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625B1 -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부 받침대의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부 받침대의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625B1
KR101621625B1 KR1020140182981A KR20140182981A KR101621625B1 KR 101621625 B1 KR101621625 B1 KR 101621625B1 KR 1020140182981 A KR1020140182981 A KR 1020140182981A KR 20140182981 A KR20140182981 A KR 20140182981A KR 101621625 B1 KR101621625 B1 KR 101621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curd
shaft
gear
chain
tof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용
Original Assignee
정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용 filed Critical 정태용
Priority to KR1020140182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 B65G21/06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constructed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4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from supply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부 받침대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부 제조기 중앙 공간부에 수용되는 두부 받침대를 갖는 몸체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는 공간부 하부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 타고 이동하면서 외부로 분리되는 구성이며, 상기 몸체는 지지 플레이트 내부에 형성된 샤프트와, 샤프트에 고정되는 체인기어와, 상기 체인기어에 걸리는 체인에 각각으로 조립 고정된 두부 받침대와, 상기 몸체를 두부 제조기 외부로 빼내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샤프트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기어를 갖는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부 받침대의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부 받침대의 분리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WHOLE BEAN CURD}
본 발명은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부 받침대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부 제조기 중앙 공간부에 수용되는 두부 받침대를 갖는 몸체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는 공간부 하부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 타고 이동하면서 외부로 분리되는 구성이며, 상기 몸체는 지지 플레이트 내부에 형성된 샤프트와, 샤프트에 고정되는 체인기어와, 상기 체인기어에 걸리는 체인에 각각으로 조립 고정된 두부 받침대와, 상기 몸체를 두부 제조기 외부로 빼내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샤프트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기어를 갖는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부 받침대의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부는 마른 콩을 일정한 시간 동안 물에 침지시켜 불린 후, 소량의 물을 공급하면서 믹서 등을 이용하여 미세하게 분쇄하고 분쇄된 콩을 가제 등의 거름 수단을 사용하여 콩즙과 비지로 분리하고 분리된 콩즙을 일정온도로 가열하면서 간수를 투입하여 응고시킴으로써 완성된다.
그리고, 두부제조를 수작업을 통해서 하는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면서 사람의 손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두부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두부 제조장치가 많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는 두부 제조장치의 경우 대량적인 생산을 위하여 기계 라인 설비를 대형화시켜 두부를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생산, 공급, 판매 단계를 거치면서 유통 기간이 불가피하게 필요하게 되어 즉석에서 따뜻한 두부의 맛을 느낄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출원제10-2006-0111031호의 " 두부 제조 장치 " 가 알려져 있으나, 상기의 방법으로는 두부 받침대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 없이 두부를 제조하는 구성이라 불순물 제거를 원활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두부 제조장치의 편리성을 개선하여 생산량과 청결유지를 보다 능률적으로 향상시키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부 제조기 일 측 공간부에 수용되는 두부 받침대를 갖는 몸체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는 공간부 하부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 타고 이동하면서 외부로 분리되는 구성이며, 상기 몸체는 지지 플레이트 내부에 형성된 샤프트와, 샤프트에 고정되는 체인기어와, 상기 체인기어에 걸리는 체인에 각각으로 조립 고정된 두부 받침대와, 상기 몸체를 두부 제조기 외부로 빼내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샤프트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기어를 갖는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부 받침대의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몸체를 두부 제조기 내부에 조립, 분리할 수 있어 세척 청소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몸체 내부에 형성된 샤프트에 고정되는 체인기어에 걸린 체인에 다수의 두부 받침대를 고정할 수 있어 많은 두부를 생산 및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두부 제조기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두부 제조기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가 작동하는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도 1 및 도 2,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두부제조기(10)에는 대두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두유를 만드는 원료 혼합 탱크(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료 혼합 탱크(11)에서 배출되는 두유는 몸체(20) 내부의 두부 받침대(27)에 수용된 각각의 포장용기(13)에 투입된다.
여기서, 각각의 포장용기(13)는 포장필름에 의해 열 접착 밀봉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포장필름에 의해 밀봉된 포장용기(13)는 각각의 두부 받침대(27)에 수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두부 받침대(27)는 두부 제조기(10) 일 측 공간부(21)에 수용되는 몸체 (20)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20)는 공간부(21) 하부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22)을 타고 전체적으로 이동하면서 외부로 분리되는 구성이다.
또한, 몸체(20)를 이루는 지지 플레이트(23) 내부에는 구동력을 갖는 샤프트(24)와, 샤프트(24)에 고정되는 체인기어(25)와, 상기 체인기어(25)에 걸리는 체인(26)이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하는 샤프트(24)가 체인기어(25)를 연동시킴과 함께 체인기어(25)에 걸린 체인(26)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체인(26)에는 수개의 두부 받침대(27)를 각각으로 형성하여 체인(26)과 같이 회전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원료 혼합 탱크(11)에서 배출되는 두유는 몸체(20) 내부의 두부 받침대(27)에 수용된 각각의 포장용기(13)에 투입된 후, 포장필름에 의해 밀봉됨과 함께 일 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20)를 두부 제조기(10) 외부로 빼내기 위한 손잡이(2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손잡이(28)를 잡고 몸체(20)를 외부로 빼낼 수 있으며, 이때 몸체(20)는 공간부(21) 하부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22) 타고 전체적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외부로 분리가 가능하다.
한편, 샤프트(24)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동기어(33)가 형성되며, 상기 연동기어(33)는 구동모터(30)에 고정된 구동기어(32)와 맞물리거나, 분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샤프트(24)에 회전력을 전달 및 차단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몸체(20)를 외부로 분리하는 경우에는 샤프트(24)의 연동기어(33)는 구동모터(30)의 구동기어(32)와 분리된 상태가 되므로 몸체(20)가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20)를 두부 제조기(10)에서 분리하면서 세척 청소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몸체(20)에 형성된 손잡이(28)를 잡고 외부로 빼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두부 제조기(10) 일 측 공간부(21)에 수용되는 두부 받침대(27)를 갖는 몸체(20)는 가이드 레일(22) 타고 이동하면서 외부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는 지지 플레이트(23) 내부에 형성된 샤프트(24)와, 샤프트(24)에 고정되는 체인기어(25)와, 상기 체인기어(25)에 걸리는 체인(26)에 각각으로 조립 고정된 두부 받침대(2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20)를 두부 제조기(10) 외부로 빼내기 위한 손잡이(28)와, 상기 체인(24)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동기어(3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손잡이(28)는 몸체(20)를 두부 제조기(10)에서 분리하는 작용을 함과 아울러 몸체(20)를 외부로 빼낼 수 있게 하면서 세척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몸체를 두부 제조기 내부에 조립, 분리할 수 있어 세척 청소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몸체 내부에 형성된 샤프트에 고정되는 체인기어에 걸린 체인에 다수의 두부 받침대를 고정할 수 있어 많은 두부를 생산 및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두부 제조기 11. 원료 혼합 탱크
12. 살균탱크 13. 포장용기
20. 몸체 21. 공간부
22. 가이드 레일 23. 지지 플레이트
24. 샤프트 25. 체인기어
26. 체인 27, 두부 받침대
28. 손잡이 29. 회전기어
30. 구동모터 31. 용기투입구
32. 구동기어 33. 연동기어

Claims (1)

  1. 두부 제조기(10)의 공간부(21)에 수용되는 두부 받침대(27)를 갖는 몸체(20)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20)는 공간부(21) 상,하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22) 타고 이동하면서 외부로 분리되는 구성이며,
    상기 몸체(20)는 지지 플레이트(23) 내부에 형성된 샤프트(24)와, 샤프트(24)에 고정되는 체인기어(25)와,
    상기 체인기어(25)에 걸리는 체인(26)에 각각으로 조립 고정된 두부 받침대(27)와,
    상기 몸체(20)를 두부 제조기(10) 외부로 빼내기 위한 손잡이(28)와, 상기 샤프트(24)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동기어(33)와, 상기 연동기어(33)와 맞물리고 분리되는 구동기어(33)로 형성되어 몸체(20)는 두부 제조기(10) 내부에서 외부로 분리되면서 세척 청소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부 받침대의 분리장치.
KR1020140182981A 2014-12-16 2014-12-16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부 받침대의 분리장치 KR101621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981A KR101621625B1 (ko) 2014-12-16 2014-12-16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부 받침대의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981A KR101621625B1 (ko) 2014-12-16 2014-12-16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부 받침대의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625B1 true KR101621625B1 (ko) 2016-05-16

Family

ID=5610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981A KR101621625B1 (ko) 2014-12-16 2014-12-16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부 받침대의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6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603A (ja) 2002-10-18 2004-05-13 Yamahiro:Kk 冷凍麺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603A (ja) 2002-10-18 2004-05-13 Yamahiro:Kk 冷凍麺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827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сыра, других молочных продуктов и тофу
IT1392393B1 (it) Apparecchio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calde, in particolare bevande a base di latte quali cappuccino, cioccolata e simili
CN106998966A (zh) 用于蒸制和混合食品的设备
CN102273945A (zh) 一种研磨豆浆机及其自动清洗方法
KR20120051005A (ko) 주방 기기
JP3175819U (ja) 豆乳製造装置
KR101621625B1 (ko)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부 받침대의 분리장치
CN108174933A (zh) 一种曲柄连杆机构的茶叶翻炒装置
US11259497B2 (en) Countertop cooking appliance
CN103099542A (zh) 奶泡壶
KR101248566B1 (ko) 커피 머신의 생원두 로스팅 기구
KR101709341B1 (ko) 전두유제조기계
CN105342461A (zh) 一种制浆方法和一种食物料理机
KR20160075289A (ko)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부 받침대의 회전 구동장치
CN202653087U (zh) 一种易洁研磨豆浆机
CN205758391U (zh) 一种多功能辅食料理机
KR20150114289A (ko) 커피 생원두 로스팅머신 및 그 운용방법
CN209234898U (zh) 一种大豆膳食纤维油炸产品生产线
CN204033100U (zh) 一种精研磨豆浆机
KR20160075288A (ko)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부 포장용기의 자동배출장치
KR101477737B1 (ko) 음료제조기
CN208371635U (zh) 烹饪器具
KR20160088037A (ko) 전두부의 가열 및 냉각장치
CN103479244B (zh) 一种打奶器
TWI526180B (zh) Food and beverage ma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