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242B1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242B1
KR101622242B1 KR1020130025326A KR20130025326A KR101622242B1 KR 101622242 B1 KR101622242 B1 KR 101622242B1 KR 1020130025326 A KR1020130025326 A KR 1020130025326A KR 20130025326 A KR20130025326 A KR 20130025326A KR 101622242 B1 KR101622242 B1 KR 101622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ondenser
frame
wat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648A (ko
Inventor
최연근
김준우
허동철
오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30025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242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5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de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제습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제습기는: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구비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하고 토출시키는 송풍부와, 송풍부에 의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제습하는 제습부 및 송풍부에 구비되어 제습부를 고정하고 제습부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지지되는 제습부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방진기능을 향상시킨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본체 내부에 냉동사이클장치를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 등이 설치된다. 즉,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열되어 저온고압으로 변하는 응축기가 본체의 좌측 상부에 설치되고 또한 이와 대응되는 우측 상부에 응축기를 거친 냉매가스가 모세관을 거치면서 저온저압으로 변한 상태에서 외부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가 설치된다. 또한, 증발기와 응축기의 사이에 외부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순환팬이 설치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제습기는 냉매가스가 압축기와 응축기 및 증발기를 거치면서 외부공기가 제습되는 것으로서, 즉, 순환팬에 의해 강제순환되는 외부공기가 증발기를 거치면서 순간적으로 냉각되고 이에 포함된 수분이 결로되어 증발기 표면에 달라붙는다. 또한, 많이 달라 붙으면 중력에 의해 낙하되어 제습통에 담수되고 또한 외부공기는 제습되는 과정에서 냉각된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2007-0105455호(공개일:2007.10.31)에는 "제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 상부에 구비되는 제습부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성 및 지지강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습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감소되도록 방진기능을 향상시킨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하고 토출시키는 송풍부와, 상기 송풍부에 의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제습하는 제습부 및 상기 송풍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습부를 고정하고 상기 제습부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측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덕트와, 상기 안내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및 상기 안내덕트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습부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상기 안내덕트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내덕트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과 상기 제습부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설치플레이트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상단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되도록 끼움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를 고정하고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프레임이 하부프레임, 구획프레임,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각 프레임의 금형제작이 용이하고, 구획프레임에 의해 공간이 분할되므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지지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기를 지지하는 진동감쇄부에 의해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 및 타 부품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응축기와 증발기 또한 타 제품과 직접 결합되지 않고, 상하부가 탄성지지되므로 방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응축기와 증발기를 설치플레이트에 의해 송풍부와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어 제습기 전체를 슬림화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제습부를 거치지 않은 실내공기의 습도를 센싱할 수 있어 제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만수셋팅부에 의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만수위를 설정할 수 있어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제습부로부터 발생된 물의 안내구조를 개선하여 물의 원활한 저장은 물론, 물 흐름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케이스가 제거된 정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케이스가 제거된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프레임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압축기 조립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압축기 조립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습부 결합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습부 결합을 보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만수셋팅부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만수셋팅부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물받이부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물받이부를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물받이부 슬라이드장착부를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보조물받이부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는 케이스(100), 프레임(200), 제습부(300), 송풍부(400) 및 물받이부(5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의 전측에 구비되는 전면케이스(110)와, 프레임(200)의 후측에 구비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5)를 갖는 후면케이스 (120)및 유입구(125)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부로 토출되도록 토출구(135)를 갖는 상부케이스(130)를 포함한다.
전면케이스(110)의 내측에는 송풍부(400)와 제습부(300) 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30)에는 제어부(1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터치패널(138)이 구비된다.
상부케이스(130)의 토출구(135)에는 토출구(13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덕트(137)가 힌지 연결된다.
제습부(30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에 구비되는 압축기(310), 프레임(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응축기(320) 및 응축기(320)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응축기(320)와 상호 열교환되며 외부공기를 제습하는 증발기(330)를 포함한다. 즉, 제습기(300)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여 외부공기를 제습하는 것이다.
프레임(200)은 송풍부(400)와 제습부(300) 및 물받이부(50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10)의 상면에 기립되어 결합되고, 하부프레임(210)의 전측과 후측을 구획하는 구획프레임(220) 및 구획프레임(2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송풍부(400), 제습부(300)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230)을 포함한다.
프레임(200)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10), 구획프레임(220), 상부프레임(230)으로 구분되어 별도 제작됨으로써, 금형제작이 용이하고, 형상을 디테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제습부(300)의 압축기(310)는 하부프레임(210)에 구비되어 지지되고, 응축기(320)와 증발기(330)는 열교환을 위해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부프레임(230)에 지지된다.
구획프레임(220)에 구획되는 하부프레임(210)의 전측에는 물받이부(500)가 장착되고, 후측에는 압축기(310)가 구비된다. 즉, 구획프레임(220)은 물받이부(500)와 압축기(310)가 구비되는 기계실로 구획하여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210)의 상면에는 구획프레임(22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위치지정가이드부(240)가 구비된다. 위치지정가이드부(24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프레임(220)의 하단과 접하는 가이드편(242) 및 가이드편(242)으로부터 구획프레임(220)의 두께만큼 이격되는 가이드돌기(244)를 포함한다. 가이드편(242)은 구획프레임(220)의 하단 둘레와 접하도록 구획프레임(220)의 하단과 동일한 라인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돌기(244)는 가이드편(242)에 인접하게 복수개 배치된다. 가이드돌기(244)의 선단에는 가이드편(242)과 가이드돌기(242)가 이루는 틈 사이로 구획프레임(220)의 삽입이 안내되도록 경사면(245)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프레임(210)과 구획프레임(220)은 결속부(250)에 의해 결합된다. 구획프레임(220)은 위치지정가이드부(240)에 의해 하부프레임(210)에 가고정되고, 결속부(250)에 의해 완전 결합된다.
결속부(250)는 하부프레임(210)에 기립되게 복수개 형성되고, 장홀(253)이 형성되는 결속브라켓(252) 및 결속브라켓(252)의 장홀(253)과 대응되도록 구획프레임(220)에 구비되는 결속홀부(254)를 포함한다. 결속브라켓(252)에 장홀(253)이 형성됨에 따라 조립시 치수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구획프레임(220)의 양측에는 자체 탄성을 지니는 탄성후크(222)가 구비되고, 물받이부(500)에는 탄성후크(222)와 결속되는 걸림부(512)가 구비된다. 물받이부(500)는 하부프레임(210), 상부프레임(230) 및 구획프레임(220)이 이루는 공간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탄성후크(222)는 구획프레임(220)의 양측 상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물받이부(500)가 공간으로 삽입 시 걸림부(512)에 결속되어 물받이부(500)를 고정한다.
상부프레임(230)에는 증발기(330)의 제습에 의해 발생되는 물을 물받이부(500)로 안내하는 드레인홈부(232)가 구비된다. 드레인홈부(232)는 증발기(330)에서 발생되어 낙하하는 물이 일측으로 모일 수 있도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일측으로 모인 물은 물받이부(500)로 안내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상부프레임(230)은 가고정부(260)에 의해 구획프레임(220)의 상부에 결합된다. 가고정부(260)는 구획프레임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걸림돌기(261)를 갖는 끼움편(262)과, 걸림돌기(261)와 체결되도록 상부프레임(230)의 하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후크(264) 및 상부프레임(230)의 하면에 후크(264)와 이격되어 형성되어 끼움편(262)과 접촉되는 접촉편(266)을 포함한다.
후크(264)과 접촉편(266)은 구획프레임(220)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구획프레임(220)의 전후측을 지지되므로 구획프레임(220)의 상부에 상부프레임(230)을 가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프레임(230)과 구획프레임(220)의 양측에는 상호 대응되는 고정공(230a,220a)이 형성되어 상호 완전 결합된다.
프레임(200)에는 도 7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310)를 고정하고, 압축기(310)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감쇄부(270)가 구비된다. 압축기(310)는 구획프레임(220)에 구획되는 공간 중 후측에 구비되고, 하부프레임(210)에는 압축기(310)와 대응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는 압축기(310)의 진동 발생 시 압축기(310)가 하부프레임(2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진동감쇄부(270)는 하부프레임(210)에 돌출 형성되는 샤프트(272)와, 샤프트(272)에 결합되도록 압축기(31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결합브라켓(274) 및 샤프트(272)상에 구비되고, 하부프레임(210)으로부터 결합브라켓(274)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76)를 포함한다.
샤프트(272)는 하부프레임(210)과 분리 가능한 별물로 이루어지고, 압축기(310)의 둘레에 3개 구비되어 압축기(310)를 3점지지한다. 그리고, 샤프트(272)에는 상호 마주보는 감쇄댐퍼(278)가 구비되고, 탄성부재(276)의 상하단은 감쇄댐퍼(278)에 지지된다. 감쇄댐퍼(278)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샤트프(272)와 결합브라켓(274), 샤프트(272)와 하부프레임(210)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기(310)의 진동이 타 부품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진동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감쇄댐퍼(278) 중 결합브라켓(274)에 결합되는 감쇄댐퍼(278)의 둘레면에는 결합브라켓(274)이 장착되어 상하이동이 방지되도록 이동방지홈(279)이 형성된다. 그리고, 감쇄댐퍼(278)는 샤프트(272)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중공 형성된다. 또한, 감쇄댐퍼(278)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접촉돌기(278a)가 형성된다.
탄성부재(276)은 스틸재질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기존의 고무재질의 완충재의 문제점인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오랜시간 사용하여도 감쇄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프레임(200)의 상부에는 응축기(320)와 증발기(330) 및 송풍부(400)가 구비된다. 이때, 응축기(320)와 증발기(330)는 지지부(350)에 의해 고정되고, 진동이 감쇄되며, 타 부품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먼저, 도 9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320)와 증발기(330)는 설치플레이트(340)에 의해 일체화된다.
설치플레이트(340)는 응축기(320)의 냉매관을 지지하는 제1설치플레이트(342)와, 증발기(330)의 냉매관을 지지하는 제2설치플레이트(344)를 포함하고, 제1,2설치플레이트(342,344)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설치플레이트(340)에 의해 응축기(320)와 증발기(330)는 인접하여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350)는 프레임(200)의 상면에 구비되는 고정리브(352) 및 고정리브(352)에 안착되어 고정되고, 응축기(320)와 증발기(330)를 지지하는 고무댐퍼(354)를 포함한다. 고정리브(352)는 고무댐퍼(354)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부프레임(230)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고무댐퍼(354)는 이탈방지부재(360)에 의해 고정리브(352)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이탈방지부재(360)는 고정리브(352)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축(362)과, 이탈방지축(362)이 삽입되도록 고무댐퍼(354)에 구비되는 이탈방지홀(364)로 이루어진다. 고무댐퍼(354)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리브(35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동방지편(355)이 더 구비된다.
고무댐퍼(354)에는 응축기(320)와 증발기(330)의 하단 냉매관이 수용되도록 복수개의 안착홈부(356)가 형성된다. 안착홈부(356)에는 완충돌기(357)가 형성된다. 완충돌기(357)는 안착홈부(356)에 안착되는 응축기(320), 증발기(330)의 냉매관과 접촉되고, 응축기(320), 증발기(330)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키고, 진동이 타 부품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응축기(320)와 증발기(330)는 고정부(450)에 의해 고정되고, 진동을 감쇄된다. 즉, 프레임(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응축기(320)와 증발기(330)의 하단은 지지부(350)에 의해 고정되고, 상단은 고정부(450)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응축기(320)와 증발기(330)에 발생되는 진동은 고정부(450)와 지지부(350)에 의해 감쇄된다.
고정부(450)는 프레임(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송풍부(400)에 구비된다. 이때, 송풍부(400)는 프레임(2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측으로 토출하는 안내덕트(410)와, 안내덕트(410)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420) 및 안내덕트(410)에 장착되어 송풍팬(42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30)를 포함한다.
즉,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부(400)와 응축기(320) 및 증발기(330)는 상부프레임(230)의 상부에 구비되고, 동일선상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고정부(450)는 안내덕트(410)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응축기(320)와 증발기(33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고정편(452) 및 고정편(452)과 응축기(320) 및 증발기(330)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454)를 포함한다. 완충부재(454)는 인슐레이션 패드로 이루어진다. 응축기(320)와 증발기(330)의 하부는 지지부(350)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는 고정편(452)에 지지되어 고정되며, 인슐레이션 패드로 이루어진 완충부재(454)에 의해 응축기(320)와 증발기(330)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구조를 지닌다. 이때, 응축기(320)와 증발기(330)는 설치플레이트(340)에 의해 일체화되는데, 설치플레이트(340)에는 슬라이드레일(346)이 형성되고, 안내덕트(410)에는 슬라이드레일(346)에 대응되는 슬라이드돌기(4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응축기(320)와 증발기(330)는 설치플레이트(340)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로 프레임(2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송풍부(400)의 조립시 송풍부(400)의 슬라이드돌기(412)가 설치플레이트(340)의 슬라이드레일(346)을 따라 가이드되어 결합된다.
설치플레이트(340)의 상단에는 끼움돌기(348)가 형성되고, 고정편(452)에는 끼움돌기(348)가 삽입되도록 끼움홀부(453)가 형성된다. 송풍부(400)의 슬라이드 결합에 의해 끼움돌기(348)는 끼움홀부(453)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처럼, 송풍부(400)에 지지되는 응축기(320)와 증발기(330)는 송풍부(400) 및 프레임(200)과 나사결합을 배제한 구조에 의해 응축기(320)와 증발기(3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타 부품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발생된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이때, 송풍부(4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편(452)에는 복수개의 보강리브(452a)가 형성되어 지지강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송풍부(400)는 그 구조가 슬림화되어 컴팩트한 제습기(10)를 구성할 수 있다. 송풍부(400)는 안내덕트(410), 송풍팬(420) 및 구동모터(430)를 포함하는데, 구동모터(430)는 안내덕트(410)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장착브라켓(440)에 의해 안내덕트(410)에 고정된다. 즉, 안내덕트(410)에는 구동모터(430)가 일부 삽입되도록 관통홀(413)이 형성되고, 관통홀(413)에 삽입된 구동모터(430)는 외부에서 장착브라켓(44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장착브라켓(440)에는 중앙홀(442)이 형성되고, 사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각 단부에 고정홀(443)이 형성되어 고정홀(443)을 통해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안내덕트(410)에 장착된다. 구동모터(430)에는 후측으로 돌출되어 중앙홀(442)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부(4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덕트(410)에는 응축기(320)와 증발기(330)를 거치지 않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미세유입구(414)가 구비된다. 미세유입구(414)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덕트(410)에 구동모터(430)를 장착하기 위한 관통홀(413)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며, 미세유입구(414)의 인접부위에는 습도센서(46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미세유입구(414)는 관통홀(413)과 일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안내덕트(410)에 별도의 미세유입구(414)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단순한 설계변경에 지나지 않는다.
미세유입구(414)에 인접하여 습도센서(460)가 구비됨으로, 응축기(320)와 증발기(330)를 거치지 않은 외부공기의 습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실내의 실제 습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제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안내덕트(410)에는 습도센서(460)이 거치될 수 있는 센서거치부(465)가 더 구비된다.
한편, 외부공기의 제습으로 인해 제습부(300)에 발생되는 물은 물받이부(500)로 안내되어 저장된다.
물받이부(500)는 도 13과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습부(300)에서 발생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통(510)과, 물저장통(510)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 (520)및 덮개(520)에 구비되어 제습부(300)에서 전달되는 물을 물저장통(510)으로 안내하는 안내부(530)를 포함한다.
즉, 증발기(330)에 맺힌 물은 상부프레임(230)의 드레인홈부(232)로 낙하되고, 드레인홈부(232)의 물은 물저장통(510)의 덮개(520)에 형성되는 안내부(530)를 따라 물저장통(510)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안내부(530)는 증발기(330)에서 전달되는 물이 안내되도록 덮개(520)에 형성되고, 물저장통(510)의 내측벽으로 연장되는 안내홈부(532) 및 안내홈부(532)의 단부에 형성되어 물이 물저장통(510)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유입홀(534)을 포함한다. 유입홀(534)은 물저장통(510)의 내측면과 인접하게 형성됨으로써, 안내홈부(532)를 따라 이동되는 물은 유입홀(534)을 통해 물저장통(510)의 내측면을 타고 흐를 수 있다. 이는 물이 유입홀(534)을 통해 자유낙하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520)에는 유입홀(534)의 반대편에 물저장통(510)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홀(522)이 구비된다. 배출홀(522)은 안내홈부(532) 상에 형성된다.
물받이부(500)는 프레임(200)에 장착 시 슬라이드장착부(515)에 의해 슬라이드 삽입되어 장착된다.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장착부(515)는 물저장통(510)의 하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블럭(516) 및 가이드블럭(516)을 직선으로 안내하도록 하부프레임(210)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518)를 포함한다. 가이드블럭(516)과 가이드레일부(518)는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물받이통(510)가 직선으로 안내되도록 하고, 그 형상은 후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장착 후 물저장통(510)의 유동이 방지된다.
물받이부(500)의 수위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는 물받이부(500)에 저장되는 물을 버려야 하는데, 물이 저장된 물받이부(500)의 무게는 개인마다 무겁다는 정도가 다르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받이부(500)의 수위는 물받이부(500)의 수위를 감지하고 만수높이를 설정하는 만수셋팅부(540)에 의해 조절된다. 만수셋팅부(540)는 케이스(100)에 구비되어 물저장통(510)의 만수높이를 설정하는 설정부(542) 및 프레임(200)에 구비되어 물저장통(510)의 수위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544)를 포함한다. 즉,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프레임(220)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544)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설정부(542)를 조작하여 만수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부(542)는 제습기(10)의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터치패널(138)에 구비된다.
또한, 변형예로서,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만수셋팅부(550)는 케이스(100)에 구비되어 물저장통(510)의 만수높이를 설정하는 설정부(552)와 프레임(200)에 구비되어 물저장통(51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554) 및 프레임(200)상에서 수위감지센서(554)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555)를 포함한다.
높이조절부(555)는 프레임(200)에 구비되는 승강모터(556)와 승강모터(556)에 축결합되는 피니언기어(557)와, 피니언기어(557)에 치합되고, 수위감지센서(554)가 장착되는 랙기어(558)를 포함한다. 이때, 프레임(200)에는 수위감지센서(554)가 승강되기 위한 승강레일부(559)가 구비된다. 물론, 설정부(552)와 승강모터(556)가 제거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위감지센서(554)의 위치를 피니언기어(557)를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물저장통(510)의 전면에는 투명재질의 수위확인창(514)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프레임(200)에는 물받이부(500)의 분리 시 증발기(330)에서 공급되는 물을 임시 저장하는 보조물받이부(560)이 구비된다. 물저장통(510)의 물을 버리기 위해서는 물저장통(510)을 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는데, 이때도 증발기(330)에서 발생되는 물은 드레인홈부(232)로 낙하하고, 안내된다. 이때, 하부프레임(210)에 구비되는 보조물받이부(560)에 의해 물이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물받이부(560)는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230)의 개구홀(233)과 대응되도록 하부프레임(210)에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562)을 포함한다. 그리고, 보조물받이부(560)는 개구홀(233)을 통해 전달되는 물이 함몰홈(562)으로 안내되도록 물안내부(565)를 포함한다. 물안내부(565)는 개구홀(23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안내관(566) 및 물안내관(566)의 회전 시 연결되고 물안내관(566)에 의해 전달된 물을 함몰홈(562)으로 안내하도록 프레임(200)에 형성되는 물안내유로(567)를 포함한다.
물안내관(566)에는 별도의 호스가 연결되어 외부로 물을 배출할 수도 있다.
함몰홈(562)은 하부프레임(210)에 구비되고, 물안내유로(567)은 구획프레임(220)에 형성되며, 물안내관(566)은 개구홀(233)에서 회전 가능하여 물받이부(500)의 이탈 시 회전시키면, 물안내관(566)의 단부가 물안내유로(567)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물안내관(566)에 의해 안내되는 물은 물안내유로(567)을 따라 흐르므로 물의 낙하하여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함몰홈(562)에 임시 저장되는 물은 소량이므로 휴지나 걸레로 닦아낼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10)는 냉매가스가 압축기(310)와 응축기(320) 및 증발기(330)를 거치면서 외부공기가 제습되는 것으로서, 송풍부(400)에 의해 강제순환되는 외부공기가 증발기(330)를 거치면서 순간적으로 냉각되고, 이에 포함된 수분이 결로되어 증발기(330) 표면에 맺히게 되며, 중력에 의해 낙하하면, 물받이부(500)에 저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10)의 조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200)은 하부프레임(210), 구획프레임(220) 및 상부프레임(230)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200)은 각 부품을 지지하는 골격으로서, 각각 별도로 제작됨으로써, 금형제작이 용이하고 그 형상을 디테일하게 형성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하부프레임(210), 구획프레임(220), 상부프레임(230)의 조립을 살펴보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10)에 형성되는 가이드편(242)과 가이드돌기(244) 사이에 구획프레임(220)의 하단을 삽입하여 지지되게 한 후, 결속브라켓(252)과 결속홀부(254)를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한다. 그리고, 구획프레임(220)의 상단부는 상부프레임(230)에 저면에 형성되는 후크(264)와 접촉편(266) 사이에 삽입되어 가고정된다. 이때, 구획프레임(220)에는 후크(264)와 결속되는 걸림돌기(261)가 형성되어 견고히 가고정될 수 있으며, 구획프레임(220)과 상부프레임(230)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공(220a,230a)에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처럼 구획프레임(220)을 기준으로 상부프레임(230)과 하부프레임(210)의 상하로 결합되고, 하부프레임(210)의 상부는 구획프레임(22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구획프레임(220)에 의해 물받이부(500)가 구비되는 공간과 압축기(310)가 구비되는 공간으로 구획됨으로,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압축기(31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차단되는 구조를 지닌다.
압축기(310)는 진동감쇄부(270)에 의해 지지되어 진동이 감쇄되고, 진동이 타 부품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7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72)에 구비되는 감쇄댐퍼(278)에 압축기(310)의 결합브라켓(274)이 장착되고, 감쇄댐퍼(278) 사이에는 탄성부재(276)가 구비되어 압축기(310)의 진동을 감쇄시킨다. 이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276)가 사용함에 따라 기존의 고무재질로 지지하는 것보다 방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감쇄댐퍼(278)는 중공형성되며, 내부에 접촉돌기(278a)가 형성되어 결합브라켓(274)과 샤프트(272)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진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후, 상부프레임(230)의 상부에 응축기(320)와 증발기(330)를 조립한다. 응축기(320)와 증발기(330)의 냉매관은 압축기(310)와 상호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응축기(320)와 증발기(330)는 설치플레이트(340)에 의해 일체화되어 상부프레임(230)에 고정된다. 설치플레이트(340)는 응축기(320)와 증발기(330)의 각각 양측면에 결합되는 제1설치플레이트(342)와 제2설치플레이트(344)로 이루어지며, 나사에 의해 결합되므로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를 지닌다. 이때, 상부프레임(230)으로부터 응축기(320)와 증발기(330)는 지지부(350)에 의해 지지된다. 즉, 고정리브(352)에 의해 고정되는 고무댐퍼(354)에 응축기(320)와 증발기(330)가 안착되어 고정된다. 응축기(320)와 증발기(330)의 하단부 냉매관은 고무댐퍼(354)의 안착홈부(356)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안착홈부(356)에는 완충돌기(357)가 형성되어 고무댐퍼(354)와 더불어 방진효과를 배가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230)의 상부에 송풍부(400)가 결합됨으로써, 응축기(320)와 증발기(330)의 상단을 고정한다. 즉, 송풍부(400)의 안내덕트(410)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돌기(412)가 형성되고, 슬라이드돌기(412)는 설치플레이트(340)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레일(346)를 따라 가이드되어 결합된다. 송풍부(400)의 안내덕트(410) 하단은 상부프레임(230)과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안내덕트(41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편(452)이 형성되어 응축기(320)와 증발기(330)의 상단과 접촉되게 되며, 응축기(320), 증발기(330)와 고정편(452) 사이에는 인슐레이션 패드로 이루어지는 완충부재(454)가 개재되어 응축기(320)와 증발기(330)의 상단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즉, 응축기(320)와 압축기(330)의 하단부는 고무댐퍼(354)에 의해 지지되고, 상단부는 고정편(452)의 가압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설치플레이트(340)의 상단에는 끼움돌기(348)가 형성되고, 끼움돌기(348)는 고정편(452)에 형성되는 끼움홀부(453)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같이 응축기(320)와 증발기(330)는 나사결합 구조를 탈피하여 응축기(320)와 증발기(330)의 진동이 타 부품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고무댐퍼(354)와 완충부재(454)에 의해 진동을 감쇄하는 구조를 지닌다.
그리고, 송풍부(400)와 응축기(320), 증발기(330)는 동일선상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제습기(10) 전체를 슬림화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420)을 구동하는 구동모터(430)는 안내덕트(410)의 관통홀(413)을 통해 일부 삽입된 상태로 장착브라켓(440)에 의해 고정되므로 송풍부(400)를 슬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430)가 관통홀(413)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에 의해 구동모터(430)와 관통홀(413) 사이에 미세유입구(414)가 형성되고, 미세유입구(414)에 인접하도록 습도센서(460)가 구비된다. 이는 미세유입구(414)를 통해 응축기(320)와 증발기(330)를 거치지 않은 외부공기가 유입되므로 외부공기의 정확한 습도를 습도센서(460)에서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제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프레임(200)에 각 부품이 조립되면, 전면케이스(110)와 후면케이스(120)를 프레임(200)에 결합하고, 전면케이스(110)와 후면케이스(120)의 상부에 상부케이스(130)를 결합한다.
이때, 후면케이스(120)의 유입구(125)에는 별도의 필터(140)가 구비되어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미세먼지를 제거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10)의 구동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케이스(130)에 구비되는 터치패널(138)을 조작하여 제습기(10)을 작동시키면, 구동모터(430)가 작동되고, 송풍팬(420)의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구(125)를 통해 유입된다. 유입구(125)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필터(140)를 거치면서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증발기(330)에서 결로되어 물이 생성된다. 증발기(330)에 물이 생성되어 낙하하면, 물은 드레인홈부(232)에 모이게 된다. 증발기(330)를 거친 외부공기는 응축기(320)를 통과하여 일정 온도가 상승되고, 안내덕트(410)에 의해 안내되어 토출구(135)로 토출된다.
토출구(135)에는 힌지 연결된 토출덕트(137)가 구비되어 토출덕트(137)의 각도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홈부(232)에 모인 물은 개구홀(233)을 통해 덮개(520)에 형성되는 안내홈부(532)에 전달되고, 물은 안내홈부(532)를 따라 유입홀(534)을 통해 물저장통(510)에 저장된다. 유입홀(534)은 물저장통(510)의 내측면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유입홀(534)로 유입된 물은 물저장통(510)의 내측면을 타고 흐르므로 물의 낙하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물저장통(510)의 만수위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이는 개인마다 무거운 정도가 서로 다르므로 물저장통(510)의 물을 비워야 하는 적정무게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힘이 약한 어린이, 노약자 및 여성일 경우, 낮은 수위를 만수위로 설정하여 물버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만수셋팅부(5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수위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부(542) 및 물저장통(510)의 수위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5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변형예로서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만수셋팅부(550)은 승강모터(556)의 구동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위감지센서(554)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승강모터(556)를 제거하고, 수위감지센서(55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레버(미도시)가 적용되어 수동으로 만수위를 셋팅할 수도 있다.
이처럼, 만수셋팅부(540,550)에 의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물저장통(510)의 만수위를 설정하고, 물저장통(510)의 만수위 시 사용자는 물저장통(510)을 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하여 배출홀(522)을 통해 물을 버리면 된다.
이때, 물저장통(510)이 프레임(200)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도 증발기(330)에서 발생되는 물은 개구홀(233)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달되게 되는데, 이는 하부프레임(210)에 구비되는 보조물받이부(560)에 의해 임시 저장될 수 있다.
보조물받이부(560)는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10)에 형성되는 함몰홈(562)으로 이루어지며, 물안내관(566)에 의해 구획프레임(220)에 형성되는 물안내유로(567)를 따라 흐를 수 있어 물이 낙하하여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함몰홈(562)으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물저장통(510)의 물버림 후 다시 장착될 때에는 함몰홈(562)의 물은 소량이므로 휴지나 걸레로 닦아내면 된다.
물저장통(510)의 하면에는 가이드블럭(516)이 형성되고, 하부프레임(210)에는 가이드블럭(516)이 안내되는 가이드레일부(518)가 구비되어 물저장통(510)은 프레임(200)으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고, 구획프레임(220)의 양측에는 탄성후크(222)가 구비되고, 물저장통(510)의 양측에는 걸림부(512)가 구비되어 상호 결속됨으로 장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의하면, 프레임이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금형제작이 용이하고 디테일한 형상 구현이 가능하며, 각 프레임의 배치에 의해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할 수 있어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 구조를 개선하여 진동이 발생되는 제습부의 진동을 최소화함은 물론, 진동이 타부품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을 슬림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제습기 100 : 케이스
115 : 제어부 120 : 후면케이스
125 : 유입구 130 : 상부케이스
135 : 토출구 137 : 토출덕트
138 : 터치패널 140 : 필터
200 : 프레임 210 : 하부프레임
220 : 구획프레임 220a, 230a : 고정공
222 : 탄성후크 230 : 상부프레임
232 : 드레인홈부 233 : 개구홀
240 : 위치지정가이드부 242 : 가이드편
244 : 가이드돌기 245 : 경사면
250 : 결속부 252 : 결속브라켓
253 : 장홀 254 : 결속홀부
260 : 가고정부 262 : 끼움편
264 : 후크 266 : 접촉편
270 : 진동감쇄부 272 : 샤프트
274 : 결합브라켓 276 : 탄성부재
278 : 감쇄댐퍼 287a : 접촉돌기
279 : 이동방지홈 300 : 제습부
310 : 압축기 320 : 응축기
330 : 증발기 340 : 설치플레이트
342 : 제1설치플레이트 344 : 제2설치플레이트
346 : 슬라이드레일 348 : 끼움돌기
350 : 지지부 352 : 고정리브
354 : 고무댐퍼 355 : 유동방지편
356 : 안착홈부 357 : 완충돌기
360 : 이탈방지부재 362 : 이탈방지축
364 : 이탈방지홀 400 : 송풍부
410 : 안내덕트 412 : 슬라이드돌기
413 : 관통홀 414 : 미세유입구
420 : 송풍팬 430 : 구동모터
432 : 고정돌기부 440 : 장착브라켓
442 : 중앙홀 443 : 고정홀
450 : 고정부 452 : 고정편
453 : 끼움홀부 452a : 보강리브
454 : 완충부재 460 : 습도센서
465 : 센서거치부 500 : 물받이부
510 : 물저장통 512 : 걸림부
515 : 슬라이드장착부 516 : 가이드블럭
518 : 가이드레일부 520 : 덮개
522 : 배출홀 530 : 안내부
532 : 안내홈부 534 : 유입홀
540 : 만수셋팅부 542 : 설정부
544 : 수위감지센서 550 : 만수센팅부
552 : 설정부 554 : 수위감지센서
555 : 높이조절부 556 : 승강모터
557 : 피니언기어 558 : 랙기어
559 : 승강레일부 560 : 보조물받이부
562 : 함몰홈 565 : 물안내부
566 : 물안내관 567 : 물안내유로

Claims (6)

  1.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하고 토출시키는 송풍부와, 상기 송풍부에 의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제습하는 제습부 및 상기 송풍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습부를 고정하고 상기 제습부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측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덕트;
    상기 안내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및
    상기 안내덕트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습부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상기 안내덕트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내덕트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과 상기 제습부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설치플레이트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상단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되도록 끼움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를 고정하고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덕트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미세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미세유입구는 상기 송풍팬의 외부공기 유입방향의 반대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미세유입구의 인접부위에는 습도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를 거치지 않은 외부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025326A 2013-03-08 2013-03-08 제습기 KR10162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326A KR101622242B1 (ko) 2013-03-08 2013-03-08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326A KR101622242B1 (ko) 2013-03-08 2013-03-08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648A KR20140110648A (ko) 2014-09-17
KR101622242B1 true KR101622242B1 (ko) 2016-05-18

Family

ID=5175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326A KR101622242B1 (ko) 2013-03-08 2013-03-08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4729B (zh) * 2019-12-18 2023-07-21 国网山东省电力公司长岛县供电公司 一种分布式港口岸充电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787A (ja) * 2000-03-17 2001-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除湿機
KR100441104B1 (ko) * 2002-09-03 2004-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787A (ja) * 2000-03-17 2001-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除湿機
KR100441104B1 (ko) * 2002-09-03 2004-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648A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0526B (zh) 除湿装置以及用于除湿或加湿的多功能装置
KR101680425B1 (ko) 제습기
KR102460237B1 (ko) 공기조화기
KR101622247B1 (ko) 제습기
KR101622240B1 (ko) 제습기
US9879878B2 (en) Dehumidifier
KR20140110651A (ko) 제습기
KR20100094372A (ko) 세탁건조기
KR101622237B1 (ko) 제습기
KR20150081595A (ko) 제습기
KR101622235B1 (ko) 제습기
KR101622242B1 (ko) 제습기
KR101578340B1 (ko) 제습기
KR101585664B1 (ko) 제습기
US20220136164A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140110653A (ko) 제습기
JP2017202072A (ja) 電気洗濯機
KR102139488B1 (ko) 천장형 제습기
KR101534170B1 (ko) 제습기
JP4633157B2 (ja) 空調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洗濯乾燥機
KR100652803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81636B1 (ko) 제습기
JP3370061B2 (ja) 空気調和機
KR102139486B1 (ko) 천장형 제습기
KR101414644B1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