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797B1 -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797B1
KR101627797B1 KR1020150066412A KR20150066412A KR101627797B1 KR 101627797 B1 KR101627797 B1 KR 101627797B1 KR 1020150066412 A KR1020150066412 A KR 1020150066412A KR 20150066412 A KR20150066412 A KR 20150066412A KR 101627797 B1 KR101627797 B1 KR 101627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luid
exhaust
divided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대
이병천
Original Assignee
(주)풍천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풍천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풍천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66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ross-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precipitation or mist formation, outside th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6Spray nozzles or spray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0/00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flow guiding means; Particular flow patterns
    • F28F2250/10Particular pattern of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 F28F2250/106Particular pattern of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with cross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방된 급기구(3)와 대면하게 열교환공간(6a, 6b)을 형성하는 측부케이싱(2a, 2a'); 일측 열교환공간(6a)과 타측 열교환공간(6b) 사이 또는 일측 열교환공간(6a)과 측부케이싱(2a')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배기영역(9); 배기영역(9)의 상부를 폐쇄하는 팬데크(2b): 팬데크(2b)의 중앙 또는 측부케이싱(2a')의 일영역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배기구(87); 측부케이싱(2a, 2a')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영역에 냉각유체유출구(14)를 갖는 집수조(15); 열교환공간을 다분할하여 개별적으로 냉각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며, 열교환영역(7)과 살수영역(8)을 형성하는 분할체임버(5), 분할체임버(5)를 구획하는 구획벽(4), 열교환영역(7)에 배치되어 고온유체공급관로(132)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유체 또는 냉각고온유체 중 어느 하나를 냉각하며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 또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는 직교류열교환부, 직교류열교환부의 배기측에 형성되는 엘리미네이터(29), 살수영역(8)에 배치되어 직교류열교환부로 고온유체, 냉각고온유체 또는 냉각수 중 어느 하나의 유체를 살수하며, 다수의 살수노즐(32)을 구성하는 살수수조(31)로 이루는 분할된 살수부(30)로 구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냉각부; 분할냉각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배기를 배기구(87)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며, 배기구(87)에 구성되는 송풍팬부(80a,80b); 제어신호에 따라, 분할냉각부의 분할냉각 운전과 백연저감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Plume abatement crossflow cooling tower having a divided cooling se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방된 급기구와 대면하는 열교환공간을 다분할하여 구성하는 복수의 분할냉각부를 통해 보다 경제적이고 세밀하게 냉각을 수행할 수 있고, 외기온도와 냉각부하변동에 따라 복수의 분할냉각부를 단계적으로 습식냉각 및 건식냉각(개방형 열교환부의 경우 건식운전)의 전환 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분할냉각부 각각에 개별적으로 유체(고온유체, 냉각고온유체 또는 냉각수)를 공급 및 차단하여 습식냉각 및 건식냉각(또는 건식운전)의 전환운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용수를 절약할 수 있고, 불필요한 습식냉각 운전의 통제와 건식냉각 운전을 증대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백연을 저감할 수 있고, 백연저감 운전정지시 건식열교환부를 통과하는 배기를 배기구로 우회유동시키어 송풍팬의 소비동력을 저감할 수 있으며, 백연저감 운전정지시 건식열교환부를 유동하는 고온유체를 차단함과 동시에 열교환부로 유동시키어 고온유체펌프의 소비동력을 저감할 수 있고, 제어신호에 따라, 분할냉각부의 단계적인 분할냉각 운전과 백연저감 운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하나의 분할냉각부의 고장시 다른 복수의 분할냉각부를 운전할 수 있으므로 냉각운전 정지에 따른 냉각부하부의 장해를 방지 할 수 있으며, 운전 및 유지관리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설비 및 냉동. 냉장장치 등에서 운전되는 냉동기나 산업용 열교환기는 제거되어야 하는 폐열을 수반하며, 이 폐열은 냉각탑을 유동하는 고온유체(또는 냉매)로부터 냉각공기로 전달되어 대기로 배출된다.
이러한 냉각탑의 폐열 제거방식(heat rejection type)은, 고온유체와 냉각공기가 직접접촉하며 열교환을 이루는 습식냉각 개방식 열교환부(wet cooling open type heat exchanger)에서 고온유체(hot fluid) 일부가 증발되면서 발생되는 증발잠열에 의해 고온유체를 냉각하는 증발냉각(evaporative cooling),
고온유체(또는 냉매)와 냉각공기 및 냉각수가 간접접촉하며 열교환을 이루는 습식냉각 밀폐식 열교환부(wet cooling closed circuit type heat exchanger)에서 밀폐된 전열관(heat transfer tube)의 외표면을 유동하는 공기와 냉각수의 접촉을 통해 전열관내를 유동하는 고온유체(또는 냉매)를 냉각(또는 응축)하는 간접접촉 증발냉각(evaporative cooling), 전열관 내를 유동하는 고온유체의 폐열을 관벽(tube wall)을 통해 고온유체 보다 온도가 낮은 냉각공기에 전달하여 현열(sensible heat)로 고온유체를 냉각하는 건식냉각(dry cooling), 습식냉각 열교환부와 건식냉각 열교환부를 조합한 혼식열교환부(hybrid cooling type heat exchanger)를 통해 고온유체를 냉각하는 습-건식 혼식냉각(hybrid cooling)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작용은, 액체(고온유체, 냉각오일 등)의 온도를 낮추는 유체냉각(fluid cooling)과, 기체(냉매가스, 증기 등)를 냉각하여 응축하는 유체응축(fluid condens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냉각공기와 냉각유체의 유동 방식은, 냉각공기는 상향으로 유동되고 냉각유체는 하향으로 유동되는 대향류형(counter flow type), 냉각공기는 수평으로 유동되고 냉각유체는 하향으로 유동되는 직교류형(cross flow type), 냉각공기와 냉각유체와 같은 방향으로 유동되는 평행류형(parallel flow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통풍방식은, 자연 대기의 풍력 또는 탑(tower)의 내외 공기 밀도차에 의한 상승 풍력을 이용하는 자연통풍식(natural draft type), 송풍팬을 통해 공기를 강제 통풍하는 기계통풍식(mechanical draft type), 이젝터(ejector)의 냉각유체 분사 유인력을 이용하여 통풍하는 이젝터 통풍식(ejector draft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송풍방식은, 열교환부에서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냉각공기(이하에서는 "배기"라 한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 송풍식(induced draft type), 냉각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부로 압입 송풍하고 열교환부에서 열교환을 마친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압입통풍식(forced draft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배기의 토출방식은, 팬데크에 수직으로 구성된 팬실린더(fan cylinder)를 통해 수직 상향으로 배기하는 수직 배기식(vertical exhaust type), 측부 케이싱에 수평으로 구성된 팬실린더를 통해 수평으로 배기하는 수평 배기식(horizontal exhaust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송풍팬 방식은, 일반적으로 흡입통풍식에 적용되는 축류형 팬(axial type fan)과, 압입통풍식에 적용되는 원심형 팬(centrifugal type fan)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송풍팬의 구동방식은, 벨트구동식(belt drive type), 감속기구동식(gear reducer drive type), 직결구동식(direct drive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직교류 냉각탑(cross flow cooling tower)은, 대향류 냉각탑(count flow cooling tower) 대비 낮은 펌프 양정(pumping head), 낮은 운전소음, 점검 및 보수의 편리, 설치부지 제약에 따른 냉각부의 수직 확장이 유리한 구조 및 낮은 운전비용 등의 장점으로 공기조화용 냉각탑수요를 지배하고 있음은 물론 산업용 냉각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직교류 냉각탑의 케이싱 구조는, 일반적으로 각형(square type)과 원형(round type)으로 구분되지만, 타원형, 다각형 등 다른 형상의 케이싱도 적용된다.
또한 직교류 냉각탑은, 개방된 급기구와 대면하게 열교환영역과 살수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영역의 평면적(살수 수조의 저면 면적과 대응) 전체의 크기로 배치되는 하나의 직교류 열교환부, 상기 직교류 열교환부의 상부 살수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직교류 열교환부의 상면 전역에 살수하는 하나의 살수부, 상기 살수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살수부의 상면 전체를 커버하는 하나의 엘리미네이터를 포함하는 하나의 냉각부가 구성되는 전형적인 구조를 갖는다.
양흡입 구조인 경우 일측 살수수조와 타측 살수수조 사이의 공간(개구), 또는 편흡입 구조인 경우 일측 살수수조와 측부케이싱의 상단 사이의 공간(개구)은 중앙에 배기구를 형성하는 팬데크(fan deck)로 폐쇄되고, 상기 팬데크의 하부와 집수조의 상면 사이에는 배기영역이 형성되는 전형적인 구조를 갖는다.
다음으로,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internet data center), 이동통신교환국, 전산센터, 대형백화점, 항온.항습(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이 요구되는 반도체 등의 제조시설, 항온.항습 저장고 등, 4계절 내내 냉각부하가 발생하는 건물(시설)이 증가되고 있고, 건물구조의 단열 및 기밀 강화 등에 따라 건물구조체를 통한 열손실은 감소되고, 조명 및 사무자동화 기기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발열량은 증가되어 업무용, 상업용 등의 건물(시설)에서도 겨울철에 간헐적으로 냉방을 하거나 하계에서 중간계절까지 냉방기간이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외기온도(outdoor temperature)가 낮은 동계나 동계와 하계사이의 중간계절에도 냉각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냉각부하부에서 발생되는 발열부하(heat load)는 외기온도가 낮은 계절로 갈수록 건물 구조체의 열전달량, 재실자의 출입 등을 통한 침입외기(infiltration air) 및 환기(ventilation)와 대응하는 외기도입(outdoor air intake)에 수반하여 실내로 전달된 냉열량과 상쇄하여 감소될 수 있고, 하계의 냉각부하로 설계된 냉동기와 냉각탑의 냉각 운전부하율도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일례로 저온 외기 계절에 냉방하는 건물에서는 하계에 냉각장치(공기조화기 등)로 공급되는 통상의 냉수온도(7℃) 보다 높은 온도(개략 8~10 ℃)의 냉수를 공급하더라도 냉방을 할 수 있고, 저온외기 계절의 냉각운전 환경에서는, 냉각탑을 이용하여 냉수(chilled water)를 생산하는 외기냉방시스템(free cooling system)이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냉동기 대체 냉수 생산시스템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기냉방시스템에서 무상의 저온외기를 냉각매체로 이용하여 냉수를 생산하는 냉각탑은 냉매압축식 냉동기의 소비동력(0.75kw/ RT) 대비 약 3.7~ 4.9 %에 해당하는 매우 작은 소비동력(0.026~0.036kw/ CRT)으로 냉수를 생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업계에서는, 외기 습구온도(wet bulb temperature)가 7 ℃ 이하로 유지될 때에는 냉각탑의 운전으로 냉수를 생산하고, 습구온도가 8~18 ℃ 범위에 있을 때에는 그 온도범위와 대응하여 냉각탑과 냉동기를 병행 운전하여 냉수를 생산하며, 습구온도가 19 ℃ 이상일 때에는 냉동기의 운전으로 냉수를 생산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외기냉방시스템은, 개방형 냉각탑을 적용하는 직접 외기냉방시스템(DFCS: direct free cooling system)이 일반적으로 적용하여 왔으나, 개방형 냉각탑구조에 따른 루버, 열교환부(충진재) 및 집수조의 결빙 등의 심각한 문제로 결빙 안전온도(이를 테면 3 ℃~ 10 ℃) 내에서 제한적으로 운전하여야 함으로 그 적용효과(경제성과 실용성)가 낮아 수요 발전에 걸림돌이 되어왔고, 최근에 들어 이와 같은 개방형 외기냉방시스템의 문제(결빙, 건식냉각 불가)를 개선함과 동시에 건식냉각 겸비, 운전기간확대, 냉수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밀폐형 냉각탑을 적용하는 간접 외기냉방시스템(IFCS: indirect free cooling system)의 기술개발과 수요 대체가 진전되고 있다.
그리고 간접 외기냉방시스템(IFCS)은 냉각유체에 부동액(ethylene glycol 또는 propylene glycol)을 첨가(일반적으로 40% wt)하여 운전할 경우 결빙 내지 동파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동절기 전 기간 동안 운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고자료로 인용하는 미국 등록특허 제 US 6,142,219호의 도면 3a, 도면 3b는 한국과 계절 및 기후가 비슷한 미국 동부지역을 특정하여 기술한 것으로서, 이들 도면에 설명을 부기(subjoinder)하여 작성한 참고도면1.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년간 운전 밀폐형 냉각탑에 있어, 년간 건식냉각 운전(MODE 1) 시간은 70.3%, 년간 습식냉각 운전-단열포화장치(adiabatic saturator) 사용(MODE2)시간은 17.7%, 년간 습식냉각 운전-습식코일 사용(MODE2) 시간은 12.0 %로 년간 냉각탑 운전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년간 총시간(8,760hr) 중, 6,158hr(8.4개월)는 건식냉각 운전(MODE 1)으로 커버됨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습식냉각 운전-단열포화장치(adiabatic saturator) 사용(MODE2)은, 밀폐식 열교환부(coil)로부터 열교환을 마치고 낙하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하는 습식 열교환부(filler)의 작용으로 간주된다.
참고도면 1.에서 묘사하고 있는 바와 같이, 건식냉각 기간과 비례하여 용수가 절감됨은 물론, 살수펌프의 소비동력 절감과 백연발생 방지 효과가 수반될 수 있다.
참고도면 1.: 전형적인 년간 온도 프로파일과 운전모드, 용수소비의 비교
Figure 112015045681004-pat00001
(출처 : 미국 등록특허 제 US 6,142,219호 / Closed circuit heat exchange system and method with reduced water consumption)
다음으로, 냉각탑은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폐열을 제거함과, 용수의 재사용을 통한 수자원의 보존 등에 기여하고 있는 반면에, 냉각탑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비산(drift) 및 백연(plume), 대용량의 송풍팬 운전에 따른 소음 및 진동, 레지오넬라(legionella) 세균의 서식지 제공 등의 환경적 문제를 유발시킨다.
이와 같은 냉각탑의 환경적 문제에 있어,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백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백연은, 냉각탑으로부터 증발열교환을 마치고 외부로 방출되는 고온의 포화습공기(RH 100%)가 저온의 대기와 혼합되는 과정에서 포화습공기에 함유하는 수분이 응축을 일으켜 생성되고, 더 낮은 대기온도와 더 높은 상대습도로 갈수록 가시도(visibility)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국내 기후에서는 동절기인 1월~3월 그리고 12월에는 항상 백연이 발생될 수 있고, 4월과 11월에는 그 발생빈도가 높으며, 5월~ 10월에는 고습도의 장마철이나, 낮은 기온 때마다 간헐적(intermittent)으로 백연이 발생된다.
백연은 저온의 대기(외기) 상태일 때 발생될 뿐만이 아니라 여름 장마철과 같이 낮은 온도와 높은 상대습도의 대기 상태일때도 발생되며, 겨울철 건조한 기후조건일 때와 같이 대기 온도가 낮은 경우라도 상대습도가 매우 낮으면 배기에 함유된 수분이 대기상에서 바로 증발되는 등의 작용으로 백연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냉각탑이 운전되고 있는 한 어떠한 계절이라도 백연이 발생되는 기후조건에 이르면 가시도가 높거나 낮은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백연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백연의 물성은 순수한 수증기이므로, 대기 오염원에는 속하지 않을 뿐만이 아니라, 인체에도 무해하지만, 연기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시각적 인식의 공해로 오인, 화재로 오인, 주변환경의 미관훼손, 레지오넬라(legionella) 세균의 전달체란 혐오성과, 시야(시계) 방해 등의 이유로 민원을 유발시키고, 동절기에 저기압의 기후일 경우, 백연 기류의 상승효과를 저하시키어 냉각탑 주변은 물론 경계영역 밖까지 응축 수분을 분포시키어 지상 및 시설물의 표면을 결빙시키는 등의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그리고 백연에 대한 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1980년대 초부터 미국 및 유럽의 냉각탑산업계에서 백연 대책기술을 본격적으로 개발하기 시작하였고, 백연을 저감시키려는 국내외 산업계의 연구개발도 지속되어 왔다.
또한, 냉각탑의 배기구를 통해 대기로 배출되는 배기를 통해 발생되는 백연(plume or white smoke)은 배기에 함유된 수분량을 감소시킬수록 그와 비례하여 백연의 가시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와 비례하여 백연저감 장치의 초기투자비와 운전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배기에 함유된 수분을 고온의 별도 열원으로 가열하여 완전히 제거하지 않는 한 백연발생을 방지할 수는 없는 것이고, 냉각탑에 백연저감 수단을 채용함에 있서 백연저감 조건을 더욱 강화하는 경우, 그 강화와 상응하는 초기투자비와 운전비용(냉각탑 본체, 건식열교환부, 송풍팬 및 고온유체 펌프 등)의 증가가 따라야 됨으로 그 선택에 제한이 따른다.
그리고 통상의 백연을 저감시키는 수단과 그 특징에 있어,
습식열교환부를 통한 포화습공기의 배기를 냉각탑으로 유입되는 고온유체를 가열매체로 하는 건식열교환부(가열열교환부)로 통과시키면서 가열과 동시에 습도를 감소시키고, 낮은 습도의 배기를 배출시키어 백연을 저감하는 자체 열원식 백연저감 수단은,
백연저감 운전에 따른 가열 에너지 비용은 발생되지 않는 반면에, 가열 열원매체를 37~40℃의 제한된 고온유체로 이용하기 때문에, 이 보다 높은 고온(60℃이상)의 가열열원으로 가열하는 별도 열원식(온수, 증기, 전열 등)의 백연저감 수단 보다 현격하게 큰 건식열교환부(가열열교환부)를 구성하여야 함으로 초기투자비용이 증가될 수 있고, 백연저감의 효과도 별도 열원식 보다 현격하게 낮은 편이다.
그리고 습식열교환부를 통한 포화습공기의 배기를 스팀, 온수 또는 전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건식열교환부의 가열열원으로 하여 가열과 동시에 습도를 감소시키고, 보다 낮은 습도의 배기를 배출시키어 백연을 저감하는 별도 열원식 백연저감 수단은,
그 어느 백연저감 수단 보다 백연저감 효과는 높지만, 습식 열교환부를 통한 포화습공기의 전량을 가열함에 따라 가열부하가 크고, 그 부하에 상응하는 엄청난 가열 에너지비용을 유발함으로 초기투자비의 증가와 방대한 운전비용의 증가로 그 채택이 극히 제한적이다.
또한 충진재(filler)에 구획된 건식풍로(공기만 유동)와 습식풍로(냉각유체와 공기가 유동)를 구성하여, 건식풍로를 통과하면서 습식풍로를 유동하는 고온유체로부터 구획벽(filler sheet)을 통해 전달되는 현열 열교환으로 배기(포화습공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습도를 감소시키고, 낮은 습도의 배기를 배출시키어 백연을 저감하는 습식/건식 풍로구조의 자체 열원식 백연저감 수단은,
초기투자비용이 저렴한 반면에, 습식 냉각열교환부(충진재)에 별도의 건식풍로를 구성하여야 함으로, 동급 용량의 습식냉각 열교환부 대비 건식 풍로의 체적에 상당하게 열교환부의 크기와 냉각탑의 체적 및 설치면적이 크게 증가되어 냉각탑의 원가 상승과 설치면적 확보 문제를 유발하고, 전술한 다른 방식의 백연저감 수단 대비 백연저감 효과도 낮아 그 적용이 매우 낮은편이다.
종래의 가열식 백연저감 냉각탑과 달리 최근에 들어 개발된 백연저감 수단으로서, 구획된 포화습공기의 고온배기 유동체널과 저온외기 유동체널을 일체하게 형성하는 플라스틱 열교환기 팩(plastic heat exchanger pack)에 고온배기와 저온 외기를 유동시키면서 고온배기에 함유된 수분을 냉각 응축하여 배기에서 분리하는 냉각 응축식 백연저감(cooling condensation type plume abatement) 수단은,
포화 습공기의 배기는 거의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외기의 온도와 습도는 가변적이어서 그 외기의 온도와 습도 변화에 따라 수분의 응축효율(백연저감 효율)도 변동됨으로 안정적인 백연저감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을 뿐만이 아니라, 그 백연저감 효율도 종래 가열식 백연저감 효율을 능가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설치 체적이 큰 다수의 플라스틱 열교환기 팩을 배기영역내에 추가적으로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냉각탑의 크기와 원가가 증가될 수 있고, 플라스틱 열교환기 팩에 외기를 직접도입하는 구조상 급기구의 증가등으로 냉각탑의 미관이 저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온 외기 및 냉각부하 감소 등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불필요한 냉각유체의 과냉각으로 냉각유체 온도가 정격 냉각온도 보다 과도하게 낮아질 경우, 압축식 냉동기의 경우 응축기의 압력이 과도하게 낮아짐에 따라 냉매 순환 문제 등으로 운전장애(운전정지 등)를 일으킬 수 있고, 흡수식 냉동기의 경우 용액의 결정(crystal forming) 되어 냉동 효율저하와 운전장애(운전정지등)를 일으킬수 있다.
냉각탑의 불필요한 냉각운전 통제를 위한 냉각온도 제어는, 송풍팬의 송풍량 제어(Fan ON / OFF 제어, Fan speed 제어, Fan Variable Pitch 제어 등)와 참고도면 2.와 같이 냉각을 위해 냉각탑으로 공급되는 고온유체(hot fluid)의 일부를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집수조(또는 냉각유체유출관로)로 우회 유동시키는 우회유동(By-pass) 제어로 대분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의 고온유체가 우회유동될 지라도 일부의 고온유체는 살수부를 통해 열교환부로 유동하며 계속적인 습식냉각 열교환을 수행함으로 증발 및 비산의 용수손실이 수반되고, 일부의 고온유체를 우회유동시키어 냉각부하 감소 운전을 수행 하더라도 열교환부의 전역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포화습공기의 배기는 저온의 대기와 혼합되면서 백연발생을 유발한다.
참고도면 2.: 직교류냉각탑의 고온유체 우회유동(by-pass)
Figure 112015045681004-pat00002
(출처 : 미국등록특허 US3,265,122호 / Air conditioning system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전술한 냉각탑의 용수 및 동력에너지 절감, 백연저감 그리고 외기냉수 생산은, 습-건식 밀폐식 열교환부의 습식냉각 및 건식냉각의 전환운전과 밀폐식 건식열교환부의 건식냉각 운전을 겸비하는 혼용 냉각시스템(hybrid cooling system)을 통해 이루는 것이 다른 단일 냉각 방식(습식냉각 또는 건식냉각) 대비 효과적이다.
그리고 효율적인 용수와 동력에너지 절감, 백연저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습식냉각 기간의 통제(억지)와 수용가능한 건식냉각 기간을 최대히 이용하고, 하나의 냉각부 단위 규모를 보다 세분화하여 외기온도와 냉각부하의 변동상황에 따라 효율적으로 습식냉각 운전과 건식냉각 운전(또는 건식운전)을 전환하는 기술적 과제가 요구된다.
여기서 건식운전(dry operation)이란, 살수부에 유체공급을 차단하여 개방식 열교환부의 습식냉각 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냉각열교환 작용없이 저습도의 외기만 공급되는 운전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건식냉각 운전(dry cooling operation)이란, 밀폐식 열교환부로 유동하는 냉각공기를 냉각매체로하여 고온유체를 건식 냉각하는 운전이라 할 수 있다.
다음은, 종래 직교류냉각탑과 백연저감 밀폐식 직교류냉각탑에 대하여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도면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대비의 편리를 위하여 그 명칭 내지 부호 대신에 본 발명에서 기재하는 부호와 명칭을 적용하였고 그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종래 직교류냉각탑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6의 종래 직교류냉각탑에 대하여 "공지기술 1"이라 칭하기로 한다.
공지기술 1은 직교류냉각탑의 전형적인 구조로서,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개방된 급기구(3)와 대면하게 열교환공간을 형성하는 측부케이싱(2a);
상기 열교환공간에 형성되는 열교환영역과 살수영역(8);
일측 열교환공간과 타측 열교환공간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영역(9);
상기 배기영역(9)의 상부를 폐쇄하는 팬데크(2b):
상기 팬데크(2b)의 중앙에 형성되는 배기구(87);
상기 측부케이싱(2a)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영역에 냉각유체유출구를 갖는 집수조(15);
상기 열교환영역에 배치되어 고온유체공급관로(130)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유체를 냉각하는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20a):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의 배기측에 형성되는 엘리미네이터(29):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살수영역(8)에 배치되어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로 고온유체를 살수하는 살수부(30);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배기를 상기 배기구(87)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부(80a)를 포함하는 직교류냉각탑(1f)을 공지하고 있다.
그리고 공지기술 1의 직교류냉각탑(1f)은, 열교영역의 평면적 전체의 크기로 배치되는 하나의 직교류열교환부(20a),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의 상부 살수영역(8)에 배치되어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 상면 전역에 살수하는 하나의 살수부(30)를 포함하는 하나의 냉각부로 이루는 전형적인 구조를 갖는다.
다음은, 공지기술1의 구성에 따른 작용을 추정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공지기술 1의 직교류냉각탑(1f)은, 냉각부하부로부터 고온유체공급관로(130)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유체는 살수부(30)를 통해 직교류열교환부(20a)로 살수되고, 살수된 고온유체는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를 통과하면서 냉각공기와 접촉하여 증발냉각 열교환을 이루고 냉각된 냉각유체는 냉각유체공급관로를 통해 냉각부하부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포화습공기의 배기는 엘리미네이터(29)와 배기영역(9) 및 송풍팬부(80a)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운전과정은 냉각탑이 운전되고 있는 한 반복될 수 있다.
도 17은 종래 백연저감 밀폐식 직교류냉각탑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7의 종래 백연저감 밀폐식 직교류냉각탑에 대하여 "공지기술 2"라 칭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열교환공간을 형성하는 측부케이싱(2a);
상기 열교환공간에 형성되는 열교환영역과 살수영역(8);
상기 일측 열교환공간과 타측 열교환공간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영역(9);
상기 배기영역(9)의 상부를 폐쇄하는 팬데크(2b):
상기 팬데크(2b)의 중앙에 형성되는 배기구(87);
상기 측부케이싱(2a)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영역에 냉각유체유출구를 갖는 집수조(15);
상기 하측 열교환영역에 배치되어 낙하되는 냉각수를 냉각하는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20a):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의 급기측과 대면하게 형성되는 하부 급기구(3);
상기 상측 열교환영역에 배치되어 냉각고온유체유출관로(136)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고온유체를 냉각하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 상부에 형성되는 살수영역(8)에 배치되어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b)로 냉각수를 살수하는 살수부(30);
상기 살수부(30)의 상측을 개구하여 형성되는 상부 급기구(3'):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의 상면과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b)의 저면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b)를 통해 낙하되는 온도가 높아진 냉각수를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로 중계 낙하하고,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b)를 통해 열교환을 마친 포화습공기의 배기를 상기 배기영역(9)으로 안내하는 중간 배기영역(9');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의 배기측 면과 상기 배기영역(9')의 배기측 개구에 구비되는 엘리미네이터(29);
상기 급기구(3)에 구비되는 루버(11);
상기 밀폐식열교환부(20b)의 상단 내측에서 상기 배기영역(9)의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V"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건식열교환부(50);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 밀폐식열교환부(20b) 및 건식열교환부(5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배기를 상기 배기구(87)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부(80a):
상기 건식열교환부(50)의 고온유체유입구로 고온유체를 공급하는 고온유체유입관로(130)와 상기 건식열교환부(50)의 냉각고온유체유출구와 상기 밀폐식열교환부(20b)의 유체유입구사이에 연결되는 냉각고온유체유출관로(136), 상기 밀폐식열교환부(20b)의 유체유출구에 연결되는 냉각유체유출관로(133);
유체우회유동관로(134), 냉각유체유출관로(133) 및 냉각유체공급관로(140) 사이에 구비되는 냉각고온유체를 상기 냉각유체공급관로(140) 우회유동시키는 개폐제어밸브(116)를 포함하는 백연저감 밀폐식 직교류냉각탑(1g)을 공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공지기술2의 구성에 따른 작용을 추정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공지기술 2의 백연저감 밀폐식 직교류냉각탑(1g)은, 건식열교환부(5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습도가 낮아진 배기는 송풍팬부(80a)와 배기구(8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백연을 저감하고, 건식열교환부(50)를 유동하는 고온유체는 배기 가열에 전달된 가열 열교환 열량과 상응하게 냉각되며, 냉각고온유체는 냉각고온유체유출관로(136)를 통해 밀폐식열교환부(20)로 유입되어 유동하면서 전열관의 외표면을 유동하는 냉각수와 냉각공기의 간접접촉을 통해 열교환을 이루고 냉각된 냉각유체는 냉각유체유출관로(133), 개폐제어밸브(116) 및 냉각유체공급관로(140)를 통해 냉각부하부(장치)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건식열교환부(50)로부터 유출되는 냉각고온유체의 온도가 냉각유체 온도에 충족된 경우 냉각유체우회유동관로(134), 개폐제어밸브(116) 및 냉각유체공급관로(140)를 통해 냉각부하부(장치)로 우회 공급된다.
한편 살수부(30)를 통해 살수된 냉각수는 밀폐식 열교환부(20b)의 외표면을 유동하는 냉각공기와 접촉하면서 전열관내를 유동하는 고온유체와 냉각 열교환을 이루고, 개방식열교환부(20a)를 통과하면서 냉각공기와 접촉하여 냉각 열교환을 이루어 냉각된 냉각수는 집수조(15), 냉각수공급관로(137) 및 살수펌프(40)를 통해 살수부(30)로 재순환된다.
이와 같은 운전과정은 냉각탑이 운전되고 있는 한 계속 내지 반복된다.
그리고 공지기술 2의 직교류냉각탑(1g)은, 열교환영역의 평면적 전체의 크기로 배치되는 각 하나의 직교류열교환부(20a, 20b),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b)의 상부 살수영역(8)에 배치되어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b) 상면 전역에 살수하는 하나의 살수부(30)를 포함하는 하나의 냉각부로 이루는 전형적인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공지기술 1과 같은 직교류냉각탑(1f)은, 건식냉각 운전이 불가능한 구조로서 건식냉각 운전에 따른 용수절감과 백연발생을 방지할 수 없고, 상온(하계 및 중간계절의 대략 15℃ 이상의 온도/ 습식냉각 대응)과 저온(동계 및 중간계절의 대략 15℃ 이하의 온도 / 건식냉각 대응) 외기조건 모두에서 상시 습식냉각으로 운전됨에 따라 저온외기 조건에서 불필요한 습식냉각 운전에 따른 용수 손실과 백연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습식냉각 운전 구조에 한정되어 외기 온도 변화에 따른 습-건식냉각 및 건식냉각 운전구조에서 얻는 냉각 에너지(전기와 용수) 절약 및 부하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냉각안정 효과를 구현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공지기술 2와 같은 백연저감 밀폐식 직교류냉각탑(1g)은,
백연저감운전이 필요하지 아니한 상온 대기 조건에서 습식냉각운전과, 저온의 대기조건에서 밀폐식열교환부(20b)를 건식냉각으로 운전하여 백연저감 운전이 불필요한 건식냉각운전 모두에서 고온유체가 백연저감 운전용 열교환기인 상기 건식열교환부(50)로 상시 유동됨으로 불필요한 고온유체 유동저항이 발생되어 고온유체펌프의 소비동력을 낭비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식열교환부(20b)의 습식냉각운전과 건식 냉각운전 어느 때라도 배기가 상기 건식열교환부(50)로 상시 유동됨으로 불필요한 배기의 유동저항이 발생되어 송풍팬의 소비동력을 증가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개방식열교환부(20a)의 상부에 형성되는 중간 배기영역(9'), 상기 중간 배기영역(9') 상부에 형성되는 밀폐식열교환부(20b)의 열교환영역이 수직으로 구비됨에 따라, 냉각탑의 높이가 현격하게 증가되어 제조원가의 상승과 냉각탑의 높이 증가에 따른 가시도가 높아져 미관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 밀폐식열교환부(20b)의 상단 내측에서 배기영역(9)의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건식열교환부(50)의 구조상 작업공간이 되는 배기영역(9)높이의 절반 이상을 점유하게 되어 건식열교환부(50)와 엘리미네이터(29) 등의 구성부의 점검 및 보수작업이 불편함이 따르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V"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건식열교환부(50) 구조에 따라 "Y"형상으로 형성되는 배기영역(9)의 구조상, 상기 중간 배기영역(9')에서 유입되는 배기와 상기 개방식열교환부(20a)를 통해 유입되는 배기는 상기 건식열교환부(50)의 하부면과 엘리미네이터(29)의 외측면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해 상기 건식열교환부(50)로 유동하는 특성상, 송풍팬의 흡입구와 근거리에 있는 상기 중간 배기영역(9')에서 유입되는 배기의 유동은 우세하고, 원거리에 있는 상기 개방식열교환부(20a)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의 유동은 약세하여 배기 유동량의 불균형으로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공지기술 1 및 2와 같은 직교류냉각탑(1f, 1g)은, 하나의 냉각부로 이루는 전형적인 구조로서, 냉각부의 구성부(살수부 및 열교환부 등) 가 고장 또는 정비시 그 수리(또는 정비)가 완료될 때까지 냉각탑의 운전이 정지됨으로 냉각부하부(냉동기 또는 냉각장치 등)의 운전 장해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공지기술 1 및 2는 그 구조상 개방형 직교류열교환부(20a)의 건식운전을 통해 공급되는 저습도의 외기와 습식냉각 운전을 통해 열교환을 마친 포화습공기의 배기를 혼합시키어 배기의 습도를 감소시키는 백연저감 작용을 수행할 수 없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공보 US 5585047호(1996.12.17) 특허문헌 2: 미국 특허공보 US 6142219호(2000.11.7)
본 발명은 상술한 공지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함은 물론 새로운 효과를 구현해 내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방된 급기구와 대면하는 열교환공간을 다분할하여 구성하는 복수의 분할냉각부를 통해 보다 경제적이고 세밀하게 냉각을 수행할 수 있고, 외기온도와 냉각부하변동에 따라 복수의 분할냉각부를 단계적으로 습식냉각 및 건식냉각(개방형 열교환부의 경우 건식운전)의 전환 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분할냉각부 각각에 개별적으로 유체(고온유체, 냉각고온유체 또는 냉각수)를 공급 및 차단하여 습식냉각 및 건식냉각(또는 건식운전)의 전환운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용수를 절약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습식냉각 운전의 통제와 건식냉각 운전을 증대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백연을 저감할 수 있으며, 백연저감 운전정지시 건식열교환부를 통과하는 배기를 배기구로 우회유동시키어 송풍팬의 소비동력을 저감할 수 있고, 백연저감 운전정지시 건식열교환부를 유동하는 고온유체를 차단함과 동시에 열교환부로 유동시키어 고온유체펌프의 소비동력을 저감할 수 있으며, 제어신호에 따라, 분할냉각부의 단계적인 분할냉각 운전과 백연저감 운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하나의 분할냉각부 고장시 분할된 다른 분할냉각부를 운전할 수 있으므로 냉각운전 정지에 따른 냉각부하부의 장해를 방지 할 수 있으며, 운전 및 유지관리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개방된 급기구(3)와 대면하게 열교환공간(6a, 6b)을 형성하는 측부케이싱(2a, 2a');
일측 열교환공간(6a)과 타측 열교환공간(6b) 사이 또는 상기 일측 열교환공간(6a)과 상기 측부케이싱(2a')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배기영역(9);
상기 배기영역(9)의 상부를 폐쇄하는 팬데크(2b):
상기 팬데크(2b)의 중앙 또는 상기 측부케이싱(2a')의 일영역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배기구(87);
상기 측부케이싱(2a, 2a')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영역에 냉각유체유출구(14)를 갖는 집수조(15);
상기 열교환공간(6a, 6b)을 다분할하여 개별적으로 냉각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며, 열교환영역(7)과 살수영역(8)을 형성하는 분할체임버(5), 상기 분할체임버(5)를 구획하는 구획벽(4), 상기 열교환영역(7)에 배치되어 고온유체공급관로(132)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유체 또는 냉각고온유체 중 어느 하나를 냉각하며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 또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는 직교류열교환부, 상기 직교류열교환부의 배기측에 형성되는 엘리미네이터(29), 상기 살수영역(8)에 배치되어 상기 직교류열교환부로 고온유체, 냉각고온유체 또는 냉각수 중 어느 하나의 유체를 살수하며, 다수의 살수노즐(32)을 구성하는 살수수조(31)로 이루는 분할된 살수부(30)로 구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냉각부;
상기 살수부(30)로 유체의 공급을 개폐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분할냉각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배기를 상기 배기구(87)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배기구(87)에 구성되는 송풍팬부(80a,80b);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분할냉각부의 분할냉각 운전과 백연저감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공간(6a, 6b)은, 상기 살수수조(15)의 저면과 상기 집수조(15)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유체유출구(14)와 상기 집수조(15) 사이에는 냉각수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집수통(sump)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통상의 구성이어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집수조(14)에는 보충수 공급부, 배수부 및 여과부 등의 부속 구성부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편흡입(급기구가 일측에만 구비)구조에서는 개방된 일측 급기구(3)와 대면하게 하나의 열교환공간(6a 또는 6b)이 형성되고, 양흡입(급기구가 양측에 구비)구조에서는 개방된 양측 급기구(3)와 대면하게 한 쌍의 열교환공간(6a, 6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할체임버(5)를 구획하는 상기 구획벽(4)은, 급기와 낙하 냉각수의 유동영역을 개별적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하단부는 상기 집수조(15)의 수면내로 침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상기 살수수조(15)의 저면에 밀착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기구(3)의 종방향으로 양측에 구성되는 측부케이싱(2a)과 대면하는 상기 분할체임버(5)는, 상기 측부케이싱(2a)과 상기 구획벽(4)으로 구획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열교환공간(6a, 6b)에서 분할되는 상기 분할냉각부는, 냉각탑의 크기와 최적의 분할 조건에 따라 2개에서 10개 사이의 분할 범위에서 분할할 수 있고, 냉각탑의 크기와 분할 요건에 따라 10개 이상으로도 분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교환공간(6a, 6b)에서 양측 측부케이싱(2a) 사이를 2분할 하여 이루는 2개의 분할냉각부, 상기 열교환공간(6a, 6b)에서 양측 측부케이싱(2a) 사이를 3분할 하여 이루는 3개의 분할냉각부, 상기 열교환공간(6a, 6b)에서 양측 측부케이싱(2a) 사이를 4분할 하여 이루는 4개의 분할냉각부와, 상기 열교환공간(6a, 6b)에서 양측 측부케이싱(2a) 사이를 5분할 하여 이루는 5개의 분할냉각부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분할냉각부의 분할 구조에서 대표적으로, 상기 일측 열교환공간(6a)에서 양측 측부케이싱(2a) 사이를 3분할 하여 이루는 3개의 분할냉각부와, 상기 타측 열교환공간(6b)에서 양측 측부케이싱(2a) 사이를 3분할 하여 이루는 3개의 분할냉각부를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냉각부는,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20a)를 갖는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10aa', 10ab', 10ac')와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를 갖는 분할냉각부(10ba, 10bb, 10bbf, 10bc, 10ba',10bb', 10bbf', 10bc')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할냉각부의 복수 부호에 대하여 실시예에서는 그대로 적용하여 설명하되, 그 외의 기재와 특허 청구범위에서는 기재의 편의상 상기 분할냉각(10aa, 10ab, 10ac,10aa', 10ab', 10ac')는 포괄 부호로하여 분할냉각부(10a*)로 기재하고, 상기 분할냉각부(10ba, 10bb, 10bbf, 10bc, 10ba',10bb', 10bbf', 10bc')도 포괄 부호로하여 분할냉각부(10b*)로 기재한다.
다음으로, 상기 분할냉각부에 있어,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20a)를 갖는 분할냉각부(10a*)는, 상온 외기조건에서는 고온유체(냉각고온유체)가 공급되는 습식냉각으로 운전되고, 외기온도 저하와 부하감소 변동의 제어신호에 따라 습식 냉각으로 운전되는 복수의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로 공급되는 고온유체(냉각고온유체)를 단계적으로 차단하여 건식운전(냉각작용 없이 저습도 외기만 공급)으로 전환되며, 외기온도 상승과 부하증가의 변동 신호에 따라 건식운전되는 복수의 분할냉각부(10a*)에 단계적으로 고온유체(냉각고온유체)를 공급하여 습식냉각 운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단계적으로 고온유체(냉각고온유체)의 공급차단(건식 운전 전환)은, 일례로, 1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에 고온유체(냉각고온유체) 공급차단 및 건식운전 전환, 2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에 고온유체(냉각고온유체) 공급차단 및 건식운전 전환, 3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에 고온유체(냉각고온유체) 공급차단 및 건식운전 전환의 단계일 수 있고,
단계적으로 고온유체(냉각고온유체)의 공급(습식냉각 운전 전환)은, 일례로, 1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에 고온유체(냉각고온유체) 공급 및 습식냉각 운전 전환, 2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에 고온유체(냉각고온유체) 공급 및 습식냉각 운전 전환, 3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에 고온유체(냉각고온유체) 공급 공급 및 습식냉각 운전 전환의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백연이 발생되는 저온외기 조건에서는 저온 외기온도에 대응하는 냉각부하가 감소(대략적으로 30~ 70% 부하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분할냉각부(10a*) 중 냉각부하감소에 상당하여 단계적으로 습식냉각 운전의 분할냉각부는 습식냉각 운전이 정지되고 건식 운전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면 1의 작용구조를 일례로 할때, 습식냉각으로 운전되는 분할냉각부(10aa, 10ac; 약 2/3 분할 부하)에서는 백연을 유발하는 포화습공기(RH 100%)의 배기(전체 배기량 대비 약 66% 포화습공기의 배기량)가 유동하고, 건식 운전되는 분할냉각부(10ab: 약 1/3 분할 부하율)에서는 급기구를 통해 저습도의 외기(전체 배기량 대비 약 34%의 저습도 외기 공급량)가 그대로 공급하게 된다.
습식냉각 운전 분할냉각부(10aa, 10ac)의 약 66% 량의 포화습공기의 배기와 건식 운전 분할냉각부(10ab)의 약 34% 량의 저습도(약 50~60% RH 가정)의 공급 외기가 배기영역에서 혼합하게 되면 포화습공기(RH 100%)의 배기 습도는 그 혼합 저습도 외기량에 비례하여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 분할냉각부(10a*)의 전부 습식냉각 운전에서 100 % 배기량의 포화습공기(RH 100%)의 배기가 약 66% 배기량으로 감소(즉, 배출 포화습공기의 배기량 감소)함과 동시에 저습도의 공급 외기와 혼합하여 습도가 감소된 배기를 배출하게됨으로서 대기로 확산되는 백연 가시범위를 감소하는 백연발생을 저감할 수 있고, 건식 운전 분할냉각부가 증가될 수록 백연저감 효과도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를 갖는 복수의 분할냉각부(10b*)는, 상온 외기조건에서는 습식냉각으로 운전되고, 외기온도 저하와 부하감소의 변동의 제어신호에 따라 습식 냉각으로 운전되는 복수의 분할냉각부(10b*)에 구비된 살수부(40)로 단계적으로 고온유체(냉각고온유체)의 공급을 차단하여 건식냉각 운전으로 전환되며, 외기온도 상승과 부하증가 변동의 제어 신호에 따라 건식냉각으로 운전되는 복수의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40)로 단계적으로 고온유체(냉각고온유체)를 공급하여 습식냉각 운전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백연이 발생되는 저온외기 조건에서는, 저온 외기온도에 대응하여 냉각부하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분할냉각부(10b*) 중 냉각부하감소에 상당하여 단계적으로 습식냉각 운전의 분할냉각부는 습식냉각 운전이 정지되고 건식냉각 운전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면 15의 작용구조를 일례로 할 때, 습식냉각으로 운전되는 분할냉각부(10bb; 약 1/3 분할 부하율)에서는 백연을 유발하는 포화습공기의 배기가 유동하고, 건식냉각 운전의 분할냉각부(10ba, 10bc: 약 2/3 분할 부하율)에서는 전열관(23) 내를 유동하는 고온유체(냉각고온유체)로부터 냉각열을 흡수한 고온의 배기가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약 34% 량의 포화습공기(RH 100%)의 배기와 약 66% 량의 저습도(약 30~45% RH 가정)의 고온 배기가 배기영역에서 혼합하게 되면 포화습공기(RH 100%)의 배기 습도는 그 혼합 저습도 고온 배기량에 비례하여 감소하게 되고 습도가 감소된 배기를 배출하게됨으로서 백연을 더욱 저감할 수 있으며, 별도의 건식열교환부 등의 백연저감 장치없이 보다 경제적인 방법으로 백연을 저감할수 있다.
그리고 15℃ 이하의 저온 외기조건에서는 상기 복수의 분할냉각부(10b*) 모두 건식냉각으로 운전될 수 있고, 건식냉각 운전에서는 백연이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직교류열교환부는, 다수의 필름 시트(film sheet)로 이루어지는 필름형 충진재 또는, 다수의 스플래시 막대(splash bar)로 이루어지는 비말형 충진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20a,20a'),
피냉각 유체가 유동하는 전열관(23), 일영역에 유체유입구(22)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관(23)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유체유입헤더(21), 일영역에 유체유출구(26)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관(23)의 타측 단부가 연결되는 유체유출헤더(25)를 갖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20bf) 또는,
상기 개방형 열교환부(20a')와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 20bf)를 조합한 혼식 직교류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f)는, 다수의 전열핀(54)을 형성하는 전열관(23)을 갖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이고, 상기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20a')는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20bf)의 하부 또는 상부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되어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20bf)로 유동하는 유체(냉각수)를 분산시킴과 동시에 냉각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는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 20bf)의 전열관(23)은, 원형관(circular tube), 타원형관(elliptical or oval tube) 또는 평판관(flat tube) 중 선택한 어느 하나로 이루어 질수 있다.
상기 전열관(23)에는, 열전달(heat transfer) 효율을 향상하기 위하여 다수의 전열핀(54)을 더 포함하여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열관(23)은 직관부와 곡관부로 이루는 사형(single serpentine) 전열관 또는 직관형 전열관 중 어느 하나로 구성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열관(23)은 동관(copper tube), 알루미늄합금관(aluminium alloy tube), 스테인레스관(stainless tube) 또는 아연도금철관(hot-dip galvanized steel tub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살수수조(31)는, 상부는 개방되고 나머지 면들은 폐쇄되는 직사각 통형상의 구조로서, 상기 복수의 분할냉각부에 개별적으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하나의 살수수조(31)에 복수의 수조격벽(35)을 형성하여 각각의 살수수조(31)를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복수의 분할냉각부와 대응하여 각각의 살수수조(31)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된 살수수조(31)에는, 유입되는 유체(고온유체 또는 냉각수)가 상기 살수수조(31)의 전면으로 원활하고 균등하게 유동하도록하는 헤더형(header type) 확산부(33a)와 살포기형(diffuser type) 확산부(32b)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살수수조(31)의 상부 개구에는, 광합성작용으로 오염을 유발하는 햇빛의 차단과 오염원인 대기 부유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착탈구조의 수조덮개(3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체공급부는, 고온유체펌프(340)와 고온유체공급관로(130, 131a. 132)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유체 또는 건식열교환부(50,50')로부터 냉각고온유체유출관로(136)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고온유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살수부(30)로 모두 공급 또는 모두 우회유동 중 선택된 유로로 유동을 제어하는 3방 제어밸브(3-way control valve)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 또는
상기 집수조(15)의 냉각유체유출구(14)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를 상기 살수부(30)로 공급(ON) 및 차단(OFF)하는 살수펌프(spray pump)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유체공급부(40ba, 40bb, 40bc, 40ba', 40bb', 40b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공급부의 복수 부호에 대하여 실시예에서는 그대로 적용하여 설명하되, 그 외의 기재와 특허 청구범위에서는 기재의 편의상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는 포괄 부호로하여 유체공급부(40a*)로 기재하고, 상기 유체공급부(40ba, 40bb, 40bc, 40bd, 40be, 40bf)도 포괄 부호로하여 유체공급부(40b*)로 기재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는 일측과 타측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로 유체를 공급하는 것을 일례로 하고 있지만, 일측의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 각각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와 타측의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 각각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40a*)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체공급부(40a*)는, 상기 살수부(30)로 고온유체를 공급하는 고온유체공급관로(132)와 상기 고온유체를 우회유동시키는 유체우회유동관로(134) 각각에는 고온유체의 유동을 개폐 제어하는 2방 제어밸브(2-way control valve)로 대체하여 구성 할 수 있고,
상기 살수부(30)로 고온유체를 공급하는 고온유체공급관로(132)와 상기 고온유체를 우회유동시키는 유체우회유동관로(134) 각각에는 고온유체의 유동을 수동으로 개폐하는 수동 개폐밸브로 대체하여 구성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기영역(9)에는, 상기 직교류열교환부를 통과하면서 살수되는 냉각수와 접촉하며 냉각열교환을 이루고 상기 배기구(87)로 유동하는 포화습공기의 배기를 가열 및 습도를 감소시키어 백연을 저감하고, 상기 고온유체를 건식냉각으로 냉각하는 수단으로서,
원형관(circular tube), 타원형관(elliptical or oval tube) 또는 평판관(flat tube) 중 어느 하나인 전열관(53), 상기 전열관(53)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전열핀(54), 고온유체공급관로(135)가 연결되는 유체유입구(52)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관(53)의 일측단부가 연결되는 유체유입헤더(51), 냉각고온유체유출관로(136)가 연결되는 유체유출구(56)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관(53)의 타측 단부가 연결되는 유체유출헤더(55)를 갖는 건식열교환부(50, 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직관부와 곡관부를 연속하여 이루는 상기 건식열교환부(50, 50')의 전전열관(53)은 싱글 사형(single serpentine) 또는 더블 사형(double serpentine) 구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8열(row) 범위내에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열관(53)은 동관(copper tube), 알루미늄합금관(aluminium alloy tube), 스테인레스관(stainless tube) 또는 아연도금철관(hot-dip galvani zed steel tube)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열핀(54)은, 공기조화기 또는 응축기 등에 적용되는 전열관(53)에 장착되는 통상의 판형 전열핀에, 고습도의 냉각탑환경에서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식 코팅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열관의 외표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내부식성 재질의 에로핀(aero fin) 등 다른 형상 및 구조의 전열핀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영역(9)에 배치되는 상기 건식열교환부(50, 50')는, 일측 건식열교환부(50)와 타측 건식열교환부(50) 사이에 소정의 폭으로 배기우회유동공간(77)이 형성하도록 수평하게 배치할 수 있고, 상측 건식열교환부(50)와 하측 건식열교환부(50') 사이에 소정의 높이로 배기우회유동공간(77)을 형성하도록 단차지게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건식열교환부(50, 50')에는, 백연저감 운전 정지시 상기 건식열교환부(50, 50')를 통과하는 배기를 상기 배기구(87)로 우회유동시키어 배기 유동저항 감소와 송풍팬의 소비동력을 저감하고 백연저감 운전(ON)시 폐쇄(OFF)하여 상기 건식열교환부(50)로 배기가 유동하도록 하며,
상기 배기우회유동공간(77)에는, 복수의 개폐 블레이드를 갖는 댐퍼로 구성되는 배기개폐부재(71), 상기 배기개폐부재(71)를 회전시키어 개폐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구동하는 개폐부재구동기(75)로 구성되는 우회배기개폐부(70),
하나의 개폐판을 갖는 배기개폐부재, 상기 배기개폐부재를 회전시키어 개폐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구동하는 개폐부재구동기(75)로 구성되는 우회배기개폐부 또는
롤링 셔터(Rolling Shtter)로 구성되는 배기개폐부재, 상기 배기개폐부재를 승강시키어 개폐하는 개폐구동기로 구성되는 우회배기개폐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우회배기개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87)의 상측에는, 내측에 배기영역(9')을 형성하고, 상기 건식열교환부(50, 50')를 수용 배치하며 4측면은 측벽으로 폐쇄되고 상측과 하측면은 개방되는 건식열교환체임버(59)를 더 포함하여 구비할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영역(9')과 대면하는 상기 건식열교환체임버(59)의 일측 측벽 또는 양측 측벽 중 어느 하나에는 외부로 배기를 우회유동 시키는 관통구(58)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58)에는 우회배기개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우회배기개폐부의 배기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출되는 배기가 작업자, 근접시설물, 식물 등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향 경사 기류로 전환 및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안내부(76)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회배기개폐부는, 백연이 발생되지 않는 상온의 외기온도에서 상기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20a)의 습식냉각 운전,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의 습식냉각 운전과 건식냉각 운전시에는, 개방(ON: bypass air open)되어 상기 건식열교환부(50, 50')를 통과하는 배기를 상기 배기구(87) 또는 상기 건식열교환체임버(59)의 관통구(58) 중 어느 한 곳으로 우회유동시키어 배기를 배출하고.
백연이 발생되는 저온 외기온도에서, 상기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20a)의 습식냉각 운전과 건식운전,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의 습식 냉각운전시에는, 폐쇄(OFF: bypass air close)되어 상기 건식열교환부(50, 50')로 배기를 통과시키어 가열 열교환을 이루고 상기 배기구(87)로 배기를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교류열교환부로부터 열교환을 마치고 상기 배기구(87) 또는 관통구(58) 중 어느 한 곳으로 향하는 배기에 있어, 상기 건식열교환부(50,50')를 통과하는 배기는 유동저항을 받아 저항배기(resistance exhaust air)가 될 수 있고, 저항이 발생되지 않는 개방된 배기우회유동통로(77) 또는 관통구(58) 중 어느 한 곳으로 유동하는 우회 유동배기는 무저항배기(nonresistance exhaust air)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기우회유동통로(77) 또는 관통구(58) 중 어느 하나로 배기를 우회유동함에 따은 배기의 유동저항감소와 송풍팬(80a,80b,80c)의 소비동력 감소, 백연저감운전 정지(OFF)시 상기 건식열교환부(50, 50')를 유동하는 고온유체를 차단함에 따은 고온유체의 유동저항 감소와 고온유체펌프(340)의 소비동력을 감소는,
유체역학상 그 유동저항의 감소와 대응하여 유량과 소비동력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정격 유동저항(유동저항 감소가 고려되지 않은 저항)의 송풍팬 또는 펌프만으로는 소비동력감소 효과를 얻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유동저항 감소와 상응하게 소비동력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가변유량 운전을 수행하는 장치(일례로 모터의 가변속도 제어시스템 /VVVF Inverter; 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control Inverter)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송풍팬부는, 상기 팬데크(2b)의 중앙에 형성되는 배기구(87)의 상부에 구성되는 노출형 팬실린더(81a), 상기 팬실린더(81b)에 수용 배치되는 축류형 송풍팬(82), 상기 송풍팬(82)을 구동하는 모터(85)를 갖는 흡입통풍식 노출형 송풍팬부(80a) 또는
상기 팬데크(2b)의 중앙에 형성되는 배기구(87)의 하부에 구성되는 매립형 팬실린더(81b), 상기 팬실린더(81b)에 수용 배치되는 축류형 송풍팬(82), 상기 송풍팬(82)을 구동하는 모터(85)를 갖는 흡입통풍식 매립형 송풍팬부(80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의 구동부는, 벨트구동식(belt drive type)인 것이 바람직하나, 감속기구동식(gear reducer drive type) 또는 직결구동식(direct drive type)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유체유출구(14) 또는 냉각유체를 냉각부하부(300)로 공급하는 냉각유체공급관로(140) 중 어느 한 곳에는 냉각부하부(300)로 공급되는 냉각유체의 온도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검출기(12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냉각고온유체유출관로(136)에는, 백연저감 운전시에는 상기 건식열교환부(50, 50')를 통해 냉각된 냉각고온유체가 상기 살수부(30) 또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 중 어느 한 곳으로 공급되도록 개방(ON)하고 백연저감 운전 정지시에는 냉각고온유체의 유동을 차단(OFF)하는 개폐제어밸브(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고온유체유출관로(136)에는, 상기 냉각고온유체유출관로(136)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고온유체의 온도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검출기(12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고온유체유출관로(136)에는, 상기 건식열교환부(50, 50')로부터 유출되어 상기 살수부(30) 또는 직교류열교환부(20b, 20bf) 중 어느 한 곳으로 공급되는 냉각고온유체가 설정된 냉각유체 온도에 충족될 때에,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 20b, 20bf)의 불필요한 냉각을 통제하고 용수를 절감하는 수단으로서, 냉각고온유체를 냉각유체로 하여 상기 집수조(15) 또는 냉각유체공급관로(140) 중 어느 한 곳으로 우회유동시키는 유체우회유동관로(134'), 상기 유체우회유동관로(134')에 구비되어 냉각유체의 우회유동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제어밸브(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급기구(3)와 인접한 상기 측부케이싱(2a, 2a') 외측에는, 외기의 온도와 습도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온도검출기(123)와 습도검출기(12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검출기(121, 122, 123)와 습도검출기(124)는 제어의 안정과 검출의 최적화를 위하여 복수의 측정부에 복수로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부하부(300)는, 냉동기(압축식 냉동기 또는 흡수식 냉동기), 냉수(냉동기 생산 또는 외기 생산 냉수)를 공급받아 실내 공기를 냉각 열교환하는 공기조화기(air handling unit), 항온항습기(Thermohygrostat) , 팬 코일 유닛(fan coil unit), 인터넷데이터센터(IDC) 냉각유닛, 수냉식 냉각기(Water cooled cooler), 대류 방열기(convector), 저온창고의 냉각기(cooler) 중 적어도 하나의 냉각장치와 그 부대장치(펌프, 제어부, 유체관로, 제어밸브 등)를 포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신호(온도검출 신호, 습도 검출신호, 고온유체펌프 ON/OF 접점 신호 등)에 따라, 상기 분할냉각부의 분할냉각 운전과 백연저감 운전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200)에는, 분할냉각부 제어부와 백연저감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값을 설정하는 제어값설정부,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 검출 및 접점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신호입력부, 인가된 제어신호를 조작부로 출력하는 제어신호출력부, 비정상 운전 및 고장을 경보하는 경보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제어하는 원격제어신호 입출력부, 제어 데이터를 외부에 저장하는 외부저장부 및 제어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방된 급기구(3)와 대면하게 열교환공간(6a, 6b)을 형성하는 측부케이싱 (2a, 2a'); 일측 열교환공간(6a)과 타측 열교환공간(6b) 사이 또는 상기 일측 열교환공간(6a)과 상기 측부케이싱(2a')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배기영역(9); 상기 배기영역(9)의 상부를 폐쇄하는 팬데크(2b): 상기 팬데크(2b)의 중앙 또는 상기 측부케이싱(2a')의 일영역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배기구(87); 상기 측부케이싱(2a, 2a')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영역에 냉각유체유출구(14)를 갖는 집수조 (15); 상기 열교환공간(6a, 6b)을 다분할하여 개별적으로 냉각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며, 열교환영역(7)과 살수영역(8)을 형성하는 분할체임버(5), 상기 분할체임버 (5)를 구획하는 구획벽(4), 상기 열교환영역(7)에 배치되는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 또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는 직교류열교환부, 상기 직교류열교환부의 배기측에 형성되는 엘리미네이터(29), 상기 살수영역(8)에 배치되며 다수의 살수노즐(32)을 구성하는 살수수조(31)로 이루는 분할된 살수부(30)로 구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냉각부; 상기 살수부(30)로 유체의 공급을 개폐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분할냉각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배기구(87)에 구성되는 송풍팬부(80a,80b);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분할냉각부의 분할냉각 운전과 백연저감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고온유체펌프(340)의 운전(ON) 신호를 판단하여 제어신호(ON)로 인가하는 단계(s111);
상기 인가된 고온유체펌프(340)의 운전 제어신호(ON)와 연동하여 송풍팬부를 운전(ON)하는 단계(s112)와 복수의 유체공급부(40a*, 40b*) 모두를 작동(ON)하여 유체(냉각수, 고온유체 또는 냉각고온유체 중 어느 하나의 유체)를 복수의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에 공급하는 단계(s113);
상기 복수의 분할냉각부 전부가 습식냉각으로 운전하는 단계(s113);
온도검출기(121, 123)의 습식냉각 정지 온도 검출신호(t3, t4, t5)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신호(t3', t4', t5')로 인가하는 단계(s115,s118,s121);
상기 제어신호(t3', t4', t5')에 따라 단계적으로 상기 유체공급부(40a*, 40b*)의 유체공급을 차단하는 단계(s116,s119,s122)와 단계적으로 상기 분할냉각부의 건식냉각운전(또는 건식운전)을 전환하는 단계(s117,s120,s123);
상기 온도검출기(121, 123)의 습식냉각 운전 온도 검출신호(t2)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신호(t2')로 인가하는 단계(s124);
상기 제어신호(t2')에 따라 단계적으로 복수의 상기 유체공급부(40a*, 40b*) 통해 복수의 상기 분할냉각부의 살수부(30)로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s125) 및 단계적으로 습식냉각 운전으로 전환하는 단계(s126);
상기 온도검출기(121, 123)의 습식냉각 운전 온도 검출신호(t1)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신호(t1')로 인가하는 단계(s127);
상기 제어신호(t1')에 따라 복수의 상기 유체공급부(40a*, 40b*) 통해 복수의 상기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에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s113)로 이루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의 제어방법과,
개방된 급기구(3)와 대면하게 열교환공간(6a, 6b)을 형성하는 측부케이싱 (2a, 2a'); 일측 열교환공간(6a)과 타측 열교환공간(6b) 사이 또는 상기 일측 열교환공간(6a)과 상기 측부케이싱(2a')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배기영역(9); 상기 배기영역(9)의 상부를 폐쇄하는 팬데크(2b): 상기 팬데크(2b)의 중앙 또는 상기 측부케이싱(2a')의 일영역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배기구(87); 상기 측부케이싱(2a, 2a')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영역에 냉각유체유출구(14)를 갖는 집수조 (15); 상기 열교환공간(6a, 6b)을 다분할하여 개별적으로 냉각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며, 열교환영역(7)과 살수영역(8)을 형성하는 분할체임버(5), 상기 분할체임버 (5)를 구획하는 구획벽(4), 상기 열교환영역(7)에 배치되는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 또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는 직교류열교환부, 상기 직교류열교환부의 배기측에 형성되는 엘리미네이터(29), 상기 살수영역(8)에 배치되며 다수의 살수노즐(32)을 구성하는 살수수조(31)로 이루는 분할된 살수부(30)로 구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냉각부; 상기 살수부(30)로 유체의 공급을 개폐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분할냉각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배기구(87)에 구성되는 송풍팬부(80a, 80b); 상기 배기영역(9) 또는 상기 배기구(87)의 상측에 구비는 건식열교환체임버(59)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측 배기영역 (9') 중 어느 한 곳에 구성되며, 상기 배기구(87)로 유동하는 포화습공기의 배기를 가열 및 습도를 감소시키어 백연을 저감하고, 유동하는 고온유체냉각하는 건식열교환부(50, 50'); 백연저감 운전 정지시 상기 건식열교환부(50, 50')로 유동하는 배기를 우회유동시며, 일측 건식열교환부(50)와 타측 건식열교환부(50) 사이, 또는 상측 건식열교환부(50)와 하측 건식열교환부(50')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소정의 폭(또는 높이)으로 배기우회유동공간(77); 상기 배기우회유동공간(77) 또는, 상기 상측 배기영역(9')을 형성하는 건식열교환체임버(59)의 측벽에 형성되는 관통구 (58) 중 어느한 곳에 구비되어 우회유동배기를 개폐하는 우회배기개폐부(70);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분할냉각부의 분할냉각 운전과 백연저감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온도검출기(123)의 백연저감 운전 온도검출신호(t10/ON)와 습도검출기(124)의 백연저감 운전 습도검출신호(h1/ON)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백연저감 운전 제어신호(t10', h1')로 인가하는 단계(s131, s132);
상기 인가된 백연저감 운전 제어신호(t10', h1')에 따라, 일측(또는 상측) 건식열교환부(50)와 타측(또는 하측) 건식열교환부(50')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우회유동통로(77) 또는 건식열교환체임버(59)의 관통구(58) 중 어느 한 곳으로 우회유동하는 배기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우회배기계폐부(70)를 폐쇄(OFF)하는 단계(133);
상기 건식열교환부(50,50')로부터 유출되는 냉각고온유체가 살수부(30) 또는 직교류열교환부(20b)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유동하도록 개폐제어밸브(112)를 개방(ON)하는 단계(s134);
상기 살수부(30) 또는 직교류열교환부(20b)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유동되는 고온유체를 차단하도록 개폐제어밸브(111)를 폐쇄(OFF)하는 단계(s135);
복수의 유체공급부를 작동(ON)시키어 복수의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로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s136);
상기 복수의 상기 유체공급부를 통해 복수의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로 공급하는 유체를 단계적으로 차단하는 단계(s137) 및 백연저감 운전 단계(s138);
상기 온도검출기(123)의 백연저감 운전정지 온도검출신호(t11/ON)와 습도검출기(124)의 백연저감 운전정지 습도검출신호(h2/ON)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백연저감 운전정지 제어신호(t11' h2')로 인가하는 단계(s139, s140);
상기 백연저감 운전정지 제어신호(t11' h2')에 따라, 배기우회유동통로(77) 또는 건식열교환체임버(59)의 관통구(58) 중 어느 한 곳으로 배기가 우회유동하도록 우회배기계폐부(70)를 개방(ON)하는 단계(s141);
상기 건식열교환부(50,50')로부터 살수부(30) 또는 직교류열교환부(20b)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공급되는 냉각고온유체를 차단하도록 상기 개폐제어밸브(112)를 폐쇄(OFF)하는 단계(s142);
상기 살수부(30) 또는 직교류열교환부(20b)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고온유체가 공급하도록 상기 개폐제어밸브(111)를 개방(ON)하는 단계(s143);
상기 복수의 상기 유체공급부를 작동(ON)시키어 복수의 상기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에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s144)로 제어가 반복되는 단계(s145)로 이루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할냉각부의 제어는, 습식냉각 운전과 건식냉각 운전(또는 건식 운전)의 전환 운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결과적으로 습식냉각 운전에 따른 유체공급부의 유체 공급 제어, 건식냉각 운전(또는 건식운전)에 따른 유체공급부의 유체 공급 차단의 제어 과정이 될 수 있고, 분할냉각부(유체공급부 포함)의 분할 수의 증가나 감소에 따라 분할냉각부의 단계적인 제어 과정과 그 제어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연저감 제어는, 습식냉각 운전과 건식냉각 운전(또는 건식 운전)의 전환 운전과, 건식열교환부(50, 50')의 가열열교환 운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결과적으로 백연발생 저감을 위하여, 습식냉각 운전에 따른 유체공급부의 유체공급 제어, 건식냉각 운전(또는 건식 운전)에 따른 유체공급부의 유체 공급 차단 제어, 건식열교환부(50, 50')로 고온유체의 공급 및 차단 제어, 우회배기계폐부(70)의 개방 및 폐쇄의 제어 과정이 될 수 있고, 분할냉각부(유체공급부 포함)의 분할수의 증가나 감소에 따라 백연저감의 단계적인 제어 과정과 그 제어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된 급기구와 대면하는 열교환공간을 다분할하여 구성하는 복수의 분할냉각부를 통해 보다 경제적이고 세밀하게 냉각을 수행할 수 있고, 외기온도와 냉각부하변동에 따라 복수의 분할냉각부를 단계적으로 습식냉각 및 건식냉각(개방형 열교환부의 경우 건식운전)의 전환 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분할냉각부 각각에 개별적으로 유체(고온유체, 냉각고온유체 또는 냉각수)를 공급 및 차단하여 습식냉각 및 건식냉각(또는 건식운전)의 전환운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용수를 절약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습식냉각 운전의 통제와 건식냉각 운전을 증대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백연을 저감할 수 있으며, 백연저감 운전정지시 건식열교환부를 통과하는 배기를 배기구로 우회유동시키어 송풍팬의 소비동력을 저감할 수 있고, 백연저감 운전정지시 건식열교환부를 유동하는 고온유체를 차단함과 동시에 열교환부로 유동시키어 고온유체펌프의 소비동력을 저감할 수 있으며, 제어신호에 따라, 분할냉각부의 단계적인 분할냉각 운전과 백연저감 운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하나의 분할냉각부 고장시 분할된 다른 분할냉각부를 운전할 수 있으므로 냉각운전 정지에 따른 냉각부하부의 장해를 방지 할 수 있으며, 운전 및 유지관리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분할냉각부 제어방법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제어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도 7의 분할냉각부 제어방법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제어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와 건식열교환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와 건식열교환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와 백연저감 운전의 건식열교환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3은 도 10의 백연저감 제어방법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제어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와 건식열교환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5는 도 14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와 건식열교환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6은 종래 직교류냉각탑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7은 종래 백연저감 밀폐식 직교류냉각탑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종래기술의 구성 및 그 구성의 작용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여러 실시 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여 대표적으로 일실시 예에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실시 예에서는 일실시 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할냉각부 제어방법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제어 순서도 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a) 및 그 제어방법은,
개방된 급기구(3)와 대면하게 열교환공간(6a, 6b)을 형성하는 측부케이싱 (2a, 2a');
일측 열교환공간(6a)과 타측 열교환공간(6b)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영역(9);
상기 배기영역(9)의 상부를 폐쇄하는 팬데크(2b):
상기 팬데크(2b)의 중앙에 형성되는 배기구(87);
상기 측부케이싱(2a, 2a')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영역에 냉각유체유출구(14)를 갖는 집수조(15);
상기 열교환공간(6a, 6b)을 다분할(6분할)하여 개별적으로 냉각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며, 열교환영역(7)과 살수영역(8)을 형성하는 분할체임버(5), 상기 분할체임버(5)를 구획하는 구획벽(4), 상기 열교환영역(7)에 배치되어 고온유체공급관로(132)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유체를 냉각하는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20a),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의 급기측에 형성되는 루버(11)와 배기측에 형성되는 엘리미네이터(29), 상기 살수영역(8)에 배치되어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로 고온유체를 살수하며, 다수의 살수노즐(32)을 구성하는 살수수조(31)로 이루는 분할된 살수부 (30)로 구성되는 일측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와 타측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
상기 살수부(30)에 연결되는 상기 고온유체공급관로(132)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고온유체를 상기 살수부(30)로 공급 또는 유체우회유동관로(134)로 우회유동 중 선택된 유로로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3방 제어밸브(3-way control valve)로 이루어지는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
상기 일측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와 타측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배기를 상기 배기구(87)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배기구(87)의 상부에 구성되는 노출형 팬실린더(81a), 상기 팬실린더 (81a)에 수용 배치되는 축류형 송풍팬(82), 상기 송풍팬(82)을 구동하는 모터(85)를 갖는 흡입통풍식 노출형 송풍팬부(80a);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분할냉각부(10a, 10b, 10c,10aa', 10ab', 10ac')의 분할냉각 운전과 백연저감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a)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살수수조(31)는, 상부는 개방되고 나머지 면들은 폐쇄되는 직사각 통형상의 구조로서, 상기 복수의 분할냉각부(10a, 10b, 10c,10aa', 10ab', 10ac')에 개별적으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하나의 살수수조(31)에 복수의 수조격벽 (35)을 형성하여 각각의 살수수조(31)를 구획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분할된 살수수조(31) 내측에는, 유입되는 고온유체를 상기 살수수조(31)의 전면으로 원활하고 균등하게 유동하도록하는 헤더형(header type) 확산부(33a)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살수수조(31)의 상부 개구에는, 광합성작용으로 오염을 유발하는 햇빛의 차단과 오염원인 대기 부유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착탈구조의 수조덮개(39)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체임버(5)를 구획하는 상기 구획벽(4)은, 하단부가 상기 집수조(15)의 수면내로 침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살수수조(31)의 저면에 밀착되게 배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확산부(33a)와 고온유체공급관로(130) 사이에는 고온유체를 공급하는 고온유체공급관로(132)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와 상기 집수조(15) 사이에는 상기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로 고온유체 공급을 차단(OFF)할 때에 고온유체를 상기 집수조(15)로 우회유동시키는 유체우회유동관로(134)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유체유출구(14)에는 냉각부하부(300)로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냉각유체공급관로(140)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각유체유출구(14)에는 상기 냉각부하부(300)로 공급되는 냉각유체의 온도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검출기(1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급기구(3)와 인접한 상기 측부케이싱(2a, 2a') 외측에는, 외기의 온도와 습도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온도검출기(123)와 습도검출기(124)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a)의 제어부(200)는,
고온유체펌프(340)의 운전(ON) 신호를 판단하여 제어신호(ON)로 인가하는 단계(s111);
상기 인가된 고온유체펌프(340)의 운전 제어신호(ON)와 연동하여 송풍팬부를 운전(ON)하는 단계(s112)와 복수의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 모두를 작동(ON)하여 고온유체 를 복수의 분할냉각부(10a, 10b, 10c,10aa', 10ab', 10ac')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에 공급하는 단계(s113);
상기 복수의 분할냉각부(10a, 10b, 10c,10aa', 10ab', 10ac') 전부가 습식냉각으로 운전하는 단계(s114);
온도검출기(121, 123)의 습식냉각 정지 온도 검출신호(t3, t4, t5)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신호(t3', t4', t5')로 인가하는 단계(s115,s118,s121);
상기 제어신호(t3', t4', t5')에 따라 단계적으로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의 유체공급을 차단하는 단계(s116,s119,s122)와 단계적으로 상기 분할냉각부(10a, 10b, 10c,10aa', 10ab', 10ac')의 건식냉각운전(또는 건식운전)을 전환하는 단계(s117,s120,s123);
상기 온도검출기(121, 123)의 습식냉각 운전 온도 검출신호(t2)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신호(t2')로 인가하는 단계(s124);
상기 제어신호(t2')에 따라 단계적으로 복수의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 통해 복수의 상기 분할냉각부(10a, 10b, 10c,10aa', 10ab', 10ac')의 살수부(30)로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s125) 및 단계적으로 습식냉각 운전으로 전환하는 단계(s126);
상기 온도검출기(121, 123)의 습식냉각 운전 온도 검출신호(t1)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신호(t1')로 인가하는 단계(s127);
상기 제어신호(t1')에 따라 복수의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 통해 복수의 상기 분할냉각부(10a, 10b, 10c,10aa', 10ab', 10ac')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에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s113)로 제어가 반복되는 단계(s128)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의 제어방법을 특징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200)에는 분할냉각부 제어부와 백연저감 제어부가 포함되고, 제어값을 설정하는 제어값설정부,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 검출 및 접점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신호입력부, 인가된 제어신호를 조작부로 출력하는 제어신호출력부, 비정상 운전 및 고장을 경보하는 경보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제어하는 원격제어신호 입출력부, 제어 데이터를 외부에 저장하는 외부저장부 및 제어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포함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주요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주요작용은 제 1실시예에서 대표적인 일례를 설명하고 후술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1실시예의 주요작용과 다른 작용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먼저, 냉각부하부(300)의 운전이 시작되면 고온유체펌프(340)의 운전(ON) 신호와 연동하여 송풍팬이 운전(ON)되고,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가 개방(ON)되어 고온유체공급관로(130, 132)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유체는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10aa', 10ab', 10ac')에 구비된 살수부(30)로 공급되고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10aa', 10ab', 10ac') 전부가 습식냉각으로 운전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10aa', 10ab', 10ac')의 살수부(30)을 통해 살수되는 고온유체는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20a)를 유동하면서 급기와 접촉하며 냉각열교환을 이루고, 냉각된 냉각유체는 집수조(15)와 냉각유체공급관로(140)를 통해 냉각부하부(300)로 공급되며, 상기 냉각부하부(300)로부터 냉각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높아진 고온유체는 상기 고온유체공급관로(130, 132)를 통해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로 재순환된다.
한편,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10aa', 10ab', 10ac')를 통해 열교환을 마친 배기는 송풍팬부(80a)와 배기구(8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은 작용은 냉각탑(1a)이 운전되고 있는 한 반복된다.
다음으로, 백연저감 작용(방법)에 있어, 백연이 발생되는 저온외기 조건에 이르면 그 저온 외기온도에 대응하는 냉각부하가 감소(대략적으로 30~ 70% 부하감소)함에 따라 상온에서 습식냉각으로 운전되는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10aa', 10ab', 10ac') 중 1단계로 유체공급부(40ab)를 통해 분할냉각부(10ab,10ab')에 구비된 살수부(30)로 공급되는 유체를 차단함과 동시에 유체를 유체우회유동관로(134)를 통해 냉각유체공급관로(140)로 우회유동시키어 상기 분할냉각부(10ab, 10ab')는 건식운전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냉각부하가 더욱 감소함에 따라 습식냉각으로 운전되는 분할냉각부(10aa, 10ac, 10aa', 10ac') 중 2단계로 유체공급부(40ac)를 통해 분할냉각부(10ac,10ac')에 구비된 살수부(30)로 공급되는 유체를 차단함과 동시에 유체를 유체우회유동관로(134)를 통해 냉각유체공급관로(140)로 우회유동시키어 상기 분할냉각부(10ac,10ac')는 건식운전으로 전환된다.
또한 1단계로 상기 분할냉각부(10ab,10ab')를 건식운전으로 전환하고 2단계로 상기 분할냉각부(10ac,10ac')를 건식운전으로 전환함으로서 상기 분할냉각부(10aa, 10aa') 만 습식냉각으로 운전하게 된다.
여기서, 냉각부하감소에 대응하여 용수절감과 백연저감을 위해 습식냉각운전을 단계적 전환하는 건식운전은, 냉각작용 없이 저습도의 공기만 공급하는 운전으로서 냉각탑 운전을 정지하지 않는 한 6분할의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10aa', 10ab', 10ac') 중 적어도 1분할의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10aa', 10ab', 10ac' 중 어느 하나)는 냉각탑이 운전되고 있는 한 계속 습식냉각으로 운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분할냉각부에 고온유체를 공급할 때에는 상기 유체공급부(3방 제어밸브)의 "B" 밸브가 개방(B-O)됨과 동시에 "C" 밸브가 폐쇄(C-C)되고,
상기 분할냉각부에 고온유체 공급을 차단할 때에는 상기 유체공급부의 "B" 밸브가 폐쇄(B-C)됨과 동시에 "C" 밸브가 개방(C-O)되는 밸브의 개폐작용을 한다.
따라서, 도면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습식냉각 운전의 분할냉각부(10aa,10ac,10aa',10ac')를 통해 배기영역(9)으로 유동하는 포화습공기(RH 100%)의 배기와 건식운전의 분할냉각부(10ab, 10ab')를 통해 상기 배기영역(9)으로 유동하는 저습도(약 50~60% RH 가정)의 외기가 혼합(mixing)하여 배기(포화습공기)의 습도를 감소시키어 배출함으로서 백연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습식냉각으로 운전되는 분할냉각부(0aa, 10ac,10aa', 10ac'; 약 2/3 분할 부하)에서는 백연을 유발하는 포화습공기(RH 100%)의 배기(전체 배기량 대비 약 66% 포화습공기의 배기량)가 유동하고, 건식 운전되는 분할냉각부(10ab, 10ab': 약 1/3 분할 부하율)에서는 급기구를 통해 저습도의 외기(전체 배기량 대비 약 34%의 저습도 외기 공급량)가 그대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습식냉각 운전 분할냉각부(10aa, 10ac,10aa', 10ac')의 약 66% 량의 포화습공기의 배기와 건식운전 분할냉각부(10ab, 10ab')의 약 34% 량의 저습도(약 50~60% RH 가정)의 공급 외기가 배기영역에서 혼합하게 되면 포화습공기(RH 100%)의 배기 습도는 그 혼합 저습도 외기량에 비례하여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10aa', 10ab', 10ac')의 전부 습식냉각 운전에서 100 % 배기량의 포화습공기(RH 100%)의 배기가 약 66% 배기량으로 감소(즉, 배출 포화습공기의 배기량 감소)함과 동시에 저습도의 공급 외기와 혼합하여 습도가 감소된 배기를 배출하게됨으로서 대기로 확산되는 백연 가시범위를 감소하는 백연발생을 저감할 수 있고, 건식 운전 분할냉각부가 증가될 수록 백연저감 효과도 증가할 수 있으며, 별도의 건식열교환부 등의 백연저감 장치없이 가장 경제적으로 방법으로 백연을 저감할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b) 및 그 제어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열교환공간(6a)을 다분할(3분할)하여 개별적으로 냉각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며,
열교환영역(7)과 살수영역(8)을 형성하는 1 , 3 분할의 분할체임버(5)내의 열교환영역(7)에 배치되어 고온유체공급관로(132)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유체를 냉각하는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20a), 상기 살수영역(8)에 배치되어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로 고온유체를 살수하는 살수부(30), 상기 살수부(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엘리미네이터(29)로 구성되는 분할냉각부(10aa, 10ac);
열교환영역(7)과 살수영역(8)을 형성하는 2 분할의 분할체임버(5)내의 열교환영역(7)에 배치되어 고온유체공급관로(132)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유체를 냉각하며 고온 유체가 유동하는 전열관(23), 일영역에 상기 고온유체공급관로(132)가 연결되는 유체유입구(22)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관(23)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유체유입헤더(21), 일영역에 냉각유체유출관로(133)가 연결되는 유체유출구(26)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관(23)의 타측 단부가 연결되는 유체유출헤더(25)를 갖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 상기 살수영역(8)에 배치되어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b)로 유체(고온유체)를 살수하는 살수부(30), 상기 살수부(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엘리미네이터(29)로 구성되는 분할냉각부(10bb);
상기 살수부(30)에 연결되는 냉각고온유체공급관로(133')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고온유체를 상기 살수부(30)로 공급 또는 유체우회유동관로(134)로 우회유동 중 선택된 유로로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3방 제어밸브로 이루어지는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의 상부와 중간부에 배치되어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로부터 낙하되는 고온유체를 분산함과 동시에 유동하는 급기와 접촉시키어 냉각열교환하는 개방형 직교류열교환부(20a')를 갖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b)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살수부(30)에는 상기 냉각고온유체공급관로(133')가 연결되는 살포기형 환산부(33b)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로 고온유체를 공급하는 상기 고온유체공급관로(132)는 냉각부하부(300)로부터 고온유체펌프를 통해 고온유체를 공급하는 고온유체공급관로(13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의 유체유출구(26)와 상기 살수부(30) 사이에는,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b)로부터 유출되는 냉각고온유체를 상기 살수부(30)로 공급하는 냉각고온냉각고온유체유출관로(133')가 연결되고, 상기 냉각고온유체유출관로(133')에는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와 상기 집수조(15) 사이에는 냉각고온유체를 유회유동시키는 유체우회유동관로(134)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집수조(15)의 냉각유체유출구(14)에는 냉각유체를 냉각부하부(300)로 공급하는 냉각유체공급관로(14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냉각유체공급관로(140)에는 상기 냉각부하부(300)로 공급되는 냉각유체의 온도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검출기(12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급기구(3)와 인접한 상기 측부케이싱(2a, 2a') 외측에는, 외기의 온도와 습도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온도검출기(123)와 습도검출기(124)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할냉각부의 제어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대등한 것이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주요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 5 내지 도 6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먼저, 냉각부하부(300)의 운전이 시작되면 고온유체펌프(340)의 운전(ON) 신호와 연동하여 송풍팬이 운전(ON)되고, 고온유체공급관로(130, 132)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유체는 분할냉각부(10aa, 10bb, 10ac)의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로 공급된다.
그리고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가 작동하여 개방(ON)되고, 상기 분할냉각부(10ba, 10bb 10ac)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로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b)로부터 공급되는 냉각고온유체가 공급되어 상기 분할냉각부(10aa, 10bb 10ac) 전부가 습식냉각으로 운전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 분할냉각부(10aa, 10bb 10ac)의 살수부(30)을 통해 살수되는 냉각고온유체는 상기 분할냉각부(10aa, 10ac)의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20a)와 상기 분할냉각부(10bb)의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를 유동하면서 급기와 열교환을 이루고 냉각된 냉각유체는 집수조(15)와 냉각유체공급관로(140)을 통해 냉각부하부(300)으로 공급되고 상기 냉각부하부(300)에서 냉각열교환을 이루고 온도가 높아진 고온유체는 고온유체공급관로(130, 132)를 통해 상기 분할냉각부(10ba)의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로 재순환된다.
한편, 상기 분할냉각부(10aa, 10bb 10ac)를 통해 열교환을 마친 배기는 송풍팬부(80a)와 배기구(8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은 작용은 냉각탑(1b)이 운전되고 있는 한 반복된다.
다음으로, 백연저감 작용(방법)에 있어, 백연이 발생되는 저온외기 조건에 이르면 그 저온 외기온도에 대응하는 냉각부하가 감소함에 따라 상온에서 습식냉각으로 운전되는 분할냉각부(10aa, 10bb, 10ac) 중 1단계로 유체공급부(40ab)를 통해 분할냉각부(10bb)의 살수부(30)로 공급되는 냉각고온유체를 차단(OFF)함과 동시에 집수조(15)로 우회유동시키어 상기 분할냉각부(10bb)는 건식냉각 운전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냉각부하가 더욱 감소함에 따라 습식냉각으로 운전되는 분할냉각부(10ba, 10bc) 중 2단계로 유체공급부(40ac)를 통해 분할냉각부(10ac)의 살수부(30)로 공급되는 냉각고온유체를 차단(OFF)함과 동시에 집수조(15)로 우회유동시키어 상기 분할냉각부(10ac)는 건식 운전으로 전환된다.
또한 3단계로 냉각부하가 더욱 감소함에 따라 유체공급부(40aa)를 통해 습식냉각으로 운전되는 분할냉각부(10aa)의 살수부(30)로 공급되는 냉각고온유체를 차단(OFF)함과 동시에 집수조(15)로 우회유동시키어 상기 분할냉각부(10aa)는 건식 운전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분할냉각부(10aa,10ac)는 건식운전되고 분할냉각부(10bb)는 건식냉가 운전을 수행함으로서 건식 냉각으로 냉각고온유체를 냉각함과 동시에 배연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적인 습식냉각운전은 단계적인 습식냉각 정지과장의 역순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 5, 6의 도시를 일례로하여, 습식냉각 운전의 분할냉각부(10aa, 10ac)를 통해 배기영역(9)으로 유동하는 포화습공기(RH 100%)의 배기와 건식냉각운전의 분할냉각부(10bb)를 통해 상기 배기영역(9)으로 유동하는 저습도의 고온배기가 혼합(mixing)하여 배기(포화습공기)의 습도를 더욱 감소시키어 배출함으로서 백연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습식냉각으로 운전되는 분할냉각부(10aa,10ac: 약 2/3 분할 부하율)에서는 습식냉각으로 열교환을 마친 포화습공기(RH 100%)의 배기(전체 배기량 대비 약 66% 배기량)가 유동하고, 건식냉각으로 운전되는 분할냉각부(10bb; 약 1/3 분할 부하율)에서는 저습도의 고온 배기(전체 배기량 대비 약 34%의 배기량)가 유동하여 배기영역(9)에서 혼합하게 되면 포화습공기(RH 100%)의 배기 습도는 그 혼합 저습도 고온배기량에 비례하여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할냉각부(10aa, 10bb, 10ac)의 전부 습식냉각 운전에서 100 % 배기량의 포화습공기(RH 100%)의 배기가 약 66% 배기량으로 감소(즉, 배출 포화습공기의 배기량 감소)함과 동시에 저습도의 고온배기(약 34% 배기량)와 혼합하여 습도가 감소된 배기를 배출하게됨으로서 대기로 확산되는 백연 가시범위를 감소하는 백연발생을 더욱 저감할 수 있고, 건식냉각 및 건식 운전 분할냉각부가 증가될 수록 백연저감 효과도 증가할 수 있으며, 별도의 건식열교환부 등의 백연저감 장치없이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백연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b)은 외기냉방시스템의 냉수생산 장치로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분할냉각부 제어방법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제어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c) 및 그 제어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열교환공간(6a, 6b)을 다분할(6분할)하여 구성되어 개별적으로 냉각작용을 하며, 열교환영역(7) 및 살수영역(8)을 형성하는 분할체임버(5), 상기 분할체임버(5)를 구획하며 일측 급기구(3)측에서 종방향으로 3분할하여 배치되는 구획벽(4), 타측 급기구(3)측에서 종방향으로 3분할하여 배치되는 구획벽(4), 상기 열교환영역(7)에 배치되어 고온유체공급관로(132)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유체를 냉각하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 상기 살수영역(8)에 배치되어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로 유체(냉각수)를 살수하는 살수부(30), 상기 살수부(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엘리미네이터(29)로 구성되는 분할냉각부(10ba, 10c, 10ba', 10bc')
상기 중간 분할체임버(5) 열교환영역(7)에 배치되어 고온유체공급관로(132)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유체를 냉각하며 다수의 전열핀(54)을 형성하는 전열관(23)을 갖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f), 상기 살수영역(8)에 배치되어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b)로 냉각수를 살수하는 살수부(30), 상기 살수부(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엘리미네이터(29)로 구성되는 분할냉각부(10bbf,10bbf');
냉각수를 상기 살수부(30)로 공급(ON) 및 차단(OFF)하며, 살수펌프(spray pump)로 이루어지는 유체공급부(40ba, 40bb, 40bc, 40ba', 40bb', 40bc');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분할냉각부(10ba,10bbf. 10c, 10ba',10bbf', 10bc')의 분할냉각 운전과 백연저감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c)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열교환부 모두를 밀폐식 직교류 열교환부(20b,20bf)로 구성함으로서 분할냉각부 모두가 건식냉각 운전이 가능하고,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용수 및 소비동력 절감과, 백연을 저감 또는 방지(전 분할냉각부의 건식냉각 운전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c)의 제어부(200)는,
고온유체펌프(340)의 운전(ON) 신호를 판단하여 제어신호(ON)로 인가하는 단계(s111);
상기 인가된 고온유체펌프(340)의 운전 제어신호(ON)와 연동하여 송풍팬부를 운전(ON)하는 단계(s112)와 복수의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40aa', 40ab' 40ac') 모두를 작동(ON)하여 고온유체 를 복수의 분할냉각부(10ba,10bbf. 10c, 10ba',10bbf', 10bc')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에 공급하는 단계(s113);
상기 복수의 분할냉각부(10ba,10bbf. 10c, 10ba',10bbf', 10bc') 전부가 습식냉각으로 운전하는 단계(s114);
온도검출기(121, 123)의 습식냉각 정지 온도 검출신호(t3, t4, t5)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신호(t3', t4', t5')로 인가하는 단계(s115,s118,s121);
상기 제어신호(t3', t4', t5')에 따라 단계적으로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40aa', 40ab' 40ac')의 유체공급을 차단하는 단계(s116,s119,s122)와 단계적으로 상기 분할냉각부(10ba,10bbf. 10c, 10ba',10bbf', 10bc')의 건식냉각 운전을 전환하는 단계(s117,s120,s123);
상기 온도검출기(121, 123)의 습식냉각 운전 온도 검출신호(t2)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신호(t2')로 인가하는 단계(s124);
상기 제어신호(t2')에 따라 단계적으로 복수의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40aa', 40ab' 40ac') 통해 복수의 상기 분할냉각부(10ba,10bbf. 10c, 10ba',10bbf', 10bc')의 살수부(30)로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s125) 및 단계적으로 습식냉각 운전으로 전환하는 단계(s126);
상기 온도검출기(121, 123)의 습식냉각 운전 온도 검출신호(t1)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신호(t1')로 인가하는 단계(s127);
상기 제어신호(t1')에 따라 복수의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40aa', 40ab' 40ac') 통해 복수의 상기 분할냉각부(10ba,10bbf. 10c, 10ba',10bbf', 10bc')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에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s113)로 제어가 반복되는 단계(s128)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의 제어방법을 특징하고 있다.
상술한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c)은 외기냉방시스템의 냉수생산 장치로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주요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대등한 것이어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백연저감 작용(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대등한 것이어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와 건식열교환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와 건식열교환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와 백연저감 운전의 건식열교환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0의 백연저감 제어방법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제어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d) 및 그 제어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열교환공간(6a) 내의 배기영역(9)과 집수조(15)의 상면 사이의 공간을 다분할(3분할)하여 구성되어 개별적으로 냉각작용을 하며, 급기영역(6), 열교환영역(7) 및 살수영역(8)을 형성하는 분할체임버(5), 상기 분할체임버(5)를 구획하며 급기구(3)측에서 종방향으로 3분할하여 배치되는 구획벽(4), 상기 열교환영역(7)에 배치되어 고온유체공급관로(132)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유체를 냉각하는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20a), 상기 살수영역(8)에 배치되어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로 유체(고온유체 또는 냉각고온유체)를 살수하는 살수부(30), 상기 살수부(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엘리미네이터(29)로 구성되는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
상기 살수부(30)에 연결되는 고온유체공급관로(132)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유체(고온유체 또는 냉각고온유체)를 상기 살수부(30)로 공급 또는 유체우회유동관로(134)로 우회유동 중 선택된 유로로 유동을 제어하는 3방 제어밸브로 이루어지는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
상기 배기구(87)의 상측에 배치되며, 내측에 배기영역(9')을 형성하며 4측면은 측벽으로 폐쇄되고 상측과 하측면은 개방되는 건식열교환체임버(59);
상기 건식열교환체임버(59)에 수용배치되는 건식열교환부(50);
상기 배기영역(9')과 대면하는 상기 건식열교환체임버(59)의 양측 측벽을 개구하여 형성되는 관통구(58)와 상기 관통구(58)에 구성되는 우회배기개폐부(70);
상기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배기를 상기 배기구(87)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배기구(87)의 하부에 구성되는 매립형 팬실린더(81b), 상기 팬실린더(81b)에 수용 배치되는 축류형 송풍팬(82), 상기 송풍팬(82)을 구동하는 모터(85)를 갖는 흡입통풍식 매립형 송풍팬부(80a)를 포함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d)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우회배기개폐부(70)의 배기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출되는 배기가 작업자, 근접시설물, 식물 등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향 경사 기류로 전환 및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안내부(76)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온유체공급관로(130)에서 분기되어 상기 살수부(30)로 고온유체를 공급하는 고온유체공급관로(132)는 상기 살수부(30)에 연결되고, 상기 고온유체공급관로(132)에는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가 구성되며,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의 밸브"C"에는 집수조(15)로 유체(고온유체 또는 냉각고온유체)를 우회유동시키는 유체우회유동관로(13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온유체공급관로(130)에서 분기되어 상기 살수부(30)로 고온유체를 공급하는 고온유체공급관로(132)에는 백연이 발생되지 않는 상온에서 습식냉각 운전시에는 고온유체가 상기 살수부(30)로 공급되도록 개방(ON)하고, 백연저감운전 또는 습식냉각 운전정지(OFF)시에는 고온유체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폐쇄(OFF)하는 고온유체 개폐제어밸브(11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온유체공급관로(130)에서 분기된 고온유체공급관로(135)는 상기 건식열교환부(50)의 유체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고온유체공급관로(135)에는 백연저감 습식냉각 운전, 건식냉각 운전 중 적어도 하나가 운전시 상기 건식열교환부(50)로부터 유출되는 냉각고온유체가 상기 살수부(30)로 공급되도록 개방(ON)하고, 백연이 발생되지 않는 상온에서 습식냉각 운전시에는 상기 건식열교환부(50)로 공급되는 고온유체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살수부(30)로 공급되는 냉각고온유체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폐쇄(OFF)하는 개폐제어밸브(112)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d)의 제어부(200)는,
온도검출기(123)의 백연저감 운전 온도검출신호(t10/ON)와 습도검출기(124)의 백연저감 운전 습도검출신호(h1/ON)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백연저감 운전 제어신호(t10', h1')로 인가하는 단계(s131, s132);
상기 인가된 백연저감 운전 제어신호(t10', h1')에 따라, 건식열교환체임버(59)의 관통구(58)로 우회유동하는 배기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우회배기계폐부(70)를 폐쇄(OFF)하는 단계(133);
상기 건식열교환부(50)로부터 유출되는 냉각고온유체가 살수부(30)로 유동하도록 개폐제어밸브(112)를 개방(ON)하는 단계(s134);
상기 살수부(30)로 유동되는 고온유체를 차단하도록 개폐제어밸브(111)를 폐쇄(OFF)하는 단계(s135);
복수의 유체공급부를 작동(ON)시키어 복수의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로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s136);
상기 복수의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를 통해 복수의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에 구비된 살수부(30)로 공급하는 유체를 단계적으로 차단하는 단계(s137) 및 백연저감 운전 단계(s138);
상기 온도검출기(123)의 백연저감 운전정지 온도검출신호(t11/ON)와 습도검출기(124)의 백연저감 운전정지 습도검출신호(h2/ON)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백연저감 운전정지 제어신호(t11' h2')로 인가하는 단계(s139, s140);
상기 백연저감 운전정지 제어신호(t11' h2')에 따라, 건식열교환체임버(59)의 관통구(58)로 배기가 우회유동하도록 우회배기계폐부(70)를 개방(ON)하는 단계(s141);
상기 건식열교환부(50)로부터 살수부(30)로 공급되는 냉각고온유체를 차단하도록 상기 개폐제어밸브(112)를 폐쇄(OFF)하는 단계(s142);
상기 살수부(30)로 고온유체가 공급하도록 상기 개폐제어밸브(111)를 개방(ON)하는 단계(s143);
상기 복수의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를 작동(ON)시키어 복수의 상기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에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s144)로 제어가 반복되는 단계(s145)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의 제어방법을 특징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식열교환체임버(59), 상기 건식열교환체임버(59)의 배기영역(9')에 수용배치되는 건식열교환부(50),관통구(58)에 구성되는 우회배기개폐부(70)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의 습식냉각 운전을 통해 열교환을 마치고 유동하는 포화습공기의 배기와 상기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의 건식운전을 통해 공급되는 저습도의 외기가 혼합되어 습도가 낮아진 배기를 다시 건식열교환부(50)를 통해 가열열교환을 하여 더욱 습도를 감소시키어 배출함으로서 백연저감 효율을 더욱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 건식열교환부(50)를 통해 열교환을 이루고 온도가 낮아진 냉각고온유체를 상기 살수를(30) 를 통해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로 공급함으로 상기 직교류열교환부(20a)의 냉각부하를 감소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주요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 10 내지 도 12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먼저, 냉각부하부(300)의 운전이 시작되면 고온유체펌프(340)의 운전(ON) 신호와 연동하여 송풍팬이 운전(ON)되고, 고온유체 개폐제어밸브(111)의 개방(ON)과 동시에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가 개방(ON)되고 냉각고온유체 개폐제어밸브(112)는 폐쇄(OFF)된다.
그리고 고온유체공급관로(130,132)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유체는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로 공급되고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 전부가 습식냉각으로 운전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의 살수부(30)를 통해 살수되는 고온유체는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20a)를 유동하면서 급기와 접촉하며 냉각열교환을 이루고, 냉각된 냉각유체는 집수조(15)와 냉각유체공급관로(140)를 통해 냉각부하부(300)로 공급되며, 상기 냉각부하부(300)로부터 냉각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높아진 고온유체는 상기 고온유체공급관로(130 132)를 통해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로 재순환된다.
한편,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를 통해 열교환을 마친 배기는 송풍팬부(80b)와 배기구(8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은 작용은 냉각탑(1d)이 운전되고 있는 한 반복된다.
다음으로, 백연저감 작용(방법)은 도면 1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
온도검출기(123)의 백연저감 운전 온도검출과 습도검출기(124)의 백연저감 운전 습도검출의 제어신호(t10', h1')에 따라, 관통구(58)로 우회유동하는 배기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우회배기계폐부(70)를 폐쇄(OFF)하고, 건식열교환부(50,50')로부터 유출되는 냉각고온유체가 살수부(30)로 유동하도록 개폐제어밸브(112)가 개방(ON)됨과 동시에 상기 살수부(30)로 유동되는 고온유체를 차단하도록 개폐제어밸브(111)가 폐쇄(OFF)된다.
그리고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를 작동(ON)시키어 상기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로 유체(냉각고온유체)가 공급(ON)된다.
또한 상기 온도검출기(123)와 습도검출기(124)의 백연저감 운전정지 제어신호(t11' h2')에 따라, 관통구(58)로 배기가 우회유동하도록 우회배기계폐부(70)가 개방(ON)된다.
상기 건식열교환부(50)로부터 상기 살수부(30)로 공급되는 냉각고온유체를 차단하도록 상기 개폐제어밸브(112)가 폐쇄(OFF)됨과 동시에 상기 살수부(30)로 고온유체가 공급하도록 상기 개폐제어밸브(111)가 개방(ON)된다.
그리고 상기 유체공급부(40aa, 40ab 40ac)를 모두 작동(ON)시키어 상기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에 유체가 공급되어 상기 분할냉각부(10aa, 10ab, 10ac)는 습식냉각으로 운전되며, 상기 온도검출기(123)와 습도검출기(124)의 백연저감 운전 제어신호(t10', h1')가 입력되면 백연저감운전으로 전환하며, 위와 같은 작용은 냉각탑(1d)이 운전되고 있는 한 반복된다.
다음으로, 각 운전별 개략 설명으로서, 도 10과 도 11은 습식냉각 운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운전에서는 고온유체 개폐제어밸브(111)는 개방(ON)되고, 냉각고온유체 개폐제어밸브(112)는 폐쇄(OFF)되며, 우회배기개폐부(70)는 개방(ON)된다.
그리고 도10 내지 도 12는 백연저감 습식냉각 운전과 건식운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운전에서는 고온유체 개폐제어밸브(111)는 폐쇄(OFF)되고, 냉각고온유체 개폐제어밸브(112)는 개방(ON)되며, 우회배기개폐부(70)는 폐쇄(OFF)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와 건식열교환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분할냉각부의 운전 상태와 건식열교환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e) 및 그 제어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냉각탑의 높이 제한에 대응하여, 급기구(3) 형성하는 1면은 개방되고, 3면을 폐쇄하며 개방된 상기 급기구(3)와 대면하게 열교환공간(6a)을 형성하는는 측부케이싱(2a,2a'); 상기 측부케이싱(2a,2a') 상단을 폐쇄하는 상부케이싱(2b');
일측 열교환공간(6a)과 배기구(87)를 형성하는 측부케이싱(2a')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영역(9);
상기 측부케이싱(2a, 2a')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영역에 냉각유체유출구(14)를 갖는 집수조(15);
상기 열교환공간(6a)을 다분할(3분할)하여 개별적으로 냉각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며, 열교환영역(7)과 살수영역(8)을 형성하는 분할체임버(5), 상기 분할체임버(5), 상기 열교환영역(7)에 배치되어 고온유체공급관로(13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고온유체 또는 냉각고온유체)를 냉각하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의 급기측에 형성되는 루버(11)와 배기측에 형성되는 엘리미네이터(29), 상기 살수영역(8)에 배치되어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로 냉각수를 살수하며, 다수의 살수노즐(32)을 구성하는 살수수조(31)로 이루는 분할된 살수부(30)로 구성되는 분할냉각부(10ba, 10bb, 10bc)):
냉각수공급관로(137)를 통해 상기 살수부(30)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공급을 개폐하는 유체공급부(40ba, 40bb 40bc);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개방식 직교류 열교환부(20a');
상기 배기구(87)의 측부에 구성되는 노출형 송풍팬부(80a):
상기 배기구(87)와 마주하게 상기 배기영역(9)배치되며, 상측에 수직으로 구성되는 건식열교환부(50), 상기 건식열교환부(50)의 하측에 수직으로 구성되는 건식열교환부(50');
상기 건식열교환부(50)와 상기 건식열교환부(50') 사이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배기우회유동통로(77); 상기 배기우회유동통로(77)에 구비되는 우회배기개폐부(70)를 포함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e)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14 와 도 15는 백연저감 습식냉각 운전과 건식냉각 운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운전에서는 고온유체 개폐제어밸브(111)는 폐쇄(OFF)되고, 냉각고온유체 개폐제어밸브(112)는 개방(ON)되며, 우회배기개폐부(70)는 폐쇄(OFF)된다.
상술한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e)은 외기냉방시스템의 냉수생산 장치로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1e) 제어부(200)의 분할냉각부 제어방법과 백연저감 제어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대등한 것이어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주요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대등한 것이어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 백연저감 작용(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대등한 것이어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이 자명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 법은, 개방된 급기구와 대면하는 열교환공간을 다분할하여 구성하는 복수의 분할냉각부를 통해 보다 경제적이고 세밀하게 냉각을 수행할 수 있고, 외기온도와 냉각부하변동에 따라 복수의 분할냉각부를 단계적으로 습식냉각 및 건식냉각(개방형 열교환부의 경우 건식운전)의 전환 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분할냉각부 각각에 개별적으로 유체(고온유체, 냉각고온유체 또는 냉각수)를 공급 및 차단하여 습식냉각 및 건식냉각(또는 건식운전)의 전환운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용수를 절약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습식냉각 운전의 통제와 건식냉각 운전을 증대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백연을 저감할 수 있으며, 백연저감 운전정지시 건식열교환부를 통과하는 배기를 배기구로 우회유동시키어 송풍팬의 소비동력을 저감할 수 있고, 백연저감 운전정지시 건식열교환부를 유동하는 고온유체를 차단함과 동시에 열교환부로 유동시키어 고온유체펌프의 소비동력을 저감할 수 있으며, 제어신호에 따라, 분할냉각부의 단계적인 분할냉각 운전과 백연저감 운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하나의 분할냉각부 고장시 분할된 다른 분할냉각부를 운전할 수 있으므로 냉각운전 정지에 따른 냉각부하부의 장해를 방지 할 수 있으며, 운전 및 유지관리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1a, 1b, 1c, 1d, 1e, 1f, 1g : 냉각탑
2a, 2a' : 측부케이싱 2b : 팬데크
3 : 급기구 4 : 구획벽
5 : 분할체임버 6a, 6b : 열교환공간
7 : 열교환영역 8 : 살수영역
9, 9' : 배기영역 10aa,10ab 10ac, 10aa',10ab' 10ac',
10ba, 10bb, 10bbf, 10bc, 10ba', 10bb', 10bbf', 10bc' : 분할냉각부
11 : 루버 14 : 냉각유체유출구
15 : 집수조 20a, 20a', 20b, 20bf : 열교환부
21, 51 : 유체유입헤더 22, 52 : 유체유입구
23, 53 : 전열관 25, 55 : 유체유출헤더
26, 56 : 유체유출구 29 : 엘리미네이터
30 : 살수부 31 : 살수수조
32 : 살수노즐 33a, 33b : 확산부
35 : 수조격벽 39 : 수조덮개
40aa, 40ab 40ac, 40aa', 40ab'40ac', 40ba, 40bb, 40bc, 40ba', 40bb',
40bc' : 유체공급부 50, 50' : 건식열교환부
54 : 전열핀 58 : 관통구
59 : 건식열교환체임버 70 : 우회배기개폐부
71 : 배기개폐부재 75 : 개폐부재구동기
76 : 배출안내부 77 : 배기우회유동통로
80a, 80b : 송풍팬부 81a, 81b : 팬실린더
82 : 송풍팬 85 : 팬모터
87 : 배기구 111, 112, 113 : 개폐제어밸브
121, 122, 123 : 온도검출기 124: 습도검출기
130, 131a, 131b, 132, 135 : 고온유체공급관로
133 : 냉각유체유출관로 134, 134' : 유체우회유동관로
133', 136 : 냉각고온유체유출관로 137 : 냉각수공급관로
140 : 냉각유체공급관로 200 : 제어부
300 : 냉각부하부 340 : 고온유체펌프

Claims (15)

  1. 개방된 급기구(3)와 대면하게 열교환공간(6a, 6b)을 형성하는 측부케이싱 (2a, 2a');
    일측 열교환공간(6a)과 타측 열교환공간(6b) 사이 또는 상기 일측 열교환공간(6a)과 상기 측부케이싱(2a')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배기영역(9);
    상기 배기영역(9)의 상부를 폐쇄하는 팬데크(2b):
    상기 팬데크(2b)의 중앙 또는 상기 측부케이싱(2a')의 일영역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배기구(87);
    상기 측부케이싱(2a, 2a')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영역에 냉각유체유출구(14)를 갖는 집수조(15);
    상기 열교환공간(6a, 6b)을 다분할하여 개별적으로 냉각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며, 열교환영역(7)과 살수영역(8)을 형성하는 분할체임버(5), 상기 분할체임버 (5)를 구획하는 구획벽(4), 상기 열교환영역(7)에 배치되어 고온유체공급관로(132)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유체 또는 냉각고온유체 중 어느 하나를 냉각하며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 또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는 직교류열교환부, 상기 직교류열교환부의 배기측에 형성되는 엘리미네이터(29), 상기 살수영역(8)에 배치되어 상기 직교류열교환부로 고온유체, 냉각고온유체 또는 냉각수 중 어느 하나의 유체를 살수하며, 다수의 살수노즐(32)을 구성하는 살수수조(31)로 이루는 분할된 살수부(30)로 구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냉각부;
    상기 살수부(30)로 유체의 공급을 개폐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분할냉각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배기를 상기 배기구(87)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배기구(87)에 구성되는 송풍팬부(80a,80b);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분할냉각부의 분할냉각 운전과 백연저감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체임버(5)를 구획하는 상기 구획벽(4)의 하단부는, 상기 집수조(15)의 수면내로 침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살수수조(31)의 저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케이싱(2a, 2a')내의 열교환공간(6a, 6b)내에서 분할되는 상기 분할냉각부는, 2개에서 10개 사이의 분할 범위에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류열교환부는, 다수의 필름 시트(film sheet)로 이루어지는 필름형 충진재 또는, 스플래시 막대(splash bar)로 이루어지는 비말형 충진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20a,20a'), 피냉각 유체가 유동하는 전열관(23), 일영역에 유체유입구(22)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관(23)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유체유입헤더(21), 일영역에 유체유출구(26)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관(23)의 타측 단부가 연결되는 유체유출헤더(25)를 갖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 또는,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20a')와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를 조합한 혼식 직교류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고온유체 또는 냉각고온유체 중 어느 하나의 유체를 상기 살수부(30)로 공급 또는 우회유동 중 선택된 유로로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3방 제어밸브(3-way control valve)로 이루어지는 유체공급부(40a*) 또는 상기 집수조(15)의 냉각유체유출구(14)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를 상기 살수부(30)로 공급(ON) 및 차단(OFF)하는 살수펌프(spray pump)로 이루어지는 유체공급부(40b*)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영역(9) 또는 상기 배기구(87)의 상측에 구비되며 4측면은 측벽으로 폐쇄되고 상측과 하측면은 개방되는 건식열교환체임버(59)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측 배기영역(9') 중 어느 한 곳에는,
    상기 직교류열교환부를 통과하면서 살수되는 유체와 접촉하며 냉각열교환을 이루고 상기 배기구(87)로 유동하는 포화습공기의 배기를 가열 및 습도를 감소시키어 백연을 저감하고 상기 고온유체를 건식냉각으로 냉각하며,
    원형관(circular tube), 타원형관(elliptical or oval tube) 또는 평판관 (flat tube) 중 어느 하나인 전열관(53), 상기 전열관(53)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전열핀(54), 고온유체공급관로(135)가 연결되는 유체유입구(52)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관(53)의 일측단부가 연결되는 유체유입헤더(51),냉각고온유체유출관로 (136)가 연결되는 유체유출구(56)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관(53)의 타측 단부가 연결되는 유체유출헤더(55)를 갖는 건식열교환부(50, 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열교환부(50, 50')가 배치되는 상기 배기영역(9)에는, 백연저감 운전 정지시 배기를 우회유동시키어 배기의 유동저항 감소와 송풍팬의 소비동력을 저감하며,
    일측 건식열교환부(50)와 타측 건식열교환부(50) 사이, 또는 상측 건식열교환부(50)와 하측 건식열교환부(50')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소정의 폭(또는 높이)으로 배기우회유동공간(77)을 더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배기우회유동공간(77)에는, 복수의 개폐 블레이드를 갖는 댐퍼로 구성되는 배기개폐부재(71), 상기 배기개폐부재(71)를 회전시키어 개폐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구동하는 개폐부재구동기(75)로 구성되는 우회배기개폐부(70),
    하나의 개폐판을 갖는 배기개폐부재, 상기 배기개폐부재를 회전시키어 개폐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구동하는 개폐부재구동기(75)로 구성되는 우회배기개폐부 또는
    롤링 셔터(Rolling Shtter)로 구성되는 배기개폐부재, 상기 배기개폐부재를 승강시키어 개폐하는 개폐구동기로 구성되는 우회배기개폐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우회배기개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열교환체임버(59)에는, 백연저감 운전 정지시 상기 건식열교환부 (50, 50')를 유동하는 배기를 외부로 우회유동시키어 배기 유동저항 감소와 송풍팬의 소비동력을 저감하며, 상기 상측 배기영역(9')과 대면하는 일측 측벽 또는 양측 측벽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관통구(58), 상기 관통구(58)에 구성되는 우회배기개폐부, 상기 우회배기개폐부의 배기측에 구비되는 배출안내부(76)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 또는 살수부(30) 중 어느 하나로 고온유체를 공급하는 고온유체공급관로(132)에는, 습식냉각 운전시 개방(ON)하여 고온유체를 공급하고, 백연저감 습식냉각 운전시에는 고온유체의 공급을 차단(OFF)하는 개폐제어밸브(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체유출구(14) 또는 상기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로부터 유출되는 냉각유체를 냉각부하부(300)로 공급하는 냉각유체공급관로(140) 중 어느 한 곳에는 상기 냉각부하부(300)로 공급되는 냉각유체의 온도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검출기(12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고온유체유출관로(136)에는, 백연저감 운전시에는 상기 건식열교환부(50, 50')를 통해 냉각된 냉각고온유체가 상기 살수부(30) 또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20b) 중 어느 한 곳으로 공급되도록 개방(ON)하고 백연저감 운전 정지시에는 냉각고온유체의 공급을 차단(OFF)하는 개폐제어밸브(112),
    상기 냉각고온유체유출관로(136)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고온유체의 온도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검출기(12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고온유체유출관로(136)에는, 상기 건식열교환부(50, 50')로부터 유출되는 냉각고온유체가 설정된 냉각유체 온도에 충족될 때에 상기 냉각고온유체를 냉각유체로하여 집수조(15) 또는 냉각유체공급관로(140) 중 어느 한 곳으로 우회유동시키는 유체우회유동관로(134'), 상기 유체우회유동관로(134')에 구비되어 냉각유체의 우회유동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제어밸브(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3)와 인접한 상기 측부케이싱(2a, 2a') 외측에는, 외기의 온도와 습도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검출기(123)와 습도검출기(12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14. 개방된 급기구(3)와 대면하게 열교환공간(6a, 6b)을 형성하는 측부케이싱 (2a, 2a'); 일측 열교환공간(6a)과 타측 열교환공간(6b) 사이 또는 상기 일측 열교환공간(6a)과 상기 측부케이싱(2a')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배기영역(9); 상기 배기영역(9)의 상부를 폐쇄하는 팬데크(2b): 상기 팬데크(2b)의 중앙 또는 상기 측부케이싱(2a')의 일영역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배기구(87); 상기 측부케이싱(2a, 2a')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영역에 냉각유체유출구(14)를 갖는 집수조 (15); 상기 열교환공간(6a, 6b)을 다분할하여 개별적으로 냉각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며, 열교환영역(7)과 살수영역(8)을 형성하는 분할체임버(5), 상기 분할체임버 (5)를 구획하는 구획벽(4), 상기 열교환영역(7)에 배치되는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 또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는 직교류열교환부, 상기 직교류열교환부의 배기측에 형성되는 엘리미네이터(29), 상기 살수영역(8)에 배치되며 다수의 살수노즐(32)을 구성하는 살수수조(31)로 이루는 분할된 살수부(30)로 구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냉각부; 상기 살수부(30)로 유체의 공급을 개폐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분할냉각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배기구(87)에 구성되는 송풍팬부(80a,80b);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분할냉각부의 분할냉각 운전과 백연저감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고온유체펌프(340)의 운전(ON) 신호를 판단하여 제어신호(ON)로 인가하는 단계(s111);
    상기 인가된 고온유체펌프(340)의 운전 제어신호(ON)와 연동하여 송풍팬부를 운전(ON)하는 단계(s112)와 복수의 유체공급부(40a*, 40b*) 모두를 작동(ON)하여 유체(냉각수, 고온유체 또는 냉각고온유체 중 어느 하나의 유체)를 복수의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에 공급하는 단계(s113);
    상기 복수의 분할냉각부 전부가 습식냉각으로 운전하는 단계(s113);
    온도검출기(121, 123)의 습식냉각 정지 온도 검출신호(t3, t4, t5)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신호(t3', t4', t5')로 인가하는 단계(s115,s118,s121);
    상기 제어신호(t3', t4', t5')에 따라 단계적으로 상기 유체공급부(40a*, 40b*)의 유체공급을 차단하는 단계(s116,s119,s122)와 단계적으로 상기 분할냉각부의 건식냉각운전(또는 건식운전)을 전환하는 단계(s117,s120,s123);
    상기 온도검출기(121, 123)의 습식냉각 운전 온도 검출신호(t2)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신호(t2')로 인가하는 단계(s124);
    상기 제어신호(t2')에 따라 단계적으로 복수의 상기 유체공급부(40a*, 40b*) 통해 복수의 상기 분할냉각부의 살수부(30)로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s125) 및 단계적으로 습식냉각 운전으로 전환하는 단계(s126);
    상기 온도검출기(121, 123)의 습식냉각 운전 온도 검출신호(t1)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제어신호(t1')로 인가하는 단계(s127);
    상기 제어신호(t1')에 따라 복수의 상기 유체공급부(40a*, 40b*) 통해 복수의 상기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에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s113)로 제어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의 제어방법.
  15. 개방된 급기구(3)와 대면하게 열교환공간(6a, 6b)을 형성하는 측부케이싱 (2a, 2a'); 일측 열교환공간(6a)과 타측 열교환공간(6b) 사이 또는 상기 일측 열교환공간(6a)과 상기 측부케이싱(2a')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배기영역(9); 상기 배기영역(9)의 상부를 폐쇄하는 팬데크(2b): 상기 팬데크(2b)의 중앙 또는 상기 측부케이싱(2a')의 일영역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배기구(87); 상기 측부케이싱(2a, 2a')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영역에 냉각유체유출구(14)를 갖는 집수조 (15); 상기 열교환공간(6a, 6b)을 다분할하여 개별적으로 냉각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며, 열교환영역(7)과 살수영역(8)을 형성하는 분할체임버(5), 상기 분할체임버 (5)를 구획하는 구획벽(4), 상기 열교환영역(7)에 배치되는 개방식 직교류열교환부 또는 밀폐식 직교류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는 직교류열교환부, 상기 직교류열교환부의 배기측에 형성되는 엘리미네이터(29), 상기 살수영역(8)에 배치되며 다수의 살수노즐(32)을 구성하는 살수수조(31)로 이루는 분할된 살수부(30)로 구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냉각부; 상기 살수부(30)로 유체의 공급을 개폐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분할냉각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배기구(87)에 구성되는 송풍팬부(80a, 80b); 상기 배기영역(9) 또는 상기 배기구(87)의 상측에 구비는 건식열교환체임버(59)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측 배기영역 (9') 중 어느 한 곳에 구성되며, 상기 배기구(87)로 유동하는 포화습공기의 배기를 가열 및 습도를 감소시키어 백연을 저감하고, 유동하는 고온유체냉각하는 건식열교환부(50, 50'); 백연저감 운전 정지시 상기 건식열교환부(50, 50')로 유동하는 배기를 우회유동시며, 일측 건식열교환부(50)와 타측 건식열교환부(50) 사이, 또는 상측 건식열교환부(50)와 하측 건식열교환부(50')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소정의 폭(또는 높이)으로 배기우회유동공간(77); 상기 배기우회유동공간(77) 또는, 상기 상측 배기영역(9')을 형성하는 건식열교환체임버(59)의 측벽에 형성되는 관통구 (58) 중 어느한 곳에 구비되어 우회유동배기를 개폐하는 우회배기개폐부(70);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분할냉각부의 분할냉각 운전과 백연저감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온도검출기(123)의 백연저감 운전 온도검출신호(t10/ON)와 습도검출기(124)의 백연저감 운전 습도검출신호(h1/ON)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백연저감 운전 제어신호(t10', h1')로 인가하는 단계(s131, s132);
    상기 인가된 백연저감 운전 제어신호(t10', h1')에 따라, 일측(또는 상측) 건식열교환부(50)와 타측(또는 하측) 건식열교환부(50')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우회유동통로(77) 또는 건식열교환체임버(59)의 관통구(58) 중 어느 한 곳으로 우회유동하는 배기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우회배기계폐부(70)를 폐쇄(OFF)하는 단계(133);
    상기 건식열교환부(50,50')로부터 유출되는 냉각고온유체가 살수부(30) 또는 직교류열교환부(20b)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유동하도록 개폐제어밸브(112)를 개방(ON)하는 단계(s134);
    상기 살수부(30) 또는 직교류열교환부(20b)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유동되는 고온유체를 차단하도록 개폐제어밸브(111)를 폐쇄(OFF)하는 단계(s135);
    복수의 유체공급부를 작동(ON)시키어 복수의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로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s136);
    상기 복수의 상기 유체공급부를 통해 복수의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로 공급하는 유체를 단계적으로 차단하는 단계(s137) 및 백연저감 운전 단계(s138);
    상기 온도검출기(123)의 백연저감 운전정지 온도검출신호(t11/ON)와 습도검출기(124)의 백연저감 운전정지 습도검출신호(h2/ON)를 설정제어값과 비교 판단하여 백연저감 운전정지 제어신호(t11' h2')로 인가하는 단계(s139, s140);
    상기 백연저감 운전정지 제어신호(t11' h2')에 따라, 배기우회유동통로(77) 또는 건식열교환체임버(59)의 관통구(58) 중 어느 한 곳으로 배기가 우회유동하도록 우회배기계폐부(70)를 개방(ON)하는 단계(s141);
    상기 건식열교환부(50,50')로부터 살수부(30) 또는 직교류열교환부(20b)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공급되는 냉각고온유체를 차단하도록 상기 개폐제어밸브(112)를 폐쇄(OFF)하는 단계(s142);
    상기 살수부(30) 또는 직교류열교환부(20b)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고온유체가 공급하도록 상기 개폐제어밸브(111)를 개방(ON)하는 단계(s143);
    상기 복수의 상기 유체공급부를 작동(ON)시키어 복수의 상기 분할냉각부에 구비된 살수부(30) 모두에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s144)로 제어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의 제어방법.
KR1020150066412A 2015-05-13 2015-05-13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KR101627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412A KR101627797B1 (ko) 2015-05-13 2015-05-13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412A KR101627797B1 (ko) 2015-05-13 2015-05-13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797B1 true KR101627797B1 (ko) 2016-06-13

Family

ID=5619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412A KR101627797B1 (ko) 2015-05-13 2015-05-13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79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5047A (en) 1995-08-15 1996-12-17 The Marley Cooling Tower Company Vented fire resistant water cooling tower
JP2807689B2 (ja) * 1989-09-04 1998-10-08 株式会社荏原シンワ 白煙防止機能付きの直交流式冷却塔
US6142219A (en) 1999-03-08 2000-11-07 Amstead Industries Incorporated Closed circuit heat exchange system and method with reduced water consumption
JP2001091167A (ja) * 1999-09-21 2001-04-06 Hitachi Air Conditioning System Co Ltd 密閉式直交流型冷却塔
KR20040042905A (ko) * 2001-10-11 2004-05-20 말리 쿨링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션 냉각탑 유출수를 응축하는 공기/공기 대기 열교환기
KR20100060885A (ko) * 2008-11-28 2010-06-07 (주)대일아쿠아 백연경감 냉각탑, 이를 이용한 백연경감 방법 및 이를 위한백연경감 냉각탑의 운영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7689B2 (ja) * 1989-09-04 1998-10-08 株式会社荏原シンワ 白煙防止機能付きの直交流式冷却塔
US5585047A (en) 1995-08-15 1996-12-17 The Marley Cooling Tower Company Vented fire resistant water cooling tower
US6142219A (en) 1999-03-08 2000-11-07 Amstead Industries Incorporated Closed circuit heat exchange system and method with reduced water consumption
JP2001091167A (ja) * 1999-09-21 2001-04-06 Hitachi Air Conditioning System Co Ltd 密閉式直交流型冷却塔
KR20040042905A (ko) * 2001-10-11 2004-05-20 말리 쿨링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션 냉각탑 유출수를 응축하는 공기/공기 대기 열교환기
KR20100060885A (ko) * 2008-11-28 2010-06-07 (주)대일아쿠아 백연경감 냉각탑, 이를 이용한 백연경감 방법 및 이를 위한백연경감 냉각탑의 운영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258B1 (ko) 냉각탑의 백연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Vakiloroaya et al. A review of different strategies for HVAC energy saving
US20230400198A1 (en) High efficiency dehumid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627775B1 (ko)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대향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RU2458303C2 (ru) Система охлаждения
KR101456446B1 (ko) 백연과 동력을 저감하는 고효율 대향류형 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US66815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cleaning air
WO2009157277A1 (ja) 空気調和設備
CA2994913C (en) Portable air conditioner
CN102997510A (zh) 蒸发式冷凝器、应用该蒸发式冷凝器的制冷空调机组及其控制方法
Hellmer Consumption Analysis of Telco and Data Center Cooling and Humidification Options.
CN206861755U (zh) 空调新风除湿机组
KR100757969B1 (ko) 고속제상기가 부착된 병렬식 냉난방 공기조화기
US9920939B2 (en) Dehumidifer/cooler and method
KR100834902B1 (ko) 백연감쇄 압입통풍식냉각탑
EP3354993A1 (en) Cabinet for housing part of a heat pump
KR101777711B1 (ko) 수영장의 냉방 및 난방 시스템
KR101585888B1 (ko) 백연저감 밀폐식 대향류냉각탑 및 이를 이용한 외기냉방시스템
KR101627797B1 (ko)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KR101844581B1 (ko) 열원 일체형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KR100567603B1 (ko) 지열공기를 이용한 냉난방기
KR101583444B1 (ko) 백연저감 밀폐식 직교류냉각탑 및 이를 이용한 외기냉방시스템
KR101583520B1 (ko) 백연과 동력을 저감하는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CN104132414B (zh) 风冷热管冷水空调系统
CN104154607A (zh) 一种空调增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