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563B1 - A Assembly To Hold The Culture Bag - Google Patents

A Assembly To Hold The Culture B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563B1
KR101626563B1 KR1020140116951A KR20140116951A KR101626563B1 KR 101626563 B1 KR101626563 B1 KR 101626563B1 KR 1020140116951 A KR1020140116951 A KR 1020140116951A KR 20140116951 A KR20140116951 A KR 20140116951A KR 101626563 B1 KR101626563 B1 KR 101626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ulture bag
culture
lamination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9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8197A (en
Inventor
허상오
김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엘
Priority to KR1020140116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563B1/en
Publication of KR20160028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1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5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07Flexible bags or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배양주머니의 이동, 보관 및 적재가 용이한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는, 내부에 배양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 배양주머니 및 배양주머니를 수용하는 랙을 포함하고, 랙은, 배양주머니가 안착되고, 복수의 제1통기공이 형성된 제1케이스; 제1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배양주머니를 덮고, 복수의 제2통기공이 형성된 제2케이스; 및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양주머니를 랙에 장착함으로써 배양주머니의 안전한 이동을 도모할 수 있고, 적층돌기와 대응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배양기 내부에 보관 및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뿐만 아니라 세균이나 세포 등을 균일성 있게 배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배양주머니 제작에 사용된 기체투과성 필름 및 랙에 조성된 제1, 2통기공을 통해 세포성장에 필요한 산소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배양주머니 내부의 유해가스를 외부로 원활히 배출함으로써, 세균이나 세포 등을 장시간 건강한 상태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배양효율을 향상시켜 세포 자체 또는 세포가 생산하는 결과물의 대량생산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Disclosed is a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which is easy to move, store and load the culture bag. A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lture bag having a storage portion capable of containing a culture liquid therein and a rack for accommodating the culture bag, wherein the culture bag has a plurality of first air holes A first case formed with the first case; A second cas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vent hole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and covering the culture bag; And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lture bag can be safely moved by attaching the culture bag to the rack, an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storage and loading in the incubator by forming the lamination protrusions and the corresponding protrusions, It can help to cultivate uniformly. The gas permeable film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culture bag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air holes formed in the rack smoothly supply the oxygen required for cell growth and smoothly discharge the harmful gas inside the culture bag to the outside, Cells and the like can be maintained in a healthy state for a long time, and the culture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ereby contributing to the mass production of the cells themselves or the products produced by the cells.

Description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A Assembly To Hold The Culture Ba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ture bag holding assembly,

본 발명은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양주머니를 수용하는 랙에 배양주머니를 안착시켜 배양주머니의 안전한 이동을 도모하고, 배양기 내부에 보관 및 적재를 용이하게 하는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ture bag retention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lture bag retention assembly, in which a culture bag is placed in a rack accommodating the culture bag to secure the movement of the culture bag and to store the culture bag for easy storage and loading in the incubator Assembly.

식물이나 세균, 배양 세포와 이들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혼합한 배양액은 증식 목적이나 대상에 따라 플라스크, 플레이트, 접시, 배양주머니 등의 다양한 용기에 수용되어 배양되고 있다. 이 중에서 봉지형태의 배양주머니는 외계와의 차폐효과가 우수하고 청결도 유지가 용이하여 면역세포 등을 배양하는데 적합하다.A culture solution in which a plant, a bacterium, a cultured cell and a nutrient required therefor is mixed is accommodated in various containers such as a flask, a plate, a plate, a culture bag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purpose or object of propagation. Among them, the encapsulated culture bag is suitable for culturing immune cells and the like because of excellent shielding effect against the outer world and easy maintenance of cleanliness.

이러한 배양주머니는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65861호는 박테리아 등의 이물질이 여과된 공기를 유입하고, 내부의 유해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종균 배양용 백'에 대한 발명에 대하여 설시하고 있다.Such culture pouche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65861 discloses a method for introducing air filtered by foreign substances such as bacteria and discharging harmful gas therein smooth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vention for a 'culture bag for culture of seeds'.

구체적으로, 상기 배경 기술은 전면과 배면의 백 몸체(10)에 각각 장방형의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여기에 통기 필터(20)와 외측에 구비된 외피(30)로 이루어지는 공기 유입부(I) 및 통기 필터(20)와 내측에 구비된 외피(30)로 이루어지는 가스 배출부(O)가 각각 마련된 것이다.Specifically, in the background art, a rectangular opening 12 is formed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bag bodies 10, and an air inlet 20 composed of the ventilating filter 20 and the outer shell 30 I and a gas exhaust portion O composed of a ventilation filter 20 and an enclosure 30 provided on the inner side are provided, respectively.

이러한 상기 배경 기술은 배양액 백(주머니) 자체에 대한 기술만을 기재하고 있을 뿐 배양액 백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하여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only describes the technology of the culture liquid bag itself and does not mention at all the apparatus that can safely and effectively treat the culture liquid bag.

배양액 백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취급하는 방안은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세균이나 세포 등을 균일성 있게 배양하는 데 도움을 주고 대량생산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개발이 요망된다 할 것이고, 해양, 농업, 의학 등의 분야에서 나날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에 부합하는 것이다.The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of the culture bag is not only convenient for the operator but also contributes to cultivation of germs and cells uniformly and contributes to mass production, , Agriculture, medical science, etc., which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ing.

(000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65861호(공개일: 2010.06.17)(000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65861 (published on June 17, 2010)

본 발명의 목적은, 배양주머니를 수용하는 랙에 배양주머니를 안착시킴으로써 배양주머니의 안전한 이동을 도모하고, 배양기 내부에 보관 및 적재를 용이하게 하는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that enables a safe movement of a culture bag by placing the culture bag in a rack accommodating the culture bag and facilitates storage and loading in the incubator.

상기 목적은, 내부에 배양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 배양주머니 및 배양주머니를 수용하는 랙을 포함하고, 랙은, 배양주머니가 안착되고, 복수의 제1통기공이 형성된 제1케이스; 제1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배양주머니를 덮고, 복수의 제2통기공이 형성된 제2케이스; 및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method for producing a culture bag comprising a first bag having a culture bag and a rack accommodating the culture bag, the bag having a receptacle for storing the culture liquid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vent holes; A second cas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vent hole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and covering the culture bag; And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to each other.

상기 배양주머니는, 내부에 배양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 몸체; 배양액이 몸체 내외측으로 유출입 될 수 있도록 수용부와 연결되되 몸체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튜브; 튜브를 개폐하기 위해 수용부와 대향 되는 튜브 일단에 구비되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ulture bag comprises: a body having a containing portion capable of containing a culture liquid therein; A pair of tubes connected to the receptacle so as to allow the culture fluid to flow in and out of the body, the tubes being projected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body; And a cap provided at one end of the tube facing the receiving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tube.

상기 몸체는 테두리 일측에 형성되는 라벨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 labeling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상기 몸체는 한 쌍의 기체투과성 필름을 겹친 후 테두리 부분을 융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body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 pair of gas permeable films and fusing the rims.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상대 회동할 수 있도록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hinge unit connecting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so that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can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상기 제1케이스는 복수의 제1통기공이 형성된 주변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안착돌기를 더 포함하고, 배양주머니는 복수의 안착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착공이 형성되어 안착돌기에 끼워질 수 있다.The first cas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mounting protrusions formed upwardly protruding from a periphery where a plurality of first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wherein the culture bag has an air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mounting protrusions, .

상기 제2케이스는 하면에 안착돌기 단부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as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ating portions engageable with the seating projection ends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제1케이스 하면과 제2케이스 상면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적층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적층돌기에 대응하여 결합가능한 복수의 적층홈이 형성되어,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를 상하로 적재할 수 있다.A plurality of lamination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of the first case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cas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lamination grooves are formed on the other of the first case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case upper surface so as to be engageable with the lamination protrusions, have.

상기 적층돌기 외주면과 적층홈 내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단턱을 형성하여 상하로 적재된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amination protrus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lamination groove may be formed with a step so as to separate the culture bag storage assemblies stacked up and down.

상기 제1케이스 하면과 제2케이스 상면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적층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적층돌기에 대응하여 결합가능한 복수의 대응돌기가 형성되어, 상하로 적재된 상기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lamination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of the first case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cas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ther of the first case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case upper surface, .

상기 제1케이스는 하면에 소정 각도로 회동하여 제1케이스를 세워 지지할 수 있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as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which is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on a lower surface to support the first case.

상기 받침부는, 제1케이스 하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제1케이스 하면 일측과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한 쌍의 지지대의 타단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제1케이스 하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받침대; 받침대가 수납되어 제1케이스 하면과 동일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제1케이스 하면에 형성된 수납홈; 한 쌍의 지지대가 제1케이스와 상대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대 일단에 형성되는 회동부; 받침대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납홈 주변 일측에 형성되는 인출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ing portion may include a pair of supporting rods symmetrically formed along an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as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case and an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ase, A pedestal including a linkage formed along the guide rail;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se so that the pedestal is received and coplanar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se; A pair of support portions formed at one ends of the support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first case; And a draw-out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to facilitate drawing out of the pedestal.

본 발명에 의하면, 배양주머니를 랙에 장착함으로써 배양주머니의 안전한 이동을 도모할 수 있고, 적층돌기와 대응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배양기 내부에 보관 및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뿐만 아니라 세균이나 세포 등을 균일성 있게 배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lture bag can be safely moved by attaching the culture bag to the rack, an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storage and loading in the incubator by forming lamination protrusions and corresponding protrusions, It can help to cultivate uniformly.

또한, 배양주머니 제작에 사용된 기체투과성 필름 및 랙에 조성된 제1, 2통기공을 통해 세포성장에 필요한 산소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배양주머니 내부의 유해가스를 외부로 원활히 배출함으로써, 세균이나 세포 등을 장시간 건강한 상태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배양효율을 향상시켜 세포 자체 또는 세포가 생산하는 결과물의 대량생산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The gas permeable film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culture bag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air holes formed in the rack smoothly supply the oxygen required for cell growth and smoothly discharge the harmful gas inside the culture bag to the outside, Cells and the like can be maintained in a healthy state for a long time, and the culture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ereby contributing to the mass production of the cells themselves or the products produced by the cel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를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를 상하로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의 적층돌기와 적층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of the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up and dow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ination protrusion and a lamination groove of a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를 결합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를 상하로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의 적층돌기와 적층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of the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up and down, FIG. 6 is a cross-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100)는 크게 배양주머니(110) 및 이를 수용하는 랙(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 to 4, the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ulture bag 110 and a rack 120 for accommodating the culture bag 110. As shown in FIG.

(배양주머니)(Culture bag)

배양주머니(110)는 식물, 세균 또는 세포 등과 같은 증식물질과 이들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함께 혼합한 배양액을 내부에 구비된 수용부(111)에 담아 외계와의 접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구성요소로, 몸체(112), 튜브(114), 마개(116) 및 라벨링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lture bag 110 is a constituent element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contact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by placing a culture solution in which a growth material such as a plant, a bacterium, a cell, etc. and a nutrient required thereon is mixed, A body 112, a tube 114, a stop 116, and a labeling portion 118.

구체적으로 ,몸체(112)는 내부에 배양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11)가 마련된 구성요소로, 내부에 유동성 물질인 배양액을 외부로 유출시키지 않고 담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 또는 소재라도 무방하다. Specifically, the body 112 is a constituent element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111 capable of receiving a culture liquid therein, and any shape or material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contain a culture liquid, which is a fluid substance, .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이 상하로 돌출되어 수용부(111)를 이루며, 테두리는 납작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수렴부(111a)가 형성된다. 그리고 판형상의 테두리 부분에는 복수의 안착공(113)이 형성되어 후술할 복수의 안착돌기(134)에 끼워진다.2, the body 11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protrudes up and down at the center to form a receiving portion 111. The rim has a flat plate shape, And a converging portion 111a narrowing in width toward one side (front side) is formed. In the plate-shaped rim portion, a plurality of air-through holes 113 are formed and sandwiched by a plurality of seating projections 134 to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몸체(112)는 기능성 소재인 한 쌍의 기체투과성 필름을 서로 겹친 후 테두리 부분을 융착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때, 기체투과성 필름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PE(polyethylene)와 아크릴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으로, 세포 등을 대량으로 배양하더라도 수용부(111) 내의 산소농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세포의 양호성 유지 및 배양효율 향상에 도움을 준다.The body 112 is formed by superimposing a pair of gas permeable films, which are functional materials, and then fusing the edges. In this case, the gas permeable film is manufactured by mixing polyethylene (PE), a thermoplastic plastic, and acryl,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oxygen concentration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11 even when a large number of cells are cultured, It helps to improve.

튜브(114)는 배양액이 몸체(112) 내외측으로 유출입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몸체(112) 일측에 구비되는 관형상의 구성요소로, 양단이 연통가능한 구조라면 단면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The tube 114 is a tubular componen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112 to allow the culture fluid to flow in and out of the body 112. The tube 114 may have any cross section as long as both ends are communica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114)는 수렴부(111a)와 인접한 곳에서 일단이 수용부(111)와 연결되고 타단은 몸체(112)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tube 11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111 and the other end is protruded outside the body 112 in the vicinity of the converging portion 111a.

이러한 튜브(114)는 한 쌍이 대칭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배치한 후 상술한 몸체(112)를 성형하는 단계와 함께 융착 형성할 수 있다.The tubes 114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air of the tubes 114 are symmetrically arranged and then fused together with the step of molding the body 112 described above.

여기서 한 쌍의 튜브(114)를 구비한 이유는 하나의 튜브(114)를 통해 수용부(111)에 배양액을 주입하는 경우 발생하는 기포를 적절하게 제거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어느 하나의 튜브(114)로 배양액을 주입하면서 다른 하나의 튜브(114)로는 발생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The reason for including the pair of tubes 114 here is to properly remove bubbles generated when the culture liquid is injec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111 through one tube 114. Therefore, the operator can remove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other tube 114 while injecting the culture liquid into any one of the tubes 114.

한편, 한 쌍의 튜브(114)가 지면을 향하도록 하여 수용부(111)에 담긴 배양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폭이 좁아지는 수렴부(111a)의 형상은 배양액을 한 쌍의 튜브(114)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므로, 배양액은 깔끔하고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ulture liquid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 the pair of tubes 114 facing the ground, the shape of the converging portion 111a having a narrow width is such that the culture liquid is supplied to the pair of tubes 114 ), So that the culture liquid can be neatly and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마개(116)는 튜브(114)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수용부(111)와 대향 되는 튜브(114) 일단에 구비된다.The cap 116 is a componen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ube 114 and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tube 114 facing the receiving portion 1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개(116)는 튜브(114)의 단부를 감싸는 실리콘 소재의 뚜껑 형태로 제작하여 배양액의 유출을 방지한다. 이러한 실리콘 소재의 마개(116)는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마개(116)를 관통한 후 영양 물질 등을 수용부(111)에 투입하거나 배양액을 외부로 인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stopper 11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lid of a silicone material that surrounds the end portion of the tube 114 to prevent leakage of the culture liquid. The silicone material stopper 116 allows a nutrient material or the like to pass through the stopper 116 by using a syringe or the like or to introduce the nutrient into the receiver 111 or to take out the culture liquid to the outside.

라벨링부(118)는 배양액 등에 대한 기초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요소로, 배양주머니(110)가 랙(120)에 안착 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쉽게 인식될 수 있는 위치라면 몸체(112)의 테두리 어디라도 무방하다.The labeling unit 118 is a component provided to record basic information on a culture liquid or the like. When the culture bag 110 is placed in the rack 120, ).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벨링부(118)는 몸체(112)의 폭이 좁아지는 수렴부(111a)에 인접한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외부에서 배양액에 대한 기초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배양액 관련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However, the labeling unit 118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nverging unit 111a where the width of the body 112 is narrowed. As a result, the operator can easily confirm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culture liqui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work related to the culture liquid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랙)(Rack)

랙(120)은 상술한 배양주머니(110)를 수용하여 안전한 이동과 배양기에 보관 및 적재를 용이하게 하며, 배양주머니(110) 내 부착 세포의 배양면 손상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 제1케이스(130), 제2케이스(140) 및 체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케이스(130)의 세부 구성요소와 제2케이스(140)의 세부 구성요소는 상호 대칭을 이루는 관계이므로, 상호 바뀌어 적용될 수 있다.The rack 120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the above-described culture bag 110 to facilitate safe transportation and storage and loading of the culture bag 110, and prevents damage to the culture surface of the adhered cell in the culture bag 110, A first case 130, a second case 140, and a fastening part 150. Here, since the detailed components of the first case 130 and the detailed components of the second case 140 are mutually symmetric, they can be applied mutually.

먼저, 제1케이스(130)는 그 상면에 배양주머니(110)를 안착시켜 이동시 배양주머니(110)가 랙(1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고, 기체투과성 필름으로 형성된 배양주머니(110)의 하면이 공기와 접촉할 수 있게 하는 구성요소이다.The first case 130 is provided with a culture bag 110 on its upper surface so that the culture bag 110 is not separated from the rack 120 when it is move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ulture bag 110 formed of a gas- To be in contact with the air.

이러한 제1케이스(130) 자체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케이스(130)는 상술한 배양주머니(110)의 전체 형상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하되, 수렴부(111a)에 대응해서는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한다. 이는 본 발명인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100)의 공간활용도를 증대하여 적재의 효율성을 도모함과 더불어 배양 완료시 배양주머니(110) 내 배양 결과물을 보다 용이하게 회수하기 위함이다.The first case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tire shape of the culture bag 110 described above. And is formed so as to have a narrow width corresponding to the converging portion 111a. This is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tacking and to more easily recover the culture result in the culture bag 110 upon completion of the culture.

구체적으로, 제1케이스(130)는 제1통기공(132), 안착돌기(134) 및 대응돌기(136)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case 130 may include a first vent hole 132, a seating projection 134, and a corresponding projection 136.

제1통기공(132)은 배양주머니(110)의 하면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제1케이스(130)의 중앙에 구비되는 상하방향으로 뚫린 구멍으로,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구멍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vent hole 13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case 130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ulture bag 110 can contact the air. .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1통기공(132)은 제1케이스(13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앙에 동일 크기의 격자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기체투과성인 배양주머니(110)의 하면이 제1통기공(132)을 통해 공기와 일정한 면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세포 등의 배양물질이 배양주머니(110)의 하면 전체에서 균일하게 배양되고, 장시간 세포의 양호성이 유지되게 하여 더욱 양호한 배양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것이라면, 제1통기공(132)의 크기, 개수 및 배열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However, the plurality of first vent holes 13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at the center except for the edge of the first case 130 in the form of a lattice of the same size.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lower surface of the gas permeable culture bag 110 to contact with the air through the first vent hole 132 at a constant area so that the culture material such as cells can be uniformly cultur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culture bag 110 And the cell is maintained in good condi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so that a better culture result can be obtained. Thus, for this purpose, the siz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first vent holes 132 may vary.

안착돌기(134)는 상술한 안착공(113)에 끼워져 이동 및 적재 시 배양주머니(110)가 랙(1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구성요소로, 복수의 제1통기공(132)이 형성된 주변에서 복수 개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The seating protrusion 134 is a component that is inserted in the above-described air hole 113 to prevent the culture bag 11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ack 120 during movement and loading. As shown in FIG.

이러한 안착돌기(134)의 돌출길이, 폭, 배치 및 개수는 이동시 랙(120)으로부터 배양주머니(110)를 이탈시키지 않고 랙(120) 내에서 움직이지 않게 하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The projecting length, width, arrangement and number of the mounting projections 134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move the rack 120 from the rack 120 and move within the rack 120 when the rack 120 is moved .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착돌기(134)는 배양주머니(110)의 길이방향(도 2의 튜브와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제1케이스(130)의 5개 귀퉁이에 각각 배치하여 어느 한 측으로 부하가 편중되지 않게 한다. However, the seating protrusion 13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ive corners of the first case 130, which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lture bag 110 (direction parallel to the tube of FIG. 2) So that the load is not concentrated on either side.

그리고 돌출길이와 폭은 배양주머니(110)의 두께와 안착공(113)의 크기를 고려하여 랙(120) 내에서 배양주머니(11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길이와 폭으로 형성한다.The protrusion length and width are formed in a length and a width so as to prevent the culture bag 110 from moving in the rack 120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culture bag 110 and the size of the air hole 113.

한편, 안착돌기(134)는 안착공(113)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단부를 향해 안쪽으로 경사지게 테이퍼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at cushion 134 may be tapered inward toward the upper end so as to be easily fitted into the seat cushion 113.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대응돌기(136)와 적층돌기(146)는 상호 결합을 통해 상하로 적재된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100) 사이를 이격시킴과 동시에 고정함으로써, 공기가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100) 사이에서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3 to 6, the corresponding protrusions 136 and the lamination protrusions 146 are spaced apart and secur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ulture bag storage assemblies 100 through mutual engagement, Assembly 100 to allow circulation thereof.

이러한 대응돌기(136)와 적층돌기(146)가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100)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면서 상호 간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는 돌출길이 및 형태, 배치와 결합구조를 갖는 것이라면,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물론이다.If the protrusions 136 and the lamination protrusions 146 have protruding lengths, shapes, arrangements, and engaging structures capable of mutually engaging and fixing the culture bag storage assemblies 100 at regular intervals, Of course.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응돌기(136)는 제1케이스(130) 하면의 네 귀퉁이에서 대칭을 이루며 각각 원호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적층돌기(146)는 대응돌기(136)의 돌출길이, 형태 및 배치에 각각 대응하여 끼워 맞춤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2케이스(140) 상면에서 안쪽으로 약간 치우친 원호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However, the corresponding protrusions 13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ymmetrically form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se 130, and are protruded in a circular arc shape. The lamination protrusions 146 are formed to protrude in an arc shape slightly inclined i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140 so as to be fit-fit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length,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corresponding protrusions 136, respectively.

이로 인해 상하로 적재된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100)들은 적층돌기(146)(또는 대응돌기(136))의 돌출길이만큼 상호 이격되며, 그 사이로 공기순환이 발생하여 적재된 배양주머니(110)의 상하면은 공기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배양액 내 세포의 양호성 유지 및 배양 효율의 향상에 기여한다.As a result, the culture bag storage assemblies 100 stacked up and dow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lamination protrusions 146 (or the corresponding protrusions 136), air circulation occurs between the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can be smooth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ir. This contributes to maintenance of cell quality and improvement of culture efficiency in the culture medium.

한편, 대응돌기(136)와 적층돌기(148)의 형성위치는 상술한 실시예와 반대로 대응돌기(136)가 제2케이스(140) 상면에, 적층돌기(146)가 제1케이스(130) 하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s of the corresponding projections 136 and the stacked projections 148 are formed such that the corresponding projections 136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140 and the stacked projections 146 are formed on the first case 130, It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응돌기(136)와 적층돌기(146)의 변형예로, 적층돌기(246)는 제2케이스(140)의 상면의 5개 귀퉁이 부분에서 각각 링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적층돌기(246)는 상술한 안착돌기(134)의 연직 상부에 형성되고, 적층홈(134)은 안착돌기(134)의 연직하부에 형성된다.6 is a modification of the corresponding protrusion 136 and the lamination protrusion 14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ination protrusion 246 is formed in a ring shape at five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14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lamination protrusion 246 is formed in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above-described seating protrusion 134, and the lamination groove 134 is formed in the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protrusion 134. [

따라서, 하나의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100)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적층돌기(246), 안착돌기(134), 적층홈(236)이 위치하게 되며,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100)가 상하로 적재되는 경우, 하단의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100)의 적층돌기(246)는 상단의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100)의 적층홈(236)과 끼워 맞춤 결합을 하게 된다.The stacking protrusions 246, the seating protrusions 134 and the lamination grooves 236 are positioned in this order from the top, and the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100 is stacked up and down The stacking protrusion 246 of the lower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100 is engaged with the stacking groove 236 of the upper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100.

이러한 적층돌기(246), 안착돌기(134) 및 적층홈(236)의 연직 구조는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100)의 적재를 견고하게 하고, 안착돌기(134)를 통해 배양주머니(110)의 안착뿐만 아니라 상단에 적재된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10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vertical structure of the stacked protrusions 246, the seating protrusions 134 and the laminated grooves 236 makes the stacking of the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100 robust and allows the placement of the culture bag 110 through the seating protrusions 134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load of the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100 mounted on the upper side.

적층돌기(246) 외주면과 적층홈(236) 내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단턱(24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턱(247)은 적층돌기(246)가 적층홈(236)에 완전히 끼워지지 않도록 하여 상하로 적재된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100) 사이를 이격시킨다.The step 247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mination protrusion 246 and the inside of the lamination groove 236. [ The step 247 separates the stacked culture bag storage assemblies 100 stacked up and down such that the stacked protrusions 246 are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lamination grooves 236.

이로 인해 상하로 적재된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100)들은 단턱(247)의 높이만큼 상호 이격되며, 그 사이로 공기순환이 발생하여 적재된 배양주머니(110)의 상하면은 공기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적층돌기(146)(또는 대응돌기(136))와 마찬가지로 배양액 내 세포의 양호성 유지 및 배양 효율의 향상에 기여한다.As a result, the upper and lower culture bag storage assemblies 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height of the step 247, and air circulation occurs therebetween,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aded culture bag 110 are smoothly contacted with air . This contributes to the maintenance of the quality of the cells in the culture liquid and the improvement of the culture efficiency as well as the lamination protrusions 146 (or the corresponding protrusions 136).

한편, 적층돌기(246)와 적층홈(236)의 형성위치는 상술한 변형예와 달리 적층홈(236)이 제2케이스(140) 상면에, 적층돌기(246)가 제1케이스(130) 하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The lamination protrusions 246 and the lamination grooves 236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140 and the lamination protrusions 246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ase 130, It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제2케이스(1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30)가 배양주머니(110)의 하면을 받치는 구성이라고 할 때, 이와 짝을 이루어 배양주머니(110) 상면을 덮는 구성요소로, 제2케이스(140)는 제2통기공(142), 안착부(144) 및 적층돌기(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 to 3, the second case 1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case 130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culture bag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ulture bag 110 is paired with the second case 140 The second case 140 may include a second vent hole 142, a seating portion 144, and a stacking protrusion 146. [

제2케이스(140)는 상술한 제1케이스(130)와 거의 동일한 내용의 기술적 구성을 갖는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이 있는 구성만을 기술한다.Since the second case 140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case 130 described above,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안착부(144)는 배양주머니(110)가 랙(12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제2케이스(140) 하면에 구비되되, 제1케이스(130)의 안착돌기(134)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호 결합할 수 있다.The seating part 144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140 so that the culture bag 110 can be firmly fixed to the rack 120. The seating part 144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seating projection 134 of the first case 130 And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이때, 결합구조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한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안착부(144)는 링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져 안착돌기(134)의 단부가 링형상의 내측으로 억지 끼움 결합을 한다. 이러한 안착부(144)는 제1케이스(130)에, 안착돌기(134)는 제2케이스(14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At this time, the coupling structure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portion 144 is formed of a ring-shaped projec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seating projection 134 engages inwardly in a ring shape. The seating portion 144 may be formed in the first case 130 and the seating protrusion 134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ase 140.

한편, 제2케이스(140)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100)를 고리 등에 걸어둘 수 있도록 거치공(148)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mounting hole 148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edge of the second case 140 so that the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100 can be hooked to a ring or the like.

체결부(150) 제1케이스(130)와 제2케이스(140)를 상호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요소로, 제1케이스(130)와 제2케이스(140) 각각의 일측에 대응하는 형태의 결합구조를 갖는 다양한 체결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150 is a component for fixing the first case 130 and the second case 140 to each other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case 130 and the second case 140 Various fastening devices having a coupling structure can be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체결부(150)는 제1케이스(130) 일측에 링형상의 고리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체결가능한 훅 형상의 걸림체가 제2케이스(140)의 일측에 형성된다.
In the fastening part 15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ng-shaped r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ase 130, and a hook-shaped fastening body that can be fasten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ase 140.

힌지부(160)는 배양주머니(11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요소로, 제1케이스(130)와 제2케이스(140)가 서로 상대 회동할 수 있도록 제1케이스(130)와 제2케이스(140)의 일측에 각각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The hinge unit 160 is provided to facilitate mounting of the culture bag 110. The hinge unit 160 includes a first case 130 and a second case 140 so that the first case 130 and the second case 140 can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case 140, respectively.

이때, 힌지부(160)는 상술한 체결부(150)와의 간섭 없이 원활히 회동할 수 있도록, 체결부(150)의 형성위치와 대향 되는 위치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hinge unit 160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orming position of the fastening unit 150 so that the hinge unit 160 can smoothly rotate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fastening unit 150 described above.

받침부(170)는 도 2,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양주머니(110)의 마개(116)로부터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영양 물질 등을 투입하거나 배양액을 외부로 인출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요소이다.2, 4, and 7, the receiving unit 170 may be configured to insert nutrients or the like from the plug 116 of the culture bag 110 by using a syringe or the like, or to draw out the culture liquid to the outside It is a constituent element provided for facilitating.

이러한 받침부(170)는 제1, 2케이스(130,140) 중 어느 한 측에 구비되어 배양주머니(110)의 마개(116)가 상방 또는 측방을 향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라면, 어떠한 기작의 구조라도 무방할 것이다.The support portion 170 may be provided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130 and 140 so that the stopper 116 of the culture bag 110 can support the upward or sideways stat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of.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70)는 제1케이스(130) 하면(제2케이스(140) 상면도 무방함)에 구비되되, 제1케이스(13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하여 제1케이스(13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However, the receiving part 1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se 130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140 is also not possible) So that the first case 130 can be supported.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받침부(170)는 받침대(174), 수납홈(176), 회동부(178) 및 인출홈(179)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ceiving portion 170 may include a pedestal 174, a receiving groove 176, a turning portion 178, and a receiving groove 179.

받침대(174)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 한 쌍의 지지대(172)와 연결대(173)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지지대는(172) 제1케이스(130) 하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제1케이스(130) 하면 일측과 연결되고, 연결대(173)는 한 쌍의 지지대(172)의 타단을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지면과 접하게 되는 부분으로, 제1케이스(130) 하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The pedestal 174 is a constituent element of a 'C' shape as a whole, and is composed of a pair of supports 172 and a connecting rod 173. The pair of supports is formed symmetrically along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ase 130 and one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ase 130. The connection unit 173 includes a pair of supports 172, And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ase 130.

수납홈(176)은 받침대(174)가 수납되어 제1케이스(130) 하면과 동일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케이스(130) 하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다.The receiving groove 176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ase 130 to be concave so that the pedestal 174 can be received and coplanar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ase 130.

회동부(178)는 한 쌍의 지지대(172)와 제1케이스(130)를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한 쌍의 지지대((172)가 제1케이스(130)와 상대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대(172) 일단에 형성된다. The pivot portion 178 interconnects the pair of supports 172 and the first case 130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the pair of supports 172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first case 130 ).

이러한 회동부(178)는 소정각도마다 회동을 멈추게 하는 구조(멈춤턱과 걸림 돌기)를 지지대(172) 일단과 이와 결합하는 제1케이스(130) 내측에 각각 구현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The pivoting unit 178 is configured to stop the pivoting operation at predetermined angles (stoppoles and latching protrusions) on the inner side of the one end of the support table 172 and the first case 130 engaged with the one end of the support table 172, have.

또한, 인출홈(179)은 받침대(174)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수납홈(176) 주변 일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raw-out groove 179 can be recessed from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76 so as to facilitate the drawing of the pedestal 174 and the operator's convenienc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 110: 배양주머니
111: 수용부 112: 몸체
113: 안착공 114: 튜브
116: 마개 118: 라벨링부
120: 랙 130: 제1케이스
132: 제1통기공 134: 안착돌기
136: 대응돌기 140: 제2케이스
142: 제2통기공 144: 안착부
146: 적층돌기 150: 체결부
160: 힌지부 170: 받침부
172: 지지대 173: 연결대
174: 받침대 176: 수납홈
178: 회동부 179: 인출홈
236: 적층홈 246: 적층돌기
247: 단턱
100: culture bag storage assembly 110: culture bag
111: receptacle 112: body
113: opening of the hole 114: tube
116: cap 118: labeling section
120: rack 130: first case
132: first vent hole 134: seating projection
136: corresponding projection 140: second case
142: second vent hole 144: seat part
146: laminated projection 150:
160: hinge portion 170:
172: support 173: connecting rod
174: pedestal 176: storage groove
178: turning portion 179: drawing groove
236: Lamination groove 246: Lamination projection
247:

Claims (12)

내부에 배양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 배양주머니 및 상기 배양주머니를 수용하는 랙을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배양주머니가 안착되고, 복수의 제1통기공이 형성된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양주머니를 덮고, 복수의 제2통기공이 형성된 제2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는 복수의 상기 제1통기공이 형성된 주변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안착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양주머니는 복수의 상기 안착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착공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돌기에 끼워지며,
상기 제2케이스는 하면에 상기 안착돌기 단부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 하면과 상기 제2케이스 상면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적층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적층돌기에 대응하여 결합가능한 복수의 적층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를 상하로 적재할 수 있고,
상기 적층돌기 외주면과 상기 적층홈 내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단턱을 형성하여 상하로 적재된 상기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 사이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
A culture bag having a storage portion capable of containing a culture liquid therein, and a rack for accommodating the culture bag,
Wherein,
A first case on which the culture bag is placed and on which a plurality of first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A second case disposed above the first case and covering the culture bag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ventilation holes; And
And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Wherein the first cas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ating projections formed upwardly projecting from a periphery where a plurality of the first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Wherein the culture bag is provided with an air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the seating projections and is fitted in the seating projections,
The second cas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ating portions engageable with the seating projection ends on the bottom surface,
Wherein a plurality of lamination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of the first case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cas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lamination grooves which are engageable with the lamination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ther one of the lamination protrusions, Can be loaded,
Wherein at least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mination project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lamination groove forms a step so as to separate the culture bag storage assemblies stacked up and down.
내부에 배양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 배양주머니 및 상기 배양주머니를 수용하는 랙을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배양주머니가 안착되고, 복수의 제1통기공이 형성된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양주머니를 덮고, 복수의 제2통기공이 형성된 제2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는 복수의 상기 제1통기공이 형성된 주변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안착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양주머니는 복수의 상기 안착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착공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돌기에 끼워지며,
상기 제2케이스는 하면에 상기 안착돌기 단부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 하면과 상기 제2케이스 상면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적층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적층돌기에 대응하여 결합가능한 복수의 대응돌기가 형성되어, 상하로 적재된 상기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 사이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
A culture bag having a storage portion capable of containing a culture liquid therein, and a rack for accommodating the culture bag,
Wherein,
A first case on which the culture bag is placed and on which a plurality of first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A second case disposed above the first case and covering the culture bag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ventilation holes; And
And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Wherein the first cas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ating projections formed upwardly projecting from a periphery where a plurality of the first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Wherein the culture bag is provided with an air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the seating projections and is fitted in the seating projections,
The second cas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ating portions engageable with the seating projection ends on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lamination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of the first case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cas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ther of the first case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case upper surface, Thereby separating the assemblies from each oth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주머니는,
내부에 배양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 몸체;
상기 배양액이 상기 몸체 내외측으로 유출입 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되 상기 몸체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튜브;
상기 튜브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와 대향 되는 상기 튜브 일단에 구비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ulture bag may contain,
A body having a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a culture liquid therein;
A pair of tubes connected to the receptacle so as to allow the culture liquid to flow in and out of the body, the tubes being projected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body;
And a cap provided at one end of the tube facing the receiving part to open and close the tub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테두리 일측에 형성되는 라벨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ody further comprises a label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ri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한 쌍의 기체투과성 필름을 겹친 후 테두리 부분을 융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ody is formed by laminating a pair of gas permeable films and fusing the rim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가 상대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hinge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so that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can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는 하면에 소정 각도로 회동하여 상기 제1케이스를 세워 지지할 수 있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case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ortion which is pivotally mounted on a lower surface at a predetermined angle to support the first cas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케이스 하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케이스 하면 일측과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한 쌍의 상기 지지대의 타단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케이스 하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가 수납되어 상기 제1케이스 하면과 동일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제1케이스 하면에 형성된 수납홈;
한 쌍의 상기 지지대가 상기 제1케이스와 상대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 일단에 형성되는 회동부;
상기 받침대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수납홈 주변 일측에 형성되는 인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주머니 보관 조립체.
8. The method of claim 7,
[0030]
A pair of support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n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as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case, an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ase, A pedestal including a linkage formed along the guide rail;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se so that the pedestal is received and coplanar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se;
A pair of support portions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first case;
And a draw-out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to facilitate the drawing of the pedest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16951A 2014-09-03 2014-09-03 A Assembly To Hold The Culture Bag KR1016265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951A KR101626563B1 (en) 2014-09-03 2014-09-03 A Assembly To Hold The Culture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951A KR101626563B1 (en) 2014-09-03 2014-09-03 A Assembly To Hold The Culture B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197A KR20160028197A (en) 2016-03-11
KR101626563B1 true KR101626563B1 (en) 2016-06-01

Family

ID=5558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951A KR101626563B1 (en) 2014-09-03 2014-09-03 A Assembly To Hold The Culture B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56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3507A (en) * 2018-06-26 2020-01-03 深圳市北科生物科技有限公司 Culture bag suitable for automated produ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1133A (en) * 2003-03-04 2004-09-24 Gunze Ltd Culture solution exchanger
JP2006325437A (en) * 2005-05-24 2006-12-07 National Cancer Center-Japan Culture tra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8457Y2 (en) * 1992-07-21 1997-12-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Medium container
KR100932863B1 (en) * 2007-11-30 2009-12-21 코아스템(주) Rotary Drive for Cell Culture
KR101023236B1 (en) 2008-12-09 2011-03-21 김찬식 A bag for mushroom germicul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1133A (en) * 2003-03-04 2004-09-24 Gunze Ltd Culture solution exchanger
JP2006325437A (en) * 2005-05-24 2006-12-07 National Cancer Center-Japan Culture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197A (en)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5506B2 (en) Multilayered cell culture apparatus
US20230265383A1 (en) Highly efficient gas permeable devices and methods for culturing cells
US8323957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incubation of cells
JP2016178946A (en) Cell culture device
US8434636B2 (en) Culturing container with filter vents
JP201051887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ubble formation in cell culture
JP6529910B2 (en) Cell culture container and container for containing cell culture
US20160271612A1 (en) Modular Tray for Holding Plurality of Cell Culture T-Flasks at a Solution Angle
KR101626563B1 (en) A Assembly To Hold The Culture Bag
JP2006314276A (en) Cell cultural container
TW201811176A (en) Bag-like container for cells
US20170355944A1 (en) Culture flask
KR101483069B1 (en) Dehumidifying Container
JP2004154099A (en) Box for housing culture vessel
JP2016007170A (en) Cell culture vessel
JP2016140299A (en) Culture bag fixing block, and method for using culture bag fixing block
KR101833852B1 (en) Durable Cap of Culture Vessel for Pyogo Sawdust Medium
JP2017035080A (en) Container for cell conveyance
CA3156956A1 (en) System, apparatuses, devices, and methods for packaging an analyte diffusive implantable device
KR20180134865A (en) A plurality of vial carrying structures for pharmaceutical, medical or cosmetic applications, sterile packaging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processing v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