노약자들이 사용하는 경우, 손톱 및 발톱의 가장자리부분을 신체적 어려움으로 인해 자를 수 없거나 피부까지 절단되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필요 이상으로 길거나 짧게 손톱 및 발톱이 깎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이러한 일반적인 손톱깎이는, 신체 움직임이 미숙한 아이들이나 노약자들이 사용하는데 많은 애로가 있었다.
더군다나, 기존의 손톱깎이는 손잡이부(핸들부)를 회전시켜야 절단날이 작동할 수 있는 구조로 변경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움직임이 미숙한 아이들이나 노약자들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었다.
또한, 종래의 손톱깎이는 케이스가 없거나 심미적으로 고려되지 않은 케이스들이 사용되기도 하며, 간혹 천 등을 통해 임시방편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존재하여, 사용자들이 잘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그로 인해 영유아들이 다치거나 성인들도 무심코 밟는 경우 다치게 되는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당 업계에서는 현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사용하기 편리하고 안전한 손톱깎이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기 편리하고 안전한 손톱깎이 및 이를 포함하는 손톱깎이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는, 일측에 절단날이 상하로 각각 배치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가 손톱을 깎도록 작동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회전 방식이 아닌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헤드부를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바디부의 전방측을 기준으로 해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부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슬라이딩 홀; 및 상기 슬라이딩 홀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헤드부를 작동또는 미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작동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버튼은, 사용자와 접촉되는 접촉편; 및 상기 접촉편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기하구조와 접촉하면서, 상기 핸들부의 일측이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향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헤드부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핸들부의 일측이 상기 바디부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헤드부가 미작동되도록 하는 작동편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 버튼은, 상기 접촉편과 상기 작동편을 이어주는 연결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편은, 상기 핸들부의 두께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홀의 폭 이하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접촉편과 상기 작동편은 상기 슬라이딩 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편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작동 버튼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편리하도록, 상면의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부의 기하구조는, 전방측에 상기 작동편이 배치되도록 함몰형성되되 고정되도록 단차가 함께 형성되는 작동 기하구조; 및 중앙측에 'V' 형으로 함몰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작동편이 상기 바디부에 완전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미작동 기하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바디부의 전방측을 기준으로 해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수용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절단날에 대향하는 부분에 손톱이 배출될 수 있도록 손톱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부의 하측 중 상기 헤드부의 후측 방향에 수용되어 상기 바디부의 후측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일면에 연마면이 형성되는 연마부; 및 상기 헤드부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비산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비산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 케이스는, 상기 손톱깎이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 몸체부; 및 상기 케이스 몸체부의 일측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몸체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몸체부 및 상기 케이스 덮개부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는, 핸들부가 회전 방식이 아닌 슬라이딩 방식으로 헤드부를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신체 움직임이 미숙한 아이들이나 노약자들이 사용하는데 많은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작동 버튼의 작동편과 바디부의 기하구조간의 상호 작용을 통한 헤드부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힘이 덜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는, 헤드부가 바디부의 전방측을 기준으로 해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신체 움직임이 미숙한 아이들이나 노약자들이 사용하는데 많은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는, 바디부의 후측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마부가 추가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발톱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 케이스는, 힌지방식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재질이 투명으로 형성되어, 내용물의 개폐가 용이하고, 내용물이 무엇인지 편하게 확인 가능하며 좀 더 세련된 이미지 연출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의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가 손톱깎이 케이스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장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의 하측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세한 설명은 하기 도시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의 하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 케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가 손톱깎이 케이스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장착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의 하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100)는, 헤드부(110), 바디부(120), 핸들부(130), 연마부(140) 및 비산방지부(150)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 케이스(200)는, 케이스 몸체부(210) 및 케이스 덮개부(220)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의 구성들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손톱깎이(100) 및 손톱깎이 케이스(2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헤드부(110)는, 일측에 절단날(111)이 상하로 각각 배치되며, 바디부(120)의 전방측을 기준으로 해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헤드부(110)는,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방측이 상측 다리 및 하측 다리가 서로 벌어져 열린 개구형상이고 후방측이 운동 기준점이 되는 탄성 연결 구조를 가지며, 전방측의 상측 다리에 절단날(111)이 하측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하측 다리에 절단날(111)이 상측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대, 헤드부(110)는, 측면측이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헤드부(110)는, 상측 다리 및 하측 다리 각각에 관통홀(113)이 형성되어 심지(114)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후방측에는 손톱배출구(112)가 형성되도록 타원형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10)는, 양측면 및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비산방지부(150)에 의해 수용되며, 상측 및 후측이 바디부(120)에 의해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10)는, 후측이 바디부(120)에 의해 수용되어야 하므로, 길이가 바디부(120)보다 짧게 형성되며, 이를 통해 헤드부(110)가 바디부(120)와는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헤드부(110)는, 심지(114)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심지(114)는, 헤드부(110)의 관통홀(113)과 바디부(120)의 관통홀(124) 및 핸들부(130)의 관통홀(133)을 모두 관통하도록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구멍(1141)에 의해서 핸들부(130)의 회전봉(134)이 걸리게 되어, 핸들부(130)가 지렛대 효과를 통해 헤드부(110)에 압력을 가할 수 있게 한다. 걸림구멍(1141)은 심지(114)의 중앙측에 일방만 함몰된 구멍을 형성할 수 있으며, 구멍 내측의 상부가 핸들부(130)의 회전봉(134)이 걸릴 수 있도록 어느정도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20)는, 헤드부(1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바디부(120)는, 상면에 기하구조(121)와 마감구(125)를 가지며, 하면에 전방 수용구조(122)와 후방 수용구조(123)를 가지고, 전방측에 관통홀(124)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하구조(121)는, 전방측에 작동편(1323)이 배치되도록 함몰 형성되되, 고정되도록 단차(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함께 형성되는 작동 기하구조(1211) 및 중앙측에 'V'자 형으로 함몰되되, 적어도 일부가 작동편(1323)이 바디부(120)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미작동 기하구조(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기하구조(1211)는, 기하구조(121)의 전방측에 함몰 형성되며, 관통홀(124)의 후측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고, 단차가 형성되어 작동 버튼(132)의 작동편(1323)이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미작동 기하구조(1212)는, 기하구조(122)의 후방측에 함몰 형성되며, 완만한 'V'자 형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고, 가장 깊게 함몰된 부분의 깊이는 작동 버튼(132)의 작동편(1323)이 바디부(120)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전방 수용구조(122)는, 헤드부(110) 및 비산방지부(150)를 함께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바디부(120)의 전방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수용구조(122)는, 후방 수용구조(123)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후방 수용구조(123)는, 연마부(14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바디부(120)의 후방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전방 수용구조(122)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관통홀(124)은, 바디부(120)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전술한 심지(114)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심지(114)의 중앙측이 관통할 수 있다.
마감구(125)는, 바디부(120)의 최후방측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감구(125)는, 핸들부(130)가 바디부(120)에 잘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핸들부(130)는, 바디부(120)와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헤드부(110)가 손톱을 깎도록 작동한다.
핸들부(130)는 회전 방식으로 헤드부(110)를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헤드부(110)를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핸들부(130)는, 평평하게 형성되며, 전방측에는 관통홀(133)과 회전봉(134)이 형성될 수 있고, 그 후측에는 후술할 슬라이딩 홀(131) 및 작동 버튼(132)이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홀(131)은, 핸들부(130)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작동 버튼(132)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버튼(132)은, 슬라이딩 홀(131)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하여, 헤드부(110)를 작동 또는 미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버튼(132)은, 사용자와 접촉되는 접촉편(1321), 접촉편(1321)과 작동편(1323)을 이어주는 연결편(1322) 및 접촉편(1321)의 하측에서 전방을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작동편(1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편(1321)은, 사용자(도시하지 않음)의 손(도시하지 않음)이 작동 버튼(132)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편리하도록 상면(부호 도시하지 않음)의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구(1321a), 돌출구(1321a)의 전방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전면(1321b) 및 돌출구(1321a)의 후방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후면(132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접촉편(1321)은 슬라이딩 홀(13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편(1322)은, 접촉편(1321)과 작동편(1323)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핸들부(130)의 두께 이상의 길이를 가지고, 슬라이딩 홀(131)의 폭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작동편(1323)은, 접촉편(1321)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바디부(120)에 형성된 기하구조(121)와 접촉하면서, 핸들부(130)의 일측(핸들부(130)에서 관통홀(133)과 대향하는 부분)이 바디부(120)로부터 상향 이동하도록 하여 헤드부(11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거나, 핸들부(130)의 일측이 바디부(120)를 향하도록 하여, 헤드부(110)가 미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작동편(1323)은, 슬라이딩 홀(13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33)은, 핸들부(130)의 전방측에 반원의 형태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심지(114)의 상부측이 관통할 수 있다.
회전봉(134)은, 관통홀(133)의 전방측에 봉의 형태로 형성되며, 관통홀(133)을 관통한 심지(114)의 걸림구멍(1141)의 상측면에 걸려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마부(140)는, 바디부(120)의 하측 중 헤드부(110)의 후측 방향에 수용되어 바디부(120)의 후측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일면에 연마면(141)이 형성될 수 있다.
연마부(140)는, 바디부(120)의 후방 수용구조(123)에 수용될 수 있으며, 전방에는 헤드부(110) 및 비산방지부(150)가 결합되어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연마부(140)는 바디부(120)의 후방 수용구조(123)를 슬라이딩하도록 양 측면에 돌출편 또는 함몰편을 형성하여 바디부(120)의 후방 수용구조(123)의 양 측면 부분인 바디부(120)의 일부분에 대응되는 함몰편 또는 돌출편에 맞물려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연마부(140)는, 상면이 바디부(120)의 후방 수용구조(123)에 배치된 하면과 맞닿아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며,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 버튼(142)이 추가 형성될 수 있다.
연마면(141)는 손발톱을 연마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으며, 일례로 세라믹 또는 사포의 재질일 수 있다. 연마면(141)은 연마부(140)의 후방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버튼(142)은 연마부(140)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밀거나 당겨서 바디부(120)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산방지부(150)는, 헤드부(11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손톱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산방지부(150)는 헤드부(110)의 측면을 감싸도록 양측 날개편(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양측 날개편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며 헤드부(110)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하는 하측 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
비산방지부(150)는 양측 날개편 각각에 적어도 일부 돌출된 돌출편 구조를 가지며, 이 돌출편 구조가 헤드부(110)의 측면 개구에 맞춤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비산방지부(150)는 바디부(120)의 전방 수용구조(122)에 헤드부(110)와 함께 수용될 수 있다. 비산방지부(150)의 후방측에는 연마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 몸체부(210)는, 상기 기술된 특징들을 포함하는 손톱깎이(100)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 몸체부(21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케이스 덮개부(220)와 일측에 힌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덮개부(220)는, 케이스 몸체부(210)의 일측과 힌지 연결되어, 케이스 몸체부(210)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 덮개부(22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100)는, 핸들부(130)가 회전 방식이 아닌 슬라이딩 방식으로 헤드부(110)를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신체 움직임이 미숙한 아이들이나 노약자들이 사용하는데 많은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작동 버튼(132)의 작동편(1323)과 바디부(120)의 기하구조(121)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한 헤드부(110)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힘이 덜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100)는, 헤드부(110)가 바디부(120)의 전방측을 기준으로 해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신체 움직임이 미숙한 아이들이나 노약자들이 사용하는데 많은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100)는, 바디부(120)의 후측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마부(140)가 추가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발톱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 케이스(200)는, 힌지방식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재질이 투명으로 형성되어, 내용물의 개폐가 용이하고, 내용물이 무엇인지 편하게 확인 가능하며 좀 더 세련된 이미지 연출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손톱깎이
110: 헤드부 111: 절단날
112: 손톱배출구 113: 관통홀
114: 심지 1141: 걸림구멍
120: 바디부 121: 기하구조
1211: 작동 기하구조 1212: 미작동 기하구조
122: 전방 수용구조 123: 후방 수용구조
124: 관통홀 125: 마감구
130: 핸들부 131: 슬라이딩 홀
132: 작동 버튼 1321: 접촉편
1321a: 돌출구 1321b: 전면
1321c: 후면 1322: 연결편
1323: 작동편 133: 관통홀
134: 회전봉
140: 연마부 141: 연마면
142: 슬라이딩 버튼
150: 비산방지부
200: 손톱깎이 케이스
210: 케이스 몸체부 220: 케이스 덮개부

Claims (8)

  1. 일측에 절단날이 상하로 각각 배치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가 손톱을 깎도록 작동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회전 방식이 아닌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헤드부를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바디부의 전방측을 기준으로 해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슬라이딩 홀; 및
    상기 슬라이딩 홀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헤드부를 작동또는 미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작동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버튼은,
    사용자와 접촉되는 접촉편; 및
    상기 접촉편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기하구조와 접촉하면서, 상기 핸들부의 일측이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향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헤드부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핸들부의 일측이 상기 바디부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헤드부가 미작동되도록 하는 작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은,
    상기 접촉편과 상기 작동편을 이어주는 연결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편은,
    상기 핸들부의 두께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홀의 폭 이하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접촉편과 상기 작동편은 상기 슬라이딩 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작동 버튼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편리하도록, 상면의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기하구조는,
    전방측에 상기 작동편이 배치되도록 함몰형성되되 고정되도록 단차가 함께 형성되는 작동 기하구조; 및
    중앙측에 'V' 형으로 함몰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작동편이 상기 바디부에 완전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미작동 기하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바디부의 전방측을 기준으로 해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수용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절단날에 대향하는 부분에 손톱이 배출될 수 있도록 손톱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하측 중 상기 헤드부의 후측 방향에 수용되어 상기 바디부의 후측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일면에 연마면이 형성되는 연마부; 및
    상기 헤드부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비산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비산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손톱깎이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 몸체부; 및
    상기 케이스 몸체부의 일측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몸체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몸체부 및 상기 케이스 덮개부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케이스



KR1020220123348A 2022-07-14 2022-09-28 손톱깎이 및 이를 포함하는 손톱깎이 케이스 KR202400098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798 2022-07-14
KR20220086798 2022-07-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840A true KR20240009840A (ko) 2024-01-23

Family

ID=8971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348A KR20240009840A (ko) 2022-07-14 2022-09-28 손톱깎이 및 이를 포함하는 손톱깎이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8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1318B1 (en) Nail clipper
US6928738B2 (en) Razor with integral trimming wand
WO2013148694A1 (en) Device for cutting hairs
KR20140002797U (ko) 오일 분사 겸용 눈썹 미용칼
US20110061239A1 (en) Nail clipper assembly
KR20240009840A (ko) 손톱깎이 및 이를 포함하는 손톱깎이 케이스
US2769237A (en) Pruning shears
US20050108880A1 (en) Hair trimming device
KR101208112B1 (ko) 네일 커터
JP3230278U (ja) 爪切り
KR20160026076A (ko) 비산방지 구조를 갖는 손톱깍기
KR200406846Y1 (ko) 미장용 머리카락 소제구
CN210726987U (zh) 一种蝉式指甲钳
TWM444922U (zh) 複合式刀具
US3279055A (en) Barbering device comprising a comb pivotally connected and spring biased to a blade
KR100597688B1 (ko) 미용가위
KR100755208B1 (ko) 3면 절단날 손톱깎이
KR20220170206A (ko) 손톱깎이
KR101998195B1 (ko) 날체 교체형 손톱깎이
US1181241A (en) Finger-nail cutter.
KR200382300Y1 (ko) 손톱깎이
KR20170056392A (ko) 손톱 길이 조절구가 구비된 손톱깎이
KR20130002991U (ko) 니퍼형 손톱깎이
KR200225030Y1 (ko) 손톱깎이및손톱깎이용수납케이스
KR20240045088A (ko) 손톱 깎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