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088B1 - 이지알 쿨러 - Google Patents

이지알 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088B1
KR101623088B1 KR1020150051758A KR20150051758A KR101623088B1 KR 101623088 B1 KR101623088 B1 KR 101623088B1 KR 1020150051758 A KR1020150051758 A KR 1020150051758A KR 20150051758 A KR20150051758 A KR 20150051758A KR 101623088 B1 KR101623088 B1 KR 101623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outlet
exhaust gas
body cell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스
Priority to KR102015005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088B1/ko
Priority to PCT/KR2016/002576 priority patent/WO201616747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22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with coolers in the recirculation passage
    • F02M26/29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olers, e.g. pipes, plates, ribs, insulation or materials
    • F02M26/32Liquid-cooled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zig-zag b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28F1/04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polygonal, e.g. rectang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지알 쿨러는, 냉각수가 유출입되는 바디셀; 플레이트형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되,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부가 폭방향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가스유입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유턴하여 유출되는 가스유출부가 폭방향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바디셀 내에서 상하 적층구조로 장착되는 다수 개의 가스튜브; 상기 가스튜브의 유출입구가 위치되는 상기 바디셀의 일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유출입플랜지; 및 상기 바디셀의 타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유출부의 횡단면은 상기 가스유입부의 횡단면보다 높이는 높고 폭은 좁게 형성되며, 이웃하는 두 개의 가스유입부 간격은 이웃하는 두 개의 가스유출부 간격보다 넓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지알 쿨러는, 가스유입부 측의 배기가스 속도가 높아져 가스튜브 내의 배기가스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웃하는 가스유입부 사이로 보다 많은 양의 냉각수가 흐르게 되어 배기가스 냉각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 냉각수가 가스튜브 사이를 흐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와류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되어 진동 및 소음이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지알 쿨러 {EGR cooler}
본 발명은 배기가스 재순환시스템(EGR:Exhaust Gas Recirculation, 이하 '이지알' 이라 함)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냉각수로 냉각시키는 이지알 쿨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배기가스가 흐르는 가스튜브가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스튜브 사이의 냉각수 흐름에 와류가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이지알 쿨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지알(EGR: Exhaust Gas Recirculation)은 배기가스의 일부를 다시 흡기계로 재순환시켜 흡입공기 중의 CO2 농도를 증대시켜 연소실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이에 의해 NOx를 저감시키는 시스템이다.
한편, NOx 발생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기는 약 79%의 질소와 21%의 산소 및 기타 미량의 원소로 구성되어 있다. 상온에서 질소와 산소는 서로 반응을 일으키지 않지만 고온(약 1450℃이상)에서는 서로 반응을 하여 질소산화물(thermal NOx)이 된다. 특히 디젤엔진은 압축착화방식으로 연소를 일으키며 실린더의 재질 발달로 인해 압축비가 점점 더 높아져 연소실의 온도가 높아지고 있다. 연소실 온도의 상승은 열역학적 엔진 효율을 증대시키지만, 고온으로 인한 질소산화물이 다량 발생을 하고 있다. 이러한 질소산화물은 지구환경을 파괴하는 주요 유해물질로써, 산성비, 광학스모그, 호흡기 장애 등을 일으킨다.
이지알에 의한 NOx 저감 원리는 첫째 불활성가스(수증기, 이산화탄소 등) 재순환에 의해 연소실 최고온도를 낮추는 것이며, 둘째 희박연소에 의해 질소산화물 생성분위기를 방지하는 것이며, 세째 고비열 냉각 불활성 가스 투입으로 인한 점화진각 지연 및 연소실 국부 최고온도 및 압력을 낮추는 것이다. 한편, 디젤기관에서 이지알(EGR)에 의한 NOx 저감 메커니즘은 가솔린과는 달리 산소농도 저감이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연구와 이에 반론하여 화염온도 감소가 원인이라는 연구가 보고되었다. 현재로서는 어느 것이 옳은지에 대한 결론은 제시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산소농도와 화염온도의 NOx 저감 기여도는 동일한 수준인 것으로 최근 보고되고 있다.
이지알 쿨러가 설치된 이지알은 디젤엔진의 배기규제가 엄격해지면서 연비와 PM의 증가없이 NOx를 저감시키는 방법으로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냉각기(쿨러)를 설치함으로서 비교적 적은 투자로서 NOx저감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치이다.
이 경우에 이지알 쿨러는 700℃ 정도의 배기가스 온도를 150℃~200℃까지 냉각시켜야 하므로 내열성 재질이어야 하며,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기 위해 콤팩트하게 설계되어야 하며, 적절한 EGR량을 공급하기 위해 압력강하가 최소화되어야 하며, 열교환 중 배기가스로부터 응축이 발생하며 연료의 황성분 때문에 응축수에 황산이 포함되어 부식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방식성 재료이어야 하며, 배기가스의 맥동영향으로 기계적 부하가 작용하므로 일정의 기계적 강도가 있어야 하며, 배기가스의 입자상물질(PM) 등이 통로 내부를 막을 수 있어 파울링(fouling)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이지알(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매니폴드(3)를 통하여 배기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매니폴드(2)로 재순환시켜 NOx의 발생을 저감시키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배기가스의 재순환 경로 도중에는 이지알 쿨러(4)가 설치되고, 도 1에 예시된 이지알 쿨러(4)는 배기가스를 냉각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셀앤튜브(shell & tube)형 열교환기가 적용되며, 도 1의 이지알 쿨러(4)는 배기가스가 한 방향으로만 통과하는 1-패스형 직선튜브(straight-tube, 1-패스)의 열교환기가 적용된다. 그리고, 셀 유체로서 엔진(10)의 냉각수가 사용되고,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관(7in)에서 유입되어 냉각수 유출관(7out)로 유출되며, 튜브 유체로 배기가스가 사용되고, 배기가스는 배기매니폴드(3)에서 연장된 우측 관로(6in)를 통해 유입되고, 흡기매니폴드(2)로 연장되는 좌측 관로(6out)로 유출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은 연소실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2 및 도 3에는 배기가스가 두 방향으로 통과하는 2-패스 직선튜브(straight-tube, 2-패스)의 열교환기 구조가 적용된 이지알 쿨러(4)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지알 쿨러(4)는 바디셀(4a)과, 이 바디셀(4a) 내에 설치된 다수의 유입 튜브(inlet tube, 5in) 및 다수의 유출 튜브(outlet tube, 5out)를 포함하고, 유입 튜브(5in) 및 유출 튜브(5out)는 원형 단면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디셀(4a)의 내부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 튜브(inlet tube, 5in)에 의해 형성된 배기가스의 유입영역(4b) 및 배기가스가 유출되는 다수의 유출 튜브(outlet tube, 5out)에 의해 형성된 배기가스의 유출영역(4c)으로 구분되며, 엔진의 냉각수는 바디셀(4a)측에 설치된 유입구(7in) 및 유출구(7out)를 통해 유입 및 유출된다.
바디셀(4a)의 일단에는 배기가스가 유입 및 유출되는 개구(12a, 12b)를 가진 플렌지(6)가 설치되고, 바디셀(4a)의 타단에는 유 플로 캡(13, U-Flow Cap)이 설치된다. 플렌지(6)의 개구(12a, 12b)는 구획바(12)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2a) 및 배기가스가 유출되는 유출구(12b)가 형성되고, 이러한 유입구(12a) 및 유출구(12b)에 대응하여 유입 튜브(5in)와 유출튜브(5out)로 구분된다.
이 플렌지(6)의 개구(12a, 12b) 측에는 이지알 밸브(미도시)가 설치되고, 이지알 밸브(미도시)는 유입구(12a) 및 유출구(12b)를 개폐한다.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유입구(12a)를 통해 유입되면, 배기가스는 유입 튜브(5in)를 통과한 후에 유 플로 캡(13,U-Flow Cap) 내에서 유턴하여 유출 튜브(5out)를 통과하고, 배기가스 유출구(12b)를 통해 유출된다. 유출된 배기가스는 도 1의 흡기매니폴드(2)와 연결되는 우측 관로(6out)로 유입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이지알 쿨러는 복 플랜지(6)의 구획바(12)가 개구의 중앙부에 배치됨으로써 플랜지(6)의 유입구(12a) 및 유출구(12b)의 면적이 균등하게 설정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지알 쿨러 및 본 출원인의 선출원들은 배기가스의 유입구(12a) 및 유출구(12b)가 균등하게 설정되면 유출구(12b) 후단의 가스 유동속도가 현저히 저감됨에 따라 냉각성능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지알 쿨러에 포함되는 튜브에는 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두 개의 튜브의 돌출부가 상호 결합될 때에는 상기 돌출부가 맞닿도록 결합되는데, 튜브 사이로 냉각수가 흐를 때 상기 돌출부 후단에서 와류가 발생되어 냉각수 유동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KR 10-0823654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가스튜브 내의 배기가스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스유입부 측의 배기가스 속도가 높아질 수 있고, 이웃하는 가스유출부 사이로 보다 많은 양의 냉각수가 흐르도록 하여 가스튜브 전체에 걸쳐 고르게 배기가스가 냉각될 수 있고, 냉각수가 가스튜브 사이를 흐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와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지알 쿨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지알 쿨러는, 냉각수가 유출입되는 바디셀; 플레이트형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되,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부가 폭방향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가스유입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유턴하여 유출되는 가스유출부가 폭방향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바디셀 내에서 상하 적층구조로 장착되는 다수 개의 가스튜브; 상기 가스튜브의 유출입구가 위치되는 상기 바디셀의 일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유출입플랜지; 및 상기 바디셀의 타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유출부의 횡단면은 상기 가스유입부의 횡단면보다 높이는 높고 폭은 좁게 형성되며, 이웃하는 두 개의 가스유입부 간격은 이웃하는 두 개의 가스유출부 간격보다 넓게 구성된다.
상기 가스유입부와 가스유출부는, 바닥면 높이는 동일하고 천정면 높이는 상이하도록 형성된다.
상하로 이웃하는 두 개의 가스튜브는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가 상호 접촉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는 수평단면 형상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스유입부 내부에는 유입측 열전달핀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가스유출부 내부에는 유출측 열전달핀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유입측 열전달핀과 상기 유출측 열전달핀은 수평형상이 물결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출입플랜지는, 상기 가스유입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가스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유출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가스유출홀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셀의 상면에는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가스튜브의 돌출부와 맞닿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셀의 저면에는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가스튜브의 돌출부와 맞닿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지알 쿨러는, 가스유입부 측의 배기가스 속도가 높아져 가스튜브 내의 배기가스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웃하는 가스유입부 사이로 보다 많은 양의 냉각수가 흐르게 되어 배기가스 냉각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 냉각수가 가스튜브 사이를 흐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와류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되어 진동 및 소음이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기가스 재순환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이지알 쿨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W-W선을 따라 절단된 종래의 이지알 쿨러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지알 쿨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지알 쿨러에 포함되는 가스튜브 적층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지알 쿨러에 포함되는 유입측 열전달핀과 유출측 열전달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가스튜브 표면을 따라 흐르는 냉각수 유동방향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지알 쿨러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지알 쿨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지알 쿨러에 포함되는 가스튜브 적층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지알 쿨러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저온의 냉각수와 열전달시켜 일정 수준 냉각시킨 후 배기가스 재순환시스템(EGR:Exhaust Gas Recirculation)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서, 냉각수가 유출입되는 바디셀(100)과, 상기 바디셀(100) 내부에 장착되며 내측으로 배기가스가 유출입되는 다수 개의 가스튜브(200)와, 상기 가스튜브(200)의 유출입구가 위치되는 상기 바디셀(100)의 일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유출입플랜지(400)와, 상기 바디셀(100)의 타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마감캡(500)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튜브(200)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부(210)와 배기가스가 유출되는 가스유출부(220)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디셀(100) 내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된다.
가스유입부(210)로 유입된 고온의 배기가스는, 마감캡(500) 주변에서 유턴된 후 가스유출부(220)를 통해 유출되는 동안 상기 바디셀(100) 내부를 흐르는 냉각수와 열전달 과정을 거침으로써 일정 수준 냉각된다. 이때 가스유입부(210)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비교적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지만, 마감캡(500) 주변에서 유턴된 후 가스유출부(220)를 통해 유출될 때에는 배기가스의 유동압이 저하되어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유출되지 아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지알 쿨러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가스유출부(220)의 횡단면은 상기 가스유입부(210)의 횡단면에 비해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상 즉, 높이는 높고 폭은 좁게 형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흐르는 유로는, 횡단면의 넓이가 동일하더라도 횡단면 형상이 정사각형에 가까울수록 유체와 유로 내벽 간의 접촉면적이 좁아지는바, 유체와 유로 간의 마찰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유체가 보다 원활하게 흐르게 된다. 따라서 유동압이 어느 정도 저하된 배기가스가 흐르는 가스유출부(220)가 정사각형에 가까운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면, 횡단면 형상이 얇은 직사각형을 이루는 가스유입부(210)에 비해 배기가스와의 마찰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배기가스가 보다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스유출부(220)를 통해 유출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이 빨라지면, 가스튜브(200)를 지나는 배기가스의 유동이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배기가스 냉각성능이 개선된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가스유입부(210)의 횡단면과 가스유출부(220)의 횡단면을 모두 정사각형으로 형성하면 배기가스 유동을 최대한 원활하게 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가스튜브(200)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높아지면 이웃하는 두 개의 가스튜브(200) 간격이 좁아져 냉각수 유량이 감소되는바, 배기가스 냉각효율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때, 가스튜브(200)의 높이를 높이면서 이웃하는 두 개의 가스튜브(200) 간격을 넓히면 배기가스 유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냉각수 유량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이지알 쿨러의 전체 높이가 현저히 증가되어 장착공간이 매우 넓게 요구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가스튜브(200)는, 폭방향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에 가스유입부(210)가 위치되고 폭방향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 가스유출부(220)가 위치되되, 가스유출부(220)의 두께가 가스유입부(210)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가스유출부(220)의 폭이 가스유입부(21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가스유출부(220)의 두께가 가스유입부(2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면, 이웃하는 두 개의 가스유입부(210) 간격은 비교적 넓게 확보되므로 이웃하는 두 개의 가스유입부(210) 사이로 보다 많은 양의 냉각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가스유입부(210)에서의 배기가스 냉각률이 더욱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스튜브(200)는 기성 제작되어 있던 사각파이프 모재의 우측을 가압하는 공정을 통해 가스유입부(210)와 가스유출부(220)가 구분되도록 제작될 수 있는데, 상기 사각파이프 모재의 우측 바닥면과 천정면을 모두 가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그나 가압장치가 요구되는바 가스튜브(200)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튜브(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유입부(210)와 가스유출부(220)의 바닥면 높이는 동일하고 가스유입부(210)와 가스유출부(220)의 천정면 높이는 상이하도록(더 명확하게는 가스유입부(210)의 천정면 높이가 낮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 가스튜브(200)가 형성되는 경우, 사각파이프 모재를 작업대 상에 올려두고 가스유입부(210)의 상부만을 하향 가압하는 공정만으로 가스유입부(210)와 가스유출부(220)를 구분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스튜브(200)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스튜브(200)의 배기가스 유출입 측을 덮는 유출입플랜지(400)는 가스유입부(210)로 배기가스가 유입될 수 있고 가스유출부(220)를 통해 배기가스가 유출될 수 있도록, 가스유입부(210)에 대응되는 부위와 가스유출부(220)에 대응되는 부위에 가스유입홀(410)과 가스유출홀(420)이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가스유입홀(410)과 가스유출홀(420)이 개별적으로 형성되지 아니하고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가스유입홀(410)과 가스유출홀(420)이 일체로 연결되면 가스유입부(21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와 가스유출부(220)로부터 유출되는 배기가스 간의 충격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가스유입홀(410)과 가스유출홀(420)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하로 이웃하는 두 개의 가스튜브(200)는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230)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결합된다. 이때,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가스튜브(200)가 바디셀(100)의 천정면에 결합되고,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가스튜브(200)가 바디셀(100)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셀(100)의 상면과 저면에는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가스튜브(200)의 돌출부(230)와 맞닿는 오목부(110)와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가스튜브(200)의 돌출부(230)와 맞닿는 오목부(110)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지알 쿨러에 포함되는 유입측 열전달핀(310)과 유출측 열전달핀(320)의 사시도이다.
가스튜브(200) 내부를 흐르는 배기가스의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가스튜브(200) 외벽에 전달될 수 있도록, 가스유입부(210) 내부와 가스유출부(220) 내부에는 유입측 열전달핀(310)과 유출측 열전달핀(320)이 각각 삽입 설치된다. 이때 가스튜브(200)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지 아니하더라도 각 열전달핀의 표면을 타고 흐르는 배기가스의 유로 길이가 증가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측 열전달핀(310)과 유출측 열전달핀(320)은 수평형상이 물결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입측 열전달핀(310)과 유출측 열전달핀(320)이 물결형상으로 형성되면, 각 열전달핀을 타고 흐르는 배기가스는 열전달핀의 형상에 따라 물결패턴으로 유동되는바, 사익 배기가스 유동거리를 보다 길게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기가스 냉각률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유입측 열전달핀(310)과 유출측 열전달핀(320)의 곡률은, 배기가스의 유속 및 압력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가스튜브(200) 표면을 따라 흐르는 냉각수 유동방향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가스튜브(200)는, 이웃하는 두 개의 가스튜브(200) 사이에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과 저면에 돌출부(2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230)가 종래의 이지알 쿨러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면, 가스튜브(200) 사이로 흐르는 냉각수가 상기 돌출부(230)를 지나면서 와류를 형성하게 되어 냉각수 유동이 불균일해질 뿐만 아니라, 기포나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지알 쿨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튜브(200)의 상면과 저면에 형성되는 돌출부(230)의 수평단면 형상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230)가 유선형 평면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튜브(200) 사이로 흐르던 냉각수가 상기 돌출부(230)를 지날 때 와류가 발생되지 아니하는바, 냉각수가 균일하게 유동될 뿐만 아니라, 기포나 소음, 진동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바디셀 110 : 오목부
200 : 가스튜브 210 : 가스유입부
220 : 가스유출부 230 : 돌출부
310 : 유입측 열전달핀 320 : 유출측 열전달핀
400 : 유출입플랜지 410 : 가스유입홀
420 : 가스유출홀 500 : 마감캡

Claims (6)

  1. 냉각수가 유출입되는 바디셀;
    플레이트형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되,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부가 폭방향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가스유입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유턴하여 유출되는 가스유출부가 폭방향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바디셀 내에서 상하 적층구조로 장착되는 다수 개의 가스튜브;
    상기 가스튜브의 유출입구가 위치되는 상기 바디셀의 일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유출입플랜지; 및
    상기 바디셀의 타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마감캡;
    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유출부의 횡단면은 상기 가스유입부의 횡단면보다 높이는 높고 폭은 좁게 형성되며, 이웃하는 두 개의 가스유입부 간격은 이웃하는 두 개의 가스유출부 간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알 쿨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입부와 가스유출부는, 바닥면 높이는 동일하고 천정면 높이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알 쿨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하로 이웃하는 두 개의 가스튜브는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가 상호 접촉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는 수평단면 형상이 유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알 쿨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입부 내부에는 유입측 열전달핀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가스유출부 내부에는 유출측 열전달핀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유입측 열전달핀과 상기 유출측 열전달핀은 수평형상이 물결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알 쿨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출입플랜지는,
    상기 가스유입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가스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유출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가스유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알 쿨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셀의 상면에는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가스튜브의 돌출부와 맞닿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셀의 저면에는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가스튜브의 돌출부와 맞닿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알 쿨러.
KR1020150051758A 2015-04-13 2015-04-13 이지알 쿨러 KR101623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758A KR101623088B1 (ko) 2015-04-13 2015-04-13 이지알 쿨러
PCT/KR2016/002576 WO2016167477A1 (ko) 2015-04-13 2016-03-15 이지알 쿨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758A KR101623088B1 (ko) 2015-04-13 2015-04-13 이지알 쿨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088B1 true KR101623088B1 (ko) 2016-05-23

Family

ID=5610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758A KR101623088B1 (ko) 2015-04-13 2015-04-13 이지알 쿨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3088B1 (ko)
WO (1) WO201616747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495A (ko) * 2017-04-14 2018-10-25 주식회사 코렌스 바디셀 보강돌부를 구비하는 이지알 쿨러
US10113515B1 (en) 2017-04-28 2018-10-30 Hyundai Motor Company Water cooled EGR cooler
KR20190073957A (ko) * 2017-12-19 2019-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쿨러
KR20200040200A (ko) * 2018-10-05 2020-04-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리브 열교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654B1 (ko) 2007-10-02 2008-04-21 주식회사 코렌스 이지알 쿨러
JP2011196620A (ja) 2010-03-19 2011-10-06 Toyota Industries Corp 沸騰冷却式熱交換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815A (ko) * 2007-12-10 2009-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쿨러구조
JP5203759B2 (ja) * 2008-03-19 2013-06-05 株式会社ティラド 熱交換器
KR101423656B1 (ko) * 2012-08-24 2014-07-25 주식회사 한국쿨러 배기가스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654B1 (ko) 2007-10-02 2008-04-21 주식회사 코렌스 이지알 쿨러
JP2011196620A (ja) 2010-03-19 2011-10-06 Toyota Industries Corp 沸騰冷却式熱交換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495A (ko) * 2017-04-14 2018-10-25 주식회사 코렌스 바디셀 보강돌부를 구비하는 이지알 쿨러
KR102047390B1 (ko) * 2017-04-14 2019-11-21 주식회사 코렌스 바디셀 보강돌부를 구비하는 이지알 쿨러
US10113515B1 (en) 2017-04-28 2018-10-30 Hyundai Motor Company Water cooled EGR cooler
KR20190073957A (ko) * 2017-12-19 2019-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쿨러
KR102463206B1 (ko) * 2017-12-19 2022-11-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쿨러
KR20200040200A (ko) * 2018-10-05 2020-04-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리브 열교환기
KR102197279B1 (ko) * 2018-10-05 2021-01-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리브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7477A1 (ko)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654B1 (ko) 이지알 쿨러
US7077190B2 (en) Exhaust gas heat exchanger
US8069905B2 (en) EGR gas cooling device
KR101623088B1 (ko) 이지알 쿨러
KR100774347B1 (ko) 배기 가스 냉각 장치
US20170370329A1 (en) Vehicular egr cooler
KR100814071B1 (ko) 이지알 쿨러
KR100814073B1 (ko) 플라스틱형 이지알 쿨러
US6976530B2 (en) Exhaust heat exchanger
KR101977894B1 (ko) 가스튜브 지지용 배플을 구비하는 이지알 쿨러
KR20090103405A (ko) 자동차용 egr 쿨러
US10837708B2 (en) Plate type heat exchanger for exhaust gas
KR101758215B1 (ko) 이지알 쿨러용 웨이브핀
JPH1113549A (ja) Egrクーラ
KR101839494B1 (ko) 바디셀 지지돌기를 구비하는 이지알 쿨러
JP2016023550A (ja) コルゲートフィン式熱交換器
KR101793198B1 (ko) 예냉각 구간을 구비하는 이지알 쿨러
JP6409560B2 (ja) エンジンの吸気構造
JP6413746B2 (ja) インタークーラ
JP6944432B2 (ja) 熱交換器
KR101857045B1 (ko) 이지알 쿨러용 가스튜브
JP6459497B2 (ja) エンジンの吸気構造
KR101825120B1 (ko) 냉각수 유동성이 개선된 이지알 쿨러
KR20180116495A (ko) 바디셀 보강돌부를 구비하는 이지알 쿨러
KR101304473B1 (ko) 차량용 이지알 쿨러의 방열핀 유닛 고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이지알 쿨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