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317B1 - 모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317B1
KR101620317B1 KR1020140143201A KR20140143201A KR101620317B1 KR 101620317 B1 KR101620317 B1 KR 101620317B1 KR 1020140143201 A KR1020140143201 A KR 1020140143201A KR 20140143201 A KR20140143201 A KR 20140143201A KR 101620317 B1 KR101620317 B1 KR 101620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re
bobbin
fuse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165A (ko
Inventor
전동배
김광열
장진규
Original Assignee
(주)동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일전자 filed Critical (주)동일전자
Priority to KR1020140143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31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094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5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having an annular coil, e.g. of the claw-pole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38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flux distributors, and armatures and magnets both stationary
    • H02K21/4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flux distributors, and armatures and magnets both stationary with armature windings wound upon the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rotary motion, e.g. rotary motors
    • H02N2/16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rotary motion, e.g. rotary motors using travelling waves, i.e. Rayleigh surface waves
    • H02N2/166Motors with disc stator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코일 권취부(12)를 구비하며 모터의 케이싱(2)에 내장되는 보빈(10); 상기 보빈(10)의 상기 코일 권취부(12)에 감겨지며 전원 공급 전선(4)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는 코일(20); 상기 보빈(10)에 장착되어 상기 코일(20)에 연결된 퓨즈(30)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10)은 양쪽에 상기 코일 권취부(12)를 각각 하나씩 구비하여, 상기 보빈(10)의 양쪽에 상기 코일 권취부(12)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코일(20)은 상기 한 쌍의 코일 권취부(12)에 각각 감겨진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을 포함하며, 상기 퓨즈(30)는 상기 보빈(10)에 구비된 퓨즈 결합부(15)에 안착된 상태에서 양단부의 접속 와이어(32)가 상기 제1코일(20A)과 상기 제2코일(20B)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터 어셈블리{Motor assembly}
본 발명은 모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 내부의 코일과 전원 공급 전선 사이에 숏트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고, 퓨즈(온도 퓨즈)를 모터 내부의 합리적인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모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코일과 전원 공급 전선의 연결 부위의 접합성이 견고하게 구현되어 코일과 전선 사이의 접합부가 쉽게 떨어지는 경우가 방지되고, 모터의 가동시 과부하가 걸릴 때에 과부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모터의 수명이나 안전성 등에서 바람직한 새로운 모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서 회전력을 얻는 장치로서, 가정용 전자제품뿐만 아니라 산업용 기기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모터가 가정용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예를 들면 에어컨이나 냉장고와 같은 냉방기기 내부에 냉매를 액상으로 환원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컴프레셔, 세탁기, 청소기 등의 여러 가지 제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모터는 중심부에 샤프트(21)가 구비된 로터(rotor)와, 로터의 외측에 공극(air gap)을 유지하면서 위치하는 스테이터 코어(stator core)와, 스테이터 코어에 설치되는 보빈(bobbin)과, 보빈에 권선되는 코일(미도시)을 포함하며, 로터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마그네트가 장착되고, 샤프트가 모터의 케이싱에 베어링(미도시)을 매개로 결합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모터는 보빈에 감겨진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스테이터 코어의 자화에 의해 자계가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스테이터 코어의 자계와 마그네트의 자계 사이에 회전 토오크가 발생되어 로터를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모터 케이싱을 통하여 전선이 인입되고, 전선은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모터 내부의 코일과 전원 공급 전선 사이에 숏트 현상이 생기기 때문에, 모터의 안정화에 있어서 미흡한 면이 있고, 퓨즈(온도 퓨즈)를 모터 내부의 합리적인 위치에 설치되지 못하여 모터 제작시에 곤란한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에는 코일과 전원 공급 전선의 연결 부위의 접합성이 견고하지 못하여 모터의 사용이나 취급시 등에 코일과 전선의 접합 부위가 비교적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에는 모터의 가동시 과부하가 걸릴 때에 과부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별다른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모터의 수명이나 안전성 등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국내공개특허 특2000-0018415호(2000.04.06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0991546호(2010.10.27 등록) 국내공개특허 특2003-0052850호(2003.06.27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104975호(2007.10.30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내부의 코일과 전원 공급 전선 사이에 숏트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고, 퓨즈(온도 퓨즈)를 모터 내부의 합리적인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모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모터의 코일과 전원 공급 전선의 연결 부위의 접합성이 견고하게 구현되어 코일과 전선 사이의 접합부가 쉽게 떨어지는 경우가 방지되고, 모터의 가동시 과부하가 걸릴 때에 과부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모터의 수명이나 안전성 등에서 바람직하며, 모터의 전기적인 과부하 등이 걸릴 때에 과부하 전원을 차단하는 구조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과부하에 대한 안전 특성 등을 구현시에도 비교적 간편한 새로운 구조의 모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 권취부를 구비하며 모터의 케이싱에 내장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상기 코일 권취부에 감겨지며 전원 공급 전선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는 코일; 상기 보빈에 장착되어 상기 코일에 연결된 퓨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보빈은 양쪽에 상기 코일 권취부를 각각 하나씩 구비하여, 상기 보빈의 양쪽에 상기 코일 권취부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한 쌍의 코일 권취부에 각각 감겨진 제1코일과 제2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퓨즈는 상기 보빈에 구비된 퓨즈 결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양단부의 접속 와이어가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퓨즈는 상기 보빈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퓨즈 양단부의 접속 와이어는 상기 보빈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이 상기 퓨즈 양단부의 접속 와이어들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은 양쪽 코일 권취부의 일단부에 연결된 제1사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사이드부에는 퓨즈 결합부가 길이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퓨즈 결합부에 상기 퓨즈가 안착되어 상기 보빈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퓨즈가 배치되고, 상기 제1사이드부는 상기 퓨즈 결합부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상기 제1사이드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직교하는) 한 쌍의 접속 와이어 지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퓨즈 양단부의 상기 접속 와이어가 상기 한 쌍의 접속 와이어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사이드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퓨즈의 양단부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접속 와이어에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사이드부에는 연결부를 매개로 커버편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편에는 돌기 결합홀이 구비되어, 상기 커버편이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사이드부의 상기 퓨즈 결합부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퓨즈를 닫아주고, 상기 커버편의 상기 돌기 결합홀은 상기 제1사이드부에 구비된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편이 상기 퓨즈를 닫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은 양쪽 코일 권취부의 일단부에 연결된 제1사이드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코일 권취부의 타단부에 제2사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부에는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과 전원 공급 전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하는 결선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은 한 쌍의 파워선을 포함하며, 상기 결선 지지부는 상기 전선의 상기 한 쌍의 파워선이 각각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보빈의 상기 코일 권취부에 권선된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에 각각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제1결선 지지부와 제2결선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의 상기 코일 지지편에 전선의 파워선이 통과되는 전선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결선 지지부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는 상기 코일 지지편의 제2사이드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선 지지부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한 쌍의 파워선이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결선 지지부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가이드하는 전선 결합 지지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1결선 지지부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파워선들은 각각 차단판에 의해 가려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단판은 상기 제1결선 지지부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차단판에는 내외측면으로 연통된 돌기 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결선 지지부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의 내부에는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차단판이 상기 제1결선 지지부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의 개방부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차단판의 상기 돌기 결합홀에 상기 제1결선 지지부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 내부의 상기 돌기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선 지지부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 통과 경로홈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선 경로 포밍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에는 스테이터 코어가 결합되고, 상기 보빈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한 쌍의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 브라켓이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과 상기 리어 하우징 브라켓은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과 상기 리어 하우징 브라켓에 의해 상기 보빈에 상기 스테이터 코어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상기 보빈의 내부에 결합된 내측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결합된 외측 스테이터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에는 중심부에 축홀이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과 상기 리어 하우징 브라켓 및 상기 보빈의 내부에는 상기 내측 스테이터 코어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로터가 구비되며, 상기 로터의 샤프트는 상기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의 상기 축홀을 관통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 권취부를 구비하며 모터의 케이싱에 내장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상기 코일 권취부에 감겨지며 전원 공급 전선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전원 공급 전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하는 결선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보빈은 양쪽 코일 권취부의 일단부에 연결된 제1사이드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코일 권취부의 타단부에 제2사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부에는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과 전원 공급 전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하는 결선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선은 한 쌍의 파워선을 포함하며, 상기 결선 지지부는 상기 전선의 상기 한 쌍의 파워선이 각각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에 각각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제1결선 지지부와 제2결선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터 어셈블리는 모터 내부의 코일과 전원 공급 전선 사이에 숏트 현상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때문에, 모터의 안정화에 있어서 상당히 유리한 효과가 있고, 퓨즈(온도 퓨즈)를 모터 내부의 합리적인 위치(즉, 모터의 보빈 내부)에 설치될 수 있어서 모터 제작시에 곤란한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소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터의 회전을 위해 전원이 인가되는 제1코일과 제2코일 사이에 퓨즈가 연결되어 있어서, 모터의 가동시 과부하가 걸릴 때에 과부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모터의 수명이나 안전성 등에서 바람직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코일과 제2코일은 상기 제1결선 지지부와 제2결선 지지부에 의해 전원 공급 전선과 연결되므로, 전선과 제1코일 및 제2코일 사이의 결선 부분의 견고성이 보다 높은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제1결선 지지부와 제2결선 지지부에서 서로 결선된 전선과 제1코일 및 제2코일은 차단판에 의해 막아주어서, 제1코일 및 제2코일과 전원 공급 전선 사이의 결선 부분의 안정화가 더욱 높아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터 어셈블리를 채용한 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터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보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보빈에 제1코일과 제2코일이 권취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보빈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빈에 퓨즈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전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보빈의 주요부인 결선 지지부의 내부 구조와 전선 및 코일의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결선 지지부를 차단판에 의해 닫은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보빈 어셈블리를 채용한 모터의 조립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보빈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어스편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접지편이 보빈에 결합된 상태 및 접지선이 접지편에 접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모터 어셈블리와 모터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모터 어셈블리에 의한 모터의 외관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보빈의 변형된 실시예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전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커버편으로 퓨즈를 닫은 상태를 보여주는 전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모터 어셈블리는 모터의 케이싱(2)에 내장되는 보빈(10)과, 이 보빈(10)의 코일 권취부(12)에 감겨지며 전원 공급 전선(4)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는 코일(20)과, 상기 보빈(10)에 장착되어 코일(20)에 연결된 퓨즈(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코일(20)은 보빈(10)의 한 쌍의 코일 권취부(12)에 감겨진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을 포함하며, 상기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에 전원 공급 전선(4)이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하는 결선 지지부(1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과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이 배치되고,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과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은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스테이터 코어(40)와 보빈(10) 및 로터(46)를 조립된 상태로 지지한다. 로터(46)는 기존과 같이 마그네트(47)에 샤프트(48)가 관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빈(10)은 양쪽에 각각 하나씩 코일 권취부(12)를 구비한다. 각각의 코일 권취부(12)는 가운데의 와인딩 링체(12A)와, 이 와인딩 링체(12A)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내측 코일 지지편(12B)과 외측 코일 지지편(12C)을 포함한다. 와인딩 링체(12A)의 외측면 둘레부와 내측 코일 지지편(12B) 및 외측 코일 지지편(12C) 사이에 코일(20)이 권취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또한, 보빈(10)은 와인딩 링체(12A)에 의해 양쪽에 내측 스테이터 코어(40A)가 결합되기 위한 스테이터 코어 결합홀이 형성된다. 와인딩 링체(12A)의 내주면 안쪽의 홀이 스테이터 코어 결합홀이 된다. 또한, 상기 보빈(10)의 양쪽 내측 코일 지지편(12B)에는 전선홀(CH)이 구비된다. 내측 코일 지지편(12B)은 대략 네 코너부가 있으면서 와인딩 링체(12A)의 스테이터 코어 결합홀에 내외측면이 연통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내측 코일 지지편(12B)의 각 코너부에 인접된 위치에 전선홀(CH)이 구비되어 있다. 즉, 보빈(10)의 양쪽 코일(20) 지지편(18SP)의 네 코너부에 전선홀(CH)이 구비되어, 내측 코일 지지편(12B)이 네 개의 전선홀(CH)을 구비한 구조를 가진다. 외측 코일 지지편(12C)도 대략 네 코너부가 있으면서 와인딩 링체(12A)의 스테이터 코어 결합홀에 내외측면이 연통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빈(10)의 양쪽에 형성된 한 쌍의 코일 권취부(12)에 각각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이 권선된다.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이 각각 코일 권취부(12)를 구성하는 와인딩 링체(12A)의 외주면에 감겨진다. 와인딩 링체(12A)에 감겨진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은 양단부가 각각 코일 권취부(12)에서 밖으로 뽑아져 나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보빈(10)은 양쪽 코일 권취부(12)의 일단부에 연결된 제1사이드부(14)와, 이 제1사이드부(14)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사이드부(17)를 포함한다. 제1사이드부(14)는 양쪽 코일 권취부(12)를 구성하는 각각의 외측 코일 지지편(12C)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부분이다.
상기 보빈(10)에는 퓨즈 결합부(15)가 구비되어, 퓨즈 결합부(15)에 퓨즈(30)가 안착된 상태에서 퓨즈(30)의 양단부의 접속 와이어(32)가 상기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퓨즈 결합부(15)는 제1사이드부(14)에 구비된다.
상기 제1사이드부(14)에는 퓨즈 결합부(15)가 길이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구비된다. 제1사이드부(14)는 안쪽면에서 볼 때에 대략 사각판 형상인데, 제1사이드부(14)의 상하단부 사이의 경로를 길이 방향이라 하고 제1사이드부(14)의 양쪽 단부 사이의 경로를 너비 방향이라 하면, 퓨즈 결합부(15)는 제1사이드부(14)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제1사이드부(14)의 길이 방향에 대해 대략 45° 정도의 각도로 퓨즈 결합부(15)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때, 퓨즈 결합부(15)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퓨즈 결합편에 의해 오목한 홈 구조를 취한다.
또한, 퓨즈 결합부(15)의 양단부에는 접속 와이어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접속 와이어 가이드홈도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와이어 가이드편에 의해 오목한 홈 구조를 취한다. 접속 와이어 가이드홈의 폭은 퓨즈 결합부(15)의 폭보다 작다. 와이어 가이드편은 마주하는 내측면에 가이드 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부(14)는 안쪽면에 퓨즈 결합부(15)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배치되도록 각각 한 쌍의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가 구비된다. 상부측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와 하부측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가 구비된다. 이때, 한 쌍의 상하부측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는 제1사이드부(14)의 길이 방향과 교차(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제1사이드부(14)의 상하단부 사이의 경로를 길이 방향이라 하고 제1사이드부(14)의 양쪽 단부 사이의 경로를 너비 방향이라 하면, 상하부측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가 제1사이드부(14)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가 제1사이드부(14)의 너비 방향과는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의 양단부가 제1사이드부(14)의 양쪽 단부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접속 와이어 지지편에 의해 오목한 홈 구조를 취한다. 또한,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접속 와이어 지지편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접속 와이어 그립 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한쪽 접속 와이어 지지편에 구비된 접속 와이어 그립 돌기들은 상대편 다른 쪽 접속 와이어 지지편의 퓨어 그립돌기 사이의 돌기홈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한 쌍의 접속 와이어 지지편의 접속 와이어 그립 돌기들과 돌기홈에 의해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의 내부가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교대로 있는 지그재그 변화형 홈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에는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하부 두 개의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접속 와이어 지지편 중에서 하나의 접속 와이어 지지편에 각각 돌기(16P)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측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의 한 개의 접속 와이어 지지편과 하부측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의 한 개의 접속 와이어 지지편에 각각 하나씩 돌기(16P)가 구비된다. 이때, 각각의 돌기(16P)는 제1사이드부(14)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어긋나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1사이드부(14) 안쪽면의 퓨즈 결합부(15)에는 퓨즈(30)(온도 퓨즈)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퓨즈 결합부(15)와 위아래 한 쌍의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는 제1사이드부(14)의 안쪽면에서 볼 때에 대략 에스자(S) 형상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퓨즈(30)와 양단부의 접속 와이어(32)도 대략 에스자 형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퓨즈(30)는 제1사이드부(14)의 퓨즈 결합부(15)에 안착되고, 퓨즈(30)의 양단부의 접속 와이어(32)는 상하부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에 안착된다. 즉, 퓨즈(30)는 제1사이드부(14)의 퓨즈 결합부(15)에 안착되어 제1사이드부(14)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고, 퓨즈(30)의 양단부의 각 접속 와이어(32)는 제1사이드부(14)의 길이 방향과는 직교하면서 제1사이드부(14)의 너비 방향과는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하부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에 안착된다.
한편, 상기 퓨즈(30)의 양단부의 접속 와이어(32)는 퓨즈(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로가 꺽이기 전에 일정 길이 퓨즈(3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직선형 접속 와이어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직선형 접속 와이어부는 퓨즈 결합부(15)의 양단부에 구비된 접속 와이어 가이드홈에 안착되며, 상기 직선형 접속 와이어(32)어부에 이어진 접속 와이어부가 상기 퓨즈 결합부(15)의 상하부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에 안착된다.
이때,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와이어 가이드홈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어서, 퓨즈(30)의 직선형 접속 와이어부가 양쪽 가이드 돌기들에 의해 가압되는 식으로 상기 접속 와이어 가이드홈에 안착될 수 있고,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접속 와이어 지지편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구비된 접속 와이어 그립 돌기들에 의해 접속 와이어(32)의 교차형 접속 와이어부가 가압되는 식으로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쪽 접속 와이어 지지편에 구비된 접속 와이어 그립 돌기들은 상대편 다른 쪽 접속 와이어 지지편의 퓨즈 그립돌기 사이의 돌기홈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한 쌍의 접속 와이어 지지편의 접속 와이어 그립 돌기들과 돌기홈에 의해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의 내부가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교대로 있는 지그재그 굴곡형 홈 형태를 이룰 수 있는데, 상기 접속 와이어(32)의 교차형 접속 와이어부가 지그재그 굴곡형 홈들에 의해 직선으로 연장되기 보다는 군데군데 꺾여진 굴곡 와이어부가 형성된 상태로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빈(10)에 와인딩되어 있는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의 한쪽 단부측이 보빈(10)의 코일 권취부(12)에서 한쪽으로 뽑아져 나와서 퓨즈(30)의 양단부의 접속 와이어(32)에 연결된다. 보빈(10) 내부에 퓨즈(30)(온도 퓨즈)가 구비되고, 퓨즈(30)는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상기 접속 와이어(32)의 교차형 접속 와이어부에는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이 일정 횟수 감겨진 상태에서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의 감겨진 부분이 퓨즈(30)의 접속 와이어(32)와 함께 보빈(10) 내부의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에 안착되는데, 퓨즈(30)의 접속 와이어(32)와 이에 감겨진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이 상기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에 구비된 다수의 접속 와이어 그립 돌기(도 15와 도 16 참조)들에 의해 지그재그 굴곡형 홈들로 인하여 직선으로 연장되기보다는 군데군데 꺾여진 굴곡 와이어부와 굴곡 코일부가 형성된 상태로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 내부의 다수개의 굴곡 지지부(즉, 상기 접속 와이어 그립 돌기들에 의해 지그지그 홈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에 의해 퓨즈(30)의 접속 와이어(32)와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이 지지되므로, 퓨즈(30)의 접속 와이어(32)에서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이 당기는 힘 등에 의해 떨어지는 경우가 더욱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구비된 접속 와이어 그립 돌기들에 의해 퓨즈(30)의 접속 와이어(32)가 다수의 꺾여진 부분(굴곡 와이어부)이 생기고, 접속 와이어(32)에 감겨진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의 일부도 다수의 꺾여진 부분(굴곡 코일부)이 생기게 되므로,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이 당기는 힘 등이 생기더라도 퓨즈(30)의 접속 와이어(32)로부터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이 빠져서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가 더욱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이 솔더링(납땜) 등의 접합수단에 의해 퓨즈(30)의 양단부의 접속 와이어(32)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와 같이 접속 와이어 그립 돌기들에 의해 퓨즈(30)의 접속 와이어(32)와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의 일부가 다수의 꺾여진 부분(굴곡 코일부)이 생기게 되므로,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을 솔더링 등의 접합수단에 의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퓨즈(30)의 접속 와이어(32)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사이드부(14)에는 연결부를 매개로 커버편(16)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사이드부(14)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부에 연결편을 통해 커버편(16)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커버편(16)에는 양면으로 관통된 돌기 결합홀(16H)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편(16)이 연결부를 기준으로 제1사이드부(14)의 안쪽면에 구비된 퓨즈 결합부(15) 방향으로 회동된다. 제1사이드부(14)의 퓨즈 결합부(15)에 퓨즈(30)가 결합되어 있어서, 커버편(16)이 퓨즈(30)를 막아주게 된다. 이때, 커버편(16)의 돌기 결합홀(16H)은 제1사이드부(14)에 구비된 돌기(16P)에 삽입(결합)되므로, 상기 커버편(16)이 퓨즈(30)를 닫은 상태로 잘 열리지 않고 안정되게 닫은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돌기(16P)의 외경이 돌기 결합홀(16H)의 내경보다 더 작으면 돌기 결합홀(16H)에 돌기(16P)가 약간 억지 끼움되므로, 돌기 결합홀(16H)에서 돌기(16P)가 빠지는 현상을 더 확실하게 방지한다. 따라서, 커버편(16)이 퓨즈(30)를 닫은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에서는 커버편(16)이 생략된 구조를 보여주는데, 이러한 커버편(16)이 생략된 경우에는 보빈(1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접어서 통형상으로 만들 때에 커버편(16)이 보빈(10) 내부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거나 걸리면서 보빈(10)이 제대로 접혀지는데 방해되는 경우가 없이 보빈(10)을 통형상으로 만들기가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
또한, 제1사이드부(14) 안쪽면에 구비된 각각의 돌기(16P)는 제1사이드부(14)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어긋나도록 배열되어 있고, 커버편(16)의 돌기 결합홀(16H)도 커버편(16)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어긋나도록 배열되어, 상기 커버편(16)의 돌기 결합홀(16H)에 제1사이드부(14)의 돌기(16P)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돌기(16P)와 돌기 결합홀(16H)의 삽입 결합부에 의해 커버편(16)이 제1사이드부(14)의 안쪽면과 퓨즈(30)를 막아준 상태가 더욱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보빈(10)은 제1사이드부(14)와 마주하는 위치에 제2사이드부(17)를 구비하며, 제2사이드부(17)에는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과 전원 공급 전선(4)이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하는 결선 지지부(18)가 구비된다. 이때, 결선 지지부(18)는 제1결선 지지부(18A)와 제2결선 지지부(18B)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빈(10)의 양쪽 코일 권취부(12)를 형성하는 각각의 내측 코일 지지편(12B)의 다른 쪽 단부측(즉, 제1사이드부(14)가 이어진 일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측) 안쪽면에 전선 케이스부(18CS)가 구비되고, 전선 케이스부(18CS)의 일측에는 전선 결합 지지홈(18SG)이 구비되고, 전선 케이스부(18CS)의 내부에는 지지편(18SP)이 구비되고, 지지편(18SP)에는 돌기(18P)가 구비된다. 지지편(18SP)의 상면에 돌기(18P)가 구비된다.
또한, 보빈(10)의 양쪽 코일 권취부(12)를 구성하는 외측 코일 지지편(12C)의 다른 쪽 단부에는 차단판(18CP)이 구비된다. 차단판(18CP)은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얇은 연결부에 의해 상기 외측 코일 지지편(12C)의 다른 쪽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편을 기준으로 차단판(18CP)이 벤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판(18CP)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돌기 결합홀(18H)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판(18CP)을 기단부측을 기준(기단부측의 연결부를 기준)으로 회동시켜서 전선 케이스부(18CS)의 외측 개방부를 막아주고, 상기 차단판(18CP)에 구비된 돌기 결합홀(18H)에는 전선 케이스부(18CS) 내부에 구비된 돌기(18P)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차단판(18CP)에 의해 전선 케이스부(18CS)를 안정적으로 막아줄 수 있다.
상기 전선 케이스부(18CS)와 전선 결합 지지홈(18SG)이 기본적으로 결선 지지부(18)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편(18SP)과 돌기(18P) 및 차단판(18CP)이 결선 지지부(18)의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선 지지부(18)는 보빈(10)의 양쪽 코일 권취부(12)의 다른 쪽 단부(즉, 제1사이드부(14)가 있는 한쪽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므로, 보빈(10)의 제1사이드부(14)와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제1결선 지지부(18A)와 제2결선 지지부(18B)가 구비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제1결선 지지부(18A)와 제2결선 지지부(18B)가 보빈(10)의 제1사이드부(14)와 마주하는 제2사이드부(17)를 형성한다.
상기 제1결선 지지부(18A)와 제2결선 지지부(18B)에서 전원 공급 전선(4)과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의 다른 쪽 단부(즉,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의 퓨즈(30)에 연결된 한쪽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가 결선된다.
상기 보빈(10)의 양쪽 코일 권취부(12)를 구성하는 내측 코어 지지편(18SP)에 전선홀(CH)이 구비되는데, 전선(4)의 두 개의 파워선이 각각 보빈(10) 양쪽의 내측 코어 지지편(18SP)의 상기 전선홀(CH)을 관통한 다음 제1결선 지지부(18A)와 제2결선 지지부(18B)의 각 전선 케이스부(18CS)의 일측으로 따져 있는 전선 결합 지지홈(18SG)에 결합된 다음, 상기 전선 케이스부(18CS)의 내부로 들어오고, 상기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의 타단부측 일부가 전선(4)의 둘레부에 일정 횟수 감겨진 상태에서 전선 케이스부(18CS)의 내부로 들어와서 상기 전선(4)의 각 파워선들에 연결(결선)된다. 상기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은 전선(4)의 파워선에 솔더링 등의 접합수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선 케이스부(18CS)에 구비된 차단판(18CP)을 회동시켜서 전선 케이스부(18CS) 내부의 돌기(18P)에 차단판(18CP)의 돌기 결합홀(18H)을 끼우게 되면, 상기 차단판(18CP)이 전선(4)과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 사이의 결선부를 막아주게 된다. 이때, 상기 전선 케이스부(18CS) 내부의 돌기(18P)의 외경이 차단판(18CP)의 돌기 결합홀(18H)의 내경보다 더 작으면 돌기 결합홀(18H)에 돌기(18P)가 약간 억지 끼움되므로, 돌기 결합홀(18H)에서 돌기(18P)가 빠지는 현상을 더 확실하게 방지한다. 따라서, 차단판(18CP)이 전선(4)과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 사이의 결선 부분을 닫은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결선 지지부(18A)와 제2결선 지지부(18B)에 의해 전선(4)(구체적으로, 전선(4)의 각 파워선)이 내측 코어 지지편(18SP)의 전선홀(CH)을 먼저 통과하고 상기 전선 케이스부(18CS)의 일측 전선 결합 지지홈(18SG)을 거쳐옴으로써 전선(4) 자체가 굴곡이 있는 전선(4)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다음에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전선(4)과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 사이의 전지적인 연결 상태(결선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선(4)과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 부분의 견고함을 유지함으로써 제품 신뢰성 등이 높은 장점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이 전선(4)의 각 파워선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파워선이 전선 케이스부(18CS) 내부의 지지편(18SP) 사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파워선의 경로가 꺾이는 다수의 전선(4) 굴곡부가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파워선과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선(4)과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이 다수의 전선(4) 굴곡부에 의해 경로가 꺾인 상태로 결선 상태가 지지되므로, 상기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이 전선(4)(즉, 파워선)에서 끊어지는 단선 현상이 생기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10)에는 스테이터 코어(40)가 결합된다. 스테이터 코어(40)는 보빈(10)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측 스테이터 코어(40A)와 보빈(10)의 외부에 결합된 외측 스테이터 코어(40B)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스테이터 코어(40A)는 내부에 양단부로 연통된 로터(46) 결합홀이 구비된다. 내측 스테이터 코어(40A)가 보빈(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내측 스테이터 코어(40A)의 양쪽 단부측이 보빈(10)의 스테이터 결합홀에 끼워진다.
상기 외측 스테이터 코어(40B)는 내부에 양단부로 연통된 보빈(10) 결합홀이 구비된다. 외측 스테이터 코어(40B)가 보빈(10)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내측 스테이터 코어(40A)와 동심원 형태(동축적)로 배치된다. 상기 외측 스테이터 코어(40B)의 내부에는 양단부로 연통된 체결구 관통홀이 구비된다.
상기 보빈(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한 쌍의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과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이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과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은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과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에 의해 보빈(10)에 스테이터 코어(40)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센터 하우징부를 구비한다. 센터 하우징부 내부의 공간부는 아래로 개방된다. 상기 센터 하우징에는 축홀이 구비된다. 즉,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에 축홀이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센터 하우징부의 양쪽에는 한 쌍의 기역자형 하우징 풋트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 풋트에는 위아래로 관통된 외측 체결구홀과 내측 체결구홀이 구비된다. 상기 축홀은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의 중심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축홀의 중심부에서 외측 체결구홀까지의 거리보다 축홀의 중심부에서 내측 체결구홀까지의 거리가 더 짧다.
상기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센터 하우징부를 구비한다. 센터 하우징부 내부의 공간부는 위로 개방된다. 상기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의 센터 하우징부 양쪽에는 한 쌍의 기역자형 하우징 풋트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 풋트에는 위아래로 관통된 외측 체결구홀과 내측 체결구홀이 구비된다. 상기 축홀은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의 중심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축홀의 중심부에서 외측 체결구홀까지의 거리보다 축홀의 중심부에서 내측 체결구홀까지의 거리가 더 짧다.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은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에 비하여 축홀이 구비되지 않은 것에서 차이가 있고 다른 구성은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보빈(10)에 내측 스테이터 코어(40A)와 내측 스테이터 코어(40A)가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 스테이터 코어(40A)의 내부 로터(46) 수용부에 로터(46)를 수용한 다음, 로터(46)의 중심부에 구비된 샤프트(48)는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의 축홀을 관통하도록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을 보빈(10)의 전단부에 배치하고,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은 보빈(10)의 후단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의 외측 체결구홀과 외측 스테이터 코어(40B)의 체결구 관통홀을 통과한 볼트 등의 체결구를 상기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의 외측 체결구홀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면, 상기 보빈(10)과 내측 스테이터 코어(40A)와 외측 스테이터 코어(40B)와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과 리어 하우징 브라켓(44) 및 로터(46)가 결합된 모터 어셈블리를 만들 수 있다. 로터(46)의 샤프트(48)는 베어링(BR)에 의해 보빈(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로터(46)의 샤프트(48) 외주면과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의 내부 공간부 및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의 내부 공간부에 베어링(BR)이 개재되어, 베어링(BR)을 매개로 로터(46)의 샤프트(48)가 보빈(1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의 외측 체결구홀과 외측 스테이터 코어(40B)의 체결구 관통홀을 통과한 볼트 등의 체결구를 상기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의 외측 체결구홀에 볼트식으로 결합하거나 상기 체결구에 너트를 체결하여 마무리 할 수도 있다. 상기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의 외측 체결구홀과 외측 스테이터 코어(40B)의 체결구 관통홀과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의 외측 체결구홀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모터 케이싱(2)에 수용하여 모터를 형성한다. 모터 케이싱(2)은 프론트 모터 케이싱(2A)과 리어 모터 케이싱(2B)으로 구성되어, 프론트 모터 케이싱(2A)에 형성된 샤프트홀에는 로터(46)의 샤프트(48)가 결합되고, 프론트 모터 케이싱(2A)을 관통한 볼트 등의 체결구는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의 내측 체결구홀에 결합되는 한편, 리어 모터 케이싱(2B)을 관통한 볼트 등의 체결구는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의 내측 체결구홀에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모터 어셈블리를 채용한 모터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모터 어셈블리는 모터 내부의 코일, 다시 말해,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과 전원 공급 전선 사이의 연결 구조가 안정화되어서 이러한 코일(20)과 전선의 연결 부위에서 숏트 현상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때문에, 모터의 안정화에 있어서 상당히 유리하다.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을 보빈(10)에 구비된 제2사이드부(17)의 제1결선 지지부(18A)와 제2결선 지지부(18B) 쪽으로 빼내서 전선의 두 개의 파워선에 각각 접속하므로, 기존과 달리 숏트 현상이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며, 이러한 숏트 현상을 방지함으로 인하여 모터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퓨즈(30)(온도 퓨즈)는 모터 내부의 합리적인 위치에 설치될 수 있어서 모터 제작시에 퓨즈(30)의 위치로 인하여 곤란한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소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빈(10)에서 제1사이드부(14)에 상기와 같이 퓨즈(30)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게 되므로, 모터 제작시에 퓨즈(30)로 인하여 장애 요인이 생기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로터(46)의 회전을 위해 전원이 인가되는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 사이에 퓨즈(30)가 연결되어 있어서, 모터의 가동시 과부하가 걸릴 때에 과부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모터의 수명이나 안전성 등에서 바람직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과 퓨즈(30)의 접속 와이어(32) 사이의 연결 부분은 보빈(10)에 구비된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에 안착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과 퓨즈(30) 자체의 단선에 의한 모터의 오작동 등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보빈(10) 안으로 연장되어 나온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은 고정 테이프(TP) 등의 부착수단으로 고정되도록 하므로,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의 유동에 의해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 및 퓨즈(30) 사이의 연결 부위가 떨어지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은 상기 제1결선 지지부(18A)와 제2결선 지지부(18B)에 의해 전원 공급 전선(4)과 연결되므로, 전선(4)과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 사이의 결선 부분의 견고성이 보다 높은 효과가 있다. 기존에 솔더링 등에 의해서만 코일(20)과 전선(4)을 연결한 것과 달리 제1결선 지지부(18A)와 제2결선 지지부(18B)에 전선(4)과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을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견고하게 결선을 하게 되므로, 전선(4)과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 사이의 결선 부분의 견고성이 더욱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결선 지지부(18A)와 제2결선 지지부(18B)에서 서로 결선된 전선(4)과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은 차단판(18CP)에 의해 가려지므로, 상기 결선 부분의 안정화가 더욱 높아지게 된다.
또한, 퓨즈(30)가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 사이에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연결되어 있어서, 모터 자체의 구조에 있어서 보다 심플해진다. 즉, 모터의 전기적인 과부하 등이 걸릴 때에 과부하 전원을 차단하는 구조인 퓨즈(30)를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에 비교전 간단한 결선 방식으로 연결하므로, 모터의 과부하에 대한 안전 특성 등을 구현할 때에도 비교적 간편한 새로운 구조의 모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퓨즈(30)는 양단부의 접속 와이어(32)가 보빈(10)의 내부에서 경로가 꺾이는 형태로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에 연결되므로, 퓨즈(30)와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의 연결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모터 어셈블리 자체의 사이즈를 최대한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고, 모터 어셈블리의 사이즈를 최대한 작게 구현함으로 인하여 모터 자체의 사이즈도 최대한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모터 케이싱(2) 내부에 접지선이 들어가는 구조라서 모터의 구조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접지편(50)을 구비하는데, 접지편(50)은 체결구홀이 관통된 체결구 결합편(52)과, 이 체결구 결합편(52)에 연결된 접지 바디부(54)와, 이 접지 바디부(54)에 구비된 전선 그립편(56)을 포함한다.
상기 접지편(50)에서 체결구 결합편(52)의 체결구홀을 관통한 볼트 등의 체결구를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에 조여서 접지편을 고정하고, 상기 전선(4)의 신호선은 접지편(50)의 전선 그립편(56)에 끼워서 전선 그립편(56)을 가압하면, 전선 그립편(56)이 전선(4)의 신호선을 가압한 상태로 잡고 있게 된다.
따라서, 모터 케이싱(2)의 외부에서 모터 케이싱(2)의 전선홀(CH)로 들어온 전선(4)의 신호선을 접지편을 이용하여 모터 케이싱(2) 내부에 들어가도록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모터의 구조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결선 지지부(18A)와 제2결선 지지부(18B)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 통과 경로홈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선 경로 포밍핀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경우, 전선 경로 포밍편 사이의 전선 통과 경로홈을 전선(4)과 이러한 전선(4)이 일정 권선수만큼 감겨진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이 지그재그식으로 경로가 꺾여서 지나가고, 이러한 전선(4)과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의 여러개의 꺾여진 경로가 전선(4)을 당기는 힘에 더 잘 견디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전선(4)을 외부에서 당기는 힘 등에 의해 전선(4)과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 사이의 접속이 떨어지는 경우를 더욱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결선 지지부(18A)와 제2결선 지지부(18B)에서는 전선(4)의 외주면에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이 일정 권선수 감겨진 다음에 솔더링 등의 접합수단으로 전선(4)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와 같이, 전선 경로 포밍편 사이의 전선 통과 경로홈을 전선(4)과 이러한 전선(4)이 일정 권선수만큼 감겨진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이 지그재그식으로 경로가 꺾여서 지나가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선(4)을 외부에서 당기는 힘 등에 의해 전선(4)에서 제1코일(20A) 및 제2코일(20B)이 떨어지는 경우를 더욱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선(4)을 모터 케이싱(2A,2B)에 매입형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어서, 외부 환경에 의해 모터가 영향을 받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보빈 14. 제1사이드부
15. 퓨즈 결합부 15WS. 접속 와이어 지지부
16. 커버편 17. 제2사이드부
18. 결선 지지부 18A. 제1결선 지지부
18B. 제2결선 지지부 20. 코일
30. 퓨즈 40. 스테이터 코어
40A. 내측 스테이터 코어 40B. 외측 스테이터 코어
42.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 44. 리어 하우징 브라켓
50. 접지편

Claims (12)

  1. 코일 권취부(12)를 구비하며 모터의 케이싱(2)에 내장되는 보빈(10);
    상기 보빈(10)의 상기 코일 권취부(12)에 감겨지며 전원 공급 전선(4)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는 코일(20);
    상기 보빈(10)에 장착되어 상기 코일(20)에 연결된 퓨즈(30);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10)은 양쪽에 상기 코일 권취부(12)를 각각 하나씩 구비하여, 상기 보빈(10)의 양쪽에 상기 코일 권취부(12)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코일(20)은 상기 한 쌍의 코일 권취부(12)에 각각 감겨진 제1코일(20A)과 제2코일(20B)을 포함하며,
    상기 퓨즈(30)는 상기 보빈(10)에 구비된 퓨즈 결합부(15)에 안착된 상태에서 양단부의 접속 와이어(32)가 상기 제1코일(20A)과 상기 제2코일(20B)에 연결되고,
    상기 퓨즈(30)는 상기 보빈(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퓨즈(30)의 양단부의 접속 와이어(32)는 상기 보빈(1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코일(20A)과 상기 제2코일(20B)이 상기 퓨즈(30)의 양단부의 접속 와이어(32)들에 연결되고,
    상기 보빈(10)은 양쪽 코일 권취부(12)의 일단부에 연결된 제1사이드부(14)를 포함하며, 상기 제1사이드부(14)에는 퓨즈 결합부(15)가 길이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퓨즈 결합부(15)에 상기 퓨즈(30)가 안착되어 상기 보빈(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퓨즈(30)가 배치되고, 상기 제1사이드부(14)는 상기 퓨즈 결합부(15)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상기 제1사이드부(14)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직교하는) 한 쌍의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가 구비되어, 상기 퓨즈(30)의 양단부의 상기 접속 와이어(32)가 상기 한 쌍의 접속 와이어 지지부(15WS)에 결합되어 상기 제1사이드부(14)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퓨즈(30)의 양단부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접속 와이어(32)에 상기 제1코일(20A)과 상기 제2코일(2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부(14)에는 연결부를 매개로 커버편(16)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편(16)에는 돌기 결합홀(18H)이 구비되어, 상기 커버편(16)이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사이드부(14)의 상기 퓨즈 결합부(15)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퓨즈(30)를 닫아주고, 상기 커버편(16)의 상기 돌기 결합홀(18H)은 상기 제1사이드부(14)에 구비된 돌기(16P)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편(16)이 상기 퓨즈(30)를 막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10)은 양쪽 코일 권취부(12)의 일단부에 연결된 제1사이드부(14)와 마주하도록 상기 코일 권취부(12)의 타단부에 제2사이드부(17)가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부(17)에는 상기 제1코일(20A) 및 상기 제2코일(20B)과 전원 공급 전선(4)이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하는 결선 지지부(1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4)은 한 쌍의 파워선을 포함하며, 상기 결선 지지부(18)는 상기 전선(4)의 상기 한 쌍의 파워선이 각각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보빈(10)의 상기 코일 권취부(12)에 권선된 상기 제1코일(20A)과 상기 제2코일(20B)에 각각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제1결선 지지부(18A)와 제2결선 지지부(18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10)의 상기 코일(20)의 지지편(18SP)에 전선(4)의 파워선이 통과되는 전선홀(CH)이 구비되고, 상기 제1결선 지지부(18A)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18B)는 상기 코일(20)의 지지편(18SP)의 제2사이드부(17)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선 지지부(18A)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18B)의 일측에는 상기 한 쌍의 파워선이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결선 지지부(18A)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18B)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가이드하는 전선 결합 지지홈(18SG)이 구비되며, 상기 제1결선 지지부(18A)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18B)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파워선들은 각각 차단판(18CP)에 의해 가려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단판(18CP)은 상기 제1결선 지지부(18A)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18B)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차단판(18CP)에는 내외측면으로 연통된 돌기 결합홀(18H)이 구비되고, 상기 제1결선 지지부(18A)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18B)의 내부에는 돌기(18P)가 구비되어, 상기 차단판(18CP)이 상기 제1결선 지지부(18A)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18B)의 개방부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차단판(18CP)의 상기 돌기 결합홀(18H)에 상기 제1결선 지지부(18A)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18B)의 내부의 상기 돌기(18P)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선 지지부(18A)와 상기 제2결선 지지부(18B)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 통과 경로홈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선 경로 포밍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10)에는 스테이터 코어(40)가 결합되고, 상기 보빈(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한 쌍의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과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이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과 상기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은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과 상기 리어 하우징 브라켓(44)에 의해 상기 보빈(10)에 상기 스테이터 코어(40)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스테이터 코어(40)는 상기 보빈(10)의 내부에 결합된 내측 스테이터 코어(40A)와, 상기 보빈(10)의 외주면에 결합된 외측 스테이터 코어(40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에는 중심부에 축홀이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과 상기 리어 하우징 브라켓(44) 및 상기 보빈(10)의 내부에는 상기 내측 스테이터 코어(40A)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로터(46)가 구비되며, 상기 로터(46)의 샤프트(48)는 상기 프론트 하우징 브라켓(42)의 상기 축홀을 관통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143201A 2014-10-22 2014-10-22 모터 어셈블리 KR101620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201A KR101620317B1 (ko) 2014-10-22 2014-10-22 모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201A KR101620317B1 (ko) 2014-10-22 2014-10-22 모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165A KR20160047165A (ko) 2016-05-02
KR101620317B1 true KR101620317B1 (ko) 2016-05-12

Family

ID=5602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201A KR101620317B1 (ko) 2014-10-22 2014-10-22 모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087B1 (ko) * 2016-12-08 2018-08-02 (주)타마스 차량용 직류 모터의 접지 구조
KR102453646B1 (ko) * 2022-04-06 2022-10-12 (주)동일전자 비전도성 하우징에서 접지 구조를 갖는 모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4166A (ja) 2005-05-09 2006-11-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ンデンサー搭載電動機及び換気装置
JP2011217492A (ja) * 2010-03-31 2011-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電動機の結線方法及びこの電動機を用いた換気送風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4166A (ja) 2005-05-09 2006-11-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ンデンサー搭載電動機及び換気装置
JP2011217492A (ja) * 2010-03-31 2011-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電動機の結線方法及びこの電動機を用いた換気送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165A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9827B2 (ja) モーター接地構造
JP5714917B2 (ja) 電動モータ
KR102212950B1 (ko) 모터
JP6187788B2 (ja) 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のケーブル引き出し方向の変更方法
US889616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motor controller on a stator assembly
US9991644B2 (en) Cable assembly and motor having the same
JP2012138994A (ja) 回転電機
JP2018068101A (ja) 電気モータ及びそのアーマチャ
KR101620317B1 (ko) 모터 어셈블리
JP2020161233A (ja) コネクタ
KR101462786B1 (ko) 모터의 절연구조
TWI430539B (zh) 馬達
US10468940B2 (en) Motor and stator thereof
US7531926B2 (en) Motor protector endshield mounting bracket
KR20180042686A (ko)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1992208B1 (ko) 스텝 액츄에이터
JP5866965B2 (ja) 超電導回転電機ステータ
EP4037157A1 (en) Stator of electric machine and electric machine
KR102634200B1 (ko)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16025679A (ja) ブラシ付き直流モータ
US20170279338A1 (en) Motor, stator and method of forming the stator
JP5333871B2 (ja) 回転電機
JP6536249B2 (ja) 回転電機
KR100621031B1 (ko)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
KR102455645B1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