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158B1 - 1-알킬-2-페닐-4-퀴놀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1-알킬-2-페닐-4-퀴놀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158B1
KR101620158B1 KR1020140028401A KR20140028401A KR101620158B1 KR 101620158 B1 KR101620158 B1 KR 101620158B1 KR 1020140028401 A KR1020140028401 A KR 1020140028401A KR 20140028401 A KR20140028401 A KR 20140028401A KR 101620158 B1 KR101620158 B1 KR 101620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nolone
compound
phenyl
alkyl
ar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483A (ko
Inventor
이재인
송윤주
최진선
Original Assignee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8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158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15/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having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15/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acylated ring nitrogen a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할로벤조산으로부터 1-알킬-2-페닐-4-퀴놀론을 제조하는 신규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저렴한 출발물질로서 2-할로벤조산을 이용하여 간단한 반응조건 및 단순화된 단계를 통해 1-알킬-2-페닐-4-퀴놀론을 고수율로 합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1-알킬-2-페닐-4-퀴놀론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1-alkyl-2-phenyl-4-quinolones}
본 발명은 퀴놀론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알킬-2-페닐-4-퀴놀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메틸-2-페닐-4-퀴놀론은 운향과 식물의 잎 및 줄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천연 알칼로이드이다[비특허 문헌 1, 이하 비특허 문헌 번호는 [ ]로 표시함]. 이 물질은 항진균[1a] 및 항종양 활성[2], 아세틸콜린 에스터라아제(AChE)의 억제[3] 및 항 돌연변이 효과[4]를 포함한 강력한 약리학적 활성으로 인해 상당히 관심이 있었다. 2'-치환된 아세토페논, 아닐린 및 2-할로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출발물질로 하여 1-알킬-2-페닐-4-퀴놀론을 합성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었다[5]. N-메틸이사토익 무수물(N-methylisatoic anhydride)을 4'-메톡시아세토페논의 리튬 에놀레이트와 반응시켜 1-메틸-2-페닐-4-퀴놀론을 합성하는 단순한 합성 방법이 있지만, 이 합성법에 따르면 수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6]. N-페닐 벤즈아마이드를 아세틸 클로라이드로 프레델-크레프트 아실화(Friedel-Crafts acylation)시키거나[7], 2'-아미노아세토페논을 벤조일 클로라이드로 벤조일화시켜[8] 제조한 N-(2-아세틸페닐)벤즈아마이드는 포타슘 t-부톡사이드와 반응해 고리화되어 2-아릴-4-퀴놀론을 형성하며, 이는 후에 알킬 이오다이드로 알킬화됨으로써 1-알킬-2-아릴-4-퀴놀론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아실화는 방향이성체의 생성을 동반하며, 알킬화는 주 생성물인 N 알킬퀴놀론과 함께 소량의 부산물인 4-알콕시퀴놀린의 혼합물을 생성하게 한다. 그러나, 2'-(N-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과 벤조일 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되는 N 메틸화된 (2-아세틸페닐)벤즈아마이드가 DMF 내에서 소듐 하이드라이드와 함께 사이클화되면 1-메틸-2-페닐-4-퀴놀론이 된다[9].
2'-아미노아세토페논과 벤즈알데하이드를 알돌 축합화한 다음에 알킬 할라이드로 N-알킬화함으로써 2'-(N-알킬아미노)찰콘(2'-(N-alkylamino)chalcones)이 제조되며, 이는 ZnCl2의 존재하에서 폴리스티렌-지지된 셀레닐 브로마이드로 처리함으로써 2,3-디하이드로-3-폴리스티렌-지지된 셀레닐-4-퀴놀론이 제조된다. 이 화합물들은 과산화수소로 산화된 다음에 1-알킬-2-페닐-4-퀴놀론으로 분해된다[10]. 2-이오도-N-에틸아닐린을 페닐아세틸렌으로 팔라듐-촉매화 카보닐화 커플링시키면 이에 상응하는 엔아민(enamine)과 환형 퀴놀론의 혼합물이 된다. 추가로, 엔아민 중간체를 환류하는 THF 내에서 소듐 하이드라이드로 환형화시키면 1-에틸-2-페닐-4-퀴놀론이 생성된다[11]. 2-브로모알키논(2-bromoalkynones)의 팔라듐-촉매화된 탠덤 아민화는 환류하는 디옥산에 들어있는 아릴아민을 이용해서 아릴아세틸렌과 2-브로모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소노가시라(Sonogashira) 교차-커플링시킴으로써 얻어지며, 이는 1-아릴-2-페닐-4-퀴놀론의 합성에 유용하다[12]. 유사하게, 2-할로페닐 알키논에 아릴아민을 처리하면 컨쥬게이트 추가에 의해 3-(N-아릴아미노) α,β-불포화 케톤이 생성된다. 이 화합물들을 환류하는 DMF 내에서 52시간 동안 K2CO3로 환형화시키고[13], DMSO 내에서 K2CO3/CuI와 리간드로서 DMEDA로 환형화시킴으로써[14] 1-페닐-2-아릴-4-퀴놀론이 제조되나, 1-알킬-2-페닐-4-퀴놀론의 합성 과정은 완벽하게 밝혀져 있지 않았다.
비록, 1-알킬-2-페닐-4-퀴놀론을 합성하는 몇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이 방법들은 종종 가혹한 반응조건이 필요하거나,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거나, 수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어서, 높은 수율로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1-알킬-2-페닐-4-퀴놀론을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있어왔다.
1. (a) Biavatti, M. W.; Vieira, P. C.; Silva, M. F.; Fernandes, J. B.; Victor, S. R.; Pagnocca, F. C.; Albuquerque, S.; Caracelli, I.; Zukerman-Schpector, J. J. Braz. Chem. Soc. 2002, 13, 66. (b) Setzer, W. N.; Vogler, B.; Bates, R. B.; Schmidt, J. M.; Dicus, C. W.; Nakkiew, P.; Haber, W. A. Phytochem. Anal. 2003, 14, 54. (c) Michael, J. P. Nat. Prod. Rep. 2005, 22, 627. (d) Ambrozin, A. R. P.; Vieira, P. C.; Fernandes, J. B.; Silva, M. F.; Albuquerque, S. Quim. Nova 2008, 31, 740. 2. (a) Xia, Y.; Yang, Z.-Y.; Xia, P.; Hackl, T.; Hamel, E.; Mauger, A.; Wu, J.-H.; Lee, K.-H. J. Med. Chem. 2001, 44, 3932. (b) Ya-Ming, X.; Ramirez-Ahumada, M. C.; Valeriote, F. A.; Gunatilaka, A. A. L. Chin. J. Nat. Med. 2011, 9, 334. 3. Cabral, R. S.; Sartori, M. C.; Cordeiro, I.; Queiroga, C. L.; Eberlin, M. N.; Lago, J. H. G.; Moreno, P. R. H.; Young, M. C. M. Braz. J. Pharm. 2012, 22, 374. 4. Ito, A.; Shamon, L. A.; Yu, B.; Mata-Greenwood, E.; Lee, S. K.; Breemen, R. B.; Mehta, R. G.; Farnsworth, N. R.; Fong, H. H. S.; Pezzuto, J. M.; Kinghorn, A. D. J. Agric. Food Chem. 1998, 46, 3509. 5. (a) Michael, J. P. Nat. Prod. Rep. 2001, 18, 543. (b) Mphahlele, M. J. J. Heterocyclic Chem. 2010, 47, 1. 6. Kuo, S.-C.; Lee, H.-Z.; Juang, J.-P.; Lin, Y.-T.; Wu, T.-S.; Chang, J.-J.; Lednicer, D.; Paull, K. D.; Lin, C. M.; Hamel, E.; Lee, K.-H. J. Med. Chem. 1993, 36, 1146. 7. (a) Hadjeri, M.; Mariotte, A.-M.; Boumendjel, A. Chem. Pharm. Bull. 2001, 49, 1352. (b) Hadjeri, M.; Peiller, E.-L.; Beney, C.; Deka, N.; Lawson, M. A.; Dumontet, C.; Boumendjel, A. J. Med. Chem. 2004, 47, 4964. 8. An, Z.-Y.; Yan, Y.-Y.; Peng, D.; Ou, T.-M.; Tan, J.-H.; Huang, S.-L.; An, L.-K.; Gu, L.-Q.; Huang, Z.-S. Euro. J. Med. Chem. 2010, 45, 3895. 9. Sabatini, S.; Gosetto, F.; Manfroni, G.; Tabarrini, O.; Kaatz, G. W.; Patel, D.; Cecchetti, V. J. Med. Chem. 2011, 54, 5722. 10. Tang, E.; Chen, B.; Zhang, L.; Li, W.; Lin, J. Synlett 2011, 707. 11. (a) Torii, S.; Okumoto, H.; Xu, L. H. Tetrahedron Lett. 1991, 32, 237. (b) Torii, S.; Okumoto, H.; Xu, L. H.; Sadakane, M.; Shostakovsky, M. V.; Ponomaryov, A. B.; Kalinin, V. N. Tetrahedron 1993, 49, 6773. 12. Zhao, T.; Xu, B. Org. Lett. 2010, 12, 212. 13. Fuchs, F. C.; Eller, G. A.; Holzer, W. Molecules 2009, 14, 3814. 14. Bernini, R.; Cacchi, S.; Fabrizi, G.; Sferrazza, A. Synthesis 2009, 1209. 15. Lee, J. I.; Youn, J. S. Bull. Korean Chem. Soc. 2008, 29, 1853. 16. Lee, J. I. Bull. Korean Chem. Soc. 2007, 28, 863.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비해 단순한 반응조건, 간단한 반응 단계를 통해 1-알킬-2-페닐-4-퀴놀론을 고수율로 제조하는 신규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2-할로벤조산으로부터 1-알킬-2-페닐-4-퀴놀론을 제조하는 신규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i) 2-할로벤조산에 옥살릴 클로라이드를 처리하여 2-할로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제조하고, 상기 2-할로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아실화하여 4,6-피리미딜 다이(2-할로벤조에이트)를 제조하는 제1 단계, (ii) 상기 4,6-피리미딜 다이(2-할로벤조에이트)를 (헤테로)아릴에티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로 반응시키고 가수분해시켜 1-(2-할로페닐)-3-(헤테로)아릴-2-프로핀-1-온을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iii) 상기 제조한 1-(2-할로페닐)-3-(헤테로)아릴-2-프로핀-1-온에 알킬아민을 부가한 후 환형화시켜 1-알킬-2-페닐-4-퀴놀론을 제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1-알킬-2-페닐-4-퀴놀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에 의해 수행되며, 반응식으로 모식화하였다.
(i) 2-할로벤조산(화합물 1)에 옥살릴 클로라이드를 처리하여 2-할로벤조일 클로라이드(화합물 2)를 제조하고, 이를 아실화하여 4,6-피리미딜 다이(2-할로벤조에이트)(화합물 3)를 제조하는 단계,
Figure 112014023531834-pat00001
(ii)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4,6-피리미딜 다이(2-할로벤조에이트)(화합물 3)를 (헤테로)아릴에티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로 반응시키고, NH4Cl 용액으로 가수분해시켜 1-(2-할로페닐)-3-(헤테로)아릴-2-프로핀-1-온(화합물 5)을 제조하는 단계,
Figure 112014023531834-pat00002
(iii)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1-(2-할로페닐)-3-(헤테로)아릴-2-프로핀-1-온(화합물 5)에 알킬아민을 부가하여 중간체 화합물 6을 제조한 뒤, 이를 환형화시켜 1-알킬-2-페닐-4-퀴놀론(화합물 7)을 제조하는 단계,
Figure 112014023531834-pat00003
상기 단계 및 반응식에서
R1, R2는 각각 H, Cl, Me 또는 OMe,
X는 Br 또는 F,
R3는 아릴, 3-티에닐(3-thienyl) 또는 3-피리딜(3-pyridyl), 상기 아릴은 바람직하게는 C6H5, 4-MeO-C6H4, 4-Me-C6H4, 4-MeO-C6H4, 3-Cl-C6H4, 3,5-(MeO)2-C6H3, 또는 2-MeO-C6H4,
R4는 Me, Et 또는 c-C3H5.
본 발명의 2-할로벤조산으로부터 1-알킬-2-페닐-4-퀴놀론을 제조하는 방법의 전체 단계를 나타내면 아래 반응식과 같다.
Figure 112014023531834-pat00004
위 반응식에서 작용기들(R1 내지 R4, X)의 구체적인 예는 상기 각 단계별 반응식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0℃ 내지 25℃의 온도에서 디클로로메탄에 피리딘이 존재하는 조건하에서 2-할로벤조산(화합물 1)을 옥살릴 클로라이드(oxalyl chloride)로 처리함으로써 2-할로벤조일 클로라이드(화합물 2)를 제조한다(반응식 1 참조). 이를 밤새 혼합한 뒤, 디클로로메탄을 증발시킨뒤, 잔여물을 무수 THF에 녹인뒤, 여과에 의해 피리디늄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제거한다. 농축된 잔여물을 진공 증류로 정제하면 화합물 2가 제조된다(R1=H, R2=H, X=Br; 87%, R1=Cl, R2=H, X=Br; 97%, R1=Me, R2=H, X=Br; 93%, R1=OMe, R2=H, X=F; 75%, R1=H, R2=OMe, X=F; 91%).
본 발명자들의 기존 제조방법에 따라[16], 25℃에서 디클로로메탄에 2 당량의 트리에틸아민이 들어있는 조건하에서, 4,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으로 2 당량의 화합물 2를 아실화시킴으로써 신규한 화합물인 4,6-피리미딜 디(2-할로벤조에이트)(화합물 3)이 제조된다. 디클로로메탄을 증발시킨 뒤, 혼합물을 무수 THF에 녹이고, 여과를 통해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제거한다. 농축된 잔여물은 짧은 길이 실리카겔(Davisil®, pH = 7)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거나, 75% EtOAc/n-헥산으로 재결정화하여 정제함으로써 화합물 3이 제조된다(R1=H, R2=H, X=Br; 87%, R1=Cl, R2=H, X=Br; 85%, R1=Me, R2=H, X=Br; 94%, R1=OMe, R2=H, X=F; 87%, R1=H, R2=OMe, X=F; 93%).
1 당량의 화합물 3을 2 당량의 (헤테로)아릴에티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로 반응시킴으로써 1-(2-할로페닐)-3-(헤테로)아릴-2-프로핀-1-온(화합물 5)이 성공적으로 합성된다. 0℃에서 THF 내에서 (헤테로)아릴아세틸렌과 EtMgBr을 0.5시간 동안 반응시켜 생성된 (헤테로)아릴에티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 2당량을 0℃에서 THF 내에 1 당량의 화합물 3이 들어있는 용액에 넣음으로써, 침전물이 형성된다. 이 중간체를 포화 NH4Cl 용액으로 가수분해시킴으로써 75-89% 수율의 화합물 5가 제조된다. 이 반응은 6-원자 킬레이트(화합물 4)를 통해 진행된다. 과량의 (헤테로)아릴에티닐 마그네슘 브로마이드를 화합물 5에 첨가함으로써 생성되는 알코올과 같은 부산물은 화합물 3에 있는 2-할로 그룹의 입체 장애와는 상관없이 관찰되지 않는다.
화합물 5에 알킬아민을 1,4 위치에 부가하고 중간체 화합물 6을 환형화시킴으로써 1-알킬-2-페닐-4-퀴놀론이 합성된다. 예를들어, 1-(2-브로모페닐)-3-페닐-2-프로핀-1-온 (화합물 5a)이 들어있는 EtOH/THF 용액에 메틸아민을 추가하면, 추가로 화합물 6a가 만들어지며, 이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스펙트럼 데이터를 갖는다. [1H NMR δ 11.14 (NH), 5.39 (=CH), 2.86 (CH3); 13C NMR δ 31.6 (CH3); FT-IR 3445 (NH), 1598 (C=O) cm-1; MS m/z 315 (M+)]. 용매를 증발시키고 난뒤, DME 용액 내에서 25℃에서 화합물 6a에 소듐 하이드라이드를 추가한뒤 80℃에서 6시간 동안 추가로 가열하면 분자내 친핵성 치환에 의해 1-메틸-2-페닐-4-퀴놀론(화합물 7a)가 85% 수율로 제조된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발물질인 화합물 1로부터 고수율(39-68%)의 다양한 1-알킬-2-페닐-4-퀴놀론(화합물 7)이 제조된다. 하기 표 1에는 2-할로벤조산으로부터 1-알킬-2-페닐-4-퀴놀론을 제조하는 전체 수율을 나타낸다.
축합된 벤젠 링에 있는 전자-철회 그룹(화합물 7c, 화합물 7d)인 7-클로로의 존재하에서는 환형화가 급속히 일어난다. 또한, 화합물 5에 있는 2-플루오로 그룹은 2-브로모 그룹에 비해 훨씬 쉽게 치환되는데, 이를 통해 화합물 6의 엔아미노(enamino) 음이온을 맨먼저 추가하는 것이 느림을 알 수 있다. 이 반응은 반응 조건하에서 2번 위치에 있는 치환된 페놀 링의 전자-흡인 그룹(화합물 7h) 및 전자-공여 그룹(화합물 7b, 7c, 7e, 7f, 7i, 7j)의 형태와 위치와는 상관없이 잘 일어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2번 위치에 페닐 링으로 치환되는 위치에 있는 3-티에닐 그룹(화합물 7d)과 3-피리딜 그룹(화합물 7g)과 같은 헤테로방향족 그룹을 포함하는 화합물 7을 합성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2-할로벤조산(화합물 1)로부터 1-(2-할로페닐)-3-(헤테로)아릴-2-프로핀-1-온(화합물 5)과 1-알킬-2-페닐-4-퀴놀론(화합물 7)의 제조
X R1 R2 R3 R4 반응시간
(ha)
수율(%)b
5c 7d
화합물 7a Br H H C6H5 Me 6 81 85(52)
화합물 7b Br H H 4-MeO-C6H4 Me 8 89 81(55)
화합물 7c Br Cl H 4-MeO-C6H4 Et 2 83 90(62)
화합물 7d Br Cl H 3-thienyl c-C3H5 7 85 80(56)
화합물 7e Br Me H 4-Me-C6H4 Me 18 85 89(66)
화합물 7f Br Me H 4-MeO-C6H4 Me 18 88 89(68)
화합물 7g Br Me H 3-pyridyl Et 30 78 75(51)
화합물 7h F OMe H 3-Cl-C6H4 Me 1 82 87(47)
화합물 7i F OMe H 3,5-(MeO)2-C6H3 c-C3H5 7 80 74(39)
화합물 7j F H OMe 2-MeO-C6H4 Me 1 75 86(55)
상기 표에서 표시한 위첨자는 아래와 같다.
a는 화합물 6을 화합물 7로 전환할때의 반응시간을 나타낸다.
b는 2-할로벤조산(화합물 1)으로부터 제조된 각 화합물의 총괄 수율을 나타낸다.
c는 크로마토그래피 상에서의 순도를 나타내고, d는 재결정 수율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2-할로벤조산으로부터 1-알킬-2-페닐-4-퀴놀론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i) 1 당량의 4,6-피리미딜 다이(2-할로벤조에이트) (화합물 3)로부터 2 당량의 알키논(화합물 5)를 제조하고, (ii) 1-알킬-2-페닐-4-퀴놀론을 고수율로 합성하며, (iii) 손쉽게 이용가능하고 저렴한 출발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2-할로벤조산으로부터 간단한 반응 단계, 반응 조건으로 1-알킬-2-페닐-4-퀴놀론을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제조예 1 : 4,6-피리미딜 다이(2-브로모-4-클로로벤조에이트)(화합물 3c)의 제조.
25℃에서 10.0 mmol의 2-브로모-4-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 2.54 g을 디클로로메탄 40 mL에 5.0 mmol의 4,6-디하이드록시피리미딘 560 mg과 10.0mmol의 트리에틸아민 1.4 mL이 들어 있는 현탁액에 넣었다. 이를 3시간 동안 혼합한 다음에, 디클로로메탄을 진공상태에서 증발시켰다. 이 혼합물을 무수 THF에 녹인뒤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잔여물은 75% EtOAc/n-헥산으로 2회 재결정함으로써 화합물 3c(2.32 g, 85%)를 제조하였다. 이 화합물은 아래와 같이 분석되었다.
mp 134-136℃;
1H NMR (300 MHz, CDCl3) δ 8.99 (s, 1H), 8.11 (d, J = 8.5 Hz, 2H), 7.80 (d, J = 0.8 Hz, 2H), 7.47 (dd, J1 = 8.5 Hz, J2 = 0.8 Hz, 2H), 7.40 (s, 1H);
13C NMR (75 MHz, CDCl3) δ 166.6, 161.1, 159.2, 140.4, 135.0, 133.6, 128.0, 127.1, 124.3, 105.4;
FT-IR (KBr) 1762 (C=O) cm-1.
제조예 2 : 1-(2- 브로모 -4- 클로로페닐 )-3-(4- 메톡시페닐 )-2- 프로핀 -1-온 (화합물 5c)의 제조
3.0 mmol의 4-메톡시페닐아세틸렌 397 mg과 3.0 mmol의 EtMgBr (1.0 M in THF) 3.0 mL을 THF 9 mL에 넣어 제조한 4-메톡시페닐에티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를 0℃에서 아르곤 기체하에서,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3c(820 mg, 1.5 mmol)가 들어있는 THF 10 mL 용액에 천천히 넣었다. 이 혼합액을 0℃에서 0.5시간 동안 혼합하였으며, 그리고 난 뒤 포화된 NH4Cl 용액 5mL로 퀀치시켰다(quenched). 그 후, THF를 증발시킨 뒤, 혼합물을 포화된 NH4Cl 용액 30 mL에 붓고 디클로로메탄(3×20 mL)으로 추출하였다. 혼합된 유기층은 MgSO4로 건조시켰으며,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여물은 10% EtOAc/n-헥산으로 2회 재결정화함으로써 화합물 5c(871 mg, 83%)를 제조하였다. 이 화합물은 아래와 같이 분석되었다.
mp 131-133℃;
1H NMR (300 MHz, CDCl3) δ 8.01 (d, J = 8.4 Hz, 1H), 7.72 (d, J =1.8 Hz, 1H), 7.60 (d, J = 8.9 Hz, 2H), 7.43 (dd, J1 = 8.4 Hz, J2 = 1.9 Hz, 1H), 6.93 (d, J = 8.9 Hz, 2H), 3.86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176.4, 162.0, 138.9, 136.1, 135.3, 134.6, 133.5, 127.7, 121.9, 114.5, 111.5, 96.1, 87.9, 55.5;
FT-IR (KBr) 2196 (C≡C), 1641 (C=O) cm-1;
Ms m/z (%) 352 (M++4, 21), 350 (M++2, 85), 348 (M+, 67), 324 (13), 322 (54), 320 (42), 159 (100).
제조예 3: 1-에틸-7- 클로로 -2-(4'- 메톡시페닐 )-4- 퀴놀론 (화합물 7c)의 제조
25℃에서 2.0 mmol의 화합물 5c 699 mg이 녹아있는 EtOH/THF (12/12 mL) 용액에 에틸아민(2.0 M in MeOH, 3.0 mmol) 1.5 mL을 넣어 8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킨 뒤, 25℃에서 DME 15 mL에 중간물질 화합물 6c가 녹아있는 용액을 DME (10 mL)에 소듐 하이드라이드(88 mg, 60% 분포, 2.2 mmol)가 들어있는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를 0.5시간 동안 혼합한뒤, 혼합된 용액을 2시간 동안 환류하였다(refluxed). 이 혼합물을 5 mL의 물로 퀀치한 뒤 진공상태에서 용매를 증발시켰다. 이 혼합물을 5% NaCl 용액 30 mL에 부은 뒤 디클로로메탄(3×20 mL)으로 추출하였다. 혼합된 유기층은 MgSO4로 건조시켰으며,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여물은 10% EtOAc/n-헥산으로 2회 재결정화함으로써 화합물 7c(562 mg, 90%)를 제조하였다. 이 화합물은 아래와 같이 분석되었다.
mp 214-216℃;
1H NMR (300 MHz, CDCl3) δ 8.44 (d, J = 8.6 Hz, 1H), 7.55 (d, J = 1.6 Hz, 1H), 7.35 (dd, J1 = 8.6 Hz, J2 = 1.6 Hz, 1H), 7.32 (d, J = 8.5 Hz, 2H), 7.02 (d, J = 8.6 Hz, 2H), 6.21 (s, 1H), 4.07 (q, J = 7.1 Hz, 2H), 3.89 (s, 3H), 1.28 (t, J = 7.1 Hz, 3H);
13C NMR (75 MHz, CDCl3) δ 176.7, 160.4, 154.7, 141.1, 138.6, 129.5, 128.8, 127.9, 125.7, 124.1, 116.0, 114.2, 113.7, 55.4, 43.2, 14.3;
FT-IR (KBr) 1625 (C=O) cm-1;
Ms m/z (%) 315 (M++2, 34), 313 (M+, 100), 298 (52), 287 (16), 285 (47).
화합물 7a 내지 7b, 7d 내지 7j는 상기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은 출발물질 및 반응시간으로 하여 위 화합물 7c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으며, 제조된 각 화합물들의 물리학적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메틸 -2- 페닐 -4- 퀴놀론 (화합물 7a):
mp 144-145 (lit.6 145-147℃);
1H NMR (300 MHz, CDCl3) δ 8.51 (dd, J1 = 8.0 Hz, J2 = 1.3 Hz, 1H), 7.69-7.75 (m, 1H), 7.56 (d, J = 8.6 Hz, 1H), 7.47-7.52 (m, 3H), 7.40-7.45 (m, 3H), 6.30 (s, 1H), 3.61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177.6, 154.7,141.9, 135.9, 132.4, 129.6, 128.8, 128.6, 126.9, 126.7, 123.7, 116.0, 112.7, 37.3;
FT-IR (KBr) 1622 (C=O) cm-1;
Ms m/z (%) 235 (M+, 100), 207 (82).
1- 메틸 -2-(4'- 메톡시페닐 )-4- 퀴놀론 (화합물 7b):
mp 145-146℃;
1H NMR (300 MHz, CDCl3) δ 8.50 (d, J = 8.0 Hz, 1H), 7.68-7.73 (m, 1H), 7.55 (d, J = 8.6 Hz, 1H), 7.42 (t, J = 7.2 Hz, 1H), 7.35 (d, J = 8.3 Hz, 2H), 7.02 (d, J = 8.3 Hz, 2H), 6.29 (s, 1H), 3.98 (s, 3H), 3.63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177.6, 160.5, 154.7, 142.0, 132.2, 130.1, 128.2, 126.9, 126.7, 123.6, 116.0, 114.2, 112.8, 55.5, 37.4;
FT-IR (KBr) 1615 (C=O) cm-1;
Ms m/z (%) 265 (M+, 100), 237 (82).
1- 사이클로프로필 -7- 클로로 -2-(3- 티에닐 )-4- 퀴놀론 (화합물 7d):
mp 227-228℃;
1H NMR (300 MHz, CDCl3) δ 8.32 (d, J = 8.6 Hz, 1H), 7.93 (d, J = 1.8 Hz, 1H), 7.56 (dd, J1 = 2.9 Hz, J2 = 1.2 Hz, 1H), 7.46 (dd, J1 = 5.0 Hz, J2 = 3.0 Hz, 1H), 7.27-7.31 (m, 2H), 6.35 (s, 1H), 3.29-3.36 (m, 1H), 1.06 (d, J = 7.0 Hz, 2H), 0.63 (d, J = 3.8 Hz, 2H);
13C NMR (75 MHz, CDCl3) δ 177.5, 150.6, 143.7, 138.0, 136.9, 128.0, 127.7, 126.4, 125.9, 125.2, 124.2, 117.6, 113.2, 32.2, 12.7;
FT-IR (KBr) 1623 (C=O) cm-1;
Ms m/z (%) 303 (M++2, 21), 301 (M+, 64), 275 (25), 273 (87), 266 (100).
1,7-디메틸-2-(4'- 메틸페닐 )-4- 퀴놀론 (화합물 7e):
mp 163-164℃;
1H NMR (300 MHz, CDCl3) δ 8.37 (d, J = 8.2 Hz, 1H), 7.22-7.32 (m, 6H), 6.25 (s, 1H), 3.58 (s, 3H), 2.53 (s, 3H), 2.44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177.5, 154.6, 143.0, 142.2, 139.6, 133.2, 129.4, 128.5, 126.6, 125.2, 124.8, 115.8, 112.5, 37.2, 22.3, 21.3;
FT-IR (KBr) 1626 (C=O) cm-1;
Ms m/z (%) 263 (M+, 100), 235 (89).
1,7-디메틸-2-(2'- 메톡시페닐 )-4- 퀴놀론 (화합물 7f):
mp 199-201℃;
1H NMR (300 MHz, CDCl3) δ 8.39 (d, J = 8.2 Hz, 1H), 7.45-7.50 (m, 1H), 7.27-7.33 (m, 2H), 7.23 (d, J = 8.1 Hz, 1H), 7.07 (t, J = 7.4 Hz, 1H), 7.00 (d, J = 8.3 Hz, 1H), 6.22 (s, 1H), 3.80 (s, 3H), 3.52 (s, 3H), 2.54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177.7, 156.4, 152.1, 142.8, 141.8, 131.3, 130.4, 126.7, 125.1, 125.0, 124.8, 121.1, 115.7, 112.6, 110.9, 55.6, 35.9, 22.3; FT-IR (KBr) 1625 (C=O) cm-1;
Ms m/z (%) 279 (M+, 88), 250 (14), 148 (100).
1-에틸-7- 메틸 -2-(3- 피리딜 )-4- 퀴놀론 (화합물 7g):
mp 218-219℃;
1H NMR (300 MHz, CDCl3) δ 8.77 (dd, J1 = 4.8 Hz, J2 = 1.4 Hz, 1H), 8.71 (d, J = 1.6 Hz, 1H), 8.39 (d, J = 8.2 Hz, 1H), 7.77 (dd, J1 = 7.8 Hz, J2 = 1.9 Hz, 1H), 7.47 (dd, J1 = 7.8 Hz, J2 = 4.9 Hz, 1H), 7.34 (s, 1H), 7.25 (d, J = 8.2 Hz, 1H), 6.16 (s, 1H), 4.06 (q, J = 7.1 Hz, 2H), 2.55 (s, 3H), 1.29 (t, J = 7.1 Hz, 3H);
13C NMR (75 MHz, CDCl3) δ 177.0, 150.6, 150.4, 148.7, 143.3, 140.5, 135.7, 132.1, 127.0, 125.5, 125.3, 123.4, 115.7, 113.5, 43.0, 22.4, 14.3;
FT-IR (KBr) 1626 (C=O) cm-1;
Ms m/z (%) 264 (M+, 100), 249 (81), 236 (33).
1- 메틸 -7- 메톡시 -2-(3'- 클로로페닐 )-4- 퀴놀론 (화합물 7h):
mp 206-207℃;
1H NMR (300 MHz, CDCl3) δ 8.21 (d, J = 8.1 Hz, 1H), 7.41-7.50 (m, 3H), 7.27-7.32 (m, 1H), 7.01 (dd, J1 = 8.9 Hz, J2 = 2.2 Hz, 1H), 6.86 (d, J = 2.1 Hz, 1H), 6.17 (s, 1H), 3.95 (s, 3H), 3.54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177.0, 163.1, 152.8, 143.6, 137.6, 134.8, 130.2, 129.7, 128.7 (overlapped), 126.8, 121.2, 112.6, 112.0, 99.1, 55.7, 37.3;
FT-IR (KBr) 1635 (C=O) cm-1;
Ms m/z (%) 301 (M++2, 33), 299 (M+, 96), 273 (16), 271 (45), 258 (34), 256 (100).
1- 사이클로프로필 -7- 메톡시 -2-(3',5'- 디메톡시페닐 )-4- 퀴놀론 (화합물 7i):
mp 215-217℃;
1H NMR (300 MHz, CDCl3) δ 8.33 (d, J = 8.9 Hz, 1H), 7.31 (d, J = 2.1 Hz, 1H), 6.99 (dd, J1 = 8.9 Hz, J2 = 2.2 Hz, 1H), 6.65 (d, J = 2.1 Hz, 2H), 6.54 (d, J = 2.0 Hz, 1H), 6.26 (s, 1H), 3.95 (s, 3H), 3.83 (s, 6H), 3.21-3.33 (m, 1H), 0.99 (d, J = 6.5 Hz, 2H), 0.65 (d, J = 3.4 Hz, 2H);
13C NMR (75 MHz, CDCl3) δ 177.7, 162.4, 160.7, 155.1, 144.9, 138.7, 128.2, 121.1, 113.0, 112.0, 106.8 (overlapped), 100.9, 55.6 (overlapped), 32.5, 12.6;
FT-IR (KBr) 1623 (C=O) cm-1;
Ms m/z (%) 351 (M+, 100), 322 (65), 320 (77), 308 (36).
1- 메틸 -5- 메톡시 -2-(2'- 메톡시페닐 )-4- 퀴놀론 (화합물 7j):
mp 188-189℃;
1H NMR (300 MHz, CDCl3) δ 7.53-7.59 (m, 1H), 7.43-7.49 (m, 1H), 7.28-7.33 (m, 1H), 7.03-7.10 (m, 2H), 6.97 (d, J = 8.4 Hz, 1H), 6.80 (d, J = 8.2 Hz, 1H), 6.19 (s, 1H), 4.00 (s, 3H), 3.80 (s, 3H), 3.46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178.3, 160.9, 156.5, 150.3, 144.4, 132.2, 131.3, 130.5, 124.8, 121.1, 117.5, 115.1, 110.8, 107.9, 104.6, 56.4, 55.6, 36.8;
FT-IR (KBr) 1623 (C=O) cm-1;
Ms m/z (%) 295 (M+, 95), 280 (35), 164 (100).

Claims (6)

  1. (i) 2-할로벤조산에 옥살릴 클로라이드를 처리하여 2-할로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제조하고, 상기 2-할로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아실화하여 4,6-피리미딜 다이(2-할로벤조에이트)를 제조하는 제1 단계,
    (ii) 상기 4,6-피리미딜 다이(2-할로벤조에이트)를 (헤테로)아릴에티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로 반응시키고 가수분해시켜 1-(2-할로페닐)-3-(헤테로)아릴-2-프로핀-1-온을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iii) 상기 제조한 1-(2-할로페닐)-3-(헤테로)아릴-2-프로핀-1-온에 알킬아민을 부가한 후 환형화시켜 1-알킬-2-페닐-4-퀴놀론을 제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하기 반응식:
    Figure 112015125045737-pat00008

    (상기 반응식에서, R1, R2는 각각 H, Cl, Me 또는 OMe, X는 Br 또는 F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단계는 하기 반응식:
    Figure 112015125045737-pat00009

    (상기 반응식에서, R1, R2는 각각 H, Cl, Me 또는 OMe,X는 Br 또는 F,R3는 아릴, 3-티에닐(3-thienyl) 또는 3-피리딜(3-pyridyl)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단계는 하기 반응식:
    Figure 112015125045737-pat00010

    (상기 반응식에서 R1, R2는 각각 H, Cl, Me 또는 OMe, X는 Br 또는 F, R3는 아릴, 3-티에닐(3-thienyl) 또는 3-피리딜(3-pyridyl), R4는 Me, Et 또는 c-C3H5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알킬-2-페닐-4-퀴놀론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3의 아릴은 C6H5, 4-MeO-C6H4, 4-Me-C6H4, 4-MeO-C6H4, 3-Cl-C6H4, 3,5-(MeO)2-C6H3 또는 2-MeO-C6H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알킬-2-페닐-4-퀴놀론은 아래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메틸-2-페닐-4-퀴놀론,
    1-메틸-2-(4'-메톡시페닐)-4-퀴놀론,
    1-에틸-7-클로로-2-(4'-메톡시페닐)-4-퀴놀론,
    1-사이클로프로필-7-클로로-2-(3-티에닐)-4-퀴놀론,
    1,7-디메틸-2-(4'-메틸페닐)-4-퀴놀론,
    1,7-디메틸-2-(2'-메톡시페닐)-4-퀴놀론,
    1-에틸-7-메틸-2-(3-피리딜)-4-퀴놀론,
    1-메틸-7-메톡시-2-(3'-클로로페닐)-4-퀴놀론,
    1-사이클로프로필-7-메톡시-2-(3',5'-디메톡시페닐)-4-퀴놀론, 및
    1-메틸-5-메톡시-2-(2'-메톡시페닐)-4-퀴놀론.
KR1020140028401A 2014-03-11 2014-03-11 1-알킬-2-페닐-4-퀴놀론의 제조방법 KR101620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401A KR101620158B1 (ko) 2014-03-11 2014-03-11 1-알킬-2-페닐-4-퀴놀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401A KR101620158B1 (ko) 2014-03-11 2014-03-11 1-알킬-2-페닐-4-퀴놀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483A KR20150106483A (ko) 2015-09-22
KR101620158B1 true KR101620158B1 (ko) 2016-05-13

Family

ID=5424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401A KR101620158B1 (ko) 2014-03-11 2014-03-11 1-알킬-2-페닐-4-퀴놀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158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ll. Korean Chem. Soc. 2008. Vol. 29, No. 9, pp. 1853-1856*
Synthesis. 2013. Vol. 45, pp. 205-2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483A (ko)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78414C2 (ru) Производные пиперазина и пиперидина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AU728329B2 (en) New substituted biphenyl or phenylpyridine compound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4633462B2 (ja) 3−ハロ−4,5−ジヒドロ−1h−ピラゾールの製造方法
DK143275B (da) Analogi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1-(3-dimethylaminopropyl)-phthalanderivater eller syreadditionssalte deraf
JP5208239B2 (ja) アルキンカップリングによる抗がん活性三環式化合物の新規製法
EP3368531A1 (en) Intermediates to prepare pyridazinone herbicides, and a process to prepare them
CZ2016627A3 (cs) Způsob přípravy (7-fenoxy-4-hydroxy-1-methylisochinolin-3-karbonyl)glycinu (roxadustatu) a jeho intermediátů založený na souběžném otevírání oxazolového kruhu, štěpení etheru a tvorbě iminu
JP2014503558A (ja) ジャイレースおよびトポイソメラーゼiv阻害剤を作製するプロセス
JP2017533234A (ja) ルテニウム触媒作用によるアゾベンゾール類からのビフェニルアミン類の製造方法
D'hooghe et al.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trans-and cis-2-aryl-3-(hydroxymethyl) aziridines through transformation of 4-aryl-3-chloro-β-lactams and study of their ring opening
HU178354B (en) Process for preparing 5-substituted 1,2-dihydro-3h-pyrrolo/1,2-a/-pyrrol-1-carboxylic acid derivatives from the corresponding nitriles
Zhang et al. Copper (I)‐Catalyzed Intramolecular N‐N Coupling of Cyclopropyl O‐Acyl Ketoximes: Synthesis of Spiro‐fused Pyrazolin‐5‐ones
Baranac-Stojanović et al. Transformations of 2-alkylidene-4-oxothiazolidine vinyl bromides initiated by bromophilic attack of neutral and anionic nucleophiles
KR101620158B1 (ko) 1-알킬-2-페닐-4-퀴놀론의 제조방법
Grigg et al. Dihydrofurocoumarin and dihydrofurodihydropyrid-2-one derivatives via palladium catalysed cascades involving aryl/heteroaryl/vinyl iodides and allene followed by acid catalysed cyclisation
Wei et al. Palladium (0)-catalyzed 5-exo-dig O-cyclization/coupling of ethyl 3-(2-alkynylphenyl)-3-oxopropanoates with aryl iodides to 1, 3-dihydroisobenzofurans
WO2012000154A1 (zh) 一种5-芳甲氧基苯基吡唑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
Tohda et al. Synthesis via 2-Acylmethyl-2-oxazoline. I. A Novel Synthesis of 3-Acyl-2-pyridones by Michael Addition of 2-Acylmethyl-2-oxazoline to. ALPHA.,. BETA.-Acetylenic Ketones.
Gu et al. An Efficient One‐pot Synthesis of Aryl‐substituted 1‐(Thiazol‐2‐yl)‐1H‐pyrazole‐3‐carboxylates via a Hantzsch Synthesis‐Knorr Reaction Sequence
JP2016518309A (ja) ピリダジン化合物の製造方法
RU242923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замещенных бензофуран-5,6-дикарбонитрилов
JP2023538572A (ja) キノロ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e An efficient synthesis of 2-phenyl-4H-1-benzothiopyran-4-ones from thiosalicylic acid
Maruoka et al. Synthesis of 1‐acyl‐1, 2‐dihydro‐3H‐pyrazol‐3‐ones VIA lewis acid‐mediated rearrangement of 3‐acyloxypyrazoles
Derbala Chemoselectivity of 2‐Arylmethyleneaminoisoindolin‐1, 3‐diones toward Arenes under Friedel–Crafts Conditions: An Efficient Synthesis of Benzophenones Integrated with 2‐Substituted Hydrazone Moie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