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563B1 -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563B1
KR101620563B1 KR1020150165543A KR20150165543A KR101620563B1 KR 101620563 B1 KR101620563 B1 KR 101620563B1 KR 1020150165543 A KR1020150165543 A KR 1020150165543A KR 20150165543 A KR20150165543 A KR 20150165543A KR 101620563 B1 KR101620563 B1 KR 101620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unit
cup
function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훈
Original Assignee
유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훈 filed Critical 유훈
Priority to KR1020150165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맥주잔 또는 컵을 한번에 이송시킬 수 있는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에 충전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휴대기기(휴대전화, 테블릿PC, 노트북등)를 충전할 수 있는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에 점원을 호출할 수 있는 기능과, 메뉴 주문 및 추가주문과, 중간계산서 및 계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능을 더 부가하여 업주와 고객간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은 한번에 복수개의 맥주잔 또는 컵을 수용하고,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어 휴대기기의 충전이 가능하며, 외부 단말기 또는 내부의 신호를 전달 받아 화면에 나타나고, 단말부가 형성되어 외부 단말기와 송·수신이 가능한 다기능 멀티 트레이; 상기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여 결제와, 영상 및 음성전달과, 정보 전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이 상호 호환되는 호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Multipurpose tray and information exchange using the multi-function multi-tray, and processing system }
본 발명은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능이 탑재된 다기능 멀티 트레이에 정보를 송신 및 수신의 기능을 부가하고 그 다기능 멀티 트레이에 입력된 정보를 호스트에 전달하여 고객과 업주 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에서 서빙할 때, 쟁반을 사용한다. 특히 주류업소에서 맥주를 맥주잔에 따라 판매하게 되는데, 이러한 맥주잔에는 손잡이가 있을 수 있으나, 최근에는 손잡이가 없는 맥주잔을 많이 사용한다. 이때, 손잡이가 없는 맥주잔은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받침부가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잘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맥주잔은 사용자가 한 손에 두 잔 이상을 들고 이동시킬 수 없다. 트레이에 여러 맥주잔을 가져가더라도 타인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서 떨어트릴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즉, 맥주잔을 안정적,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트레이 또는 케이스가 요구된다.
또한 휴대기기(휴대전화, 테블릿PC, 노트북 등)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증대됨에 따라 휴대기기의 사용자가 식당이나 주류업소에 방문할 경우에 충전을 의뢰 하거나, 콘센트가 위치된 자리를 찾게 된다. 사업주는 기존 업무 외의 고객의 휴대기기 충전 서비스를 위해 추가적인 업무가 발생되고, 그로 인해 인력 소모 및 업무 시간 추가 등이 발생하게 된다. 소비자 또한 휴대기기 충전을 의뢰하는 등의 시간을 허비하고, 휴대기기를 찾아가지 않아 분실사고로도 이어져, 금전적인 피해와 개인 및 금융 정보유출 등 예기치 않은 일로 사업주와 소비자 사이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휴대기기 충전, 호출, 메뉴주문 및 추가주문(인터폰 사용), 중간계산서, 계산 등 사업주와의 소통이 이루어지기 위해 많이 기술들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기술의 일례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71326호에는 일정한 길이의 손잡이의 양 단부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맥주잔과 접촉되는 부분에 고무 패드가 부착된 암으로 이루어지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어느 암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쇠와, 다른 암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용 레버와, 상기 고정용 레버에 한지 연결되어 상기 걸쇠의 단부에 임의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조임쇠로 구성된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맥주잔 클리퍼로써, 손잡이의 양 단부에 힌지되어 작동하는 1 쌍 1 조의 암(arm)으로 형성된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각 암의 단부에 상호 체결 가능한 걸쇠와 조임쇠가 형성되어 각각의 암에 맥주잔을 안착하고 걸쇠에 조임쇠를 체결하고 고정용 레버로 고정하여 2 개의 맥주잔을 손잡이 양쪽에 고정시키므로서 2 사람이 각 맥주잔의 맥주를 함께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단지 맥주잔을 고정시키고, 한번에 여러잔을 들 수 있는 효과만 기재되어 있을 뿐,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이나 주문을 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맥주잔 또는 컵을 한번에 이송시킬 수 있는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에 충전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휴대기기(휴대전화, 테블릿PC, 노트북등)를 충전할 수 있는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에 점원을 호출할 수 있는 기능과, 메뉴 주문 및 추가주문과, 중간계산서 및 계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능을 더 부가하여 업주와 고객간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멀티 트레이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탑재되고 외부 기기와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맥주잔 또는 컵이 걸림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형성되어 휴대기기가 안착되고 충전되는 충전부와, 상기 거치부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 기기로 송신 및 수신된 신호 및 정보를 처리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신호 및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거치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부에 신호 및 정보를 기입하는 입력부와, 상기 거치부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부의 신호를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충전부와 상기 송·수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맥주잔 또는 컵을 수용하는 제1 거치부와, 상기 제1 거치부가 결합되고 상기 맥주잔 또는 컵의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충전부가 형성되며 상기 처리부와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송·수신부가 결합되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치부에는 복수개의 USB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치부의 내부에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후크 형상의 LED 거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LED 거치부에는 LED 바가 구비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터치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한번에 복수개의 맥주잔 또는 컵을 수용하고,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어 휴대기기의 충전이 가능하며, 외부 단말기 또는 내부의 신호를 전달 받아 화면에 나타나고, 단말부가 형성되어 외부 단말기와 송·수신이 가능한 다기능 멀티 트레이; 상기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여 결제와, 영상 및 음성전달과, 정보 전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이 상호 호환되는 호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관통공 또는 홈이 형성되어 맥주잔이나 컵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분리 트레이 형태 변화로 주류나 음료 및 음식을 리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기기 충전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주류 및 음료를 즐기며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가 장착되어 있고, LED가 주류 또는 음료가 담긴 잔 또는 컵을 투과함으로써 인테리어적 효과를 상승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광고 또는 이벤트가 가능하도록함으로써 사용자로 술자리 또는 식사자리를 즐겁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모니터기능(호출기능, 인터폰기능, 주문기능, 중간계산기능, 계산 기능, 게임 기능)의 서비스를 통해 시간절약 및 편리성을 갖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다기능 멀티 트레이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다기능 멀티 트레이에 맥주잔 또는 컵이 결합되는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6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다기능 멀티 트레이에 휴대기기가 충전되는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1에 따른 다기능 멀티 트레이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9은 도 1에 따른 다기능 멀티 트레이의 양측단이 개폐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1에 따른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사용하여 호스트와 연결되는 개략적인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다기능 멀티 트레이의 분해사시도,
도 13 내지 도 14는 도 1에 따른 다기능 멀티 트레이의 사시도,
도 15는 도 11에 따른 다기능 멀티 트레이 중 제2 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16은 도 15에 따른 제2 거치부에 LED바가 결합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다기능 멀티 트레이(100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기능 멀티 트레이(1000)는 바디부(1100)와 송·수신부(120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한 설명으로 상기 바디부(1100)는 맥주잔 또는 컵(1)이 걸림되는 거치부(1110)와, 상기 거치부(1110)에 형성되어 휴대기기가 안착되고 충전되는 충전부(1120)와, 상기 거치부(1110)의 내부에 결합되고 외부 기기로 송신 및 수신된 신호 및 정보를 처리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신호 및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1140)와, 상기 거치부(11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부(1140)에 신호 및 정보를 기입하는 입력부(1150)와, 상기 거치부(1110)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부(1140)의 신호를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130)와, 상기 충전부(1120)와 상기 송·수신부(1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60)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1110)는 제1 거치부(1111) 및 제2 거치부(1112)가 결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거치부(1112)에는 상기 제1 거치부(1111)가 결합될 수 있도록 거치홈(1113)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1113)은 상기 제1 거치부(1111)가 상기 제2 거치부(1112)에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홈(1113)은 상기 제1 거치부(1111)의 크기와 같거나 그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거치부(1112)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 거치부(1111)와 분리시킬 수 있도록 보조거치홈(1114)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거치홈(1114)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거치홈(1114)에 손가락을 넣어 상기 제2 거치부(1112)와 상기 제1 거치부(1111)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부(1111)에는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관통공(111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거치부(1112)에는 상기 제1 관통공(1111a)과 동축되어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관통공(1112a)이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다기능 멀티 트레이(1000)에 맥주잔 또는 컵(1)이 결합되는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관통공(1111a)을 통해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이 삽입되어 상기 제1 거치부(1111)에 결합된다. 이어 상기 제1 관통공(1111a)과 동축된 상기 제2 관통공(1112a)에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이 상기 제2 거치부(1112)에 결합된다.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의 상부를 입구라하고, 하부를 받침대라 했을 때,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의 상부 및 하부 사이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거치부(1111)에 걸리게 된다. 상기 제1 관통공(1111a)은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의 어느 한 둘레면에 걸쳐지게 되고, 그 걸쳐지는 위치는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의 입구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1110)는 상기 제1 거치부(1111)와 상기 제2 거치부(1112)로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제1 거치부(1111)만 사용하여 단 한번에 복수개의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음료를 리필 할 경우에 상기 거치부(1110)에서 상기 제1 거치부(1111)를 분리하여 복수개의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을 한번에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거치부(1111)에는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이 외부에 의해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재(1111-1)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1111-1)는 러버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이 상기 제1 관통공(1111a)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에 있는 음료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다기능 멀티 트레이(1000)에 휴대기기(2)가 충전되는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부(1120)는 상기 휴대기기(2)가 결합된다. 상기 충전부(1120)는 상기 제2 거치부(1112)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다.
상기 충전부(1120)의 내측에는 상기 전력공급부(1160)를 구성하는 충전단자부(1162)가 배치되어 상기 휴대기기(2)에 삽입되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한 설명으로 상기 충전단자부(1162)는 상기 휴대기기(2)에 결합되고, 상기 휴대기기(2)에 결합되기 위해 그에 준하는 규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기기(2)의 종류에 따라 상기 충전단자부(1162)는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충전부(1120)는 상기 휴대기기(2)를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휴대기기(2)에 음료를 흘릴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미도시)는 상기 거치부(111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휴대기기(2)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도 7은 상기 도 6과 비교하여 상기 충전부(1120)와 충전단자부(1162)의 형상만이 상이하다.
상기 충전단자부(1162)는 상기 제2 거치부(1112)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휴대기기(2)를 상기 휴대기기 거치부(1122)에 삽입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충전단자부(1162)에 상기 휴대기기(2)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충전부(1120)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충전단자부(1162)를 별도로 선으로 뽑아 상기 휴대기기(2)를 충전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따른 다기능 멀티 트레이(1000)에 배터리부(1161)가 충전되는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거치부(1112)에는 배터리커버(1116)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부(116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거치부(1112)에는 배터리삽입홈(1116a)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부(1161)는 상기 제2 거치부(1112)에 형성된 배터리삽입홈(1116a)에 삽입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30)와 상기 입력부(1150)와 상기 처리부(1140)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1161)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충전부(1120)에 전달되어 상기 휴대기기(2)를 충전한다.
상기 배터리커버(1116)는 힌지 결합되어 차폐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거치부(1112)에는 USB홈(1115)이 형성되어 상기 휴대기기(2)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USB홈(1115)은 상기 전원공급부(1160)에 연결되고, 상기 처리부(1140)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기기(2)의 정보를 전달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SB홈(1115)에는 USB단자(3)가 삽입된다.
도 9는 도 1에 따른 다기능 멀티 트레이(1000)의 양측단이 개폐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거치부(1112)의 양측면은 힌지 결합되어 차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거치부(1112)의 일측면은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1 메뉴판덮개(1119)의 일면(1119a)에 메뉴안내책자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거치부(1112)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1 메뉴판덮개(1119)과 같이 메뉴판이 부착될 수 있고, 광고 또는 안내 문구가 부착될 수 있는 제2 메뉴판덮개(1118)를 포함한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다기능 멀티 트레이(1000)를 사용하여 호스트와 연결되는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기능 멀티 트레이(1000)를 사용하여 휴대기기(2)와 연동되고, PC와 연동되어 계산 및 정보를 전달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구축된다.
상기 다기능 멀티 트레이(1000)에는 호출, 인터폰, LED 전원 ON/OFF, 주문, 중간계산, 무선충전이 가능하고 그 외 휴대기기와 연동하여 게임을 즐길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기능 멀티 트레이(1000)는 별도로 점원이 사용자의 테이블로와서 주문을 받지 않고 직접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처리부와, 상기 입력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사용하여 주문을 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다기능 멀티 트레이(20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기능 멀티 트레이(2000)는 바디부(2100)와 송·수신부(220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2100)는 맥주잔 또는 컵(1)이 걸림되는 복수개의 거치부(2110)와, 휴대기기(2)가 충전되는 충전부(2120)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또는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화면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213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130)에 영상이 나타나고 입력 또는 전달 받은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2140)와, 상기 처리부(2140)에 정보를 기입하는 입력부(2150)와, 상기 충전부(2120)와 상기 송·수신부(2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16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한 설명으로 상기 거치부(2110)는 제1 거치부(2111)와, 제2 거치부(2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거치부(2111)에는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이 거치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관통공은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의 외주면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거치부(2111)에는 상기 제2 거치부(2112)와 분리하기 위해 보조거치홈(2114)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거치홈(2114)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넣어 상기 제1 거치부(2111)와 상기 제2 거치부(2112)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부(2112)에는 상기 제1 거치부(2111)가 결합되는 거치홈(2113)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2113)은 상기 제1 거치부(2111)와 동일한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거치부(2111)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거치부(2112)에는 상기 제1 관통공과 동축되고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이 수용되는 제2 관통공(211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은 상기 제1 거치부(2111)와 상기 제2 거치부(2112)에 안착된다.
상기 제1 거치부(2111)와 상기 제2 거치부(2112)로 분리됨에 따라 사용자가 음료를 리필 할 경우에 상기 제1 거치부(2111)를 상기 제2 거치부(2112)와 분리시켜 상기 맥주잔 또는 컵(1)이 수용된 상기 제1 거치부(2111)만 이동시켜 음료를 리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부(2120)는 무선으로 충전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거치부(2112)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휴대기기가 충전된다. 상기 충전부(2120)는 상기 휴대기기에 따라 충전이 가능하고, 무선 충전이 되지 않을 경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충전단자부를 통해 상기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30)는 상기 제2 거치부(2112)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송·수신부(2200)를 통해 전달받은 영상이나 메세지를 사용자가 볼 수 있다.
상기 처리부(214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30)에 영상이 나타나고 입력 또는 전달 받은 정보를 처리하게 된다.
상기 입력부(2150)는 상기 처리부(2140)에 정보를 기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130)에 그 정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150)는 터치패드로 형성되고, 상기 처리부(2140)에 저장된 정보들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신호가 상기 처리부(2140)로 전달된다. 전달받은 상기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30)로 전달되어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되고, 입력된 신호는 상기 송·수신부(2200)로 전달되어 외부 기기 즉, 호스트(HOST)로 신호가 전달되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30)는 상기 입력부(2150)와 같이 터치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2130)와 상기 입력부(2150)는 상기 처리부(2140)에 저장된 정보를 나타낼 수 있고, 외부 기기 즉, 상기 호스트(HOST)에서 상기 송·수신부(2200)로 전달받은 신호 및 정보를 상기 처리부(2140)를 거쳐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하고 또한 그 신호 및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16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30)와, 상기 처리부(2140)와, 상기 입력부(2150) 및 상기 송·수신부(2200)에 전력을 공급한다. 아울러 상기 전원공급부(2160)는 상기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2160)는 배터리부(2161)와, 충전단자부(2162)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부(2161)는 상기 제2 거치부(2112)에 삽입되고,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거치부(2112)에는 배터리커버(2116)가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커버(2116)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2 거치부(2112)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거치부(2112)에는 상기 배터리부(2161)가 삽입될 수 있는 배터리삽입홈(2116a)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부(2161)는 외부에서 전력을 충전하여 충전된 전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130)와, 상기 처리부(2140)와, 상기 입력부(2150) 및 상기 송·수신부(2200)에 공급한다.
상기 충전단자부(2162)는 상기 제2 거치부(2112)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홀(2112b)에 삽입된다. 상기 충전단자부(2162)는 상기 배터리부(2161)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휴대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충전단자부(2162)는 무선으로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는 도 1에 따른 다기능 멀티 트레이(2200)의 사시도이다.
상기 제2 거치부(2112)에는 상기 충전단자부(2162)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상기 전원공급부(2160)를 보호하기 위해 충전단자커버부(2116-1)을 포함한다.
상기 충전단자커버부(2116-1)는 상기 충전단자부(2162)와 동축되어 상기 이물질이 상기 충전단자부(2162) 및 배터리부(216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는 도 11에 따른 다기능 멀티 트레이(2000) 중 제2 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제2 관통공(2112a)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제2 거치부(2112)의 내부에는 후크 형상의 LED거치부(2112-1)가 형성된다.
상기 LED거치부(2112-1)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제2 거치부(2112)에 LED바(2170)가 결합되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거치부(2112)에는 후크 형상의 LED거치부(2112-1)가 형성되고 상기 LED거치부(2112-1)에 LED바(2170)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한 설명으로 상기 LED바(2170)는 다수개로 형성된 LED가 구비되고, 상기 LED가 상기 LED거치부(2112-1)에 장착되기 위해 상기 LED바(2170)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LED바(2170)는 상기 배터리부(2161)에 저장된 전력으로 구동되며 ON/OFF는 상기 입력부(2150) 및 처리부(2140)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또한 상기 LED바(2170)는 상기 맥주잔 또는 컵에 빛을 투과함으로써 외관을 수려하게 한다.
상기 LED바(2170)는 상기 LED거치부(2112-1)에 결합되기 위해 바(BAR) 형상이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LED바(2170)는 LED와 상기 LED의 외측을 둘러싸는 LED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LED의 불빛의 강도는 상기 입력부(2150)를 통해 신호 및 정보를 상기 처리부(2140)에 전달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LED 커버는 투명 또는 색상이 가미된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불빛의 색상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맥주잔 또는 컵 2:휴대기기
3:USB단자 1000,2000: 다기능 멀티 트레이
1100,2100:바디부 1110,2110:거치부
1111,2111:제1 거치부 1111a,2111a:제1 관통공
1111-1:고정부재 1112,2112:제2 거치부
1112a,2112a:제2 관통공 1113,2113:거치홈
1114,2114:보조거치홈 1115,2115:USB홈
1116,2116:배터리커버 1116a,2116a:배터리삽입홈
1118:제2 메뉴판덮개 1119,2:제1 메뉴판덮개
1120,2120:충전부 1130,2130:디스플레이부
1140,2140:처리부 1150,2150:입력부
1160,2160:전력공급부 1161,2161:배터리부
1162,2162:충전단자부 1200,2200:송·수신부

Claims (7)

  1. 맥주잔 또는 컵이 걸림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형성되어 휴대기기가 안착되고 충전되는 충전부와, 상기 거치부의 내부에 결합되고 외부 기기로 송신 및 수신된 신호 및 정보를 처리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신호 및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거치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부에 신호 및 정보를 기입하는 입력부와, 상기 거치부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부의 신호를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충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탑재되고, 상기 외부 기기와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맥주잔 또는 컵을 수용하는 제1 거치부와, 상기 제1 거치부가 결합되고 상기 맥주잔 또는 컵의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충전부가 형성되며 상기 처리부, 상기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송·수신부가 결합되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거치부에는 상기 맥주잔 또는 컵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관통공에는 상기 맥주잔 또는 컵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러버재질의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거치부에는 상기 제1 거치부가 결합되는 거치홈과, 상기 거치홈에 결합된 상기 제1 거치부를 용이하게 분리시키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입되는 보조거치홈과, 배터리부가 수용되는 배터리삽입홈과, 상기 배터리삽입홈을 개폐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배터리커버와, 상기 제1 관통공과 동축되어 상기 맥주잔 또는 컵이 삽입되는 제2 관통공과, 양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차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 메뉴판덮개와, 복수개의 USB홈과,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LED 바가 구비된 후크 형상의 LED 거치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메뉴판덮개 또는 상기 제2 메뉴판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메뉴안내책자가 부착되거나 광고 또는 안내문구가 부착되고,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터치패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멀티 트레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의 다기능 멀티 트레이; 및
    상기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여 결제와, 영상 및 음성전달과, 정보 전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이 상호 호환되는 호스트;
    를 포함하는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
KR1020150165543A 2015-11-25 2015-11-25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 KR101620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543A KR101620563B1 (ko) 2015-11-25 2015-11-25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543A KR101620563B1 (ko) 2015-11-25 2015-11-25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563B1 true KR101620563B1 (ko) 2016-05-12

Family

ID=5602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543A KR101620563B1 (ko) 2015-11-25 2015-11-25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5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198A (ko) * 2020-12-21 2022-06-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KR102627858B1 (ko) * 2022-09-28 2024-01-19 정성준 기능성 식판 및 이를 포함하는 식사 유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9298A (ja) * 2008-07-25 2010-02-12 Digital Electronics Corp 表示機能付トレイ
KR101268645B1 (ko) * 2011-03-14 2013-05-29 성진철 데코레이션 기능을 갖는 화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9298A (ja) * 2008-07-25 2010-02-12 Digital Electronics Corp 表示機能付トレイ
KR101268645B1 (ko) * 2011-03-14 2013-05-29 성진철 데코레이션 기능을 갖는 화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198A (ko) * 2020-12-21 2022-06-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KR102510083B1 (ko) * 2020-12-21 2023-03-1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KR102627858B1 (ko) * 2022-09-28 2024-01-19 정성준 기능성 식판 및 이를 포함하는 식사 유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2009B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CN101632033B (zh) 头戴式单眼显示装置
KR101392562B1 (ko)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2427504B1 (ko)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US11395959B2 (en) Glasses case and system
KR101620563B1 (ko)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
WO2016010240A1 (ko) 스마트폰 거치대 겸용 컵
US201900530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mmunication
KR200466549Y1 (ko) 단말기용 핑거 홀더
CA2937557A1 (en) Product demonstration fixtur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50003379U (ko) 핸드폰용 흡착식 거치대
US10483798B2 (en) Wireless portable charger and display panel for a wireless chargeable hand held device
KR102158297B1 (ko) 스위블 회전 및 틸트 각도 조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스마트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2492607B1 (ko) 스포츠 고글
US10994981B2 (en) Static and dynamic display dispenser for in-line fluid flow with novel accessories, apparatus, system, and a method thereof
KR101778085B1 (ko) 도킹스테이션이 구비된 화장대
US20120194985A1 (en) Bill Folder with Visual Device and Dynamic Information Content Updating System
US5388697A (en) Beverage identification system
KR20150139158A (ko)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0481355Y1 (ko)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KR102392940B1 (ko) 탈착식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컵
KR101921623B1 (ko)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US20040253132A1 (en) Cradl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6820026B2 (ja) 飲料用演出コースター
JP7370119B1 (ja) 飲料用グラスシステム及び飲料用グ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