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031B1 -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031B1
KR100621031B1 KR1020040055714A KR20040055714A KR100621031B1 KR 100621031 B1 KR100621031 B1 KR 100621031B1 KR 1020040055714 A KR1020040055714 A KR 1020040055714A KR 20040055714 A KR20040055714 A KR 20040055714A KR 100621031 B1 KR100621031 B1 KR 100621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ator
motor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608A (ko
Inventor
김창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5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0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자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고정자와의 상호작용으로 회전하는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 및 회전자를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하며 비금속재질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고정홀이 중간부에 관통 형성되고 그 일측 끝단에 상기 고정자를 구성하는 적층코어의 모서리부에 접하도록 절곡된 접촉부가 형성되며 그 타측 끝단에 접지선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접지단자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가 제공됨으로써, 비금속재질로 하우징이 형성된 전동기의 접지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EARTH TERMINAL UNION STRUCTURE IN MOTOR}
도 1은 상기 전동기에 형성된 종래 전동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접지단자 결합구조를 갖는 전동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지단자 결합구조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고정자 12 : 적층코어
120 : 커넥터 121 : 단자하우징
122 : 접속단자 124 : 고정돌기
130 : 접지단자 131 : 접촉부
132 : 고정홀 133 : 연결부
본 발명은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금속재질로 하우징이 형성된 전동기를 접지시킬 수 있도록 전동기의 고정자에 접 하고 커넥터에 고정되는 접지단자를 구비한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Motor)는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기이며, 이와 같은 전동기는 전기에너지를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형 전동기와 전기에너지를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왕복동형 전동기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전동기는 동력원으로서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선풍기, 청소기 등 가정에서 사용되는 거의 모든 제품에 장착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전동기에 형성된 종래 전동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종 단면도로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동기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며 권선코일(11)이 감겨진 적층코어(12)로 형성된 고정자(13)와, 상기 고정자(13)에 감싸지며 상기 고정자(13)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 가능토록 회전축(16)에 고정 장착되는 회전자(15)와, 상기 회전자(15)가 장착된 회전축(16)을 상기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토록 고정하는 베어링(17)과, 상기 권선코일(11)의 각 끝단이 연결되어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커넥터(20)와,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연결된 접지단자(3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20)는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단자하우징(21)과, 상기 단자하우징(21)에 일 측 끝단이 끼워져 돌출 되며, 타 측 끝단은 상기 권선코일(11)이 연결되는 접속단자(2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접지단자(30)는 접지선(31)과, 상기 접지선(31)의 일측 끝단에 결합되 는 연결고리(32)와, 상기 연결고리(32)를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고정하는 볼트(33)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자(13)의 적층코어(12)에 감겨진 권선코일(11)의 끝단이 상기 접속단자(22)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접속단자(22) 및 상기 접속단자(22)가 장착된 단자하우징(21)으로 구성된 커넥터(20)에 전원을 인가하는 플러그(23)가 끼워져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고정자(13)와 회전자(15)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자(15)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전류 및 정전기를 제거하는 접지선(31)이 연결고리(32)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볼트(33)로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로 이루어진 전동기의 소음 및 절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동기 하우징(10)을 비금속재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접지단자(30)의 접지선(31)이 연결고리(32)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볼트(33)로 고정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구조를 적용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금속재질로 형성되는 하우징(10)에 접지단자(30)를 연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전동기의 고정자(13) 외주면에 볼트(33)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경우 볼트(33) 체결되는 부분의 손상으로 인해 자속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 진 하우징이 장착되는 전동기의 접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는 고정자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고정자와의 상호작용으로 회전하는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 및 회전자를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하며 비금속재질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고정홀이 중간부에 관통 형성되고 그 일측 끝단에 상기 고정자를 구성하는 적층코어의 모서리부에 접하도록 절곡된 접촉부가 형성되며 그 타측 끝단에 접지선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접지단자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홀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고 그 끝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접지단자 결합구조를 갖는 전동기의 내부 구 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지단자 결합구조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접지단자 결합구조를 갖는 전동기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장착되며 권선코일(11)이 감겨진 적층코어(12)로 형성된 고정자(13)와, 상기 고정자(13)에 감싸지며 상기 고정자(13)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 가능토록 회전축(16)에 고정 장착되는 회전자(15)와, 상기 회전자(15)가 장착된 회전축(16)을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토록 고정하는 베어링(17)과, 상기 권선코일(11)의 각 끝단이 연결되어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커넥터(120)와, 상기 커넥터(120)에 고정되고 그 일측 끝단은 상기 고정자(13)의 적층코어(12)에 접하고 그 타측 끝단은 외부로 돌출되어 접지선과 연결되는 접지단자(13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단자하우징(121)과, 상기 단자하우징(121)에 일 측 끝단이 끼워져 돌출 되며, 타 측 끝단은 상기 권선코일(11)이 연결되는 접속단자(122)로 이루어지고, 단자하우징(121)에는 상기 접지단자를 고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고 그 끝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돌기(124)가 형성된다.
상기 접지단자(130)는 그 일측 끝단에 상기 고정자(11)의 적층코어(12) 모서리부에 접하도록 끝단 중간부가 절개되어 수직하게 돌출된 접촉부(131)가 형성되고, 그 중간부에 커넥터(120)의 고정돌기(124)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홀(132)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그 타측 끝단부에는 접지선이 연결되는 연결부(133)가 형성된 다. 상기 연결부(133)는 일반적으로 접지선에 연결되는 클림형 단자가 고정되도록 짝을 이루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자(13)의 적층코어(12)에 감겨진 권선코일(11)의 끝단이 상기 접속단자(122)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접지단자 결합구조를 갖는 전동기는 상기 접속단자(122) 및 상기 접속단자(122)가 장착된 단자하우징(121)으로 구성된 커넥터(120)에 전원을 인가하는 플러그(23)가 끼워져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고정자(13)와 회전자(15)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자(15)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전류 및 정전기는 단자하우징(121)의 고정돌기(124)에 고정홀(132)이 끼워져 고정되고 접촉부(131)가 적층코어(12)의 모서리부에 연결된 접지단자(130)를 통해 외부로 연결되는 접지선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는 전동기의 하우징(110)을 비금속재질로 형성하여 소음을 저감하고 절연특성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고정자(13)의 적층코어(12) 모서리부에 연결되고 접지선이 연결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접지단자(130)에 의해 불필요한 전류 및 정전기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는 전동기의 하우징을 비금속재질로 형성하여 소음을 저감하고 절연특성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고정자의 적층코어 모서리부에 연결되고 접지선이 연결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접지단자에 의해 불필요한 전류 및 정전기가 제거됨으로써, 비금속재질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전동기의 접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고정자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고정자와의 상호작용으로 회전하는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 및 회전자를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하며 비금속재질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고정홀이 중간부에 관통 형성되고 그 일측 끝단에 상기 고정자를 구성하는 적층코어의 모서리부에 접하도록 절곡된 접촉부가 형성되며 그 타측 끝단에 접지선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접지단자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홀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고 그 끝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
KR1020040055714A 2004-07-16 2004-07-16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 KR100621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714A KR100621031B1 (ko) 2004-07-16 2004-07-16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714A KR100621031B1 (ko) 2004-07-16 2004-07-16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608A KR20060006608A (ko) 2006-01-19
KR100621031B1 true KR100621031B1 (ko) 2006-09-13

Family

ID=37118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714A KR100621031B1 (ko) 2004-07-16 2004-07-16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414B1 (ko) * 2013-05-23 2014-09-24 뉴모텍(주) 모터 접지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702A (ja) 1998-04-03 1999-10-19 Fanuc Ltd 電動機の配線基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702A (ja) 1998-04-03 1999-10-19 Fanuc Ltd 電動機の配線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608A (ko)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6513B1 (en) Electrical generator system
KR101462786B1 (ko) 모터의 절연구조
JP2018068101A (ja) 電気モータ及びそのアーマチャ
CN203206066U (zh) 直流塑封电机
KR101562736B1 (ko) 브러쉬리스 dc 모터의 접지 구조
TWI430539B (zh) 馬達
CN105990978A (zh) 永磁直流电机
KR100621031B1 (ko)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
KR200460846Y1 (ko) 모터
JP6366849B2 (ja) 回転電機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CN210093064U (zh) 一种电机轴电流的引出装置
KR100442485B1 (ko) 전동기의 접지단자 결합구조
CN206472001U (zh) 电机以及家用电器
KR100651846B1 (ko) 전동기
KR101629827B1 (ko) 개선된 접지 구조를 갖는 모터
KR101620317B1 (ko) 모터 어셈블리
KR100901305B1 (ko) 직류 모터용 회전자 조립체
KR102637238B1 (ko)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469370B1 (ko) 브러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6536249B2 (ja) 回転電機
KR100672538B1 (ko) 전동기의 브라켓과 하우징의 체결구조
CN110299775A (zh) 电机转子及应用该电机转子的电机
CN220234331U (zh) 一种新型防水结构定子总成
CN212935643U (zh) 一种卷帘及其永磁直流电机
CN220254250U (zh) 防尘防水无刷马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