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577B1 - Side barrier for a railroad vehicle - Google Patents

Side barrier for a railroad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577B1
KR101626577B1 KR1020150131452A KR20150131452A KR101626577B1 KR 101626577 B1 KR101626577 B1 KR 101626577B1 KR 1020150131452 A KR1020150131452 A KR 1020150131452A KR 20150131452 A KR20150131452 A KR 20150131452A KR 101626577 B1 KR101626577 B1 KR 101626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way
fixed
vehicle
membranes
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4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혁근
윤수환
곽민호
최경후
박원희
박춘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31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5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5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5/00Gangways for coupled vehicles, e.g. of concertina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A rail vehicle includes a pair of first and second vehicles which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e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a space portion, and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which protrude toward the vehicles facing each other from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vehicles. A vehicle connection barrier of vehicle connection portions for rail vehicles includes first and second vehicle connection barriers. The first vehicle connection barrier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frame to be detachable, and the second vehicle connection barrier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frame to be detachable. The first and second vehicle connection barriers seal a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to seal the space portion,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vehicle connection barriers has a U-shaped cross section.

Description

철도 차량용 차량연결부 차간 연결막{SIDE BARRIER FOR A RAILROAD VEHICLE}{SIDE BARRIER FOR A RAILROAD VEHICLE}

본 발명은 차간 연결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 차량의 차량연결부에 적용되어 차량연결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차간 연결막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way connecting membra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way connecting membrane that is applied to a vehicle connecting portion of a railway vehicle to seal a space between vehicle connecting portions.

철도차량, 특히 고속철도차량의 경우, 차량과 차량의 연결부인 차량연결부가 밀폐되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로 인해 실내로 많은 소음이 유입되거나, 상기 차량연결부에 의해 실외로도 많은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a railway vehicle, particularly a high-speed railway vehicle, it is general that a vehicle connection portion, which is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vehicle and a vehicle, is designed not to be hermetically sealed. This causes a lot of noise to enter the room or a lot of noise is generated by the vehicle connection portion there is a problem.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연결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차량들(11, 12) 사이에는 각각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15, 16)이 설치된다. FIG. 1 shows a structure of a vehicl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which first and second mud flaps 15 and 16 are respectively installed between first and second vehicles 11 and 12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그러나, 상기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15, 16)은 상기 차량들의 끝단을 마무리하는 부재에 불과하며, 상기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15, 16) 사이가 밀폐되지 않아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앞서 설명한 문제가 야기된다.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mud flaps 15 and 16 are merely members for finishing the ends of the vehicles, and the spac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ud flaps 15 and 16 are not sealed, . Thus, the above-described problem arises.

한편,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5284호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0756호에서는 사용자가 인접 차량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공간을 확보하며 외부와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는 통로연결막에 관한 기술들이 개시되고는 있으나, 현재까지 특히 고속철도차량에 적용되어 차량 연결부의 공간을 밀폐하는 기술은 개발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115284 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120756 disclose a conventional passenger compartment in which, when a user moves to an adjacent vehicle, Although techniques relating to a connection membrane have been disclosed, up to now, a technique for sealing a space of a vehicle connection portion has not been developed particularly in a high-speed railway vehicl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528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11528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075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120756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 차량용 차량연결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 및 실외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고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철도 차량용 차량연결부 차간 연결막에 관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lway vehicle which is capable of minimizing noise introduced into a roo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nection portion for a railway vehicl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간 연결막은, 소정 거리 이격되며 서로 인접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차량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차량들의 끝단으로부터 서로 마주한 차량들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에서,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차간 연결막은 상기 제1 고정 프레임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제2 차간 연결막은 상기 제2 고정 프레임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들 사이를 밀폐하여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며,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각각은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The headway connecting membra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and second vehic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ing a space portion adjacent to each other, And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respectively protruding from the end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s facing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The first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is fixed to the first fixed frame so as to be detachable, and the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is fixed to the second fixed frame so as to be detachable.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seal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frames,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has a U-shaped cross-section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각각은, 상기 'U'자 형상의 개구부가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들 각각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끼워지거나, 접착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films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 -shaped opening is fitt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in an interference fit,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각각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may be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so as to have a U-shaped cross s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각각은, 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may include a transparent materi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각각은, 고무, 폴리머, 소수성 코팅재, 흡음 코팅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membranes may include any one of rubber, polymer, hydrophobic coating, and sound-absorbing coat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철도 차량이 곡선 구간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들의 일 측에 고정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사이에는 간격이 발생하여 상기 공간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차량들의 다른 측에 고정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은 중심축이 서로 어긋나도록 밀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railway vehicle passes through a curved section,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fixed to one side of the vehicles to expose the space portion to the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can be closely contacted such that the central axes thereof are offset from each oth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들 각각에는 제1 및 제2 머드플랩(mud-flap)들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의 외면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끼워지거나, 접착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first and second mud-flaps are fix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2 mud flaps, or can be fixed through the adhesi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철도 차량이 상기 제1 및 제2 차량들 사이의 하측에 에어 탱크(air tank)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각각은 상기 에어 탱크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railway car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ehicles,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may be located at a portion where the air tank is located The first and second mud flaps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mud flap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이 서로 인접한 차량들 사이의 공간부를 외부와 밀폐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 및 상기 차량들 사이의 공간에 의해 외부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seal the space between the vehicles adjacent to each other with the outside, so that the nois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the noise generated outside by the space between the vehicles Can be minimized.

특히,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은 U자형 단면 형상으로,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들에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고정 및 탈착이 가능하므로, 수리나 교환 또는 차량 연결부에서의 작업 공간 확보가 유리한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first and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membranes have a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and can be fixed and detached relative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relatively easily, There are advantageous advantages.

특히,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므로, 굽힘 또는 절곡 성형에 의한 성형에서보다 설계 오차 및 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강도를 높일 수 있어,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first and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membranes are integrally formed through injection mold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ength while minimizing the design error and deformation in molding by bending or bending molding, thereby improving the hermeticity.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은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므로, 차량 연결부의 상태를 육안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소수성 코팅재나 흡음 코팅재를 포함하여 소음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소수성 코팅재의 사용을 통해 빗물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자가세정(self-cleaning)이 가능하게 된다. Also, since the first and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membranes include a transparent material, the state of the vehicle connection portion can be directly confirmed through the naked ey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the noise blocking performance, including the hydrophobic coating material and the sound- Can be improved. In this case, the use of the hydrophobic coating material prevents contamination by foreign matter such as rainwater or dust, and enables self-cleaning.

또한, 철도 차량이 곡선 구간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이 서로 밀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은 U 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탄성 재질을 포함하므로, 중심축이 서로 어긋나도록 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의 파손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ailway car passes through the curved s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ince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have a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and include an elastic material, So that breakag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is prevent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나아가,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은, 종래 철도 차량에서 머드 플랩이 설치된 경우, 상기 머드 플랩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설계될 수 있어,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first and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membranes can be designed to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ud flap when the mud flap is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railway vehicle,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관절 대차 차량의 경우, 에어탱크가 구비된 것을 고려하여, 상기 에어탱크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차량 연결부에만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을 고정하여, 활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joint-rail car, considering that an air tank is provided,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may be fixed only to a vehicle connecting portion except for a portion where the air tank is located, thereby further improving usabilit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철도 차량의 차량 연결부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도 차량의 차량 연결부의 차간 연결막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 연결부의 차간 연결막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철도 차량의 차량 연결부의 차간 연결막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차간 연결막을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차간 연결막이 회전 구간에서의 변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철도 차량의 차량 연결부의 차간 연결막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vehicle connecting portion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n inter-vehicle connection of a vehicle connection portion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er-vehicle connection of the vehicle connection portion of FIG.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headway connecting membrane of a vehicle connecting portion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vehicle connection membrane of Fig. 4 is separated.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of FIG. 4 is deformed in the rotation section.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n inter-vehicle connection of a vehicle connection portion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es" or "comprising ", etc. is intend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figure, step, operation,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도 차량의 차량 연결부의 차간 연결막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 연결부의 차간 연결막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n inter-vehicle connection of a vehicle connection portion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er-vehicle connection of the vehicle connection portion of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철도 차량(100)의 차량 연결부의 차간 연결막(140)은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41, 142)을 포함한다. 2 and 3, the headway connecting membrane 140 of the vehicle connecting portion of the railway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41 and 142.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100)은 서로 인접하는 제1 및 제2 차량들(110, 120) 사이에 차량 연결부에 해당되는 공간부(10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차량들(110)의 끝단에는 제1 고정 프레임(111)이 상기 제2 차량(120)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차량들(120)의 끝단에는 제2 고정 프레임(121)이 상기 제1 차량(110)을 향해 돌출된다. Generally, the railway vehicle 100 is formed with a space portion 101 corresponding to a vehicle connection portion between first and second vehicles 110 and 120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t the end of the first vehicles 110 A first fixed frame 111 protrudes toward the second vehicle 120 and a second fixed frame 121 protrudes toward the first vehicle 110 at an end of the second vehicles 120 .

또한, 상기 제1 고정 프레임(111)에는 제1 머드플랩(mud-flap)(131)이 고정되며, 상기 제2 고정 프레임(121)에는 제2 머드플랩(132)이 고정된다. A first mud-flap 131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frame 111 and a second mud flap 132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frame 121.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131, 132)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들(111, 121)의 끝단을 부드럽게 마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131, 132)이 고정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 연결부에서 상기 공간부(101)는 외부로 노출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mud flaps 131 and 132 smoothly finish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111 and 121, Even if the flaps 131 and 132 are fixed, the space portion 101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the vehicle connection portion, as shown in FIG.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차간 연결막(141)은 상기 제1 머드플랩(131)의 외면을 커버하며 상기 제1 고정 프레임(111)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차간 연결막(142)은 상기 제2 머드플랩(132)의 외면을 커버하며 상기 제2 고정 프레임(121)에 고정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141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mud flap 131 and is fixed to the first fixed frame 111, and the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141 142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ud flap 132 and are fixed to the second fixing frame 121.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41, 142)은 끝단이 서로 접촉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41, 142)에 의해 상기 공간부(101)는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41 and 142 are fixed so that the ends thereof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pace 101 is sepa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41 and 142 And is sealed from the outside.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41, 142) 각각은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U'자 형상의 개구부 방향이 상기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131, 132)에 각각 끼워지며 고정된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41 and 142 has a U shape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U shape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ud flaps 131 and 132 Respectively.

즉,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41, 142)은 'U'자 형상의 돌출부가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41 and 142 are arranged such that 'U' shaped protrus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41, 142)은 상기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131, 132) 보다 길게 돌출되므로 상기 차량 연결부의 상기 공간부(101)를 밀폐하게 된다.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41 and 142 protrude longer than the first and second mud flaps 131 and 132 to seal the space 101 of the vehicle connection portion .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41, 142)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131, 132)의 외면상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131, 132)과의 사이에 별도의 접착재가 도포되어 접착되며 고정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41 and 142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mud flaps 131 and 132 in an interference fit state, 2 mud flaps 131 and 132, and can be adhered and fixed.

즉,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41, 142)은 별도의 볼트나 나사와 같은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고정 또는 탈착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교환이나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41 and 142 are not fixed to each other through bolts or screws, they are relatively easy to fix or detach, The work can be carried out easily.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41, 142)은 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41, 142)을 통해 상기 차량 연결부의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나 세척 등의 작업의 필요성을 직접 식별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141 and 142 may include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141 and 142 The internal state can be visually identified, whereby the necessity of the work such as maintenance or cleaning can be directly identified,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41, 142)은 고무 재질, 폴리머 재질, 소수성 코팅재질, 흡음 코팅재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공간부(101)에 대한 밀폐 효과 및 흡음 차단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41, 142) 상의 접촉을 보다 부드럽게 유지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41 and 142 may include any one of a rubber material, a polymer material, a hydrophobic coating material, and a sound-absorbing coat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aling effect and sound absorption blocking effect on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41 and 142, and to maintain the contact on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41 and 142 more smoothly, thereby enhancing durability and preventing breakage.

특히, 소수성 코팅재를 사용함으로써, 빗물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상기 차간 연결막들(141, 142)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자가세정(self-cleaning)이 가능하게 되어, 내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어 유지보수 등의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by using the hydrophobic coating material, the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41 and 142 ar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foreign substances such as rainwater or dust, self-cleaning is enabl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operations such as maintenanc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41, 142)이 상기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131, 132)의 외면에 직접 끼워져 상기 공간부(101)를 밀폐하므로, 현재 상기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131, 132)이 고정되도록 생산되어 운행되는 KTX 또는 KTX 산천 등의 고속 열차에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41, 142)만 추가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41 and 142 are directly fitt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mud flaps 131 and 132 to seal the space 101 Only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41 and 142 are added to high-speed trains such as KTX or KTX Sancheon which are manufactured and operated to fix the first and second mud flaps 131 and 132, It can be said that the usability is very high.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철도 차량의 차량 연결부의 차간 연결막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headway connecting membrane of a vehicle connecting portion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실시예에 의한 철도 차량(200)의 차량 연결부의 차간 연결막(150)은 고정 프레임에 머드플랩이 생략되고 차간 연결막만 고정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철도 차량의 차간 연결막(1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2 and 3, except that the mud flap is omitted in the fixed frame and only the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is fixed, the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150 of the vehicle connection portion of the railway vehic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차간 연결막(150)은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51, 15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차간 연결막(151)은 상기 제1 차량(110)의 제1 고정 프레임(111) 상에 직접 끼워지며, 상기 제2 차간 연결막(152)은 상기 제2 차량(120)의 제2 고정 프레임(121) 상에 직접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 차량들(110, 120) 사이의 공간부(201)를 밀폐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headway connecting membrane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151 and 152, Is directly fitted on the first fixed frame 111 of the second vehicle 120 and the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152 is directly fitted on the second fixed frame 121 of the second vehicle 120, And the second vehicle 110 (120).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51, 152)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들(111, 121) 상에, 별도의 머드플랩이 생략되고, 직접 끼워진다. Particular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151 and 152 ar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frames 111 and 121 by omitting a separate mud flap, Loses.

그리하여, 투명한 재질의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51, 152)만 고정되므로, 차량 연결부 내지 상기 공간부(201)에 대한 육안 식별이 보다 수월해 지며, 상기 차간 연결막들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므로, 유지보수나 교환 등의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Thus, since only the first and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membranes 151 and 152 are fixed, visual recognition of the vehicle connection portion and the space portion 201 is facilitated, and the inter-vehicle connection membranes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he operation such as maintenance or replacement becomes easier.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51, 152)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들(111, 121) 각각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고정되거나, 별도의 접착재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Also,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151 and 152 may b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frames 111 and 121, respectively, .

도 5는 도 4의 차간 연결막을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vehicle connection membrane of Fig. 4 is separate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51, 152)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프레임들(111, 121)로부터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151 and 152 are relatively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111 and 121.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 프레임(111)에 고정된 상기 제1 차간 연결막(151)을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인 상기 제1 차량(110)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1 차간 연결막(151)과 상기 제2 차간 연결막(152) 사이에는 공간이 발생하며, 이 때, 상기 제2 차간 연결막(152)을 상기 제1 차간 연결막(151)을 향한 공간으로 이동시키면서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인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 차간 연결막(152)은 상기 제2 고정프레임(12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다. 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first headway connecting rod 151 fixed to the first fixed frame 111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vehicle 110,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eadway connecting membrane 151 and the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 152. At this time, the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 152 is connected to the first headway connecting membrane 151 The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152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econd fixed frame 121 by moving the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152 outward in a direction shown by an arrow.

이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차간 연결막(151)도, 상기 제2 차간 연결막(152)을 상기 제2 차량(120) 방향으로 상기 제2 고정프레임(121)을 따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프레임(11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다. Similarly,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151 may also be formed by moving the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152 along the second fixed frame 12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vehicle 120 The first fixing frame 111 can be easily detached.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51, 152)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프레임들(111, 121)과 각각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되거나, 또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프레임들(111, 121)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51, 152)의 교환, 수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151 and 152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111 and 121 by interference fit, respectively, or fixed So that it is relatively easy to separate from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111 and 121 as described above. Thus, it is easy to exchange, repair, and maintain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151 and 152.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51, 152)이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프레임들(111, 121)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된 상태라면, 상기 접착제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별도의 재료를 사용하여 접착력을 저하시킨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I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151 and 152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111 and 121 through an adhesive agent, The separatio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force is reduced by using a material.

도 6은 도 4의 차간 연결막이 회전 구간에서의 변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of FIG. 4 is deformed in the rotation sec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철도차량(200)이 회전 구간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차량들(110, 120)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즉, 차량의 일 측에 위치한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51, 152)은 서로 간극이 발생하여 이격되며, 차량의 다른 측에 위치한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51, 152)은 더욱 밀착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 railway vehicle 200 passes through the rotation section, the first and second vehicles 110 and 120 are positioned as shown in FIG.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51 and 152 locat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151 and 152 ) Becomes closer.

이 경우, 상기 차량의 다른 측에 위치하여 밀착하게 되는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51, 152)은 밀착에 의해 보다 강한 압축력에 노출되며 이에 따라 변형이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151 and 152, which ar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re exposed to a stronger compressive force due to close contact, .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51, 152)은 탄성을 갖는 고무, 폴리머 등의 재질을 포함하므로, 상기 밀착에 따른 압축력을 일정부분 흡수하여 변형이나 파손 등의 문제를 줄일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151 and 152 include materials such as elastic rubber, polymer, etc., It is possible to reduce problems such as breakage.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51, 152) 각각은 'U'자 형상을 가지며 돌출된 부분이 서로 접촉하며, 표면을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높지 않은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51, 152)의 끝단이 서로 밀착되어 압축력이 인가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51, 152)의 중심축이 서로 어긋나도록 위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51, 152)은 밀착에 따른 압축력을 직접적으로 흡수하지 않게 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변형이나 파손 등의 문제를 줄일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151 and 152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U' shape and protruding portions contacting each other and having a relatively high frictional force. Accordingly, when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151 and 15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as shown in FIG. 5,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151 and 152, 152 are shifted from each other. Thus,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51 and 152 do not directly absorb the compressive force due to close contact,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and reducing problems such as deformation and breakag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철도 차량의 차량 연결부의 차간 연결막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n inter-vehicle connection of a vehicle connection portion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철도 차량(300)의 차간 연결막(170)은 차량 연결부의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철도 차량(100)의 차간 연결막(1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2 and 3, except that the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170 of the railway vehic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nly on a part of the vehicle connection portion, the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140 of the railway vehicl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And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철도 차량(300)의 차간 연결막(170)은 에어탱크(160)가 위치한 부분에는 장착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7, the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170 of the railway vehic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mounted in a portion where the air tank 160 is located.

즉, 일반적으로 관절대차가 적용된 철도 차량(300)의 경우, 차량 연결부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탱크(160)가 구비되는데, 상기 에어탱크(160)는 구비 위치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131, 132)과 함께 실질적으로 상기 차량 연결부의 하측을 밀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railway vehicle 300 to which the joint bogie is applied in general, an air tank 160 is provided as show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connection portion. 2 mud flaps 131 and 132 to substantially seal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connecting portion.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차간 연결막(170)은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171, 172)을 포함하며, 각각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131, 132)에 각각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Therefore, the headway connecting membrane 17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71 and 172, and each of the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71 and 172 includes the first And the second mud flaps 131 and 132, respectively.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차간연결막들(171, 172)은 상기 에어탱크(160)가 구비된 차량 연결부의 하측에는 고정되지 않으며, 상기 에어탱크(160)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차량 연결부 전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171 and 172 are not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connection portion provided with the air tank 160, As shown in Fig.

이에 따라, 상기 차량 연결부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에어탱크(160)와 중첩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상기 차량 연결부에 대한 밀폐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fixed so as not to be overlapped with the air tank 160 located below the vehicle connection portion, thereby sealing the vehicle connection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이 서로 인접한 차량들 사이의 공간부를 외부와 밀폐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 및 상기 차량들 사이의 공간에 의해 외부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seal the space between the vehicles adjacent to each other with the outside, so that the nois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the noise generated outside by the space between the vehicles Can be minimized.

특히,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은 U자형 단면 형상으로,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들에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고정 및 탈착이 가능하므로, 수리나 교환 또는 400에서의 작업 공간 확보가 유리한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first and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membranes have a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and can be easily fixed and detached relative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it is advantageous to repair or replace or secure a work space in the 400 There are advantages.

특히,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므로, 굽힘 또는 절곡 성형에 의한 성형에서보다 설계 오차 및 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강도를 높일 수 있어,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first and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membranes are integrally formed through injection mold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ength while minimizing the design error and deformation in molding by bending or bending molding, thereby improving the hermeticity.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은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므로, 차량 연결부의 상태를 육안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소수성 코팅재나 흡음 코팅재를 포함하여 소음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소수성 코팅재의 사용을 통해 빗물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자가세정(self-cleaning)이 가능하게 된다. Also, since the first and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membranes include a transparent material, the state of the vehicle connection portion can be directly confirmed through the naked ey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the noise blocking performance, including the hydrophobic coating material and the sound- Can be improved. In this case, the use of the hydrophobic coating material prevents contamination by foreign matter such as rainwater or dust, and enables self-cleaning.

또한, 철도 차량이 곡선 구간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이 서로 밀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은 U 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탄성 재질을 포함하므로, 중심축이 서로 어긋나도록 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의 파손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ailway car passes through the curved s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ince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have a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and include an elastic material, So that breakag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is prevent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나아가,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은, 종래 철도 차량에서 머드 플랩이 설치된 경우, 상기 머드 플랩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설계될 수 있어,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first and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membranes can be designed to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ud flap when the mud flap is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railway vehicle,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관절 대차 차량의 경우, 에어탱크가 구비된 것을 고려하여, 상기 에어탱크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차량 연결부에만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을 고정하여, 활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joint-rail car, considering that an air tank is provided,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may be fixed only to a vehicle connecting portion except for a portion where the air tank is located, thereby further improving usabilit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차간 연결막은 철도 차량의 차량 연결부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The inter-vehicle connection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be used for a vehicle connection of a railway vehicle.

100, 200, 300 : 철도 차량
110 : 제1 차량 120 : 제2 차량
130 : 머드플랩 160 : 에어탱크
140, 150, 170 : 차간 연결막
100, 200, 300: railway vehicles
110: first vehicle 120: second vehicle
130: Mud flap 160: Air tank
140, 150, 170: car connection bar

Claims (8)

소정 거리 이격되며 서로 인접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차량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차량들의 끝단으로부터 서로 마주한 차량들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에서,
상기 제1 고정 프레임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1 차간 연결막;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 차간 연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들 사이를 밀폐하여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며,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각각은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들의 'U'자 형상의 개구부가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들 각각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끼워지거나 탈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중 어느 하나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들 중 어느 한 측으로 이동되어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중 다른 하나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간 연결막.
A pair of first and second vehic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ing a space portion adjacent to each other and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protruding from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vehicles, In the included railway vehicle,
A first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fixed to the first fixed frame so as to be detachable; And
And a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film fixed to be detachable to the second fixed fram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seal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frame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vehicle connection membranes has a U-shaped cross-section,
The U-shaped openings of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frames are fitted or de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frames, respectively,
Where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is mov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frames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is detached Features an inter-vehicle conne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각각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간 연결막.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comprises:
Wherein the frame is formed so as to have a U-shaped cross-section integrally by injection mo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각각은,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간 연결막.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films comprises:
The headlamp connection membran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transparent materi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각각은,
고무, 폴리머, 소수성 코팅재, 흡음 코팅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간 연결막.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includes:
A rubber, a polymer, a hydrophobic coating, and a sound-absorbing coa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 차량이 곡선 구간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들의 일 측에 고정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사이에는 간격이 발생하여 상기 공간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차량들의 다른 측에 고정된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은 중심축이 서로 어긋나도록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간 연결막.
2. The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railway vehicle passes through a curve section,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fixed to one side of the vehicles to expose the space portion to the outsid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s are in close contact so that the central axes thereof are offse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들 각각에는 제1 및 제2 머드플랩(mud-flap)들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의 외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간 연결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irst and second mud-flaps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is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mud flap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 차량이 상기 제1 및 제2 차량들 사이의 하측에 에어 탱크(air tank)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차간 연결막들 각각은 상기 에어 탱크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제1 및 제2 머드플랩들의 외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간 연결막.
8. The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when the railway car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ehicles,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eadway connecting membranes is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mud flaps except a portion where the air tank is located.
KR1020150131452A 2015-09-17 2015-09-17 Side barrier for a railroad vehicle KR1016265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52A KR101626577B1 (en) 2015-09-17 2015-09-17 Side barrier for a railroa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52A KR101626577B1 (en) 2015-09-17 2015-09-17 Side barrier for a railroad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577B1 true KR101626577B1 (en) 2016-06-03

Family

ID=56192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452A KR101626577B1 (en) 2015-09-17 2015-09-17 Side barrier for a railroad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57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8555U1 (en) * 2020-03-27 2020-07-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ХЮБНЕР ООО" Adapter for connecting balloon transition to sealed transi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2117A (en) * 2002-01-25 2003-07-30 Mitsubishi Heavy Ind Ltd Combination vehicle
JP2008274252A (en) * 2007-03-30 2008-11-13 Yokohama Rubber Co Ltd:The Rubber composition for outer hood, and outer hood for railway vehicle
KR20090115284A (en) 2008-05-01 2009-11-05 윤종철 Gangway diaphragm
KR20090120756A (en) 2008-05-20 2009-11-25 주식회사호산테크 Gangway diaphragm assembly
KR101234563B1 (en) * 2012-11-01 2013-02-19 주식회사 한국에스제이 Mud-flap for aerodynamic noise reduction of railcar
KR101530041B1 (en) * 2014-04-29 2015-06-18 (주)신형이앤지 Gangway Side Barrier for Railway Vehic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2117A (en) * 2002-01-25 2003-07-30 Mitsubishi Heavy Ind Ltd Combination vehicle
JP2008274252A (en) * 2007-03-30 2008-11-13 Yokohama Rubber Co Ltd:The Rubber composition for outer hood, and outer hood for railway vehicle
KR20090115284A (en) 2008-05-01 2009-11-05 윤종철 Gangway diaphragm
KR20090120756A (en) 2008-05-20 2009-11-25 주식회사호산테크 Gangway diaphragm assembly
KR101234563B1 (en) * 2012-11-01 2013-02-19 주식회사 한국에스제이 Mud-flap for aerodynamic noise reduction of railcar
KR101530041B1 (en) * 2014-04-29 2015-06-18 (주)신형이앤지 Gangway Side Barrier for Railway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8555U1 (en) * 2020-03-27 2020-07-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ХЮБНЕР ООО" Adapter for connecting balloon transition to sealed tran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1554B2 (en) Door seal and vehicle door
US7357446B2 (en) Cowl-top cover
JP4799078B2 (en) Cowl louver equipment
CN102398500B (en) Vehicle glass run channel
JP2015104995A (en) Cowl part structure of vehicle
US11180948B2 (en) Door module for arranging in a door opening of a wagon body of a vehicle
KR101626577B1 (en) Side barrier for a railroad vehicle
JP7378296B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wl louver and windshield with molding
JPH1035272A (en) Vehicular window-plate molding
JP6076156B2 (en) Partition glass
JP7155889B2 (en) vehicle roof structure
JP2006176011A (en) Movable outer hood for railroad rolling stock
KR0120755Y1 (en) A soundproffing device of door in railcar
JP5204532B2 (en) Automotive door structure
JP7248598B2 (en) Vehicle seal structure
KR101630711B1 (en) Side barrier for a railroad vehicle having a restoring force
JP3143217U (en) Rubber for wiper blades with stopper cap
AU2020204041B2 (en) Door leaf of a door assembly of a vehicle
JP2008247112A (en) Rear structure for vehicle
WO2012066629A1 (en) Seal structure for lamp unit fitting section
US4632039A (en) Guided central gantry for railroad passover protection
JP2009046078A (en) Vehicular door seal structure
JP2014020102A (en) Grazing channel
KR101275026B1 (en) A Rail Car Door wind device
KR100906886B1 (en) Weather strip fo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