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034B1 -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 - Google Patents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034B1
KR101623034B1 KR1020150142739A KR20150142739A KR101623034B1 KR 101623034 B1 KR101623034 B1 KR 101623034B1 KR 1020150142739 A KR1020150142739 A KR 1020150142739A KR 20150142739 A KR20150142739 A KR 20150142739A KR 101623034 B1 KR101623034 B1 KR 101623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individual filter
individual
chambers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성민
구태훈
한기용
박규열
정대화
윤칠석
Original Assignee
(주)옥천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옥천당 filed Critical (주)옥천당
Priority to KR1020150142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006Coating of the granules without description of the process or the device by which the granules are obta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16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suspending the powder material in a gas, e.g. in fluidised beds or as a falling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lanulating (AREA)

Abstract

시드원료 및 첨가원료를 유동실 내부에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부양된 상태로 체류시켜 목적과립을 생산하는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은, 시드원료 및 첨가원료를 유동실에서 부양된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유동실 상부에 배치되는 백 필터부를 이용하여 유동실 내부 공기를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유동실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2 이상의 개별필터 챔버를 포함하는 백 필터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개별필터 챔버를 유동실과 연통시킨 상태에서 개별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개별필터 챔버를 유동실과 차단하는 단계; 및 유동실과 차단된 개별필터 챔버의 개별필터를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개별필터 챔버의 개별필터를 교체하는 동안에도 적어도 하나의 개별필터 챔버를 유동실과 연통된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유동실 내부 공기의 지속적인 외부 배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OPERATING METHOD OF FLUIDIZED BED GRANULATOR AND THE FLUIDIZED BED GRANULATOR}
본 발명은 과립 생산을 위한 유동층 과립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설계된 크기의 목적과립을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유동층 과립기에 관한 것이다.
유동층 과립기는 액체의 분말이나 과립화, 분말의 과립화, 약물 성분의 피복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기로서, 크게 일괄 방식 유동층 과립기(batch type fluidized bed granulator), 연속 방식 유동층 과립 프로세스(continuous type fluidized bed granulation process), 및 플라우쉐어 믹서/드라이어(ploughshare mixer/dryer) 등으로 분류되며, 특히 일괄 방식 유동층 과립기는 과립 및 코팅과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지며, 과립 크기 조정이 용이하여 식품, 제약 제품 생산에 주로 사용되고, 더 세부적으로 상부, 하부, 및 탄젠트 스프레이 방식으로 나뉜다.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 방식을 살펴보면, 공기압에 의해서 액체, 분말, 및 과립이 유동화되는 유동층 내에서 건조 및 설계된 사양의 입자 직경 및 조성비의 과립이 생산된다.
구체적으로, 유동실 내부에 먼저 분말 혹은 원형 과립을 일정량 투입하여 유동층을 형성하고, 유동실 내부에 설치된 노즐을 이용하여 유동실로 액상재료를 분무하여, 스프레이 드라이어의 건조품과 형상이 유사한 입자를 생산한다. 최초 투입된 분말이나 과립, 및 액상재료 등을 유동실 내부에 유동상태로 체류시킴으로써 액상재료에 의한 입자끼리의 접착(바인더 역할), 피복이 반복된다. 그 결과 서서히 입자 직경이 커지며, 가동을 계속하여 설계된 원형 과립의 크기 및 함량에 도달하도록 한다.
한편, 유동실 내의 과립이 설계된 직경에 도달할 때까지 이를 유동상태로 유지하거나 건조 목적으로 유동실로 강한 공기가 유입되는데, 유동실 내부로 지속적인 공기 유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유동실 상부에는 유동실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백 필터부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백 필터부에 유동실 내부의 미세한 분말이나, 액상재료가 흡착되어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 유동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이 떨어지고, 이에 설계된 크기에 도달하지 못한 과립이 유동실 하부에 낙하된 상태로 서로 뭉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당함량이 높은 식물성 추출물이나, 생약 추출물, 및 한약탕제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한방과립을 생산하는 경우, 원료 자체의 점도가 높아 과립 생산 중에 유동 시간이 대략 10시간 이상으로, 5시간 미만의 일반적인 양약 보다 훨씬 길며, 이에 과립기 가동 중에 백 필터를 교환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다만, 과립기 가동 중에 필터 교환은 가동 자체를 멈춰 생산 시간의 지연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나 설계된 직경 수준 이하의 과립들이 유동실 하부에서 덜 건조된 상태로 뭉쳐버리는 등의 품질 저하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개번호; 10-2011-0051841)를 참고하면, 고온의 공기로 유동시켜 원료를 건조하는 유동층 건조기가 개시되며, 유동층 과립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나 명칭에 대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동층 내에서 과립의 체류 시간을 안정적이며 지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동층 내의 분진을 걸러내는 백 필터의 교체 시에도 가동 중단이 발생하지 않는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백 필터의 교체 시에도 유동층 내의 시드원료 및 첨가원료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당함량이 높은 식물성 추출물이나, 생약 추출물, 및 한약탕제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한방과립을 생산하는 경우에 가동 시간이 비교적 길어 백 필터의 교환이 자주 일어나는 한방과립 생산에 특화된 유동층 과립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립기 몸체(110) 내부의 유동실(112)에 제공되는 시드원료의 성장을 위한 첨가원료가 첨가원료 분사부(120)에 의해서 상기 유동실로 분사되면서 상기 시드원료에 점착되어 목적과립을 생산하되, 상기 유동실 하부에서 상기 유동실 상부를 향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분사부(130)에 의해서 상기 시드원료 및 상기 첨가원료가 상기 유동실 하부에서 상부로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상호 점착되어 상기 목적과립을 생산하는 유동층 과립기(100)의 가동방법은, 상기 시드원료 및 상기 첨가원료를 상기 유동실 내부에서 상하로 순환시키는 동안 상기 유동실 상부에 배치되는 백 필터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유동실 내부 공기를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상기 유동실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2 이상의 개별필터 챔버(152)를 포함하는 상기 백 필터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개별필터 챔버를 상기 유동실과 항시 연통시킨 상태에서 개별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상기 개별필터 챔버를 상기 개별필터 챔버 하부에 배치되는 차단부재(160)를 이용하여 상기 유동실과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유동실과 차단된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개별필터를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개별필터 챔버의 개별필터를 교체하는 동안에도 적어도 하나의 개별필터 챔버를 유동실과 연통시킴으로써, 유동실 내부 공기의 지속적인 외부 배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백 필터의 교체 시에도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 중단 상황이 발생하지 않고, 이에 유동층 내에서 과립 원료의 체류 시간을 안정적이며 지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특히, 당함량이 높은 식물성 추출물이나, 생약 추출물, 및 한약탕제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한방과립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10시간 이상으로 가동시간이 비교적 길고, 점도가 높아 백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에 따르면 백 필터의 교체 상황에서도 과립 원료의 부양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이에 설계된 직경 미만의 과립이 유동실 하부에 적층되어 서로 뭉쳐버리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별필터 챔버의 개별필터를 교체하는 단계에서, 개별필터 챔버의 상부에서 개별필터 챔버의 출구를 개폐하는 챔버 개방부를 이용하여 개별필터 챔버 내부를 개방할 수 있으며, 개방된 내부에 배치된 개별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개별필터 챔버를 유동실과 차단하는 단계에서, 개별필터 챔버의 하부에서 개별필터 챔버의 입구를 개폐하는 차단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차단부재는 유동실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제공되며, 회전에 의해서 개별필터 챔버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개별필터 챔버를 유동실과 차단하는 단계에서, 차단부재는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개별필터 챔버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별필터 챔버를 유동실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하며, 개별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개별필터 챔버를 유동실과 차단하는 단계에서, 유동실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개별필터 챔버를 함께 차단함으로써, 유동실 내에서 부양된 상태로 체류하는 시드원료 및 첨가원료가 유동실에서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직경의 과립을 생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동실(112) 내부에 제공되는 시드원료의 성장을 위한 첨가원료가 상기 유동실 내부로 공급되면서 상기 시드원료 및 상기 첨가원료의 상호 점착에 의해서 목적과립을 생산하되, 상기 유동실 하부에서 상기 유동실 상부를 향하여 제공되는 압축공기에 의해서 상기 시드원료 및 상기 첨가원료가 상기 유동실 하부에서 상부로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상호 점착되어 상기 목적과립을 생산하는 유동층 과립기(100)는, 내부에 상기 유동실을 제공하는 과립기 몸체(110); 상기 유동실로 상기 첨가원료를 분사하는 첨가원료 분사부(120); 상기 유동실 하부에서 상기 유동실 상부를 향하여 상기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시드원료 및 상기 첨가원료를 상기 유동실 내부에서 상하로 순환시키며,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유동실로 분배하는 다공성 공기 분배판을 포함하는 압축공기 분사부(130); 및 상기 유동실 상부에서 상기 유동실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상기 유동실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2 이상의 개별필터 챔버(152)를 포함하는 백 필터부(150); 상기 개별필터 챔버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개별필터 챔버를 상기 유동실과 차단하는 차단부재(160)를 포함하며, 개별필터 챔버의 개별필터를 교체하는 동안에도 적어도 하나의 개별필터 챔버를 유동실과 연통시킴으로써, 유동실 내부 공기의 지속적인 외부 배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에서는 백 필터의 교체 시에도 적어도 하나의 개별필터 챔버를 유동실과 연통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 중단 상황이 발생하지 않고, 이에 유동층 내에서 과립 원료의 체류 시간을 안정적이며 지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가동시간이 비교적 길고, 점도가 높아서 설계된 직경 이하로 형성된 상태에서 백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는 한방과립을 생산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에서는 항시 과립 원료의 부양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된 직경 이하의 과립이 유동실 하부에서 뭉쳐버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에서는 또한, 개별필터 챔버를 유동실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하고, 교체가 필요한 개별필터 챔버 및 대칭으로 배치되는 개별필터 챔버를 함께 차단함으로써, 유동실 내에서 부양된 상태로 체류하는 시드원료 및 첨가원료가 유동실에서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직경의 과립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과립기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과립기에서 백 필터부 및 차단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따른 유동층 과립기에 적용될 수 있는 차단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백 필터부의 배치상태 및 차단부재의 차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과립기의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과립기에서 백 필터부 및 차단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유동층 과립기(100)는 과립기 몸체(110), 첨가원료 분사부(120), 압축공기 분사부(130), 파티션(140), 백 필터부(150), 및 차단부재(160)를 포함한다.
과립기 몸체(110)에는 내측으로 유동실(112)이 제공되며, 유동실(112)에는 설계된 직경이나 함량을 갖는 목적과립을 위한 분말이나 과립 상태의 시드원료가 제공될 수 있으며, 내부 확인을 위한 관찰 창이 제공될 수 있다.
첨가원료 분사부(120)는 유동실(112) 중심에 배치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드원료 간의 점착을 위한 바인더나 시드원료의 코팅 혹은 성장을 위한 첨가제 등을 분사 혹은 분무할 수 있다. 참고로, 분사노즐은 첨가원료가 저장된 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압축공기 분사부(130)는 유동실(112) 하부에서부터 유동실(112)을 향하여 강한 압력의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압의 공기에 의해서 유동실(112) 내부에 과립 원료들이 부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공기 분사부(130)는 압축공기 분사부(130) 및 유동실(112) 사이에 배치되어 유동실로 압축공기를 구배하는 다공성 공기 분배판(132)을 더 포함한다.
또한, 유동실(112) 내부에는 첨가원료가 분사되는 첨가원료 분사부(120) 주변 상부에 실린더 형상의 파티션(140)을 더 배치하는데, 파티션(140)은 그 내부에서 첨가원료와 시드원료가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으며, 파티션(140) 내부와 유동실(112) 하부와의 압력 차이를 크게 하여 과립 원료가 파티션(140) 내부로 이동하는 속도를 증가시키고, 유동실 상부로 이동하는 거리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참고로, 파티션 하단부는 유동실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제공되며, 상기 이격 공간 사이로 시드원료 및 첨가원료가 지속적으로 파티션 내측으로 이동하고, 다시 상승 기류에 의해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첨가원료 분사부로부터 배출되는 첨가원료와 접촉하면서 점차 설계된 목적과립의 직경이나 함량에 수렴하게 된다.
한편, 유동실(112) 내의 과립이 설계된 직경에 도달할 때까지 이를 유동상태로 유지하거나 건조 목적으로 유동실(112)로 압축공기 분사부(130)를 통해서 강한 공기가 유입되는데, 유동실(112) 내부로 지속적인 공기 유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유동실(112) 상부에는 유동실(112)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백 필터부(150)가 배치된다.
다만, 백 필터부(150)에 유동실(112) 내부의 미세한 분말이나, 액상재료가 흡착되어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 유동실(11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이 떨어지고, 이에 설계된 크기에 도달하지 못한 과립이 유동실(112) 하부에 낙하된 상태로 서로 뭉치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당함량이 높은 식물성 추출물이나, 생약 추출물, 및 한약탕제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한방과립을 생산하는 경우, 원료 추출물의 당도와 점도가 높아 과립 생산 중에 유동 시간이 대략 10시간 이상으로, 5시간 미만의 일반적인 양약 보다 훨씬 길며, 이에 유동층 과립기(100) 가동 중에 백 필터부의 필터를 교환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백 필터부(15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유동실(112)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2 이상의 개별필터 챔버(1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같은 높이에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개별필터 챔버(152)를 포함하며, 각각의 개별필터 챔버(152)는 배출덕트(151)에 병렬로 연결되며, 배출덕트(151)에는 유동실(112) 내의 공기를 강제로 흡기하기 위한 에어펌프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참고로, 식물성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 또는 한약탕제 추출물은 오랜 기간 섭취해온 경험이 확보되어 합성 의약품인 양약에 비해 낮은 독성을 나타내므로 안정성이 높은 의약품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부형제를 첨가한 산제, 과립제, 환제의 경우에는 부피가 크고, 쓰거나 떫은 맛으로 인하여 경구 섭취에 불쾌감이 있고, 부형제 함량이 높아서 1회 복용량이 높다.
또한, 생약 추출물 또는 한약탕제 추출물과 같은 식물성 추출물의 특성은 람노오스(rhamnose), 아라비노오스(arabinose), 갈락토스(galactose), 글루코스(glucose), 자일로스(xylose), 우론산(uronic acid), 만노스(mannose), 갈락투론산(galacturonic acid)등의 당류를 포함하는 탄수화물 함량이 절반 가까이로 높아 복용하기 편리한 고 함량의 제형화가 어렵다. 또한, 추출 건조된 생약 추출물 분말의 경우 농축된 당류 함량에 의한 심한 함습 발생으로 분말 취급이 어렵다.
이에 한방원료인 상기 추출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1 내지 4mm 크기의 원형 과립을 제조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과립기 및 가동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분 함량을 흡수하는 특성이 높아서 과립 성장이 어려운 한약환제의 경우에도 과립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과립기에서 생산이 유리한 환약환제의 성분비를 아래서 확인한다.
시드원료로는 유당 분말, 한약재 추출물의 분무 건조된 분말, 및 한약재 추출물 분말과 부형제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300~850㎛ 범위의 부정형 분말 또는 1 내지 2.5mm 크기의 알갱이를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목적하는 추출물 함량이 80% 이상인 다양한 크기의 원형 과립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고 당함량은 물론 중저 당함량 재료에서도 목적하는 직경과 함량의 원형과립과 환약을 생산하기 유리하며, 여기서 고 당함량 소재는 15 내지 25브릭스 농도의 추출물에 함유되는 고형물 기준으로 첨가제의 사용비율(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풀루란, 자당 지방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은 20%이하로 설정한다. 참고로, 중 당함량 소재는 20 내지 35 브릭스 농도의 추출물에 함유되는 고형물 기준으로 첨가제의 비율은 15% 이하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과립기(100)를 통해서 목적과립을 생산하기 위한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을 살펴본다.
먼저, 시드원료 및 첨가원료를 유동실(112)에서 부양된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유동실(112) 상부에 배치되는 백 필터부(150) 중 2개의 개별필터 챔버(152)를 모두 유동실(112)과 연통시킨 상태에서 유동실(112) 내부 공기를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시드원료와 첨가원료가 서로 뭉치면서 점차 설계된 목적과립의 직경이나 함량에 수렴하게 된다.
다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개별필터 챔버(152) 내에 배치된 개별필터에 분진의 흡착 등으로 인하여 개별필터의 공기 투과성이 점차 떨어질 수 있고, 교체가 필요한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별필터를 교체하여야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유동층 과립기(100)의 가동 정지 상황을 초래하지 않도록 모든 개별필터 챔버(152)를 유동실(112)과 차단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개별필터 챔버(152)를 유동실(112)과 항시 연통시킨 상태에서 개별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개별필터 챔버(152)를 유동실(112)과 차단한다. 그리고, 유동실(112)과 차단된 개별필터 챔버(152)의 개별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별필터 챔버(152) 상부에서 개별필터 챔버(152)의 출구를 개폐하는 뚜껑 형상의 챔버 개방부(114)를 이용하여 개별필터 챔버(152) 내부를 개방하고, 노출된 개별필터 챔버(152) 내의 개별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물론, 챔버 개방부는 반드시 개별필터 챔버 상부에 배치할 필요는 없으며, 측부 개방을 통해서도 내부 필터를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개별챔버와 연결되는 덕트가 개별챔버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차단부재(160)는 개별필터 챔버(152)의 하부에서 개별필터 챔버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차단부재(160)는 개별필터 챔버(152) 하부의 입구를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부재(160)는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개별필터 챔버(152)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구제적으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별필터 챔버(152) 입구 바로 아래에서 슬라이딩 하는 2개의 슬라이딩 플레이트(162)를 포함한다. 2개의 슬라이딩 플레이트(162)에는 관통 홀(1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에 대해서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62)의 이동 시 상하부의 관통 홀(164)이 서로 포개지면서 개별필터 챔버(152)의 입구와 유동실(112)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방법으로 개별필터 챔버의 입구를 개폐하는 차단부재가 사용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서로 기능이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고 있고, 이에 이해의 용이성과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단부재(160)는 개별필터 챔버(152)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플레이트(166)를 포함하며, 회전 플레이트(166)가 회전하면서 개별필터 챔버(152)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단부재(160)를 통해서 교체가 필요한 개별필터 챔버(152) 내의 개별필터를 교체하는 동안에도 적어도 하나의 개별필터 챔버(152)를 유동실(112)과 연통시킴으로써, 유동실(112) 내부 공기의 지속적인 외부 배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좌우로 총 2개의 개별필터 챔버가 배치되는 상황에서는 하나의 개별필터 챔버(152)를 차단하는 경우, 유동실(112) 내부에서 위아래로 순환하는 과립 원료들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게 되며, 이에 최종적으로 생산된 목적과립의 직경이 서로 미소하게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여, 생산된 목적과립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백 필터부의 배치상태 및 차단부재의 차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5에는 총 4개의 개별필터 챔버(152)를 갖는 백 필터부(150)가 도시되며, 도 6에는 총 6개의 개별필터 챔버(152)를 갖는 백 필터부(150)가 도시된다. 여기서, 각각의 개별필터 챔버(152)는 유동실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는 각각 4개 및 6개를 갖는 백 필터부(150)가 도시되나, 개별필터 챔버(152)의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유동실 중심을 기준으로 개별필터 챔버(152)는 대칭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참고로, 도 5 및 6에서 차단부재는 각각의 개별필터 챔버 하부에서 선택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배치되며, 음영 처리된 부분이 차단부재에 의해서 차단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5(a) 및 6(a)는 모든 개별필터 챔버가 개방된 상태, 도 5(b) 및 도 6(b)는 음영 처리된 부분이 차단된 상태이다.
따라서, 개별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개별필터 챔버(152)를 유동실과 차단하는 경우, 유동실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개별필터 챔버(152)를 함께 차단함으로써, 유동실 내에서 부양된 상태로 체류하는 시드원료 및 첨가원료가 유동실에서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생산된 목적과립의 직경이나 함량이 서로 거의 유사하며, 제품의 품질 향상으로 인한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유동층 과립기 110:과립기 몸체
112:유동실 120:첨가원료 분사부
130:압축공기 분사부 132:공기 분배판
140:파티션 150:백 필터부
152:개별필터 챔버 160:차단부재
162:슬라이딩 플레이트 166:회전 플레이트

Claims (12)

  1. 과립기 몸체(110) 내부의 유동실(112)에 제공되는 시드원료의 성장을 위한 첨가원료가 첨가원료 분사부(120)에 의해서 상기 유동실로 분사되면서 상기 시드원료에 점착되어 목적과립을 생산하되, 상기 유동실 하부에서 상기 유동실 상부를 향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분사부(130)에 의해서 상기 시드원료 및 상기 첨가원료가 상기 유동실 하부에서 상부로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상호 점착되어 상기 목적과립을 생산하는 유동층 과립기(100)의 가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드원료 및 상기 첨가원료를 상기 유동실 내부에서 상하로 순환시키는 동안 상기 유동실 상부에 배치되는 백 필터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유동실 내부 공기를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상기 유동실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2 이상의 개별필터 챔버(152)를 포함하는 상기 백 필터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개별필터 챔버를 상기 유동실과 항시 연통시킨 상태에서 개별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상기 개별필터 챔버를 상기 개별필터 챔버 하부에 배치되는 차단부재(160)를 이용하여 상기 유동실과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유동실과 차단된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개별필터를 교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개별필터를 교체하는 동안에도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개별필터 챔버를 상기 유동실과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유동실 내부 공기의 지속적인 외부 배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개별필터를 교체하는 단계에서,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상부에서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출구를 개폐하는 챔버 개방부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필터 챔버 내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필터 챔버를 상기 유동실과 차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하부에서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입구를 개폐하는 차단부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유동실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제공되며,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필터 챔버를 상기 유동실과 차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단부재는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개별필터 챔버를 상기 유동실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하며,
    개별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상기 개별필터 챔버를 상기 유동실과 차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유동실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상기 개별필터 챔버를 함께 차단함으로써,
    상기 유동실 내에서 부양된 상태로 체류하는 상기 시드원료 및 상기 첨가원료가 상기 유동실에서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7. 유동실(112) 내부에 제공되는 시드원료의 성장을 위한 첨가원료가 상기 유동실 내부로 공급되면서 상기 시드원료 및 상기 첨가원료의 상호 점착에 의해서 목적과립을 생산하되, 상기 유동실 하부에서 상기 유동실 상부를 향하여 제공되는 압축공기에 의해서 상기 시드원료 및 상기 첨가원료가 상기 유동실 하부에서 상부로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상호 점착되어 상기 목적과립을 생산하는 유동층 과립기(100)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유동실을 제공하는 과립기 몸체(110);
    상기 유동실로 상기 첨가원료를 분사하는 첨가원료 분사부(120);
    상기 유동실 하부에서 상기 유동실 상부를 향하여 상기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시드원료 및 상기 첨가원료를 상기 유동실 내부에서 상하로 순환시키며,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유동실로 분배하는 다공성 공기 분배판을 포함하는 압축공기 분사부(130); 및
    상기 유동실 상부에서 상기 유동실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상기 유동실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2 이상의 개별필터 챔버(152)를 포함하는 백 필터부(150);
    상기 개별필터 챔버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개별필터 챔버를 상기 유동실과 차단하는 차단부재(160);
    를 포함하며,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개별필터를 교체하는 동안에도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개별필터 챔버를 상기 유동실과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유동실 내부 공기의 지속적인 외부 배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과립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상부에서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출구를 개폐하는 챔버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과립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하부에서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과립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유동실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과립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개별필터 챔버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과립기.
  12.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개별필터 챔버는 상기 유동실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개별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상기 개별필터 챔버를 상기 유동실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상기 개별필터 챔버와 함께 차단함으로써,
    상기 유동실 내에서 부양된 상태로 체류하는 상기 시드원료 및 상기 첨가원료가 상기 유동실에서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과립기.
KR1020150142739A 2015-10-13 2015-10-13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 KR101623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739A KR101623034B1 (ko) 2015-10-13 2015-10-13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739A KR101623034B1 (ko) 2015-10-13 2015-10-13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034B1 true KR101623034B1 (ko) 2016-05-23

Family

ID=5610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739A KR101623034B1 (ko) 2015-10-13 2015-10-13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0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5094A1 (en) 2005-11-10 2009-06-11 Madison Filter 981 Limited Fluid bed dryer filters
JP2011005415A (ja) 2009-06-25 2011-01-13 Freund Corp 流動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5094A1 (en) 2005-11-10 2009-06-11 Madison Filter 981 Limited Fluid bed dryer filters
JP2011005415A (ja) 2009-06-25 2011-01-13 Freund Corp 流動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16107C (en) Process for drying and powderizing functional foods, nutraceuticals, and natural health ingredients
AU2006343009B2 (en) Agglome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gglomerated particles
US66959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ranules
CN105358244B (zh) 旋转干燥器星形结构和用于处理固体颗粒的方法
EP0570546B1 (en) Fluidized bed processor and method for granulating or coating a product in such a processor
JPH0342029A (ja) 造粒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造粒コーティング方法
KR101623038B1 (ko)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
Jones et al. Development, optimization, and scale-up of process parameters: Wurster coating
CN105890288A (zh) 一种喷雾制粒干燥装置
WO2012152258A1 (de)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behandlung von feststoffen in einem wirbelschichtapparat
CN102091566A (zh) 一步流化床制粒干燥设备
HU196717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uidization contacting materials
KR101683218B1 (ko)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
KR101623034B1 (ko)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
KR101812164B1 (ko) 공기 배리어 형성 구조가 구비된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
CN208990754U (zh) 一种连续喷雾制粒机
CN101249401B (zh) 一种造粒机
DE10146778B4 (de) Verfahren und Wirbelschichtanlage zur Herstellung von kompakten Feststoffpartikeln
EP1407814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mit Wirbelschichtanlage zur Herstellung von Granulaten
WO1989007978A1 (en) Fluidized bed installation, in particular for granulating a powder material
CN103702750B (zh) 用于处理颗粒状物质的设备
KR101623036B1 (ko)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
CN101698145B (zh) 一种流化床喷浆造粒连续生产方法
JPS5973036A (ja) 造粒コーチング装置
EP0047794B1 (de) Verfahren zur gleichmässigen, geschlossenen Oberflächenbeschichtung einzelner Körner von rieselfähigen Gütern und Vorrichtung zu seiner Durchführ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