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198A -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 Google Patents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198A
KR20220089198A KR1020200179611A KR20200179611A KR20220089198A KR 20220089198 A KR20220089198 A KR 20220089198A KR 1020200179611 A KR1020200179611 A KR 1020200179611A KR 20200179611 A KR20200179611 A KR 20200179611A KR 20220089198 A KR20220089198 A KR 20220089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unit
pedestal body
control unit
p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083B1 (ko
Inventor
왕린
전혜영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0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 A47G23/031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 A47G23/0306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3/0309Illumin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1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24C7/105Sto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는 상부면에 놓여지는 컵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거나 유지하고, 휴대 시 손난로 기능을 수행하며, 핸드폰, 이어폰 등의 전자장치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Cup Stand Having Hand Stove Charging}
본 발명은 컵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면에 놓여지는 컵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거나 유지하고, 휴대 시 손난로 기능을 수행하며, 핸드폰, 이어폰 등의 전자장치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내부에 물, 음료수, 우유나 분유와 같은 음료를 담아서 음용하는데 사용되며, 이러한 음료용기는 음료가 담겨지는 병 본체와, 병 본체의 상부를 덮개로 개폐하는 주입구로 이루어진다.
음료용기는 적정한 온도로 가열된 음료를 담아서 음용할 경우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여야 하고, 차를 타서 마시거나 분유를 수유할 경우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물을 음료용기에 담은 상태로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음료용기는 단순하게 음료만 담게 되므로 차를 타서 마시거나 분유를 유아에게 수유하기 위해서 음료용기에 음료를 삽입하여 가열장치로 가열하여야만 한다.
특히, 야외에서 차와 같이 음료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음용하거나 분유를 유아에게 수유할 경우 물이나 음료를 데우기 위한 가열장치가 별도로 준비해야 한다. 가열장치는 구조상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가열하기 위한 장소가 한정되어 있으며, 가열장치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 콘센트나 휴대용 전원공급장치가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1512467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면에 놓여지는 컵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거나 유지하고, 휴대 시 손난로 기능을 수행하며, 핸드폰, 이어폰 등의 전자장치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는,
일정한 내부 공간부와 두께를 형성하고, 내용물이 수용된 컵을 지지할 수 있는 평판 형태의 받침대 본체; 및
상기 받침대 본체의 원형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방사상으로 결합되고, 누르면 상기 받침대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고, 다시 누르면 상기 받침대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단위 꽃잎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 본체의 내부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받침대 본체의 상부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받침대 본체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 본체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컵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거나 유지하는 발열소자와, 상기 각각의 단위 꽃잎부재의 내부에 내장되어 복수의 색상의 LED로 이루어진 엘이디 모듈과,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한 온도가 온도 범위별로 특정 계열의 색상 LED를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는,
일정한 내부 공간부와 두께를 형성하고, 내용물이 수용된 컵을 지지할 수 있는 평판 형태의 받침대 본체; 및
상기 받침대 본체의 원형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방사상으로 결합되고, 누르면 상기 받침대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고, 다시 누르면 상기 받침대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단위 꽃잎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 본체는 내부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받침대 본체의 상부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받침대 본체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 본체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컵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거나 유지하는 발열소자와, USB 커넥터를 통해 공급받는 전력 또는 배터리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NFC 방식으로 전력 신호를 송신하는 USB 리더와, 상기 NFC 리더로부터 송신되는 전력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방사하는 NFC 안테나와, 상기 각각의 단위 꽃잎부재의 내부에 내장되어 복수의 색상의 LED로 이루어진 엘이디 모듈과,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한 온도가 온도 범위별로 특정 계열의 색상 LED를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음료의 온도별로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여 음료의 온도를 예측하여 음료를 잡았을 때 손의 화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컵받침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손난로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컵받침대를 무선 충전 기능을 제공하여 핸드폰, 블루투스 이어폰 등을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의 색깔을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꽃잎부재가 받침대 본체의 내부로 삽입 및 돌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결합부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 본체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무선 전력 충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의 색깔을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100)는 내용물이 수용된 컵을 지지할 수 있는 평판 형태의 받침대 본체(110)와 받침대 본체(110)의 원형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단위 꽃잎부재를 방사상으로 결합한다.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100)는 받침대 본체(110)와 복수의 단위 꽃잎부재를 결합하여 꽃 모양이 될 수 있다.
받침대 본체(110)는 원형 형태로 일정한 내부 공간부와 두께를 형성한다.
복수의 단위 꽃잎부재는 누르면 상기 받침대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고, 다시 누르면 상기 받침대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단위 꽃잎부재는 제1 단위 꽃잎부재(120), 제2 단위 꽃잎부재(130), 제3 단위 꽃잎부재(140), 제4 단위 꽃잎부재(150), 제5 단위 꽃잎부재(160) 및 제6 단위 꽃잎부재(170)를 포함한다.
받침대 본체(110)의 내부에는 발열소자(111), 배터리부(112), GPS 모듈(113), 제어부(114), USB 커넥터(115), NFC 리더(116), NFC 안테나(117), 온도센서(118), 스피커(119), 온도조절부(122)를 포함한다.
제어부(114)는 발열소자(111), 배터리부(112), GPS 모듈(113), USB 커넥터(115), NFC 리더(116), NFC 안테나(117), 온도센서(118), 스피커(119), 온도조절부(122)를 전기,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온도센서(118)는 받침대 본체(110)의 내부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받침대 본체(110)의 상부면의 온도를 측정한다.
각각의 단위 꽃잎부재는 엘이디 모듈(180)이 각각 내장되어 있으며, 온도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는 기능을 수행한다.
엘이디 모듈(180)은 적색 LED(181), 녹색 LED(182), 청색 LED(183)를 포함하고, 적색 LED(181)는 적색 LED 전류조정부(184)가 연결되고, 녹색 LED(182)는 녹색 LED 전류조정부(185)가 연결되고, 청색 LED(183)는 청색 LED 전류조정부(186)가 연결된다.
제어부(114)는 온도센서(118)로부터 측정한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온도가 적색 기준 온도값(예를 들어, 20도 등)을 초과하면, 적색 LED 전류조정부(184)를 제어하여 적색 계열의 적색 LED(181)가 발광하고, 온도가 녹색 기준 온도 범위(예를 들어, 10도 내지 20도 등)에 속하는 경우, 녹색 LED 전류조정부(185)를 제어하여 녹색 계열의 녹색 LED(182)가 발광하며, 온도가 청색 기준 온도값(예를 들어, 10도 등)을 이하이면, 청색 LED 전류조정부(186)를 제어하여 청색 계열의 청색 LED(183)가 발광한다.
받침대 본체(110)의 내부 상단에는 발열소자(111)를 구성하는데, 발열소자(111)는 받침대 본체(110)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컵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거나 유지시킨다.
발열소자(111)는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부(112)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컵의 내용물을 보온하거나 가열한다.
발열소자(111)는 베이스층(111a), 발열층(111b), 세라믹층(111c)으로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층(111a)은 발열소자(111)의 외형을 이루며,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PVC와 같은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층(111b)은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부(112)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받침대 본체(110)의 상부면에 열을 제공한다. 발열층(111b)은 탄소 나노 튜브, 열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라믹층(111c)은 발열층(111b)에서 발생되는 열을 원적외선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단위 꽃잎부재(120)는 온도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121)와, 온도 조절을 위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온도조절부(122)를 포함한다.
온도조절부(122)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로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온도조절부(122)는 터치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를 제어부(114)로 전송한다.
제어부(114)는 온도조절부(122)로부터 수신한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온도 상승 영역인지 온도 하강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14)는 온도센서(118)로부터 수신한 온도 정보를 수치로 변환하여 제2 디스플레이부(13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2 단위 꽃잎부재(130)는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131)를 포함한다.
GPS 모듈(113)은 인공위성(미도시)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GPS 신호는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114)는 GPS 모듈(113)과 연동하여 현재 시간 정보를 요청하고, GPS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시간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부(13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1, 2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단위 꽃잎부재(140)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제1 음료 터치센서(커피)(141), 제2 음료 터치센서(녹차)(142), 제3 음료 터치센서(홍차)(143)로 구성되고, 각각의 음료 터치센서는 터치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를 제어부(114)로 전송한다.
제어부(114)는 제1 음료 터치센서(141)로부터 제1 터치 신호를 수신하면, 온도센서(118)로부터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온도를 배터리부(112)를 제어하여 제1 터치 신호에 기설정된 제1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측정한 온도가 제1 설정 온도가 되도록 발열소자(111)의 발열을 제어한다.
제어부(114)는 제2 음료 터치센서(142)로부터 제2 터치 신호를 수신하면, 온도센서(118)로부터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온도를 배터리부(112)를 제어하여 제2 터치 신호에 기설정된 제2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측정한 온도가 제2 설정 온도가 되도록 발열소자(111)의 발열을 제어한다.
제어부(114)는 제3 음료 터치센서(143)로부터 제3 터치 신호를 수신하면, 온도센서(118)로부터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온도를 배터리부(112)를 제어하여 제3 터치 신호에 기설정된 제3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측정한 온도가 제3 설정 온도가 되도록 발열소자(111)의 발열을 제어한다.
제1 설정 온도는 커피를 끊이는데 적합한 온도, 제2 설정 온도는 녹차를 끊이는데 적합한 온도, 제3 설정 온도는 홍차를 끊이는데 적합한 온도를 나타낸다.
제4 단위 꽃잎부재(150)는 제1 설정 온도, 제2 설정 온도, 제3 설정 온도의 온도값을 변경, 설정하고,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 센서로 이루어진 입력부(151)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51)를 통해 소정의 온도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114)는 입력된 설정 온도에 따라 발열소자(111)의 발열 정도를 제어하게 된다.
입력부(151)는 약 먹을 시간을 알림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예약 시간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제어부(114)는 알림 모드를 체크하여 입력된 예약 시간 정보에 따라 약 먹으라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스피커(119)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114)는 온도조절부(122)에 의해 설정된 현재 온도에서 기설정된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음료수가 식기 전에 먹으라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스피커(119)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면, 현재 온도가 50도인데, 기설정된 온도(예를 들면, 10도)인 40도 이하로 떨어지면, 음료수가 식기 전에 먹으라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꽃잎부재가 받침대 본체의 내부로 삽입 및 돌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결합부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 본체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단위 꽃잎부재(120), 제2 단위 꽃잎부재(130), 제3 단위 꽃잎부재(140), 제4 단위 꽃잎부재(150), 제5 단위 꽃잎부재(160) 및 제6 단위 꽃잎부재(170)는 받침대 본체(110)의 원형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방사상으로 결합되고, 누르면 받침대 본체(110)의 삽입홈(110a, 110b, 110c, 110d, 110e, 110f)으로 삽입되고, 다시 누르면 받침대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제1 단위 꽃잎부재(120), 제2 단위 꽃잎부재(130), 제3 단위 꽃잎부재(140), 제4 단위 꽃잎부재(150), 제5 단위 꽃잎부재(160) 및 제6 단위 꽃잎부재(170)는 받침대 본체(110)와 결합되는 결합 부위에 버튼 결합부재(200)를 각각 형성한다.
제1 단위 꽃잎부재(120), 제2 단위 꽃잎부재(130), 제3 단위 꽃잎부재(140), 제4 단위 꽃잎부재(150), 제5 단위 꽃잎부재(160) 및 제6 단위 꽃잎부재(170)를 누르면, 버튼 결합부재(200)에 의해 받침대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하고, 다시 누르면 받침대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버튼 결합부재(200)는 각각의 단위 꽃잎부재의 끝단에 형성된 승강부재(210)와, 받침대 본체(11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삽입 결합부재(220)를 포함한다.
승강부재(210)는 삽입 결합부재(220)에 삽입과 돌출하는 승강본체(211)와, 승강본체(211)의 일측 끝단에 직각으로 수평 돌출된 가이드턱(212)과, 가이드턱(212)과 대응되는 승강본체(211)의 반대면에 하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걸림턱(213)이 돌출 형성된 핀부재(214)로 이루어져 있다.
삽입 결합부재(220)는 승강부재(210)의 이동 시 삽입되는 수납부(226)를 이루는 하우징(221)과, 하우징(221)의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개방되어 가이드턱(21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222)과, 핀부재(214)의 걸림턱(213)이 이동 시 결합되는 홀(223)과, 걸림턱(213)이 경사를 따라 이동하여 함몰된 안내홈(225)으로 삽입 유도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하향 경사를 갖는 결합턱(224)을 포함한다.
수납부(226)에는 일측이 수납부(226)의 일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승강부재(2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스프링(227)을 포함한다.
버튼 결합부재(200)는 결림턱이 안내홈(225)에 끼워진 상태에서 승강부재(210)를 다시 누르면, 걸림턱(213)이 안내홈(225)으로부터 튀어 나와 다시 홀(223)로 가이드되고, 가이드턱(212)이 가이드홀(222)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위 꽃잎부재가 받침대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무선 전력 충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받침대 본체(110)의 내부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eader) 리더, NFC 안테나(117)를 구비하며, 받침대 본체(110)의 외부 일측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커넥터를 형성한다.
USB 커넥터(115)는 USB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USB 리더는 USB 커넥터(115)를 통해 공급받는 전력 또는 배터리부(112)의 전원을 이용하여 NFC 방식으로 전력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C 안테나(117)는 NFC 리더(116)로부터 송신되는 전력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방사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전력 충전은 NFC 통신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며, 받침대 본체(110) 내에 구비된 NFC 안테나(117)를 통해 NFC 전력 신호가 방사되면 사용자 단말기(300)에 구비된 NFC 태그에서 NFC 전력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의 충전 배터리에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110: 받침대 본체
111: 발열소자 111a: 베이스층
111b: 발열층 111c: 세라믹층
112: 배터리부 113: GPS 모듈
114: 제어부 115: USB 커넥터
116: NFC 리더 117: NFC 안테나
118: 온도센서 119: 스피커
120: 제1 단위 꽃잎부재 121: 제1 디스플레이부
122: 온도조절부 130: 제2 단위 꽃잎부재
131: 제2 디스플레이부 140: 제3 단위 꽃잎부재
141: 제1 음료 터치센서 142: 제2 음료 터치센서
143: 제3 음료 터치센서 150: 제4 단위 꽃잎부재
151: 입력부 160: 제5 단위 꽃잎부재
170: 제6 단위 꽃잎부재 180: 엘이디 모듈
181: 적색 LED 182: 녹색 LED
183: 청색 LED 184: 적색 LED 전류조정부
185: 녹색 LED 전류조정부 186: 청색 LED 전류조정부
200: 버튼 결합부재 210: 승강부재
211: 승강본체 212: 가이드턱
213: 걸림턱 214: 핀부재
220: 삽입 결합부재 221: 하우징
222: 가이드홀 223: 홀
224: 결합턱 225: 안내홈
226: 수납부 227: 스프링

Claims (10)

  1. 일정한 내부 공간부와 두께를 형성하고, 내용물이 수용된 컵을 지지할 수 있는 평판 형태의 받침대 본체; 및
    상기 받침대 본체의 원형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방사상으로 결합되고, 누르면 상기 받침대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고, 다시 누르면 상기 받침대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단위 꽃잎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 본체는 내부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받침대 본체의 상부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받침대 본체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 본체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컵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거나 유지하는 발열소자와, 상기 각각의 단위 꽃잎부재의 내부에 내장되어 복수의 색상의 LED로 이루어진 엘이디 모듈과,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한 온도가 온도 범위별로 특정 계열의 색상 LED를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 꽃잎부재는 제1 단위 꽃잎부재, 제2 단위 꽃잎부재, 제3 단위 꽃잎부재, 제4 단위 꽃잎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꽃잎부재는 온도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와, 온도 조절을 위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로 이루어진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조절부로부터 수신한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온도 상승 영역인지 온도 하강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판단하는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인공위성으로부터 시간 정보를 포함한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위 꽃잎부재는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모듈과 연동하여 현재 시간 정보를 요청하고, GPS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시간 정보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단위 꽃잎부재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복수의 음료 터치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음료 터치센서는 터치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음료 터치센서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온도를 배터리부를 제어하여 터치 신호에 기설정된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측정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가 되도록 상기 발열소자의 발열을 제어하는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꽃잎부재, 상기 제2 단위 꽃잎부재, 상기 제3 단위 꽃잎부재, 상기 제4 단위 꽃잎부재는 상기 받침대 본체와 결합되는 결합 부위에 버튼 결합부재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버튼 결합부재는 각각의 단위 꽃잎부재의 끝단에 형성된 승강부재와, 받침대 본체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삽입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삽입 결합부재에 삽입과 돌출하는 승강본체와, 상기 승강본체의 일측 끝단에 직각으로 수평 돌출된 가이드턱과, 상기 가이드턱과 대응되는 승강본체의 반대면에 하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핀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삽입 결합부재는 승강부재의 이동 시 삽입되는 수납부를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개방되어 가이드턱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과, 상기 핀부재의 걸림턱이 이동 시 결합되는 홀과, 상기 걸림턱이 경사를 따라 이동하여 함몰된 안내홈으로 삽입 유도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하향 경사를 갖는 결합턱을 포함하는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4 단위 꽃잎부재는 설정 온도의 온도값을 변경하고,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 센서로 이루어진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약 먹을 시간을 알림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예약 시간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알림 모드를 체크하여 입력된 예약 시간 정보에 따라 약 먹으라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조절부에 의해 설정된 현재 온도에서 기설정된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음료수가 식기 전에 먹으라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9. 일정한 내부 공간부와 두께를 형성하고, 내용물이 수용된 컵을 지지할 수 있는 평판 형태의 받침대 본체; 및
    상기 받침대 본체의 원형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방사상으로 결합되고, 누르면 상기 받침대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고, 다시 누르면 상기 받침대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단위 꽃잎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 본체는 내부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받침대 본체의 상부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받침대 본체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 본체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컵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거나 유지하는 발열소자와, USB 커넥터를 통해 공급받는 전력 또는 배터리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NFC 방식으로 전력 신호를 송신하는 USB 리더와, 상기 NFC 리더로부터 송신되는 전력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방사하는 NFC 안테나와, 상기 각각의 단위 꽃잎부재의 내부에 내장되어 복수의 색상의 LED로 이루어진 엘이디 모듈과,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한 온도가 온도 범위별로 특정 계열의 색상 LED를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단위 꽃잎부재 중 하나의 단위 꽃잎부재는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온도 조절을 위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로 이루어진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조절부로부터 수신한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온도 상승 영역인지 온도 하강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판단하는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KR1020200179611A 2020-12-21 2020-12-21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KR102510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611A KR102510083B1 (ko) 2020-12-21 2020-12-21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611A KR102510083B1 (ko) 2020-12-21 2020-12-21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198A true KR20220089198A (ko) 2022-06-28
KR102510083B1 KR102510083B1 (ko) 2023-03-14

Family

ID=8226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611A KR102510083B1 (ko) 2020-12-21 2020-12-21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08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1493A (ja) * 2003-03-04 2004-09-24 Hitachi Metals Ltd 飲み物容器ホルダー
KR20110136293A (ko) * 2010-06-14 2011-12-21 한국과학기술원 음료 온도 표시형 텀블러
KR101512467B1 (ko) 2014-04-10 2015-04-17 (주)비원테크 다기능 컵 워머
KR20150091570A (ko) * 2014-02-03 2015-08-12 주식회사 제이엠씨파트너 센서 작동 방식의 컵 홀더
KR101620563B1 (ko) * 2015-11-25 2016-05-12 유훈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
KR20170026005A (ko) * 2015-08-31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컵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1493A (ja) * 2003-03-04 2004-09-24 Hitachi Metals Ltd 飲み物容器ホルダー
KR20110136293A (ko) * 2010-06-14 2011-12-21 한국과학기술원 음료 온도 표시형 텀블러
KR20150091570A (ko) * 2014-02-03 2015-08-12 주식회사 제이엠씨파트너 센서 작동 방식의 컵 홀더
KR101512467B1 (ko) 2014-04-10 2015-04-17 (주)비원테크 다기능 컵 워머
KR20170026005A (ko) * 2015-08-31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컵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20563B1 (ko) * 2015-11-25 2016-05-12 유훈 다기능 멀티 트레이와 다기능 멀티 트레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 및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083B1 (ko)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05977T3 (es) Sistema de biberón calentado o enfriado activamente
US20180153342A1 (en) Heated beverage receptacle
US10182674B2 (en) Drinkware with active temperature control
CN105338865B (zh) 加热或冷却式餐具及饮具
US8618448B2 (en) Heated or cooled dishwasher safe dishware and drinkware
US8759721B1 (en) Heated or cooled dishwasher safe dishware and drinkware
ES2957934T3 (es) Vajilla y cristalería caliente o fría
US20180249863A1 (en) Food heating container
KR102510083B1 (ko) 무선충전 손난로 컵받침대
US11618493B2 (en) Multifunctional portable tray
CN214731303U (zh) 多功能水瓶
TWM561485U (zh) 可搭配應用程式使用的液體加熱容器
KR101964728B1 (ko) 휴대용 음식물 가열 밴드
CN209315454U (zh) 一种具有水杯加热功能的增高台
CN108185830A (zh) 无线加热容器及装置
KR102508725B1 (ko) 알람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온도조정형 텀블러
CN207707766U (zh) 加热底座和加热杯
KR20170137336A (ko) 탈부착형 입력장치
KR20200043789A (ko) 휴대용 젖병 가열장치
KR20190044421A (ko)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