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382B1 -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382B1
KR101624382B1 KR1020130000137A KR20130000137A KR101624382B1 KR 101624382 B1 KR101624382 B1 KR 101624382B1 KR 1020130000137 A KR1020130000137 A KR 1020130000137A KR 20130000137 A KR20130000137 A KR 20130000137A KR 101624382 B1 KR101624382 B1 KR 101624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log data
search
log
log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8345A (ko
Inventor
최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00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3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88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에서 검색 이벤트가 발생 함에 따라, 상기 검색 이벤트와 연관하여 입력되는 입력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로그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서 검색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검색 이벤트 감지부, 상기 검색 이벤트와 연관하여 입력되는 입력정보로부터, 제1 키워드와, 제2 키워드를 추출하고 검색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키워드 추출부, 상기 제2 키워드가 속하는 속성에 관한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색 조건 정보에 만족하는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 결과로그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응답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OF PROVIDING SEARCHING SERVICE USING LOG DATA}
본 발명은 일상어에 해당하는 자연어 명령구문을 통해, 단말 내 정보,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으로서, 상기 명령구문을 통해 검색할 데이터베이스를 복수 개 식별하고, 명령구문 내 특정어(키워드)를 이용하여 식별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 처리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검색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검색 이벤트와 연관하여 입력되는 입력정보로부터, 제1 키워드와, 제2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에 해당하는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기 중 하나인 무선 단말기 안에는, 많은 정보와 데이터가 쌓여져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단순한 텍스트나 숫자 뿐만 아니라 더 추상적일 수 있고, 또한 정형화된 데이터베이스 형태가 아닐 수도 있다.
기존의 무선 단말기 검색 시스템은 정형화된 데이터 형식을 대상으로 한 단말 데이터베이스 만으로 서비스 하는 형태로서,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데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기 안에 쌓여 있는 많은 데이터를 상호 혼합 및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좀 더 유용하고 편리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단말에서 정형화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관리되지 않는 데이터들도 로그 데이터로서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그 데이터베이스가 상호 결합되어 새로운 검색이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 외에,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서 검색 이벤트가 발생 함에 따라, 상기 검색 이벤트와 연관하여 입력되는 입력정보로부터, 제1 키워드와, 상기 제1 키워드와 상이한 제2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키워드가 속하는 속성에 관한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로그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키워드가 속하는 속성에 관한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하며 상기 검색 조건 정보에 만족하는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장치로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서 검색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검색 이벤트 감지부와, 상기 검색 이벤트와 연관하여 입력되는 입력정보로부터, 제1 키워드와, 상기 제1 키워드와 상이한 제2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와, 상기 제1 키워드가 속하는 속성에 관한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로그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 조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키워드가 속하는 속성에 관한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하며 상기 검색 조건 정보에 만족하는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 및 상기 검색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응답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의 음성인식을 통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뿐만 아니라 인간의 자연어를 분석하고 이해함으로써, 검색된 결과로그 데이터와 연관된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정형화되지 않은 복수 개의 로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로그 데이터를 결합하여 새로운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한 시간대와 관련하여 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지점과 관련하여 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 이력과 관련하여 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메신저와 관련하여 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검색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어, 사용자로부터 음성 또는 문자의 입력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정보에 따라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검색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검색시 이종 복수 개의 로그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동시적으로 또한 병행적으로 서치 처리 함으로써, 정형화되지 않는 입력정보에 대해서도 보다 정확한 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로그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 단말기에서 호출되어 사용된 기능(예컨대, 전화통화, 문자메시지 송발신, 메신저 등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등)과 연관하여 생성된 로그 데이터를 보관하는 저장 수단일 수 있다.
상기 로그 데이터베이스는, 기능 호출이나, 특정 이벤트(예, 호연결, 관심지점 방문, 프로그램의 구동 등)에 따라 생성되는 로그 데이터를 보관하는, 이종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휴대 단말기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검색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한 검색 이벤트에 대해, 상기 이종 복수 개의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어진 결과로그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부, 예컨대 상기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는 외부의 서비스 서버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이종 복수 개의 로그 데이터베이스(111 내지 119)를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베이스(110)와, 사용자로부터 입력정보를 입력받아 검색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로그 데이터베이스(110)를 대상으로 서치 처리를 수행하는 검색 어플리케이션(120), 및 검색 어플리케이션(120)을 제어하고, 서치 처리에 따른 결과로서의 결과로그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본 발명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로그 데이터베이스(11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된 기능 호출이나, 특정 이벤트에 따라 생성되는 로그 데이터를 보관한다. 이때, 로그 데이터베이스(110)는 로그 데이터의 종류를 고려하여 이종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로그 데이터의 종류를, '시간', '위치', '호연결', '관심지점', '프로그램'의 5개 로그 종류로 구분하여, 그 각각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연관시켜 로그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보관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시간 로그 데이터베이스(111)는 기능 호출에 따라 생성되는 로그 데이터를,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보관하는 수단이다. 예컨대, 시간 로그 데이터베이스(111)는, [로그 데이터 1("10.18 13:30 - 강남역 위치의 A기지국으로 로밍 인"), 로그 데이터 2("10.18 14:00 - 강남역 위치의 A기지국을 통해 '010-123-4567'과 통화"), 로그 데이터 3("10.18 14:30 - 강남역 위치의 A기지국으로부터 로밍 아웃"), 로그 데이터 4("10.18 14:31 - 논현역 위치의 B기지국으로 로밍 인"), 로그 데이터 5("10.18 15:00 - 논현역 위치의 B기지국을 통해 '010-765-4321'과 통화")] 등과 같이, 시간 별로 로그 데이터를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다.
위치 로그 데이베이스(113)는 기능 호출에 따라 생성되는 로그 데이터를,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보관하는 수단이다. 예컨대, 위치 로그 데이터베이스(113)는 [강남역 - 로그 데이터 1, 로그 데이터 2, 로그 데이터 3], [논현역 - 로그 데이터 4, 로그 데이터 5] 등과 같이, 위치 별로 로그 데이터를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호 로그 데이터베이스(115)는 호연결에 따라 생성되는 로그 데이터를 보관하는 수단이다. 예컨대 호 로그 데이터베이스(115)는 [로그 데이터 2, 로드 데이터 5] 등과 같이, 호연결에 관한 로그 데이터 만을 선별하여 시간 순으로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POI(point of interest) 로그 데이터베이스(117)는 사용자, 지인, 광고주 등에 의해 지정된 관심지점으로의 방문에 따라 생성되는 로그 데이터를 보관하는 수단이다. 예컨대, POI 로그 데이터베이스(117)는 [로그 데이터 6("10.18 20:00 - '△△서점' 방문")] 등과 같이, 관심지점에 관한 로그 데이터 만을 선별하여 시간 순으로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로그 데이터베이스(119)는 휴대 단말기(100)에서의 프로그램 구동에 따라 생성되는 로그 데이터를 보관하는 수단이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로그 데이터베이스(119)는 [로그 데이터 7("10.18 21:00 - '□□팡' 구동")] 등과 같이, 프로그램에 로그 데이터 만을 선별하여 시간 순으로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다.
검색 어플리케이션(120)은 검색을 원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이다. 이때, 입력정보는 음성, 문자 비롯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양태일 수 있고, 예컨대 질의문 양태의 문장일 수 있다. 입력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휴대 단말기(100)는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문자를 입력하는 키패드/터치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 어플리케이션(120)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검색 이벤트를 발생시키며, 상기 검색 이벤트에 연동하여 활성화되는 마이크, 키패드/터치패드 등을 통해 상기 입력정보를 입력받는다. 이후, 검색 어플리케이션(120)은 본 발명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30)의 제어에 따라, 이종 복수 개의 로그 데이터베이스(111 내지 119) 중에서 적어도 2개의 로그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서치 처리를 수행한다.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검색 어플리케이션(120)을 제어하여, 이종 복수 개의 로그 데이터베이스(111 내지 119)에 대한 검색을 통해,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수단이다.
예컨대, 입력정보로 "10월 18일 강남역 근처에 내가 걸었던 전화번호로 찾아줘"가 입력되는 경우,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검색 어플리케이션(120)을 제어하여, "10월 18일 강남역"에 대해 시간 로그 데이터베이스(111)와 위치 로그 데이터베이스(113)를 동시에 검색하여, 공통되는 시간범위인 "10.18 13:30-14:30"을 검색 조건 정보로 작성할 수 있다. 이후,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전화번호"에 대해 호 로그 데이터베이스(115)를 검색하여 상기 "10.18 13:30-14:30"에 호 연결된 전화번호인 로그 데이터 2의 '010-123-4567'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검색결과로서의 결과로그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로 제공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 수단을 통해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가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이종 복수 개의 로그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동시적으로 또한 병행적으로 서치 처리 함으로써, 정형화되지 않는 입력정보에 대해서도 보다 정확한 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통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세부적인 기능에 따라 검색 이벤트 감지부(210), 키워드 추출부(220),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 응답 처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 할 수 있다.
검색 이벤트 감지부(21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검색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검색 이벤트는 검색 어플리케이션(120)이 구동된 후, 사용자로부터 음성 또는 텍스트 형식의 입력정보 입력 방식을 선택되면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검색 이벤트는 사용자가 메신저 대화 또는 통화를 하는 도중에, 검색요청을 알리는 특정 기호를 입력하면 발생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220)는 상기 검색 이벤트와 연관하여 입력되는 입력정보로부터, 제1 키워드와, 상기 제1 키워드와 상이한 제2 키워드를 추출한다. 예컨대, 키워드 추출부(220)는 검색을 위해 입력되는 입력정보 내 단어들로부터, 정보로서 가치가 있는 단어를 선별하여, 상기 제1 키워드와 상기 제2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정보로 "10월 18일 강남역 근처에 내가 걸었던 전화번호로 찾아줘"가 입력되는 경우, 키워드 추출부(220)는 시간/장소에 관한 제1 키워드 "10월 18일 강남역"와, 식별자에 관한 제2 키워드 "전화번호"를, 정보로서 의미있다고 판단하여 추출할 수 있다.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상기 제1 키워드가 속하는 속성에 관한 로그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로그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 조건 정보를 생성한다. 즉,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검색 범위를 좁힐 수 있게, 검색 조건 정보를 작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키워드는 로그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추출되는 로그 데이터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키워드는 로그 데이터베이스(110)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상기 제2 키워드가 속하는 속성에 관한 로그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하며 상기 검색 조건 정보에 만족하는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응답 처리부(240)는 상기 검색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즉, 응답 처리부(240)는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에서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나열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제2 키워드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한 시간대와 관련하여 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시간' 및 '위치'와 관련한 단어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경우,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시간 로그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상기 '시간'에 매칭되어 기록된 제1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고, 위치 로그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상기 '위치'에 매칭되어 기록된 제2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며, 상기 제1 로그 데이터와 상기 제2 로그 데이터로 공동으로 확인되는 로그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시간범위를 상기 검색 조건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식별자'와 관련한 단어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경우,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호 로그 데이터베이스(115)로부터 상기 시간범위 내에서 호 결정된 전화번호를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로서 검색할 수 있다.
도 3에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검색 어플리케이션(120)을 제어하여 검색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음성인식을 통하여 검색을 위한 입력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220)는 상기 입력정보로부터 제1 키워드(310)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은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목소리를 통해 원하는 정보의 검색을 상시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 시작을 알리는 신호를 받은 후 입력상태를 표시하면서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지난 주 금요일 강남역 근처에서 내가 걸었던 전화번호로 다시 전화 걸어줘." 라는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키워드 추출부(220)는 상기 입력정보를 분석하고 특징을 추출하여 미리 수집된 음성모델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와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가장 유사한 것을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추출부(220)는 정보로서 가치가 있는 입력정보 내 단어를 선별하기 위해, 예컨대 상기 입력정보를, 이해하기 위한 뜻을 가지는 최소의 언어 단위가 되는 형태소로 분리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키워드 추출부(220)는 '지난', '주', '금요일', '강남역', '근처', '에서', '내가', '걸었던', '전화번호', '로', '다시', '전화', '걸어줘' 등의 형태소를 분리 할 수 있다.
이후, 키워드 추출부(220)는 상기 형태소의 나열 순서, 의미, 전체적인 문법에 따라 '지난 주 금요일 강남역'을 제1 키워드(310)로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키워드의 추출에 따라, 키워드 추출부(220)는 시간 로그 데이터베이스(111)과 위치 로그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각각 제1 로그 데이터 및 제2 로그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 조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추출부(220)는 상기 분리된 형태소에서 제2 키워드로서, '전화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키워드 '전화번호'는, 종류 별로 저장된 로그 데이터베이스(110) 중에서, 호 로그 데이터베이스(115)를 검색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단서가 될 수 있다.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제1 키워드(310)를 이용하여 검색 조건 정보(320)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제1 키워드(310)에서 지난 주 금요일에 해당하는 10월 19일과 관련하여 저장된 시간 관련 제1 로그 데이터를 시간 로그 데이터베이스(111)에서 검색하고, 또한 강남역과 관련하여 저장된 위치 관련 제2 로그 데이터를 위치 로그 데이터베이스(113)에서 검색한 후, 상기 제1 로그 데이터와 상기 제2 로그 데이터로 공동으로 검색되는 로그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시간범위, 즉 공동된 로그 데이터의 최근 시간을 기준으로 검색 조건 정보(320)로서,'10.19 19:00-20:00'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상기 제2 키워드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호 로그 데이터베이스(115)에서 상기 검색 조건 정보에 만족하는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호 로그 데이터베이스(115)는 호 관련하여 통화, 문자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이 실행될 때, 호를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검색 조건 정보 '10.19 19:00-20:00'(320)에서 통화로 인해 생성된 로그 데이터 '홍아람 금요일 오후 7시 15분'과, '윤용진 금요일 오후 7시 40분'를 호 로그 데이터베이스(115)로부터 검색하여 결과로그 데이터(330)로서 최종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330)가 생성되면, 응답 처리부(240)는 호 목록을 휴대 단말기(100)의 응답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간단하게 선택하여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검색 이벤트 발생시 음성인식을 함으로써, 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도 정보 검색이 가능하고 이동시 기기 사용의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문자 입력에 비해 빠른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지점과 관련하여 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위치'와 관련한 단어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경우,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위치 로그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상기 '위치'에 매칭되어 기록된 제2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로그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좌표범위를 상기 검색 조건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POI(point of interest)'와 관련한 단어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경우,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POI 로그 데이터베이스(117)로부터 상기 좌표범위 내에서 관심지점의 좌표값을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로서 검색할 수 있다.
보다 확대하여, 응답 처리부(240)는, 상기 검색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관심지점이 매핑된 지도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검색 어플리케이션(120)을 제어하여 사용자로부터 문자 형식으로 입력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키워드 추출부(220)는 음성 인식을 통하지 않고 바로 형태소 분석을 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로서, "강남역 근처에서 먹었던 냉면집 위치가 어떻게 되지?"가 입력되는 경우, 키워드 추출부(220)는 형태소 분석을 통해 '강남역', '근처', '에서', '먹었던', '냉면집', '위치', '가', '어떻게', '되지'가 분리될 수 있다.
이후, 키워드 추출부(220)는 상기 분리된 형태소 중에서 제1 키워드로서, 위치와 관련한 '강남역'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키워드 '강남역'(410)은 '먹었던'에 나타난 행위가 이루어진 장소로서 추출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추출부(220)는 제2 키워드로서 사용자의 관심 지역인 '냉면집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제1 키워드 '강남역'(410)를 이용하여 검색 조건 정보(420)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위치 로그 데이터베이스(113)에서 상기 제1 키워드 '강남역'(410)에 매칭되어 기록된 제2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로그 데이터에 식별되는 좌표범위 '글로벌 좌표 북위 OO 동경 XXX - 북위 XX 동경 OOO'를 검색 조건 정보(420)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상기 제2 키워드 '냉면집 위치'에 대응하여, POI 로그 데이터베이스(117)에서 검색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POI 로그 데이터베이스(117)에는 전자지도 위에 지리정보와 함께 좌표 등으로 표시되는 주요 시설물, 역, 공항, 터미널, 호텔, 백화점 등을 표현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도 4에서,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검색 조건 정보 '글로벌 좌표 북위 OO 동경 XXX - 북위 XX 동경 OOO'(420)에서 관심지점인 제2 키워드의 '냉면집 위치'의 좌표값을 POI 로그 데이터베이스(117)에서 검색하여 결과로그 데이터(430)로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430)가 검색되면 응답 처리부(240)는 지도 데이터에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430)에 해당하는 냉면집의 위치를 화살표로 표시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응답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 이력과 관련하여 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시간'과 관련한 단어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경우,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시간 로그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상기 '시간'에 매칭되어 기록된 제1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로그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시간범위를 상기 검색 조건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어플리케이션'와 관련한 단어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경우,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어플리케이션 로그 데이터베이스(119)로부터 상기 시간범위 내에서 실행된 프로그램을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로서 검색할 수 있다.
도 5에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검색 어플리케이션(120)을 제어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정보로서, "지난 주 목요일 오후 2시쯤 친구에게 단말을 빌려줬는데, 그 때 친구가 사용한 어플은?"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220)는 시간과 관련한 '지난 주 목요일 오후 2시쯤'을, 제1 키워드로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추출부(220)는 제2 키워드로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한 '어플'을 추출할 수 있다.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제1 키워드 '지난 주 목요일 오후 2시쯤'(510)을 이용하여 검색 조건 정보(520)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시간 로그 데이터베이스(111)에서 제1 키워드 '지난 주 목요일 오후 2시쯤'(510)에 매칭되어 기록된 제1 로그 데이터, 즉 지난 주 목요일에 해당하는 날짜와 오후 2시쯤에 해당하는 기간에 존재하는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로그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시간범위 '10.18 13:30-14:30'을 검색 조건 정보(520)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상기 제2 키워드 '어플'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 로그 데이터베이스(119)에서 검색 조건 정보에 만족하는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도 5에서,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검색 조건 정보 '10.18 13:30-14:30'(520)에서 실행으로 인해 생성된 로그 데이터 'XX팡'을 어플리케이션 로그 데이터베이스(119)로부터 검색하여 결과로그 데이터(530)로서 최종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530)가 검색되면 응답 처리부(240)는 최종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기(100)의 응답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메신저와 관련하여 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시간'과 관련한 단어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경우,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시간 로그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상기 '시간'에 매칭되어 기록된 제1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로그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시간범위를 상기 검색 조건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식별자'와 관련한 단어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경우,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휴대 단말기(100)와 연결된 상대방 단말기 내 호 로그 데이터베이스(115)로부터 상기 시간범위 내에서 호 결정된 전화번호를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로서 검색하고, 응답 처리부(240)는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를 메신저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검색 어플리케이션(120)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메신저를 통해 대화하는 메시지에서 입력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메신저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어제 너랑 점심 먹은 식당의 전화번호를 내가 검색하여 찾아간다"가 입력 되면 이를 입력정보로서 인식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220)는 상기 입력정보에서 시간과 관련한 '어제 점심'을 제1 키워드로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추출부(220)는 제2 키워드(510)로서 식별자와 관련한 '식당의 전화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제1 키워드 '어제 점심'을 이용하여 검색 조건 정보(620)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시간 로그 데이터베이스(111)에서, 제1 키워드 '어제 점심'(610)에 매칭되어 기록된 제1 로그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시간범위 '10.21 12:00-13:00'을 검색 조건 정보(620)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휴대 단말기(110)와 연결되어 메시지 서비스를 받고 있는 상대방 단말기 내 호 로그 데이터베이스(115)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 '식당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면서, 시간범위 '10.21 12:00-13:00' 내에서 호 결정된 전화번호를 결과로그 데이터로 검색할 수 있다.
도 6에서,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230)는, 검색 조건 정보 '10.21 12:00-13:00'(620)에서, 상대방 단말기의 통화로 인해 생성된 로그 데이터 'XX 식당 02-9876-5432'을,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호 로그 데이터베이스(115)로부터 검색하여, 결과로그 데이터(630)로서 최종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630)가 검색되는 경우 응답 처리부(240)는 상기 메신저를 통해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 'XX 식당 02-9876-5432'(630)을, 휴대 단말기(100)의 응답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다.
단계 710에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검색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검색 어플리케이션(120)을 제어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문자 형식으로 정보가 표시되는 검색 명령문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검색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검색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상기 검색 이벤트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720에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검색 이벤트와 연관하여 입력되는 입력정보로부터, 제1 키워드와, 상기 제1 키워드와 상이한 제2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제1 키워드가 속하는 속성에 관한 로그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로그 데이터를 검색하여, 조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키워드는 로그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되는 로그 데이터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키워드는 로그 데이터베이스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740에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제2 키워드가 속하는 속성에 관한 로그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하며 상기 검색 조건 정보에 만족하는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 750에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에서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나열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제2 키워드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의 음성인식을 통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뿐만 아니라 인간의 자연어를 분석하고 이해함으로써, 검색된 결과로그 데이터와 연관된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정형화되지 않은 복수 개의 로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로그 데이터를 결합하여 새로운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210 : 검색 이벤트 감지부
220 : 키워드 추출부
230 :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
240 : 응답 처리부

Claims (18)

  1. 휴대 단말기에서 검색 이벤트가 발생 함에 따라,
    상기 검색 이벤트와 연관하여 입력되는 입력정보로부터, 제1 키워드와, 상기 제1 키워드와 상이한 제2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가 속하는 속성에 관한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로그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키워드가 속하는 속성에 관한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하며 상기 검색 조건 정보에 만족하는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시간'과 관련한 단어를 적어도 포함하여 추출되면, 상기 검색 조건 정보로서, 상기 단어로부터 식별되는 시간범위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과 관련한 단어와 함께, '위치'와 관련한 단어를, 상기 제1 키워드로 추출하는 경우,
    상기 검색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시간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시간'에 매칭되어 기록된 제1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
    위치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위치'에 매칭되어 기록된 제2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로그 데이터와 상기 제2 로그 데이터로 공동으로 확인되는 로그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시간범위를 상기 검색 조건 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식별자'와 관련한 단어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경우,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는,
    호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시간범위 내에서 호 결정된 전화번호를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로서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과 관련한 단어 없이, '위치'와 관련한 단어를, 상기 제1 키워드로 추출하는 경우,
    상기 검색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위치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위치'에 매칭되어 기록된 제2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로그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좌표범위를 상기 검색 조건 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POI(point of interest)'와 관련한 단어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경우,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는,
    POI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좌표범위 내에서 관심지점의 좌표값을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로서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관심지점이 매핑된 지도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과 관련한 단어를, 단독으로 상기 제1 키워드로 추출하는 경우,
    상기 검색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시간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시간'에 매칭되어 기록된 제1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로그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시간범위를 상기 검색 조건 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어플리케이션'와 관련한 단어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경우,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는,
    어플리케이션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시간범위 내에서 실행된 프로그램을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로서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식별자'와 관련한 단어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경우,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상대방 단말기 내 호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시간범위 내에서 호 결정된 전화번호를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로서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를 메신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0. 휴대 단말기에서 검색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검색 이벤트 감지부;
    상기 검색 이벤트와 연관하여 입력되는 입력정보로부터, 제1 키워드와, 상기 제1 키워드와 상이한 제2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상기 제1 키워드가 속하는 속성에 관한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로그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 조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키워드가 속하는 속성에 관한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하며 상기 검색 조건 정보에 만족하는 결과로그 데이터를 검색하는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 및
    상기 검색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응답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는,
    상기 제1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시간'과 관련한 단어를 적어도 포함하여 추출되면, 상기 검색 조건 정보로서, 상기 단어로부터 식별되는 시간범위를 생성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과 관련한 단어와 함께, '위치'와 관련한 단어를, 상기 제1 키워드로 추출하는 경우,
    상기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는,
    시간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시간'에 매칭되어 기록된 제1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고, 위치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위치'에 매칭되어 기록된 제2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며, 상기 제1 로그 데이터와 상기 제2 로그 데이터로 공동으로 확인되는 로그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시간범위를 상기 검색 조건 정보로서 생성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식별자'와 관련한 단어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경우,
    상기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는,
    호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시간범위 내에서 호 결정된 전화번호를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로서 검색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과 관련한 단어 없이, '위치'와 관련한 단어를, 상기 제1 키워드로 추출하는 경우,
    상기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는,
    위치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위치'에 매칭되어 기록된 제2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로그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좌표범위를 상기 검색 조건 정보로서 생성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POI(point of interest)'와 관련한 단어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경우,
    상기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는,
    POI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좌표범위 내에서 관심지점의 좌표값을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로서 검색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처리부는,
    상기 검색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관심지점이 매핑된 지도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과 관련한 단어를, 단독으로 상기 제1 키워드로 추출하는 경우,
    상기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는,
    시간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시간'에 매칭되어 기록된 제1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로그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시간범위를 상기 검색 조건 정보로서 생성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어플리케이션'와 관련한 단어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경우,
    상기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시간범위 내에서 실행된 프로그램을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로서 검색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워드가 상기 입력정보 내 '식별자'와 관련한 단어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경우,
    상기 로그 데이터베이스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상대방 단말기 내 호 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시간범위 내에서 호 결정된 전화번호를 상기 결과로그 데이터로서 검색하고,
    상기 응답 처리부는,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를 메신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30000137A 2013-01-02 2013-01-02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24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137A KR101624382B1 (ko) 2013-01-02 2013-01-02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137A KR101624382B1 (ko) 2013-01-02 2013-01-02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345A KR20140088345A (ko) 2014-07-10
KR101624382B1 true KR101624382B1 (ko) 2016-05-25

Family

ID=5173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137A KR101624382B1 (ko) 2013-01-02 2013-01-02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3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2140B2 (en) * 2015-01-08 2019-11-19 Nave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targeting search ser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68580A (zh) 2014-09-28 2016-04-0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基于关注点信息提供服务的方法和装置
KR102290755B1 (ko) 2017-05-17 202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접 기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177023B (zh) * 2021-04-19 2023-07-25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日志检索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9129A (ja) * 2001-03-09 2002-09-20 Toshiba Corp 位置情報利用装置および方法
JP2009037498A (ja) * 2007-08-03 2009-02-19 Navitime Japan Co Ltd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サーバならびに端末装置
JP2011118648A (ja) 2009-12-03 2011-06-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9129A (ja) * 2001-03-09 2002-09-20 Toshiba Corp 位置情報利用装置および方法
JP2009037498A (ja) * 2007-08-03 2009-02-19 Navitime Japan Co Ltd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サーバならびに端末装置
JP2011118648A (ja) 2009-12-03 2011-06-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2140B2 (en) * 2015-01-08 2019-11-19 Nave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targeting search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345A (ko)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2415B2 (ja) 自然言語ベースのロケーション・クエリー・システム、キーワード・ベースのロケーション・クエリー・システム、及び自然言語ベース/キーワード・ベースのロケーション・クエリー・システム
EP3085121B1 (en) Identifying an entity associated with wireless network access point
US10747793B2 (en) Expanding search queries
CN104794122B (zh) 一种位置信息推荐方法、装置和系统
US9361063B2 (en) Function execution instruction system, function execution instruction method, and function execution instruction program
EP2518642A1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updating word stock
US11334564B2 (en) Expanding search queries
WO2016150170A1 (zh) 一种推荐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JP7023821B2 (ja) 情報検索システム
KR20150031309A (ko) 동적 언어 모델
JP6154489B2 (ja) ユーザのデータ入力に応じて情報提供を行うための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装置
US11216499B2 (en)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n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JP6162009B2 (ja) ユーザのデータ入力に応じて情報提供を行うための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24382B1 (ko)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5192447A1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和终端
WO2014159149A2 (en) Contextual socially aware local search
KR101867421B1 (ko) 소셜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업체 추천 방법 및 장치
JP2015060390A (ja) ユーザのデータ入力に応じて情報提供を行うためのサーバ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84225B1 (ko) 메신저의 대화 내용을 바탕으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WO2017028635A1 (zh) 一种信息处理系统、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KR101586482B1 (ko) 사용자 상태에 맞춘 검색결과 변환 방법 및 시스템
JP2015114527A (ja) ユーザのデータ入力に応じて情報提供を行うための端末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方法
KR20130104573A (ko) 형태소 기반 컨텐츠분류 방법 및 장치
KR102206289B1 (ko) 장소 검색 커버리지를 통합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5373482B2 (ja) 地理文書検索方法、地理文書検索システム及び地理文書検索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