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702B1 -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702B1
KR101624702B1 KR1020140098833A KR20140098833A KR101624702B1 KR 101624702 B1 KR101624702 B1 KR 101624702B1 KR 1020140098833 A KR1020140098833 A KR 1020140098833A KR 20140098833 A KR20140098833 A KR 20140098833A KR 101624702 B1 KR101624702 B1 KR 101624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u
ser
asp
lys
as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891A (ko
Inventor
김학성
황다은
최정민
이중재
허우성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9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702B1/ko
Priority to US15/500,921 priority patent/US10287342B2/en
Priority to PCT/KR2015/008094 priority patent/WO2016018133A1/ko
Publication of KR20160015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3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Corynebacterium (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1T-cell receptor (TcR)-CD3 complex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62DNA sequences coding for fusion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8/00Antibody mimetics or scaffolds
    • C07K2318/20Antigen-binding scaffold molecules wherein the scaffold is not an immunoglobulin variable region or antibody mim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하여 그의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폴리펩타이드,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된 재조합 미생물, 상기 재조합 미생물을 이용한 상기 폴리펩타이드 생산방법 및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면역질환 또는 패혈증 치료용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보체 단백질 C5a 수용체보다도 높은 친화력으로 보체 단백질 C5a에 결합하여 그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보체 단백질 C5a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 및 그 용도{Novel polypeptide binding with human complement component 5a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하여 그의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폴리펩타이드,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된 재조합 미생물, 상기 재조합 미생물을 이용한 상기 폴리펩타이드 생산방법 및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면역질환 또는 패혈증 치료용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물질 중에서, 단백질은 생명 현상의 유지 및 기능을 수행하는 거대 분자로서 넓은 범위의 생물학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단백질-단백질 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모든 생명현상의 기초라고 할 수 있다. 만약 단백질 상호작용이 제대로 조절되어지지 않게되면 체내의 항상성은 망가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단백질 상호작용을 인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어 왔으며 실제로 치료 목적에 사용가능한 다양한 의약품들이 성공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항체는 면역반응의 중요단백질로 항원과의 특이적 상호작용을 통해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한다. 이런 특이적인 결합력은 기존의 저분자 화학제재와 달리 부작용 없이 높은 치료효과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많은 연구기관과 제약회사들은 다양한 선별기술을 활용하여 잘 알려진 치료제 표적에 대해 결합력을 갖는 항체들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항체 치료제는 화학제재에 비해 낮은 부작용과 높은 치료 효능 때문에 글로벌 제약기업과 생명공학 기업들이 개발에 집중 투자를 하여 현재 다수의 항체 치료제가 임상에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치료제 후보가 임상실험 중에 있다. 또한, 치료용 목적만이 아닌 생체물질의 분리정제 및 분자 의학적 진단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 넓게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생산 비용이 비싸고 기존 특허 장벽을 벗어나기 힘들며 분자량이 커서 세포내 침투가 어렵고 기대만큼 실제 환자의 치료 효과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항체 치료제를 대체하기 위한 인공항체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항체 골격 단백질은 항체 치료제와 달리 암 조직 내로 침투되는 효율에 크게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치료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항체를 대체할 수 있는 비 항체 단백질 골격(non-antibody protein scaffold)인 리피바디(repebody)를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상기 리피바디는 LRR(Leucine-rich repeat) 구조를 갖는 인터날린의 N-말단과 상기 VLR(Variable Lymphocyte Receptor)의 구조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융합하여 컨세서스 디자인으로 최적화시킨 폴리펩타이드를 의미한다. 상기 리피바디는 크기가 항체의 1/5 수준이고, 대장균에서 대량생산 되며, 동물 실험결과 면역원성이 거의 없다. 또한, 열 및 pH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고 타겟에 대한 결합력을 pico-mole 수준까지 매우 용이하게 증대시킬 수 있으며, 타겟에 대한 특이성이 매우 탁월함을 하다.
한편, 보체 단백질 C5a는 천식, 류마티스 관절염, 루프스와 같은 면역 질환에 관련된 질환유발인자로 알려져 있다. 특히, 혈액 중에 다양한 세균이 침범하여 번식하면서 생산된 독성물질에 의해 중독 증세를 나타내거나 전신에 감염증을 일으키는 질병인 패혈증 치료에 주요 표적으로 각광받고 있다. 패혈증은 전 세계적으로 중환자실 이환율 및 사망률의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 미국의 경우 해마다 750,000명의 패혈증 환자가 발생하며 국내에서도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매우 높은 발병률을 나타내고 있다. 치사율 또한 40% 정도로 매우 높은 편이나, 2001년 FDA 승인을 받은 치료제가 2011년 시장에서 퇴출되면서 아직까지 효과적인 치료법이나 치료 물질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패혈증의 치료제로써 보체 단백질 C5a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리피바디 골격을 이용하여 다양한 질환 관련 표적 단백질들에 대한 특이적인 결합 단백질(Specific protein binder)을 성공적으로 제조하고, 세포 기반의 방법으로 생물학적인 저해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으나, 이에 대한 응용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여, 추가적인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리피바디 골격을 이용하여 다양한 면역 질환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알려진 보체 단백질 C5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백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리피바디의 구조적 특징인 모듈성과 전체구조분석을 통해 구축한 무작위한 돌연변이 라이브러리를 바탕으로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해 특이적인 결합력을 갖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를 선별하고, 상기 폴리펩타이드와 보체 단백질 C5a의 결합력이 자연계에 존재하는 보체 단백질 C5a 수용체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체 단백질 C5a와 특이적으로 강하게 결합하여 그의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폴리펩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된 재조합 미생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재조합 미생물을 이용하여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질환 또는 패혈증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터날린 B 단백질의 N-말단, VLR 단백질의 변형된 반복모듈 및 VLR 단백질의 C-말단이 융합된, 보체 단백질 C5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폴리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된 재조합 미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상기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하여 배양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배양된 재조합 미생물 또는 배양물로부터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체 단백질 C5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폴리펩타이드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질환 또는 패혈증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보체 단백질 C5a 수용체보다도 높은 친화력으로 보체 단백질 C5a에 결합하여 그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보체 단백질 C5a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상기 선행특허(KR2012-0019927)에서 구축된 파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파지 디스플레이의 바이오 패닝을 수행한 결과이다. BSA 대비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효소면역측정법 (ELISA)에 의한 결합 신호를 평균화 (Normalization)를 하였으며, 이때 10배 이상의 신호가 증가한 클론에 대해 특이적인 결합력을 갖는 리피바디 클론으로 정의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얻어진 클론 중 가장 높은 결합력을 보이는 클론인 G7에 대해 등온열량측정기 (Isothermal titration calorimetry; ITC)를 이용하여 해리상수를 측정한 결과로,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해 2.8 M의 낮은 결합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서 선별된 클론인 G7에서 리피바디와 보체 단백질 C5a의 결합을 방해할 것으로 판단되는 C-말단 루프를 제거한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일차적으로 선별된 클론인 G7을 바탕으로 두 번째 라이브러리가 구축된 LRRV5 모듈과 LRRVe 모듈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두 번째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파지 디스플레이의 바이오 패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BSA 대비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효소면역측정법 (ELISA)에 의한 결합 신호를 평균화 (Normalization)를 하였으며, 이때 5배 이상의 신호가 증가한 클론에 대해 결합력이 증대된 리피바디 클론으로 정의한다.
도 6은 상기 도 5에서 얻어진 클론 중 가장 높은 결합력을 보이는 클론인 F5에 대해 등온열량측정기를 이용하여 해리상수를 측정한 결과로,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해 56 nM의 결합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는 결합력 증대 전의 G7 클론에 비해 약 53배 결합력이 증대된 것이다.
도 7은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이차적으로 선별된 클론인 F5를 바탕으로 세 번째 라이브러리가 구축된 LRRV3 모듈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세 번째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파지 디스플레이의 바이오 패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BSA 대비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효소면역측정법 (ELISA)에 의한 결합 신호를 평균화 (Normalization)를 하였으며, 이때 30배 이상의 신호가 증가한 클론에 대해 결합력이 증대된 리피바디 클론으로 정의한다.
도 9는 상기 도 8에서 얻어진 클론 중 F5보다 결합력이 증대된 클론들에 대해 등온열량측정기를 이용하여 해리상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클론 E8이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해 약 1.9 nM로 가장 높은 결합력을 가지며, 이는 결합력 증대 전의 F5 클론에 비해 약 29배 결합력이 증대된 것이다.
도 10은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삼차적으로 선별된 클론인 E8을 바탕으로 최종 라이브러리가 구축된 LRR1과 LRRV1 모듈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최종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파지 디스플레이의 바이오 패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BSA 대비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효소면역측정법 (ELISA)에 의한 결합 신호를 평균화 (Normalization)를 하였으며, 이때 15배 이상의 신호가 증가한 클론에 대해 결합력이 증대된 리피바디 클론으로 정의한다.
도 12는 상기 도 11에서 얻어진 클론 중 E8보다 결합력이 증대된 클론인 D5에 대해 클론 F5에 C-말단 루프가 삽입된 클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스먼트 등온열량측정기 (Displacement isothermal titration calorimetry)를 이용하여 해리상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상기 도 5에서 얻어진 클론 중 가장 높은 결합력을 보이는 클론인 F5에 C-말단 루프를 삽입한 후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보체 단백질 C5a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신규 폴리펩타이드를 개발하는데 있어, 결합 특이성이 높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폴리펩타이드를 발굴하였다. 신규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된 재조합 미생물을 이용하여 인터날린 B 단백질의 N-말단, VLR 단백질의 LRR 단백질 부분이 융합된, 폴리펩타이드의 반복모듈을 무작위적으로 포함하는 라이브러리를 구축한 후, 모듈 기반 방법을 이용한 리피바디의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결합력 증대 방식 수행을 통해,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해 높은 결합력을 가지는 신규 폴리펩타이드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인터날린 B 단백질의 N-말단, VLR 단백질의 변형된 반복모듈 및 VLR 단백질의 C-말단이 융합된, 보체 단백질의 C5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폴리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열번호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보체 단백질 C5a와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폴리펩타이드를 선별하였다.
본 발명의 용어 보체 단백질 C5a (complement component C5a)는 보체 활성화 과정에서 보체 단백질 C5가 잘리면서 형성된 약 9 kDa의 작은 단백질 조각이다. 보체 단백질 C5a는 비만세포와 호염구 과립 파괴로 히스타민을 방출시켜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며, 백혈구를 불러들여 식작용을 촉진시키는 등의 다양한 염증 반응에 관여한다. 특히 체내에 과도하고 존재하는 C5a는 면역 반응을 과도하게 일으켜 비정상적인 염증 반응을 유발하며, 이러한 현상은 천식,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패혈증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에서 발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체 단백질 C5a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를 개발하기 위하여, 인터날린 B(Internalin B) 단백질의 -말단, 가변 림프구 수용체(Variable Lymphocyte Receptor, VLR) 의 LRR(Leucine-rich repeat) 단백질 부분이 융합된, 폴리펩타이드의 반복 모듈을 무작위적으로 포함하는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상기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폴리펩타이드는 본 발명자의 선행특허(KR2012-0019927)에 기술된 서열번호 1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하여 코딩되거나 또는 해당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과 75%, 바람직하게는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하여 코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브러리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파지미드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파지미드"란, 대장균을 숙주로 하는 바이러스인 파지로 부터 유래된 원형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분자를 의미하는데, 번식과 증식에 필요한 단백질 및 표면 단백질들의 서열이 포함되어 있다. 재조합 파지미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부위-특이적 DNA 절단 및 연결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효소 등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파지미드는 프로모터, 오퍼레이터, 개시코돈, 종결코돈, 인핸서 같은 발현 조절 요소 외에도 분비를 위한 신호 서열 또는 리더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주로 원하는 단백질을 파지의 표면 단백질과 융합하여 파지 표면에 표지하기 위한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파지미드의 프로모터는 주로 유도성이며, 숙주세포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성 마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파지미드는 상기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르를 발현 및 분비하기 위한 신호 서열 또는 리더 서열인 MalEss, DsbAss 또는 PelBss를 포함하고, 파지의 표면에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한 히스티딘-태그와 파지 표면으로의 발현을 위한 M13 파지의 표면 단백질의 일종인 gp3 도메인을 인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상기 선행특허(KR2012-0019927)의 서열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지미드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파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사용하여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결합력이 우수한 리피바디 형태의 신규한 폴리펩타이드(서열번호 1)를 선별하였다 (도 1). 그러나, 이들 선별된 폴리펩타이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보체 단백질 C5a의 수용체(complement component 5a recpetor) 보다도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결합력이 낮은 수준이어서(도 2), 상기 선별된 폴리펩타이드에 돌연변이를 가하여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결합력이 향상된 변이 폴리펩타이드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상기 선별된 서열번호 1 폴리펩타이드의 C-말단 부분의 루프(loop)가 리피바디와 보체 단백질 C5a의 결합을 방해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루프에 해당하는 239번 아미노산인 아르지닌부터 246번 아미노산인 알라닌까지 총 8개의 아미노산을 제거한 후 글라이신 2개를 삽입하였다(도 3). 또한 상기 선별된 서열번호 1을 대상으로 LRRV5 모듈에 위치한 아미노산 잔기 4개와 LRRVe 모듈에 위치한 아미노산 잔기 3개를 돌연변이 시킨 두 번째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도 4), 상기 두 번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파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사용하여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결합력이 증대된 신규한 폴리펩타이드(서열번호 2)를 2차 선별하였다. 다음으로, 선별된 클론인 서열번호 2의 폴리펩타이드를 바탕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LRRV4 모듈에 돌연변이를 수행하여 세 번째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도 7), 상기 세 번째 라이브러리로부터 파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사용하여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결합력이 더욱 증대된 리피바디 형태의 신규한 폴리펩타이드(서열번호 3 내지 6)를 3차 선별하였다. 선별된 각 클론에 대하여 등온열량적정기(Isothermal titration calorimetry)를 이용하여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결합력을 측정하였으며(도 9), 이 중 서열번호 6의 폴리펩타이드가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결합력이 1.9 nM로써 가장 높은 클론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선별된 보체 단백질 C5a에 결합하는 폴리펩타이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보체 단백질 C5a 수용체보다 낮은 결합력을 가지기 때문에 생물학적 효능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체 단백질 C5a와의 결합능이 더욱 개선됨과 동시에 생물학적 효능을 갖는 리피바디를 확보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6을 기반으로 하여 LRR1과 LRRV1 모듈에 존재하는 총 4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돌연변이 시킨 네 번째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상기 네 번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파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사용하여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결합력이 약 78 pM로 더욱 증대된 리피바디 형태의 신규한 폴리펩타이드(서열번호 7)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이후, C-말단 루프가 리피바디와 보체 단백질 C5a의 결합을 방해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2의 폴리펩타이드에 C-말단 루프를 본래의 위치에 다시 삽입한 폴리펩타이드(서열번호 8)의 결합력을 측정하였다 (도 13). 그 결과, 약 76 nM의 결합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C-말단 루프가 없는 리피바디보다 약 20 nM 정도 결합력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인터날린 B 단백질"이란, 리스테리아(Listeria) 균주에서 발현되는 LRR 패밀리 단백질의 일종을 의미하는데, 다른 소수성 코어가 전 분자에 걸쳐서 일정하게 분포되어 있는 다른 LRR 패밀리 단백질들과는 다른 유형의 N-말단 구조 때문에 미생물에서도 안정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터날린 단백질의 N-말단은 반복 모듈의 접힘 (Folding)에 가장 중요한 N-말단 부위가 미생물 유래일 뿐 아니라 그 형태가 알파 나선을 포함하는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포함하므로, 미생물에서 LRR 패밀리 단백질들의 안정적인 발현을 위하여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인터날린 단백질의 N-말단"은 단백질의 수용성 발현 및 접힘에 있어서 필요한 인터날린 단백질의 N-말단을 의미하며 알파 나선형 캡핑 모티프 (capping motif) 및 인터날린 단백질의 반복 모듈을 의미한다. 인터날린 단백질의 N-말단은 단백질의 수용성 발현 및 접힘에 있어서 필요한 인터날린 단백질의 N-말단은 제한 없이 포함되나, 그 예로 알파 나선형 캡핑 모티프인 "ETITVSTPIKQIFPDDAFAETIKANLKKKSVTDAVTQNE" 및 반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반복 모듈 패턴은 "LxxLxxLxLxx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복 모듈 패턴 중 L은 알라닌, 글리신, 페닐알라닌, 티로신, 루이신, 이소루이신, 발린 또는 트립토판; N은 아스파라진, 글루타민, 세린, 시스테인 또는 트레오닌, x는 친수성 아미노산을 의미한다. 인터날린 단백질의 N-말단은 융합될 수 있는 LRR 패밀리 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높은 구조 유사도를 갖는 N-말단이 선택될 수 있으며 결합 에너지 등의 계산을 통해 가장 안정적인 아미노산을 선택하여 해당 모듈의 아미노산의 변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용어 "가변 림프구 수용체(VLR)"란, 먹장어와 칠성 장어에서 발현되는 LRR 패밀리 단백질의 일종을 의미하는데, 먹장어와 칠성 장어에서 면역 기능을 수행하는 단백질로서 다양한 항원 물질에 결합할 수 있는 골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터날린 B 단백질의 N-말단 및 VLR 단백질이 융합된 폴리펩타이드는 인터날린 B 단백질이 융합되지 않은 VLR 단백질보다 수용성 및 발현양이 증가하므로, 이를 기반으로 한 신규한 단백질 치료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LRR(Leucine rich repeat) 단백질"이란, 루이신이 일정한 위치에 반복되는 모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단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i) 하나 이상의 LRR 반복 모듈을 갖고 있고, (ii) 상기 LRR 반복 모듈은 20 내지 3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고, (iii) LRR 반복 모듈은 보존 패턴으로 "LxxLxxLxLxxN"을 갖고 있으며, 여기서 L은 알라닌, 글리신, 페닐알라닌, 티로신, 루이신, 이소루이신, 발린 및 트립토판과 같은 소수성 아미노산을, N은 아스파라진, 글루타민, 세린, 시스테인 또는 쓰레오닌을, x는 임의의 의미하며, (iv) LRR 패밀리 단백질은 말발굽과 같은 삼차원 구조를 갖는 구조를 갖고 있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LRR 패밀리 단백질은 이미 그 서열이 알려져 있거나, 생체에서 새로 유도된 mRNA나 cDNA를 이용하여 찾아낸 것 뿐 아니라, 컨센서스 디자인 (Consensus design) 등의 설계를 통하여 자연계에 알려지지 않은 서열을 가지면서 반복모듈의 골격 구조가 있는 변이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리피바디"란, LRR 구조를 갖는 상기 인터날린의 N-말단과 상기 VLR의 구조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융합하여 컨센서스 디자인으로 최적화시킨 폴리 폴리펩타이드이다. 리피바디 단백질은 구조상 오목한 지역(Concave) 와 볼록한 지역(Convex) 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도 4). 여기서 오목한 지역은 서열의 다양성이 높으며 단백질 상호작용에 중요한 부위로 알려져 있다. 이와 반대로 볼록한 지역은 보존성이 높은 서열을 바탕으로 단백질의 전체구조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리피바디 단백질은 반복 모듈을 갖는 LRR 패밀리에 속하는 모든 단백질을 상기 방법으로 수용성 발현 및 단백질의 생물리화학적 성질을 향상 시킨 모든 융합 LRR 패밀리 단백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된 재조합 미생물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8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될 수 있고,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와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염기서열을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벡터"는 적합한 숙주 내에서 목적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도록 적합한 조절서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목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염기서열을 함유하는 DNA 제조물을 의미한다. 상기 조절서열은 전사를 개시할 수 있는 프로모터, 그러한 전사를 조절하기 위한 임의의 오퍼레이터 서열, 적합한 mRNA 리보좀 결합 부위를 코딩하는 서열, 및 전사 및 해독의 종결을 조절하는 서열을 포함한다. 벡터는 적당한 숙주 내로 형질 전환된 후, 숙주 게놈과 무관하게 복제되거나 기능할 수 있으며, 게놈 그 자체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벡터는 숙주 중에서 복제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벡터를 이용할 수 있다. 통상 사용되는 벡터의 예로는 천연 상태이거나 재조합된 상태의 플라스미드, 파지미드, 코스미드, 바이러스 및 박테리오파지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 벡터 또는 코스미드 벡터로서 pWE15, M13, MBL3, MBL4, IXII, ASHII, APII, t10, t11, Charon4A, 및 Charon21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미드 벡터로서 pBR계, pUC계, pBluescriptII계, pGEM계, pTZ계, pCL계 및 pET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벡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공지된 발현 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ACYC177, pACYC184, pCL, pECCG117, pUC19, pBR322, pMW118, pCC1BAC, pET-21a, pET-32a 벡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pET-21a, pET-32a 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재조합 미생물"이란, 하나 이상의 목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갖는 벡터가 숙주세포에 도입되어 목적 단백질을 발현시키도록 형질이 감염된 세포를 의미하며, 진핵세포, 원핵세포 등의 모든 세포가 될 수 있는데,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대장균, 스트렙토미세스,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등의 박테리아 세포; 효모 세포; 피치아 파스토리스 등의 균류 세포; 드로조필라, 스포도프테라 Sf9 세포 등의 곤충 세포; CHO, COS, NSO, 293, 보우 멜라노마 세포 등의 동물 세포; 또는 식물 세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숙주세포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대장균을 숙주세포로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장균 BL21(DE3), OrigamiB(DE3)를 숙주세포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재조합"이란, 표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숙주세포 내에 도입하여 숙주세포 내에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이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재조합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숙주세포 내에 발현될 수 있기만 한다면, 숙주세포의 염색체 내에 삽입되어 위치하거나 염색체 외에 위치하든지 상관없이 이들 모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표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DNA 및 RNA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숙주세포 내로 도입되어 발현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로 도입되는 것이든 상관없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자체적으로 발현되는데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구조체인 발현 카세트 (Expression cassette)의 형태로 숙주세포에 도입될 수 있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통상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프로모터(promoter), 전사 종결 신호, 리보좀 결합부위 및 번역 종결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자체 복제가 가능한 발현 벡터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그 자체의 형태로 숙주세포에 도입되어, 숙주세포에서 발현에 필요한 서열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a) 상기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하여 배양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배양된 재조합 미생물 또는 배양물로부터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체 단백질 C5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폴리펩타이드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공지된 회분식 배양방법, 연속식 배양방법, 유가식 배양방법 등에 의해 수행됨이 바람직하고, 배양조건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염기성 화합물(예: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암모니아) 또는 산성 화합물(예: 인산 또는 황산)을 사용하여 적정 pH(pH 5 내지 9, 바람직하게는 pH 6 내지 8,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6.8)를 조절할 수 있고, 산소 또는 산소-함유 가스 혼합물을 배양물에 도입시켜 호기성 조건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배양온도는 2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를 유지할 수 있고, 약 10 내지 160 시간동안 배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양에 의하여 생산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배지중으로 분비되거나 세포내에 잔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배양용 배지는 탄소 공급원으로는 당 및 탄수화물(예: 글루코오스, 슈크로오스, 락토오스, 프럭토오스, 말토오스, 몰라세, 전분 및 셀룰로오스), 유지 및 지방(예: 대두유, 해바라기씨유, 땅콩유 및 코코넛유), 지방산(예: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리놀레산), 알콜(예: 글리세롤 및 에탄올) 및 유기산(예: 아세트산) 등을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질소 공급원으로는 질소-함유 유기 화합물(예: 펩톤, 효모 추출액, 육즙, 맥아 추출액, 옥수수 침지액, 대두 박분 및 우레아), 또는 무기 화합물(예: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 등을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인 공급원으로서 인산 이수소칼륨, 인산수소이칼륨, 이에 상응하는 나트륨 함유 염 등을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기타 금속염(예: 황산마그네슘 또는 황산철), 아미노산 및 비타민과 같은 필수성장-촉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배양 단계에서 생산된 폴리펩타이드를 회수하는 방법은 배양방법, 예를 들어 회분식, 연속식 또는 유가식 배양 방법 등에 따라 당해 분야에 공지된 적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배양액으로부터 목적하는 폴리펩타이드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질환 또는 패혈증 치료용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면역질환은 천식, 류마티스, 관절염 및 루프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스, 슈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말티톨, 전분, 글리세린,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폴리펩타이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carbonate), 슈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 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 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제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리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착색제로서는 의약품에 첨가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것이, 교미교취제로서는 예를 들면 코코아 분말, 박하뇌, 방향산, 박하유, 용뇌, 계피 분말 등이 사용된다. 이들의 정제에는 과립제의 경우 당, 젤라틴, 기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코팅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주사제로 조제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pH 조정제, 완충제, 안정화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피하, 근육내, 정맥 주사제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 함유 조성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5~500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100~250mg/kg의 양을 1일 1~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고, 그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무작위적인 파지 라이브러리를 통한 보체 단백질 C5a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폴리펩타이드 선별
실시예 1-1: 단백질 구조 기반의 리피바디 라이브러리 구축
리피바디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LRR 단백질들과 마찬가지로 보존된 류신 서열을 갖는 반복 단위체(Repeat unit)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전체 단백질 구조를 유지하는 모듈성과 전체 구조의 모양의 곡률로 인한 오목한 지역(Concave region)과 볼록한 지역(Convex region)으로 구별되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또한, 리피바디는 생체 분자를 인식하는 Concave와 구조 유지에 중요한 Convex지역으로 구분된다. 오목한 지역에는 항체의 상보성결정지역(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처럼 초가변영역(Hypervariable region)이 위치하여,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매개한다. 또한, 볼록한 지역은 잘 보존되어 있는 서열을 바탕으로 LRR의 전체구조의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리피바디의 단백질 구조를 분석하여 하기의 같은 방식으로 무작위적인 라이브러리를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설계되지 않은 카르복시말단의 고리구조(C-term loop)에 의한 입체 장해(Steric hinderance)에서 벗어나기 위해 아민기말단 방향에 위치한 연속적인 두개의 변이 모듈(LRRV module 2 와 3)의 오목한 지역에 위치하는 여섯 아미노산 잔기 91, 93, 94, 115, 117, 그리고 118번을 선택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선택한 아미노산을 NNK 동의코돈(Degenerate codon)으로 치환하고, 나머지 볼록한 지역의 염기서열을 잠재성 돌연변이(Silent mutation)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기 위한 돌연변이 유발프라이머(Mutagenic primer)를 합성하였다.
이어, 상기 프라이머들을 이용하여 두 모듈에 대한 겹침 중합효소 연쇄반응(Overlap PCR)을 수행하며 라이브러리 DNA를 수득하고, 상기 파지미드 pBEL118M에 삽입하여 최종적인 라이브러리 파지미드를 확보하였다.
상기 확보된 라이브러리를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으로 대장균 XL1-Blue에 도입하여 재조합 미생물을 수득함으로써, 1.8x108 수준의 합성적 다양성을 갖는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실시예 1-2: 리피바디 라이브러리의 패닝 과정을 통한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하는 폴리펩타이드 선별
실시예 1-1에서 구축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보체 단백질 C5a에 결합할 수 있는 폴리펩타이드를 선별하여 정제하였다.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할 수 있는 후보를 선별하기 위하여, 보체 단백질 C5a를 면역튜브 (Immuno-tube)에 100 /의 농도로 가하고, 4 에서 12시간동안 코팅하였다. 상기 코팅된 면역튜브를 PBS로 3회 세척하고, 1% BSA와 0.05 % Tween 20을 포함하는 PBS 용액 (TPBSA)으로 4 에서 2시간동안 블로킹(Blocking) 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정제된 파지를 1012 cfu/ml의 농도로 상기 코팅된 면역튜브에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0.05% Tween 20을 포함하는 PBS 용액 (TPBS)으로 총 2분간 5번씩 및 PBS로 2번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1 ml 0.2 M Glycine-HCl (pH 2.2)를 상기 면역튜브에 가하고, 상온에서 13분간 반응시킴으로써,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할 수 있는 리피바디 후보를 표면에 발현시킨 파지를 용출시켰다. 상기 용출액에 60 의 1.0 M Tris-HCl (pH 9.0)를 가하여 중화시키고, 숙주세포인 10 ml 대장균 XL1-Blue 용액(OD600 = 0.5)에 가한 다음, 2xYT 플레이트에 도말하는 바이오패닝(Bio-panning) 과정을 동일하게 4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 패닝 과정을 통해 보체 단백질 C5a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파지가 농축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하는 라이브러리 파지가 특이적으로 증가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시예 1-3: 선별된 리피바디의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특이적인 결합여부 확인 및 서열 분석
실시예 1-2의 방법을 통하여 선별된 파지를 보체 단백질 C5a와 BSA가 코팅된 96-웰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ELISA를 수행함으로써, BSA 대비 보체 단백질 C5a의 흡광도(OD450)가 10배 이상 높은 9개의 리피바디 후보들을 선별하고 (도 1), 이들 각각의 아미노산 서열을 확인한 후,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클론을 제외 하였다. 그 결과, 상기 선별된 파지에서 총 3 종류의 리피바디 서열을 확인하였으며, 세 종류의 리피바디에 대하여 등온열량측정기를 이용하여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해리상수를 측정한 결과, 클론 G7만이 보체 단백질 C5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G7은 91번 아미노산인 이소류신이 페닐알라닌으로 치환되고, 93번 아미노산인 트레오닌이 아스파라긴산으로 치환되며, 94번 아미노산인 글리신이 페닐알리닌으로 치환되고, 115번 아미노산인 발린이 타이로신으로 치환되고, 117번 아미노산인 발린이 세린으로 치환되며, 118번 아미노산인 글루탐산이 프롤린으로 치환되었음을 확인하였다(서열번호 1).
상기 결과는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잔기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시예 2: 모듈 기반 방법을 이용한 리피바디의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결합력 증대 수행
본 발명에서 기술된 모듈 기반 친화력 증대 방식은 선행특허(KR2012-0019927)에 따라 수행하였다. 해당 방법은 반복 모듈을 갖는 단백질에 대해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써, 본 특허에서 성공적으로 재현되어 높은 수준의 친화력을 갖는 단백질 설계를 가능하게 하였다.
실시예 2-1: 모듈을 이용한 추가적인 라이브러리 구축 및 결합력 증가 확인
실시예 1-3의 결과에서 보체 단백질 C5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확인된 클론인 G7의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해리상수는 2.8 M이지만(도 2),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보체 단백질 C5a 수용체의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해리상수는 1.0 nM 수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피바디 후보로는 보체 단백질 C5a의 활성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기 선행특허(KR2012-0019927)에서 사용한 모듈을 이용한 추가적인 라이브러리 구축방법을 이용하여 결합력이 향상된 돌연변이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모듈 기반 친화력 증대를 위한 라이브러리는 LRRV5와 LRRVe 모듈의 총 7개 아미노산 잔기를 돌연변이 시켜(도 4), 총 4번의 패닝과정을 거쳐서 결합력이 증대된 F5(서열번호 2)를 확보하였으며, 등온열량측정기를 이용하여 해리 상수를 측정한 결과,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해 56 nM의 결합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한편, 더욱 향상된 결합력을 나타내는 돌연변이체를 개발하기 위해서 F5를 기본 폴리펩타이드로 하여 LRRV4 모듈의 네 개의 잔기를 돌연변이 시킨 후(도 7), 동일한 패닝과정을 거쳐, E8(서열번호 6)을 선별하였으며, 등온열량측정기를 이용하여 해리 상수를 측정한 결과,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해 1.9 nM의 결합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9). 이는 기본 폴리펩타이드로 사용한 F5와 비교 했을 때 약 29배 향상된 결과이다.
세 번째 친화력 증대 과정에서는 E8을 기반으로 LRR1과 LRRV1 모듈의 총 네 개의 잔기에 라이브러리르 구축한 결과(도 10), D5라는 클론을 선별하였다(서열번호 7).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결합력을 등온열량측정기로 확인한 결과(도 12), 최종 클론인 D5의 보체 단백질 C5a에 대한 해리상수가 73 pM로 매우 강하게 결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최종적인 클론으로 확보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보체 단백질 C5a의 수용체보다 높은 결합력을 갖는 리피바디를 성공적으로 확보하였으며, 이는 보체 단백질 C5a에 특이적인 결합력을 갖는 폴리펩타이드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KAIST <120> Novel polypeptide binding with human complement component 5a and Uses Thereof <130> P14-B221 <160> 8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5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pebody-F10 <400> 1 Glu Thr Ile Thr Val Ser Thr Pro Ile Lys Gln Ile Phe Pro Asp Asp 1 5 10 15 Ala Phe Ala Glu Thr Ile Lys Ala Asn Leu Lys Lys Lys Ser Val Thr 20 25 30 Asp Ala Val Thr Gln Asn Glu Leu Asn Ser Ile Asp Gln Ile Ile Ala 35 40 45 Asn Asn Ser Asp Ile Lys Ser Val Gln Gly Ile Gln Tyr Leu Pro Asn 50 55 60 Val Arg Tyr Leu Ala Leu Gly Gly Asn Lys Leu His Asp Ile Ser Ala 65 70 75 80 Leu Lys Glu Leu Thr Asn Leu Thr Tyr Leu Phe Leu Asp Phe Asn Gln 85 90 95 Leu Gln Leu Pro Asn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Lys Glu 100 105 110 Leu Tyr Leu Ser Pro Asn Gln Leu Gln Ser Leu Pro Asp Gly Val Phe 115 120 125 Asp Lys Leu Thr Asn Leu Thr Ser Leu Gly Leu Asp Phe Asn Gln Leu 130 135 140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Thr Glu 145 150 155 160 Leu Asp Leu Ser Tyr Asn Gln Leu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165 170 175 Asp Lys Leu Thr Gln Leu Lys Asp Leu Ser Leu Ser Tyr Asn Gln Leu 180 185 190 Lys Ser Val Pro Asp Gly Val Phe Asp Arg Leu Thr Ser Leu Gln Tyr 195 200 205 Ile Trp Leu His Asp Asn Pro Trp Asp Cys Thr Cys Pro Gly Ile Arg 210 215 220 Tyr Leu Ser Glu Trp Ile Asn Lys His Ser Gly Val Val Gly Gly Pro 225 230 235 240 Asp Ser Ala Lys Cys Ser Gly Ser Gly Lys Pro Val Arg Ser Ile Ile 245 250 255 Cys Pro Thr <210> 2 <211> 25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pebody-F5 <400> 2 Glu Thr Ile Thr Val Ser Thr Pro Ile Lys Gln Ile Phe Pro Asp Asp 1 5 10 15 Ala Phe Ala Glu Thr Ile Lys Ala Asn Leu Lys Lys Lys Ser Val Thr 20 25 30 Asp Ala Val Thr Gln Asn Glu Leu Asn Ser Ile Asp Gln Ile Ile Ala 35 40 45 Asn Asn Ser Asp Ile Lys Ser Val Gln Gly Ile Gln Tyr Leu Pro Asn 50 55 60 Val Arg Tyr Leu Ala Leu Gly Gly Asn Lys Leu His Asp Ile Ser Ala 65 70 75 80 Leu Lys Glu Leu Thr Asn Leu Thr Tyr Leu Phe Leu Asp Phe Asn Gln 85 90 95 Leu Gln Leu Pro Asn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Lys Glu 100 105 110 Leu Tyr Leu Ser Pro Asn Gln Leu Gln Ser Leu Pro Asp Gly Val Phe 115 120 125 Asp Lys Leu Thr Asn Leu Thr Tyr Leu Asn Leu Ala His Asn Gln Leu 130 135 140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Thr Glu 145 150 155 160 Leu Asp Leu Ser Tyr Asn Gln Leu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165 170 175 Asp Lys Leu Thr Gln Leu Lys Asp Leu Ser Leu Ser Tyr Asn Gln Leu 180 185 190 Lys Ser Val Pro Asp Gly Val Phe Asp Arg Leu Thr Ser Leu Gln Tyr 195 200 205 Ile Trp Leu His Asp Asn Pro Trp Asp Cys Thr Cys Pro Gly Ile Arg 210 215 220 Tyr Leu Ser Glu Trp Ile Asn Lys His Ser Gly Val Val Gly Gly Pro 225 230 235 240 Asp Ser Ala Lys Cys Ser Gly Ser Gly Lys Pro Val Arg Ser Ile Ile 245 250 255 Cys Pro Thr <210> 3 <211> 25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pebody-F10 <400> 3 Glu Thr Ile Thr Val Ser Thr Pro Ile Lys Gln Ile Phe Pro Asp Asp 1 5 10 15 Ala Phe Ala Glu Thr Ile Lys Ala Asn Leu Lys Lys Lys Ser Val Thr 20 25 30 Asp Ala Val Thr Gln Asn Glu Leu Asn Ser Ile Asp Gln Ile Ile Ala 35 40 45 Asn Asn Ser Asp Ile Lys Ser Val Gln Gly Ile Gln Tyr Leu Pro Asn 50 55 60 Val Arg Tyr Leu Ala Leu Gly Gly Asn Lys Leu His Asp Ile Ser Ala 65 70 75 80 Leu Lys Glu Leu Thr Asn Leu Thr Tyr Leu Phe Leu Asp Phe Asn Gln 85 90 95 Leu Gln Leu Pro Asn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Lys Glu 100 105 110 Leu Tyr Leu Ser Pro Asn Gln Leu Gln Ser Leu Pro Asp Gly Val Phe 115 120 125 Asp Lys Leu Thr Asn Leu Thr Ser Leu Gly Leu Asp Phe Asn Gln Leu 130 135 140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Thr Glu 145 150 155 160 Leu Asp Leu Ser Tyr Asn Gln Leu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165 170 175 Asp Lys Leu Thr Gln Leu Lys Asp Leu Ser Leu Ser Tyr Asn Gln Leu 180 185 190 Lys Ser Val Pro Asp Gly Val Phe Asp Arg Leu Thr Ser Leu Gln Tyr 195 200 205 Ile Trp Leu His Asp Asn Pro Trp Asp Cys Thr Cys Pro Gly Ile Arg 210 215 220 Tyr Leu Ser Glu Trp Ile Asn Lys His Ser Gly Val Val Gly Gly Pro 225 230 235 240 Asp Ser Ala Lys Cys Ser Gly Ser Gly Lys Pro Val Arg Ser Ile Ile 245 250 255 Cys Pro Thr <210> 4 <211> 25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pebody-C3 <400> 4 Glu Thr Ile Thr Val Ser Thr Pro Ile Lys Gln Ile Phe Pro Asp Asp 1 5 10 15 Ala Phe Ala Glu Thr Ile Lys Ala Asn Leu Lys Lys Lys Ser Val Thr 20 25 30 Asp Ala Val Thr Gln Asn Glu Leu Asn Ser Ile Asp Gln Ile Ile Ala 35 40 45 Asn Asn Ser Asp Ile Lys Ser Val Gln Gly Ile Gln Tyr Leu Pro Asn 50 55 60 Val Arg Tyr Leu Ala Leu Gly Gly Asn Lys Leu His Asp Ile Ser Ala 65 70 75 80 Leu Lys Glu Leu Thr Asn Leu Thr Tyr Leu Phe Leu Asp Phe Asn Gln 85 90 95 Leu Gln Leu Pro Asn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Lys Glu 100 105 110 Leu Tyr Leu Ser Pro Asn Gln Leu Gln Ser Leu Pro Asp Gly Val Phe 115 120 125 Asp Lys Leu Thr Asn Leu Thr Ile Leu Gly Leu Asp Leu Asn Gln Leu 130 135 140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Thr Glu 145 150 155 160 Leu Asp Leu Ser Tyr Asn Gln Leu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165 170 175 Asp Lys Leu Thr Gln Leu Lys Asp Leu Ser Leu Ser Tyr Asn Gln Leu 180 185 190 Lys Ser Val Pro Asp Gly Val Phe Asp Arg Leu Thr Ser Leu Gln Tyr 195 200 205 Ile Trp Leu His Asp Asn Pro Trp Asp Cys Thr Cys Pro Gly Ile Arg 210 215 220 Tyr Leu Ser Glu Trp Ile Asn Lys His Ser Gly Val Val Gly Gly Pro 225 230 235 240 Asp Ser Ala Lys Cys Ser Gly Ser Gly Lys Pro Val Arg Ser Ile Ile 245 250 255 Cys Pro Thr <210> 5 <211> 25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pebody-F11 <400> 5 Glu Thr Ile Thr Val Ser Thr Pro Ile Lys Gln Ile Phe Pro Asp Asp 1 5 10 15 Ala Phe Ala Glu Thr Ile Lys Ala Asn Leu Lys Lys Lys Ser Val Thr 20 25 30 Asp Ala Val Thr Gln Asn Glu Leu Asn Ser Ile Asp Gln Ile Ile Ala 35 40 45 Asn Asn Ser Asp Ile Lys Ser Val Gln Gly Ile Gln Tyr Leu Pro Asn 50 55 60 Val Arg Tyr Leu Ala Leu Gly Gly Asn Lys Leu His Asp Ile Ser Ala 65 70 75 80 Leu Lys Glu Leu Thr Asn Leu Thr Tyr Leu Phe Leu Asp Phe Asn Gln 85 90 95 Leu Gln Leu Pro Asn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Lys Glu 100 105 110 Leu Tyr Leu Ser Pro Asn Gln Leu Gln Ser Leu Pro Asp Gly Val Phe 115 120 125 Asp Lys Leu Thr Asn Leu Thr Gly Leu Gly Leu Asp Tyr Asn Gln Leu 130 135 140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Thr Glu 145 150 155 160 Leu Asp Leu Ser Tyr Asn Gln Leu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165 170 175 Asp Lys Leu Thr Gln Leu Lys Asp Leu Ser Leu Ser Tyr Asn Gln Leu 180 185 190 Lys Ser Val Pro Asp Gly Val Phe Asp Arg Leu Thr Ser Leu Gln Tyr 195 200 205 Ile Trp Leu His Asp Asn Pro Trp Asp Cys Thr Cys Pro Gly Ile Arg 210 215 220 Tyr Leu Ser Glu Trp Ile Asn Lys His Ser Gly Val Val Gly Gly Pro 225 230 235 240 Asp Ser Ala Lys Cys Ser Gly Ser Gly Lys Pro Val Arg Ser Ile Ile 245 250 255 Cys Pro Thr <210> 6 <211> 25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pebody-E8 <400> 6 Glu Thr Ile Thr Val Ser Thr Pro Ile Lys Gln Ile Phe Pro Asp Asp 1 5 10 15 Ala Phe Ala Glu Thr Ile Lys Ala Asn Leu Lys Lys Lys Ser Val Thr 20 25 30 Asp Ala Val Thr Gln Asn Glu Leu Asn Ser Ile Asp Gln Ile Ile Ala 35 40 45 Asn Asn Ser Asp Ile Lys Ser Val Gln Gly Ile Gln Tyr Leu Pro Asn 50 55 60 Val Arg Tyr Leu Ala Leu Gly Gly Asn Lys Leu His Asp Ile Ser Ala 65 70 75 80 Leu Lys Glu Leu Thr Asn Leu Thr Tyr Leu Phe Leu Asp Phe Asn Gln 85 90 95 Leu Gln Leu Pro Asn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Lys Glu 100 105 110 Leu Tyr Leu Ser Pro Asn Gln Leu Gln Ser Leu Pro Asp Gly Val Phe 115 120 125 Asp Lys Leu Thr Asn Leu Thr Ile Leu Gly Leu Asp Met Asn Gln Leu 130 135 140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Thr Glu 145 150 155 160 Leu Asp Leu Ser Tyr Asn Gln Leu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165 170 175 Asp Lys Leu Thr Gln Leu Lys Asp Leu Ser Leu Ser Tyr Asn Gln Leu 180 185 190 Lys Ser Val Pro Asp Gly Val Phe Asp Arg Leu Thr Ser Leu Gln Tyr 195 200 205 Ile Trp Leu His Asp Asn Pro Trp Asp Cys Thr Cys Pro Gly Ile Arg 210 215 220 Tyr Leu Ser Glu Trp Ile Asn Lys His Ser Gly Val Val Gly Gly Pro 225 230 235 240 Asp Ser Ala Lys Cys Ser Gly Ser Gly Lys Pro Val Arg Ser Ile Ile 245 250 255 Cys Pro Thr <210> 7 <211> 25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pebody-D5 <400> 7 Glu Thr Ile Thr Val Ser Thr Pro Ile Lys Gln Ile Phe Pro Asp Asp 1 5 10 15 Ala Phe Ala Glu Thr Ile Lys Ala Asn Leu Lys Lys Lys Ser Val Thr 20 25 30 Asp Ala Val Thr Gln Asn Glu Leu Asn Ser Ile Glu Gln Ile Lys Ala 35 40 45 Val Asn Lys Asp Ile Lys Ser Val Gln Gly Ile Gln Tyr Leu Pro Asn 50 55 60 Val Arg Tyr Leu Val Leu Gly Gly Asn Lys Leu His Asp Ile Ser Ala 65 70 75 80 Leu Lys Glu Leu Thr Asn Leu Thr Tyr Leu Phe Leu Asp Phe Asn Gln 85 90 95 Leu Gln Leu Pro Asn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Lys Glu 100 105 110 Leu Tyr Leu Ser Pro Asn Gln Leu Gln Ser Leu Pro Asp Gly Val Phe 115 120 125 Asp Lys Leu Thr Asn Leu Thr Ile Leu Gly Leu Asp Met Asn Gln Leu 130 135 140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Thr Glu 145 150 155 160 Leu Asp Leu Ser Tyr Asn Gln Leu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165 170 175 Asp Lys Leu Thr Gln Leu Lys Asp Leu Ser Leu Ser Tyr Asn Gln Leu 180 185 190 Lys Ser Val Pro Asp Gly Val Phe Asp Arg Leu Thr Ser Leu Gln Tyr 195 200 205 Ile Trp Leu His Asp Asn Pro Trp Asp Cys Thr Cys Pro Gly Ile Arg 210 215 220 Tyr Leu Ser Glu Trp Ile Asn Lys His Ser Gly Val Val Gly Gly Pro 225 230 235 240 Asp Ser Ala Lys Cys Ser Gly Ser Gly Lys Pro Val Arg Ser Ile Ile 245 250 255 Cys Pro Thr <210> 8 <211> 26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pebody-F5 C-loop insertion <400> 8 Glu Thr Ile Thr Val Ser Thr Pro Ile Lys Gln Ile Phe Pro Asp Asp 1 5 10 15 Ala Phe Ala Glu Thr Ile Lys Ala Asn Leu Lys Lys Lys Ser Val Thr 20 25 30 Asp Ala Val Thr Gln Asn Glu Leu Asn Ser Ile Asp Gln Ile Ile Ala 35 40 45 Asn Asn Ser Asp Ile Lys Ser Val Gln Gly Ile Gln Tyr Leu Pro Asn 50 55 60 Val Arg Tyr Leu Ala Leu Gly Gly Asn Lys Leu His Asp Ile Ser Ala 65 70 75 80 Leu Lys Glu Leu Thr Asn Leu Thr Tyr Leu Phe Leu Asp Phe Asn Gln 85 90 95 Leu Gln Leu Pro Asn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Lys Glu 100 105 110 Leu Tyr Leu Ser Pro Asn Gln Leu Gln Ser Leu Pro Asp Gly Val Phe 115 120 125 Asp Lys Leu Thr Asn Leu Thr Tyr Leu Asn Leu Ala His Asn Gln Leu 130 135 140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Thr Glu 145 150 155 160 Leu Asp Leu Ser Tyr Asn Gln Leu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165 170 175 Asp Lys Leu Thr Gln Leu Lys Asp Leu Ser Leu Ser Tyr Asn Gln Leu 180 185 190 Lys Ser Val Pro Asp Gly Val Phe Asp Arg Leu Thr Ser Leu Gln Tyr 195 200 205 Ile Trp Leu His Asp Asn Pro Trp Asp Cys Thr Cys Pro Gly Ile Arg 210 215 220 Tyr Leu Ser Glu Trp Ile Asn Lys His Ser Gly Val Val Arg Asn Ser 225 230 235 240 Ala Gly Ser Val Ala Pro Asp Ser Ala Lys Cys Ser Gly Ser Gly Lys 245 250 255 Pro Val Arg Ser Ile Ile Cys Pro Thr 260 265

Claims (12)

  1. 서열번호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고, 보체 단백질 C5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폴리펩타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비 항체 단백질 골격인 리피바디로 구성되는 폴리펩타이드.
  6. 삭제
  7. 제1항의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8. 제7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9. 제7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도입된 재조합 미생물.
  10. 제8항의 재조합 벡터가 도입된 재조합 미생물.
  1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보체 단백질 C5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폴리펩타이드의 생산방법:
    (a) 제9항 또는 제10항의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하여 제1항의 폴리펩타이드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생성된 폴리펩타이드를 회수하는 단계.
  12. 삭제
KR1020140098833A 2014-08-01 2014-08-01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 및 그 용도 KR101624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833A KR101624702B1 (ko) 2014-08-01 2014-08-01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 및 그 용도
US15/500,921 US10287342B2 (en) 2014-08-01 2015-08-03 Polypeptide for binding to complement protein C5A, and use of same
PCT/KR2015/008094 WO2016018133A1 (ko) 2014-08-01 2015-08-03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 및 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833A KR101624702B1 (ko) 2014-08-01 2014-08-01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891A KR20160015891A (ko) 2016-02-15
KR101624702B1 true KR101624702B1 (ko) 2016-05-27

Family

ID=5521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833A KR101624702B1 (ko) 2014-08-01 2014-08-01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87342B2 (ko)
KR (1) KR101624702B1 (ko)
WO (1) WO2016018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894B1 (ko) * 2017-05-18 2019-04-2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소수성 테일 도메인이 제거된 먹장어 유래 vlrb 단백질에 칠성장어 유래 vlrb 단백질의 c 말단 서열이 연결된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KR102390931B1 (ko) * 2020-02-07 2022-04-26 한국과학기술원 보체 단백 분해 산물 C3a와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628B1 (ko) 2010-03-02 2013-01-10 한국과학기술원 인터날린 단백질의 n-말단 및 lrr 패밀리 단백질이 융합된 수용성 융합 폴리펩타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55682B1 (ko) 2010-09-02 2013-04-1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md-2 결합 폴리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TWI654203B (zh) * 2010-11-30 2019-03-21 中外製藥股份有限公司 具有鈣依存性的抗原結合能力之抗體
KR101356075B1 (ko) 2012-02-27 2014-02-12 한국과학기술원 인터루킨-6와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S-C et al., Proc. Natl. Acad. Sci. 109(9):pp. 3299-3304 (2012. 2.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18060A1 (en) 2017-08-03
KR20160015891A (ko) 2016-02-15
WO2016018133A1 (ko) 2016-02-04
US10287342B2 (en) 2019-05-14
WO2016018133A9 (ko)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2263B2 (ja) 選択的結合表面を有するフィブロネクチンiii型反復ベースのタンパク質スカフォールド
CN103459415B (zh) 设计的与血清白蛋白结合的重复蛋白
AU2011245225B2 (en) Stabilized fibronectin domain compositions, methods and uses
ES2602782T3 (es) OB-FOLD usado como estructura para diseño por ingeniería de nuevos agentes de unión específicos
US20070148201A1 (en) Muteins of a bilin-binding protein with affinity for a given target
KR101356075B1 (ko) 인터루킨-6와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
KR101624702B1 (ko) 보체 단백질 C5a와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 및 그 용도
KR101587622B1 (ko)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의 세포외 도메인과 결합하는 신규 폴리펩타이드
CN105143250B (zh) 一种改造非抗体类蛋白产生结合分子的方法及其产品和一种长效glp-1受体激动剂
KR102056386B1 (ko) 브루톤티로신키나아제의 SH2 도메인(Src homology 2 domain)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신규한 폴리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101713944B1 (ko) 신규한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와 결합할 수 있는 폴리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582417B1 (ko) 인플라마솜 어댑터 단백질(asc)의 중합체화 도메인에 결합하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390931B1 (ko) 보체 단백 분해 산물 C3a와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624703B1 (ko) 적색 형광단백질에 결합하는 신규한 폴리펩타이드
CN116769046A (zh) 含有热休克蛋白gp96的多肽、药物组合物和用途
KR101441503B1 (ko) 징크 핑거 단백질 라이브러리 및 이를 이용한 조작된 징크 핑거 단백질 스크리닝
CA3224586A1 (en) Human fibronectin type iii protein scaffolds
EP1602726A2 (en) Human tachykinin-related splice variants and compositions thereof
CN110655583A (zh) 一类新的Bcl10聚合抑制剂及其应用
US20040241639A1 (en) Human tachykinin-related splice variants and compositions thereof
JP2007524346A (ja) ホスホキナーゼ及びその使用
WO2011132939A2 (ko) Rtk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rtk-bp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