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963B1 - 골반 기저 단련 장치 - Google Patents

골반 기저 단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963B1
KR101625963B1 KR1020157013155A KR20157013155A KR101625963B1 KR 101625963 B1 KR101625963 B1 KR 101625963B1 KR 1020157013155 A KR1020157013155 A KR 1020157013155A KR 20157013155 A KR20157013155 A KR 20157013155A KR 101625963 B1 KR101625963 B1 KR 101625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body
pressure
force
outer cover
space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1036A (ko
Inventor
버나드 브린커스
스테코벤 마르코 셜먼스
Original Assignee
엠시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시스 아게 filed Critical 엠시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061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vaginal muscles or other sphincter-type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having torsion or bending or flexion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Visualisation of specific exercise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3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 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착석 시 2개의 좌골 사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간의 신체상에 외부적으로 단련을 위해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을 단련하기 위한 단련 장치로서, 시트부(21) 및 근육 힘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반 기저 단련 장치{PELVIC FLOOR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골반 기저 단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반 기저 단련 장치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pelvic floor muscle)을 단련하는데 사용된다. 잘 단련된 골반 기저근은 예컨대, 남성과 여성의 배변 자제(continence)를 보장하는데 중요하다.
예컨대, 골반 기저근을 단련하기 위한 단련 장치는 EP 1 747 048 A1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단련 장치는 매우 유용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거기에 작용하는 힘이 그다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WO 2004/045411은 다른 골반 기저 단련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의자에 통합되는 이러한 단련 장치는 작동하기 매우 어렵고, 압력 측정에 있어서 부정확하고, 더욱이 일반적으로 비뇨기과 치료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간의 골반 기저근을 단련하기 위한 더 유리한 단련 장치를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포함하는 단련 장치로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 2 내지 14는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히 다음과 같은 인간의 골반 기저근을 단련하기 위한 단련 장치로 달성되는데, 상기 단련 장치는 착석 시 2개의 좌골 사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간의 신체상에 외부적으로 단련을 위해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시트부 및 근육 힘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 및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바디는 고정된 상부 단부, 고정된 하부 단부, 및 스페이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단부와 상기 하부 단부는 상기 스페이서 요소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유지되고, 상기 스페이서 요소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중공 바디는 가요성 외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덮개는 상기 스페이서 요소가 내부에 배치되는 폐쇄된 내부 공간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단부를 상기 하부 단부에 연결하고, 상기 중공 바디의 내부 공간은 압력 매개체로서 작용하는 젤 물질, 탄성 다성분 물질, 또는 액체 물질을 수용하고, 상기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는, 상기 외부 덮개로부터 상기 압력 매개체를 통해 상기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로 압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간의 골반 기저근을 단련하기 위한 단련 장치는 시트부 및 근육 힘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유리한 일실시예에서, 시트부는 리세스를 가지고, 압력 센서가 이 리세스에 배치될 수 있고, 리세스와 압력 센서는 압력 센서의 중공 바디가 시트부의 시트면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서로에 대해 맞춰지게 설계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압력 센서가 예컨대 압력 센서를 청소하기 위하여 시트부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압력 센서에 대해 서로 다른 깊이의 리세스를 가진 수개의 시트부를 가지는 것도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시트부에 따라 시트면 위로 돌출되는 압력 센서의 높이가 변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공 바디는 막대 형상이고, 중공의 실린더부를 가진다. 그러나, 중공 바디는, 시트부에 대면하는 측에서 시트부의 리세스와 매칭되도록 설계되고, 반대측에서 인간의 신체에 맞춰진 형상, 예컨대 시트에 위치한 인간의 신체 부위에 해부학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가진 외부 윤곽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련 장치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에 가해진 힘이 신뢰성 있고 재생성가능한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단련 장치는 쉽게 청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단련 장치는 시트부 및/또는 압력 센서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상의 인간 신체에 쉽게 적응될 수 있다.
가능한 일용도에서, 압력 센서는 단련하는 사람의 피부에 직접 안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단련 장치의 구체적인 장점은 단련하는 사람이 시트부에 착석한 옷을 완전히 입은 사람을 이용하여 완전히 옷을 입었을 때 단련 장치로 단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단련하는 사람과 압력 센서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고, 이것은 본 단련 장치의 사용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하 예시적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이하의 도면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압력 센서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단면선 A-A를 따라 자른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스페이서 요소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3의 단면선 B-B를 따라 자른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압력 측정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5의 압력 측정 장치를 단면선 C-C를 따라 자른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는 스페이서 요소를 가진 하우징의 추가 예시적 실시예의 개략적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b는 도 7a는 개략적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추가 압력 측정 장치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막대 형상의 압력 센서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압력 센서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단련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단련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도 11의 단면선 D-D를 따라 자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도 11의 압력 센서에 수직하게 자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트래킹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도 1은 압력 센서(1)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압력 센서를 단면선 A-A를 따라 자른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압력 센서(1)는 종방향(L)으로 연장되는 중공 바디(hollow body; 3)를 포함하고, 중공 바디(3)는 고정된 상부 단부(3c), 고정된 하부 단부(3d), 및 스페이서 요소(spacer element; 3e)를 포함하고, 상부 단부(3c)와 하부 단부(3d)는 스페이서 요소(3e)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유지되고, 스페이서 요소(3e)는 종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공 바디(3)는 가요성 외부 덮개(outer sheath; 3a)를 포함하고, 외부 덮개는 상부 단부(3c)를 하부 단부(3d)에 연결하여, 폐쇄된 내부 공간(3b), 특히 액밀(fluid-tight)되도록 폐쇄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스페이서 요소(3e)가 또한 배치되어 있다. 외부 덮개(3a)는 인간의 몸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부 단부(3c)와 하부 단부(3d)는 정밀한 측정을 위해 특히 중요한데, 그 이유는 상부 단부(3c)와 하부 단부(3d)가 고정되거나 견고하여, 내부 공간(3b)이 종방향(L)으로 증대 또는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본 장치(1)는 내부 공간(3b) 내에서 종방향(L)으로 연장되는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를 더 포함한다. 중공 바디(3)의 내부 공간(3b)은, 외부 덮개(3a)로부터 압력 매개체를 통해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로 압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압력 매개체로서 작용하는 젤 물질(4a), 탄성 다성분 물질(4a), 또는 액체 물질(4a)을 포함하거나 이러한 물질로 채워진다. 폐쇄된 내부 공간(3b)는, 압력 매개체, 즉 내부 공간(3b)에 위치한 젤 물질(4a), 탄성 다성분 물질(4a), 또는 액체 물질(4a)은 본 장치(1)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도록, 외부와 차단된 내부 공간(3b)으로 이해된다. 적어도 액체가 압력 매개체로서 사용되는 경우, 내부 공간(3b)은 액밀식으로 폐쇄된다. 도 2에서, 하부 단부(3d)는, 압력 측정 장치(7)가 나사결합되는 내부 나사산으로 설계된 애퍼처(3p)를 가진다. 압력 측정 장치(7)는 애퍼처(3p)에 연결되거나/연결되고, 압력 매개체가 애퍼처(3p)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중공 바디(3)는 폐쇄된 내부 공간(3b)을 둘러싸고, 상부 단부(3c) 및/또는 하부 단부(3d)에 있는 모든 통로,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전기 케이블을 위한 통로 또는 압력 측정 장치(7)를 고정하기 위한 통로가, 압력 매개체가 빠져나갈 수 없는 폐쇄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밀봉된다.
도 3에서 측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서 단면선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 자세히 도시된 스페이서 요소(3e)는 벽 개구(3f), 예컨대 원형 벽 개구(3f)를 가진 반튜브(half tube)로서 설계되고, 정상부와 바닥부에 체결부(3o)를 포함하고, 이 체결부(3o)는 2개의 단부(3c, 3d)를 서로로부터 정해진 거리로 유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단부(3c)와 하우 단부(3d)에 각각 견고하게 연결된다. 벽 개구(3f) 또는 벽 애퍼처는, 가요성 외부 덮개(3a)에서 시작하여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로의 압력 전달 연결이 내부 공간(3b)에 위치한 물질, 예컨대 젤 물질(4a)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측정 및 힘 측정 장치(7)는 하부 단부(3d)를 통해 스페이서 요소(3e)의 내부 공간 내로 아래로부터 삽입되고,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는 하부 단부(3d)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는 도 5 및 6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도 5는 측면도를, 도 6은 단면선 C-C를 따라 자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는 크기 방향(M)으로 연장되고 내부 공간(7b)을 가진 가요성 중공 바디(7a)를 포함하고, 가요성 중공 바디(7a)는 우측에서 상부 단부(7c)를 가지고, 상부 단부는 상부 마개편(7d)에 고정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액밀식으로 연결된다. 상부 마개편(7d)의 개구는 스크류(7e)로 폐쇄되어 있다. 가요성 중공 바디(7a)는 좌측에서 하부 단부(7f)를 가지고, 하부 단부는 하부 마개편(7g)에 고정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액밀식으로 연결된다. 힘 변환기(2)는 하부 마개편(7g)에 배치되는데, 하부 마개편(7g)은 유체 전달 채널(7i)을 가지고, 이 유체 전달 채널은 내부 공간(7b)을 힘 변환기(2)로 연결한다. 내부 공간(2b)과 유체 전달 채널(7i)은 제2 액체 물질(7h)로 채워져 있다. 힘 변환기(2)는 크기 방향(M)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표면을 가지고, 그 표면 상에 제2 액체 물질(7h)이 지지되어, 제2 액체 물질(7h)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힘 변환기(2)가 크기 방향(M)에 수직하게 내부 공간(2b)에 연결된다. 힘 변환기(2)는 케이블(8)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전자 유닛(5)에 연결된다. 가요성 튜브형 중공 바디(7a)의 벽은 그 부분(7k)을 따라 외부로 작용하는 압력 힘을 내부 공간(7b)에 위치한 액체(7h)로 전달하고, 힘 변환기(2)는 액체(7h)에 의해 힘 변환기(2)로 가해진 압력 또는 힘을 측정한다. 중공 바디(7a)는 이 부분(7k)을 따라서만 외부로부터 내부로 힘을 전달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중공 바디(7a)가 상부 단부(7c)를 따라 상부 마개편(7d)을 지탱하고, 하부 단부(7f)를 따라 하부 마개편에 맞대어 지탱하기 때문이다. 스크류(7e)는 특히 내부 공간(7b)을 액체(7h)로 완전히 채운 다음, 내부 공간(7b)을 다시 액밀식으로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가요성 중공 바디(7a)의 이 부분(7k)은, 특히 제2 액체 물질(7h)의 결과로서, 10과 20 사이 범위의 쇼어 경도를 가진다. 예컨대, 기름이 액체 물질(7h)로서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 측정 장치(7)는 내부 공간(3b)의 전체 길이(L)를 따라 연장되고, 또한 하부 단부(3d)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부분(7k)은 오직 내부 공간(3b) 내에서만 연장되어 있다. 추가적 일실시예에서, 힘 측정 장치(7)는, 내부 공간(3b)의 전체 길이(L)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신 예컨대 오직 그 길이(L)의 절반만큼만, 또는 예컨대 그 길이(L)의 3/4만큼만 연장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한 구성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 측정 장치(7)는 중심을 따라 또는 축(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힘 측정 장치(7)는 바람직하게는 종축에 대해 중앙에 위치되어, 가요성 외부 덮개(3a)에 가해진 힘이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로 균일하게 전달된다. 그러나,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는 내부 공간(7b)에서 편심되어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요성 외부 덮개(3a)는 중공 실린더의 형태로 설계된다. 가요성 외부 덮개(3a)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가황 고무, 또는 비가황 고무로 만들어진다. 압력 매개체로서 작용하는 젤 물질(4a), 탄성 다성분 물질(4a), 또는 액체 물질(4a)은 외부 덮개(3a)로부터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로 압력을 전달한다. 압력 매개체는 내부 공간(3b) 내로 도입될 때, 유리하게는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도입되어, 휴식 상태(rest state), 즉 외부 덮개(3a)에 어떠한 힘도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 있는 압력 매개체는 미리 정해진 압력을 가진다. 압력 매개체의 미리 정해진 충전 압력은 가요성 외부 덮개(3a)의 경도 또는 유연성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가요성 외부 덮개(3a)의 물질 및/또는 압력 매개체의 미리 정해진 압력은, 가요성 외부 덮개(3a)가 20과 90 사이 범위의 쇼어 경도를 가지도록 선택된다. 다음 사항은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첫째, 가요성 외부 덮개(3a)는 가해진 신체 부분 상에서 편안함을 느끼고, 이것은 가요성 외부 덮개(3a) 또는 압력 매개체가 어떠한 탄성 특성을 가진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된다. 신체 부분에 의해 편안하게 느껴지는 이러한 탄성 특성은, 본 장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탱되는 신체 부분에 압력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딱딱한 외부 덮개(3a)는 가해진 신체 부분에 압력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그 중 가능한 결과는 골반 기저근의 단련이 불쾌한 느낌 및/또는 고통으로 인하여, 전혀 수행되지 않거나 또는 불완전하게만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압력 통증을 회피하는 것은 따라서 골반 기저근의 단련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둘째, 가요성 외부 덮개(3a)의 직경이 상당히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약간만 변형되면 특히 유리한데, 그 이유는 외부 덮개(3a) 상에 놓여지는 신체 부분을 위해, 가요성 외부 덮개(3a)의 직경이 더 작을수록 외부 덮개(3a)에 큰 힘을 가하는 것이 더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외부 덮개(3a)의 전술한 특성이 압력 매개체의 충전 압력을 통해 조절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2는 또한 장착 표면(6b)을 가진 하우징(6)을 구비한 압력 센서(1)를 도시하고 있고, 하부 고정부(3d)는 하우징(6)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하부 고정부(3d)는 중공 바디(3)가 장착 표면(6b)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하우징(6)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케이블(8)에 의해 힘 변환기(2)에 연결된 전자 유닛(5)을 수용한다. 압력 센서(1)는 예컨대 장착 표면(6b)을 통해 벽에 장착될 수 있다. 압력 센서(1) 아래로 밀려 들어갈 수 있는 시트부(21)는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9는 압력 센서(1)의 추가적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 실시예는 완전히 막대 형상이라는 점에서 도 2의 실시예와 다르고, 그 외에는 도 2 내지 6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도 9는 하우징의 전체 길이를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7a는 보어(6c)와 리세스(6d)를 가진 하우징(6)을 자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고, 도 7b는 하우징(6)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스페이서 요소(3e)는, 연장 방향(L)으로 연장되고 상부 단부(3c)를 하부 단부(3d)로 연결하는 4개의 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페이서 요소(3e)는 이러한 간격을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가능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8은 스페이서 요소(3e)와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복수의 힘 변환기(2)가 스페이서 요소(3e) 상에서 종방향(L)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힘 변환기(2)는 신호 전달을 위해 전자 유닛에 연결되어, 압력 매개체에 의해 내부 공간(3b)에 가해진 압력이 측정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압력 센서(1)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하우징(6)의 전체 길이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압력 센서(1)가 배치된 시트부(21)를 포함하는 단련 장치(20)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단련 장치(2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시트부(21)는 2개의 시트면(21a)을 가지고, 그 사이에 압력 센서(1)를 수용하기 위하여 함몰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은 도 11에 따른 단면선 D-D를 따라 자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함몰부(21c)는 시트부(21)에 깊게 형성되고, 중공 바디(3)와 특히 탄성 외부 덮개(3a)가 시트부(21)의 시트면(21a)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압력 센서(1)의 기하학적 디자인에 대해서 조정된다.
단련 장치(20)는, 시트부(21)와 압력 센서(1)가 함께 결합되고 다시 분리될수 있는 별개의 유닛으로서 설계되는 방식으로 특히 유리하게 설계된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는 시트부(21)에 헐겁게 위치한다.
시트부(21)의 함몰부(21c)는, 중공 바디(3)가 거기에 위치할 수 있고, 시트부(21)의 시트면(21a) 위로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유리하게 설계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함몰부(21c)는 중공 바디(3)의 외부 윤곽에 들어맞게 설계되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바디(3)가 함몰부(21c)에 옆으로 누워서, 특히 탄성 외부 덮개(3a)가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함몰부(21c) 상에서 지지된다. 유리하게는, 함몰부(21c)가 탄성 외부 덮개(3a)의 외부 윤곽에 대응되도록 연장되어, 함몰부(21a)에 놓인 외부 덮개(3a)의 전체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부분이 바람직하게는 함몰부(21a) 상에 옆으로 누워서 안착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함몰부(21a)에 위치한 외부 덮개(3a)의 그 부분의 위치가 정밀하게 정해져서, 외부 덮개(3a)의 나머지 부분 상에 작용하는 압력 힘이 특히 정밀하게 재생성될 수 있거나/있고, 최소의 교란으로 측정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1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21c)는 바람직하게는 압력 센서(1)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상 끼워맞춤으로 설계되고, 이것은 압력 센서(1)가 시트부(21)에서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것은 압력 센서(1)가 시트부(21)와 별개의 부품으로서 설계되고, 압력 센서(1) 또는 시트부(21)가 교환될 수 있으면,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는 시트부(21)에 고정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단련 장치(20)를 압력 센서(1)에 수직하게 자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압력 센서(1)는 함몰부(21c) 내로 위치되어, 압력 센서(1)가 시트면(21a) 위로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가능한 일실시예에서, 복수의 시트부(21)가 서로 다른 깊이의 함몰부(21c)를 가지도록 제공되어, 압력 센서(1)가 위치하는 시트부(21) 중 하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압력 센서(1)가 시트면(21a) 위로 어느 정도 돌출되는지, 또는 예컨대 경사진 시트면(21a)의 경우에 압력 센서(1)가 시트면(21a)에 대하여 어느 정도 연장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외부 덮개(3a)는 해부학적으로 조정된 외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부학적 조정은 별개의 애드온(add-on) 부품(19)으로서 설계될 수 있고, 예컨대 가요성 실리콘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중공 바디(3)의 외부 덮개는 도 14에서 원통 형상을 가진다. 애드온 부품(19)은 중공 바디(3) 상에 위치하고 교환될 수 있다. 가능한 일실시예에서, 애드온 부품(19)은 중공 바디(3)에 고정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5는 계산기(24)와 스크린(22)을 포함하는 트래킹 장치와 연결된 골반 기저 단련 장치(20)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압력 센서(1)는 연결 케이블(24b)에 의해 컴퓨터(24)에 연결되어 있다. 컴퓨터(24)는 연결 케이블(24b)에 의해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다. 시트부(21)에 앉아 단련하는 사람은 스크린(22)을 바라보고, 거기에서 시간에 대한 함수로서 설정값 프로파일(32) 및 현재 측정된 실제값(23a)을 본다.
골반 기저 단련 장치는, 골반 기저근의 근긴장도에 대하여 설정값(23)이 미리 정해지고, 실제값(23a)이 압력 센서(1)로 측정되며, 실제값(23a) 및/또는 실제값(23a)과 설정값(23) 사이의 차이가 출력되도록 유리하게 작동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대한 함수로서 설정값 프로파일(23)이 유리하게 미리 정해지고, 디스플레이 장치(22) 상에 표시된다. 실제값(23a)은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되고, 디스플레이 장치(22) 상에서 시간에 대한 함수로서 표시되어, 실제값과 설정값 사이의 편차가 시각적으로 제시된다. 골반 기저근의 적절한 수축에 의해 단련하는 사람은 설정값을 따라갈 수 있고, 이로 인해 구체적이고 제어가능한 방식으로 골반 기저근을 단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트래킹 장치로, 여러 가지의 단련 프로그램 또는 서로 다른 설정값 프로파일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단련에서 만들어지는 진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Claims (19)

  1. 착석 시 2개의 좌골(ischial bone) 사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간의 신체상에 외부적으로 단련을 위해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pelvic floor muscle)을 단련하기 위한 단련 장치로서,
    시트부(21) 및 근육 힘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1)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1)는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 및 종방향(L)으로 연장되는 중공 바디(3)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바디(3)는 가요성 외부 덮개(3a)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바디(3)의 내부 공간(3b)은 압력 매개체로서 작용하는 젤 물질, 탄성 다성분 물질, 또는 액체 물질(4a)을 수용하고,
    상기 시트부(21)와 상기 압력 센서(1)는, 상기 중공 바디(3)가 상기 시트부(21)의 시트면(21a)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서로 대응되게 설계되고,
    상기 중공 바디(3)는 고정된 상부 단부(3c), 고정된 하부 단부(3d), 및 스페이서 요소(3e)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단부(3c)와 상기 하부 단부(3d)는 상기 스페이서 요소(3e)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유지되고, 상기 스페이서 요소(3e)는 상기 종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중공 바디(3)의 가요성 외부 덮개(3a)는, 상기 스페이서 요소(3e)가 내부에 배치되는 폐쇄된 내부 공간(3b)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단부(3c)를 상기 하부 단부(3d)에 연결하고,
    상기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는, 상기 외부 덮개(3a)로부터 상기 압력 매개체를 통해 상기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로 압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3b)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종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시트부(21)와 상기 압력 센서(1)는 서로 결합되고 다시 분리될 수 있는 별개의 유닛으로서 설계되고,
    상기 시트부(21)는 함몰부(21c)를 가지고, 상기 중공 바디(3)는 상기 시트부(21)의 시트면(21a) 위로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함몰부(21c) 내로 배치될 수 있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 단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21c)는, 상기 중공 바디(3)가 상기 함몰부(21c)에서 옆으로 눕도록 상기 중공 바디(3)의 외부 윤곽에 맞춰서 설계되어 있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 단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면(21a)은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 단련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힘 측정 장치(7)는 적어도 상기 내부 공간(3b)의 전체 길이(L)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 단련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는 상기 중공 바디(3)의 중심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 단련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요소(3e)는 벽 개구(3f)를 가진 중공 튜브로서 설계되고, 상기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는 상기 스페이서 요소(3e) 내부에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 단련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요소(3e)는 상기 중공 바디(3)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 단련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외부 덮개(3a)는 중공 실린더의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 단련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외부 덮개(3a)는 해부학적으로 조정된 외부 형상을 가지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 단련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애드온(add-on) 부품(19)이 제공되고, 상기 애드온 부품은 상기 중공 바디(3)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중공 바디에 부착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 단련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외부 덮개(3a)의 경도 또는 가요성은 상기 압력 매개체의 압력을 통해 결정될 수 있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 단련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외부 덮개(3a)는 20 내지 90의 쇼어 경도를 가지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 단련 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는 힘 변환기(2) 및 가요성 중공 바디(7a)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중공 바디(7a)는 길이 방향(M)으로 직선으로 연장되고, 내부 공간(7b)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간(7b)은 폐쇄되어 제2 액체 물질(7h)을 수용하고, 상기 힘 변환기(2)는 상기 제2 액체 물질(7h)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길이 방향(M)에 수직하게 상기 내부 공간(7b)에 연결되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 단련 장치.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 또는 힘 측정 장치(7)는 복수의 힘 변환기(2)를 포함하고, 상기 힘 변환기는 상기 스페이서 요소(3e) 상에서 상기 종방향(L)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인간의 골반 기저근 단련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온 부품(19)은 교환가능한, 인간의 골반 기저근 단련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57013155A 2012-11-14 2012-11-14 골반 기저 단련 장치 KR101625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2/072560 WO2014075712A1 (de) 2012-11-14 2012-11-14 Beckenbodentrainings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036A KR20150061036A (ko) 2015-06-03
KR101625963B1 true KR101625963B1 (ko) 2016-05-31

Family

ID=4732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155A KR101625963B1 (ko) 2012-11-14 2012-11-14 골반 기저 단련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878207B2 (ko)
EP (1) EP2919867B1 (ko)
JP (1) JP6047663B2 (ko)
KR (1) KR101625963B1 (ko)
CN (1) CN104780984B (ko)
BR (1) BR112015010857B1 (ko)
DK (1) DK2919867T3 (ko)
ES (1) ES2632991T3 (ko)
WO (1) WO20140757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6040B2 (en) 2012-11-30 2017-10-03 LELO Inc. Exercising kegel muscles using preprogrammed exercise programs
JP2017029180A (ja) * 2013-12-16 2017-02-09 永賀 吉武 骨盤底筋群押圧具
US9993688B2 (en) * 2014-01-13 2018-06-12 Skye Health, In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guiding, and/or tracking pelvic exercise
US11324999B2 (en) * 2014-01-13 2022-05-10 Skye Health,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ensing, guiding, and/or tracking pelvic exercise
EP2995292A3 (en) 2014-09-13 2016-07-06 Standard Innovation SARL Sexual wellness device
WO2017008374A1 (zh) * 2015-07-16 2017-01-19 微昔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盆底肌锻炼系统及其检测装置
US10925487B2 (en) 2015-10-05 2021-02-23 Therapy Holdings, Inc. Pressure-sensing devices
WO2017070787A1 (en) * 2015-10-30 2017-05-04 Standard Innovation Corporation Pressure sensing device
CN106580627B (zh) * 2016-12-22 2023-03-17 朱兰 盆底肌训练坐垫及盆底肌训练系统
USD913384S1 (en) * 2017-10-23 2021-03-16 Greenhouse-Team Ag Pelvic exercise apparatus
JP6338759B1 (ja) * 2017-11-21 2018-06-06 ニッポン高度紙工業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及び電気化学素子
CN107952220A (zh) * 2017-11-22 2018-04-24 徐州三源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盆底肌训练康复装置
WO2019118561A1 (en) 2017-12-13 2019-06-20 Pelvital Usa,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issue regeneration
CN108969288B (zh) * 2018-06-13 2020-09-11 邵旭 一种产后骨盆底肌康复训练器材
EP4070861A1 (de) 2021-04-07 2022-10-12 Alonea AG Trainingsgerät
KR20230112753A (ko) * 2022-01-19 2023-07-28 주식회사 퓨런헬스케어 골반저근 강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780B2 (ja) 1991-12-26 2001-01-22 協和電子工業株式会社 スロットマシンのメダル受付装置
JP2012523940A (ja) 2009-08-10 2012-10-11 ソー キム,ハク 骨盤矯正用座板
JP2014000252A (ja) 2012-06-19 2014-01-09 Nagayoshi Yoshitake 骨盤底筋群押圧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472480A (en) 1980-01-18 1981-07-23 Kaiser, H. Muscle monitor
AT402366B (de) * 1992-03-09 1997-04-25 Michl Ilse Dr Ein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kontraktionsfähigkeit der beckenbodenmuskulatur
EP1231859B1 (en) * 1999-11-24 2007-10-03 Innovative Development & Marketing AS Device for training pelvic floor muscles
KR100416937B1 (ko) 2002-11-18 2004-01-31 강병모 회음부 근력 증강장치 및 방법
CN1238076C (zh) 2003-05-07 2006-01-25 李荣德 女性阴道肌肉锻炼器
NL1025526C2 (nl) 2004-02-19 2005-08-22 Msys Ag Trainingsinrichting voor bekkenbodem.
DE202004019194U1 (de) 2004-12-06 2006-04-13 Storz Medical Ag Pelvictrainer
KR100710908B1 (ko) * 2005-07-19 2007-04-27 김경일 요실금 검사치료 및 골반저근과 질근육의 바이오피드백 훈련용 장치
JP2008000297A (ja) 2006-06-21 2008-01-10 Arufakkusu:Kk 骨盤底筋群強化トレーニング用具
US20130130871A1 (en) * 2010-07-28 2013-05-23 Sunbeam Products, Inc. Pelvic Muscle Tr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780B2 (ja) 1991-12-26 2001-01-22 協和電子工業株式会社 スロットマシンのメダル受付装置
JP2012523940A (ja) 2009-08-10 2012-10-11 ソー キム,ハク 骨盤矯正用座板
JP2014000252A (ja) 2012-06-19 2014-01-09 Nagayoshi Yoshitake 骨盤底筋群押圧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32991T3 (es) 2017-09-18
EP2919867B1 (de) 2017-03-08
BR112015010857B1 (pt) 2021-05-25
CN104780984A (zh) 2015-07-15
WO2014075712A1 (de) 2014-05-22
US20150273270A1 (en) 2015-10-01
US9878207B2 (en) 2018-01-30
EP2919867A1 (de) 2015-09-23
CN104780984B (zh) 2016-12-14
BR112015010857A2 (pt) 2017-07-11
JP6047663B2 (ja) 2016-12-21
KR20150061036A (ko) 2015-06-03
JP2016505288A (ja) 2016-02-25
DK2919867T3 (en) 201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963B1 (ko) 골반 기저 단련 장치
US7473214B2 (en) Pelvic floor training device
AU780359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ining pelvic floor muscles
EP1231859B1 (en) Device for training pelvic floor muscles
US89399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hand force of the hand pressure
CN108024746B (zh) 压力传感器
KR101613046B1 (ko) 신체 균형 및 일자목 교정 운동용 베개
CN104869902A (zh) 使用磁刺激器的生物反馈装置及其控制方法
JP4768567B2 (ja) マッサージ手技評価システム
KR101863005B1 (ko) 의료용 다기능 쿠션
WO2019204899A1 (en) Sensitivity metering system for use in patient diagnosis
KR101705787B1 (ko)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WO2020186058A1 (en) Toilet with soft tissue hardness tester
US5131408A (en) Post-operative knee rehabilitative dynamometer
KR101217791B1 (ko) 두 점 분별용 진동촉각 자극장치
CN110974663A (zh) 一种按摩棒
KR100944118B1 (ko) 지압기
WO20201700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atient exercising in aquatic conditions
IT202000003550U1 (it) Dispositivo per il trattamento dell'area cervicale
US20140057234A1 (en) Device for training the application of compression material
EP3613477A1 (en) Device to activate the cervical musculature
KR20170018366A (ko)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WO2017179731A1 (ja) 口腔機能のトレーニング用器具
KR20220147184A (ko) 경추베개
ITUB20153906A1 (it) Attrezzo ginn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