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651B1 - Machine for harvesting root crops - Google Patents

Machine for harvesting root crop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651B1
KR100252651B1 KR1019920024673A KR920024673A KR100252651B1 KR 100252651 B1 KR100252651 B1 KR 100252651B1 KR 1019920024673 A KR1019920024673 A KR 1019920024673A KR 920024673 A KR920024673 A KR 920024673A KR 100252651 B1 KR100252651 B1 KR 100252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orting
excavator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코바시타케시
오오타카즈요시
사토오토요노리
카케히아키히코
오다미노루
모리카와코오지
Original Assignee
코바시 이치로오
고바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바시 이치로오, 고바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바시 이치로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651B1/en

Links

Landscapes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근채류 수확기는 기체, 상기 기체를 지지하고 움직이는 한쌍의 크롤러 및 크롤러를 주행시키는 엔진을 보유한다. 굴착기 콘베이어가 기체의 중심부에서 기체의 앞부에 설치되어 하부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굴착기 날이 포장에서 수확물을 캐낼 수 있도록 굴착기 콘베이어의 전단부 앞에 설치되어 있다. 굴착기 콘베이어 뒤에는 선별 콘베이어가 배치되어 굴착기 콘베이어로부터 캐내어진 수확물을 받고, 그것을 운반한다. 선별작업은 선별 콘베이어의 대향측에서 행하여진다.The root crop harvester has a gas, a pair of crawlers that support and move the gas, and an engine that drives the crawler. An excavator conveyor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body at the center of the body and inclined downward. An excavator blade is then installed in front of the front end of the excavator conveyor to harvest the harvest from the pavement. Behind the excavator conveyor, a sorting conveyor is placed to receive the harvested harvest from the excavator conveyor and transport it. The sort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orting conveyor.

Description

근채류 수확기Root Harvester

본 발명은 근채류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감자, 감자, 양파, 근대, 타로토란, 당근과 같은 근채류를 포장(圃場) 수확하고 그것들을 선별하기 위한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t crop harve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rvester for packaging and harvesting root crops such as sweet potatoes, potatoes, onions, chard, taro taran, and carrots.

종래 근채류의 수확기로서는 감자수확기, 근대수확기, 감자굴착기 등이 사용되었으며, 승용 트랙터와 보행용 트랙터에 굴착기 날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한 굴착기의 날 후미에 링크-로드체인 콘베이어를 장착하고, 상기한 링크-로드체인 콘베이어를 진동시켜 사용하여 왔다.Conventionally, harvesters of root crops, potato harvesters, modern harvesters, potato excavators, etc. have been used. The excavator blades are installed on passenger tractors and walking tractors, respectively, and the link-rod chain conveyors are mounted on the tails of the excavators. -The load chain conveyor has been used by vibrating.

이러한 수확기와 굴착기는 큰 규모로 운영되는 포장에 적합하도록 크기에서 매우 크다.These harvesters and excavators are very large in size, making them suitable for large scale pavement.

한편, 굴착기 날과 콘베이어를 가지는 승용 트랙터나 보행용 트랙터는 소규모로 운영되는 포장에 적합하도록 개발되어져 왔다. 그러한 기계는 포장으로부터 근채류를 캐내어서 포장에 그것들을 방출시키는 작동을 한다. 그러므로, 포장에서부터 캐내어진 근채류를 별도로 주워서 그것들을 선별하는 작업행정을 필요로 하였다. 게다가 날이나 콘베이어와 같은 기계적 요소를 트랙터에 장착시켜 작업하기 때문에, 근채류를 수확하고 선별하는 동안 트랙터의 작업조작성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운전에 있어서 좋지 않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passenger tractors or walking tractors having excavator blades and conveyors have been developed to be suitable for small scale pavement. Such a machine operates to extract root vegetables from the packages and release them to the packages. Therefore, a work administration was needed to separate the picked root vegetables from the field and sort them out. In addition, since the tractor is equipped with mechanical elements such as blades and conveyors,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operation of the tractor is not good during harvesting and screening root vegetables, but also in particular, that it is not good for driving.

(발명의 요약)(Summary of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제거한 근채류의 수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rvester of root vegetables that eliminates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에 따르면 기체(body)를 가지며, 이 기체는 지지와 구동될 수 있는 한쌍의 크롤러(crawlers)를 가지며, 운전 클러치로서 크롤러를 구동시킬 수 있는 엔진과, 기체의 중앙부분에서 기체의 앞부분까지 아래로 경사져 세로로 배설된 굴착기 콘베이어로 이루어지고 포장에서 근채류를 캐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굴착기 콘베이어의 전단부의 앞에 굴착기 날을 배설하고, 굴착기 콘베이어로부터 캐내어진 근채류를 받아서 그것으로부터 운송할 수 있도록 굴착기 콘베이어의 후미에 선별콘베이어를 설치하고, 작업 클러치로서 선별 콘베이어에 있는 엔진의 힘을 변속시킬 수 있는 동력변속장치시스템과 캐내어진 근채류의 선별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별 콘베이어의 대향측에 선별공간을 배설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근채류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re is a body, which has a pair of crawlers that can be supported and driven, an engine capable of driving the crawler as a driving clutch, from the center of the body to the front of the body It is made up of the vertically excavated excavator conveyor, which is inclined downward, to excavate the excavator blades in front of the front end of the excavator conveyor, so that it can pick up the root vegetables from the package, and the excavator conveyor can be picked up and transported from the excavator conveyor. A sorting conveyor is installed at the rear, and as a work clutch, a power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shifting the power of the engine in the sorting conveyor, and a sorting spac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orting conveyor are installed to perform sorting work on the extracted root vegetables. To provide a root crop harvester.

본 발명에 있어서의 또다른 목적과 작용효과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nother object and effect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에 의한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by Example)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본 발명의 감자 수확기(1)는 기체(2)를 가지며, 움직이는 기체의 대향측에 있는 기체(2) 하부에 한쌍의 크롤러(3)를 배설하였다. 기체(2)에 엔진(4)을 설치하였고, 엔진의 상측에 연료탱크(4a)를 설치하였다. 엔진(4)에는 엔진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는 발전기와 오일펌프를 배설하였다(도시하지 않았음). 수확기(1)를 작동하기 위한 엔진(4)의 후방에 조종부(5)를 설치하였고, 조종부(5)에 인접하여 조종석겸 작업용 좌석(6)을 설치하였다.1 to 3, the potato harves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as 2, and a pair of crawlers 3 are disposed below the gas 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oving gas. The engine 4 was installed in the base 2, and the fuel tank 4a was installed above the engine. The engine 4 is provided with a generator and an oil pump which can be driven by the engine (not shown). A control unit 5 wa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engine 4 for operating the harvester 1, and a cockpit and work seat 6 was installed adjacent to the control unit 5.

기체(2)의 앞에 포장에서 감자를 캐내서, 수확기(1)로 반송하는 굴착기/콘베이어장치(7)를 설치하였다. 상기 굴착기/콘베이어장치(7)는 아래로 경사진 틀(frame)(8)로 이루어지며, 굴착기 날(9)은 틀(8)의 선단부에 취부해 있고, 틀(8)의 반대측기관 사이에 경사 상단부의 회동부(10a)와 경사 하단부의 회동부(10d)가 측면으로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무한의 벨트 콘베이어(10)가 상기 회동부(10a)와 (10d)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In the front of the base 2, the excavator / conveyor apparatus 7 which removed the potato from the package and conveyed it to the harvester 1 was installed. The excavator / conveyor device 7 consists of a frame 8 inclined downward, with the excavator blade 9 mounted at the tip of the frame 8 between the engine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rame 8. Rotating portion 10a of the inclined upper end portion and rotating portion 10d of the inclined lower portion are installed to be rotatable sideways, and an infinite belt conveyor 10 is provided between the rotating portions 10a and 10d. have.

제4도에서, 상기 콘베이어(10)는 다수개의 링크로드(10b)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드(10b)의 각각은 고무와 같은 탄성물질로 구성된 탄성력이 있는 통체(10c)로 덮여져 있고, 그곳에서부터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통체(10c)가 콘베이어의 작동 동안에 진동할 수 있도록 상기한 통체(10c)와 상기한 로드(10b)와의 사이에 원형간격(10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베이어(10)의 상기 틀(8)이 축에 대하여 콘베이어(10)의 선단이 위로 경첩식으로 선회하도록 경사 상단부의 회동부(10a)의 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경사 상단부의 회동부(10a)의 축이 연속적이며, 단계적으로 다양하게 변하는 변속장치(4d)로 엔진(4)의 출력축(4c)에 연결되어 있다. 또 한쌍의 유압실린더가 기체(2)와 굴착기/콘베이어장치(7)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즉, 굴착깊이를 조절하는 좌우 틀(8)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In FIG. 4, the conveyor 10 consists of a plurality of link rods 10b. Each of the rods 10b is covered with an elastic cylinder 10c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and rotation is freely installed therefrom. A circular gap 10e is formed between the cylinder 10c and the rod 10b so that the cylinder 10c vibrates during operation of the conveyor. Rotation is freely provided in the shaft of the rotating part 10a of the inclined upper end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conveyor 10 may hinge upward with respect to the shaft of the said frame 8 of the conveyor 10. As shown in FIG. The axis of the rotating part 10a of the inclined upper end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4c of the engine 4 by the transmission 4d which varies in stages. In addition, a pair of hydraulic cylinders are provi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molds 8 which can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se 2 and the excavator / conveyor apparatus 7, ie, adjust the drilling depth.

한쌍의 브래킷(12)이 좌우의 틀(8)에 설치되어서 콘베이어(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휴추종장치(畝追從裝置)(13)가 수확기를 작동하는 동안 포장의 이랑(ridge)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브래킷(12)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휴추종장치(13)는 수확대상 이랑의 향사면층을 따라 전접(轉接)하는 한쌍의 런닝 휠(14)(running wheel)로 구성된다.A pair of brackets 12 are provided in the frame 8 on the left and right side and protrude forward of the conveyor 10. A follower 13 is installed on the bracket 12 to allow it to follow the ridges of the package during the harvester operation. The said follower 13 is comprised by the pair of running wheels 14 (running wheels) which are indirectly inclined along the fragrance | failure surface layer of the cropping object.

상기 휴추종장치(13)는 상하조절기구(15)와 좌우조절기구(16)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 기구(15)와 (16)은 상기한 휠(14)의 상하부와 좌우부가 굴착기(7)에 대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신축부재로서 이루어진다. 각각 휠(14)의 축은 내향발급(toe-in)에서처럼 수평면에 안쪽으로 경사져 있고, 또한 캠버각에서처럼 수직면에 바깥쪽으로 경사져 있다.The suspension follower 13 is composed of an up and down adjustment mechanism 15 and a left and right adjustment mechanism 16, respectively, these mechanisms 15 and 16,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wheel 14, the excavator 7 It is made as an elastic member to adjust the correspondence. The axis of each wheel 14 is inclined inward to the horizontal plane as in toe-in and also inclined outward to the vertical plane as in camber angle.

굴착기/콘베이어장치(7)의 후미에, 선별 콘베이어장치(18)가 콘베이어(10)로부터 공급된 감자를 선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선별 콘베이어장치(18)는 상부 무한평탄부 콘베이어(18a)로 구성된다.At the rear of the excavator / conveyor device 7, a sorting conveyor device 18 is provided to sort out the potatoes supplied from the conveyor 10. The sorting conveyor device 18 is composed of an upper endless flat portion conveyor 18a.

제5도에서, 공급 콘베이어(18A)가 상기 선별콘베이어장치(18)에 설치되고, 그 공급 콘베이어(18A)의 후미에 선별 콘베이어(18B)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공급 콘베이어(18A)의 속도는 선별 콘베이어(18B) 보다 더 빠르게 구성된다.In FIG. 5, a supply conveyor 18A is provided in the sorting conveyor apparatus 18, and the sorting conveyor 18B is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supply conveyor 18A. The speed of the feed conveyor 18A in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faster than the sorting conveyor 18B.

선별 콘베이어장치(18)의 대향측에는 감자의 선별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설치하였다. 조종부(5)의 후미에 운전용 좌석(6)이 작업자가 상기한 콘베이어(18a)에 공급된 감자를 선별할 때, 좌석(6)에 있는 운전자가 선별작업을 실시하도록 상기 콘베이어(18a)의 측면의 한쪽에 위치한다. 등없는 의자형태로 작업용 좌석(19)이 상기 좌석(6)의 대향부에 설치된다. 조종부 디딤판(5a)은 상기 좌석(6)에 대응하는 조종부(5)의 하부에 설치되며, 디딤판(21)과 선별작업용 디딤판(20)을 각각의 좌석(6)과 (19)에 설치되고, 상기 디딤판(20)과 (21)은 기체내에서 사용되지 않을 때는 접혀질 수 있다. 상기 굴착기/콘베이어장치(7) 측부에 상기 콘베이어(10)에 의해 반송된 수확물은 작업자가 미리 선별할 수 있도록 기체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보조작업용 좌석(17)이 설치되었다. 각각의 좌석(6),(17)과 (19)는 그것으로부터 옆면부로의 조절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상기 축(6b)으로 미끄럼성이 있고 의자의 등받이(6a)에 대해서 회전이 자유롭다. 게다가, 의자높이가 또한 자유롭게 조절된다.On the opposite side of the sorting conveyor apparatus 18, it was installed so that the sorting work of potatoes could be performed. When the driver's seat 6 at the rear of the control unit 5 sorts the potatoes fed to the conveyor 18a, the driver at the seat 6 performs the sorting operation of the conveyor 18a. I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side. A working seat 19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at 6 in the form of a backless chair. The control unit tread plate 5a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rol unit 5 corresponding to the seat 6, and the tread plate 21 and the stepping plate 20 for sorting work are installed in the respective seats 6 and 19. The treads 20 and 21 can be folded when not in use in the gas. On the side of the excavator / conveyor device 7 the harvested conveyed by the conveyor 1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work seat 17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gas so that the operator can select in advance. Each of the seats 6, 17 and 19 is slid with the shaft 6b and free to rotate about the backrest 6a of the chair, in order to free adjustment from it to the side. In addition, the chair height is also freely adjusted.

제1(b)도에서, 레이크모양(rake-shaped)의 체선(篩線)(sieve)은 선별 콘베이어장치(18)의 후단에 설치하고, 그것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선별 콘베이어장치(18)로부터 방출된 근채류가 레이크모양의 체선(23)을 통하여 포장으로 떨어진다.In FIG. 1 (b), a rake-shaped sieve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orting conveyor apparatus 18 and protrudes below it. The root vegetables discharged from the sorting conveyor apparatus 18 are dropped into the package through the rake-shaped body line 23.

게다가, 상기 선별 콘베이어장치(18)의 후미에, 랙(24)이 체선(23)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서, 바구니같은 콘테이너(42)가 선별된 감자를 포함하게 하기 위한 선별작업을 하는 동안 랙(24)에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t the rear of the sorting conveyor device 18, a rack 24 is provided above the body line 23. In FIG. 2, a container 42, such as a basket, is installed in the rack 24 during the sorting operation to include sorted potatoes.

랙(24)은 베이스(24c)와 한쌍의 좌우 측틀(24a)과 후부틀(24b)로 구성된다. 각 틀은 토글스프링(toggle springs)(25)으로 베이스(24c)에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제6도에서, 랙(24)이 사용될 때, 상기 틀(24a)과 (24b)는 베이스(24c)에 수직으로 서고, 상기 스프링(25)에 의해 그 위치를 유지한다. 또한, 굴착, 선별하는 동안 수확물이 떨어지는 것을 막는 랙(24)에 설치된 콘테이너(42)가 있다. 제1(b)도에서 보듯이, 틀은 바깥쪽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한 스프링(25)에 의해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또, 콘테이너(42)를 랙으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다. 제7도에서, 랙(24)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혀져 있다.The rack 24 is composed of a base 24c,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s 24a, and a rear frame 24b. Each frame is attached to the base 24c with a toggle spring 25 so as to rotate. In FIG. 6, when the rack 24 is used, the molds 24a and 24b stand perpendicular to the base 24c and are held in position by the spring 25. There is also a container 42 installed in the rack 24 which prevents the harvest from falling during excavation and sorting. As shown in Fig. 1 (b), the mold is spaced outward and is held in position by the spring 25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container 42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rack. In FIG. 7, the rack 24 is folded when not in use.

조종부(5)는 상기 콘베이어(10)를 작동하기 위하여 조절레버(26)와 이동 클러치 레버와 클러치레버를 비치하고 있다. 클러치레버(22)는 기체의 대향측에 있는 작업자용 좌석(19)에 인접하여 설치하여 있으며, 클러치레버를 조종부(5)에 효과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또, 클러치레버는 기체의 다른측에는 작동된다. 상기 콘베이어(10)의 속도조절은 다양하다. 조절레버(26)가 있는 곳에, 스티어링핸들(27)이 제8도에서 보듯이 설치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5 has an adjustment lever 26, a moving clutch lever and a clutch lever to operate the conveyor 10. The clutch lever 22 is provided adjacent to the worker's seat 19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dy, and effectively connects the clutch lever to the control unit 5. The clutch lever is also oper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Speed control of the conveyor 10 is various. Where the adjustment lever 26 is located, the steering wheel 27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제9도를 참조하여 크롤러(3)의 작동부를 설명한다. 크롤러 작동부는 기체(2)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조작부(29)와 변속장치(28)와 브레이크장치(35)로 구성된다. 상기한 조작부(29)는 기어(36a)와 한쌍의 캠(37)을 보유하는 타이트 암(tight arm)(36)으로 구성된다. 상기 핸들(27)의 축(27a)은 기어(36a)와 함께 맞물려 돌아 갈 수 있는 기어(27b)를 보유한다. 변속장치(28)의 클러치 암(32a)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로드(32b)는 타이트 암(36)에 대향하는 끝부분에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operating part of the crawler 3 will be described. The crawler operation part is provided in the front part of the base 2, and consists of the operation part 29, the transmission apparatus 28, and the brake apparatus 35. As shown in FIG. The operation unit 29 is composed of a tight arm 36 which holds the gear 36a and the pair of cams 37. The shaft 27a of the handle 27 holds a gear 27b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gear 36a. The pair of rods 32b,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lutch arms 32a of the transmission 28, are connected to the ends opposite to the tight arms 36.

상기한 캠(37)은 브레이크장치(35)의 브레이크 암(35a)과 함께 맞물려 있는 브레이크로드(35b)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한쌍의 캠 팔로워(followers)(38)와 함께 맞물려져 있다.The cam 37 is engaged with a pair of cam followers 38 that are freely rotatably installed on the brake rod 35b which is engaged with the brake arm 35a of the brake device 35.

제10도에서, 상기 변속장치(28)는 벨트와 풀리장치(46), 변속기어장치(31), 한쌍의 사이드클러치(32c), 디퍼렌셜(33)을 통하여 엔진(4)에 연결된 입력축(30b)에 있는 유압무단변속장치(30)로 이루어진다. 변속기어장치(31)는 3개의 기어(31a),(31b),(31c)를 보유한다. 기어(31a)는 입력축(30a)에 설치되어 있고, 기어(31b)와 (31c)는 상기 축(30a)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축(30b)에 미끄럼성이 있게 설치된 기어(31g)의 대향측에 형성된 한쌍의 클러치(32d)는 기어(31e)와 (31f) 중 어느 것과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설치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클러치(32d)를 작동함으로서, 저속도, 고속도를 선택할 수 있다. 각각의 사이드클러치(32c)는 클러치 암(32a)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한 사이드클러치(32c)는 기어(33a)와 로울러구동축(34)으로서 크롤러(3)에 연결되어 있다. 디퍼렌셜(33)은 로울러구동축(34) 사이에 설치되었다. 브레이크장치(35)는 디퍼렌셜(33)의 케이스에 효과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브레이크 암(35a)과도 함께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사이드클러치(32c)는 직진방향운전에 이용된다.In FIG. 10, the transmission device 28 includes an input shaft 30b connected to the engine 4 via a belt and pulley device 46, a transmission gear device 31, a pair of side clutches 32c, and a differential 33. In FIG. It consists of a hydraul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30). The transmission gear device 31 has three gears 31a, 31b, and 31c. The gear 31a is provided in the input shaft 30a, and the gear 31b and 31c are rotatably provided in the said shaft 30a. The pair of clutches 32d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ear 31g provided to be slidably on the shaft 30b are provided to selectively engage with any of the gears 31e and 31f. Further, by operating the clutch 32d described above, a low speed and a high speed can be selected. Each side clutch 32c has a clutch arm 32a. The side clutch 32c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crawler 3 as a gear 33a and a roller drive shaft 34. The differential 33 is provided between the roller drive shafts 34. The brake device 35 is effectively connected to the case of the differential 33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brake arm 35a. The side clutch 32c described above is used for driving in the straight direction.

수확기가 회전할 때, 회전하는 크롤러의 내부에 대응하는 사이드클러치(32c)의 한쪽이 분리되고, 디퍼렌셜(33)의 디퍼렌셜케이스는 브레이크장치(35)에 의해 제동되어진다. 디퍼렌셜케이스가 제동되므로서, 크롤러, 분리된 대응클러치는 디퍼렌셜(33)의 작동에 의해 역회전된다. 그러므로, 수확기의 추진을 동반하지 않고서 대향 클로러의 중심내부로 회전될 수 있다. 디퍼렌셜케이스의 제동을 조절함으로서, 분리된 크롤러의 속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즉, 크롤러의 속도를 떨어뜨리고, 멈추고, 역으로 운전하는 것 등이다.When the harvester rotates, one side of the side clutch 32c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rotating crawler is separated, and the differential case of the differential 33 is braked by the brake device 35. As the differential case is braked, the crawler and the separated corresponding clutch are reversed by the operation of the differential 33. Therefore, it can be rotated into the center of the opposing claw without accompanying the propulsion of the harvester. By adjusting the braking of the differential case, the speed of the separated crawler can be varied. That is, slowing down the crawler, stopping, driving in reverse, and the like.

수확기(1)를 사용하지 않을 때, 굴착기/콘베이어장치(7)는 제2도는 이점 쇄선에 의해 보여지듯, 그 길이를 감소하기 위하여, 그것의 중심부를 향하여 안쪽으로 접혀진다. 그래서, 상기 수확기는 소규모의 공간에 있는 창고에 들어갈 수 있도록 트럭에 의해 쉽게 운반되어질 수 있다.When not using the harvester 1, the excavator / conveyor device 7 is folded inward toward its center, in order to reduce its length, as shown by the dashed line in FIG. 2. Thus, the harvester can be easily transported by truck to enter a warehouse in a small space.

제11도에서는 작업용 좌석의 변형을 보여주고 있다. 조석(6A)과 (19A)는 좌석(6)과 (19)의 장소에 사용된다. 작업자가 선 상태나 앉은 상태에서 좌석을 사용할 수 있다.Figure 11 shows a variant of the work seat. The tides 6A and 19A are used in place of the seats 6 and 19. The seat can be used while the operator is standing or sitting.

제12(a)도에서, 상기 좌석(6A),(19A)은 좌석부(6b)와 좌석부(6b)위로 회전을 할 수 있게 설치된 등받이(6a)로 구성된다. 등받이(6a)는 좌석부(6b)의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큰 좌석을 형성하기 위하여 좌석부와 함께 평면을 만든다. 만약 등받이(6a)가 위쪽으로 고정되어 있다면, 좌석부(6A)는 제12(b)도에서 보는 것처런 선 상태에서 사용된다.In FIG. 12 (a), the seats 6A and 19A are composed of a seat portion 6b and a backrest 6a installed to be able to rotate over the seat portion 6b. The backrest 6a rotates under the seating portion 6b to make a plane with the seating portion to form a large seat. If the backrest 6a is fixed upward, the seat portion 6A is used in the line state as shown in Fig. 12 (b).

제13도는 상기한 좌석의 또 다른 변형을 보여준다. 좌석(6B),(19B)은 좌석부의 다리에 설치된 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는 좌석부(6c)로 구성된다. 좌석부(6c)는 보통 좌석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또는 등받이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상부와 평탄부로 회전이 가능하다. 작업자는 제13(b)도에서 보는 것처럼 선상태에서 좌석(6B)을 사용한다.Figure 13 shows another variant of the seat described above. The seats 6B and 19B are composed of a seating portion 6c which can rotate about an axis provided on the leg of the seating portion. The seating portion 6c is rotatable in the upper and flat portions for use as a normal seat or as a backrest. The operator uses the seat 6B in the standing position as shown in Fig. 13 (b).

지주홀더(39)(제1(a)도, 11)는 제14도에서 보는 것처럼 파라솔(40)의 금속지주(40a)와 서로 맞물리도롤 기체(2)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파라솔(40)은 수확하는 동안 운전자나 작업자에게 그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발전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선풍기(41)는 작업자에게 바람을 불어주게 하기 위하여 지주에 부착되어 있다. 라디오 같은 다른 전기적인 장비가 지주(40a)에 부착될 수 있다.The strut holder 39 (FIG. 1 (a) and 11) is installed in the base roll 2 which meshes with the metal column 40a of the parasol 40 as shown in FIG. 40) to shade the driver or operator during harvesting. In addition, a fan 41, which is operated by a power source generated by the generator, is attached to the post to allow the worker to blow wind. Other electrical equipment, such as a radio, can be attached to the post 40a.

감자 수확기의 작동을 설명한다.Explain the operation of the potato harvester.

수확기(1)에 의해 감자같은 근채류를 수확하기 위하여 휴추종장치(13)의 런닝휠(14)이 대응 이랑의 경사진 부에 접촉하고, 굴착기/콘베이어장치(7)의 굴착기 날(9)이 이랑위로 위치를 잡는다. 상기한 날(9)의 깊이는 유압실린더(11)에 의해 조절된다. 엔진(4)이 크롤러(3)를 운전하고, 수확기(1)의 이랑을 따라 앞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날(9)이 수확물 주위에 있는 흙과 함께 수확물을 캐내고 수확물과 흙은 상기한 콘베이어(10)에 의해 안쪽으로 운송된다. 상기 콘베이어(10)에 수확물이 공급되는 동안, 흙은 상기 콘베이어(10)의 진동에 의해 수확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한 로드(10a)의 상기한 탄성통체(10c)의 파동으로 상기한 로드(10a) 사이에 떨어진다. 수확물은 보조작업자용 좌석(17)에 있는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선별된다. 이렇게해서 감자 이외의 덩굴, 줄기, 잎, 큰 흙덩이, 돌 등이 수확물로부터 제거된다.In order to harvest the root vegetables such as potatoes by the harvester 1, the running wheel 14 of the follower 13 contacts the inclined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ridge, and the excavator blade 9 of the excavator / conveyor device 7 Position it up the ridge. The depth of the blade (9) is adjusted by the hydraulic cylinder (11). The engine 4 drives the crawler 3 and moves forward along the ridge of the harvester 1. The blade 9 harvests the harvest with the soil around the harvest and the harvest and the soil are transported inward by the conveyor 10 described above. While the harvest is supplied to the conveyor 10, the soil is separated from the harvest by the vibration of the conveyor 10, and the rod 10a is caused by the wave of the elastic cylinder 10c of the rod 10a. ) In between. The harvest is preselected by the operator in the assistant's seat 17. In this way, vines, stems, leaves, large soils, stones, etc., other than potatoes, are removed from the harvest.

그때, 수확물은 상기 좌석(6)과 (19)에 있는 작업자에 의해 수확물이 선별될 수 있도록 선별 콘베이어장치(18)의 상기 콘베이어(18a)에 공급된다. 작업자는 수확물이 공급되는 동안 수확물을 선별하고, 그 선별된 수확물들은 랙(24)에 있는 콘테이너(42)에 넣어진다. 남아있는 흙, 불순물과 선별되지 않는 수확물은 체선(23)을 통하여 상기한 콘베이어(18a)의 끝에서 포장에 떨어진다. 첫번째, 흙이 포장에 떨어지고 그 다음으로 수확물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기 떨어진 수확물은 흙위로 드러나 있다. 그래서, 수확물을 포장에서 쉽게 주울 수 있다.The harvest is then fed to the conveyor 18a of the sorting conveyor apparatus 18 so that the harvest can be sorted by the operator at the seats 6 and 19. The worker sorts the harvest while the harvest is being fed, and the sorted harvests are put in a container 42 in the rack 24. Remaining soil, impurities and unselected crops fall to the pavement at the end of the conveyor 18a through the sieve 23. First, the fallen harvest is exposed on the soil because the soil falls on the pavement and then the harvest falls. Thus, the harvest can be easily picked up from the package.

수확하는 동안 런닝휠(14)은 이랑을 따라서 기체(2)가 자동으로 안내되도록 이랑의 양 측면을 따라 구른다. 수확기(1)가 이랑의 끝에 도착했을 때, 운전자가 그것의 운전방향을 변화시키는 조작을 한다. 그것외에 운전자가 수확물을 선별할 수 있는 작업자로서 봉사할 수도 있다. 그래서, 작업자의 수가 최소로 경감된다.During harvesting, the running wheel 14 rolls along both sides of the ridge so that the gas 2 is automatically guided along the ridge. When the harvester 1 reaches the end of the ridge, the driver makes an operation to change its driving direction. In addition, the driver may serve as a worker who can sort the harvest. Thus, the number of workers is reduced to a minimum.

수확기(1)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 핸들(27)을 큰 각도로 조작한다. 수확기(1)가 유압 무단변속장치(30), 속도변속기어장치(31), 디퍼렌셜(33)을 포함하는 변속장치(28)와 크롤러(3)를 작동하는 브레이크장치(35)와 함께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최소한의 각도에서 수확기를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In ord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harvester 1, the handle 27 is operated at a large angle. The harvester 1 is installed together with a transmission device 28 including a hydraul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30, a speed transmission gear device 31, a differential 33 and a brake device 35 for operating the crawler 3.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harvester at the minimum angle described above.

상기한 콘베이어(10)의 속도는 상기한 변속장치(4d)에 의해 변화한다. 소규모로 운영되는 포장에 효과적으로 수확을 수행하기 위하여, 크롤러(3)의 속도조절을 결합시킴으로서, 상기한 콘베이어(10)의 작동속도가 포장의 조건과 포장에 심어진 생산물의 조건에 독립적으로 조절되게 할 수 있다.The speed of the conveyor 10 is changed by the transmission 4d. By combining the speed control of the crawler 3 in order to effectively harvest the small-scale package, the operating speed of the conveyor 10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the condition of the package and the product of the planted product. Can be.

다른 쪽이 긴급한 경우에 수확기의 운전과 수확작업을 멈추기 위해서 조종부(5)와 클러치레버(22)가 기체(2)의 대향측에 설치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5 and the clutch lever 22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dy 2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harvester and the harvesting operation in the case where the other side is urgent.

작업자가 수확물을 선별하는 동안 그의 손가락을 상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상기한 콘베이어(18a)는 평평한 벨트를 사용한다. 만약, 다른 속도를 보유하는 공급 콘베이어(18A)와 선별 콘베이어(18B)가 사용된다면, 상기 콘베이어(10)의 단부 밑에 있는 공간으로 수확물이 떨어지지 않고, 콘베어어(10)로부터 공급된 수확물이 상기한 콘베이어(18A)까지 부드럽게 이전된다. 그래서 수확물이 그것으로부터 운반되는 동안 상하지 않는다.The conveyor 18a described above uses a flat belt so as not to injure his fingers while the worker sorts the harvest. If a feed conveyor 18A and a sorting conveyor 18B having different speeds are used, the harvest does not fall into the space below the end of the conveyor 10, and the harvest supplied from the conveyor 10 is described above. It is smoothly transferred to the conveyor 18A. So the harvest does not go bad while being transported from it.

감자 수확기의 두 번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제15도 내지 제18도는 첫번째 실시예에서 나타난 제1도 내지 제4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도면부호로 나타내었으며 첫번째 실시예와 같다.15 to 18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potato harvester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described in FIGS. 1 to 4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r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두번째 실시예의 감자 수확기(1A)에서, 엔진(4)은 조종부(5)에 대향하는 기체(2)에 설치되어 있다. 제18도에서 보듯이, 상기 굴착기 콘베이어장치(7)는 선정된 거리에서 링크체인으로 연결된 다수의 슬랫을 보유하는 슬랫 콘베이어의 콘베이어(50)를 보유한다. 한쌍의 유압실린더(52)가 접힌 상태와 작동상태에서, 굴착기/콘베이어장치(7)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변속장치(28)가 기체의 중심부에서 앞부분에 노출되어 있다.In the potato harvester 1A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engine 4 is installed in the body 2 opposite the control 5. As shown in FIG. 18, the excavator conveyor apparatus 7 holds a conveyor 50 of a slat conveyor having a plurality of slats connected by a link chai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air of hydraulic cylinders 52 are provided so that the excavator / conveyor device 7 can be changed in the folded state and the operating state. The transmission 28 is exposed at the front part in the center of the body.

보조작업자용 좌석(17)은 조종부(5)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디딤판(step)(17a)과 기체에 분리되어 설치된 안전레일(17c)을 보유한다. 한쌍의 안전레일(53)은 상기한 콘베이어(18a)의 양 대향측에 따라서 작업용 좌석(6)과 (19)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전레일(53)은 기체(2)의 강화를 위해서도 좋다. 작업자가 디딤판(20a)과 (21a)을 밟고 내려가거나 올라갈 때 안전레일을 잡기가 매우 편리하다. 옆의 U모양의 바(bar)(56)는 상기한 콘베이어(50) 위로 안전레일(53)의 양 끝에 연결되어 있다. 옆의 바(56)에 전등(57)이 설치되어 있다. 제18도에서, 암(48)은 바(56)에 연결되어 있고, 파라솔(40)은 지주홀더(49)로 암(48)에 분리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The assistant operator's seat 17 is provided adjacent to the control unit 5 and has a step 17a and a safety rail 17c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body. The pair of safety rails 53 are provided adjacent to the work seats 6 and 19 along the opposite sides of the conveyor 18a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safety rail 53 may be used for the reinforcement of the base 2. It is very convenient for the worker to hold the safety rail when stepping on or down the tread plates 20a and 21a. The side U-shaped bar 56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afety rail 53 above the conveyor 50. The lamp 57 is attached to the side bar 56. In FIG. 18, the arm 48 is connected to the bar 56, and the parasol 40 is connected to the arm 48 by a prop holder 49 so as to rotate.

포장에 흙과 불순물을 방출하기 위하여 선별 콘베이어장치(18)의 하부에 공간(54)을 설치하고 있다. 랙(44)은 기체(2)에 있는 상기한 선별 콘베이어장치(18)의 후미에 부착되어 있다. 랙(44)에 다수의 콘테이너가 설치되어 있다. 랙은 사용하지 않을 때 접혀질 수 있으며, 상하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랙부(portion)가 디딤판(20a)과 (21a)에 각각 설치되어 그것들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콘테이너가 랙부에 설치되어 있다.A space 54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orting conveyor apparatus 18 to release soil and impurities in the package. The rack 44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sorting conveyor apparatus 18 described above in the base 2. Many containers are installed in the rack 44. The rack can be folded when not in use and can be positioned up and down. A rack portion is provided in the tread plates 20a and 21a, respectively, and projects out from them, and a container is provided in the rack portion.

두번째 실시예의 감자 수확기(1A)는 첫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된다.The potato harvester 1A of the second embodiment is operated in the same way as in the first embodiment.

선별 콘베이어장치(18)의 콘베이어(18a)는 수확물이나 수확물의 성장조건에 독립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진 콘베이어로 대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한 콘베이어(18a)가 평평한 벨트이기 때문에, 상기한 콘베이어(50)를 통하여 공급된 수확량의 전 양이 콘베이어(18a)에 공급된다.The conveyor 18a of the sorting conveyor apparatus 18 may be replaced with a conveyor having various forms independently of the harvest or the growing conditions of the harvest. Since the conveyor 18a in the embodiment is a flat belt, the entire amount of the yield supplied through the conveyor 50 is supplied to the conveyor 18a.

제18도에서, 상기한 콘베이어(18b)는 무한벨트를 형성하는 로드의 연속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공급되는 동안, 흙이나 작은 근채류가 로드사이로 떨어진다.In FIG. 18, the conveyor 18b consists of a series of rods forming an endless belt. So, during feeding, soil or small root vegetables fall between the rods.

제20도는 콘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당겨진 다수의 로프(ropes)를 보유하는 로프콘베이어(18c)의 다수의 옆의 바가 선정된 거리를 두고 모든 다른 로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공급되는 동안, 흙, 줄기, 잎, 작은 감자가 로프와 바 사이를 통과하여 떨어진다.FIG. 20 shows that a number of side bars of a rope conveyor 18c having a plurality of ropes pu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are attached to all other rope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During feeding, soil, stems, leaves and small potatoes fall through the ropes and bars.

제21도에서, 로울러 콘베이어(18d)는 상기한 콘베이어(18d)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7개의 테이퍼 로울러로 구성된다. 테이퍼 로울러의 큰 직경부는 콘베이어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흙, 줄기, 잎, 작은 감자가 로울러의 테이퍼부 사이에서 떨어진다.In FIG. 21, the roller conveyor 18d is composed of seven tapered roller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18d. The large diameter of the tapered roller is arranged in front of the conveyor. Soil, stems, leaves and small potatoes fall between the tapered sections of the rollers.

제22도와 제23도는 수확기(1A)에 상기 선별장치가 더 변형된 예를 보여준다. 상기한 선별 콘베이어장치(18)는 첫번째 선별 콘베이어(18e), 분리되어 설치된 두번째 선별 콘베이어(18f)와 첫번째 콘베이어와 두번째 콘베이어를 중재하는 연결 플레이트(45)로 구성된다. 첫번째 콘베이어(18e)는 상기한 콘베이어(18b)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두번째 콘베이어(18f)는 상기한 콘베이어(18c)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랙(44)에 설치된 콘테이너(43)는 상기한 콘베이어(18f)의 후단에 배치된다.22 and 23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sorting device is further modified in the harvester 1A. The sorting conveyor device 18 is composed of a first sorting conveyor 18e, a second sorting conveyor 18f separately installed, and a connecting plate 45 for arbitrating the first conveyor and the second conveyor. The first conveyor 18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veyor 18b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conveyor 18f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veyor 18c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43 installed in the rack 44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conveyor 18f.

상기한 콘베이어(50)로부터 상기한 콘베이어(18e)까지 공급된 수확물은 감자 이외의 혼합물을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한 좌석(6)과 (19)에 있는 작업자에 의해 손으로 선별된다. 조그만 감자는 콘베이어(18e)을 통하여 떨어지고 공간(54)에 설치된 콘테이너에 들어간다. 중간 크기보다 더 큰 감자는 상기한 콘베이어(18e)에 남고 플레이트(45)를 통과하여 상기한 콘베이어(18f)로 공급되며, 자동적으로 콘테이너(43)에 들어간다.The harvest fed from the conveyor 50 to the conveyor 18e is picked by hand by the operator at the seats 6 and 19 described above to release a mixture other than potatoes. The small potato falls through the conveyor 18e and enters a container installed in the space 54. Potatoes larger than the medium size remain in the conveyor 18e and are passed through the plate 45 to the conveyor 18f and automatically enter the container 43.

변형예에서, 감자가 자동적으로 콘테이너에 들어가기 때문에 좌석(19)에 있는 작업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 variant, the operator in the seat 19 can be reduced because the potatoes automatically enter the container.

본 발명에 따르면, 소규모로 운영되는 포장에 사용되는 감자 수확기에서, 엔진, 조종장치, 변속장치와 같은 수확기의 작동시스템은 기체의 앞부분에 설치하며, 운전사와 작업자는 그것의 후미에 위치한다. 그래서, 상기한 기체는 수확작업을 하는 동안, 기체의 균형성, 주행성, 조향성, 안정성을 향상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otato harvesters used for small scale operation, harvester operating systems such as engines, controls, transmissions are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gas, with the driver and operator located at their rear. Thus, the above-mentioned gas improves the balance, running, steering and stability of the gas during the harvesting operation.

크롤러와 굴착기 콘베이어의 속도가 수확물과 포장의 조건에 독립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수확물이 정확하게 캐내어지고 운송된다. 그래서 작업성과 작업성밀도를 향상시킨다.Since the speed of the crawler and excavator conveyors varies independently of the conditions of the harvest and the packaging, the harvest is accurately picked up and transported. Therefore, workability and workability density are improved.

선별 콘베이어가 굴착기 콘베이어의 후미에 설치되어 있고, 수확물에 관계없이 대체될 수 있다. 그래서, 작업자가 조금만 있어도 수확물을 적당히 선별할 수 있다.The sorting conveyor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excavator conveyor and can be replaced regardless of the harvest. Thus, even if there are only a few workers, the harvest can be properly selected.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감자 수확기는 해변에 버려져 있는 깡통, 병, 나무토막 등을 수집하는데 있어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The potato harvester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collecting cans, bottles, chips, etc. discarded on the beach.

본 발명을 이상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s in the above example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제1(a)도와 제1(b)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감자 수확기를 보여주는 전체 평면도.1 (a) and 1 (b) are an overall plan view showing a potato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감자 수확기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a potato harvester.

제3도는, 감자 수확기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a potato harvester.

제4도는, 굴착기 콘베이어장치의 부분확대 단면도.4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of an excavator conveyor apparatus.

제5도는, 선별 콘베이어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5 is a sid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orting conveyor apparatus.

제6도는, 콘테이너에 있는 랙을 보여주는 확대 측면도.6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a rack in a container.

제7도는, 랙의 꺽인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7 is a side view showing a bent state of the rack.

제8도는, 조절부분에 있는 조절레버의 변형을 보여주는 평면도.8 is a plan view showing the deformation of the control lever in the control portion.

제9도는, 수확기의 조절시스템을 보여주는 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rvesting control system.

제10도는, 수확기의 변속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평면도.10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transmission of the harvester.

제11도는, 선별을 위한 변형된 작업부 좌석을 가지는 수확기의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11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arvester having a modified workbench seat for sorting.

제12(a)도와 제12(b)도는 변형된 작업부 좌석의 사용을 보여주는 설명도.12 (a) and 12 (b)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the use of a modified work seat.

제13(a)도와 제13(b)도는 작업부 좌석의 또다른 변형을 보여주는 설명도.13 (a) and 13 (b)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nother variant of the work seat.

제14도는, 첨가된 조정부를 가지는 수확기의 개략 측면도.1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harvester with added adjustments.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의 두번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15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6도는 두번째 실시예의 측면도.16 is a sid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제17도는 두번째 실시예의 개략 배면도.17 is a schematic rear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제18도는 두번째 실시예의 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제19도는 두번째 실시예의 선별 콘베이어의 변형을 보여주는 평면도.19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election conveyor of the second embodiment.

제20도는 선별 콘베이어의 또 다른 변형을 보여주는 평면도.20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variant of the sorting conveyor.

제21도는 선별 콘베이어의 더 많은 변형을 보여주는 평면도.Figure 21 is a plan view showing more variants of the sorting conveyor.

제22도는 두번째 실시예의 변형을 보여주는 평면도.22 is a plan view showing a vari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제23도는 변형의 측면도.23 is a side view of the deforma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근채류 수확기 (2) : 기체(1): root crop harvester (2): gas

(3) : 크롤러 (4) : 엔진부(엔진, 발전기, 유압모터)(3) Crawler (4) Engine part (engine, generator, hydraulic motor)

(4a) : 연료탱크 (4b) : 벨트전동계(4a): fuel tank (4b): belt motor

(4c) : 출력축 (4d) : 변속장치(4c): Output shaft (4d): Transmission

(5) : 조종부 (5a) : 조종부 디딤판(5): control unit (5a): control unit tread

(6) : 조종석겸 작업용 좌석 (7) : 굴착기 콘베이어장치(6): cockpit and work seat (7): excavator conveyor system

(8) : 틀(frame) (9) : 굴착기 날(8): frame (9): excavator blade

(10) : 굴착기 콘베이어 (10a) : 경사상단부의 회동부(10): excavator conveyor (10a): rotating part of the inclined upper end

(10b) : 링크로드 (10c) : 탄성통체(10b): link rod (10c): elastic cylinder

(10d) : 경사상단부의 회동부 (11) : 유압실린더(10d): Rotating portion of the inclined upper end (11): Hydraulic cylinder

(12) : 브래킷 (13) : 휴추종장치(12): Bracket (13): Follower

(14) : 휠 (15) : 상하조절기구14: wheel 15: up and down adjustment mechanism

(16) : 좌우조절장치 (17) : 보조작업자용 좌석(16): Left and right adjusting device (17): Assistant worker's seat

(18) : 선별 콘베이어장치 (18a) : 상부 무한평탄부 콘베이어(18): sorting conveyor device (18a): upper endless flat conveyor

(18A) : 공급콘베이어 (18B) : 선별콘베이어(18A): Supply Conveyor (18B): Sorting Conveyor

(19) : 작업자용 좌석 (20) : 디딤판19: operator seat 20: tread

(21) : 선별작업자용 디딤판(21): stepping board for sorting worker

Claims (25)

기체, 상기 기체를 움직이고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크롤러 및 제1동력변속장치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크롤러를 주행시키는 엔진을 보유하는 근채류 수확기에 있어서,In a root vegetable harvester having a gas, a pair of crawlers for moving and supporting the gas, and an engine for driving the crawler through a first power transmission system, 상기 기체의 중심부에서 기체의 앞부분에 세로로 설치되어 아래로 경사져 있는 굴착기 콘베이어;An excavator conveyor installed vertically at the front of the gas at the center of the gas and inclined downward; 포장에서 수확물을 캐낼 수 있도록 굴착기 콘베이어의 선단 앞에 설치되어 있는 굴착기 날;Excavator blades installed in front of the excavator conveyor's tip to harvest harvest from the package; 굴착기 콘베이어로부터 수확물을 받고, 그것을 운송하기 위하여, 굴착기 콘베이어의 후미에 배치되어 있는 선별 콘베이어장치;A sorting conveyor devic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excavator conveyor to receive the harvest from the excavator conveyor and transport it; 작업클러치를 통하여 상기 엔진의 동력을 콘베이어로 전달하기 위한 제2동력 변속장치시스템; 및A second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engine to a conveyor through a work clutch; And 캐내어진 수확물의 선별조작을 수행하는 상기 선별 콘베이어장치의 양 대향측에 설치되는 선별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A root vegetable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orting space which is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sorting conveyor device for performing the sorting operation of the harvested harve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굴착기 콘베이어의 속도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단계적으로 변하게 하는 변속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ransmission for continuously and stepwise changing the speed of the excavator convey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별 콘베이어장치가 상부 평탄 콘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rting conveyor device is an upper flat convey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별 콘베이어장치는 공급 콘베이어와 선별 콘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 콘베이어의 속도가 상기 선별 콘베이어의 속도보다 더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rting conveyor device includes a feed conveyor and a sorting conveyor, wherein the speed of the feed conveyor is faster than the speed of the sorting convey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별 콘베이어장치의 후단에 설치된 레이크모양의 체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ake-shaped siev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sorting conveyor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일측에 설치된 조종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조종부의 후부에 기체의 양 대향측에 작업용 좌석과 디딤판을 설치하며, 상기 조종부에 인접한 작업용 좌석이 수확기의 조종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근채류 수확기.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ircraft, the rear of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working seat and a stepping plate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aircraft, the working seat adjacent to the control unit to the operator of the harvester Root harvester adapted for use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일측에 설치된 조종석 및 조종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선별공간은 작업용 좌석과 상기 좌석의 디딤판을 포함하며, 상기 조종석은 작업용 좌석으로서 사용되고, 그 중심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높이와 옆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ckpit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wherein the sorting space includes a work seat and a stepping plate of the seat, the cockpit being used as a work seat and rotating about its center. Root crop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nd side position can be adju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기 콘베이어와 굴착기 날이 틀에 의해서 일체의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일체구조가 기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cavator conveyor and the excavator blade are integrally formed by a mold, and the integral structure is installed to be freely rotatable to the g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콘베이어의 후단에서 상기한 굴착기 콘베이어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상기 기체 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the rear end of the conveyor, the excavator conveyor is installed on the gas so as to be free to ro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굴착기 콘베이어의 전부(前部)가 나머지 부분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part of the excavator conveyor is free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굴착기 콘베이어가 로드의 연속으로 이루어진 무한벨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cavator conveyor is formed of an endless belt consisting of a series of rods. 제1항에 있어서, 포장의 이랑을 따라가게 하기 위하여 상기한 굴착기 콘베이어의 앞에 설치한 휴추종장치(ridge tracing device)로 이루어진 근채류 수확기.The root crop harvester of Claim 1 which consists of the ridge tracing device installed in front of the said excavator conveyor in order to follow the ridge of a pack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엔진과 상기한 제1동력변속장치시스템이 상기 크롤러의 전부(前部)에 배치되고, 상기한 선별공간 및 수확용 콘테이너가 상기 크롤러의 후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said engine and said 1st power transmission system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part of the said crawler, The said sorting space and the harvesting container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rear part of the said crawler. Root crop harve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동력변속장치시스템은, 크롤러에 엔진의 힘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한쌍의 사이드클러치, 상기 크롤러의 양 차축 사이에 배치된 디퍼렌셜 및 상기 디퍼렌셜의 케이스를 제동하여 크롤러의 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크롤러의 대응 클러치가 분리되어 있는 브레이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crawle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system brakes a pair of side clutches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engine power to a crawler, differentials disposed between both axles of the crawler, and cases of the differentials. Root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brake device is a corresponding clutch of the crawler is sepa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별 콘베이어장치 하부에 있는 상기한 선별공간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pace formed between the sorting spaces below the sorting conveyo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별 콘베이어장치의 일측의 보조작업자용 좌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ssistant worker's seat on one side of the sorting conveyo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별 콘베이어장치가 다른 형태의 콘베이어로 대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rting conveyor device is replaced with another type of convey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공간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한 기체의 강화부재로서 사용되는 안전레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afety rail installed adjacent to the sorting space and used as a reinforcing member of the gas.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디딤판이 이 디딤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 기체의 안쪽으로 수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8. 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tepping plate is accommodated inside the gas when the stepping plate is not used. 제7항에 있어서, 추가로 클러치 레버가 상기 조종석의 대향측에 설치되며, 그것에 의하여 주행 클러치와 작업 클러치가 상기 선별 콘베이어장치의 양측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8. 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clutch lev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ckpit, whereby the traveling clutch and the working clutch can be operated on both sides of the sorting conveyor apparatu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로드상에 탄성통체가 회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elastic cylinder is installed on each of the rods so as to freely rota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휴추종장치는 대응하는 이랑의 대향 경사부를 따라 구르는 한쌍의 런닝휠을 포함하며, 상기한 한쌍의 런닝휠 각각은 굴착기 콘베이어에 대하여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13. 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follower includes a pair of running wheels rolling along opposite slopes of the corresponding ridges, wherein each of the pair of running wheels is up, down, an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excavator conveyor. Root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so as to enable adjustmen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런닐휠 각각의 차축이 수평면에서는 내부로 경사져 있으며, 수직면에서는 외부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root crop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axle of each of the runner wheels is inclined inward in the horizontal plane and inclined outward in the vertical plan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콘베이어의 다른 형태가 상부가 평평한 콘베이어, 로드의 연속으로 이루어진 로드 콘베이어, 다수의 길이의 로프로 이루어진 로프 콘베이어, 테이프 로울러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18. 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other forms of the conveyor include a flat top conveyor, a rod conveyor consisting of a series of rods, a rope conveyo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opes, and a tape roller convey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별 콘베이어의 후부에 분리할 수 있는 보조 콘베이어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수확기.The root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ubsidiary conveyor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orting conveyor.
KR1019920024673A 1991-12-17 1992-12-17 Machine for harvesting root crops KR10025265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53403 1991-12-17
JP3353403A JP2769756B2 (en) 1991-12-17 1991-12-17 Agricultural harve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2651B1 true KR100252651B1 (en) 2000-04-15

Family

ID=1843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673A KR100252651B1 (en) 1991-12-17 1992-12-17 Machine for harvesting root crop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769756B2 (en)
KR (1) KR10025265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948B1 (en) 2015-12-23 2016-05-24 이창재 Transferring device for works in greenhouse
KR20230089826A (en)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대일산업 Seat back cover for a vehicle having things draw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7216U (en) * 1982-11-30 1984-06-13 株式会社源商 Harvesting machine for potatoes, etc.
JPS6432020U (en) * 1987-08-19 1989-02-28
JPH0220411U (en) * 1988-07-27 1990-02-09
JPH0723Y2 (en) * 1988-10-13 1995-01-1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Potato harvester sor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948B1 (en) 2015-12-23 2016-05-24 이창재 Transferring device for works in greenhouse
KR20230089826A (en)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대일산업 Seat back cover for a vehicle having things dra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69756B2 (en) 1998-06-25
JPH05168319A (en) 199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7885B1 (en) Harvester for agricultural products
KR100252651B1 (en) Machine for harvesting root crops
JP3414598B2 (en) Agricultural sorting equipment
JP2673845B2 (en) Agricultural harvester
JP2900208B2 (en) Agricultural harvester
JP3715404B2 (en) Potato harvester
JP2673866B2 (en) Agricultural harvester
JP3228380B2 (en) Agricultural harvester
JP2578144Y2 (en) Agricultural sorting equipment
JP2652738B2 (en) Agricultural harvester
JP2796585B2 (en) Agricultural harvester safety equipment
JPH06264976A (en) Differential gear
JP2843928B2 (en) Agricultural harvester
JP3073823B2 (en) Agricultural harvester
JP2950445B2 (en) Agricultural harvester
JP2796586B2 (en) Agricultural sorting equipment
JPH0657115U (en) Agricultural product harvester
JP2956863B2 (en) Agricultural harvester
JP3300116B2 (en) Agricultural harvester
JPH06181615A (en) Harvester for farm product
JP2575751Y2 (en) Agricultural sorting equipment
JP2580739Y2 (en) Agricultural harvester
JP2582533Y2 (en) Agricultural harvester
JP2553737Y2 (en) Agricultural harvester
JP2588124Y2 (en) Agricultural harv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