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184A - 경추베개 - Google Patents

경추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184A
KR20220147184A KR1020210053792A KR20210053792A KR20220147184A KR 20220147184 A KR20220147184 A KR 20220147184A KR 1020210053792 A KR1020210053792 A KR 1020210053792A KR 20210053792 A KR20210053792 A KR 20210053792A KR 20220147184 A KR20220147184 A KR 20220147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igidity
cervical
unit
pulse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7327B1 (ko
Inventor
김기훈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32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4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magnetic liquids, e.g. ferrofluids
    • H01F1/447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magnetic liquids, e.g. ferrofluids characterised by magnetoviscosity, e.g. magnetorheological, magnetothixotropic, magnetodilatant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마다의 경추 상태 또는 수면 자세를 바탕으로 수면 중인 사용자의 경추를 안락하게 받쳐, 쾌적한 휴식과 깊은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경추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본체; 사용자의 경추가 위치하는 뒷목을 받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강성이 변화되는 강성변화부를 가지는 경추받침부; 상기 강성변화부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경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강성변화부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강성변화부의 강성을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경추베개{CERVICAL PILLOW}
본 발명은 경추베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경추 상태 및 수면 자세를 바탕으로, 수면 중인 사용자의 경추 및 후두부의 위치를 자동 조정하여, 쾌적하고 건강한 휴식 및 수면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경추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주 편안한 상태에서의 숙면은 인체의 건강에 매우 중대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수면에 사용되는 베개의 적절한 사용과 그 기능은 우리 몸의 신진대사를 조절하고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베개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근래에는 메모리 폼, 스펀지, 솜, 라텍스 소재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경추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베개는 동일한 형상 및 탄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일자목, 거북목 등 경추 상태를 달리하는 사용자마다 경추를 효과적으로 받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베개는 동일한 형상 및 탄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수면 중에 자세를 옆으로 돌려 눕는 등 사용자가 수면 자세를 변경하게 되면, 비정상적인 모양의 경추가 지속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깊은 수면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깨어났을 때 원래의 경추 위치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경추 주위의 신경이나 근육을 지극하여 뻐근함을 느끼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94556호 (2019.08.14. 공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마다의 경추 상태 또는 수면 자세를 바탕으로 수면 중인 사용자의 경추를 안락하게 받쳐, 쾌적한 휴식과 깊은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경추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는, 본체; 사용자의 경추가 위치하는 뒷목을 받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강성이 변화되는 강성변화부를 가지는 경추받침부; 상기 강성변화부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경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강성변화부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강성변화부의 강성을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에 있어서, 상기 강성변화부는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이때 복수개의 강성변화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강성이 독립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경추 정보 및 상기 자세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수면 자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강성변화부의 강성을 변화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에 있어서, 상기 자세감지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좌측 어깨부위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우측 어깨부위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에 있어서, 상기 경추받침부는, 상기 강성변화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뒷목이 밀착될 시 뒷목의 형상에 대응하여 압축 변형되면서 뒷목을 지지하는 유연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에 있어서, 상기 경추받침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강성변화부를 연결하며,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강성변화부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에 있어서, 상기 강성변화부는, 외피와, 상기 외피 내부에 수용되며 자기장에 의해 강성이 변화되는 자기유변탄성체와, 상기 자기유변탄성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에 있어서, 상기 경추받침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맥박수를 측정하는 맥박수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맥박수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맥박수가 미리 설정되는 기준맥박수 보다 높으면, 상기 강성변화부의 강성을 상대적으로 크게 변화시킬 수 있고, 상기 맥박수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맥박수가 미리 설정되는 기준맥박수 보다 낮으면, 상기 강성변화부의 강성을 상대적으로 작게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강성이 변화되는 강성변화부를 포함하는 경추받침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경추 정보 또는 수면 자세 정보에 따라, 경추받침부의 강성을 적절히 조절해줌으로써, 사용자의 휴식이나 수면의 질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휴식이나 수면 중인 사용자의 경추 교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이나 태블릿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면 중 강성변화부를 포함한 경추받침부의 작동 이력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휴식이나 수면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의 경추받침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의 강성변화부의 강성 변화에 따른 유연지지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수면 자세에 따른 경추받침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의 경추받침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는 본체(110), 경추받침부(120), 전원공급부(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바닥면이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있으며, 상면은 중앙부가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0)는 비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본체(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경추받침부(120), 전원공급부(160) 및 제어부(180)가 지지 및 장착될 수 있다.
본체(110)는 커버(115)를 더 가질 수 있다.
커버(115)는 경추받침부(120), 전원공급부(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 본체(110)의 외측면을 감싼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15)로는 통기성을 갖는 면 등의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음이온, 원적외선 방사물질, 방향제 등의 기능성 분말이나 점액질이 도포 처리될 수도 있다.
경추받침부(120)는 본체(110)의 오목 형성된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경추가 위치하는 뒷목을 받칠 수 있다.
경추받침부(120)는 강성변화부(130)를 가질 수 있다.
강성변화부(130)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강성이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강성변화부(130)는 제1외피(131)와, 제1외피(131) 내부에 수용되는 자기유변탄성체(133:Magnetorheological elastomer; MRE)와, 자기유변탄성체(133)의 내부에 구비되는 도체(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외피(131)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외피(131)는 자기유변탄성체(133)의 변화에 따라 형상이 변화될 수 있으며, 내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자기유변탄성체(133)는 천연 고무, 실리콘 고무와 같은 폴리머 재료 안에 예컨대 철 입자와 같은 자기력에 의해 극성을 가질 수 있는 입자들을 첨가한 지능형 재료로서, 외부 자기장의 영향으로 본래 가지고 있던 강성이 변화되는 특징을 가진다.
즉, 전도성 소재인 도체(135)에 전압을 인가하면, 자기유변탄성체(133)에 자기장이 가해지고, 그러면 자기유변탄성체(133) 내부의 자기 입자들은 방향성을 가지게 되면서 강성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반대로, 도체(135)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거되면, 자기유변탄성체(133)에 자기장이 제거되고, 그러면 자기유변탄성체(133) 내부의 자기 입자들이 자유 거동을 하여 강성이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강성변화부(130)를 통하여 일자목, 거북목 등 경추 상태가 다른 사용자마다 요구하는 조건으로 경추받침부(120)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경추의 처짐 없이 안락하고 쾌적하게 경추를 지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강성변화부(130)의 강성을 조절함으로써 교정이 요구되는 경추에 대해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강성변화부(13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110)의 길이방향인 좌우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본체(110)의 좌우방향을 따라 4개의 강성변화부(130)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와 달리 강성변화부(130)는 5개 이상의 수량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뒷목 일부분에 밀착되는 각 강성변화부(130)의 상면은 경추의 곡선 형상과 대응하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의 뒷목을 전체적으로 감싸게 되는 복수개의 강성변화부(130)의 상면은 사용자의 뒷목을 자연스레 감쌀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강성변화부(130)는 사용자의 경추가 위치하는 뒷목을 자연스레 감싸면서 밀착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강성변화부(130)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강성이 독립적으로 변화되면서, 경추 상태가 다른 사용자마다 요구하는 조건으로 강성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고, 이로써 휴식이나 수면 중인 사용자의 경추를 처짐 없이 보다 정확한 위치에서 지탱할 수 있고, 원하는 경추 부위를 정확히 가압하여 효과적인 교정이 가능하다.
한편, 경추받침부(120)는 유연지지부(140)를 더 가질 수 있다.
유연지지부(140)는 하면이 강성변화부(13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상면이 사용자의 뒷목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지지부(140)는 제2외피(141)와, 제2외피(141)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외피(141)는 제1외피(131)와 마찬가지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143)의 변화에 따라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유체(143)는 제2외피(141)의 내부에 일정한 용량으로 채워질 수 있으며, 기체 혹은 액체일 수 있다. 물론 유체(143)를 대신해서 전술한 강성변화부(130)와 마찬가지로, 제2외피(141)의 내부에는 자기유변탄성체(133) 및 도체(135)가 수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연지지부(140)는 사용자의 뒷목에 밀착될 시 뒷목의 형상에 대응하여 압축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뒷목을 보다 안락하게 지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의 강성변화부의 강성 변화에 따른 유연지지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3 (a)에서와 같이, 강성변화부(130)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 유연지지부(140)의 일면에 사용자의 뒷목(1)이 밀착되어 유연지지부(140)가 변형되면, 강성변화부(130)가 함께 변형될 수 있으며, 강성변화부(130)는 유연지지부(14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강성변화부(130)는 강성이 상대적으로 작아 큰 변형량을 가지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강성변화부(130) 및 뒷목(1) 사이의 유연지지부(140)는 내부 압력의 큰 변화 없이 사용자의 뒷목(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뒷목(1)을 상대적으로 부드럽게 지지할 수 있다.
반면, 도 3 (b)에서와 같이, 강성변화부(130)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클 경우, 유연지지부(140)의 일면에 사용자의 뒷목(1)이 밀착되어 유연지지부(140)가 변형되면, 강성변화부(130)가 함께 변형될 수 있으며, 강성변화부(130)는 유연지지부(14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강성변화부(130)는 강성이 상대적으로 커서 작은 변형량을 가지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강성변화부(130) 및 뒷목(1) 사이의 유연지지부(140)는 수축되면서 내부 압력이 상승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뒷목(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뒷목(1)을 상대적으로 딱딱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경추받침부(120)는 높이조절부(150)를 더 가질 수 있다.
높이조절부(150)는 본체(110) 및 강성변화부(130)를 연결할 수 있으며, 본체(110)로부터 강성변화부(130)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높이조절부(150)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부로는 서보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는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높이조절부(150)를 제어하여, 복수개의 강성변화부(130)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150)는 본체(110)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출력단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부재와, 강성변화부(130)의 하부에 결합되는 랙기어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높이조절부(150)는 이러한 랙피니언 이송 구조체뿐만 아니라, 볼스크류 등 공지의 다양한 직선 이송 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강성변화부(130)의 도체(135)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강성변화부(130)의 도체(135)에 전압을 독립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본체(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배터리일 수 있다. 물론 전원공급부는 외부 전원부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경추 정보를 바탕으로 전원공급부(160)로부터 각각의 강성변화부(130)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각각의 강성변화부(130)의 강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경추 정보를 바탕으로 높이조절부(150)를 제어하여 각각의 경추받침부(120)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수면 자세 정보를 바탕으로도 경추받침부(120)의 강성 또는 높이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외부 단말기는 사용자의 휴대폰, 태블릿 및 컴퓨터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휴대폰에 설치된 어플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으로 제어부(180)와 연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폰 어플을 통하여 자신의 경추 정보를 제어부(180)에 입력 및 설정할 수 있고, 제어부(180)에 미리 설정된 경추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수면 중 경추받침부(120)의 작동 패턴을 출력 및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경추받침부(120)의 작동 이력 및 수면 이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수면 자세에 따른 경추받침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추가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는 자세감지부(170L,170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감지부(170L,170R)는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체를 향하는 본체(110)의 일면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세감지부(170L,170R)로는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자세감지부(170L,170R)는 제1센서(170L) 및 제2센서(170R)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170L)는 본체(110)에서 사용자의 좌측 어깨부위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 어깨부위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2센서(170R)는 본체(110)에서 사용자의 우측 어깨부위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우측 어깨부위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 (a)에서와 같이, 제1센서(170L) 및 제2센서(170R)에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어깨부위가 모두 감지되면, 사용자는 천장을 보면서 바르게 누운 상태에서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4 (b)에서와 같이, 제1센서(170L) 및 제2센서(170R)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서만 사용자의 어깨부위가 감지되면, 사용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아서 누운 상태에서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제1센서(170L) 및 제2센서(170R)에 의해 감지된 수면 자세 정보는 제어부(180)로 전송될 수 있고, 제어부(180)는 제1센서(170L) 및 제2센서(170R)에 의해 감지되는 수면 자세 정보를 바탕으로 경추받침부(120)의 강성 및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 (a)에서와 같이, 수면 중인 사용자가 좌측으로 경추가 틀어져 경추 좌측부위의 교정이 요구될 경우, 제어부(180)는 좌측에 배치된 강성변화부(130A)의 강성을 크게 변화시켜, 경추 좌측부위를 상대적으로 강한 반력으로 지탱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뒷목(1)이 좌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경추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경추 주위의 신경이나 근육이 자극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는 편안하고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4 (a)에서와 같이, 수면 중인 사용자가 좌측으로 경추가 틀어져 경추 좌측부위의 교정이 요구될 경우, 제어부(180)는 높이조절부(150A)를 조절하여 좌측 강성변화부(130A)의 높이를 높일 수도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의 뒷목(1)이 좌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경추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도 4 (a)에서와 같이, 수면 중인 사용자가 좌측으로 경추가 틀어져 경추 좌측부위의 교정이 요구될 경우, 제어부(180)는 좌측 경추받침부의 강성 및 높이를 함께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경추받침부(120)의 강성 또는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도 4 (b)에서와 같이, 만일 수면 중인 사용자가 수면 자세를 바꿔 좌측으로 돌아 눕게 되면, 경추 좌측부위가 베개에 눌리게 되면서 경추 좌측부위에 오히려 과도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수면 중인 사용자의 경추 주위의 신경이나 근육이 자극될 수 있다.
이처럼 도 4 (b)에서와 같이, 제1센서(170L) 및 제2센서(170R)를 통하여 경추 좌측부위의 교정이 요구되는 사용자가 수면 자세를 바꿔 좌측으로 돌아 눕게 되면, 제어부(180)는 좌측에 배치된 강성변화부(130A)의 강성을 다시 작게 변화시켜, 경추 좌측부위를 상대적으로 약한 반력으로 지탱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경추 주위의 신경이나 근육이 자극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4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수면 자세를 바꿔 좌측으로 돌아 눕게 되면, 제어부(180)는 높이조절부(150)를 조절하여 좌측 강성변화부(130A)의 높이를 낮출 수도 있고, 제어부(180)는 좌측 경추받침부의 강성 및 높이를 함께 낮출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80)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경추 정보뿐만 아니라, 수면 중 변화되는 수면 자세를 바탕으로, 경추 부위를 지탱하는 경추받침부(120)의 반력 및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수면 중 경추 주위의 신경이나 근육이 자극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수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는 맥박수측정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맥박수측정부(135)는 수면 중인 사용자의 맥박수를 측정하는 것으로, 강성변화부(130) 또는 유연지지부(14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맥박수측정부(135)로부터 측정된 맥박수는 제어부(18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를 맥박수측정부(135)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맥박수를 바탕으로 강성변화부(130)의 강성 또는 경추받침부(120)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기본적으로 맥박수는 자율신경에 의해 조절되어 수면 상태에 따라 변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깊은 수면 상태에선 맥박수가 상대적으로 낮고 변동이 작은 반면, 얕은 수면 상태에선 맥박수가 높고 변동이 커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맥박수측정부(135)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맥박수가 미리 설정되는 기준맥박수보다 높으면, 제어부(180)는 강성변화부(130)의 강성을 상대적으로 크게 변화시킬 수 있고, 맥박수측정부(135)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맥박수가 미리 설정되는 기준맥박수 보다 낮으면, 제어부는 강성변화부(130)의 강성을 상대적으로 작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기준맥박수는 1분에 70 내지 90회 일 수 있다.
이처럼 현재 수면 중인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여, 강성변화부(130)의 강성을 적절히 조절해줌으로써, 사용자의 수면을 유도하거나 깊은 수면을 지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경추베개는 스피커(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90)는 사용자의 휴대폰, 태블릿 등의 단말기와 블루투스 연결되어 연동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190)를 통하여 보다 안락한 휴식 및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추베개는 사용자의 경추 정보, 수면 자세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에 따라, 경추를 지탱하는 경추받침부(120)의 강성 또는 높이를 적절히 조절해줌으로써, 사용자의 휴식이나 수면의 질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휴식이나 수면 중인 사용자의 경추 교정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추베개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무선 통신을 통하여, 경추받침부(120)의 작동 이력과, 사용자의 경추 정보, 수면 자세 정보 및 수면 상태 정보에 대한 이력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휴식이나 수면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10: 본체
120: 경추받침부
130: 강성변화부
140: 유연지지부
150: 높이조절부
160: 전원공급부
180: 제어부

Claims (8)

  1. 본체;
    사용자의 경추가 위치하는 뒷목을 받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강성이 변화되는 강성변화부를 가지는 경추받침부;
    상기 강성변화부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경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강성변화부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강성변화부의 강성을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변화부는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며,
    복수개의 강성변화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강성이 독립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베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경추 정보 및 상기 자세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수면 자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강성변화부의 강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베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감지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좌측 어깨부위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우측 어깨부위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베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받침부는,
    상기 강성변화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뒷목이 밀착될 시 뒷목의 형상에 대응하여 압축 변형되면서 뒷목을 지지하는 유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베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받침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강성변화부를 연결하며,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강성변화부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베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변화부는,
    외피와,
    상기 외피 내부에 수용되며 자기장에 의해 강성이 변화되는 자기유변탄성체와,
    상기 자기유변탄성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베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받침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맥박수를 측정하는 맥박수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맥박수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맥박수가 미리 설정되는 기준맥박수 보다 높으면, 상기 강성변화부의 강성을 상대적으로 크게 변화시키고,
    상기 맥박수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맥박수가 미리 설정되는 기준맥박수 보다 낮으면, 상기 강성변화부의 강성을 상대적으로 작게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베개.
KR1020210053792A 2021-04-26 2021-04-26 경추베개 KR102497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92A KR102497327B1 (ko) 2021-04-26 2021-04-26 경추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92A KR102497327B1 (ko) 2021-04-26 2021-04-26 경추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184A true KR20220147184A (ko) 2022-11-03
KR102497327B1 KR102497327B1 (ko) 2023-02-07

Family

ID=8404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792A KR102497327B1 (ko) 2021-04-26 2021-04-26 경추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3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127U (ja) * 2000-02-18 2000-08-29 豊商鋼材株式会社 形状・高さ調整式安眠枕およびその調整装置
KR100718886B1 (ko) * 2006-05-10 2007-05-16 강직원 높낮이 조절 맞춤형 베개
KR100791366B1 (ko) * 2007-01-17 2008-01-07 한국과학기술원 전자 베개
KR20160136536A (ko) * 2015-05-19 2016-11-30 (주)인더텍 IoT 기반 숙면 유도 베개
KR20190094556A (ko) 2018-02-05 2019-08-14 김기훈 어플을 사용한 블루투스 연동 스마트 경추 베개
KR20210037398A (ko) * 2019-09-27 2021-04-0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127B2 (ja) * 1995-06-30 2000-07-3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のカバー機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127U (ja) * 2000-02-18 2000-08-29 豊商鋼材株式会社 形状・高さ調整式安眠枕およびその調整装置
KR100718886B1 (ko) * 2006-05-10 2007-05-16 강직원 높낮이 조절 맞춤형 베개
KR100791366B1 (ko) * 2007-01-17 2008-01-07 한국과학기술원 전자 베개
KR20160136536A (ko) * 2015-05-19 2016-11-30 (주)인더텍 IoT 기반 숙면 유도 베개
KR20190094556A (ko) 2018-02-05 2019-08-14 김기훈 어플을 사용한 블루투스 연동 스마트 경추 베개
KR20210037398A (ko) * 2019-09-27 2021-04-0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327B1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0232B2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to a patient during electrical stimulation
US20220226635A1 (en) "smart" electrode assembly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US5425378A (en) Advanced posture-monitoring device
US8217797B2 (en) Posture training device
US20130283530A1 (en) Bedding System with Support Surface Control
US20210196558A1 (en) Pressure control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an airway
EP3689189A1 (en) Bed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bed surface based on sleeping position and method thereof
CN104837383A (zh) 具有自动可调节特性的床
KR101613046B1 (ko) 신체 균형 및 일자목 교정 운동용 베개
KR20180079957A (ko) 수면케어 매트리스
KR101945608B1 (ko) 베개
CN113288066A (zh) 引导调整睡姿的止鼾床垫及方法
KR102294398B1 (ko) 베개 및 그의 조작 방법
KR102497327B1 (ko) 경추베개
KR102510789B1 (ko) 발 마사지 모듈의 통풍을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KR101705730B1 (ko) 웰빙 베개 시스템
KR20170010503A (ko) 웨어러블방석을 구비한 자세 교정시스템
KR101667671B1 (ko) 신체 장착형 전기 자극 교정장치
CN105476361A (zh) 一种自适应智能调整保健睡枕
KR100791366B1 (ko) 전자 베개
KR102157177B1 (ko)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듀얼 코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따라 머리와 목의 밸런스를 맞추는 경추 지지 기능성 베개를 포함하는 스마트 수면 보조 시스템
CN219396862U (zh) 一种智能枕头及床具
CN212326037U (zh) 定制填充枕
CN213786620U (zh) 一种新型健康仿生枕头
CN108497616A (zh) 足部保护装置及多功能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