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448B1 -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448B1
KR101623448B1 KR1020150021839A KR20150021839A KR101623448B1 KR 101623448 B1 KR101623448 B1 KR 101623448B1 KR 1020150021839 A KR1020150021839 A KR 1020150021839A KR 20150021839 A KR20150021839 A KR 20150021839A KR 101623448 B1 KR101623448 B1 KR 101623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rminal
detec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민
이정은
김진화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이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이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이믹스
Priority to KR102015002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입력단에 검출용 전원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인가부; 및 상기 입력단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검출부는, 가변 저항의 저항값 변화에 따른 신호 크기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입력단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가 개시된다.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단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의 연결 여부를 확인한 후 채널 스캐닝이 실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시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TENNA OR CABLE-LINE CONNECTION US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방송 수신 장치는, 각 채널별로 스캐닝(Scanning)하여 신호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채널 각각에 대해 신호 존재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이러한 방송 신호를 포함하는 채널을 스캐닝하는 것에 의해, 지상파 방송 정보 또는 위성 방송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방송 정보와 채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채널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채널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단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각 채널별로 스캐닝을 할 경우, 사용자의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0344호(전류 검출회로를 이용한 안테나 연결 인식 시스템, 이하 '종래발명')에는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신호와는 별도로 안테나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 전류 검출회로를 이용한 안테나 연결 인식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발명에 따르면,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신호와는 별개로 안테나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판단하여 안테나의 연결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안테나의 수신모듈과는 무관하게, 안테나만의 수신 불량에 대한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발명의 경우에는, 안테나에 별도 전원을 인가하여 항상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인지라 전력소모도 예상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단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의 연결 여부를 확인한 후 채널 스캐닝이 실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시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의 연결 여부 검출을 위해 별도의 전원을 인가하되, 별도 전원에 의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입력단에 검출용 전원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인가부; 및 상기 입력단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부는, 가변 저항의 저항값 변화에 따른 신호 크기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입력단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가변 저항이 제 1 저항값일 경우의 신호 크기인 제 1 검출값 및 상기 가변 저항이 제 2 저항값일 경우의 신호 크기인 제 2 검출값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 1 검출값과 상기 제 2 검출값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상기 차이값이 일정값 이하일 경우, 상기 입력단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인가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한 상기 입력단의 임피던스 변화의 검출 개시 이전에 상기 검출부에 상기 검출용 전원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한 상기 입력단의 임피던스 변화의 검출 완료 후에는 상기 검출부와 상기 검출용 전원 신호를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신호 인가부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채널 스캐닝 개시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채널의 스캐닝 개시 이전에 자동으로 상기 검출부에 상기 검출용 전원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검출부에 의한 상기 입력단의 임피던스 변화의 검출 결과, 상기 입력단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스캐닝이 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은, (a) 입력단에 검출용 전원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b) 상기 입력단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완료 후에 상기 입력단과 상기 검출용 전원 신호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b) 단계는, (b-1) 가변 저항의 저항값 변화에 따른 신호 크기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1) 단계는, (b-1-1) 상기 가변 저항이 제 1 저항값일 경우의 신호 크기인 제 1 검출값을 검출하는 단계; 및 (b-1-2) 상기 가변 저항이 제 2 저항값일 경우의 신호 크기인 제 2 검출값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b-2) 상기 제 1 검출값과 상기 제 2 검출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b-3) 상기 (b-2) 단계에서 산출된 차이값이 일정값 이하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4) 상기 (b-3)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b-2) 단계에서 산출된 차이값이 일정값 이하일 경우, 상기 입력단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은, 상기 (b) 단계의 상기 입력단의 임피던스 변화의 검출 결과, 상기 입력단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스캐닝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채널 스캐닝 개시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단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의 연결 여부를 확인한 후 채널 스캐닝이 실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시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의 연결 여부 검출을 위해 별도의 전원을 인가하되, 별도 전원에 의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S300 단계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000)의 구성도이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000)는, 신호 인가부(100) 및 검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호 인가부(100)는, 입력단(IN)에 검출용 전원 신호(110)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단(IN)에는 방송 수신 장치(1000)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이 연결되게 된다.
검출용 전원 신호(110)로는 일정 크기의 임의의 신호를 사용하거나 방송 수신 장치(1000) 내부에서 발생하는 누설(Leakage)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스위치(120)는, 입력단(IN)과 검출용 전원 신호(110) 사이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검출부(200)는, 입력단(IN)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검출부(200)는, 가변 저항(210), 검출기(220), 판단기(230) 및 제어기(240)를 포함한다.
가변 저항(210)은 입력단(IN)과 접지(Ground) 사이, 바람직하게는 입력단(IN)과 AC 그라운드와의 사이에 연결되며, 제어기(240)의 제어 정보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기(220)는, 입력단(IN)과 연결되어 가변 저항(210)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신호 크기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검출기(220)의 신호 크기를 검출하는 지점은, 가변 저항(210)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전압값이 변화하는 노드를 예로 들 수 있다. 판단기(230)는, 검출기(220)의 정보를 입력받아 가변 저항(210)의 저항값 변화에 따른 신호 크기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입력단(IN)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입력단(IN)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의 연결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제어기(240)는 신호 인가부(100) 및 가변 저항(210), 검출기(220) 및 판단기(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0)가 채널 스캐닝(Scanning) 개시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기(240)는 신호 인가부(100)의 스위치(120)를 온(ON)하는 것에 의해 입력단(IN)에 검출용 전원 신호(110)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채널 스캐닝 개시 요청 신호는 사용자의 리모콘 등의 조작에 의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기(240)는 가변 저항(210)을 제 1 저항값(R1)으로 조정한 후, 검출기(220)가 제 1 저항값(R1)에서의 신호 크기인 제 1 검출값(A)을 검출한다. 다음으로 제어기(240)는 가변 저항(210)을 제 2 저항값(R2)으로 조정한 후, 검출기(220)가 제 2 저항값(R2)에서의 신호 크기인 제 2 검출값(B)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저항값(R1)은 가변 저항(210)의 출력 저항값 중 최대 저항값이고, 제 2 저항값(R2)은 가변 저항(210)의 출력 저항값 중 최소 저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판단기(230)는, 제 1 검출값(A)과 제 2 검출값(B)의 차이값(D)을 산출하여, 차이값(D)이 일정값 이하일 경우, 입력단(IN)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제 1 검출값(A)과 제 2 검출값(B)의 차이값(D)이 일정값 이하라는 것은, 가변 저항(210)과 병렬로 연결된 저항이 존재하여 가변 저항(210)의 저항값 조정에도 전체 저항값은 많이 변경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국 병렬로 연결된 저항으로서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이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판단기(230)에 의한 판단이 완료되면, 제어기(240)는 판단 정보를 입력받아 방송 수신 장치(1000)의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는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을 방송 수신 장치(1000)에 연결 후, 채널 스캐닝으로 재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기(240)는 판단기(230)로부터 판단 정보를 수신하면, 신호 인가부(100)의 스위치(120)를 오프(OFF), 즉 입력단(IN)과 검출용 전원 신호(110)를 분리하도록 신호 인가부(10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10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검출부(200)에 의한 입력단(IN)의 임피던스 변화의 검출 개시 이전에 검출부(200)와 검출용 전원 신호(110)를 연결하고, 검출부(200)에 의한 입력단(IN)의 임피던스 변화의 검출 완료 후에는 검출부(200)와 검출용 전원 신호(110)의 연결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1000)가 채널 스캐닝 개시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채널의 스캐닝 개시 이전에 자동으로 검출용 전원 신호(110)가 검출부(200)와 연결되어 신호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검출부(200)에 의한 입력단(IN)의 임피던스 변화의 검출 결과, 입력단(IN)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1000)의 채널 스캐닝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000)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은,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1000)가 채널 스캐닝 개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0), 입력단(IN)에 검출용 전원 신호(110)를 인가하는 단계(S200), 입력단(IN)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S300) 및 S300 단계의 완료 후에 입력단(IN)과 검출용 전원 신호(110)를 분리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즉, S200 단계는,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1000)가 채널 스캐닝 개시 요청 신호를 수신(S100)한 경우,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채널 스캐닝 개시 요청 신호는 사용자의 리모콘 등의 조작에 의한 제어 신호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S200 단계는,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1000)가 채널 스캐닝 개시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S300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300 단계는, 가변 저항(210)의 저항값 변화에 따른 신호 크기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S310)을 포함한다. S310 단계는, 가변 저항(210)이 제 1 저항값일 경우의 신호 크기인 제 1 검출값을 검출하는 단계(S311) 및 가변 저항(210)이 제 2 저항값일 경우의 신호 크기인 제 2 검출값을 검출하는 단계(S3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저항값은 가변 저항(210)의 출력 저항값 중 최대 저항값이고, 제 2 저항값은 가변 저항(210)의 출력 저항값 중 최소 저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S300 단계는, 제 1 검출값과 제 2 검출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S320) 및 S320 단계에서 산출된 차이값이 일정값 이하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 아울러, S300 단계는, S330 단계의 판단 결과 S320 단계에서 산출된 차이값이 일정값 이하일 경우 입력단(IN)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340) 및 S330 단계의 판단 결과 S320 단계에서 산출된 차이값이 일정값 초과일 경우 입력단(IN)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3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은, S300 단계의 입력단(IN)의 임피던스 변화의 검출 결과, 입력단(IN)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1000)의 채널 스캐닝을 개시하는 단계(S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1000) 및 그 방송 수신 장치(1000)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1000)의 입력단(IN)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의 연결 여부를 확인한 후 채널 스캐닝이 실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시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의 연결 여부 검출을 위해 별도의 전원을 인가하되, 별도 전원에 의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1000 :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
100 : 신호 인가부 200 : 검출부
110 : 검출용 전원 신호 120 : 스위치
210 : 가변 저항 220 : 검출기
230 : 판단기 240 : 제어기
IN : 입력단

Claims (14)

  1.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입력단에 검출용 전원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인가부; 및
    상기 입력단과 AC 그라운드와의 사이에 연결된 가변 저항의 저항값 변화에 따른 신호 크기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입력단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검출부는, 상기 가변 저항이 제 1 저항값일 경우의 신호 크기인 제 1 검출값 및 상기 가변 저항이 제 2 저항값일 경우의 신호 크기인 제 2 검출값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검출값과 상기 제 2 검출값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상기 차이값이 일정값 이하일 경우, 상기 입력단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신호 인가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한 상기 입력단의 임피던스 변화의 검출 개시 이전에 상기 검출부에 상기 검출용 전원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한 상기 입력단의 임피던스 변화의 검출 완료 후에는 상기 검출부와 상기 검출용 전원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채널 스캐닝 개시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채널의 스캐닝 개시 이전에 자동으로 상기 검출부에 상기 검출용 전원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검출용 전원 신호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누설(Leakage) 신호를 사용하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검출부에 의한 상기 입력단의 임피던스 변화의 검출 결과, 상기 입력단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스캐닝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에 있어서,
    (a) 입력단에 검출용 전원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b) 상기 입력단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완료 후에 상기 입력단과 상기 검출용 전원 신호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입력단과 AC 그라운드와의 사이에 연결된 가변 저항의 저항값 변화에 따른 신호 크기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1) 단계는,
    (b-1-1) 상기 가변 저항이 제 1 저항값일 경우의 신호 크기인 제 1 검출값을 검출하는 단계; 및
    (b-1-2) 상기 가변 저항이 제 2 저항값일 경우의 신호 크기인 제 2 검출값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2) 상기 제 1 검출값과 상기 제 2 검출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b-3) 상기 (b-2) 단계에서 산출된 차이값이 일정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4) 상기 (b-3)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b-2) 단계에서 산출된 차이값이 일정값 이하일 경우, 상기 입력단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의 상기 입력단의 임피던스 변화의 검출 결과, 상기 입력단에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스캐닝이 개시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채널 스캐닝 개시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검출용 전원 신호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누설(Leakage) 신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021839A 2015-02-12 2015-02-12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 KR101623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39A KR101623448B1 (ko) 2015-02-12 2015-02-12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39A KR101623448B1 (ko) 2015-02-12 2015-02-12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448B1 true KR101623448B1 (ko) 2016-05-23

Family

ID=5610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839A KR101623448B1 (ko) 2015-02-12 2015-02-12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086A (ko) * 2016-09-28 2018-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3956A1 (en) * 2005-06-01 2006-12-07 Denso Corporation Antenna connection detecting device and vehicle navigation device
JP2009081506A (ja) * 2007-09-25 2009-04-16 Funai Electric Co Ltd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装置のアンテナ接続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3956A1 (en) * 2005-06-01 2006-12-07 Denso Corporation Antenna connection detecting device and vehicle navigation device
JP2009081506A (ja) * 2007-09-25 2009-04-16 Funai Electric Co Ltd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装置のアンテナ接続検出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086A (ko) * 2016-09-28 2018-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8062731A1 (ko) * 2016-09-28 2018-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223822B2 (en) 2016-09-28 2022-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KR102600986B1 (ko) * 2016-09-28 202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7764B2 (ja) 音声映像信号伝送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方法
CN101951446B (zh) 经由音频/视频插头连接到电子设备的外围设备的检测、识别和操作
CN104618796A (zh) 一种调节音量的方法及显示设备
US20100007327A1 (en) Measurement apparatus, test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EP2797346B1 (en) Detection circuit
CN109326244B (zh) 屏幕亮度调节方法、装置及终端设备
JP2011114660A (ja) プラグの種別を判定する方法及びプラグ判定回路
KR101623448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수신 장치의 안테나 또는 케이블선 연결 여부 검출 방법
CN111896884B (zh) 充电检测方法及装置
US8416349B2 (en) Broadcast reception device and antenna connection detection method for broadcast reception device
CN108052305B (zh) 音量调节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126416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JP2003274491A (ja) スピーカ断線検出装置
US20160087807A1 (en) Network port and ethernet device integrating powered device and power sourcing equivalent in a port
JP4554969B2 (ja) 自動調整システム、自動調整装置及びゲイン調整方法
JP4656072B2 (ja) 受信装置
KR20090030524A (ko) 영상기기 및 그의 정전기 제거방법
JP2016054485A (ja) 表示装置及び接続機器のサーチ方法
CN107483855B (zh) 电视音频控制方法、电视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821719B2 (ja) 表示装置及び接続機器のサーチ方法
CN112773498B (zh) 射频操作安全控制装置和射频主机
CN109604869B (zh) 焊接装置外接附件设备识别装置及其方法
CN105592274A (zh) 机顶盒声道混合选择电路及方法
US7868713B2 (en) Impedance matching circuit and impedance matching system employing the impedance matching circuit
JP4979438B2 (ja) 火災検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