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378B1 -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378B1
KR101627378B1 KR1020090127267A KR20090127267A KR101627378B1 KR 101627378 B1 KR101627378 B1 KR 101627378B1 KR 1020090127267 A KR1020090127267 A KR 1020090127267A KR 20090127267 A KR20090127267 A KR 20090127267A KR 101627378 B1 KR101627378 B1 KR 101627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oving
fixed
main body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441A (ko
Inventor
박용호
신영일
신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7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3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70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37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반자동 슬라이딩이 가능한 패널이 설치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 공기를 흡입 및 배기하는 송풍팬; 상기 본체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어느 일 방향으로는 인력에 의해 이동하고, 인력에 의한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자동으로 이동하는 이동패널; 상기 이동패널의 이동을 위한 이동장치; 및 상기 이동패널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장치; 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의하면, 이동패널의 이동에 의한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감성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후드, 전자레인지, 슬라이딩, 반자동, 이동패널, 고정패널

Description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Microwave oven having hood}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반자동 슬라이딩이 가능한 패널이 설치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알려진 바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라 불리는 고주파 및/또는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는 조리기기의 하나이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고주파를 발진하여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조리실의 내부 공간으로 조사하는 마그네트론이 설치된다.
상기 전자레인지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을 차폐한 다음 차폐된 조리실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생성되는 고주파가 조사되어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또한, 근래에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음식물의 요리를 위하여 다양한 가열원이 설치된다. 이러한 가열원은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발진하여 조사하는 마그네트론을 비롯하여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산하여 차폐된 조리실을 가열하는 히터 등이 설치되며, 다양한 가열원이 설치됨으로써 음식물을 더 신속하게 요리하면서,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해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가열원이 설치되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의 요리 시간을 단축하고 다양한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설치되는 다양한 가열원 및 가열원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을 냉각하기 위하여 반드시 냉각공기의 유동이 동반되어야 한다.
다양한 가열원을 설치하여 고온으로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의 요리 시간은 단축할 수 있으나, 그에 따른 안전성의 확보도 중요한 과제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전자레인지 중 하방에 설치되는 다른 조리기기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배기가스를 포함하는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거나, 정화하여 실내 공간 즉, 사용자가 위치하는 주방 공간으로 배출하는 후드 기능을 가지는 전자레인지를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또는 오티알(Over The Range) 타입 전자레인지라 칭한다. 이러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는 냉각 공기의 유동을 포함하여 후드 기능을 위한 공기 유로가 더 형성된다.
상기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후드 기능을 위한 공기 유로가 더 마련되며,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와는 다른 공기 유로를 가지게 되고, 일반 전자레인지와 다른 공기 유로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될 때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배기유로가 제공되며, 이러한 배기유로에는 음식물의 요리를 위한 다양한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하방에 위치하는 다른 조리기기에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될 때 발생하게 되는 배기가스를 흡입하여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거나, 정화하여 외부 공간 또는 주방 공간으로 배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소음이 감소하면서 오염이 방지되는 슬라이딩 하면패널이 제공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 공기를 흡입 및 배기하는 송풍팬; 상기 본체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어느 일 방향으로는 인력에 의해 이동하고, 인력에 의한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자동으로 이동하는 이동패널; 상기 이동패널의 이동을 위한 이동장치; 및 상기 이동패널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장치; 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의하면, 외부 공간의 공기 흡입통로가 넓어짐으로써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배기가스의 누설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더 많은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더욱 쾌적한 환경의 주방 공간이 조성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패널의 이동에 의한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감성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패널의 이동장치에 오염된 공기의 유입이 방지되어 이동장치의 오염이 예방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제품의 사용에 따른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내부 공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본체(10)에 의해 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 하방에는 다른 형태의 조리기기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0)는 다른 형태의 조리기기 상측에 설치된다. 그 이유는 하측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내부 공간으로 흡입하여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는 후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체(10)의 앞면에는 도어(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20)의 앞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21)이 제공된다. 상기 핸들(21)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20)의 회동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어(2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조리실(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중앙 부분에는 사용자가 외부 공간에서 도어(20)를 회동시키지 않으면서, 음식물이 요리되는 상태 또는 상기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재가 제공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조리실(30)은 상기 도어(20)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면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즉,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조리실(30)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거나, 고주파를 조사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리실(30)은 상기 도어(20)에 의해 차폐된다. 차폐된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조사하거나 열을 가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도어(20)의 우측에는 컨트롤패널(41)이 위치된다. 상기 컨트롤패널(41) 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다수의 스위치와 같은 입력부가 제공된다. 또한, 컨트롤패널(41)에는 상기 본체(10)의 동작 정보와,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도 표시된다.
상기 컨트롤패널(41)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컨트롤패널(41)의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제어부품이 고정되면서 표면에 다양한 회로가 인쇄되어 있는 회로기판이 위치된다. 상기 회로기판과 전장부품이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조작 신호에 의해 전장부품이 동작하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앞면 상단부에는 벤트그릴(77)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벤트그릴(77)은 본체(10)의 내, 외부 공간으로 공기가 출입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때, 본체(10)의 내, 외부로 이동하는 공기는 벤트그릴(77)을 통과하면서 그릴의 크기보다 큰 이물질이 걸러진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전면패널(11)이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후면을 후면패널(12)이 형성하고, 상기 본체(10)의 상면 및 양 측면을 상부패널(13)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패널(11), 후면패널(12) 및 상부패널(13)이 서로 고정되어 상기 본체(10)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패널(11)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강도를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면패널(11)은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트롤패널(41) 및 상기 벤트그릴(77)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패널(13)에는 상기 본체(10) 내부 공간의 공기가 실외 공간으로배 출되는 실외배출구(131)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은 상부플레이트(15)에 의해 상부공간(70)과 하부공간으로 분할된다. 상기 하부공간에는 상기 조리실(30)과, 다수의 전장 부품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40)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공간(70)에는 상기 벤트그릴(77)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유동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5)에는 배기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구는 상기 조리실(30)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측면플레이트(17)와 하부플레이트(18)가 제공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7)는 상기 조리실(30)의 양 측면을 형성한다. 측면플레이트(17) 중 도면상 좌측의 것은 상기 상부패널(13)과의 사이에 다른 조리기기의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측면플레이트(17) 중 도면상 우측의 것은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30)과 상기 전장실(40)을 구획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8)는 상기 조리실(30) 및 상기 전장실(40)의 저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하부플레이트(18)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5)와 평행된다. 또한, 하부플레이트(18)의 상면에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7)의 하단이 고정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18)는 후술할 송풍팬(5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는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로를 상기 조리실(30) 및 상기 전장실(40)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장실(40)의 후단에는 구획플레이트(46)가 위치된다. 상기 구획플레이트(46)는 상기 후면패널(12)의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구획플레이트(46)와 후면패널(12)의 사이에는 상기 송풍팬(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는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40)은 상기 조리실(30)의 우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전장실(40)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된다. 전장실(40)의 내부에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42)과, 상기 마그네트론(42)으로 고전압의 전류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전류를 고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전압변환기(43)와, 상기 고전압변환기(43)로 일정한 전압의 전류를 공급하는 커패시터(44) 등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패널(11)에는 각각 상기 실내배출구(74), 상기 제1실내흡입구(75), 및 제2실내흡입구(76)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배출구(74), 제1실내흡입구(75), 및 제2실내흡입구(76)는 상기 전면패널(11)의 상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실내배출구(74)는 상기 전면패널(11)의 상단부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제1실내흡입구(75)와 제2실내흡입구(76)는 상기 실내배출구(74)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다.
상기 실내배출구(74)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실내배출구(75,76)는 본체(10)의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공간(70)의 중앙부 즉, 상기 실내배출구(74)의 후방에 형성되는 공간은 배기공간(71)이 된다. 상기 배기공간(71)은 실질적으로 실내배출구(74)를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서 주방 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 간이다.
상기 배기공간(71)의 양측 즉, 상기 실내흡입구(75,76)의 후방에 형성되는 공간은 제1 및 제2흡입공간(72,73)이 된다. 상기 흡입공간(72,73)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실내흡입구(75,76)를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외부 공간에서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다.
상기 배기공간(71)에는 송풍팬(5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5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 및 연소가스를 흡입한다. 또한, 본체(10) 내부의 공기 또는 정화된 연소가스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송풍팬(50)은 크로스플로우팬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송풍팬(50)으로 다른 종류의 팬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공간의 활용 및 공기의 유동 공간을 고려할 때 크로스플로우 팬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팬(50)은 후드 기능을 위한 공기의 유동과,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제공되는 부품의 냉각을 위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킨다. 다시 말해서, 상기 송풍팬(50)은 후드 기능을 위한 공기의 유동과, 냉각 기능을 위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송풍팬(50)은 상기 조리기기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50)은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하부플레이트(18) 및 하면패널(60) 사이 공간 및 상기 구획플레이트(46) 및 후면패널(12) 사이의 공간 또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7) 및 상기 상부패널(13) 사이 공간을 차례로 유동하도록 하고, 다시 상기 배기공간(71) 을 유동하여 상기 실내배출구(74)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실외배출구(131)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송풍팬(50)은 상기 제1실내흡입구(75)를 통하여 흡입되고, 상기 제1흡입공간(72)을 유동하면서 부품을 냉각시킨 후 상기 배기공간(71)을 유동하여 상기 실내배출구(74)를 통해 배출되거나, 상기 실외배출구(13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상기 전장실(40)의 상측방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5)의 일측에는 냉각팬(45)이 설치된다. 상기 냉각팬(45)은 전장실(40)에 설치되는 전장 부품의 냉각을 위한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냉각팬(45)은 상기 제2실내흡입구(76)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제2흡입공간(73)을 유동한 후 상기 전장실(40)로 전달되면서 전장실(40) 내부의 전장부품을 냉각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냉각팬(45)은 상기 전장실(40) 내부의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후 상기 조리실(30)로 전달되어 조리실(30)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배기공간(71)에는 배기덕트(8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배기덕트(80)는 실질적으로 상기 배기공간(71)을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과 부품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기덕트(80)는 내열성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면, 내열성 고분자화합물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기덕트(80)는 대략 "H"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덕트(80)에 의해 상기 배기공간(71) 이 2개의 공간 즉, 상기 상부플레이트(15)와 배기덕트(80) 사이의 공간 및 배기덕트(80)와 상기 상부패널(13) 사이 공간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5)와 상기 배기덕트(80)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는 부품이 설치되고, 배기덕트(80)와 상부패널(13)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은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유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상부플레이트(15)와 상기 배기덕트(80) 사이의 공간, 실질적으로 배기덕트(8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부플레이트(15)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플레이트(15)와 배기덕트(80) 사이의 공간에는 스터러장치가 위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스터러장치는, 상기 조리실(30)의 내부로 조사되는 고주파를 난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터러장치는, 조리실(30)과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스터러커버(83), 상기 스터러커버(83)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주파의 난반사를 위하여 회전하는 스터러팬(미도시) 및 상기 스터러커버(83)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터러팬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터러팬모터(82)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스터러팬모터(82)가 상기 상부플레이트(15) 및 상기 배기덕트(80)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배기덕트(80)에는 배기가이드(84)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가이드(84)는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3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실내배기구(74)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배기가이드(84)는 실질적으로 상기 배기덕트(80)의 상방에 해 당하는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조리실(3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구획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배기가이드(84)는 예를 들면, 상기 배기덕트(8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흡입공간(72)에는 컨벡션장치(47)가 설치된다. 상기 컨벡션장치(47)는 상기 조리실(3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컨벡션장치(47)는 조리실(3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컨벡션팬(미도시) 및 상기 컨벡션팬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컨벡션모터(48)를 포함한다. 상기 컨벡션모터(48)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흡입공간(72) 상에 노출된다. 상기 컨벡션모터(48)는 상기 송풍팬(50)에 의하여 상기 제1실내흡입구(75)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하면패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면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면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하면패널의 일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하면패널 일부분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면패널(60)은 상기 본체(10)의 하방에 설치되는 조리기기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유동을 위한 유로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 상기 하면패널(60)이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패널(61)과, 상기 고정패널(61)에 지지되는 이동패널(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패널(61)은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면과 앞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61)의 상면 테두리 부분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 고정패널(61)의 상면 테두리 부분의 플랜지 상면이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접하면서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패널(61)의 하면에는 상기 본체(10) 공기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고정유입구(61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유입구(611)는 상기 고정패널(61)의 저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유입구(611)에는 유동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 미도시 )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에 의해 상기 고정유입구(611)를 통과하는 공기가 정화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한다.
상기 이동패널(62)은, 상기 본체(10)의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패널(61)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패널(62)이 상기 고정패널( 61)에서 인출되면, 실질적으로 배기가스를 흡입하는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배기가스의 흡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패널(62)의 후단은, 상기 이동패널(62)이 상기 고정패널(6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유입구(611)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고정유입구(611)를 통한 배기가스의 흡입이 상기 이동패널(62)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동패널(62)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패널(62)의 내부 공간은 공기의 유동을 위해 빈공간으로 형성되고, 하면에는 공기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이동유입구(도 7 및 도 8의 621)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유입구(621)는 상기 이동패널(62)의 하면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절제된다. 상기 이동유입구(621)에는 통과하는 공기의 정화를 위한 필터(도 7 및 도 8의 622)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622)는 이동하는 공기를 정화한다. 상기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만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된다 .
상기 이동패널(62)의 후면은 적어도 일부가 절개된다. 상기 이동패널(62)의 절개되는 후면은, 상기 이동유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고정패널(61)의 내부로 유동되는 출구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고정패널(61)의 내부 공간 중앙부에는 잠금장치(64)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장치(64)는, 상기 이동패널(62)이 고정패널(6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잠금장치(64)로는, 래치 후크 및 래치 슬롯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61)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패널(62)의 전후 방향 이동을 위한 이동장치(63)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장치(63)는, 상기 고정패널(61)에 지지되 는 지지부재(631)와, 상기 지지부재(631)의 내측에 위치하여 회전 운동하는 회전부 재(632)와, 상기 회전부재(632)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전후방으로 병진 운동하는 이동부재(633)와 , 상기 이동부재(633)에 지지되어 이동부재(633)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이동레일(634), 및 상기 이동레일(634)과 결합되고 이동레일(634)의 원활한 이 동을 위한 구름부재(635)가 상하로 위치하는 고정레일(6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631)는 상기 고정패널(61)의 내부 공간 양쪽 측면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부재(631)는 단면이 대략 "⊃" 형태의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631)는 상기 고정패널(61)의 내부 양측에 전방으로 길게 위치된다.
상기 회전부재(632)는 상기 지지부재(631)의 내측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회전부재(632)로는 피니언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632)는 , 상기 지지부재(631)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이동부재(633)는 상기 회전부재(632)와 기어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전부재( 632)가 회전하면, 상기 이동부재(633)가 전후방으로 병진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레일(634)은 상기 이동부재(633)의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레일(636)은 상기 이동레일(634)을 따라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 634)가 전후방으로 병진운동하면 , 이와 함께 상기 이동레일(634)이 전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레일(636)은 상기 이동레일(634)에 대하여 슬라이딩한다.
상기 구름부재(635)는 상기 이동레일(634) 및 고정레일(636)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구름부재(635)로는 다수개의 볼 베어링 및 이를 지지하기 위한 리테이너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61)의 내부에는 램프(65)가 설치된다. 상기 램프(65)는 상기 본체(10)의 하방에 해당하는 공간, 즉 상기 조리기기를 조명하는 역할을 한 다.
그리고, 상기 고정패널(61)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패널(62)의 이동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66)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66) 로 태엽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탄성부재(66)는 , 상기 지지부재(631)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고정패널(61)의 측면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탄성부재(66)는 , 상기 이동패널(62)이 상기 고정패널(61)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이동패널(62)에 부여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패널(62)은 상기 잠금장치(64)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재(66)의 탄성력에 의 하여 상기 고정패널(62)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하면패널 상면을 제거한 상태의 이동패널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하면패널 상면을 제거한 상태의 이동패널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
도 7을 참조하면, 이동패널(62)이 고정패널(61)의 내부에 완전하게 수납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66)의 탄성력이 제공되더라도, 잠금장치(64)에 의하여 상기 이동패널(62)의 인출이 제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이동패널(61)이 상기 고정패널( 6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송풍팬(50)이 구동되면, 고정유입구(611)를 통하여 상기 이동패널(62) 및 고정패널(61)의 내부로 조리기기에서 발생되는 배기 가스가 유입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잠금장치(64)에 의하여 상기 이동패널(62)의 인출제한이 해제(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이동패널(62)을 상기 고정패널(61)의 내부에 수납되는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해제)되면, 상기 이동패널(62)이 상기 고정패널(61)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와 같은 상기 이동패널(62)의 인출은, 상기 탄성부 재(66)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패널(62)이 상기 고정패널(61)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풍팬( 5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유입구(611) 및 이동유입구(621)에 의하여 상기 조리기기의 배기가스가 상기 고정패널(61) 및 이동패널(62)의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기기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 상기 조리기기의 배기가스가 확산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의하면, 소음이 저감되면서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오염공기의 흡입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의하면 조리기기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도어와 컨트롤패널이 제거된 상태에서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면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면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하면패널의 일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하면패널 일부분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하면패널 상면을 제거한 상태의 이동패널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하면패널 상면을 제거한 상태의 이동패널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Claims (12)

  1.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 공기를 흡입 및 배기하는 송풍팬;
    상기 본체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어느 일 방향으로는 인력에 의해 이동하고, 인력에 의한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자동으로 이동하는 이동패널;
    상기 이동패널의 이동을 위한 이동장치; 및
    상기 이동패널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장치; 가 포함되고,
    상기 이동장치에는,
    상기 고정패널에 제공되고, 상기 이동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공간에 제공되고, 회전 운동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병진 운동하는 이동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송풍팬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이동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패널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에는 상기 이동패널의 이동 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태엽스프링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패널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누름스위치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패널은 인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고정되고, 고정력이 해지되면 전방으로 자동 이동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에는,
    상기 이동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이동부재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이동레일; 및
    상기 이동레일과 결합되고 상기 이동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이동레일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구름부재가 상하로 위치하는 고정레일; 이 더 포함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에는 상기 본체의 외부 공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구가 제공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는 통과하는 공기의 정화를 위한 필터가 설치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9.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면에 고정되고 외부 공간의 공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고정유입구를 가지는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 공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이동유입구를 가지는 이동패널; 및
    상기 이동패널이 인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고, 자동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가 포함되고,
    상기 이동장치에는,
    상기 고정패널에 제공되고, 상기 이동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공간에 제공되고, 회전 운동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병진 운동하는 이동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송풍팬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이동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유입구 및 상기 이동유입구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에는,
    상기 이동부재와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과 결합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패널에 설치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이동패널의 전방 이동을 강제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패널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재; 가 더 포함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과 상기 고정레일 사이에는 상기 이동레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구름부재가 상하로 위치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12. 제 2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이동패널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탄성력이 복원되고, 후방으로 이동할 때 탄성력을 가지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20090127267A 2009-12-18 2009-12-18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1627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267A KR101627378B1 (ko) 2009-12-18 2009-12-18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267A KR101627378B1 (ko) 2009-12-18 2009-12-18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441A KR20110070441A (ko) 2011-06-24
KR101627378B1 true KR101627378B1 (ko) 2016-06-03

Family

ID=4440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267A KR101627378B1 (ko) 2009-12-18 2009-12-18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3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439B1 (ko) * 2011-09-20 2013-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019Y1 (ko) * 2002-11-18 2003-02-06 박윤식 렌지후드 반자동인출장치
KR100573889B1 (ko) * 2003-09-30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914729B1 (ko) 2008-01-31 2009-08-31 주식회사 파워텍 소화액분사노즐이 내장된 렌지후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156B1 (ko) * 2002-12-06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019Y1 (ko) * 2002-11-18 2003-02-06 박윤식 렌지후드 반자동인출장치
KR100573889B1 (ko) * 2003-09-30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914729B1 (ko) 2008-01-31 2009-08-31 주식회사 파워텍 소화액분사노즐이 내장된 렌지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441A (ko)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1058B1 (en) Wall-mounted microwave oven with air curtain guide
KR100389441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US20100006086A1 (en) Drawer type cooking device
KR20120126215A (ko) 전기오븐의 도어
JP2004226058A (ja) 電子レンジ
MX2009002676A (es) Aparato de coccion.
KR101627378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RU241141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EP2061996B1 (en) Cooking apparatus
JP2010277906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402587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551488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1625679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1652999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1627379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1665697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0420336B1 (ko) 빌트인 전자레인지
JP2013130347A (ja) 加熱調理装置
CN110873341B (zh) 加热烹调器
KR101026022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0377739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200189009Y1 (ko) 전자레인지의 고내공기 배기장치
KR101634808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200189008Y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20050031780A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