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905B1 - 손잡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손잡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905B1
KR101621905B1 KR1020140074600A KR20140074600A KR101621905B1 KR 101621905 B1 KR101621905 B1 KR 101621905B1 KR 1020140074600 A KR1020140074600 A KR 1020140074600A KR 20140074600 A KR20140074600 A KR 20140074600A KR 101621905 B1 KR101621905 B1 KR 101621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depression
metal plate
hand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371A (ko
Inventor
김득관
최형오
Original Assignee
김득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득관 filed Critical 김득관
Priority to KR1020140074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905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는 금속판의 중앙 부분을 가압하여 하측으로 함몰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의 형성 시 상기 금속판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특정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개폐수단 또는 벽면이나 구조물의 일면에 설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함몰부의 일측면 일부분을 가압하여 내측으로 함몰시키는 제 1 포밍과정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파지부 및 상기 제 1 포밍과정 이후 상기 제 1 파지부와 대향되는 상기 함몰부의 타측면 일부분을 가압하여 내측으로 함몰시키는 제 2 포밍과정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파지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판을 드로잉하여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의 양 측면을 다수의 포밍과정을 통해 성형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손잡이의 형성과정이 매우 간소해지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손잡이의 제조방법{ A manufacturing method for handle }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잡이는 특정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개폐수단 또는 벽면이나 구조물의 일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91992”에는 중장비의 운전실을 차폐하기 위한 도어나 엔진실을 차폐하기 위한 엔진후드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 가변형 도어핸들이 장착된 엔진후드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상세히, 도 1 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핸들이 설치된 중장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 도 1 에 도시된 핸들의 상세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엔진실이 구비되는 중장비는 무한궤도형 하부 주행체(1)와, 상기 하부 주행체(1)의 상측에 탑재되어 좌/우 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상부 선회체(2)로 크게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선회체(2)에는 운전실(3)과 엔진실(4)이 구비되며, 상기 엔진실(4)의 상부에는 엔진실(4)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으로 엔진진후드 도어(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선회체(2)에는 붐실린더(8)에 의해 구동되는 붐(9)과, 아암실린더(10)에 의해 구동되는 아암(11)과, 버킷실린더(12)에 의해 구동되는 버킷(13)을 포함하는 작업장치(14)의 구동 시 균형 유지를 위하여 상기 상부 선회체(2)의 후방에는 카운트웨이터(15)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엔진후드 도어(7)는 엔진후드 프레임(5)에 구비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개폐될 수 있으며, 회동 개폐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핸들(16)이 구비된다.
즉, 상기 핸들(16)은 상기 엔진실(4) 내부의 부품을 점검 또는 수리할 경우, 사용자 상기 엔진후드 도어(7)를 개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엔진후드 도어(7)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핸들(16)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6a)와, 손잡이부 양단에 연장형성되며, 엔진후드 도어(7)에 형성된 관통공(7a)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부(16b) 및 상기 관통공(7a)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16a)의 돌출량을 일정하게 제한하는 탄성부재(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후드 도어(7)의 외측면과 손잡이부(16a) 사이에는 소정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2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엔진후드 도어(7)의 내측에는 상기 연장부(16b)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와셔(22) 및 연장부(16b)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23)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래 기술에 따른 핸들(16)은 엔진후드 도어(7)의 외측면으로부터 가변적으로 돌출되어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돌출된 핸들(16)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 충격에 의한 핸들(16) 또는 핸들 고정부위의 파손을 줄이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핸들(16)의 돌출 길이를 가변시켜 작업자의 충돌가능성을 줄이고는 있으나 여전히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돌 가능성은 남아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이 돌출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부품간 결합구조가 요구되며, 이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파지부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인서트 형상의 손잡이가 개발되고는 있으나, 양방향 파지부가 아닌 단방향 파지부에 그치고 있다.
이는 인서트 형상의 손잡이를 성형하고자 할 경우에는 인서트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를 내부에 수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양방향으로 파지부를 형성하게 될 경우, 수용된 코어를 탈거하지 못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는 단방향 파지부에 그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단방향 파지부를 가지는 손잡이가 중장비의 엔진후드에 장착될 경우, 엔진후드의 개방시에만 파지부를 이용하여 개방이 가능하고, 차폐시에는 상기 파지부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판을 드로잉 과정과 다수의 포밍과정을 포함하는 성형가공 단계를 통해 설치 위치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양방향으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어 없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양방향 파지부를 성형하기 위한 손잡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는 금속판의 중앙 부분을 가압하여 하측으로 함몰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의 형성 시 상기 금속판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특정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개폐수단 또는 벽면이나 구조물의 일면에 설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함몰부의 일측면 일부분을 가압하여 내측으로 함몰시키는 제 1 포밍과정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파지부 및 상기 제 1 포밍과정 이후 상기 제 1 파지부와 대향되는 상기 함몰부의 타측면 일부분을 가압하여 내측으로 함몰시키는 제 2 포밍과정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에는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는 하나 이상의 드레인 홀이 천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조방법에는 금속재질의 원재료를 준비하는 원재료 준비단계와, 상기 원재료를 소정 크기의 금속판으로 절단하는 전단가공단계 및 상기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가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가공단계에는 상기 금속판의 중앙 부분을 가압하여 하측으로 함몰시킴으로써 함몰부 및 체결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드로잉과정과, 상기 드로잉 과정을 통해 성형된 함몰부의 일측면 일부분을 가압하여 내측으로 함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 1 파지부를 성형하는 제 1 포밍과정과, 상기 제 1 파지부와 대향되는 상기 함몰부의 타측면 일부분을 가압하여 내측으로 함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 2 파지부를 성형하는 제 2 포밍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가공단계에는 상기 제 1 포밍과정 및 제 2 포밍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변형된 상기 체결부의 형상을 교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교정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포밍과정 및 제 2 포밍과정은 다수의 반복 가압과정을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가공단계 이후에는 상기 함몰부 및 체결부에 구멍을 천공하는 구멍가공단계와, 상기 함몰부 및 체결부의 부식 방지 및 외관 형성을 위한 도장가공단계 및 상기 체결부에 체결부재를 결합하고 포장하는 조립 및 포장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구멍가공단계에는 상기 체결부에 개폐수단과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을 형성하는 체결홀 형성과정과, 상기 함몰부에 유입되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드레인 홀을 형성하는 드레인홀 형성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판을 드로잉하여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의 양 측면을 다수의 포밍과정을 통해 성형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의 형성과정이 매우 간소해지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함몰부의 양 측면에 서로 대향되는 방향의 파지부를 형성함으로써 파지부가 체결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개폐 과정에서 각각 다른 위치의 파지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손잡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핸들이 설치된 중장비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핸들의 상세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조방법을 보이기 위한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성형가공단계의 세부 구성을 보이기 위한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요부구성에 따른 원자재의 변형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조단계에 따라 손잡이의 일실시 예로 구멍가공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도 6 에서 도장가공단계와 조립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 은 도 7의 I-I′부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조방법을 보이기 위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성형가공단계의 세부 구성을 보이기 위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요부구성에 따른 원자재의 변형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조단계에 따라 손잡이의 일실시 예로 구멍가공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제조방법에서는 우선, 원자재 준비단계(S100)와 전단가공단계(S200) 및 성형가공단계(S300)를 통해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원자재 준비단계(S100)는 소정 두께와 길이 및 면적의 금속판재를 준비하는 단계로, 준비되는 금속판재의 두께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0)의 두께와 대응된다.
일 예로 상기 금속판재는 냉각 압연 강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두께 2T 미만의 금속판재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판재는 상기 전단가공단계(S200)를 거쳐 소정 크기의 금속판으로 절단된다.
상세히, 상기 전단가공단계(S200)는 상기 원자재 준비단계(S100)를 통해 준비되는 금속판재를 전단기를 이용하여 일정크기로 규칙적인 다수의 금속판으로 절단하는 전단(Shearing)과정과, 상기 전단과정을 통해 절단된 금속판을 다시 정해진 크기 및 형상의 다수의 금속판으로 절단하는 블랭킹(Blanking)과정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전단가공단계(S200)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금속판재를 성형가공에 적당한 크기의 균일한 다수의 금속판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단가공단계(S200)를 통해 절단된 금속판에는 본 발명의 요부과정인 성형가공단계(S300)를 통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다수의 파지부(122, 124)가 성형된다.
상세히, 상기 성형가공단계(S300)는 드로잉과정(S310)과, 다수의 포밍과정(S330, S350) 및 교정과정(S370, S390)을 포함한다.
상기 드로잉과정(S3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의 중앙 부분이 하측으로 함몰될 수 있도록 성형하는 과정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다이와 펀치를 사용하는 형 드로잉(Die drawing) 공법이 이용된다.
상기 드로잉과정(S310)이 수행되면, 상기 금속판은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함몰부(120)와 상기 함몰부(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는 체결부(110)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잉과정(S310)을 통해 함몰부(120)를 성형한 이후에는 상기 함몰부(120)의 측면을 가압하여 내측으로 함몰시키는 포밍과정(S330, S350)이 수행된다.
상기 포밍과정(S330, S350)은 상기 함몰부(120)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 1 파지부(122)를 성형하는 제 1 포밍과정(S330)과, 상기 제 1 파지부(122)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함몰부(120) 타측면을 가압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 2 파지부(124)를 성형하는 제 2 포밍과정(S350)으로 구분되며, 각각 순차적으로 실시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포밍과정(S330)은 상기 함몰부(120)의 일측면을 걸림 고정시킨 상태에서 걸림 고정된 상기 함몰부(120)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가압 과정은 일정한 힘으로 다수 회 반복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함몰부(120)의 일측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포밍과정(S330)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제 2 포밍과정(S350)이 수행된다.
상기 제 2 포밍과정(S350)에서는 상기 제 1 포밍과정(S33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파지부(122)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함몰부(120) 타측면을 걸림 고정시킨 상태에서 걸림 고정된 타측면을 다수 회 반복 가압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 1 파지부(122)와 다른 방향에서 파지할 수 있는 제 2 파지부(124)를 형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지부(122, 124)의 성형을 위한 별도의 금형틀을 제작하지 않고, 상기 함몰부(120)의 내측면에 대략 “ㄴ”자 형상의 걸고리를 삽입하여 거치시킨 이후 상기 함몰부(120)의 외측에서 걸고리를 향해 외력을 가함으로써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파지부(122)와 제 2 파지부(124)가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성형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밍과정(S330, S350)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와 같은 타격 과정에서 발생되는 변형을 수정하기 위한 교정과정(S370, S390)이 수행된다.
상세히, 상기 포밍과정(S330, S350)에 의해 상기 함몰부(120)가 변형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체결부(110)에도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부(110)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평탄하게 하는 교정과정(S370, S390)을 실시함으로써 체결부(110)가 장착 위치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교정과정(S370, S390)도 상기 포밍과정(S330, S350)과 마찬가지로 제 1 교정과정(S370)과 제 2 교정과정(S390)으로 구분실시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체결부(110)를 평탄하게 하는 과정에서 상기 함몰부(120)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교정과정(S370, S390)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체결부(110) 및 함몰부(120)에 각각 구멍을 천공하기 위한 구멍가공단계(S400)가 수행된다.
상세히, 상기 구멍가공단계(S400)에서는 체결대상인 개폐수단과 체결부재(200, 도 7 참조)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110)에 다수의 체결홀(112)을 천공형성하는 체결홀 형성과정과, 상기 함몰부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드레인홀(126)을 하나 이상 천공 형성하는 드레인홀 형성과정이 포함된다.
상기 체결홀 형성과정에서는 체결부재(200, 도 7 참조)와 대응되는 크기의 체결홀(112)을 상기 체결부(110)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하나씩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홀 형성과정에서는 상기 함몰부(120)의 저면 또는 저면과 측면의 경계 부분 일측에 드레인홀(126)을 천공 형성함으로써 함몰부(120)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드레인홀(126)을 통해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멍가공단계(S400)가 완료된 이후에는 도장가공단계(S500)가 수행된다.
상기 도장가공단계(S500)는 전착(electro deposition), 샌딩(sanding), 공기 분사(air blow), 하도(base coating), 1, 2차 상도(top coating), 건조(dry) 등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도장가공단계(S500)가 완료되면, 상기 체결부(110)에 체결부재(200)를 결합하여 포장하는 조립 및 포장단계(S600)가 수행된다.
상기 조립 및 포장단계(S600)에서는 볼트(210)와 너트(220) 및 와셔(230)로 구성되는 체결부재(200)를 각 모서리마다 형성된 체결홀(112)에 각각 조립한 다음 포장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손잡이(100)의 특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에는 도 6 에서 도장가공단계와 조립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 에는 도 7의 I-I′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0)는 상기 함몰부(120)의 좌우 양측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제 1 파지부(122)와 제 2 파지부(124)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0)를 중장비용 엔진후드에 장착할 경우, 제 1 파지부(122)가 상측에 위치되고, 제 2 파지부(124)가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개방 시 제 1 파지부(122)를 사용자가 파지하고, 차폐시 사용자가 제 2 파지부(124)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특징의 제 1 파지부(122) 및 제 2 파지부(12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코어를 이용하는 성형이 실시될 경우 제품에서 코어가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은 상기 성형가공단계(S300)을 통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100..... 손잡이 110..... 체결부
112..... 체결홀 120..... 함몰부
122..... 제 1 파지부 ` 124..... 제 2 파지부
126..... 체결홀 200..... 체결부재
S100..... 원자재 준비단계 S200..... 전단가공단계
S300..... 성형가공단계 S310..... 드로잉과정
S330..... 제 1 포밍과정 S350..... 제 2 포밍과정
S370..... 제 1 교정과정 S390..... 제 2 교정과정
S400..... 구멍가공단계 S500..... 도장가공단계
S600..... 조립 및 포장단계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금속재질의 원재료를 준비하는 원재료 준비단계;
    상기 원재료를 소정 크기의 금속판으로 절단하는 전단가공단계; 및
    상기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가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가공단계에는,
    상기 금속판의 중앙 부분을 가압하여 하측으로 함몰시킴으로써 함몰부 및 체결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드로잉과정과,
    상기 드로잉 과정을 통해 성형된 함몰부의 일측면 일부분을 가압하여 내측으로 함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 1 파지부를 성형하는 제 1 포밍과정과,
    상기 제 1 파지부와 대향되는 상기 함몰부의 타측면 일부분을 가압하여 내측으로 함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 2 파지부를 성형하는 제 2 포밍과정이 포함되는 손잡이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가공단계에는,
    상기 제 1 포밍과정 및 제 2 포밍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변형된 상기 체결부의 형상을 교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교정과정이 더 포함되는 손잡이의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밍과정 및 제 2 포밍과정은 다수의 반복 가압과정을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손잡이의 제조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가공단계 이후에는,
    상기 함몰부 및 체결부에 구멍을 천공하는 구멍가공단계와,
    상기 함몰부 및 체결부의 부식 방지 및 외관 형성을 위한 도장가공단계 및
    상기 체결부에 체결부재를 결합하고 포장하는 조립 및 포장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구멍가공단계에는,
    상기 체결부에 개폐수단과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을 형성하는 체결홀 형성과정과,
    상기 함몰부에 유입되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드레인 홀을 형성하는 드레인홀 형성과정이 더 포함되는 손잡이의 제조방법.

KR1020140074600A 2014-06-18 2014-06-18 손잡이의 제조방법 KR101621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600A KR101621905B1 (ko) 2014-06-18 2014-06-18 손잡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600A KR101621905B1 (ko) 2014-06-18 2014-06-18 손잡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371A KR20150145371A (ko) 2015-12-30
KR101621905B1 true KR101621905B1 (ko) 2016-05-19

Family

ID=5508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600A KR101621905B1 (ko) 2014-06-18 2014-06-18 손잡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9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9395B4 (de) * 2019-04-10 2023-08-2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tü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042Y1 (ko) * 2007-01-25 2007-11-01 안영익 문 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042Y1 (ko) * 2007-01-25 2007-11-01 안영익 문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371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2785C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emmed workpieces
US10245634B2 (en) Hat-shaped cross-section component manufacturing apparatus
US20070214615A1 (en) Controlled latch clamp
US20180071855A1 (en) Spot welding apparatus
KR101621905B1 (ko) 손잡이의 제조방법
WO2014174874A1 (ja) ローラヘミング加工装置およびローラヘミング加工方法
CA2734110A1 (en) Gripper for a manipulator
CN107000663B (zh) 用于通过切割来制造活门的方法
KR20150066749A (ko) 다 차종 롤러 헤밍 시스템
US7204116B2 (en) Flanging apparatus for roller hemming
US9815178B2 (en) Working chamber system for the surface treatment of workpieces
JP2016203365A (ja) 手持ち式成形工具
CN208961775U (zh) 汽车门框打磨夹持夹具
JP2017061031A (ja) グリッパおよびグリッパを製造する方法
KR102210639B1 (ko) 자동차 후드 도장용 스테이
JP3775226B2 (ja) 液圧バルジ成形方法
CN110625633B (zh) 双行程夹持装置及夹持方法
JP2015020262A (ja) クランプ装置
DE10123716A1 (de) Schwingmühle
GB2527197A (en) Production line for machining at least one surface component and method for machining the at least one surface component in the production line
KR101545855B1 (ko) 롤러 헤밍 장치
KR200459188Y1 (ko) 케이블베어 분리기구
JP6502432B2 (ja) ダイならびにローラーヘミング加工システムおよび金属ワークにローラーヘミング加工を施す方法
CN218855363U (zh) 一种气动钳式打孔工具
JP7072980B2 (ja) 射出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