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068B1 - 전극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전기로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전극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전기로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068B1
KR101626068B1 KR1020140172713A KR20140172713A KR101626068B1 KR 101626068 B1 KR101626068 B1 KR 101626068B1 KR 1020140172713 A KR1020140172713 A KR 1020140172713A KR 20140172713 A KR20140172713 A KR 20140172713A KR 101626068 B1 KR101626068 B1 KR 101626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 material
heating furnace
frame
consum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우
허춘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72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7/00Heating by electric discharge
    • H05B7/18Heating by arc dis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1/00Arrangement of elements for electric heating in or on furnaces
    • F27D11/08Heating by electric discharge, e.g. arc discharge
    • F27D11/10Disposition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7/00Heating by electric discharge
    • H05B7/02Details
    • H05B7/06Electrodes
    • H05B7/07Electrodes designed to melt in u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7/00Heating by electric discharge
    • H05B7/02Details
    • H05B7/10Mountings, supports, terminals or arrangements for feeding or guiding electrodes
    • H05B7/101Mountings, supports or terminals at head of electrode, i.e. at the end remote from the arc
    • H05B7/102Mountings, supports or terminals at head of electrode, i.e. at the end remote from the arc specially adapted for consumable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전극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전기로의 운용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재생장치는 아크를 일으켜 피가열물을 용융시키는 전극의 소모부분 외면으로 전극재료를 공급하여 도포하는 전극재료 도포부; 및 전극재료 도포부에 의해 전극 외면에 도포된 전극재료를 가압 성형하여 전극의 소모부분을 재생시키는 가압성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극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전기로의 운용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electrodes,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ic arc furna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로의 작업 중 소모된 전극을 재생할 수 있는 전극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전기로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로는 전류를 공급해 내부에서 아크(arc)를 일으키는 방식으로 장입된 스크랩을 용융시킨다. 이러한 전기로는 내부로 진입하여 스크랩과 접촉한 상태에서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아크를 발생시키는 3개의 전극(3상 전극)을 구비한다.
전기로의 전극들은 스크랩의 용해가 진행함에 따라 산화, 승화, 절손 등의 이유로 그 길이가 점차 짧아진다. 따라서 전기로는 어느 정도 작업을 진행한 후 작업자가 전극을 교체하거나, 길이가 짧아진 기존 전극에 새로운 전극을 연결하여 전극의 길이를 연장해 주어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로는 작업 중 전극의 교체나 연장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전극의 교체나 연장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가열작업을 일시 중단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전극을 교체하는 동안에는 노가 식기 때문에 에너지손실이 매우 크고, 교체작업으로 시간이 지체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져 연속주조공정과 같은 후속공정의 차질을 야기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76670호(2006. 07. 04.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작업 중 소모된 전극을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극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전기로의 운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아크를 일으켜 피가열물을 용융시키는 전극의 소모부분 외면으로 전극재료를 공급하여 도포하는 전극재료 도포부; 및 상기 전극재료 도포부에 의해 상기 전극 외면에 도포된 전극재료를 가압 성형하여 상기 전극의 소모부분을 재생시키는 가압성형부를 포함하는 전극 재생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극재료 도포부는 상기 전극의 소모부분 외면으로 전극재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로 전극재료를 공급하는 전극재료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재생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재료 도포부는 상기 분사노즐을 장착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회전부재의 복수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된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성형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호 합체에 의해 상기 전극의 소모부분을 성형하는 성형공간을 이루는 제1 및 제2성형틀과, 상기 제1 및 제2성형틀을 진퇴시켜 가압 또는 가압해제를 구현하는 제1가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장치는 상기 제1성형틀과 상기 제2성형틀 외면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패드와, 상기 각 가압패드를 각각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성형부는 상기 제1 및 제2성형틀을 상기 전극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전극의 단부를 성형시키는 제2가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재생장치는 상기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아크를 일으켜 피가열물을 용융시키는 전극의 소모부분 외면으로 전극재료를 공급하여 도포하는 도포공정; 및 상기 전극의 외면에 도포된 전극재료의 외면을 성형틀로 가압 성형하여 상기 전극의 소모부분을 재생시키는 재생공정을 포함하는 전극 재생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포공정은 분사노즐을 이용해 상기 전극의 소모부분 외면으로 전극재료를 분사하여 도포할 수 있다.
상기 도포공정은 전극재료의 고른 도포를 위해 상기 분사노즐을 상기 전극 주위를 따라 이동시키는 가운데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기로의 가열로 내부로 스크랩을 장입하기 위해 상기 가열로 상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가열로 내부로 진입하는 전극을 상기 가열로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공정; 및 상기 가열로 내부로 스크랩을 장입하는 동안 전술한 전극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의 소모부분을 재생하는 재생공정을 포함하는 전기로의 운용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기로의 가열로 내부로 진입하는 전극을 상기 가열로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공정; 및 상기 분리공정 후 전술한 전극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의 소모부분을 재생하는 재생공정을 포함하는 전기로의 운용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재생장치는 전극의 소모부분에 전극재료를 도포하여 가압성형시키는 방식으로 전극을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극의 교체나 연장이 없이도 전극을 소모 전 상태로 쉽게 연장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재생장치를 이용하면, 전기로의 가열로에 스크랩을 장입하는 동안 전극의 소모부분의 재생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로의 에너지손실을 줄일 수 있고, 생산차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재생장치가 적용된 전기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재생장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재생장치의 단면도로, 전극의 소모부분에 전극재료를 도포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재생장치의 단면도로, 가압성형부의 제1가압장치가 전극에 도포된 전극재료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재생장치의 단면도로, 가압성형부의 제2가압장치가 전극에 도포된 전극재료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재생장치가 적용된 전기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로는 스크랩(S)이 장입되어 용융되는 가열로(10)와, 가열로(10)의 상부를 덮는 커버(11)와, 커버(11)를 관통하여 가열로(10) 내부로 진입하도록 설치되며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는 복수의 전극(13)을 구비한다. 전기로는 통상 3상(R, S, T) 전류를 공급하므로 환봉형태로 마련된 3개의 전극(13)을 사용하며, 각 전극(13)은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승강하는 전극암(14)에 각각 지지됨으로써 전극암(14)의 동작에 의해 각각 승강할 수 있다.
전기로는 도 1의 예처럼 작업 중 가열로(10) 내부에 추가로 스크랩(S)을 공급하기 위해 가열로(10)를 덮는 커버(11)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는 복수의 전극(13)도 커버(11)와 함께 가열로(10)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커버(11)와 전극(13)은 가열로(10) 측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크랩(S)을 담은 투입설비(15)가 가열로(10) 상부로 접근하여 가열로(10) 내부로 스트랩(S)을 투하할 수 있다.
전기로의 전극(13)은 가열로(10) 내부로 진입한 후, 피가열물인 스크랩(S)과 접하여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스크랩(S)과 그 하단부 사이에서 아크(arc)를 일으켜 스크랩(S)을 용융시킨다.
전극(13)은 사용할수록 스크랩(S)과 접하여 아크를 일으키는 하단부가 소모되면서 길이가 짧아진다. 통상의 경우 가열로(10)에 스크랩(S)을 1회 장입하고 용해작업을 수행할 때마다 대략 18 ~ 22mm씩 소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 예의 전극 재생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13)이 가열로(10)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되는 위치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가열로(10)에 스크랩(S)을 장입하는 동안 전극(13)의 소모부분(하단부)을 재생시켜 본래의 모습처럼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처럼 전극을 교체하거나 연장하지 않고서도 전극암(14)에 장착된 전극(13)을 연속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전극 재생장치(100)는 프레임(110), 프레임(110)의 상부에 마련된 전극재료 도포부(120), 프레임(110) 하측에 마련되어 프레임(110) 내측으로 진입하는 전극(13)의 소모부분을 가압 성형방식으로 재생하는 가압성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프레임(110)의 형상 및 프레임(110)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들을 나타내기 위해 프레임(110)을 절단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일체화된 형태일 수 있다. 프레임(110)은 도면에 상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유압실린더와 같은 승강장치(11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필요 시 높이조절을 위해 승강할 수 있다.
전극재료 도포부(12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121), 회전부재(121)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130), 회전부재(121) 내측으로 진입하는 전극(13)의 소모부분(하단부) 외면으로 전극재료를 분사하여 도포시키는 분사노즐(122), 분사노즐(122)로 전극재료를 공급하는 전극재료 공급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재료는 기존 전극(13)의 재료와 마찬가지로 고착제(binder)가 혼합된 인조 흑연분말일 수 있고, 전극재료 공급부(126)는 이러한 전극재료를 고압으로 압송하여 분사노즐(122)로 공급하는 펌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12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부로 전극(13)이 진입할 수 있도록 링형태로 마련되고, 하부가 베어링(125)을 매개로 프레임(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분사노즐(122)은 다양한 방향에서 전극(13)으로 전극재료를 분사할 수 있도록 여러 개가 회전부재(121)의 복수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그 일 예로써 회전부재(121)의 상부 양측에 대칭을 이루도록 노즐지지체(123)를 장착하고, 각 노즐지지체(123)에 복수의 분사노즐(122)을 설치한 예를 보여준다. 복수의 분사노즐(122)은 전극재료 공급관(124)에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분사노즐(122)에서 전극재료가 동시에 분사될 수 있다.
회전장치(130)는 회전부재(121)의 외면에 마련된 링기어(131)와, 링기어(131)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132)와, 프레임(110)의 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피니언기어(13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3)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장치(130)는 링기어(131)와 치합된 피니언기어(132)가 구동모터(133)의 동작에 의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회전부재(12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21)에 설치된 복수의 분사노즐(122)은 전극(13)의 둘레를 따라 이동(선회)하면서 전극(13)의 외면에 전극재료를 고르게 분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두 개의 회전장치(130)가 회전부재(121) 양측에 각각 설치된 경우를 제시하였지만, 하나의 회전장치(130)만으로도 회전부재(121)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 전극재료 도포부(120)는 회전부재(121)를 채용하여 분사노즐(122)이 전극(13)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가운데 전극재료를 분사하는 경우를 제시하고 있으나, 전극재료 도포부(12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재료 도포부(120)는 고정된 상태에서 전극(13) 둘레에 전극재료를 분사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사노즐(122)을 전극(13)의 주위에 고르게 배치할 수 있다.
전극재료 도포부(120)는 전극재료를 분사하는 방식 외에도 전극(13)의 소모부분 외면으로 직접 전극재료를 공급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13) 외면에 근접하는 공급노즐이 전극(13) 외면을 따라 이동하며 전극재료를 직접 바르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압성형부(140)는 전극재료 도포부(120)에 의해 전극(13) 소모부분 외면에 도포된 전극재료를 가압 성형하여 전극(13)의 소모부분을 원래의 전극처럼 재생시킨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가압성형부(140)는 프레임(1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호 합체에 의해 전극(13) 소모부분을 성형하는 성형공간(143)을 형성하는 제1성형틀(141) 및 제2성형틀(142)과, 제1성형틀(141)과 제2성형틀(142)을 진퇴시켜 가압 또는 가압해제를 구현하는 제1가압장치(150)를 구비한다.
제1성형틀(141)과 제2성형틀(142)은 전극(13)의 하단부가 그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성형공간(143)을 형성하며, 도 3의 예처럼 제1가압장치(150)의 동작에 의해 상호 멀어지도록 벌어짐으로써 그 내측으로 전극(13)이 진입할 수 있다.
제1가압장치(150)는 제1성형틀(141)과 제2성형틀(142)을 각각 동작시키기 위해 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압장치(150)는 제1성형틀(141) 또는 제2성형틀(142)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패드(151)와, 가압패드(151)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도록 프레임(110)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52)를 포함한다.
가압패드(15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성형틀(141,142)의 상하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복수의 장공(151a)을 구비하고, 이들 장공(151a)에 결합볼트(151b)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1 또는 제2성형틀(141,142)에 장착될 수 있다.
가압성형부(140)는 제1성형틀(141)과 제2성형틀(142)을 전극(13)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전극(13)의 단부에 도포된 전극재료를 압착 성형시키는 제2가압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압장치(16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성형틀(141)과 제2성형틀(142)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61)와, 지지부재(161)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전극(13) 단부를 가압하는 유압실린더(16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전극 재생장치(100)를 이용하여 전극(13)의 소모부분을 재생하는 방법과, 이를 채용한 전기로의 운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로에 스크랩(S)을 장입할 때는 가열로(10)의 상부를 덮는 커버(11)를 분리하고, 커버(11)와 함께 전극(13)도 가열로(10)로부터 분리시킨다. 분리한 커버(11)와 전극들(13)은 도 1의 예처럼 가열로(10)의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가열로(10)에는 스크랩(S)을 장입한다.
가열로(10)에 스크랩(S)을 장입하는 동안, 측방으로 이동된 전극(13)은 전극 재생장치(100)를 이용하여 소모된 하단부를 재생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 재생작업은 반드시 스크랩(S)을 장입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필요 시 수행할 수 있다.
전극 재생장치(100)를 이용하여 전극(13)을 재생할 때는 전극(13)의 소모부분(하단부) 외면으로 전극재료를 공급하여 도포하는 도포공정과, 전극(13)의 외면에 도포된 전극재료의 외면을 가압 성형하여 전극(13)의 소모부분을 재생시키는 재생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극재료를 도포할 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전극(13) 중 어느 하나가 하강하여 전극재료 도포부(120)의 회전부재(121) 내측으로 진입하거나, 전극 재생장치(100)의 프레임(110)이 상승하여 재생할 전극(13)의 하단부가 회전부재(121) 내측으로 진입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전극재료 도포부(120)는 회전부재(121)가 회전하는 가운데 복수의 분사노즐(122)이 전극(13)의 소모부분 외면으로 전극재료를 분사함으로써 전극(13)의 소모부분 외면에 전극재료가 고르게 도포되도록 한다. 즉 분사노즐(122)이 전극(13) 주위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극재료를 분사하기 때문에 전극재료의 고른 도포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는 전극(13) 또는 프레임(110)이 소정구간 승강함으로써 전극재료가 도포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전극(13) 외면으로 분사되는 전극재료는 고착제가 포함된 상태로 분사되므로 전극(13) 외면에 부착된다.
도포공정을 마친 후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13)이 하강하거나 프레임(110)이 상승하는 방식으로 전극재료가 도포된 전극(13)의 하단부가 가압성형부(140)의 제1성형틀(141)과 제2성형틀(142) 내측으로 진입되도록 한다. 이후 제1가압장치(150)가 동작하여 제1 및 제2성형틀(141,142)를 가압함으로써 전극(13)의 소모부분 외측에 도포된 전극재료가 사용 전 전극(13)의 형태로 성형된다. 또 제1가압장치(150)와 더불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가압장치(160)가 동작하여 전극(13)의 하단부에 도포된 전극재료를 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전극(13) 하단부도 성형한다.
제1가압장치(150)와 제2가압장치(160)가 동작하여, 도포된 전극재료를 가압하면, 전극재료가 압착되면서 전극(13)의 하단부가 소모되기 전 상태로 재생된다. 재생되는 전극(13)의 길이는 도포공정에서 전극재료의 도포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정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전극(13)을 재생한 후에는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전극들(13)도 재생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전극 재생장치(100)를 이용할 경우에는 복수의 전극(13)을 동시에 재생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전극 재생장치(100)를 이용하면, 전극(13)의 소모부분에 전극재료를 도포하여 가압 성형시키는 방식으로 전극(13)을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극(13)의 교체나 연장이 없이도 전극(13)을 소모 전 상태로 연장시킬 수 있다. 또 이러한 작업은 가열로(10)에 스크랩(S)을 장입하는 동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로의 에너지손실을 줄이고, 생산차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전극암(14)에 장착된 전극(13)의 소모부분을 재생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의 전극 재생장치(100)는 전극암(14)으로부터 분리되어 보관 중인 전극의 소모부분을 재생하는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10: 가열로, 11: 커버,
13: 전극, 14: 전극암,
100: 전극 재생장치, 110: 프레임,
120: 전극재료 도포부, 121: 회전부재,
122: 분사노즐, 126: 전극재료 공급부,
130: 회전장치, 131: 링기어,
132: 피니언기어, 133: 구동모터,
140: 가압성형부, 141: 제1성형틀,
142: 제2성형틀, 150: 제1가압장치,
160: 제2가압장치.

Claims (14)

  1. 아크를 일으켜 피가열물을 용융시키는 전극의 소모부분 외면으로 전극재료를 공급하여 도포하는 전극재료 도포부; 및
    상기 전극재료 도포부에 의해 상기 전극의 소모부분 외면에 도포된 전극재료를 가압 성형하여 상기 전극의 소모부분을 재생시키는 가압성형부를 포함하는 전극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재료 도포부는 상기 전극의 소모부분 외면으로 전극재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로 전극재료를 공급하는 전극재료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극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재료 도포부는 상기 분사노즐을 장착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극 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회전부재의 복수개소에 설치되는 전극 재생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된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전극 재생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성형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호 합체에 의해 상기 전극의 소모부분을 성형하는 성형공간을 이루는 제1 및 제2성형틀과, 상기 제1 및 제2성형틀을 진퇴시켜 가압 또는 가압해제를 구현하는 제1가압장치를 포함하는 전극 재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장치는 상기 제1성형틀과 상기 제2성형틀 외면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패드와, 상기 각 가압패드를 각각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전극 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성형부는 상기 제1 및 제2성형틀을 상기 전극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전극의 단부를 성형시키는 제2가압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극 재생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극 재생장치.
  10. 아크를 일으켜 피가열물을 용융시키는 전극의 소모부분 외면으로 전극재료를 공급하여 도포하는 도포공정; 및
    상기 전극의 소모부분 외면에 도포된 전극재료의 외면을 성형틀로 가압 성형하여 상기 전극의 소모부분을 재생시키는 재생공정을 포함하는 전극 재생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공정은 분사노즐을 이용해 상기 전극의 소모부분 외면으로 전극재료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전극 재생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공정은 전극재료의 고른 도포를 위해 상기 분사노즐을 상기 전극 주위를 따라 이동시키는 가운데 수행하는 전극 재생방법.
  13. 전기로의 가열로 내부로 스크랩을 장입하기 위해 상기 가열로 상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가열로 내부로 진입하는 전극을 상기 가열로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공정; 및
    상기 가열로 내부로 스크랩을 장입하는 동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의 소모부분을 재생하는 재생공정을 포함하는 전기로의 운용방법.
  14. 전기로의 가열로 내부로 진입하는 전극을 상기 가열로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공정; 및
    상기 분리공정 후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의 소모부분을 재생하는 재생공정을 포함하는 전기로의 운용방법.
KR1020140172713A 2014-12-04 2014-12-04 전극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전기로의 운용방법 KR101626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713A KR101626068B1 (ko) 2014-12-04 2014-12-04 전극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전기로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713A KR101626068B1 (ko) 2014-12-04 2014-12-04 전극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전기로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068B1 true KR101626068B1 (ko) 2016-06-01

Family

ID=5613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713A KR101626068B1 (ko) 2014-12-04 2014-12-04 전극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전기로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0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2364A (ko) * 1996-12-27 2000-10-25 부에트너 로버트 에이 절연전극을 가지는 전기로 및 용융금속을 제조하는 방법
JP2006167733A (ja) * 2004-12-13 2006-06-29 Hoshi Seisakusho:Kk ガスシールド消耗電極式アーク溶接装置の電極チップ再生方法及び装置
KR20060076670A (ko)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포스코 실시간 교환이 가능한 전극봉 분리 및 장착 장치
JP2007273206A (ja) * 2006-03-31 2007-10-18 Japan Siper Quarts Corp アーク溶融用高純度炭素電極とその用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2364A (ko) * 1996-12-27 2000-10-25 부에트너 로버트 에이 절연전극을 가지는 전기로 및 용융금속을 제조하는 방법
JP2006167733A (ja) * 2004-12-13 2006-06-29 Hoshi Seisakusho:Kk ガスシールド消耗電極式アーク溶接装置の電極チップ再生方法及び装置
KR20060076670A (ko)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포스코 실시간 교환이 가능한 전극봉 분리 및 장착 장치
JP2007273206A (ja) * 2006-03-31 2007-10-18 Japan Siper Quarts Corp アーク溶融用高純度炭素電極とその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30114A (ja) 長耐摩耗側部堰
KR101626068B1 (ko) 전극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전기로의 운용방법
CN108463298B (zh) 用于铸造的装置
CN204621007U (zh) 一种自动注蜡机
CN103522391A (zh) 一种双工位立式真空模压成型机
CN103826777A (zh) 蜡模射出成型机用夹具装置
KR102047888B1 (ko) 상부금형이 없는 수평형 사형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형 제조방법
JP6802438B1 (ja) ジュエリー製作用の自動ワックスツリー製作装置
KR100558361B1 (ko) 다이캐스팅 성형장치
CN201161335Y (zh) 预紧旋转式电极焊接台
JP2004237285A (ja) 鋳型造型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鋳枠係脱装置
KR101696614B1 (ko) 상부금형이 없는 수평형 사형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형 제조방법
CN107900543B (zh) 一种防震锤的制造方法
JP2004066260A (ja) 金属成形用金型及びその成形方法
CN216065417U (zh) 一种多连体蜡模浇口棒与坩埚的辅助熔接工装
CN116748495B (zh) 一种金属铸造方法
JP3645811B2 (ja) ロータリテーブル式通電加圧焼結装置
KR101237916B1 (ko) 로타리 타입의 성형장치
KR100320494B1 (ko) 반용융 금속 성형법을 이용한 금형 제작 장치 및 방법
CN221112247U (zh) 一种坭兴陶压坯装置
KR20120070760A (ko) 자동 단조시스템
CN216182113U (zh) 一种方便浇注的压环板制备用成型模具
JP2000225493A (ja) プレス装置
CN208496012U (zh) 马达端子熔接装置
JP2010069776A (ja) 燃料電池の構成部品のガスケット成形ラインにおけるノズルタッ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