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948B1 - Transferring device for works in greenhouse - Google Patents

Transferring device for works in green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948B1
KR101622948B1 KR1020150185184A KR20150185184A KR101622948B1 KR 101622948 B1 KR101622948 B1 KR 101622948B1 KR 1020150185184 A KR1020150185184 A KR 1020150185184A KR 20150185184 A KR20150185184 A KR 20150185184A KR 101622948 B1 KR101622948 B1 KR 101622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uxiliary wheel
auxiliary
work vehic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1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재
Original Assignee
이창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재 filed Critical 이창재
Priority to KR102015018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9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9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5/00Carriers for supporting persons when working in the field, e.g. while thinning bee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B51/00 - A01B75/0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vehicle for managing produce. More specifically, the work vehicle for managing produce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chair; a transport means to transport the main body; and a straight movement guide unit disposed on a front or a rear of the main body. The work vehicle automatically moves forwards or backwards along a furrow. When the work vehicle moves, the work vehicle is guided to move straight to provide a worker with a comfortable work position to improve work efficiency.

Description

농작물 관리용 작업차{TRANSFERRING DEVICE FOR WORKS IN GREENHOUS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농작물 관리용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의 밭고랑에서 직진성을 유지한 채로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편한 자세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농작물 관리용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vehicle for managing crop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 vehicle for managing crops, Management work vehicle.

일반적으로 노지나 비닐하우스 내에 밭두둑을 형성하고 그 두둑에 농작물의 파종 및 재배가 이루어지므로 농경지가 평탄하지 아니하고 곡면으로 형성된다.Generally, farmland is formed into curved surface because farmland is sown and cultivated in the form of an embankment in the hearth or plastic house.

이러한 농경지에서 특히 딸기 등의 재배 관리 및 수확을 하는 데는 작업자가 항상 선 상태로 허리를 굽혀 작업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허리 통증을 유발하고 피로를 가중시켜 작업능률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In cultivating and harvesting strawberries in particular, the worker always has to work with his / her back in a state of being in a straight line, which causes back pain of the worker and fatigue is seriously impaired.

일례로, 딸기의 수확 작업시 장시간 엉거주춤한 자세로 작업하거나 앉았다 일어섰다를 반복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디스크와 같은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harvesting process of strawberries, it is necessary to work for a long time in a tangled posture or to sit up and stand up, thus causing a musculoskeletal disorder such as an operator's disk.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112544호(1998.4.9)의 "개량 농사 작업용 의자"에서는, 작업자의 체형이나 작물의 키에 따라 좌판을 승강시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종 농작물의 수확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작업 전, 후 이를 운반할 시에도 손쉽게 끌고 다닐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this problem, in the "chair for improved farming work"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12544 (Apr. 9, 1998), it is possible to raise and lower the seat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worker and the height of the crop, It is known that a harvesting operation can be carried out conveniently and that the harvesting opera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또한 공개특허 제1999-40466호(1999.06.05)의 "밭고랑 작업차"에서는,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바퀴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의자에 앉아 편히 작업을 한 뒤 양발을 이용해 좌우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이동이 가능하고 의자의 높낮이 조절과 회전 가능한 연결수단을 구비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In the "furrowing work car"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999-40466 (Jun. 1999), the worker is allowed to work while moving from side to side in a sitting state. There is known a technique of installing a wheel so that an operator can sit comfortably on a chair and then mov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by using a pair of legs to move the chair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chair and to turn the chair.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힘이 약한 노인이나 부녀자들을 위해 이동하면서 농산물을 관리할 수 있는 작업의자에 관한 것이나, 이러한 작업의자는 작업의자에 앉은 채로 양발을 이용하여 장치를 이송시켜야 하므로 이 역시 작업자의 하체 및 척추에 무리를 주게 되며, 아울러 지면이 곡면 및 경사면으로 된 밭고랑과 같은 길에서 직진성을 유지하기 어려워 궤도를 이탈하게 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빈번한 방향제어를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성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렵게 된다.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relates to a work chair capable of managing agricultural products while moving for weak elderly or women, but since such a work chair must transport the apparatus using a pair of feet while sitting on a work chair,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traightness on the ground such as the curved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and the inclined surface, and it is necessary to perform frequent direction control in order to overcome it. do.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12544호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1254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40466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99-40466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작업차가 밭고랑을 따라 자동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작업차의 전진 또는 후진 시 작업차에 직진성이 부여되도록 하여 별다른 방향 제어가 필요 없으며, 작업자에게 편안한 작업 자세를 제공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농작물 관리용 작업차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ork vehicle for managing crops that does not require any control and provides a comfortable work posture to the worker,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관리용 작업차는 의자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성되는 직진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ork vehicle for managing crops,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chair;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main body; And a straight guide portion form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main body.

이때, 상기 직진유도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칭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휠;을 포함하되, 한 쌍의 상기 보조휠은 반구(半球) 형태로 상호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At this time, the rectilinear guiding portion includes a frame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And a pair of auxiliary wheels symmetrically coupled to the frame, wherein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are arranged in a hemispherical shape so as not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또한, 한 쌍의 상기 보조휠은 서로 바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보조휠축이 연장되되, 상기 보조휠축은 상기 본체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및 상방을 향해 기울어진 것이 특징이다.Further, the auxiliary wheel shafts are extended so that a pair of the auxiliary wheels face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auxiliary wheel shafts are inclined rearward and upwar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dvancing direction.

일례로써, 상기 직진유도부에는 상기 보조휠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가 더 구성되되,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고정봉이 마련되고, 상기 보조휠축이 상기 중공에 간격조절되도록 삽입되는 것이 특징이다.For example, the rectilinear guide portion may include a gap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gap of the auxiliary wheel, wherein the gap adjusting portion is fixed to the frame and is provided with a hollow rod, Is inserted.

다른 예로써, 상기 직진유도부에는 상기 보조휠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가 더 구성되되,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보조휠축이 삽입되며 중공이 형성되며 양측을 향해 연장되는 삽입봉; 상기 삽입봉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이드공을 통과한 상태로 그 상단에 상기 가이드공보다 직경이 큰 스토퍼가 구성되는 연장봉; 상기 연장봉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과 삽입봉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봉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키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에는 상기 키와 맞물리는 키홈이 구성되며, 상기 삽입봉에는 양측에 각각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휠축에는 일정간격으로 끼움홀을 형성시켜, 상기 보조휠축 및 상기 삽입봉 간 간격조절 후 볼트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As another example, the rectilinear guidanc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gap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gap of the auxiliary wheel, wherein the gap adjusting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rod having the auxiliary wheel shaft inserted therein and formed with a hollow and extending toward both sides; An extension rod extending upward from the insertion rod and passing through a guide hole formed in the frame and having a stopper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guide hole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n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insertion rod to surround the extension rod, wherein at least one key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rod and a key groove is formed in the guide hole to engage with the key, The insertion bar is formed with fixing holes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auxiliary wheel shafts are formed with fitting holes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bolts are coupled after the gap between the auxiliary wheel shafts and the insertion rods is adjus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관리용 작업차는 이송수단을 구비하여 작업차가 밭고랑을 따라 자동을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구성되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에 직진유도부를 마련하여 작업차의 진행시 작업차에 직진성이 부여되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편안한 작업자세를 제공하게 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ork vehicle for managing cro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conveying means so that the work vehicle is automatically advanced or retreated along a furrow, and a straight guide portion is provid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worker with a comfortable working posture by allowing the straightness to be imparted,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관리용 작업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직진유도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관리용 작업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직진유도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재함이 적용된 예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ork vehicle for managing cro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raight guide portion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work vehicle for managing cro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traight guide portion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loading box i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hi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관리용 작업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직진유도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관리용 작업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직진유도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적재함이 적용된 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ork vehicle for managing cro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straight guide portion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work vehicle for a vehicle.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ctilinear guiding portion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4,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oader i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관리용 작업차는 비닐하우스 내의 밭고랑에서 전진 또는 후진함에 있어 직전성을 유지함으로써 작업자가 편한 자세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이송수단(20) 및 직진유도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work vehicle for managing cro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o as to be able to carry out various work in a comfortable posture by keeping the immediacy in forward or backward movement in a furrow in a plastic greenhouse. As shown in FIG. 1, The conveying means 20, and the rectilinear guiding portion 30. [0029] As shown in FIG.

상기 본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가능하나 폭이 좁은 밭고랑에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길고 폭이 좁은 형태로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s, or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long and narrow shape so that it can be easily transferred from narrow wrinkles.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작업자가 착좌할 수 있도록 의자(11)가 구성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의자(11)에 앉은 상태로 본체(10)의 전진, 후진 속력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12)이 더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operator controls the forward and backward speeds and the like of the main body 10 while sitting on the chair 11,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ntrol means 12 can be further configured.

아울러, 상기 의자(11)는 높이 조절 및 회전 가능토록 구성하여 작업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다양한 자세를 취해야 하더라도 작업자가 항상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시킴이 타당하다.In addition, the chair 11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and rotatable so that the operator can always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even if the operator has to take various postures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상기 이송수단(20)은 상기 본체(10)에 구성되는 것으로 본체(1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휠(21)과 이송휠(21)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2)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모터(22)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veying means 20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ying wheels 21 arranged in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a motor 22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conveying wheels 21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22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이때, 상기 이송휠(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등의 동력전달수단(23)을 통해 모터(22)와 연동하도록 구성하여 전방 또는 후방의 이송휠(21)이 회전함에 따라 본체(10)가 이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전방 및 후방의 이송휠(21) 간 연동시켜 모든 이송휠(21)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지면이 고르지 못한 밭고랑 내에서 본체(10)의 원활한 이송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veying wheel 21 is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the motor 22 through a power transmitting means 23 such as a chain, so that the conveying wheel 21 rotates forward or rearward, And the power is transmitted to all the conveying wheels 21 by interlocking the forward and rear conveying wheels 21 so as to smoothly convey the main body 10 in the uneven surface of the ground surface .

한편, 일반적으로 작업차가 좌우측에 곡면이 형성되는 밭고랑 사이에서 특별한 방향 제어 없이 오로지 직진만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아울러, 작업자는 양손을 사용하여 농작물의 수확 등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차의 방향을 제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관리용 작업차에는 직진유도부(30)를 마련함으로써, 밭고랑 사이에서 전진 또는 후진시 특별한 방향 제어 없이도 반듯하게 직진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Meanwhile, in general, it is difficult to perform only the straight-line operation without special direction control between the furrow where the curved surface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ork vehicle. In addition, since the worker must carry out work such as harvesting of crops using both hands, It is possible to straighten the work without any special direction control at the time of advancing or retreating between the furrows by providing the straight guide portion 30 in the crop management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 직진유도부(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직진유도부(30)에 의해 별도의 방향 제어 없이도 작업차의 전진 또는 후진 시, 오로지 직진으로만 이송되어야만 작업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ctilinear guide portion 30 is form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main body 10, and when the worker moves forward or backward without any direction control by the rectilinear guide portion 30, The workability can be expected to be improved.

이러한 직진유도부(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10) 및 보조휠(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310)은 상기 본체(10)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작업자의 발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휠(320)은 상기 프레임(310)에 본체(10)의 진행 방향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로 결합된다.The rectilinear guiding portion 30 includes a frame 310 and an auxiliary wheel 320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frame 310 is configured to extend forward or backward from the main body 10, And the auxiliary wheel 320 is coupled to the frame 310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이때, 상기 보조휠(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반구(半球) 형태로 구성하고 아울러, 그 배치가 상호 평행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본체(10)의 진행시 한 쪽으로 쏠리는 것을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wheels 320 ar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arrangement of the auxiliary wheels 320 is not parallel to each other, do.

이는 보조휠(320)이 상호 평행 배치되는 경우 불규칙한 지면에 의해 본체(10)가 일측 방향으로 약간 이라도 쏠리게 되면 쏠려진 상태에서 직진을 하게 되므로 작업차가 밭두둑을 향하게 되는 등 방향제어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는바, 일례로 도 2에서와 같이 진행방향을 향해 상기 보조휠(320)이 상호 내측으로 모아지도록 대칭되게 구성할 경우 지면이 불규칙하여 일측 보조휠(320)의 진행방향이 틀어지더라도 타측 보조휠(320)이 이를 보완하여 어느 일측으로 틀어지지 않고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if the auxiliary wheels 320 ar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f the main body 10 is slightly tilted in one direction by an irregular ground surface, it is straightened while being rotat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direction If the auxiliary wheels 320 are symmetrically arranged so as to be converged inward toward the travel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2, for example, even if the traveling direction of one auxiliary wheel 320 is changed, So that the auxiliary wheel 320 can maintain the straightness without being rotated to one side by complementing it.

아울러 보조휠(320)이 밭고랑의 양측 곡면에 상응된 형상인 반구(半球)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밭고랑 내에서 본체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게 되더라도 보조휠(320)의 외주면의 형상이 밭고랑의 경사면에 밀착되는 구조로 되어 충격이 상쇄되며 작업차의 진행방향이 보완되므로 직진성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wheel 320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furrow, even if the main body is tilted to one side in the furrow where both sides are curved as shown in FIG. 2B,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rkpiece 3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urrow so that the impact is canceled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ork vehicle is compensated.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보조휠(320)이 상호 평행치 않도록 구성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auxiliary wheels 320 are configured not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이때, 한 쌍의 상기 보조휠(320)은 서로 바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보조휠축(321)이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휠축(321)은 도 2a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및 상방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wheel shafts 321 extend so that a pair of the auxiliary wheels 320 are orien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uxiliary wheels 320 are facing each other, and the auxiliary wheel shafts 321 ar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can be configured to be inclined rearward and upward.

이를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도 2a는 진행방향에서 직진유도부(30)를 바라보는 정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휠축(321)은 한 쌍의 보조휠(320)의 중심 간을 연결한 라인 'L'로부터 상호 상방을 향해 각도 'a' 만큼 기울어진 것을 나타낸다.2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aight guide portion 30 in the travel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2B, the auxiliary wheel shaft 321 includes a pair of auxiliary wheels 320, Quot; a " from the line 'L'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또한, 도 2c는 직진유도부(30)의 평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휠축(321)은 한 쌍의 보조휠(320)의 중심 간을 연결한 라인 'L'로부터 상호 후방을 향해 각도 'b'만큼 기울어진 것을 나타낸다.2C is a plan view of the rectilinear induction unit 30. As shown in FIG. 2C, the auxiliary wheel shaft 321 is angularly moved rearward from the line 'L'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320, b '.

상기에서와 같이 보조휠축(321)이 각각 a 및 b 만큼 기울어짐으로써 구조적으로 좁은 폭에 원호형으로 오목한 밭고랑을 따라 작업차가 이송될 경우 각 보조휠(320)의 진행방향은 작업차의 중심 및 하측을 향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작용이 양측에서 동시에 작용하게 됨으로써 특히 오목한 밭고랑 길에서 작업차는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auxiliary wheel axles 321 are tilted by a and b,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orking vehicle is conveyed along an arcuate concave wavy structure with a narrow width in a structurally narrow manner, The operation is simultaneously performed by both sides, so that the work vehicle can maintain the straightness without focusing on one side, especially on the concave furrow road.

이러한 상기 직진유도부(30)에는 간격조절부가 더 구성될 수 있는바, 상기 간격조절부는 보조휠(320)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재배 작물에 따라 밭고랑의 폭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보조휠(320) 간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를 보완할 수 있게 된다.The interval adjusting unit may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auxiliary wheels 320, so that the width of the furrow may vary depending on the cultivating crop,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is.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간격조절부의 제 1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gap adjusting unit,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간격조절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310)에 고정되며 중공(411)이 형성되는 고정구(410)를 구성함으로써 보조휠(320) 간 간격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terval adjusting unit is configured to fix the fastener 410, which is fixed to the frame 310 and has a hollow 411,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고정구(410)는 상기 보조휠축(321)이 삽입되도록 보조휠축(32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중공(411)이 형성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410)에는 고정홀(422)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휠축(321)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끼움홀(32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조휠축(32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xing hole 410 is formed with a hollow 411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auxiliary wheel shaft 321 so that the auxiliary wheel shaft 321 is inserted, and the fixing hole 410 is provided with a fixing hole 422 are formed on the auxiliary wheel shaft 321 and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322 are formed in the auxiliary wheel shaft 321 at regular interval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auxiliary wheel shafts 321.

이하, 도 3 내지 5에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간격조절부의 제 2실시 예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gap adjusting unit,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본 실시 예에 따른 간격조절부는 삽입봉(420), 연장봉(430), 및 탄성체(4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gap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sertion rod 420, an extension rod 430, and an elastic body 440.

상기 삽입봉(420)은 상기 보조휠축(321)이 삽입되도록 중공(421)이 형성되며 양측을 향해 연장하도록 구성되며, 양측을 향해 연장되는 삽입봉(420)에는 고정홀(422)이 형성된다.The insertion rod 420 is formed to have a hollow 421 to insert the auxiliary wheel shaft 321 and extend toward both sides of the insertion rod 420. A fixing hole 422 is formed in the insertion rod 420 extending toward both sides .

또한 상기 연장봉(430)은 상기 삽입봉(420)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310)에 형성되는 가이드공(312)을 통과한 상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연장봉(430)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공(312)보다 직경이 큰 스토퍼(431)가 마련된다.The extension rod 430 extends upward from the insertion rod 420 and is disposed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a guide hole 312 formed in the frame 310. An upper end of the extension rod 430 A stopper 431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guide hole 312 is provided.

상기 연장봉(430)은 그 하단에 삽입봉(420)과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에 기해 상기 연장봉(430)은 상기 가이드공(312)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공(312)보다 직경이 큰 스토퍼(431)에 의해 상기 프레임(31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The extension rod 43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sertion rod 420 at the lower end thereof. Due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extension rod 430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12 And the stopper 431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guide hole 312 can not be detached from the frame 310.

이때, 상기 연장봉(430)의 측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키(43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공에는 상기 키(432)와 맞물리는 형태로 키홈(313)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연장봉(430)이 상기 가이드공(312)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 작용은 이뤄지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함으로써 작업차의 직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t least one key 432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rod 4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key groove 313 is formed in the guide hole so as to engage with the key 432, 430 ar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12, and prevent the rotation of the work vehicle from being lowered.

또한, 상기 보조휠축(321)에는 일정간격으로 끼움홀(322)을 형성시켜 상기 보조휠축(321)은 상기 삽입봉(420)에 삽입된 상태로 간격 조절을 한 후 삽입봉(420)의 고정홀(422) 및 보조휠축(321)의 끼움홀(322)에 볼트를 동시에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보조휠축(321) 및 삽입봉(420)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The auxiliary wheel shafts 321 may be formed with fitting holes 322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auxiliary wheel shafts 321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rods 420 to adjust the spacing, The auxiliary wheel shaft 321 and the insertion rod 420 can be firmly fixed by fastening the bolts to the hole 422 and the fitting hole 322 of the auxiliary wheel shaft 321 simultaneously.

한편, 상기 탄성체(440)는 상기 연장봉(430)을 감싸도록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310) 및 삽입봉(420)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면상태가 고르지 않아 충격에 의한 일측 보조휠(320)에 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직진유도부(30)에 완충작용을 제공하게 되므로 직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elastic body 44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extension rod 430 and be disposed between the frame 310 and the insertion rod 420. The elastic body 440 may be disposed on the one side auxiliary wheel 320, Even if an erroneous phenomenon occurs, a buffering action is provided to the rectilinear guide portion 30,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nearity from being lowered.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휠축(321)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에서 간격을 조절하여 도 5b에서와 같이 보조휠(320) 간 간격을 연장시킬 경우 직진유도부(30)와 지면간 미세한 높이 차가 벌어질 수 있는 바, 상기 탄성체(440)의 구성에 기해 높이 차 만큼 탄성체(440)가 수축 또는 팽창하게 됨으로써 이를 보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5A, when the gap between the auxiliary wheel axles 321 is narrowed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auxiliary wheels 320 is extended as shown in FIG. 5B,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rectilinear guide portion 30 and the ground As the elastic body 440 is contracted or expanded by a height difference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body 440, the elastic body 440 can be supplemented.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관리용 작업차에 보조수레(50)가 더 구성되는 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n example in which the auxiliary car (50) is further comprised in the agricultural car management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보조수레(5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구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본체(10)의 전방에도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딸기 등의 수확작물을 보관한 채로 본체(10)에 연동하여 운반됨으로써 작업자가 수확된 작물의 양에 구애받지 않은 채 지속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운반된 작물을 일정구역마다 쌓아 놓는 번거로움을 배제시킬 수 있게 되며, 아울러, 본체(10)의 상단에 바구니(51) 등을 구비함으로써 마찬가지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작업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The auxiliary wagon 50 is preferably arranged behind the main body 10 but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in some cases. The auxiliary wagon 5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The worker can carry out the continuous work without being dependent on the amount of crops harvested and can avoid the burden of stacking the transported crops in a certain area, The basket 51,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ame effect, and as a result,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직진유도부(30)에는 작업자가 의자(11)에 앉아 작업할 시 발을 지지할 수 있는 발판이 더 구성하여 작업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rectilinear guiding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 foot plate for supporting the foot when the worker sits on the chair 11 so that the operator can take a more comfortable postur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0 : 본체 11 : 의자
20 : 이송수단 21 : 이송휠
22 : 모터 23 : 동력전달수단
30 : 직진유도부 310 : 프레임
320 : 보조휠
10: Body 11: Chair
20: conveying means 21: conveying wheel
22: motor 23: power transmission means
30: straight guide section 310: frame
320: Auxiliary wheel

Claims (5)

의자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칭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직진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작물 관리용 작업차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보조휠은 서로 바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보조휠축이 연장되되, 상기 보조휠축은 상기 본체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및 상방을 향해 기울도록 구성되며,
상기 직진유도부에는 상기 보조휠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가 더 구성되되,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보조휠축이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양측을 향해 연장되는 삽입봉; 상기 삽입봉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이드공을 통과한 상태로 그 상단에 상기 가이드공보다 직경이 큰 스토퍼가 구성되는 연장봉; 및 상기 연장봉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과 삽입봉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장봉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키를, 상기 가이드공에는 상기 키와 맞물리는 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봉에는 양측에 각각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휠축에는 일정간격으로 끼움홀을 형성시켜, 상기 보조휠축 및 상기 삽입봉 간 간격조절 후 볼트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관리용 작업차.
A body having a chair;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main body; And a pair of auxiliary wheels symmetrically coupled to the frame, the frame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the main body extending forward or rearward of the main body,
The auxiliary wheel shafts are extended such that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are orien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uxiliary wheels face each other, the auxiliary wheel shafts are inclined rearward and upwar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dvancing direction,
Wherein the spacing adjusting portion includes an interval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interval of the auxiliary wheel, wherein the interval adjusting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rod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for inserting the auxiliary wheel shafts and extending toward both sides; An extension rod extending upward from the insertion rod and passing through a guide hole formed in the frame and having a stopper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guide hole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n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insertion rod so as to surround the extension rod, wherein at least one key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rod, and a key groove for engaging with the key is formed in the guide hole . Wherein a plurality of fixing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rod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are formed in the auxiliary wheel shafts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bolts are coupled afte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auxiliary wheel shafts and the insertion rods.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85184A 2015-12-23 2015-12-23 Transferring device for works in greenhouse KR1016229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184A KR101622948B1 (en) 2015-12-23 2015-12-23 Transferring device for works in green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184A KR101622948B1 (en) 2015-12-23 2015-12-23 Transferring device for works in greenho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948B1 true KR101622948B1 (en) 2016-05-24

Family

ID=5611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184A KR101622948B1 (en) 2015-12-23 2015-12-23 Transferring device for works in green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94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651B1 (en) 1991-12-17 2000-04-15 코바시 이치로오 Machine for harvesting root crops
JP2008099575A (en) 2006-10-17 2008-05-01 Bizen:Kk Furrow opener also working as paddy wee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651B1 (en) 1991-12-17 2000-04-15 코바시 이치로오 Machine for harvesting root crops
JP2008099575A (en) 2006-10-17 2008-05-01 Bizen:Kk Furrow opener also working as paddy wee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9187B1 (en) Drawbar apparatus for coupling an earth-working tool to a frame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RU2014149761A (en) FLEXIBLE WING SECTIONS FOR STEAM CULTIVATOR
KR101617706B1 (en) The management and carrying device for a farm products in greenhouse
JP2018113871A (en) Multi-work machine
JP2015223179A5 (en)
AU2012356566B2 (en) Agricultural machine having an improved terrain following for the working members
CN205040187U (en) Take kind rope seed -sowing machine of rotary tillage function
KR101622948B1 (en) Transferring device for works in greenhouse
EP2482627B1 (en) Cultivator with two rows of discs in direction of travel
JP2014097041A (en) Sulky type tending machine
KR101472630B1 (en) Width variable type plow structure
CN106385805B (en) A kind of small-sized hand-operated cultivated plough machine
KR100990843B1 (en) 3-Wheel chair capable of setting height
KR101545783B1 (en) Hardening Roller Buffer Structure of Seeding Machine for Tractor
KR102299037B1 (en) Rideable compactor for attaching to cultivator
CN213187124U (en) Tract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JP2015522262A (en) Agricultural machinery with improved chassis
CN210226131U (en) Rotary tillage fertilizer distributor with adjustable bury
CN103503611A (en) Peanut seeding and film-laminating machine
CN106005097A (en) Agricultural machine vehicle body structure
CN208079711U (en) A kind of rack and film-laying machine for capableing of ground profiling
KR102645412B1 (en) Walking type working machine
CN202750413U (en) Walking tractor with double-share plough
KR102219838B1 (en) Transport device for harvesting of agricultural products
AU2021248369B2 (en) Agricultural till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