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7529A -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 - Google Patents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7529A
KR20100047529A KR1020080106467A KR20080106467A KR20100047529A KR 20100047529 A KR20100047529 A KR 20100047529A KR 1020080106467 A KR1020080106467 A KR 1020080106467A KR 20080106467 A KR20080106467 A KR 20080106467A KR 20100047529 A KR20100047529 A KR 20100047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purified
bacteria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덕영
정한철
Original Assignee
유덕영
한수경
정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덕영, 한수경, 정한철 filed Critical 유덕영
Priority to KR102008010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7529A/ko
Publication of KR20100047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정수통 내부에 다수의 세균 박멸제가 내장되어 있는 세균 박멸기를 설치하게 됨으로 재생성되는 세균을 세균 박멸제에 의해 완전히 박멸되어 인체에 안정적이며 정수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필터로부터 정수된 물이 유입관(50)을 통해 유입되어지게 되는 정수기의 정수통(1) 내부에 냉온 분리판(10)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냉온 분리판(10)은 정수통(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그 둘레면에 정수통(1)의 정수물을 냉수파이프(30)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홈(11)이 형성되어지고 저면 중심에는 정수통(1)의 밸브(1a)가 삽입되는 물안내부(12)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정수통(1) 하단 중앙부에 냉온 분리판(10)과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온수화시키게 되는 온수탱크(20)가 형성되어 수돗물을 정수하여 마시게 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통(1) 내부, 즉 상기 냉온 분리판(10)의 물안내부(12)에 정수된 물속에 번식되어 있는 세균을 박멸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세균 박멸제(5)가 내장되어지는 몸통(3)과 상기 몸통(3) 상단부에 세균 박멸제(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캡(4)이 장착되어진 세균 박멸기(2)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상기 몸통(3)은 상부 외면 둘레에 상기 정수통(1) 내벽면에 밀착되어지도록 실리콘 고무재의 패킹(31)이 형성되어지며, 하단부와 측면부에 정수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출홀(32)이 형성되어지고, 중앙부에 상기 냉온 분리판(10)의 물안내부(12)가 장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33)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캡(4)은 중앙부에 상기 물안내부(12)가 장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41)이 형성되어지며, 상부에 정수통(1) 내의 정수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홀(42)이 형성되어진다.
정수통, 냉온 분리판, 세균 박멸기, 세균 박멸제, 몸통, 캡

Description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The germ eradicator the water purifier which is had built-in}
본 발명은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정수통 내부에 다수의 세균 박멸제가 내장되어 있는 세균 박멸기를 설치하게 됨으로 재생성되는 세균을 세균 박멸제에 의해 완전히 박멸되어 인체에 안정적이며 정수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산업 현장으로부터 배출되는 화학 물질로 인해 환경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처리 대책이 최근 들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산업화에 따라 불가결하게 수반되어 발생하는 공해 물질은 대기 및 수질 오염을 가져오며, 수질 오염의 경우 수돗물에 대한 불신을 높여 수돗물 정수기나 제품화된 생수의 이용을 늘리고 있다.
상기의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거치는 동안 수돗물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더 나아가 정화된 물을 냉각 또는 가열하여 편리하게 냉온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해 준다.
통상적인 종래의 냉온정수기는 필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물이 저수물통을 거쳐 냉각탱크와 온수탱크로 공급되므로서, 냉수와 온수가 나오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온정수기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몸체의 내부를 2등분으로 분할하되, 상기 분할된 정수기 몸체의 상단에는 외곽 둘레면에 냉각코일(101)과 보온재(102)로 덮혀진 냉각탱크(10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정수기 몸체의 하단에는 히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된 온수탱크(110)가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냉각탱크(100)와 온수탱크(110)는 서로 공용파이프(120)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냉각탱크(100)와 온수탱크(110)에는 각각 냉수파이프(103)와 온수파이프(111)가 있어 냉,온수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냉각탱크(100)의 상단에는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물을 저장하도록 덮개(130)로 상단부가 덮혀진 저수물통(140)이 올려진다.
즉, 상기 저수물통(140)은 스텐레스 재질로서 하단의 중심부에는 저장된 정수물을 냉각탱크(10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를 갖고 있는 바, 상기 저수물통(140)을 냉각탱크(100)의 위로 올리면, 상기 저수물통(140)의 공급로를 통해 정수물이 냉각탱크(100)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냉각탱크(100)의 내부 바닥 중앙에는 정수물을 온수탱크(110)로 공급하기 위한 밸브(104)가 형성되어 있고, 더불어 상기 저수물통(140)의 공급로를 통해 공급되는 정수물을 냉각탱크(100)와 온수탱크(110)로 분리하여 공급하기 위한 격리판(150)이 일정 놓이를 유지하면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격리판(150)은 냉각탱크(10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그 둘레면에는 저수물통(140)의 정수물을 냉각탱크(100)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홈(1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리판(150)의 저면 중심에는 냉각탱크(100)의 밸브(104)가 삽입되는 물안내부(152)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탱크(100)의 밸브(104)가 격리판(150)의 물안내부(152)로 삽입될 때 상기 저수물통(140)에 저장되어 있는 정수물은 물안내부(152)와 밸브(104) 및 공용파이프(120)를 통해 온수탱크(110)로 공급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온정수기는 필터를 거친 정수가 저수물통에 장시간 저장되면 세균으로부터 재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정수기의 정수통 내부에 세균 박멸제가 내장되어진 세균 박멸기를 설치하게 됨으로 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이 정수통내에 오랜 시간 저장되어 세균이 번식되어도 세균 박멸기에 의해 번식된 세균이 박멸되어지게 되어 안전하게 먹을 수 있으며, 또한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게 됨은 물론 그로 인해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수기의 정수통 내부에 냉온 분리판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냉온 분리판 하단부와 정수통 내부 바닥면 사이에 번식된 세균을 박멸시킬 수 있도록 세균 박멸기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세균 박멸기는 다수의 세균 박멸제가 내장되어지는 몸통과 상기 몸통 상단부에 세균 박멸제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캡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수기의 정수통에 내장되어지는 냉온 분리판 하부에 세균을 박멸시킬 수 있는 세균 박멸제가 내장되어 있는 세균 박멸기가 형성되어지게 됨으로 정수통내에 정수된 물이 냉수파이프로 배출되어질 때 세균 박멸제 내부를 통과하면서 배출되어지게 되어 상기 세균 박멸제에 의해 정수된 물 속에 번식된 세균을 완전하게 박멸시켜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고 인체에 활성화를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안심하고 정수물을 먹을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소비자에게 구매욕구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정수통 내부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정수통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정수통 내부구조를 도시한 절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정수통에 대한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필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정수된 물이 유입관(50)을 통해 유입되어지게 되는 정수기의 정수통(1) 내부에 냉온 분리판(10)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냉온 분리판(10)은 정수통(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그 둘레면에 정수통(1)의 정수물을 냉수파이프(30)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홈(11)이 형성되어지고 저면 중심에는 정수통(1)의 밸브(1a)가 삽입되는 물안내부(12)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정수통(1) 하단 중앙부에 냉온 분리판(10)과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온수화시키게 되는 온수탱크(20)가 형성되어 수돗물을 정수하여 마시게 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통(1) 내부, 즉 냉온 분리판(10)의 물안내부(12)에 정수된 물속에 번식되어 있는 세균을 박멸시킬 수 있도록 세균 박멸기(2)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세균 박멸기(2)는 다수의 세균 박멸제(5)가 내장되어지는 몸통(3)과, 상기 몸통(3) 상단부에 세균 박멸제(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캡(4)이 장착되어진다.
상기 몸통(3)은 상부 외면 둘레에 정수통(1) 내벽면에 밀착되어지도록 실리콘 고무재의 패킹(31)이 형성되어지며, 하단부와 측면부에 정수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출홀(32)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몸통(3)의 중앙부에는 상기 냉온 분리판(10)의 물안내부(12)가 장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33)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캡(4)은 중앙부에 상기 물안내부(12)가 장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41)이 형성되어지며, 상부에 정수통(1) 내의 정수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홀(42)이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세균 박멸기(2)는 캡(4)의 관통홀(41)과 몸통(3)의 관통홀(33)에 상기 냉온 분리판(10)의 물안내부(12)가 최대한 밀착되어 장입되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균 박멸기(2)는 몸통(3)의 형상이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 부호 (40)은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물이 저장되어지는 정수통(1)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덮개이며, (60)은 유입관(50)에 연결되어 유입관(50)을 통해 정수통(1) 내부로 정수물이 유입되어질 때 물의 넘침을 방지하게 되는 볼탑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유입관(50)을 통해 필터로부터 필터링된 정수물이 정수통(1) 내부로 유입되어지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유입관(50)에 연결되어진 볼탑(60)에 의해 정수통(1) 내부로 유입되는 정수물이 일정량 유입되어지게 되면 유입관(50)을 막아주게 되어 정수물의 유입을 차단시키게 되며, 상기 정수통(1) 내부로 유입된 정수물은 외부에서 배출콕(도시하지 않음)의 작동에 따라 온수탱크(20) 또는 냉수파이프(3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온수가 배출되도록 온수 배출콕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정수통(1) 내부의 정수물이 냉온 분리판(10)의 물안내부(12) 내를 통과하면서 온수탱크(20) 내로 유입되어지게 되며 상기 온수탱크(20)내에서 가열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열되어 온수파이프(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온수탱크(20)로 정수통(1)내의 정수물이 유입되어질 때 정수통(1)의 정수물에 세균이 번식되어 있어도 가열에 의해 세균이 박멸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냉수가 배출되어지도록 냉수 배출콕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정수통(1)의 정수물이 냉온 분리판(10)의 홈(11)을 통과하면서 밑으로 떨어지게 되며, 상기 홈(11)을 통과한 물은 세균 박멸기(2)의 캡(4)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유입홀(42)을 통해 몸통(3) 내부로 유입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통(3)으로 유입된 정수물은 몸통(3)에 내장된 세균 박멸제(5)에 의해 정수물에 번식되어 있는 세균이 완전히 박멸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몸통(3) 내부에서 세균이 박멸된 정수물은 몸통(3)의 배출홀(32)을 통해 정수통(1) 하단부로 배출되면서 냉수파이프(30)로 배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냉온 분리판(10)의 홈(11)을 통해 떨어지는 정수물은 세균 박멸기(2)의 몸통(3)에 형성되어 있는 패킹(31)이 정수통(1) 내벽면에 밀착되어지게 됨으로 정수물은 반드시 세균 박멸기(2)를 통과하면서 배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서 정수통(1) 내의 정수물이 세균 박멸기(2)를 반드시 거쳐 정수통(1) 하단부에 형성된 냉수파이프(30)를 통해 냉수탱크로 배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정수통(1) 내에 정수물이 오랜 시간 저장되어 정수물에 세균이 번식되어 있어도 세균 박멸기(2)로부터 세균을 모두 박멸시킬 수 있게 됨으로 안전하게 정수물을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세균 박멸제(5)가 소실되거나 세균 박멸기(2)의 파손 등으로 세균 박멸기(2)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세균 박멸기(2)가 냉온 분리판(10)의 물안내부(12)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냉온 분리판(10)을 돌려서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세균 박멸기(2)가 냉온 분리판(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올라오게 됨으로 교체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 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정수기 내부에서 저수물통과 냉각탱크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정수통 내부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정수통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정수통 내부구조를 도시한 절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정수통에 대한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절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수통 1a : 밸브
2 : 세균 박멸기 3 : 몸통
4 : 캡 5 : 세균 박멸제
31 : 패킹 32 : 배출홀
33,41 : 관통홀 42 : 유입홀
10 : 냉온 분리판 11 : 홈
12 : 물안내부 20 : 온수탱크
21 : 온수파이프 30 : 냉수파이프
40 : 덮개 50 : 유입관
60 : 볼탑

Claims (4)

  1. 필터로부터 정수된 물이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어지게 되는 정수기의 정수통 내부에 냉온 분리판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냉온 분리판은 정수통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그 둘레면에 정수통의 정수물을 냉수파이프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지고 저면 중심에는 정수통의 밸브가 삽입되는 물안내부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정수통 하단 중앙부에 냉온 분리판과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온수화시키게 되는 온수탱크가 형성되어 수돗물을 정수하여 마시게 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통 내부, 즉 상기 냉온 분리판의 물안내부에 정수된 물속에 번식되어 있는 세균을 박멸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세균 박멸제가 내장되어지는 몸통과 상기 몸통 상단부에 세균 박멸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캡이 장착되어진 세균 박멸기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상부 외면 둘레에 상기 정수통 내벽면에 밀착되어지도록 실리콘 고무재의 패킹이 형성되어지며, 하단부와 측면부에 정수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출홀이 형성되어지고, 중앙부에 상기 냉온 분리판의 물안내부가 장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중앙부에 상기 물안내부가 장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지며, 상부에 정수통 내의 정수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홀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 박멸기는 냉온 분리판이 탈거되어질 때 냉온 분리판에 붙어서 탈거될 수 있도록 캡과 몸통에 상기 냉온 분리판의 물안내부가 밀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
KR1020080106467A 2008-10-29 2008-10-29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 KR20100047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467A KR20100047529A (ko) 2008-10-29 2008-10-29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467A KR20100047529A (ko) 2008-10-29 2008-10-29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529A true KR20100047529A (ko) 2010-05-10

Family

ID=4227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467A KR20100047529A (ko) 2008-10-29 2008-10-29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752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581B1 (ko) * 2011-03-03 201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426590B1 (ko) * 2011-07-08 2014-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468840B1 (ko) * 2014-03-27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9249038B2 (en) 2011-03-03 2016-02-02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581B1 (ko) * 2011-03-03 201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9249038B2 (en) 2011-03-03 2016-02-02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KR101426590B1 (ko) * 2011-07-08 2014-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468840B1 (ko) * 2014-03-27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300B1 (ko) 물분배기
CA2671811C (en) Bottled water cooler with ozone sterilizing device
WO2008130729A1 (en) Water dispenser for pets
KR20100047529A (ko)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
KR102656807B1 (ko) 정수기
KR101559634B1 (ko)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US20120189502A1 (en) Bottom-loading water coolers with ozone sterilizing devices
KR101621873B1 (ko)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크 살균 방법
JP6014882B2 (ja) クリーンウォーター排出装置
KR101143791B1 (ko) 살균장치를 가진 정수기
KR100993891B1 (ko) 정수기
CN109157120A (zh) 一种杀菌消毒的冷热一体机
KR100682554B1 (ko) 생수 안전배출장치
US9963337B2 (en) Tank with an integral filter and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comprising such a tank
KR100622574B1 (ko) 가열냉각식 음수대 및 그 사용방법
KR101621869B1 (ko)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KR102159622B1 (ko) 살균기능을 갖는 냉온수기용 정수필터
JP5603961B2 (ja) 冷温水供給装置
KR101098191B1 (ko) 냉수통에 체결되는 저장조
KR101902386B1 (ko) 직수형 정수기의 살균 출수 유닛
CA2798899C (en) Bottom-loading water coolers with ozone sterilizing devices
KR200307794Y1 (ko) 기능성 정수기
KR101012229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KR20090077460A (ko) 냉온정수기
KR100723924B1 (ko) 생수 안전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