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120B1 - 논밭작업차량의 겸용 차량프레임 - Google Patents

논밭작업차량의 겸용 차량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120B1
KR101622120B1 KR1020137032744A KR20137032744A KR101622120B1 KR 101622120 B1 KR101622120 B1 KR 101622120B1 KR 1020137032744 A KR1020137032744 A KR 1020137032744A KR 20137032744 A KR20137032744 A KR 20137032744A KR 101622120 B1 KR101622120 B1 KR 101622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frame
lever
frame
locking lev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0404A (ko
Inventor
중시웅 양
Original Assignee
라이언 애그리컬처럴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210462404.3A external-priority patent/CN102907196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210543824.4A external-priority patent/CN103053234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210591248.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3004315B/zh
Application filed by 라이언 애그리컬처럴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라이언 애그리컬처럴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00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2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 A01B51/023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of the Gantry-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A01B63/106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on the si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논밭작업차량의 겸용 차량프레임은, 좌측빔과 우측빔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진 언더프레임과; 상기 언더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뒤쪽에 논밭관리기구와 이앙기구가 연결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된 차륜과;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언더프레임에 연결하는 승강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기구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언더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고정판상부연결공이 형성되고, 언더프레임에는 고정판하부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기구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상부연결공과 상기 고정판하부연결공을 통해 고정판을 설치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강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논밭작업차량의 겸용 차량프레임{DUAL-PURPOSE VEHICLE FRAME OF FARMLAND OPERATION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 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기능 농업용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이앙기는 농업용 기구 중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기구 중의 하나이고, 논밭관리기(주로 시비기, 농약살포기를 말한다)도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공개번호 CN101611668의 중국특허에서 공개한 시비기와 공개번호 CN102450131의 중국특허에서 공개한 농업용 시비기가 있다. 기존 이앙기와 논밭관리기는 2개의 독립된 설비이고 원가가 비교적 높다. 이앙작업의 특징으로 인하여 그의 기계 프레임은 비교적 낮고, 논밭관리기는 일반적으로 농작물이 비교적 높게 자란 후에 사용되기 때문에 그의 기계 프레임은 비교적 높아 기계 프레임의 구조가 가급적이면 농작물과 서로 간섭하지 말아야 한다. 때문에, 기존 이앙기와 논밭관리기는 하나의 설비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이앙기와 논밭관리기가 서로 독립적이고, 단가가 비교적 높으며, 기존 이앙기의 기계 프레임이 비교적 낮고 논밭관리기의 기계 프레임의 높이가 비교적 높은 기술문제를 해결하고, 이앙기와 논밭관리기에 각각 사용가능하면서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논밭작업차량의 겸용 차량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논밭작업차량의 겸용 차량프레임은, 좌측빔과 우측빔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진 언더프레임과; 상기 언더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뒤쪽에 논밭관리기구와 이앙기구가 연결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된 차륜과;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언더프레임에 연결하는 승강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기구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언더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고정판상부연결공이 형성되고, 언더프레임에는 고정판하부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기구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상부연결공과 상기 고정판하부연결공을 통해 고정판을 설치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강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차량프레임에 이앙기구를 연결하여 이앙작업을 진행할 시, 상기 승강프레임은 최저 위치에 있고; 상기 차량프레임을 논밭관리기구에 연결시켜 시비 등 작업을 진행할 시, 이러한 작업은 일반적으로 농작물이 일정 단계까지 생장한 후 진행하므로 이때의 농작물 높이가 비교적 높아 이앙 시의 차량프레임 높이가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승강프레임이 승강기구의 작용하에서 위로 올라갈 필요가 있다. 본 기술방안의 언더프레임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좌측빔과 우측빔만 있고 상기 좌측빔과 우측빔을 연결하는 별도의 가로빔이 없어, 사용할 시 좌측빔과 우측빔이 농작물 사이에 처해있어 농작물과 서로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승강프레임의 높이가 상기 차량프레임의 유효높이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기구는 4개의 상부연결로드와 4개의 하부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상부연결로드는 상기 승강프레임의 좌우양측의 전후양단에 둘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프레임과 서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4개의 하부연결로드는 상기 언더프레임의 좌우양측의 전후양단에 둘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언더프레임과 서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언더프레임의 좌우양측에 각각 전후 2개의 승강오일실린더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오일실린더의 실린더가 각각 상기 언더프레임과 회전연결되며, 상기 각 승강오일실린더의 피스톤로드는 각각 하나의 상부연결로드와 하나의 상기 상부연결로드와 상하대응되는 하부연결로드와 서로 힌지결합된다. 상기 승강오일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뻗어나와 상 하부연결로드를 밀어 회전시키고, 상 하부연결로드의 회전과정이 상 하부연결로드가 수직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즉 상기 승강프레임이 최고 작업위치, 즉 논밭관리기구의 작업높이에 위치할 때까지 승강프레임을 밀어 상승시킨다.
삭제
또는, 상기 승강기구는 하부가 상기 언더프레임에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승강프레임에 결합된 다수개의 승강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논밭작업차량의 겸용 차량프레임은, 좌측빔과 우측빔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진 언더프레임과; 상기 언더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뒤쪽에 논밭관리기구와 이앙기구가 연결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된 차륜과;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언더프레임에 연결하는 승강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기구는, 상단이 상기 승강프레임에 회전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언더프레임에 각각 회전 연결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언더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로킹레버과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로킹레버로 나뉘어진 로킹레버와; 일단이 상기 후방로킹레버에 회전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언더프레임에 각각 회전연결된 한쌍의 재킹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언더프레임의 전후양단에 각각 위치고정블럭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블럭에는 위치고정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로킹레버에는 상기 로킹레버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나사홀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고정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로킹레버가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단위치 도달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위치고정통공과 상기 위치고정나사홀을 나사가 관통하여 상기 로킹레버 및 승강프레임을 상기 위치고정블럭이 설치된 상기 언더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재킹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로킹레버가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로킹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면서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되어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후방로킹레버는, 상단이 상기 승강프레임에 회전연결된 상부레버와; 하단이 상기 언더프레임에 회전연결된 하부레버와; 일단이 상기 상부레버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레버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레버와 하부레버를 일체로 연결하는 과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재킹유압실린더는 상기 과도부에 회전 연결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승하여 상기 후방로킹레버가 상기 언더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레버는 상기 언더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과도부의 일단은 상기 하부레버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배치되며, 하단이 상기 과도부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상부레버는 상단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상부레버는 상기 하부레버에 비해 전방인 안쪽으로 7~20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앙기의 중량이 비교적 크고 농약살포기의 중량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농약살포기로 교체한 후, 차량 후방의 중량이 비교적 작아 차체 전후가 평형을 이루지 못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승강프레임의 작업특징은 승강프레임이 상승함과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차량프레임의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비교적 무거운 이앙기를 비교적 가벼운 농약살포기로 교체한 후, 차체 전후가 여전히 평형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상부레버는 상기 하부레버에 비해 전방인 안쪽으로 7~20도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단위치까지 이동할 시, 만약 상하부레버가 동일축선에서 수직되면 승강프레임이 계속 후방으로 이동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고 기계파손 인명피해를 일으키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더프레임의 전후양단에 각각 하나의 위치고정 블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위치고정 블럭 상에 위치고정 나사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로킹레버 상에 상기 위치고정 나사홀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고정 통공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프레임이 상단위치에 도달할 시, 상기 위치고정블럭 상의 위치고정 나사홀은 상응하는 하부레버 상의 상응 위치고정 통공과 마주하고, 이때 나사로 위치고정 통공을 통과하여 위치고정 나사홀 상에 고정시켜 로킹레버 및 승강프레임을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프레임의 좌우양측의 전후양단에는 각각 고정판 상부 연결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언더프레임의 좌우양측의 전후양단에도 각각 고정판 하부 연결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방위의 고정판 하부 연결공은 상응하는 방위의 고정판 상부 연결공과 서로 대응된다. 작업프레임이 논밭관리기구의 작업높이에 위치할 시, 그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본 기술방안은 고정판 상하부 연결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 상하부 연결공을 통하여 고정판을 설치하고, 승강프레임과 언더프레임을 연결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이앙기와 논밭관리기가 서로 독립적이고 원가가 비교적 높으며, 기존 이앙기의 기계 프레임이 비교적 낮고 논밭관리기의 기계 프레임의 높이가 비교적 높은 기술문제를 해결하고, 이앙기와 논밭관리기에 각각 사용가능하면서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논밭작업차량의 겸용 차량프레임을 실현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승강프레임 하강상태의 구조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4의 승강프레임 상승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4의 승강프레임 상승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4의 승강프레임 하강상태의 구조설명도이다.
다음은 도면과 결합하면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진일보로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언더프레임(1-2)과, 승강프레임(1-1)과, 차륜(1-6)과, 승강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언더프레임(1-2)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좌측빔과 우측빔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빔은 상기 언더프레임(1-2) 중 좌측에 배치된 프레임을 의미하고, 우측빔은 상기 언더프레임(1-2) 중 우측에 배치된 프레임을 의미한다.
상기 승강프레임(1-1)은 상기 언더프레임(1-2)의 상부에 배치되고, 뒤쪽에 논밭관리기구와 이앙기구가 연결된다.
상기 차륜(1-6)은 상기 언더프레임(1-2)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승강프레임(1-1)을 상기 언더프레임(1-2)에 연결한다.
이러한 상기 승강기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상부연결로드(1-7)와 4개의 하부연결로드(1-8)를 포함하고, 4개의 상부연결로드(1-7)는 승강프레임의 좌우양측의 전후양단에 둘씩 설치되어 있고, 승강프레임(1-1)과 서로 힌지결합되며, 4개의 하부연결로드(1-8)는 언더프레임(1-2)의 좌우양측의 전후양단에 둘씩 설치되어 있고, 언더프레임과 서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언더프레임(1-2)의 좌우양측에 각각 전후 2개의 승강오일실린더(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오일실린더(1-5)의 실린더가 각각 언더프레임(1-2)과 회전연결되며, 각 승강오일실린더(1-5)의 피스톤로드는 각각 하나의 상부연결로드(1-7)와 하나의 상기 상부연결로드와 상하대응되는 하부연결로드(1-8)와 서로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승강기구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1-1)은 상기 언더프레임(1-2)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서로 대응되는 상부연결로드(1-7)와 하부연결로드(1-8) 사이의 협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1-1)이 최저 위치에 위치할 시 25도 이상이다.
상기 승강프레임(1-1)의 좌우양측의 전후양단에는 각각 고정판상부연결공(1-9)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언더프레임(1-2)의 좌우양측의 전후양단에도 각각 고정판하부연결공(1-10)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각 위치에서의 상기 고정판하부연결공(1-10)은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고정판상부연결공(1-9)과 서로 대응된다.
본 발명의 차량프레임에 이앙기구를 연결하여 이앙작업을 진행할 시, 승강프레임은 최저 위치에 있고, 본 차량프레임을 논밭관리기구에 연결시켜 시비 등 작업을 진행할 시, 이러한 작업은 일반적으로 농작물이 일정 단계까지 생장한 후 진행하므로 이때의 농작물 높이가 비교적 높아 이앙 시의 차량프레임 높이가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때문에 승강프레임이 승강기구의 작용하에서 위로 올라갈 필요가 있다. 본 기술방안의 언더프레임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좌측빔과 우측빔만 있고 상기 좌측빔과 우측빔을 연결하는 별도의 빔이 없어, 사용할 시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좌측빔과 우측빔이 농작물 사이에 처해있어 농작물과 서로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승강프레임의 높이가 상기 차량프레임의 유효높이를 결정한다.
또한, 그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기구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1-1)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상부연결공(1-9)과 상기 고정판하부연결공(1-10)을 통해 고정판(1-3)을 설치하여 상기 승강프레임(1-1)이 임의로 하강되는 것을 제한한다.
실시예 2:
도 4 및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2는 실시예1과 비교하여 상기 승강기구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기구는 하부가 상기 언더프레임(1-2)에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승강프레임(1-1)에 결합된 다수개의 승강유압실린더(2-21)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유압실린더(2-21)는 4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유압실린더(2-21)는 상기 언더프레임(102)에 둘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유압실린더(2-21)는 수동유압펌프(미도시)와 서로 연결된다. 승강프레임의 좌우양측의 전후양단에는 실시예1과 같이 각각 고정판 상부 연결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언더프레임의 양측 주행빔의 전후양단에도 각각 고정판 하부 연결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방위의 고정판 하부 연결공은 상응하는 방위의 고정판 상부 연결공과 서로 대응된다. 승강프레임(1-1)이 최상단까지 상승하여 작업하기 전에 고정판 상부 연결공과 고정판 하부 연결공을 통하여 고정판(1-3)을 설치하여 그 위치를 제한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 4:
도 7 내지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4는 실시예1과 비교하여 승강기구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승강기구는, 로킹레버와, 재킹유압실린더(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킹레버는 상단이 상기 승강프레임(1-1)에 회전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언더프레임(1-2)에 각각 회전 연결되어 상기 승강프레임(1-1)을 상기 언더프레임(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이러한 상기 로킹레버는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로킹레버(1-11)와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로킹레버(1-14)로 나누어진다.
상기 후방로킹레버(1-14)는 상부레버(1-141), 하부레버(1-142) 및 과도부(1-143)로 구성되고,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부레버(1-141)는 상기 후방로킹레버(1-14)의 상부를 이루는 부분으로써, 상단이 상기 승강프레임(1-1)에 회전연결된다.
상기 하부레버(1-142)는 상기 후방로킹레버(1-14)의 하부를 이루는 부분으로써, 하단이 상기 언더프레임(1-2)에 회전연결된다.
상기 과도부(1-143)은 상기 후방로킹레버(1-14)의 중간부분을 이루는 부분으로써, 일단이 상기 상부레버(1-141)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레버(1-142)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레버(1-141)와 하부레버(1-142)를 일체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상부레버(1-141)는 상기 하부레버(1-142)에 비해 전방인 안쪽으로 7~20도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재킹유압실린더(1-5)는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후방로킹레버(1-14)에 회전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언더프레임(1-2)에 각각 회전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킹유압실린더(1-5)의 피스톤로드는 상기 과도부(1-143)에 회전 연결된다.
상기 언더프레임(1-2)의 전후양단에는 각각 하나의 위치고정블록(1-1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위치고정블록(1-15) 상에는 위치고정나사홀(1-1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로킹레버 상에는 상기 로킹레버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나사홀(1-151)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고정통공(1-1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단위치에 도달할 시, 상기 위치고정블럭에 형성된 상기 위치고정나사홀(1-151)은 상응하는 상기 하부레버에 형성된 상기 위치고정통공(1-152)과 마주하고, 이때 나사가 상기 위치고정통공(1-152)과 상기 위치고정나사홀(1-151)을 관통하여 상기 로킹레버 및 승강프레임을 상기 위치고정블럭이 설치된 상기 언더프레임에 고정시킨다.
삭제
본 발명은 사용에 있어서, 승강프레임, 언더프레임 및 로킹레버는 평행 사변형을 이루어, 승강프레임이 상승하는 동시에 후방운동이 가능하여 아래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앙기의 중량이 비교적 크고 농약살포기의 중량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농약살포기로 교체한 후, 차량 후방의 중량이 비교적 작아 차체 전후가 평형을 이루지 못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승강프레임의 작업특징은 상기 재킹유압실린더(1-5)에 의해 상기 로킹레버가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승강프레임(101)은 상기 로킹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면서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되어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이동된다.
위와 같이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승함과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차량프레임의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비교적 무거운 이앙기를 비교적 가벼운 농약살포기로 교체한 후, 차체 전후가 여전히 평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승하여 상기 후방로킹레버가 상기 언더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레버는 상기 언더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과도부의 일단은 상기 하부레버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배치된다.
이때, 하단이 상기 과도부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상부레버는 상단이 전방 즉 안쪽으로 7~20도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단위치까지 이동할 시, 만약 상하부레버가 동일축선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면 승강프레임이 계속 후방으로 이동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고 이로 인해 기계파손 및 인명피해를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승강프레임이 최상단에 도달할 시, 상기 과도부에 의해 상기 상부레버의 상단이 하부레버보다 전방 즉 안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자체의 중력작용하에 안쪽으로 향하는 분력작용을 받을 수 있다. 때문에 상기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좌측빔과 우측빔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진 언더프레임과;
    상기 언더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뒤쪽에 논밭관리기구와 이앙기구가 연결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언더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된 차륜과;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언더프레임에 연결하는 승강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기구는,
    상단이 상기 승강프레임에 회전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언더프레임에 각각 회전 연결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언더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로킹레버과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로킹레버로 나뉘어진 로킹레버와;
    일단이 상기 후방로킹레버에 회전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언더프레임에 각각 회전연결된 한쌍의 재킹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언더프레임의 전후양단에 각각 위치고정블럭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블럭에는 위치고정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로킹레버에는 상기 로킹레버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나사홀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고정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로킹레버가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단위치 도달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위치고정통공과 상기 위치고정나사홀을 나사가 관통하여 상기 로킹레버 및 승강프레임을 상기 위치고정블럭이 설치된 상기 언더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밭작업차량의 겸용 차량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킹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로킹레버가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로킹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면서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되어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밭작업차량의 겸용 차량프레임.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로킹레버는,
    상단이 상기 승강프레임에 회전연결된 상부레버와;
    하단이 상기 언더프레임에 회전연결된 하부레버와;
    일단이 상기 상부레버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레버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레버와 하부레버를 일체로 연결하는 과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재킹유압실린더는 상기 과도부에 회전 연결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승하여 상기 후방로킹레버가 상기 언더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레버는 상기 언더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과도부의 일단은 상기 하부레버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배치되며,
    하단이 상기 과도부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상부레버는 상단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밭작업차량의 겸용 차량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버는 상기 하부레버에 비해 전방인 안쪽으로 7~20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밭작업차량의 겸용 차량프레임.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7032744A 2012-11-15 2013-05-16 논밭작업차량의 겸용 차량프레임 KR101622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462404.3A CN102907196B (zh) 2012-11-15 2012-11-15 田间护理机和插秧机的两用车架
CN201210462404.3 2012-11-15
CN201210543824.4A CN103053234B (zh) 2012-12-14 2012-12-14 二维平移升降式农用车架
CN201210543824.4 2012-12-14
CN201210591248.0A CN103004315B (zh) 2012-12-29 2012-12-29 一种田间作业车的双层多功能车架
CN201210591248.0 2012-12-29
PCT/CN2013/075754 WO2014075433A1 (zh) 2012-11-15 2013-05-16 一种田间作业车的两用车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404A KR20140100404A (ko) 2014-08-14
KR101622120B1 true KR101622120B1 (ko) 2016-05-18

Family

ID=5073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744A KR101622120B1 (ko) 2012-11-15 2013-05-16 논밭작업차량의 겸용 차량프레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47328B2 (ko)
KR (1) KR101622120B1 (ko)
WO (1) WO2014075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9890A (zh) * 2016-10-12 2017-03-15 浙江勇力机械有限公司 喷杆喷雾机行走平衡装置
CN107242224A (zh) * 2017-07-05 2017-10-13 安徽省现代农业装备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植保机以及植保机垂直升降机构
CN108412827B (zh) * 2018-05-16 2024-03-08 湖南星邦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行走控制系统
KR102316275B1 (ko) * 2019-10-11 2021-10-25 주식회사 티와이엠 농업용 무인 주행본체
CN110972672B (zh) * 2019-12-31 2024-04-02 山东大学 一种带自调节平衡系统的马铃薯联合收获机及其应用
AT523297B1 (de) * 2020-01-10 2021-07-15 S A M Tech Gmbh Autonomer Geräteträg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308A (ja) * 2002-02-06 2003-08-22 Iseki & Co Ltd トラクタの作業機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1Y2 (ko) * 1980-09-17 1986-01-06
JPS6418773A (en) * 1987-07-13 1989-01-23 Chubu Unpan Giken Kk Hand truck
JPH0744531Y2 (ja) * 1991-02-01 1995-10-11 矢崎化工株式会社 自走式茶園管理装置
JPH07156697A (ja) * 1993-12-08 1995-06-20 Iseki & Co Ltd 自動車
JP3005465U (ja) * 1994-06-21 1994-12-20 株式会社永野鐵工所 剪枝機等の支持台車
JP2750679B2 (ja) * 1995-03-24 1998-05-13 亞細亞綜合機械株式会社 果樹園用総合管理機
JP3515862B2 (ja) * 1996-07-03 2004-04-05 俊仁 岡本 法面作業車
JP2000211523A (ja) * 1999-01-21 2000-08-02 Aichi Mach Ind Co Ltd 無人搬送車のリフタ―機構
JP2000211897A (ja) * 1999-01-21 2000-08-02 Aichi Mach Ind Co Ltd 無人搬送車のリフタ―機構
CN2629406Y (zh) * 2003-07-23 2004-08-04 阎建民 施播器
JP2005265065A (ja) * 2004-03-18 2005-09-29 Ochiai Cutlery Mfg Co Ltd 走行装置の油圧回路
US7410004B2 (en) * 2004-06-11 2008-08-12 Meier Ned H Agricultural implement carrier
JP2008178375A (ja) * 2007-01-25 2008-08-07 Shigetoshi Hashiguchi 農作業用低床型腰掛台車
CN202222113U (zh) * 2011-04-11 2012-05-23 贺锡芝 电气化多功能农机操作机
CN102907196B (zh) * 2012-11-15 2016-01-20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田间护理机和插秧机的两用车架
CN103053234B (zh) * 2012-12-14 2015-07-08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二维平移升降式农用车架
CN103004315B (zh) * 2012-12-29 2016-02-03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一种田间作业车的双层多功能车架
CN203015411U (zh) * 2012-11-16 2013-06-26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一种高低位多用田间作业车
CN102934545B (zh) * 2012-11-16 2016-08-24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一种高低位多用田间作业车
CN202949697U (zh) * 2012-11-27 2013-05-29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田间作业车的两用车架
CN102948276A (zh) * 2012-11-27 2013-03-06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田间作业车的两用车架
CN202958118U (zh) * 2012-12-17 2013-06-05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全液压驱动二维平移升降式农用车架
CN103004314B (zh) * 2012-12-25 2015-08-12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手动二维平移升降式农用车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308A (ja) * 2002-02-06 2003-08-22 Iseki & Co Ltd トラクタの作業機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8283A (ja) 2015-03-19
WO2014075433A1 (zh) 2014-05-22
JP5847328B2 (ja) 2016-01-20
KR20140100404A (ko)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120B1 (ko) 논밭작업차량의 겸용 차량프레임
KR101622119B1 (ko) 유압구동 2차원 이동승하강식 농업용 차량프레임
CN200997852Y (zh) 喷杆式喷雾机自动平衡悬浮机构
DE60117249T3 (de) Auslegermechanismus
CN107867342A (zh) 一种离地间隙可调的三角履带式行走装置
CN109466655A (zh) 田间作物表型监测机器人
CN104604372A (zh) 一种悬臂垂直升降系统
CN203563582U (zh) 超宽幅高提升同步转向打药机机架
CN102907196A (zh) 田间护理机和插秧机的两用车架
CN102934545A (zh) 一种高低位多用田间作业车
US3248864A (en) Articulate mounting for a lawn mower on a tractor
CN202543926U (zh) 一种打桩架自立起架机构
CN203015411U (zh) 一种高低位多用田间作业车
CN104847283B (zh) 海洋丛式井钻井模块钻杆坡道
CN103141174A (zh) 一种自动升降和手动轮距可调底盘
CN203922397U (zh) 一种电梯对重装置
CN202949697U (zh) 田间作业车的两用车架
CN202131051U (zh) 自走式喷雾机的喷药箱升降装置
CN206124834U (zh) 一种座椅升降机构
CN102948276A (zh) 田间作业车的两用车架
CN103053234B (zh) 二维平移升降式农用车架
CN202907426U (zh) 田间护理机和插秧机的两用车架
US7614821B2 (en) Impact compactor
CN106427701A (zh) 一种座椅升降机构
CN202444772U (zh) 一种红枣树苗根部培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