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281B1 - 캡슐내시경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캡슐내시경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281B1
KR101619281B1 KR1020140115324A KR20140115324A KR101619281B1 KR 101619281 B1 KR101619281 B1 KR 101619281B1 KR 1020140115324 A KR1020140115324 A KR 1020140115324A KR 20140115324 A KR20140115324 A KR 20140115324A KR 101619281 B1 KR101619281 B1 KR 101619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rtv
capsule endoscop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432A (ko
Inventor
이병석
박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to KR1020140115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2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5Control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내시경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로서, 상기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와, 상기 영상수신부로 수신된 상기 영상신호에서 키 프레임(Key Frame)을 추출하여 요약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요약영상 생성부와, 상기 영상수신부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을 실시간 재생하는 RTV(Real-Time View) 기능과 상기 요약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요약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요약영상 생성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수신부와 상기 요약영상 생성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발명이다.

Description

캡슐내시경 수신장치{Device for Receiving of Capsule Endoscope}
본 발명은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에 있어서, 특히 캡슐내시경을 통해 수신되는 체내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시술이 완료된 후 요약영상을 제공하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부의 정보, 특히 의학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피검자의 입 또는 항문을 통해 케이블에 부착된 내시경을 삽입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도선 또는 광섬유로 이루어진 케이블을 통해 내시경을 직접 제어할 수 있어 인체 내부의 데이터를 확보하기 용이하기지만, 피검자에게는 큰 고통이 따르게 된다. 또한, 소장과 같은 장기는 피검자의 입 또는 항문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의 체강 직경이 작아서 상술한 내시경 방법으로 검사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고려하여 캡슐내시경 시스템이 등장하였는데, 피검사자가 구강을 통해 캡슐내시경을 삼키면, 상기 캡슐내시경이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해 인체 내에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여 인체 외부의 수신장치로 전송 및 출력하도록 구현된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캡슐내시경 시스템의 경우, 캡슐내시경을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수신장치의 비휘발성 대용량 메모리장치에 기록되며, 해당 영상데이터는 추후 진단자의 PC로 업로딩(Uploading) 과정을 통해 전송되어 진단 프로그램의 분석과정을 거쳐 병증을 판독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매우 긴 시간(최대 12시간) 동안의 시술을 통해 영상데이터를 획득함에 따라, 메모리장치의 파손이나 수신장치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판독에 필요한 중요 데이터가 손실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시술이 종료된 후에도, 해당 시술 케이스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는지 여부와 영상 및 시술과정에 관련된 요약 정보를 알고자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RTV(Real-Time View) 방식의 경우에는 캡슐내시경이 임시 버퍼에 저장된 영상을 전송하므로, 실제 영상데이터가 메모리장치에 물리적으로 기록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으며, 해당 RTV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특정 의료용 컴퓨터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RTV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USB 시스템의 경우, USB 채널을 통한 전기적 충격이 유입될 수 있으며, 해당 전기적 충격이 인체에도 유입 되거나 또는 전기적 충격으로 인하여 RTV 기능을 상실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전기적 충격으로 인한 RTV의 기능이 상실됨을 방지하고 또한 환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RTV Viewer와 수신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 제거를 위해 무선 RTV 기능을 도입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선 RTV를 도입한 캡슐내시경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캡슐내시경 시스템은 무선 RTV 기능이 도입되어 구성되며, 캡슐내시경(110), 수신장치(120) 및 무선단말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종래기술에 따른 무선 RTV 기능이 도입된 캡슐내시경 시스템은 인체 내에 삽입되어 체내 영상을 획득하는 캡슐내시경(110)과 상기 캡슐내시경(110)으로부터 수신되는 체내 영상을 변환 및 저장하는 수신장치(120) 및 상기 수신장치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무선단말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종래기술에 따른 무선 RTV 기능이 도입된 캡슐내시경 시스템의 경우, 별도의 무선단말기(130)를 필요로 한다는 불편함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내시경을 통해 장시간에 걸쳐 취득되는 영상을 메모리장치에 저장하되, 해당 메모리장치의 파손이나 수신장치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에 중요 데이터가 손실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술 후 영상 및 해당 영상의 요약정보(Summary) 를 취득할 수 있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USB 방식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 유입의 위험성을 방지하고, RTV(Real-Time View) 방식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별도 단말기 사용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캡슐내시경 시술 도중에는 사용할 수 없었던 영상의 판독이 가능하도록 재생, 정지 및 되감기 등과 같은 제어를 통해 시술 중에도 영상판독을 위한 재생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는, 캡슐내시경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로서, 상기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와, 상기 영상수신부로 수신된 상기 영상신호에서 키 프레임(Key Frame)을 추출하여 요약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요약영상 생성부와, 상기 영상수신부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을 실시간 재생하는 RTV(Real-Time View) 기능과 상기 요약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요약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요약영상 생성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수신부와 상기 요약영상 생성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수신부로 수신된 영상신호와 상기 요약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요약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영상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주영상저장메모리, 보조영상저장메모리, 그리고 RTV 영상저장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주영상저장메모리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영상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저장영역을 상기 주영상저장메모리에서 상기 보조영상저장메모리로 전환하고, 상기 저장영역이 전환되는 동안에 상기 영상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RTV 영상저장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영역의 전환이 완료되는 시점에 상기 RTV 영상저장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된 영상신호를 상기 보조영상저장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부에 포함되는 메모리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RTV 기능의 수행 중에, 온스크린 방식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온스크린 RTV 모드, 상기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에 연결된 USB를 통해 영상을 저장하는 USB 모드, 그리고 무선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영상을 저장하는 무선 RTV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스크린 RTV 모드, 상기 USB 모드, 그리고 무선 RTV 모드의 순으로 동작 우선순위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요약영상 생성부는 상기 영상수신부로 수신된 영상신호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신호에서 영상의 특징을 검출하여 상기 키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요약영상 생성부와 연동하여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영상의 특징을 검출하는 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영상수신부로 수신된 영상신호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신호에서 앞뒤 영상 간에 변화가 발생한 부분의 범위와, 그 변화가 발생한 부분의 색상 차이로서 상기 영상의 특징을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RTV 기능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과 상기 요약영상 생성기능에 따라 재생되는 요약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영상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해 온스크린 방식의 터치패널 형태로 구현되는 제어버튼을 구비하는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버튼은 상기 RTV 기능에 따른 영상 재생 또는 상기 요약영상 생성기능에 따른 영상 재생과 관련하여 재생, 정지, 되감기 및 저장을 위한 버튼들과, 영상디스플레이 영역에 전체적으로 하나의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형태와 상기 영상디스플레이 영역에 여러 개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형태와 상기 영상디스플레이 영역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 그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동시에 보여주는 형태를 포함하는 다수 형태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방식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에 의하면, 장시간 취득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장치의 파손 혹은 수신장치의 오동작에 대비하여 시스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캡슐내시경 시스템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요약 영상을 제공하는 요약 영상 생성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및 관련정보를 쉽고 빠르게 취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USB 혹은 RTV(Real-Time View)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캡슐내시경 시스템에서는 시술 중에 사용할 수 없었던 영상 판독이 가능하여 시술 중에 관심 영상을 간편하게 재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선 RTV를 도입한 캡슐내시경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의 구성을 예시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알람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에서 제공되는 요약 영상 생성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에서 제공되는 RTV(Real-Time View)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은 폭넓은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한 구조, 기능 또는 이들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서 제시되는 하나의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이러한 양상들이 다양한 방식들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더하여 또는 이들 양상들이 아닌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이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캡슐내시경이란, 인체 내에 삽입되어 체내 영상을 획득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캡슐내시경은 절연체로 구성된 하우징(housing),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 및 영상을 취득하는 촬상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캡슐내시경에 적용되는 촬상소자는 CMOS(Complemer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및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센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발광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의 발광주기는 촬상소자의 촬상주기에 따라 조절되거나, 캡슐내시경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내시경은 체내 영상 외에도, 음향 정보와 조직 정보, PH 정보, 온도 정보, 전기적 임피던스 정보 등을 더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신장치란,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되는 체내 영상을 수신,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온스크린(On-Screen) 방식으로 구현되는 다수 개의 제어버튼을 구비하여 영상의 재생, 되감기, 정지 또는 저장 등 재생옵션 선택하고 또한 그 제어버튼을 통해 제어를 위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수신장치는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되는 체내 영상을 실시간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RTV(Real-Time View)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체내 영상을 이용해 요약(Summary) 영상을 생성하는 요약영상 생성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는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RTV 기능과 요약영상 생성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RTV(Real-Time View)란,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되는 체내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실시간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RTV는 피검자가 캡슐내시경 시술을 행하고 있을 경우에만 가능한 것으로, 해당 시술 도중에 캡슐내시경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RTV 기능은 캡슐내시경을 통해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 외에도 제어버튼을 통한 선택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방식을 다양하게 변경하는 기능을 통해서 해당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요약영상 생성기능이란,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체내 영상으로부터 특정 프레임을 추출하여 요약(Summary) 영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즉, 시술이 완료된 후 사용자 선택에 의해 요약 영상 생성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수신장치는 일부 키 프레임을 추출하여 전체 시술영상에 대한 요약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요약(Summary) 영상이란,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수신되는 체내 영상으로부터 특정 키 프레임(Key Frame)을 추출하여 생성한 영상을 의미한다. 즉,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수신되는 체내 영상이 수신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온스크린(On-Screen) 형태로 제공될 경우, 요약 영상은 하나의 키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정지영상 또는 복수 개의 키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키 프레임(Key Frame)이란,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수신되는 체내 영상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추출된 프레임을 의미한다. 즉,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체내 영상이 수신되면, 시술이 완료된 후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저장된 영상의 특징을 검출함으로써 키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키 프레임은 재생 중인 영상에 대해 버튼을 사용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정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키 프레임을 판독하기 위해 적용되는 영상처리 알고리즘은 앞뒤 영상 간에 변화가 발생한 부분의 범위와, 그 변화가 발생한 부분의 색상 차이로서 영상의 특징을 검출하고, 그로부터 키 프레임 여부를 판단한다. 즉, 영상처리 알고리즘은 수신되는 영상 또는 저장된 영상에서 현재 영상을 이전 영상을 비교하여 특정 기준 이상의 변화가 발생된 부분의 범위와, 그 변화가 발생된 부분에서의 색상정보를 통해서 추출할 키 프레임을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시스템에서 수신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시스템은 캡슐내시경(210) 및 수신장치(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캡슐내시경(210)은 인체 내에서 체내 영상을 획득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장치로서, 인체의 소화기관을 따라 이동하면서 해당 기관의 내부를 촬영하는 방식으로 체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캡슐내시경(210)은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 및 영상을 취득하는 촬상소자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촬상소자는 CMOS(Complemer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및 CCD(Charge-Copled Device) 이미지센서를 통해 구현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LED의 발광주기는 촬상소자의 촬상주기에 따라 조절되거나, 캡슐내시경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슐내시경은 인체 내의 음향 정보와 조직 정보, PH 정보, 온도 정보, 전기적 임피던스 정보 등을 더 획득하여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장치(220)는 상기 캡슐내시경(210)으로부터 전송되는 체내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수신부(310), 요약영상 생성부(320), 영상처리부(330), 제어부(340), 저장부(350), 디스플레이부(360) 및 알람부(37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요약영상 생성부(320)와 영상처리부(330)와 제어부(340)는 하나의 제어기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그 구성을 기능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영상수신부(310)는 상기 캡슐내시경(210)으로부터 획득되는 체내 영상을 실시간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수신부(310)는 상기 캡슐내시경(210)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수신부(310)는 인체 통신 방식으로 상기 캡슐내시경(210)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피검자의 신체에 특정 전파 수신기 형태로 장착되어 상기 체내 영상의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330)는 영상수신부(310)로 수신된 영상신호에서 특징을 검출하여 캡슐내시경(210)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시술이 완료된 후에 요약 영상을 생성할 때 키 프레임을 추출하여 요약영상 생성부(320)와 함께 시술에 대한 요약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영상처리부(330)는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영상신호에서 특징을 검출할 수 있다.
요약영상 생성부(320)에서 생성되는 요약 영상은 하나의 키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정지영상이거나 복수의 키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동영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프레임이 선택될 경우, 제어부(340)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레임을 키 프레임으로 추출하고, 그 추출된 키 프레임을 재생 가능한 동영상 포맷으로 변환하여 요약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4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서 수신장치(220)를 제어한다. 제어부(340)는 디스플레이부(360)에 구현되는 제어버튼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버튼은 디스플레이부(360)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360)의 일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40)의 제어 동작은 제어버튼을 통한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데, 제어버튼은 수신장치(220)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제어를 위한 버튼과 온스크린 형태로 구성되는 RTV 기능에서 영상판독을 위한 재생관련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버튼들은 수신장치(220)의 기능 또는 동작 시점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 버튼들이 디스플레이부(36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60)는 수신장치(220)의 기능 또는 동작 순서에 따라서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온스크린 상에 구성되는 다수 버튼들을 구비한다. 제어부(340)는 디스플레이부(360)에 구비되는 버튼들 중 화면 전환 버튼을 통해 화면 전환을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영상만 보여주는 형태, 여러 개의 영상을 동시에 보여주는 형태,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보여주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방식을 변경(전환)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36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방식에는 영상디스플레이 영역에 전체적으로 하나의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형태와 상기 영상디스플레이 영역에 여러 개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형태와 상기 영상디스플레이 영역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 그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동시에 보여주는 형태를 포함하는 다수 형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환 버튼은 그 형태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방식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이다.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캡슐내시경(210)으로부터 수신되는 체내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6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340)는 RTV(Real Time View)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영상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따른 전체 영상데이터를 실시간 재생하거나, 요약영상 생성기능이 수행된 후 생성된 요약 영상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영상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전체 영상데이터를 실시간 재생하는 RTV(Real-Time View) 기능 혹은 상기 요약영상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요약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요약영상 생성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40)는 버튼을 통한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RTV 기능이 선택되어 수행 중인 경우, 온스크린(On-Screen) RTV 모드, USB 모드 또는 무선 RTV 모드 등을 제공하여 선택되는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수신장치(220)의 영상 녹화에 관련된 동작모드를 체크하는 동작모드 체크기능 및 상기 영상 녹화를 위해 사용되는 물리적 메모리의 상태를 체크하는 메모리상태 체크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모드 체크기능 또는 메모리상태 체크기능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50)는 주영상저장메모리와 보조영상저장메모리와 RTV 영상저장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로써, 주영상저장메모리와 보조영상저장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고, RTV 영상저장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수신부(31)로 수신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주영상저장메모리나 보조영상저장메모리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 주영상저장메모리와 보조영상저장메모리, RTV 영상저장 메모리를 이용하여 메모리 이상에 대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주영상저장메모리나 보조영상저장메모리에 이상이 발생되면 주영상저장메모리와 보조영상저장메모리의 역할이 변경되며, 변경되는 기간 동안에 영상수신부(310)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는 RTV 영상저장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된다. 메모리의 역할 변경이 완료된 시점에는 기존 영상데이터에 이어서 임시로 저장된 영상데이터가 주영상저장메모리나 보조영상저장메모리에 기록되고, 그 이후에는 실시간으로 영상이 주영상저장메모리나 보조영상저장메모리에 기록된다. 상기에서 메모리의 역할을 변경함은 영상데이터의 저장영역을 전환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주영상저장메모리에 이상이 발생하면 주영상저장메모리에 저장된 기존 영상데이터에 이어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는 RTV 영상저장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하고, 이후 보조영상저장메모리가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역할 변경이 완료되는 시점에는 RTV 영상저장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된 영상데이터가 보조영상저장메모리에 기록되고, 그 이후에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영상이 보조영상저장메모리에 계속 기록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동작모드 체크기능을 통해서 상기 수신장치(220)가 녹화 대기(Prepared), 녹화 중(Recording) 및 녹화완료(Recorded) 중 어느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상태 체크기능을 통해서 상기 수신장치(220)에 구비된 메모리의 파손 여부 또는 데이터 기록가능 여부 등을 체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영상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각 영상 프레임을 재생 가능한 동영상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해당 프레임의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상기 화면 전환 기능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360)의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면 전환 기능은 화면 전환 버튼의 선택에 따른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부(340)가 디스플레이부(360)를 제어하여 수행되는 기능이다.
상기 저장부(350)는 상기 영상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따른 전체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요약영상 생성부(320)를 통해 생성되는 요약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35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특정 구간의 영상데이터 또는 특정 프레임 등을 더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장치(220)의 구동 전반에 사용되는 데이터 및 명령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60)는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재생되는 각종 영상데이터들을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재생 중인 영상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을 온스크린(On-Screen)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360)는 상기 영상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따른 전체 영상데이터 및 상기 요약영상 생성부(320)를 통해 생성된 요약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한 상기 전체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요약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널(touch panel) 형태의 버튼을 구비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들은 상기 전체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요약 영상 데이터의 판독을 위한 재생에 관련된 버튼으로서, 재생버튼, 정지버튼, 되감기버튼 및 저장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60)는 터치 패널(touch panel) 형태로 구현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신장치(220)의 디스플레이 화면 전면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370)는 상기 제어부(340)를 통해 수행되는 메모리상태 체크기능 또는 동작모드 체크기능에 이상에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람부(370)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및 스피커(Speaker) 등을 통해 이상 발생에 따른 경고사항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람부(370)는 사용자가 녹화와 관련된 이상 발생 상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LED를 통해 경고등을 동작시키거나,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의 구성을 예시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의 전면에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영상디스플레이 영역 및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영상디스플레이 영역은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따른 전체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수신장치가 상기 영상신호를 가공하여 생성한 요약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영역은 재생 중인 영상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을 온스크린(On-Screen) 방식의 터치패널(touch panel)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은 상기 영상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진행을 위한 재생명령을 생성하는 재생(Play)버튼, 상기 재생명령에 따라 재생 중인 영상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정지를 위한 정지명령을 생성하는 정지(Stop)버튼, 상기 재생 중인 영상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되감기 위한 되감기명령을 생성하는 되감기(Rewind)버튼, 상기 재생 중인 영상데이터를 저장(또는 녹화)하기 위한 저장명령을 생성하는 저장(Save)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 전환 또는 디스플레이 방식의 변경을 위한 전환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들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재생, 되감기, 정지 및 저장 등의 아이콘(Icon)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화면 터치(touch)에 의해 발생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신장치(220)의 디스플레이 화면 전면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알람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는 녹화와 관련된 기능에서 이상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LED 및 스피커 등을 통해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수신장치는 영상 녹화와 관련된 동작모드를 체크하는 동작모드 체크기능(510)과 상기 영상 녹화를 위해 사용되는 물리적 메모리 상태를 체크하는 메모리상태 체크기능(520)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모드 체크기능(510) 또는 메모리상태체크 기능(520)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 기능(530)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작모드 체크기능(510)을 통해서 상기 수신장치가 녹화 대기(Prepared), 녹화 중(Recording) 및 녹화완료(Recorded) 중 어느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상태 체크기능(520)을 통해서 상기 수신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장치의 파손 여부 또는 데이터 기록가능 여부 등을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작모드 체크기능 또는 메모리상태 체크기능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저장부를 구성하는 메모리들을 이용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알람기능(5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장치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및 스피커(Speaker) 등을 통해 이상발생에 따른 경고사항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영상을 녹화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장치의 동작모드가 녹화 대기(Prepared) 모드인지를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장치의 동작모드가 녹화 대기 모드이면, 상기 특정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가 파손되거나 더이상 쓰기가 불가능한 Full 상태인지, 쓰기 또는 읽기 등의 엑세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영상을 녹화하기 위한 모든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녹화를 진행하고, 상기 특정 영상을 녹화하기 위한 조건들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동작을 중지하고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알람을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수신장치는 사용자가 녹화와 관련된 이상 발생 상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LED를 통해 경고등을 동작시키거나,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는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송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전체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RTV(Real-Time View) 기능 및 상기 송신된 전체 영상데이터에서 특정 프레임을 추출하여 가공/생성한 요약 영상데이터를 저장 및 재생하는 요약영상 생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장치는 버튼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RTV 기능 및 상기 스캐닝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장치에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장치는 기능 전환을 위한 버튼의 선택에 따른 제어명령의 입력을 통해서 선택된 메뉴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기능에 대한 제어신호에 매칭되어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RTV 기능은 상기 수신장치의 동작모드가 녹화 중인 상태에만 동작 가능하며, 상기 요약영상 생성 기능은 상기 수신장치의 동작모드가 녹화 완료인 상태에서 동작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에서 제공되는 기능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에서 제공되는 요약 영상 생성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에서 제공되는 RTV(Real-Time View)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RTV(Real-Time View)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수신장치가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RTV 기능을 위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RTV 기능을 실행한다[S610, S620]. 즉,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장치는 RTV 기능 또는 요약영상 생성기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기능의 버튼이 선택되어 해당 기능의 실행을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RTV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수신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온스크린(On-Screen) RTV 실행이 선택되면, 상기 수신장치는 해당 영상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고, 해당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630, S640, S690]. 즉, 상기 RTV 기능 실행이 선택되면, 상기 수신장치는 메뉴 화면을 다시 제공하여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수신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공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수신장치를 통해 RTV 영상을 제공받기 위한 선택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수신장치는 해당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RTV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실시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캡슐내시경이 촬영하고 있는 피검자의 장기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온스크린(On-Screen) RTV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장치는 USB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630, S650]. 그리고 이때, 상기 수신장치에 USB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연결된 USB로 영상데이터를 송신하여 메모리에 해당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660, S690] 즉, 상기 RTV 기능이 실행된 이후 다시 제공된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RTV 영상을 제공받기 원하지 않는다는 특정 선택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RTV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공하지 않고 메모리에 곧바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수신장치는 USB 연결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USB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USB를 통해 영상데이터를 전송하여 그 USB에 연결된 메모리에 해당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신장치에 USB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통신 연결이 유효한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와이파이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와이파이를 통해 정해진 외부 메모리로 해당 영상을 송신하여 저장한다[S670, S680, S690]. 즉, 상기 수신장치에 USB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장치는 무선 통신 연결 여부를 다시 확인하여 지원 가능한 무선 통신 연결이 유효하면, 해당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RTV 영상을 외부 메모리에 전송하여 곧바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RTV 기능은 스위칭을 통한 모드 전환방식으로 서브 메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3가지의 해당 서브 메뉴들은 온스크린 방식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온스크린 RTV 모드, USB를 통해 영상을 저장하는 USB 모드,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영상을 저장하는 무선 RTV 모드 순으로 우선순위를 갖는다.
따라서, 온스크린 RTV 모드가 사용자에 의해 켜져 있는 경우에는 USB 모드 및 무선 RTV 모드는 동작하지 않으며, 꺼져있는 경우에는 USB 연결 상태와 무선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하위 모드의 순차적인 선택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는 요약영상 생성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수신장치가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어 영상 수신이 완료되어 시술이 종료되면, 사용자의 기능 선택에 따라 요약영상 생성기능을 실행한다[S710, S720]. 이후, 요약영상 생성부가 영상처리부와 연동하여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영상신호의 특징을 검출하고, 그에 따라 키 프레임(Key Frame)을 추출할 수 있다[S730, S740]. 그리고,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추출된 키 프레임을 이용해 요약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요약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750]. 즉,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추출된 키 프레임을 이용해 요약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데, 상기 추출된 키 프레임이 연결되는 프레임 없이 단독 프레임일 경우, 상기 수신장치는 해당 프레임을 정지영상 형태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추출된 키 프레임에 복수 혹은 다수의 연결 프레임이 존재할 경우, 상기 수신장치는 해당 프레임을 해당 장치의 디스플레이 포맷에 상응하도록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집된 정보를 해당 프레임과 함께 변환하여 저장함으로써, 추후에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경우에도 해당 영상과 관련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추출된 각 키 프레임의 데이터는 요약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포맷으로 변환되며, 해당 프레임의 영상 품질, 프레임 넘버, 모뎀 채널 환경 정보, 캡슐 정보 등의 정보 데이터를 각 프레임의 특정 위치 헤더 부분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프레임들이 비디오를 위한 동영상으로의 구성이 이루어지면, 해당 정보들이 물리적 메모리 장치에 연속하여 기록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상기 요약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을 요청하는 재생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요약 영상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한다[S760, S770]. 즉, 상기 수신장치는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의해 입력되는 재생명령을 수신하여 요약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약 영상은 사전에 수집된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에 온스크린(On-Screen)으로 구비되는 재생, 정지, 되감기 및 저장 등의 영상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통해 재생이 자유자재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슐내시경 수신장치는 캡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내시경 시술 중에 혹은 시술이 종료된 후에 언제든지 수신장치만을 이용(복잡한 진단 프로그램 또는 장비 없이)해서 녹화된 영상을 재생하여 확인할 수 있고, 대략적인 시술과정을 요약한 요약 영상 및 관련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기존 수신장치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온스크린 방식의 요약 영상 생성 및 재생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의 호스트 PC와의 연결 등과 같은 불편을 최소화하고, 보다 쉽고 빠르게 시술의 대략적인 정보를 얻어낼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10 : 캡슐내시경 220 : 수신장치
310 : 영상수신부 320 : 요약영상 생성부
330 : 영상처리부 340 : 제어부
350 : 저장부 360 : 디스플레이부
370 : 알람부

Claims (11)

  1. 캡슐내시경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
    상기 영상수신부로 수신된 상기 영상신호에서 키 프레임(Key Frame)을 추출하여 요약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요약영상 생성부;
    상기 영상수신부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을 실시간 재생하는 RTV(Real-Time View) 기능과 상기 요약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요약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요약영상 생성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수신부와 상기 요약영상 생성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RTV 기능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과 상기 요약영상 생성기능에 따라 재생되는 요약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영상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해 온스크린 방식의 터치패널 형태로 구현되는 제어버튼을 구비하는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수신부로 수신된 영상신호와 상기 요약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요약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영상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주영상저장메모리, 보조영상저장메모리, 그리고 RTV 영상저장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주영상저장메모리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영상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저장영역을 상기 주영상저장메모리에서 상기 보조영상저장메모리로 전환하고, 상기 저장영역이 전환되는 동안에 상기 영상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RTV 영상저장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영역의 전환이 완료되는 시점에 상기 RTV 영상저장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된 영상신호를 상기 보조영상저장메모리에 기록하는 캡슐내시경의 수신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포함되는 메모리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TV 기능의 수행 중에, 온스크린 방식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온스크린 RTV 모드, 상기 캡슐내시경 수신장치에 연결된 USB를 통해 영상을 저장하는 USB 모드, 그리고 무선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영상을 저장하는 무선 RTV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스크린 RTV 모드, 상기 USB 모드, 그리고 무선 RTV 모드의 순으로 동작 우선순위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영상 생성부는,
    상기 영상수신부로 수신된 영상신호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신호에서 영상의 특징을 검출하여 상기 키 프레임을 추출하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영상 생성부와 연동하여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영상의 특징을 검출하는 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영상수신부로 수신된 영상신호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신호에서 앞뒤 영상 간에 변화가 발생한 부분의 범위와, 그 변화가 발생한 부분의 색상 차이로서 상기 영상의 특징을 검출하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버튼은,
    상기 RTV 기능에 따른 영상 재생 또는 상기 요약영상 생성기능에 따른 영상 재생과 관련하여 재생, 정지, 되감기 및 저장을 위한 버튼들과, 영상디스플레이 영역에 전체적으로 하나의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형태와 상기 영상디스플레이 영역에 여러 개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형태와 상기 영상디스플레이 영역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 그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동시에 보여주는 형태를 포함하는 다수 형태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방식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캡슐내시경 수신장치.
KR1020140115324A 2014-09-01 2014-09-01 캡슐내시경 수신장치 KR101619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324A KR101619281B1 (ko) 2014-09-01 2014-09-01 캡슐내시경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324A KR101619281B1 (ko) 2014-09-01 2014-09-01 캡슐내시경 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432A KR20160026432A (ko) 2016-03-09
KR101619281B1 true KR101619281B1 (ko) 2016-05-10

Family

ID=5553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324A KR101619281B1 (ko) 2014-09-01 2014-09-01 캡슐내시경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2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3912A (ja) 2012-03-08 2013-09-19 Olympus Corp 画像要約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3912A (ja) 2012-03-08 2013-09-19 Olympus Corp 画像要約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432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5843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for improvement of reproduction image quality
EP2682050B1 (en) Medical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US8817077B2 (en) Endoscope system
US20150031954A1 (en) Capsule endoscope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US1124584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WO2012005108A1 (ja) 画像記録再生システム
KR100896773B1 (ko) 캡슐 내시경 시스템 및 그 타임 쉬프트 기능 구현 방법
JPWO2015114901A1 (ja) 医療用動画記録再生システム及び医療用動画記録再生装置
JP2007089056A (ja) 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光信号発信装置
WO2017010114A1 (ja) 撮像装置及び電子内視鏡システム
US2012019828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619281B1 (ko) 캡슐내시경 수신장치
JP4964572B2 (ja) 動画記録再生装置
WO2020039593A1 (ja) 画像記録再生装置及び内視鏡システム
KR0155895B1 (ko) 내시경 수술시스템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4024340A (ja) 内視鏡装置
JP2007082630A (ja) 統合手術室制御システム
KR101257784B1 (ko) 캡슐 내시경 시스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21133083A (ja) 医用画像録画装置およびx線撮像装置
CN111538457A (zh) 内窥镜摄像系统、摄像主机及其数据存储方法
JP6033523B1 (ja) 撮像装置及び電子内視鏡システム
JP2007175430A (ja) 内視鏡装置
JP6912925B2 (ja) 画像記録再生装置及び内視鏡システム
JP2017006260A (ja) 内視鏡装置
JP4418327B2 (ja) 受信装置および医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