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237B1 - Air Cleaner having Filters in Parallel-Structure - Google Patents

Air Cleaner having Filters in Parallel-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237B1
KR101624237B1 KR1020100109822A KR20100109822A KR101624237B1 KR 101624237 B1 KR101624237 B1 KR 101624237B1 KR 1020100109822 A KR1020100109822 A KR 1020100109822A KR 20100109822 A KR20100109822 A KR 20100109822A KR 101624237 B1 KR101624237 B1 KR 101624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intake
body portion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48272A (en
Inventor
정회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237B1/en
Publication of KR20120048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2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2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41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18Air cleaners acting by absorption or adsorption; trapping or removing vapours or liquids, e.g. originating from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16Fixing, mounting, supporting or arranging filter elements; Filter element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클리너 내부에 배치되는 먼지를 포집하는 흡기필터와 연료 증발가스를 흡착시키는 HC흡착필터를 서로 수평적인 병렬구조로 배치함으로써, 낮은 높이의 에어클리너를 형성하는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면이 개구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그 양 측이 개구되어 일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몸통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구;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통부를 통과한 공기가 연소실으로 공급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구; 공기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흡기필터; 및 상기 흡기필터와 수평적으로 배치되고, 공기를 통과시키며 연소가스를 흡착시키는 HC흡착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그 내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이루어진 제1격벽을 형성함으로써, 그 내부를 분할하며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격벽과 흡기구 사이에 흡기필터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수납되고, 상기 제1격벽과 배출구 사이에 HC흡착필터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수납되며, 상기 제1격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는 상기 흡기필터와 상기 HC흡착필터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흡기필터를 통과 후 상기 HC흡착필터를 통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having a filter of paralle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leaner provided with a parallel structure of an intake filter for collecting dust and an HC adsorption filter for adsorbing fuel vapor, To an air cleaner having a parallel-structured filter for forming an air cleaner of a low heigh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leaner comprising: a body portion including a body portion having an opened upper surface and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 body having an opening on both sides thereof to allow air to flow into one side; 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to the body portion;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ody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An intake filter for filtering impurities of air; And an HC adsorption filter disposed horizontally with the intake filter for allowing air to pass therethrough and adsorbing the combustion gas, wherein the body extends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HC adsorption filter to form a first partition wall spaced apart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uction port being accommod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uction filter can be detachably mounted therebetween and the HC adsorption filter detachably receiv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discharge port, The flow path formed by the first partition wall is positioned above the intake filter and the HC adsorption filter so that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is discharged through the HC adsorption filter through the exhaust filter after passing through the intake filter .

Description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 {Air Cleaner having Filters in Parallel-Structur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having a parallel-

본 발명은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클리너 내부에 배치되는 먼지를 포집하는 흡기필터와 연료 증발가스를 흡착시키는 HC흡착필터를 서로 수평적인 병렬구조로 배치함으로써, 낮은 높이의 에어클리너를 형성하는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having a filter of paralle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leaner provided with a parallel structure of an intake filter for collecting dust and an HC adsorption filter for adsorbing fuel vapor, To an air cleaner having a parallel-structured filter for forming an air cleaner of a low height.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동력원으로서 연료가 공급되어야 하지만, 공급된 연료가 제 기능을 발휘되기 위해서는 공급 연료가 잘 연소되도록 공기도 함께 자동차에 공급되어야 한다. 이때 자동차의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의 양은 승용차의 경우 가솔린 1ℓ당 5천∼1만ℓ라는 방대한 양이다. 하지만, 자동차로 공급되는 공기는 미세 먼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먼지를 제거하지 않고 공급할 경우 엔진의 실린더에 상처를 내거나, 엔진의 마모를 촉진시켜 엔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급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수단, 즉 에어클리너를 구비하여, 이를 통하여 공기 내부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먼지가 제거된 깨끗한 상태의 공기가 연소실에 공급되도록 한다.Generally, automobiles should be supplied with fuel as a power source, but in order for the supplied fuel to function, the air must be supplied to the vehicle together so that the supplied fuel is burned well. At this time, the amount of air sucked into the engine of the automobile is an enormous amount of 5,000 ~ 10,000 l per 1ℓ of gasoline. However, the air supplied to the vehicle contains fine dust, and when supplied without removing such dust, the cylinder of the engine is damaged, or the engine wear is promoted, resulting in shortening the life span of the engine. Therefore, generally, means for filtering the air supplied to the automobile, that is, an air cleaner, is provided to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thereby supplying clean air with clean dust to the combustion chamber.

상기와 같은 에어클리너는 흡기구와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세로로 길게 이루어진 몸통부를 통과하여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연소실로 공급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The air cleaner includes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d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passes through a vertically elongated body, and is supplied to a combustion chamber through an outlet formed in the upper portion.

또한, 상기 종랭의 에어클리너의 몸통부는 그 내부에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흡기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몸통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포집하는 기능을 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흡기필터는 다공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진 형상으로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흡기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먼지를 제거한다.The body of the blanket air cleaner includes an intake filter for removing dust, thereby collecting dust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ody. The intake filter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and is disposed inside the body in a corrugated shape as shown, thereby removing dust from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take filter.

이와함께, 연소실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특히 증발가스 규제가 강화된 지역에서는 HC흡착 필터를 추가적으로 더 구비함으로써, 연소실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evaporation ga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general, particularly in the region where the regulation of the evaporation gas is strengthened, an HC adsorption filter is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the evaporation ga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s discharged prevent.

상기 HC흡착 필터는 카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엔진 정지시 엔진 내부의 연료 증발가스가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포집하는 기능을 하며, 엔진이 구동되면 포집된 HC가스는 HC흡착 필터에서 분리되어 상기 엔진으로 재유입되어 연소시킴으로써, 증발가스량을 감소시킨다.The HC adsorption filter includes a carbon layer and collects the fuel evaporation gas inside the engine when the engine is stopped, so as not to flow out through the intake port. When the engine is driven, the collected HC gas passes through the HC adsorption filter And is re-introduced into the engine and burned,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evaporated gas.

도 1은 종래의 에어클리너(100)를 도시하고 있다.FIG. 1 shows a conventional air cleaner 100.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에어클리너(100)는 세로로 길게 이루어진 몸통부(101), 상기 몸통부(101)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흡기구(102) 및 상기 몸통부(101)의 상단에 형성된 배출구(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부(101)의 내부에는 흡기필터(104)와 상기 흡기필터(104)의 상부에 나란히 배치된 HC흡착필터(105)가 직렬로 배치되어 일반적으로 탈장착이 불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The conventional air cleaner 100 includes a body 101 having a long length, an air inlet 102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101, and an air outlet 102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101, And an HC adsorption filter 105 arranged in parallel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ake filter 104 is disposed in the body 101 in the body portion 101. The HC adsorption filter 105, Is impossible.

따라서, 상기 흡기구(10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상기 몸통부(101)를 따라 통과하여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103)로 빠져나가는데, 이때, 상기 흡기필터(104)와 상기 HC흡착필터(105)를 차례로 통과하여 지나가며 내부에 먼지가 걸러짐으로써, 깨끗한 공기가 연소실로 유입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연소실로부터 생성된 연소가스는 상기 배출구(103)를 통하여 상기 몸통부(101)로 유입되는데, 이러한 연소가스는 상기 HC흡착필터(105)에 의하여 흡착되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102 passes along the body 101 and escapes to the exhaust port 103 formed at the upper part. At this time, the intake filter 104 and the HC adsorption filter 105, So that clean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flows into the body 101 through the exhaust port 103. The combustion gas is adsorbed by the HC adsorption filter 105 so as not to escape to the outsid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클리너(100)는 차량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따라, 또는, 차량 장착 구조상 에어클리너의 높이를 낮춰야 하는 경우, 상기 몸통부(101)의 높이를 장착 구조에 맞게 낮춰야 하기 때문에, 상기 흡기필터(104)와 상기 HC흡착필터(105)의 상하로 이루어진 직렬 배치를 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 cleaner 100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vehicle, or to lower the height of the air cleaner on the vehicle mounting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height of the body 101 to fit the mounting structur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orm a series arrangement of the intake filter 104 and the HC adsorption filter 105 up and down.

또한, 만일 낮아진 몸통부(101)의 높이에도 불구하고, 상기 흡기필터(104) 및 HC흡착필터(105)를 상하의 수직적 직렬구조로 구성을 하게되면, 상기 HC흡착필터(105)의 상부에 공간이 부족하게 되어 공기 흐름이 나빠지며, 이로 인하여 엔진 출력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If the intake filter 104 and the HC adsorption filter 105 are vertically arranged in series in spite of the lowered height of the body 101,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ir flow is deteriorated and the engine output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클리너의 내부 필터 구조에 있어서, 에어클리너 내부 공간을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공간에 먼지를 포집하는 흡기필터와 연료 증발가스를 흡착시키는 HC흡착필터를 서로 수평적인 병렬구조로 배치함으로써, 에어클리너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nal filter structure of an air cleaner, in which an internal space of an air cleaner is divided, and an intake filter for collecting dust in each divided space and an HC adsorp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leaner provided with a parallel-structured filter capable of reducing the height of the air cleaner by disposing the filters in a horizontal parallel structure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면이 개구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그 양 측이 개구되어 일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몸통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구;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통부를 통과한 공기가 연소실으로 공급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구; 공기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흡기필터; 및 상기 흡기필터와 수평적으로 배치되고, 공기를 통과시키며 연소가스를 흡착시키는 HC흡착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그 내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이루어진 제1격벽을 형성함으로써, 그 내부를 분할하며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격벽과 흡기구 사이에 흡기필터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수납되고, 상기 제1격벽과 배출구 사이에 HC흡착필터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수납되며, 상기 제1격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는 상기 흡기필터와 상기 HC흡착필터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흡기필터를 통과 후 상기 HC흡착필터를 통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air cleaner provided with a filter of a parallel structure, the air cleaner comprising: a body portion including a body portion having an opened upper surface and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to the body portion;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ody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An intake filter for filtering impurities of air; And an HC adsorption filter disposed horizontally with the intake filter for allowing air to pass therethrough and adsorbing the combustion gas, wherein the body extends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HC adsorption filter to form a first partition wall spaced apart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uction port being accommod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uction filter can be detachably mounted therebetween and the HC adsorption filter detachably receiv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discharge port, The flow path formed by the first partition wall is positioned above the intake filter and the HC adsorption filter so that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is discharged through the HC adsorption filter through the exhaust filter after passing through the intake filter .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격벽과 상기 흡기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그 하단이 상기 몸체부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이루어진 제2격벽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격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는 상기 흡기필터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rtition wall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inlet port and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lower end spaced apart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flow path formed by the second partition wall is located below the intake filter.

또한, 상기 HC흡착필터는 상기 제1격벽과 배출구 사이 위치의 커버부에 탈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C adsorption filter is detachably attached to a cover portion between the first bank and the discharge por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에어클리너 내부의 흡기필터와 HC흡착필터를 상하의 직렬로 배치시키지 않고, 서로 나란히 병렬로 배치함으로써, 에어클리너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에어클리너가 배치될 장착구조에 따라 몸통부의 상부 공간을 좁게 형성할 수 있 효과가 있다.The overall height of the air cleaner can be reduced by disposing the intake filter and the HC adsorption filter in the air cleaner in parallel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ithout arranging the intake filter and the HC adsorption filter in seri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formed.

또한, 몸통부의 내부를 흡기필터와 HC흡기필터를 장착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흡기필터와 HC흡기필터를 병렬로 배치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가 병렬로 배치된 흡기필터와 HC흡기필터를 차례로 통과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종래의 에어클리너 보다 공기의 유동을 좋게 할 수있고, 따라서 공기의 흡압을 향상시킴으로써 엔진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dividing the inside of the body into a space capable of mounting an intake filter and an HC intake filter, and arranging the intake filter and the HC intake filter in parallel, the intake air and the HC intake filter, Thu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low of air over the air cleaner of the related art, thereby improving the suction pressure of the air, thereby improving the engine output.

도 1은 종래의 에어클리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HC흡착필터가 몸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HC흡착필터가 커버부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1 shows a conventional air cleaner.
2 is a plan view showing an air cleaner having a parallel-structured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ir cleaner having a parallel-structured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HC adsorption filter is housed in the body part.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HC adsorption filter is attached to the cover por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를 나타내는 측단면을 나타낸다.FIG. 2 shows an air cleaner having a parallel-structured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cleaner having a parallel-structured fil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는 흡기구(10), 배출구(20) 및 몸통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 air cleaner having a parallel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ir inlet 10, an air outlet 20, and a body 30.

상기 흡기구(10)는 차량의 외부 공기를 차량의 연소실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흡입하는 개구부로서, 몸통부(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통부(3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수단이다.The intake port 10 is an opening for sucking air to supply the outside air of the vehicle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vehicle an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30 to form a passage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body 30 .

상기 배출구(20)는 상기 몸통부(30)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로써, 상기 몸통부(30)의 일측에 형성된 흡기구(10)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몸통부(30)를 통과하여 타측에 도착하면, 상기 배출구(20)를 통하여 차량의 연소실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20)의 말단은 차량의 연소실에 연결된다.The exhaust port 20 is an opening formed in the other side of the body 30 so that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10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30 passes through the body 30, The exhaust port 20 functions as a passage for supplying the exhaust gas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vehicle. Thus, the end of the discharge port 20 i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vehicle.

상기 몸통부(30)는 양측이 개구되어 상기 흡기구(10)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공기를 통과시키며, 후술할 흡기필터(50) 및 HC흡착필터(60)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body 30 is open at its both sides to allow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10 to pass therethrough and accommodate therein an intake filter 50 and an HC adsorption filter 60 to be described later.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몸통부(30)는 하나 이상의 힌지수단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상면이 개구된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31)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커버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몸통부(30)는 상기 커버부(32)를 열어 그 내부에 수납된 흡기필터(50)와 HC흡착필터(60)를 교체하도록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ody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31 having an opened upper surface and a cover portion 32 for clo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1,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one or more hinge means . Due to such a structure, the body 30 opens the cover 32 to replace the intake filter 50 and the HC adsorption filter 60 housed therein.

또한, 상기 몸통부(30)에 내부공간은 상기 몸체부(31)의 내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격벽에 의하여 분할된다. 상기 격벽은 상기 흡기구(10)와 상기 배출구(20)로 이어지는 유로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막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격벽은 상기 몸통부(30)의 내부의 일부를 완전히 밀폐하지 않도록 상기 격벽의 일부를 개방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격벽에 의하여 분할된 공간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몸통부(30)로 공기가 유입 되었을 때, 유입된 공기는 상기 격벽에 의하여 차단되어 진행하지 못하고, 상기 격벽의 연장된 말단부에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흘러가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30 is divided by at least one partition formed in the body 31.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low path leading to the inlet port (10) and the outlet port (20), and functions to prevent air flow. At this time, the partition wall may be formed by opening a part of the partition wall so as not to completely seal part of the inside of the body 30,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space divided by the partition due to the structure. Therefore, when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body 30, the introduced air is blocked by the partition wall,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is flowed to the extended end of the parti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몸체부(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벽(40) 및 제2격벽(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격벽(40)은 몸체부(31)의 내부의 저면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31)의 상면(형성되지 않은 가상의)과 소정구간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1격벽(40)은 상기 몸체부(31)의 내부를 분할하여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제1격벽(40)에 의하여 형성된 유로에 의하여 상기 흡기구(1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흡기필터(50)쪽으로 유입될 때 상기 몸체부(31)의 상부를 따라 유입되도록 유도된다. The body portion 31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40 and a second partition wall 41 as shown. At this time, the first partition wall 40 extend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1 and extends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imaginary not formed) of the body portion 3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ccordingly, the first partition wall 40 divides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31 to form an air flow path, and flows in from the inlet port 10 by the flow path formed by the first partition wall 40, Is introduced to flow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1) when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ake filter (50).

반면에, 상기 제2격벽(41)은 몸체부(31)의 내부에 상기 제1격벽(40)과 흡기구(1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2격벽(41)은 상기 몸체부(31)의 상부에 형성되며, 그 하단은 상기 몸체부(31)의 저면과 소정구간 이격되도록 이루짐으로써, 그 내부를 분할하여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흡기필터(50)를 통과한 공기가 HC흡착필터(60)를 통과하기 위하여 유입될 때 상기 몸체부(31)의 저면을 따라 유입되도록 유도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artition 41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40 and the inlet 10 in the body 31. The second partition wall 4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1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41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introduced to flow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1 w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take filter 50 is introduced to pass through the HC adsorption filter 60.

상기 제1격벽(40) 및 상기 제2격벽(41)의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흡기구(10)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수평적인 병렬구조로 배치된 흡기필터(50)와 HC흡착필터(60)를 차례로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Due to the structur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40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41,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0 flows through the HC adsorption filter 60 and the intake filter 50 arranged in a horizontal parallel structure, In ord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31)의 내부에 격벽이 하나만 형성될 경우, 상기 격벽은 그 양측에 흡기필터(50)와 HC흡착필터(60)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는 상기 상기 흡기필터(50)와 상기 HC흡착필터(60)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기구(1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흡기필터(50)와 HC흡착필터(60)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ly one partition wall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31, the partition wall define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ntake filter 50 and the HC adsorption filter 60 on both sides thereof The passage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ake filter 50 and the HC adsorption filter 60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10 is sucked into the intake filter 50 and the HC adsorption filter 60, Filter 60 in order.

한편, 상기 몸통부(30)는 그 외부에 차체에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 또는 체결수단과, 상기 커버부(32)를 상기 몸체부(31)에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가 적용될 차량의 구조 및 상기 커버부(32)와 몸체부(31)의 결합 구조에 따라 달라지며, 공지의 수단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body 30 may include a bracket or fastening means for coupling the body 30 to the vehicle body and a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cover 32 to the body 31.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to which the air cleaner having the filter of the parall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ver portion 32 and the body portion 31 are known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흡기필터(50)는 상기 몸체부(31)의 흡기필터(50)챔버 내에 수납되는 수단으로서, 상기 흡기구(10)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기필터(50)는 다공성 소재의 주름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흡기필터(50)는 미세한 구멍을 다수 포함한 다공성의 특성에 의하여 외부공기를 통과시키며, 먼지들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필터링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흡기필터(50)는 공기를 통과시킬 때 표면적을 최대한 넓게 하기 위하여 주름진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의 불순물을 최대한 여과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intake filter 50 serves to remove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flowing through the intake port 10 as a means for being stored in a chamber of the intake filter 50 of the body portion 31. Preferably, the intake filter 50 has a corrugated shape of a porous material. Therefore, the intake filter 50 functions to filter the outside air through the porous property including a plurality of fine holes and prevent the dust from passing through. The intake filter 50 is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in order to maximize the surface area when passing air, so that impuritie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are filtered to the maximum.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기필터(50)는 상기 몸체부(31)의 제1격벽(40)과 흡기구(10)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에어클리너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여과된 불순물들이 필터층 또는 흡기필터(50)챔버 내부에 쌓일 수 있으므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하도록 수납된다.
Preferably, the intake filter 50 is fix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40 of the body part 31 and the intake port 10, and when the air cleaner is continuously used, the filtered impurities are introduced into the filter layer or the intake filter 50) chambers, so that they can be removably attach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replaced.

HC흡착필터(60)는 상기 몸체부(31)의 HC흡착필터(60)챔버 내에 수납되어 연소실으로부터 증발되어 상기 배출구(20)로 유입되는 증발가스를 흡착하여 차단하고, 엔진이 구동되어 상기 흡기필터(50)챔버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흡착된 증발가스를 분리하여 다시 연소실으로 재유입시키는 기능을 한다. The HC adsorption filter 60 is accommodated in a chamber of the HC adsorption filter 60 of the body part 31 and is evaporat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to adsorb and block the evaporation gas flowing into the exhaust port 20, When air flows in from the chamber of the filter 50, the adsorbed evaporated gas is separated and re-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상기 HC흡착필터(60)는 예를 들어, 다수의 홀을 갖는 타공형태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연소가스를 용이하게 흡착할 수 있도록 활성탄소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HC흡착필터(6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연소가스를 용이하게 흡착할 수 있는 공지의 어떠한 수단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The HC adsorption filter 6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perforated sheet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may include activated carbon or the like to easily adsorb a combustion gas. However, the HC adsorption filter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known means capable of easily adsorbing the combustion gas can be us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HC흡착필터(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1)의 제1격벽(40)과 배출구(20)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C흡착필터(60)가 상기 몸통부(30)의 커버부(32)에 고정되며, 상기 커버부(32)가 상기 몸체부(31)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서로 겹합되면 상기 HC흡착필터(60)는 상기 제1격벽(40)과 배출구(20)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C adsorption filter 60 is detachably fix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40 and the discharge port 20 of the body portion 31, as shown in FIG. 4, 5, the HC adsorption filter 60 is fixed to the cover part 32 of the body part 30, and the cover part 32 of the body part 30 is fixed to the cover part 32. In this case, The HC adsorption filter 60 is disposed at a position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40 and the discharge port 20 when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members 32 and 32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o seal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1.

바람직하게는 상기 HC흡착필터(60)는 상기 배출구(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것은 상기 배출구(20)로부터 유입되는 증발가스가 상부로 올라가기 때문이며, 상기 증발가스가 상기 HC흡착필터(60)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흡기챔버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상기 HC흡착필터(60)는 실제로는 공기를 통과시키며, 증발가스를 흡착하도록 이루어진다.
Preferably, the HC adsorption filter 60 is positioned above the discharge port 20. This is because the evaporated gas introduced from the discharge port 20 is raised to the top and the evaporated gas is not introduced into the intake chamb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HC adsorption filter 60. Therefore, the HC adsorption filter 60 is actually made to pass air and adsorb the evaporation gas.

이상으로 본 발명의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no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흡기구 20: 배출구
30: 몸통부 31: 몸체부
32: 커버부 40: 제1격벽
41: 제2격벽 50: 흡기필터
60: HC흡착필터
10: inlet port 20: outlet port
30: body part 31: body part
32: cover part 40: first partition
41: second partition 50: intake filter
60: HC adsorption filter

Claims (3)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면이 개구된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31)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32)를 포함하고, 그 양 측이 개구되어 일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몸통부(30);
상기 몸체부(3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31)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구;
상기 몸체부(31)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통부(30)를 통과한 공기가 연소실으로 공급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구(20);
공기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흡기필터(50); 및
상기 흡기필터(50)와 수평적으로 배치되고, 공기를 통과시키며 연소가스를 흡착시키는 HC흡착필터(6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31)는 그 내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31)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이루어진 제1격벽(40)을 형성함으로써, 그 내부를 분할하며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격벽(40)과 흡기구(10) 사이에 흡기필터(5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수납되고,
상기 제1격벽(40)과 배출구(20) 사이 위치의 커버부(32)에 HC흡착필터(6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수납되며,
상기 제1격벽(40)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는 상기 흡기필터(50)와 상기 HC흡착필터(6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흡기구(10)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흡기필터(50)를 통과 후 상기 HC흡착필터(60)를 통하여 배출구(2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31)는 상기 제1격벽(40)과 상기 흡기구(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31)의 상부에 형성되며, 그 하단이 상기 몸체부(31)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이루어진 제2격벽(41)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격벽(41)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는 상기 흡기필터(5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구조의 필터를 구비한 에어클리너.
In the air cleaner,
A body portion 30 including a body portion 31 having an opened upper surface and a cover portion 32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1 and having both sides opened to allow the air to be introduced into one side to pass therethrough;
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part 31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to the body part 31;
An outlet 2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31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ody 30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An intake filter (50) for filtering impurities of air; And
And an HC adsorption filter (60) disposed horizontally with the intake filter (50) for passing air and adsorbing the combustion gas,
The body 31 has a first partition wall 40 extending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31 and spaced apart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31,
An intake filter (50) is accommodat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40) and the intake port (10)
An HC adsorption filter 60 is detachably received in the cover portion 32 locat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40 and the discharge port 20,
The flow path formed by the first partition wall 40 is located above the intake filter 50 and the HC adsorption filter 60 so that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10 flows into the intake filter 50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HC adsorption filter 60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
The body portion 3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40 and the inlet port 10 and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1.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31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1 The second partition wall 41 is formed so as to form an air flow path to the inlet,
And the flow path formed by the second partition wall (41) is located below the intake filter (5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109822A 2010-11-05 2010-11-05 Air Cleaner having Filters in Parallel-Structure KR1016242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822A KR101624237B1 (en) 2010-11-05 2010-11-05 Air Cleaner having Filters in Parallel-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822A KR101624237B1 (en) 2010-11-05 2010-11-05 Air Cleaner having Filters in Parallel-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72A KR20120048272A (en) 2012-05-15
KR101624237B1 true KR101624237B1 (en) 2016-05-25

Family

ID=46266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822A KR101624237B1 (en) 2010-11-05 2010-11-05 Air Cleaner having Filters in Parallel-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2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1488B (en) * 2015-08-31 2020-11-10 福特环球技术公司 Inductive system including a passively adsorbing hydrocarbon trap
KR20210150754A (en) * 2020-06-04 2021-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ir cleane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72A (en)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4078B2 (en) Air cleaner filte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operating in extreme weather conditions
KR101624237B1 (en) Air Cleaner having Filters in Parallel-Structure
US6521008B1 (en) Air filter for filtering induced ai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of motor vehicles
KR101336468B1 (en) Filtration device for use with a fuel vapor recovery system
KR101619900B1 (en) Air cleaner for vehicle
JP4419259B2 (en) Air clean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1138347A (en) Fume extracting type environment protection frying pan
JP5021738B2 (en) Fuel tank used in automobiles
KR101567883B1 (en) Air cleaning apparatus for vehicles
JP2006152890A (en) Oil separating structur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786567B2 (en) Dust filter
RU2474722C1 (en) Adsorber of fuel vapours recovery system
KR101197198B1 (en) Air cleaner
CN211202082U (en) Novel filtering respirator
KR100482858B1 (en) Air filter for canister
CN218871659U (en) Turbine oil fume purification device
CN211777766U (en) Engine air intake system and tipper
CN212881543U (en) Cement kiln hood exhaust device
KR100778563B1 (en) Air-Cleaner
CN219942171U (en) Dry-type filtering assembly of waste gas adsorption tank
KR200394129Y1 (en) Air cleaner filter
KR20190128314A (en) Filter element and air cleaner for vehicle having same
KR20050045501A (en) Dust collector
KR0172169B1 (en) Automobile resonator with the function of air cleaning
KR101324381B1 (en) Air Filter Apparatus for Fuel Tank i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