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929B1 - 계획 급수량에 따른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계획 급수량에 따른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5929B1 KR101625929B1 KR1020150117768A KR20150117768A KR101625929B1 KR 101625929 B1 KR101625929 B1 KR 101625929B1 KR 1020150117768 A KR1020150117768 A KR 1020150117768A KR 20150117768 A KR20150117768 A KR 20150117768A KR 101625929 B1 KR101625929 B1 KR 1016259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upply pipe
- water supply
- storage tank
- valv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0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저수조 또는 배수지 등에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급수배관이 공급 계획량 보다 크게 설계되어 시공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현실적으로 발생되는 주변 지역과의 용수 공급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계획 급수량을 반영한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수조(10) 내에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제1급수배관(110)과; 상기 제1급수배관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제1급수배관(110)에서 분기되어 상기 저수조(10) 내에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제2급수배관(120)과; 상기 제2급수배관(120)이 분기되는 상기 제1급수배관(110)의 용수 흐름 방향의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저수조(10)의 저수위에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제1수위밸브(130)와; 상기 제2급수배관(120)에 마련되어 상기 저수조(10)의 고수위에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제2수위밸브(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저수조 또는 배수지 등에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급수배관이 공급 계획량 보다 크게 설계되어 시공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현실적으로 발생되는 주변 지역과의 용수 공급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계획 급수량을 반영한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또는 고층 건물 등)은 세대수가 많고 층고도 상당히 높기 때문에 상수도를 각 세대로 직접 연결하여 용수를 공급하기에는 수압과 수량이 충분하지 못하여 급수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의 급수 시스템은 저수조에 용수를 저장하여 각 세대로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동주택의 급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공동주택의 급수 시스템은 상수도 급수배관(11)을 통해 공급된 용수가 저장되는 지하 저수조(10)와, 지하 저수조(10)에 저장된 용수를 각 세대로 송출하게 되는 부스터펌프(20)를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는 지상 저수조가 공동주택의 옥상에 별도로 마련되어 지하 저수조의 용수를 지상 저수조에 저장한 후에 지상 저수조에서 각 세대로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공동주택의 급수 시스템은 계획 급수량에 따라서 공동주택의 지하 저수조에 용수를 저장하여 이를 지상 저수조 또는 각 세대로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한편 지하 저수조(10)에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급수배관(11)은 지자체의 급수조례에 따라서 80∼300㎜의 유입반경을 갖고 시공이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계획량의 20배 정도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상적으로는 지하 저수조의 용수 공급량은 1일 공급 계획량 범위에서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는 최대 용수 공급량(계획량의 20배)으로 지하 저수조(10)에 용수 공급이 이루어짐으로써 공동주택의 주변 지역의 용수 공급 불균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지하 저수조의 하루 공급 계획량이 480 ㎥/일인 경우에 지하 저수조에 설치되는 급수배관의 급수용량은 계획량의 20배(10,000 ㎥/일)로 설계되어 시공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이상적으로는 하루(24시간) 동안에 시간당 20㎥의 공급량으로 지하 저수조에 용수 공급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실제 공급량은 최대 공급량인 시간당 416㎥의 공급량으로 용수 공급이 이루어져 1∼2시간 동안에 지하 저수조의 용수 공급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공동주택의 지하 저수조의 용수 공급은 24시간 동안에 나뉘어서 적정 공급량으로 공급이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1∼2 시간 내에 최대 공급량으로 용수 공급이 이루어짐으로써 주변 지역에는 용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1431호(공개일자 : 2015.01.06)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공동주택의 저수조 또는 배수지 등에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급수배관이 공급 계획량 보다 크게 설계되어 시공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현실적으로 발생되는 주변 지역과의 용수 공급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계획 급수량에 따른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는, 저수조 내에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제1급수배관과; 상기 제1급수배관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제1급수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저수조 내에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제2급수배관과; 상기 제2급수배관이 분기되는 상기 제1급수배관의 용수 흐름 방향의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저수조의 저수위에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제1수위밸브와; 상기 제2급수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저수조의 고수위에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제2수위밸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급수배관의 단면적(A_2)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A_2 = A_1 / EWC
; 위 식에서 A_1은 제1급수배관의 단면적, EWC는 제1급수배관의 계획 급수량 비율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급수배관과 상기 제2급수배관은 상기 저수조의 고수위 높이보다 높게 배치되어 용수의 바깥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수위밸브는, 상기 제2급수배관 내에 경사를 갖고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어 배관의 유로를 개폐하게 되는 밸브플레이트와; 수위에 따라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플로터와; 상기 플로터와 연결되어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개폐 조작력을 전달하는 플로터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제2급수배관의 중심축 상에서 하측으로 편심되게 마련되며, 상기 밸브플레이트는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플로터로드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게 되는 조작플레이트를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서 돌출 형성된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에서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플레이트는, 상기 플랜지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복수 개의 암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급수배관은,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급수 유로의 횡방향으로 마련된 핀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급수배관은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량제어밸브는, 상기 제2급수배관의 유로 상에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급수배관의 유로를 차단하게 되는 차수판과; 상기 차수판을 상하 조작하게 마련된 레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는, 저수조에 공급 계획량 보다 크게 설계되어 시공된 제1급수배관에 계획 급수량을 반영하여 급수량을 24시간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관경 결정된 제2급수배관이 분기되어 마련됨으로써 주변 지역과의 용수 공급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수조에 공급되는 용수를 공급량을 일정하게 제한함으로써 관로 내의 유량 변동을 저감하여 배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또한 과도한 유속 변화를 줄임으로써 안정적인 수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동주택의 급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A 선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 6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위밸브의 요부 사시도 및 단면 구성도,
도 7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밸브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A 선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 6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위밸브의 요부 사시도 및 단면 구성도,
도 7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밸브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는, 저수조(10) 내에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제1급수배관(110)과; 제1급수배관(110)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제1급수배관(110)에서 분기되어 저수조(10) 내에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제2급수배관(120)과; 제1급수배관(110)에 마련되어 저수조(10)의 저수위에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제1수위밸브(130)와; 제2급수배관(120)에 마련되어 저수조(10)의 고수위에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제2수위밸브(140);를 포함한다.
제1급수배관(110)은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급수배관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저수조(10)에 계획량 보다 큰 용수 공급(대략 20배)이 이루어지는 급수배관이다.
제2급수배관(120)은 제1급수배관(110) 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고 제1급수배관(110)에서 분기되어 저수조(10) 내에 용수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급수배관(110)과 제2급수배관(120)은 서로 다른 높이에 마련되며, 제2급수배관(120)은 제1급수배관(110) 보다는 높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급수배관(120)은 저수조(10)의 계획 급수량에 따라서 그 사이즈(직경)가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급수배관(110)이 계획 급수량의 20배 정도에서 설계되어 시공이 이루어진 경우에 제2급수배관(120)은 제1급수배관(110)의 1/20의 급수 용량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급수배관(120)의 단면적(A_2)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A_2 = A_1 / EWC ; A_1은 제1급수배관의 단면적, EWC는 제1급수배관의 계획 급수량 비율.
한편 제2급수배관(120)은 기존의 제1급수배관(110)에서 배관의 분기시공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주지의 분기 배관용 소켓 또는 분기티를 이용하여 배관의 분기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급수배관(110)은 저수조(10)에 용수의 도입이 이루어지는 주급수배관(111)과 제2급수배관(120)의 분기가 이루어지는 분기급수배관(112)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때 분기급수배관(112)은 제2급수배관(120)이 분기되어 용수 흐름 방향의 후단에 해당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주급수배관(111)과 분기급수배관(112)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배관으로써 제2급수배관(120)의 분기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구분일 뿐이며, 이하 설명에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에 제1급수배관(110)은 분기급수배관(112)을 지칭한다.
제1수위밸브(130)는 분기급수배관(112)에 마련되어 저수조(10)의 저수위에서 개폐가 이루어진다.
제1수위밸브(130)는 용수의 수위에 따라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주지의 플로트 밸브(float valve)로서, 부력을 갖는 플로터(131)와 플로터(131)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밸브체(13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2수위밸브(140)는 제2급수배관(120)에 마련되며, 고수위에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는 저수위까지는 제1수위밸브(130)와 제2수위밸브(140) 모두가 개방되어 분기급수배관(112)과 제2급수배관(120)을 통해 저수조(10) 내에 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며, 저수위에서 고수위까지는 제1수위밸브(130)는 폐쇄된 상태에서 제2수위밸브(140) 만이 개방되어 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한편, 통상적으로 저수조(10) 내에 저수위까지는 용수가 저장된 상태가 유지되며, 용수 배출에 따라서 제2수위밸브(140)의 개폐에 의해 일 계획 급수량으로 설계되어 시공된 제2급수배관(120)을 통해 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선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는, 제1급수배관(210)과, 제1급수배관(210)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제1급수배관(210)에서 분기된 제2급수배관(220)을 포함하며, 이때 제1급수배관(210)과 제2급수배관(220)은 서로 같은 높이에 배치된다.
제1급수배관(210)과 제2급수배관(220)은 각각 제1수위밸브(230)와 제2수위밸브(240)가 마련되며, 각각의 제1,2수위밸브(230)(240)는 저수위와 고수위에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급수배관(210)과 제2급수배관(220)은 고수위 보다 높게 배치되며, 항시 용수의 수면 위에 노출된 상태이다.
제1수위밸브(230)는 부력을 갖는 제1플로터(231)와, 제1플로터(231)와 밸브체(233)를 연결하여 제1밸브체(233)의 개폐 조작력을 전달하는 제1플로터로드(232)를 포함한다.
제1플로터로드(232)는 강성을 갖는 와이어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제1플로터(231)의 높이에 따라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져 제1밸브체(233)의 개폐 조작력을 전달하게 되며, 제1플로터로드(232)의 길이에 의해 제1수위밸브(230)의 개폐 조작이 이루어지는 저수위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1플로터로드(232)는 상하 이동 방향을 안내하게 되는 가이드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상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수위밸브(240)는 제1수위밸브(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다만 제2플로터(241)와 제2밸브체(243)를 연결하는 제2플로터로드(242)의 길이는 제1플로터로드(232) 보다는 짧으며, 제2플로터로드(242)의 길이에 의해 고수위 높이가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급수배관(220)은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제어밸브(250)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2급수배관(220)은 40㎜, 50㎜, 65㎜ 등의 규격화된 배관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급수배관(220)의 계획 급수량이 결정되면, 결정된 계획 급수량과 근접한 규격 배관을 시공한 후에 정확한 계획 급수량은 유량제어밸브(250)를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량제어밸브(250)의 유량 조작은 초기 급수배관의 시공 시에 한번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으로써, 제1수위밸브와 제2수위밸브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는 제1수위밸브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수위밸브는 제1급수배관(210) 내에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좌상향으로 경사를 갖고 힌지축(2331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어 제1급수배관(210) 내부를 개폐하게 되는 밸브플레이트(233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밸브플레이트(2331)의 힌지축(2331a)은 1급수배관(210)의 중심축(C) 상에서 하측으로 편심되게 마련되며, 밸브플레이트(2331)는 힌지축(2331a)을 기준으로 상단부에는 개구부(2332)가 관통 형성되며, 개구부(2332)는 제1플로터로드(232)와 연결되어 개구부(2332)를 개폐하게 되는 조작플레이트(2333)가 구비된다.
밸브플레이트(2331)는 힌지축(2331a)이 하측으로 편심되게 마련됨으로써, 힌지축(2331a)을 기준으로 상단면이 하단면 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는다.
한편, 하측으로 편심된 밸브플레이트(2331)가 마련되는 제1급수배관(210)은 원통형의 배관일 수 있으며, 또는 사각형 배관일 수 있다.
도면부호 234는 제1급수배관(210) 내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핀이며, 밸브플레이트(2331)가 회전하여 개방 시에 밸브플레이트(2331)의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위밸브의 요부 사시도 및 단면 구성도로써, (a)에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밸브플레이트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b)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밸브플레이트(2331)는 개구부(2332)의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된 원통형 몸체(2332a)와, 원통형 몸체(2332a)에서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2332b)를 포함한다.
조작플레이트(2333)는 플랜지(2332b)와 대면하여 밸브플레이트(2331)의 개구부(2332)를 개폐하게 되며, 테두리에는 플랜지(2332b)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복수 개의 암(2333a)이 마련된다.
조작플레이트(2333)는 플랜지(23332b)와 대면하는 중앙에 브라켓(2333b)이 마련되어 제1플로터 로드(232)의 단부가 브라켓(2333b)에 힌지 조립된다.
따라서 조작플레이트(2333)는 암(2333a) 높이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하여 밸브플레이트(2331)의 개구부(2332)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수위밸브(233)는 제1플로터(231)의 높이에 따라서 제1플로터로드(232)가 상하 이동하게 되며, 이때 플로터로드(232) 단부에 고정된 조작플레이트(2333)가 상하 이동하여 개구부(2332)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한편 개구부(2332)가 조작플레이트(2333)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힌지축(2331a)을 기준으로 밸브플레이트(2331)의 상단면은 하단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짐으로써 수압에 의해 면적 차이에 의해 상단면에 더 큰 힘이 작용하여 제1급수배관(210)은 좌상향으로 경사를 갖고 구비되는 밸브플레이트(2331)에 의해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플레이트(2333)의 초기 개방 동작은 제1플로터(231)의 자중에 의해 강제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폐쇄 상태에서 일정 수압이 작용하는 조작플레이트(2333)를 개방 조작하기 위하여 제1플로터(231)는 수면에서 부유할 수 있는 부력과 함께 충분한 자중을 갖게 되며, 이때 제1플로터(231)의 무게는 조작플레이트(2333)에 형성되는 개구부(2332)의 면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7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밸브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저수위 상태에서의 제1수위밸브를 보여주고 있으며,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이때 개구부(2332)는 조작플레이트(2333)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써 제1급수배관(210)은 밸브플레이트(2331)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여 용수의 공급은 중단된 상태가 된다.
도 7의 (b)를 참고하면, 용수의 수위가 저수위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이와 함께 자중에 의해 제1플로터(231)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제1플로터로드(232)를 아래로 당기게 되어 개구부(2332)가 개방된다.
다음으로 도 7의 (c)를 참고하면, 개구부(2332)가 개방됨에 따라서 힌지축(2331a)을 기준으로 상단면과 하단면 사이의 수압이 작용하는 유효 단면적 차이가 없어짐에 따라서 밸브플레이트(2331)는 개방되어 용수의 토출이 이루어진다. 한편 개방 상태에서 밸브플레이트(2331)는 핀(234)에 지지되어 개방된 상태의 각도를 유지한다.
한편 저수조에 용수가 공급됨에 따라서 수위가 저수위 높이까지 상승하는 경우에는 제1플로터(231)의 상승에 의해 개구부(2332)는 조작플레이트(2333)에 의해 폐쇄가 이루어져 밸브플레이트(2331)는 제1급수배관(210)을 폐쇄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유량제어밸브(250)는 제2급수배관(220)의 유로 상에 마련되는 몸체부(251)와, 몸체부(251)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제2급수배관(220)의 유로를 차단하게 되는 차수판(252)과, 차수판(252)을 상하 조작하게 마련된 레버(253)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몸체부(251)는 제2급수배관(220)의 내경 보다 작게 관통 형성된 홀(251b)이 형성된 유량 제어판(251a)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저수조 110, 210 : 제1급수배관
120, 220 : 제2급수배관 130, 230 : 제1수위밸브
140, 240 : 제2수위밸브
231 : 제1플로터 232 : 제1플로터로드
233 : 제1밸브체 2331 : 밸브플레이트
2331a : 힌지축 2332 : 개구부
2333 : 조작플레이트 241 : 제2플로터
242 : 제2플로터로드 243 : 제2밸브체
250 : 유량제어밸브
120, 220 : 제2급수배관 130, 230 : 제1수위밸브
140, 240 : 제2수위밸브
231 : 제1플로터 232 : 제1플로터로드
233 : 제1밸브체 2331 : 밸브플레이트
2331a : 힌지축 2332 : 개구부
2333 : 조작플레이트 241 : 제2플로터
242 : 제2플로터로드 243 : 제2밸브체
250 : 유량제어밸브
Claims (8)
- 저수조 내에 용수를 공급하되, 상기 저수조의 고수위 높이보다 높게 배치되어 용수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제1급수배관과;
상기 제1급수배관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제1급수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저수조 내에 용수를 공급하되, 상기 저수조의 고수위 높이보다 높게 배치되어 용수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제2급수배관과;
상기 제2급수배관이 분기되는 상기 제1급수배관의 용수 흐름 방향의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저수조의 저수위에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제1수위밸브와;
상기 제2급수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저수조의 고수위에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제2수위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수위밸브는,
상기 제2급수배관 내에 경사를 갖고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어 배관의 유로를 개폐하게 되는 밸브플레이트와;
수위에 따라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플로터와;
상기 플로터와 연결되어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개폐 조작력을 전달하는 플로터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제2급수배관의 중심축 상에서 하측으로 편심되게 마련되며, 상기 밸브플레이트는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플로터로드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게 되는 조작플레이트가 마련되며,
상기 밸브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서 돌출 형성된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에서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플레이트는, 상기 플랜지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복수 개의 암을 포함하는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급수배관은,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급수 유로의 횡방향으로 마련된 핀을 더 포함하는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급수배관은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밸브는,
상기 제2급수배관의 유로 상에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급수배관의 유로를 차단하게 되는 차수판과;
상기 차수판을 상하 조작하게 마련된 레버;를 포함하는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7768A KR101625929B1 (ko) | 2015-08-21 | 2015-08-21 | 계획 급수량에 따른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7768A KR101625929B1 (ko) | 2015-08-21 | 2015-08-21 | 계획 급수량에 따른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5929B1 true KR101625929B1 (ko) | 2016-05-31 |
Family
ID=5609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7768A KR101625929B1 (ko) | 2015-08-21 | 2015-08-21 | 계획 급수량에 따른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592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68291A (zh) * | 2017-04-07 | 2017-07-21 | 湖南广源供水设备科技有限公司 | 二次供水小区住户入住率智能判断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5632Y1 (ko) | 1999-03-09 | 2001-03-15 | 송광영 | 하수맨홀용 개폐밸브 |
JP2004507694A (ja) | 2000-08-31 | 2004-03-11 | リー ハク ジャエ | 複数の吐出口を有するフロート弁付き自動水位調節装置 |
JP2005099894A (ja) * | 2003-09-22 | 2005-04-14 | Daiwa Tekkosho:Kk | 貯水槽の水位自動制御装置、貯水槽及び減圧弁の自己自動制御装置 |
KR101000865B1 (ko) * | 2010-09-10 | 2010-12-13 | (주)경록기업 | 누기 차단기능을 갖는 가압 에어탱크를 이용한 용수 공급장치 |
-
2015
- 2015-08-21 KR KR1020150117768A patent/KR1016259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5632Y1 (ko) | 1999-03-09 | 2001-03-15 | 송광영 | 하수맨홀용 개폐밸브 |
JP2004507694A (ja) | 2000-08-31 | 2004-03-11 | リー ハク ジャエ | 複数の吐出口を有するフロート弁付き自動水位調節装置 |
JP2005099894A (ja) * | 2003-09-22 | 2005-04-14 | Daiwa Tekkosho:Kk | 貯水槽の水位自動制御装置、貯水槽及び減圧弁の自己自動制御装置 |
KR101000865B1 (ko) * | 2010-09-10 | 2010-12-13 | (주)경록기업 | 누기 차단기능을 갖는 가압 에어탱크를 이용한 용수 공급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68291A (zh) * | 2017-04-07 | 2017-07-21 | 湖南广源供水设备科技有限公司 | 二次供水小区住户入住率智能判断方法 |
CN106968291B (zh) * | 2017-04-07 | 2020-04-17 | 湖南广源供水设备科技有限公司 | 防止二次供水水箱中水质二次污染的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40954B1 (en) | Balance float controlled valve assembly | |
JP6454700B2 (ja) | 灌漑網(network)弁 | |
KR101625929B1 (ko) | 계획 급수량에 따른 저수조의 용수 균등 공급장치 | |
US9260848B1 (en) | Hydraulic valve and toilet leak safety catch | |
RU2530527C1 (ru) | Регулятор уровня грунтовых вод | |
KR102368134B1 (ko) | 제수밸브 및 체크밸브 일체형 사수방지 소화전 시스템 | |
CN216276006U (zh) | 一种u型隔气装置以及排水设备 | |
KR102173444B1 (ko) |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 장치 | |
EP2029923B1 (en) | Float valve regulator | |
US6640828B2 (en) | Flush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US8776282B2 (en) | Dual flush toilet fill valve assembly | |
JP2000166402A (ja) | 傾斜地水田における用水管理システム | |
JP4308507B2 (ja) | 送水管の減圧を最適化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US20120227172A1 (en) | Water saver toilet control valves and methods | |
US20190346054A1 (en) | Ball check valve | |
JP2016054708A (ja) | 水位調整機構 | |
US20170248239A1 (en) | Non-invasive sprinkler | |
US9803775B2 (en) | Double action float valve | |
RU2742148C1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лива растений | |
CN212669339U (zh) | 人工湿地水位自动调节系统 | |
RU2475705C1 (ru) |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регулятор статического напора воды для закрыт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 |
RU2624663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уровня воды в закрытой дренажной сети | |
US7635431B1 (en) | Septic drain line flow control system | |
KR102470885B1 (ko) | 무동력 기계식 논물 자동 수위 조절 시스템 | |
JP3365597B2 (ja) | 開閉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