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873B1 -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크 살균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크 살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873B1
KR101621873B1 KR1020150129133A KR20150129133A KR101621873B1 KR 101621873 B1 KR101621873 B1 KR 101621873B1 KR 1020150129133 A KR1020150129133 A KR 1020150129133A KR 20150129133 A KR20150129133 A KR 20150129133A KR 101621873 B1 KR101621873 B1 KR 101621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cork
water
cap
c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
정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to KR1020150129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25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 코크의 내외측에 온수를 공급하여 살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코크를 분리하지 않고 살균이 가능한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크 살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는, 상부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되어 냉수 또는 온수가 배출되는 코크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살균캡과; 상기 살균캡이 코크에 장착된 상태에서 코크를 통해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크 살균 방법{Cock Sterilization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And Cock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수를 정화하여 냉수와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에서 냉수와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취수 노즐인 코크(cock)를 분리하지 않고 살균할 수 있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크 살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기인데, 형태로 분류하면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하는 직결형과 물을 용기에 담아서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저장형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또는 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 효과를 결정하는 필터의 성능이 중요하지만, 내부를 쉽게 청소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정수기 중 외부에 노출된 물 배출용의 취수 노즐인 코크(cock)는 먼지 등이나 음료가 튀면서 쉽게 오염될 수 있다. 실제 대부분의 정수기는 외부로 노출되어 물과 공기가 접촉하는 코크에서의 2차 오염 가능성이 높고, 실제로 대장균을 비롯한 많은 세균이 번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근래에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을 위하여 코크에 스팀을 공급하는 방식, 또는 코크와 인접한 부분에 자외선 살균 장치나 LED 살균 장치를 장착하는 방식, 코크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코크를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등 다양한 기술 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코크에 스팀을 공급하여 살균하는 방식은 정수기의 구성을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스팀 살균 과정에서 사용자가 스팀에 의해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어서 안전성이 문제가 된다.
또한 자외선 살균이나 LED를 이용한 살균 방식은 살균 범위가 제한적이고, 정수기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고, 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코크를 분리 가능하게 하여 코크를 분리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은 코크를 세척하여 살균 후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립하는 과정에서 코크가 다시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859373호(2008.09.12. 등록) 등록특허 10-0864779(2008.10.15. 등록) 공개특허 10-2011-0032567(2011.03.3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코크의 내외측에 온수를 공급하여 살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코크를 분리하지 않고 살균이 가능하며, 전체 구성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살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크 살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는, 상부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되어 냉수 또는 온수가 배출되는 코크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살균캡과; 상기 살균캡이 코크에 장착된 상태에서 코크를 통해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코크 살균 장치를 이용하여 정수기의 코크를 살균하는 방법은,
(a) 살균캡을 코크에 장착하는 단계;
(b) 코크를 개방하고 코크를 통해 온수를 공급하는 단계;
(c) 살균이 완료되면 살균캡을 코크에서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살균캡을 코크에 장착하고, 코크를 통해 살균캡 내부에 일정량의 온수를 공급하여 살균캡 내부에 온수를 저장하여 코크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코크를 분리하지 않고 코크의 살균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성과 동작으로 코크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 살균 장치가 적용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정수기에 장착된 코크 살균 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 살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크 살균 장치의 살균캡과 코크 간의 결합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크 살균 장치의 살균캡과 코크 간의 결합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크 살균 장치의 살균캡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는 상부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되어 냉수 및/또는 온수가 배출되는 코크(3)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살균캡(10)과, 상기 살균캡(10)이 코크(3)에 장착된 상태에서 코크(3)를 통해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유닛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크(3)는 정수기의 본체(1)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정수된 냉수 또는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취수 노즐의 기능을 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코크(3)는 원통형의 노즐 형태를 갖지만, 이외에도 하측으로 가면서 직경이 줄어드는 원추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살균캡(10)은 코크(3)의 살균을 위해 코크(3)를 통해 배출되는 온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방되고 측면과 하부면은 막힌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코크(3)의 하측에서 코크(3)에 매달린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살균캡(10)은 90℃ 이상의 온도에서 변형되지 않는 내열성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또는 수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살균캡(10)은 코크(3)의 살균 작업을 수행할 때 코크(3)에 장착하고, 코크(3)의 살균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코크(3)에서 분리된다. 물론 코크(3)의 살균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라도 평상시에 코크(3)가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코크(3)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살균캡(10)을 코크(3)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코크(3)의 상부 외면에 복수의 결합돌기(32)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살균캡(10)의 상단부에 상기 결합돌기(3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L'형의 결합홈(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캡(10)의 결합홈(12)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결합돌기(32)를 삽입한 후 살균캡(10)을 회전시키면 결합홈(12)의 가장 안쪽 부분에 결합돌기(32)가 위치하면서 살균캡(10)이 코크(3)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살균캡(10)을 코크(3)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 이전과는 반대로 살균캡(10)을 회전시킨 후 아래로 이동시키면 결합홈(12)에서 결합돌기(32)가 빠져 나오면서 살균캡(10)이 코크(3)에서 간단히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다르게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코크(3)의 상부 외면에 나선형의 수나사산부(34)를 형성하고, 상기 살균캡(10)의 상단부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산부(34)에 나선 결합되는 나선형의 암나사산부(14)를 형성하여, 상기 살균캡(10)을 코크(3)에 착탈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착탈 결합 구조가 상기 살균캡(10)과 코크(3)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공급유닛은 상기 살균캡(10)이 코크(3)에 장착되었을 때 코크(3)를 통해 살균캡(10) 내부로 대략 90℃의 온수를 공급함으로써 코크(3)를 살균한다. 상기 온수공급유닛은 냉온 정수기의 내부에 설치된 온수공급유닛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즉 냉온 정수기의 경우 정수된 물을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냉수공급유닛과 온수공급유닛을 구비하고 있는데, 살균용 온수를 생성하여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온수공급유닛을 구성하지 않고 냉온 정수기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온수공급유닛을 그대로 이용하여 살균캡(10) 내부로 살균용 온수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수공급유닛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정수기 내에 설치되어 원수를 정화하는 정수통(21)과, 상기 정수통(21)과 코크(3)를 연결하는 배관(23)에 설치되어 정수통(21)에서 배출된 물을 가열하는 순간가열히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공급유닛은 사용자가 정수기의 본체(1)에 장착된 입력부(2)를 통해 코크 살균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자동으로 코크(3)의 온수밸브(25)를 개방시켜 순간가열히터(24)에 의해 가열된 물을 코크(3)를 통해 배출한다. 이 때, 살균캡(10) 내부에 채워지는 온수의 양이 적정 수위(예를 들어 코크의 하단부에서부터 80~90% 정도의 수위)에 도달하도록 정해진 유량만 코크(3)를 통해 공급한다.
물론 이러한 자동식 정수기와 달리 코크(3)의 온수밸브(25)를 수동식으로 개방하는 정수기에서는 코크(3)의 밸브를 사람이 조작하여 살균캡(10) 내부에 살균용의 온수를 채워넣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코크 살균 장치를 이용하여 코크를 살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코크의 살균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살균캡(10)을 코크(3)에 장착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정수기의 본체에 장착된 입력부를 통해 코크 살균 모드를 선택하면, 정수기의 컨트롤러는 코크(3)의 온수밸브(25)를 개방하여 코크(3)를 통해 살균캡(10) 내부로 일정량의 온수를 공급한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살균캡(10) 내부에 온수가 일정 수위까지 도달하면 코크(3)의 온수밸브(25)(도 4 참조)가 닫히고, 살균캡(10) 내부에 온수가 채워진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온수는 고온 살균 기능을 수행하도록 대략 90℃ 정도가 적합하다.
상기와 같이 살균캡(10) 내부에 온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일정 시간동안 두면, 온수에 의해 코크(3) 내외부가 살균되어 깨끗한 상태로 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살균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살균캡(10)을 코크(3)에서 분리하고, 살균캡(10) 내부의 온수를 버린다. 이 때, 컨트롤러는 정수기 본체에 마련된 표시창이나 스피커를 통해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살균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크(3)의 세척은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사용자가 지난번에 수행한 코크 살균 시점을 정확하게 기억하여 코크 살균을 수행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정수기의 컨트롤러는 이러한 코크 살균이 수행된 시점을 저장하고, 코크 살균이 수행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정수기 본체의 표시창이나 스피커를 통해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코크 살균이 필요함을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코크 살균을 수행하는 동안 코크(3)를 초음파 진동시킴으로써 살균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코크 세척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코크(3)에 초음파 진동자를 추가적으로 부착하여 코크 살균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크 살균 장치는 살균캡(10) 내부에 세척용의 온수를 채워서 코크(3)가 온수에 일정 시간동안 잠기게 하여 고온 살균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살균캡(10)을 코크(3)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살균캡(10) 내의 온수가 외부로 튀거나 쏟아져서 사용자의 손에 묻게 되면 화상을 입거나 불쾌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살균캡(10)의 상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링 형태의 프로텍터(16)를 일체로 형성하여, 살균캡(10)을 코크(3)에서 분리할 때 온수가 사용자의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캡(10)의 외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단열 소재의 그립부재(18)를 부착하여 살균캡(10)을 손으로 잡았을 때 손으로 열이 전달되지 않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코크 살균 장치는 살균캡(10)이 코크(3)에 장착되고, 코크(3)를 통해 살균캡(10) 내부에 일정량의 온수가 공급되어 고온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코크(3)를 분리하지 않고 코크(3)의 살균이 가능하며, 살균캡(10)을 장착 및 분리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코크(3)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 정수기 본체 2 : 입력부
3 : 코크 10 : 살균캡
12 : 결합홈 14 : 암나사산부
16 : 프로텍터 18 : 그립부재
21 : 정수통 24 : 순간가열히터
25 : 온수밸브 26 : 냉수밸브
32 : 결합돌기 34 : 수나사산부

Claims (14)

  1. 상부면이 개방되고 측면과 하부면은 막힌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냉수 또는 온수가 배출되는 정수기의 코크의 외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코크를 통해 배출되는 온수를 코크의 하부가 잠겨지는 위치까지 저장하여 코크의 살균을 수행하는 살균캡과;
    상기 살균캡이 코크에 장착된 상태에서 코크를 통해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캡은 착탈수단에 의해 상기 코크에 매달린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코크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살균캡의 상단부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면서 결합되게 형성된 'L'형의 결합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코크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수나사산부와, 상기 살균캡의 상단부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산부에 나선 결합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 암나사산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캡은 투명한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에 부착되어 코크에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유닛은 원수의 정수가 이루어지는 정수통과 상기 코크를 연결하는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통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가열하는 순간가열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캡의 상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링 형태로 되어 살균캡을 코크에서 분리할 때 온수가 사용자의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는 프로텍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캡의 외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단열 소재의 그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를 이용하여 정수기의 코크를 살균하는 방법으로서,
    (a) 살균캡을 코크에 장착하는 단계;
    (b) 코크를 개방하고 코크를 통해 온수를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c) 살균이 완료되면 살균캡을 코크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사용자가 정수기의 본체에 장착된 입력부를 통해 코크 살균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살균이 완료되면, 정수기의 컨트롤러가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살균 완료 통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코크를 초음파 진동하여 코크의 살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정수기의 컨트롤러는 상기 (b) 단계가 수행된 시점을 저장하고, (b) 단계가 수행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코크 살균이 필요함을 통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코크 살균 방법.
KR1020150129133A 2015-09-11 2015-09-11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크 살균 방법 KR101621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133A KR101621873B1 (ko) 2015-09-11 2015-09-11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크 살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133A KR101621873B1 (ko) 2015-09-11 2015-09-11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크 살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873B1 true KR101621873B1 (ko) 2016-05-17

Family

ID=5610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133A KR101621873B1 (ko) 2015-09-11 2015-09-11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크 살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8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777A (ko) * 2016-09-09 2018-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
WO2018111058A1 (ko) * 2016-12-16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WO2019103410A3 (ko) * 2017-11-24 2019-07-1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방법
KR20190085446A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방법
KR20230166205A (ko) 2022-05-30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출수부 조립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777A (ko) * 2016-09-09 2018-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
KR102585490B1 (ko) * 2016-09-09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
WO2018111058A1 (ko) * 2016-12-16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US11052334B2 (en) 2016-12-16 2021-07-06 Lg Electronics Inc. Ultraviolet module and liquid dispenser including same
WO2019103410A3 (ko) * 2017-11-24 2019-07-1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방법
KR20190085446A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방법
KR102085414B1 (ko) 2018-01-10 2020-03-05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방법
KR20230166205A (ko) 2022-05-30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출수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873B1 (ko)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크 살균 방법
CN102656120B (zh) 包括uv源的水净化设备
DK2198222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able treatment of water in a water cooler
KR101269438B1 (ko) 필터카트리지가 장착된 냉온 살균정수꼭지
KR101621869B1 (ko)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CN203749832U (zh) 多功能人体清洗器
KR101559634B1 (ko)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CN109163443A (zh) 一种可自动净化水源的节能加热型旅行用饮水桶
KR20100131802A (ko) 코크
WO2016197242A1 (en) Top-loading bottled water dispensers with hot water sanitizing features
CN208370634U (zh) 肉牛饲养用饮水系统
JP5603961B2 (ja) 冷温水供給装置
CN2279133Y (zh) 带空气消毒净化装置的饮水机
KR20100047529A (ko)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
CN212740804U (zh) 一种应用于污水处理系统立式带清洗功能的紫外线消毒装置
JP2000348249A (ja) 自動販売機の紫外線殺菌システム
CN102228360B (zh) 一种带有净化装置的饮水机
KR100694873B1 (ko) 정수기
KR20090061096A (ko) 오존 살균 장치가 탈,부착 되는 정수기
CN205559974U (zh) 一种恒温且易清除水垢的水龙头
TWI540102B (zh) Waterway Recycling Module and Its Ultraviolet Safety Sterilization Method for Reverse Osmosis and Ultrafiltration Filter System
CN2651228Y (zh) 饮水机自净化矿化装置
KR200333286Y1 (ko) 2차오염 방지 정수기
JP6470980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0135264Y1 (ko) 정수기용 여과기의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