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123B1 -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 - Google Patents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123B1
KR101619123B1 KR1020150152198A KR20150152198A KR101619123B1 KR 101619123 B1 KR101619123 B1 KR 101619123B1 KR 1020150152198 A KR1020150152198 A KR 1020150152198A KR 20150152198 A KR20150152198 A KR 20150152198A KR 101619123 B1 KR101619123 B1 KR 101619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transfer
path
discharg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옥
Original Assignee
(주)한양스크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양스크류 filed Critical (주)한양스크류
Priority to KR1020150152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47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3Venting or dega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이송로가 중심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어 상기 이송로의 형성 방향과 교차되게 수지가 투입되는 수지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지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되는 수지가 가열되어 상기 이송로를 따라 상기 제2 단부측으로 이송되는 양단 관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단부에 결합되어 금형측으로 가열된 수지를 주입시키는 노즐 어셈블리; 상기 이송로에 정, 역회전 및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측을 향하여 직경이 가변되는 이송 몸체와, 상기 이송 몸체를 따라 피치가 가변되는 이송 나선을 포함하는 이송 스크류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수지 투입구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관통되어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는 가스 배출구에 장착되어 가열되어 이송되는 상기 수지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제1 배출부; 및 상기 노즐 어셈블리에 형성되며, 상기 수지가 상기 금형측으로 이송되게 상기 이송로와 연결된 주입로와 연통하여 상기 금형에 가열된 상기 수지가 주입되기 직전에 상기 수지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스 배출을 원활히 하여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MOLDING MACHINE WITH GAS VENTING FUNCTION}
본 발명은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배출을 원활히 하여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기를 통한 성형제품은 용융상태의 수지의 정량공급에 의해 제품이 제작되며, 수지의 공급은 중공의 관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스크류를 통해 공급되고, 최종 노즐을 통해 사출기의 금형에 정량 주입됨으로써 제품의 사출이 이루어진다.
통상 자동화 공정으로 수지의 주입공급에 따라 제품을 성형하는 사출기의 특성상 금형에 수지의 공급시간은 이상적인 제품성형을 위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하나, 상기와 같이 수지의 흐름이 균일하지 않은 조건하에서는 사출제품의 불량이 다량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관체에 어댑터로 연결 설치된 노즐 내부에서 수지의 공급이 금형 쪽으로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적에서 노즐 몸체의 내경으로부터 체크링이 설치되고, 체크링을 관통하는 니들이 관체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수지의 공급압력에 의해 작용하는 스프링의 탄성으로 하여금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지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노즐장치가 있다.
그러나 상기 노즐의 내경과 니들의 외측둘레를 따라 공급되는 수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체 내부의 이송스크류를 따라 노즐로 공급되는 수지의 흐름이 실질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조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양질의 제품을 얻기 위한 사출성형조건을 만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공개특허 제10-2013-0134491호의 "수지 공급 노즐용 니들"(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최종 압출측의 통공을 통해서만 가스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수지를 최초 투입하여 이송되는 도중에 적체되는 수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배출에는 한계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3-01344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가스 배출을 원활히 하여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이송로가 중심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어 상기 이송로의 형성 방향과 교차되게 수지가 투입되는 수지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지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되는 수지가 가열되어 상기 이송로를 따라 상기 제2 단부측으로 이송되는 양단 관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단부에 결합되어 금형측으로 가열된 수지를 주입시키는 노즐 어셈블리; 상기 이송로에 정, 역회전 및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측을 향하여 직경이 가변되는 이송 몸체와, 상기 이송 몸체를 따라 피치가 가변되는 이송 나선을 포함하는 이송 스크류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수지 투입구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관통되어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는 가스 배출구에 장착되어 가열되어 이송되는 상기 수지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제1 배출부; 상기 노즐 어셈블리에 형성되며, 상기 수지가 상기 금형측으로 이송되게 상기 이송로와 연결된 주입로와 연통하여 상기 금형에 가열된 상기 수지가 주입되기 직전에 상기 수지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제2 배출부; 및 상기 이송로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상기 가스 배출구의 하단부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1 배출부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단부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수지의 일부가 상기 이송로의 내주면에 응착되는 것을 제한하는 응착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몸체는, 상기 제1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제1 직경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제1 직선 이송부와, 상기 제1 직선 이송부의 단부로부터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연장되는 제1 테이퍼 이송부와, 상기 제1 테이퍼 이송부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중간 분산 이송부와, 상기 중간 분산 이송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3 직경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제2 직선 이송부와, 상기 제2 직선 이송부의 단부로부터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연장되는 제2 테이퍼 이송부와, 상기 제2 테이퍼 이송부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상기 제3 직경보다 큰 제4 직경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최종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나선은 상기 이송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중간 분산 이송부와 상기 제2 직선 이송부의 상호 연결부와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송 나선은, 상기 제1 직선 이송부와 상기 제1 테이퍼 이송부의 외주면을 따라 제1 길이의 피치로 형성되는 제1 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에 대하여 상기 제1 나사산 각각이 제1 각도를 이루는 제1 나선부와, 상기 중간 분산 이송부의 상기 제1 단부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2 단부측 가장자리에 양단부가 배치되고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상기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를 이루는 분산홈이 복수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분산 나선부와, 상기 제2 직선 이송부와 상기 제2 테이퍼 이송부 및 상기 최종 이송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의 피치로 형성되는 제2 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상기 제2 나사산 각각이 제1 각도를 이루는 제2 나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나선부와 상기 제2 나선부를 이루는 상기 제1 나사산과 상기 제2 나사산 각각의 직경은 일정하고,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이송로와 직교되게 연통되며 장공 형상의 상기 가스 배출구가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1 배출 유로와, 상기 제1 배출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일부가 절개 형성되는 안착홈부와, 상기 제1 배출 유로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일정 길이로 연통되는 제2 배출 유로가 외측면까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부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 고정되는 배출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 유로는 상기 안착홈부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출 유로의 상단부는 상기 안착홈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배출 유로의 하단부는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며, 상기 응착 방지부는, 상기 가스 배출구의 하단부 가장자리 주변부로부터 상기 가스 배출구의 내주면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응착 방지 경사면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배출부의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응착 방지 경사면부 주변의 상기 수지를 가열시키는 응착 방지 히터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응착 방지 경사면부를 통하여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게 복수로 관통되는 분사 유로와, 상기 분사 유로와 연결되어 고압 에어를 상기 이송로측으로 분사하는 에어 구동원과, 상기 응착 방지 경사면부와 상기 이송로 주변의 상기 수지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로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통하여 복수로 관통되는 드레인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응착 방지 히터가 가동되면 상기 에어 구동원이 가동되어 가열된 상기 수지가 상기 드레인 통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제1 나선부는, 상기 제1 나사산 각각의 상기 제1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직선 이송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1 이송 경사면과, 상기 제1 나사산 각각의 상기 제2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직선 이송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2 이송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 경사면이 상기 제1 나사산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제2 이송 경사면이 상기 제1 나사산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나선부는, 상기 제1 나사산 각각의 상기 제1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이송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1 테이퍼 경사면과, 상기 제1 나사산 각각의 상기 제2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이송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2 테이퍼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테이퍼 경사면이 상기 제1 나사산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제2 테이퍼 경사면이 상기 제1 나사산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나선부는, 상기 제2 나사산 각각의 상기 제1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직선 이송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3 이송 경사면과, 상기 제2 나사산 각각의 상기 제2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직선 이송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4 이송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이송 경사면이 상기 제2 나사산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제4 이송 경사면이 상기 제2 나사산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나선부는, 상기 제2 나사산 각각의 상기 제1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테이퍼 이송부 및 상기 최종 이송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3 테이퍼 경사면과, 상기 제2 나사산 각각의 상기 제2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테이퍼 이송부 및 상기 최종 이송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4 테이퍼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테이퍼 경사면이 상기 제2 나사산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제4 테이퍼 경사면이 상기 제2 나사산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노즐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지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주입 사면과, 상기 주입 사면으로부터 일정 직경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상기 주입로를 형성하는 연결 실린더와,상기 연결 실린더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입로와 연결되는 노즐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주입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주입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주입로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최종 연통로와, 상기 복수의 최종 연통로 각각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연결 실린더 말단의 면을 통하여 관통 형성되는 최종 배출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하우징의 수지 투입구와 노즐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하우징의 제2 단부 사이에 관통된 가스 배출구에 구비된 제1 배출부와, 노즐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2 배출부에 의하여 2중으로 가스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부품이나 반도체 부품 등과 같이 불량 발생시 치명적인 결함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정밀 부품의 제작시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신뢰도 높은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제1 배출부 부근 및 하우징 등에 이송중 적체되는 수지의 응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응착 방지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불량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3은 도 1의 III 부분 확대 개념도로, 도 3(a)는 도 1의 화살표 C, D 방향으로 잘라 도 1의 화살표 A 또는 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개념도를, 도 3(b)는 도 1의 화살표 C 또는 D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개념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IV 부분 확대 개념도로, 도 4(a)는 도 1의 화살표 C, D 방향으로 잘라 도 1의 화살표 A 또는 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개념도를, 도 4(b)는 도 1의 화살표 C 또는 D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개념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의 주요부인 이송 스크류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상세하게 살펴본 측면 및 부분 확대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의 주요부인 하우징과 제1 배출부 주변에 형성된 응착 방지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의 주요부인 하우징과 제1 배출부 주변에 형성된 응착 방지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III 부분 확대 개념도로, 도 3(a)는 도 1의 화살표 C, D 방향으로 잘라 도 1의 화살표 A 또는 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개념도를, 도 3(b)는 도 1의 화살표 C 또는 D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개념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IV 부분 확대 개념도로, 도 4(a)는 도 1의 화살표 C, D 방향으로 잘라 도 1의 화살표 A 또는 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개념도를, 도 4(b)는 도 1의 화살표 C 또는 D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개념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의 주요부인 이송 스크류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상세하게 살펴본 측면 및 부분 확대 개념도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의 주요부인 하우징과 제1 배출부 주변에 형성된 응착 방지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의 주요부인 하우징과 제1 배출부 주변에 형성된 응착 방지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면 중 점선으로 표시된 직선 화살표는 기체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며, 실선으로 표시된 직선 화살표는 수지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노즐 어셈블리(200)가 장착되고, 하우징(100)의 내부를 이송 스크류 어셈블리(300)가 이동 가능하되, 하우징(100)에 구비된 제1 배출부(400)와 노즐 어셈블리(200)에 구비된 제2 배출부(500)를 통하여 가스 배출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하우징(100)은 제1 단부(이하, 도 1의 후방측(r) 단부 참조)와 제2 단부(이하, 도 1의 전방측(f) 단부 참조)를 구비하는 이송로(101)가 중심부에 형성된 양단 관통의 부재이다.
여기서, 하우징(100)에는 일측에 이송로(101)와 연통되어 이송로(101)의 형성 방향과 교차되게 수지가 투입되는 수지 투입구(102)가 형성되고, 수지 투입구(102)를 통하여 투입되는 수지가 가열되어 이송로(101)를 따라 제2 단부측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노즐 어셈블리(200)는 하우징(100)의 제2 단부에 결합되어 금형(이하 미도시)측으로 가열된 수지를 주입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송 스크류 어셈블리(300)는 이송로(101)에 정, 역회전 및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측을 향하여 직경이 가변되는 이송 몸체(310)와, 이송 몸체(310)를 따라 피치가 가변되는 이송 나선(320)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배출부(400)는 하우징(100)에 형성되며, 수지 투입구(102)와 제2 단부 사이에 관통되어 이송로(101)와 연통되는 가스 배출구(103)에 장착되어 가열되어 이송되는 수지의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구비된 것이다.
또한, 제2 배출부(500)는 노즐 어셈블리(200)에 형성되며, 수지가 금형측으로 이송되게 이송로(101)와 연결된 주입로(201)와 연통하여 금형에 가열된 수지가 주입되기 직전에 수지의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구비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이나 반도체 부품 등과 같이 불량 발생시 치명적인 결함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정밀 부품의 제작시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신뢰도 높은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노즐 어셈블리(200)는, 도 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연결 실린더(210)와 노즐 헤드(22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결 실린더(210)는 하우징(100)의 제2 단부에 연결되며 수지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주입 사면(202)과, 주입 사면(202)으로부터 일정 직경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주입로(201)를 형성하는 것이다.
노즐 헤드(220)는 연결 실린더(210)의 말단에 결합되어 주입로(201)와 연결되는 것으로, 제2 배출부(500)는 주입로(201)와 연통되며, 수지는 주입로(201)를 거쳐 노즐 헤드(220)를 통하여 금형측으로 압출될 것이다.
따라서, 이송로(101)를 따라 왕복 가능한 이송 스크류 어셈블리(300)의 제2 단부측에는 주입 사면(202)과 대응하는 형상의 주입 콘부(331)가 구비된 주입 헤드(330)가 결합되어, 이송 나선(320)을 따라 이송되는 수지를 주입 사면(202)을 통하여 주입로(201)를 거쳐 노즐 헤드(2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주입 콘부(331)의 후방측 외주면에는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 가능하며 이송 몸체(310)의 제2 단부측을 향하여 밀리면서 이송되는 수지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 링(321, 이하 도 2(b) 참조)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 실린더(210)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랜지부(211)와, 플랜지부(211)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가열 히터(이하 미도시)가 배치되는 연결 바디(2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주입 사면(202)은 플랜지부(211)를 따라 형성되고 주입로(201)는 플랜지부(211)와 연결 바디(212)의 연결 부위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연결 실린더(210)는, 주입로(201)로부터 직경이 확장되어 단차지게 형성되며, 연결 바디(212)의 내부에 배치되는 확경 단턱(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실린더(210)는, 확경 단턱(213)으로부터 직경이 더욱 확장되어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 바디(212)의 내부에 배치되는 확경 링 홈(21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 실린더(210)는, 확경 링 홈(214)보다 줄어든 일정 직경을 가지며 연결 바디(212)의 말단부까지 연장되어 노즐 헤드(220)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215)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후술할 제2 배출부(500)는 확경 링 홈(214)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 실린더(210) 내부의 주입로(201)로부터 연결되는 확경 단턱(213)과 확경 링 홈(214)의 구조는, 주입 사면(202)으로부터 주입로(201)로 이어지는 유로의 직경이 대폭 줄어듦에 따른 연결 실린더(210)에 걸리는 압력 부하를 순간적으로 경감시키면서, 후술할 제2 배출부(500)를 통한 원활한 2차적인 가스 배출을 도모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지는 도 2(a)와 같이 수지 투입구(102)를 통하여 투입되고, 이송 스크류 어셈블리(30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지를 제2 단부측으로 이송시킨다.
이후, 금형에 투입될 양만큼의 수지가 도 2(b)와 같이 이송로(101)의 제2 단부측에 모임에 따라 이송 스크류 어셈블리(300)는 제1 단부측으로 후퇴하게 된다.
계속하여, 이송 스크류 어셈블리(300)는 도 2(b)의 화살표 방향(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송로(101)의 제2 단부측에 모인 수지는 도 2(c)와 같이 노즐 어셈블리(200)를 통하여 압출되어 금형 내부로 주입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배출부(400)는, 도 1과 함께 도 3을 참조로 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배출 유로(410)와 안착홈부(420)와 배출 블록(4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배출 유로(410)는 이송로(101)와 직교되게 연통되며 장공 형상의 가스 배출구(103)가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다.
안착홈부(420)는 제1 배출 유로(410)와 연결되며, 하우징(100)의 외주면 일부가 절개 형성되는 것이다.
배출 블록(430)은 제1 배출 유로(410)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일정 길이로 연통되는 제2 배출 유로(432)가 외측면까지 형성되고, 안착홈부(420)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배출 유로(410)는 안착홈부(420)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되고, 제1 배출 유로(410)의 상단부는 안착홈부(420)와 연결되며 제1 배출 유로(410)의 하단부는 이송로(101)와 연통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은 대체로 원기둥 형상의 외주면을 구비하며, 안착홈부(420)는 이러한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제1 배출 유로(410)보다 크게 일정 면적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때, 배출 블록(430)은 안착홈부(4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홈부(420)에 안착 고정되어 하우징(100)의 외주면과 일체를 이루는 외측면을 구비한 도 3(c)와 같은 안장 형상의 부재이다.
따라서, 제2 배출 유로(432)는 배출 블록(430)의 외주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1 배출 유로(410)부터 가스가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하우징(100)에 형성된 수지 투입구(102)는, 도 4와 같이, 하우징(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송로(101)측을 향하여 일정 깊이로 함몰된 투입홈(110)과, 투입홈(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송로(101)와 연통되게 관통되는 복수의 투입홀(12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배출부(500)는, 다시 도 1의 확대부를 참조로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입로(201)와 연통되도록 주입로(201)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최종 연통로(510)와, 복수의 최종 연통로(510) 각각으로부터 분기되어 연결 바디(212) 말단의 면을 통하여 관통 형성되는 최종 배출로(52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최종 연통로(510)는 확경 링 홈(214)과 연통되도록 확경 링 홈(214)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지가 수지 투입구(102)로부터 투입되어 하우징(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열 히터(이하 미도시)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후술할 이송 스크류 어셈블리(300)에 의하여 이송될 때, 수지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제1 배출부(400)를 통하여 1차적으로 배출된 후, 최종적으로 금형에 압출 주입되기 직전에 제2 배출부(500)를 통하여 2차적으로 배출됨으로써, 가스의 혼입에 따른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송 스크류 어셈블리(300)의 구조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이송 몸체(310)는,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제1 직경(d1)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제1 직선 이송부(311s)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송 몸체(310)는, 제1 직선 이송부(311s)의 단부로부터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연장되는 제1 테이퍼 이송부(311t)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송 몸체(310)는, 제1 테이퍼 이송부(311t)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제1 직경(d1)보다 큰 제2 직경(d2)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중간 분산 이송부(3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송 몸체(310)는, 중간 분산 이송부(313)의 단부로부터 제2 단부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제1 직경(d1)보다 작은 제3 직경(d3)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제2 직선 이송부(312s)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송 몸체(310)는, 제2 직선 이송부(312s)의 단부로부터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연장되는 제2 테이퍼 이송부(312t)를 포함한다.
또한, 이송 몸체(310)는, 제2 테이퍼 이송부(312t)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제3 직경(d3)보다 큰 제4 직경(d4)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최종 이송부(3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송 나선(320)은 이송 몸체(3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제1 배출부(400)는 중간 분산 이송부(313)와 제2 직선 이송부(312s)의 상호 연결부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도 1, 도 2, 도 6 및 도 7 참조)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제1 직선 이송부(311s)와 제1 테이퍼 이송부(311t)와 중간 분산 이송부(313)와 제2 직선 이송부(312s)와 제2 테이퍼 이송부(312t)와 최종 이송부(314)는 상호 일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이송 나선(320)은, 제1 직선 이송부(311s)와 제1 테이퍼 이송부(311t)와 중간 분산 이송부(313)와 제2 직선 이송부(312s)와 제2 테이퍼 이송부(312t)와 최종 이송부(314)의 형성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1 나선부(321)와 분산 나선부(323)와 제2 나선부(322)가 형성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제1 나선부(321)는 제1 직선 이송부(311s)와 제1 테이퍼 이송부(311t)의 외주면을 따라 제1 길이의 피치(p1)로 형성되는 제1 나사산(321s)을 포함하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에 대하여 제1 나사산(321s) 각각이 제1 각도(θ1)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분산 나선부(323)는 중간 분산 이송부(313)의 제1 단부측 가장자리와 제2 단부측 가장자리에 양단부가 배치되고 가상선에 대하여 제1 각도(θ1)보다 작은 제2 각도(θ2)를 이루는 분산홈(323g)이 복수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제2 나선부(322)는 제2 직선 이송부(312s)와 제2 테이퍼 이송부(312t) 및 최종 이송부(314)의 외주면을 따라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의 피치(p2)로 형성되는 제2 나사산(322s)을 포함하며, 가상선에 대하여 제2 나사산(322s) 각각이 제1 각도(θ1)를 이루는 것이다.
여기서, 제1 나선부(321)와 제2 나선부(322)를 이루는 제1 나사산(321s)과 제2 나사산(322s) 각각의 직경(sd)은 일정해야만 수지가 이송로(101)의 내주면에 응착되지 않고 일정하고 균일하게 가열되면서 일정량만큼 노즐 어셈블리(200)측으로 이송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나선부(321)는, 제1 나사산(321s) 각각의 제1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직선 이송부(311s)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1 이송 경사면(324s)과, 제1 나사산(321s) 각각의 제2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직선 이송부(311s)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2 이송 경사면(325s)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이송 경사면(324s)이 제1 나사산(321s)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은, 수지가 제2 단부측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제2 이송 경사면(325s)이 제1 나사산(321s)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나선부(321)는, 제1 나사산(321s) 각각의 제1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테이퍼 이송부(311t)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1 테이퍼 경사면(324t)과, 제1 나사산(321s) 각각의 제2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테이퍼 이송부(311t)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2 테이퍼 경사면(325t)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테이퍼 경사면(324t)이 제1 나사산(321s)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은, 수지가 제2 단부측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제2 테이퍼 경사면(325t)이 제1 나사산(321s)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나선부(322)는, 제2 나사산(322s) 각각의 제1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제2 직선 이송부(312s)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3 이송 경사면(326s)과, 제2 나사산(322s) 각각의 제2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제2 직선 이송부(312s)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4 이송 경사면(327s)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이송 경사면(326s)이 제2 나사산(322s)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은, 수지가 제2 단부측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제4 이송 경사면(327s)이 제2 나사산(322s)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나선부(322)는, 제2 나사산(322s) 각각의 제1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제2 테이퍼 이송부(312t) 및 최종 이송부(314)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3 테이퍼 경사면(326t)과, 제2 나사산(322s) 각각의 제2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제2 테이퍼 이송부(312t) 및 최종 이송부(314)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4 테이퍼 경사면(327t)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 테이퍼 경사면(326t)이 제2 나사산(322s)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은, 수지가 제2 단부측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제4 테이퍼 경사면(327t)이 제2 나사산(322s)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이송로(101)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가스 배출구(103)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제2 단부측으로 이송되는 수지의 일부가 이송로(101)의 내주면에 응착되는 것을 제한하는 응착 방지부(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응착 방지부(600)는, 가스 배출구(103)의 하단부 가장자리 주변부로부터 가스 배출구(103)의 내주면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응착 방지 경사면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배출구(103)의 하단부 가장자리 주변부에 응고되어 부착된 수지의 덩어리가 새로이 투입되는 수지에 혼입되어 금형으로 들어감에 따라 발생되는 불량분을 응착 방지 경사면부(610)가 형성하는 공간에 일시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정기적인 점검 및 청소에 의하여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검 및 청소는 전술한 배출 블록(430)을 안착홈부(420)로부터 분리하고, 응착 방지 경사면부(610) 주변을 청소하거나 가열하여 이송 스크류 어셈블리(300)를 공회전시키면서 잔여 수지를 노즐 어셈블리(200)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과 같이, 이송로(101)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가스 배출구(103)의 하단부와, 하우징(100) 및 제1 배출부(400)의 주변에 형성되고, 제2 단부측으로 이송되는 수지의 일부가 이송로(101)의 내주면에 응착되는 것을 제한하는 응착 방지부(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응착 방지부(600)는, 전술한 응착 방지 경사면부(610)와 함께, 응착 방지 히터(620)와 분사 유로(630)와 에어 구동원(640)과 드레인 통로(65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더욱 확실하게 잔여 및 응착 수지를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응착 방지 히터(620)는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제1 배출부(400)의 주변에 배치되고, 응착 방지 경사면부(610) 주변의 수지를 가열시키는 것이다.
분사 유로(630)는 하우징(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응착 방지 경사면부(610)를 통하여 이송로(101)와 연통되게 복수로 관통되는 것이다.
에어 구동원(640)은 분사 유로(630)와 연결되어 고압 에어를 이송로(101)측으로 분사하는 것이다.
드레인 통로(650)는 응착 방지 경사면부(610)와 이송로(101) 주변의 수지가, 하우징(100)의 외주면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이송로(101)로부터 하우징(100)의 외주면을 통하여 복수로 관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응착 방지 히터(620)가 가동되면 에어 구동원(640)이 가동되어 가열된 수지가 드레인 통로(650)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도 6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언급되었던 점검 및 청소보다 더욱 확실한 잔여 및 응착 수지의 제거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스 배출을 원활히 하여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하우징
101...이송로
102...수지 투입구
103...가스 배출구
110...투입홈
120...투입홀
200...노즐 어셈블리
201...주입로
202...주입 사면
210...연결 실린더
211...플랜지부
212...연결 바디
213...확경 단턱
214...확경 링 홈
215...체결부
220...노즐 헤드
300...이송 스크류 어셈블리
310...이송 몸체
311s...제1 직선 이송부
311t...제1 테이퍼 이송부
312s...제2 직선 이송부
312t...제2 테이퍼 이송부
313...중간 분산 이송부
314...최종 이송부
320...이송 나선
321...제1 나선부
321s...제1 나사산
322...제2 나선부
322s...제2 나사산
323...분산 나선부
323g...분산홈
324s...제1 이송 경사면
324t...제1 테이퍼 경사면
325s...제2 이송 경사면
325t...제2 테이퍼 경사면
326s...제3 이송 경사면
326t...제3 테이퍼 경사면
327s...제4 이송 경사면
327t...제4 테이퍼 경사면
330...주입 헤드
331...주입 콘부
332...체크 링
400...제1 배출부
410...제1 배출 유로
420...안착홈부
430...배출 블록
432...제2 배출 유로
500...제2 배출부
510...최종 연통로
520...최종 배출로
600...응착 방지부
610...응착 방지 경사면부
620...응착 방지 히터
630...분사 유로
640...에어 구동원
650...드레인 통로
d1...제1 직경
d2...제2 직경
d3...제3 직경
d4...제4 직경
p1...제1 길이의 피치
p2...제2 길이의 피치
sd...제1 나사산(321s)과 제2 나사산(322s) 각각의 직경
θ1...제1 각도
θ2...제2 각도

Claims (10)

  1.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이송로가 중심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어 상기 이송로의 형성 방향과 교차되게 수지가 투입되는 수지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지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되는 수지가 가열되어 상기 이송로를 따라 상기 제2 단부측으로 이송되는 양단 관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단부에 결합되어 금형측으로 가열된 수지를 주입시키는 노즐 어셈블리;
    상기 이송로에 정, 역회전 및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측을 향하여 직경이 가변되는 이송 몸체와, 상기 이송 몸체를 따라 피치가 가변되는 이송 나선을 포함하는 이송 스크류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수지 투입구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관통되어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는 가스 배출구에 장착되어 가열되어 이송되는 상기 수지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제1 배출부;
    상기 노즐 어셈블리에 형성되며, 상기 수지가 상기 금형측으로 이송되게 상기 이송로와 연결된 주입로와 연통하여 상기 금형에 가열된 상기 수지가 주입되기 직전에 상기 수지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제2 배출부; 및
    상기 이송로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상기 가스 배출구의 하단부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1 배출부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단부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수지의 일부가 상기 이송로의 내주면에 응착되는 것을 제한하는 응착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몸체는,
    상기 제1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제1 직경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제1 직선 이송부와,
    상기 제1 직선 이송부의 단부로부터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연장되는 제1 테이퍼 이송부와,
    상기 제1 테이퍼 이송부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중간 분산 이송부와,
    상기 중간 분산 이송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3 직경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제2 직선 이송부와,
    상기 제2 직선 이송부의 단부로부터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연장되는 제2 테이퍼 이송부와,
    상기 제2 테이퍼 이송부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상기 제3 직경보다 큰 제4 직경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최종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나선은 상기 이송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중간 분산 이송부와 상기 제2 직선 이송부의 상호 연결부와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송 나선은,
    상기 제1 직선 이송부와 상기 제1 테이퍼 이송부의 외주면을 따라 제1 길이의 피치로 형성되는 제1 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상선에 대하여 상기 제1 나사산 각각이 제1 각도를 이루는 제1 나선부와,
    상기 중간 분산 이송부의 상기 제1 단부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2 단부측 가장자리에 양단부가 배치되고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상기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를 이루는 분산홈이 복수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분산 나선부와,
    상기 제2 직선 이송부와 상기 제2 테이퍼 이송부 및 상기 최종 이송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의 피치로 형성되는 제2 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상기 제2 나사산 각각이 제1 각도를 이루는 제2 나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나선부와 상기 제2 나선부를 이루는 상기 제1 나사산과 상기 제2 나사산 각각의 직경은 일정하고,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이송로와 직교되게 연통되며 장공 형상의 상기 가스 배출구가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1 배출 유로와,
    상기 제1 배출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일부가 절개 형성되는 안착홈부와,
    상기 제1 배출 유로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일정 길이로 연통되는 제2 배출 유로가 외측면까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부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 고정되는 배출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 유로는 상기 안착홈부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출 유로의 상단부는 상기 안착홈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배출 유로의 하단부는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며,
    상기 응착 방지부는,
    상기 가스 배출구의 하단부 가장자리 주변부로부터 상기 가스 배출구의 내주면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응착 방지 경사면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배출부의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응착 방지 경사면부 주변의 상기 수지를 가열시키는 응착 방지 히터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응착 방지 경사면부를 통하여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게 복수로 관통되는 분사 유로와,
    상기 분사 유로와 연결되어 고압 에어를 상기 이송로측으로 분사하는 에어 구동원과,
    상기 응착 방지 경사면부와 상기 이송로 주변의 상기 수지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로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통하여 복수로 관통되는 드레인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응착 방지 히터가 가동되면 상기 에어 구동원이 가동되어 가열된 상기 수지가 상기 드레인 통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부는,
    상기 제1 나사산 각각의 상기 제1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직선 이송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1 이송 경사면과,
    상기 제1 나사산 각각의 상기 제2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직선 이송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2 이송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 경사면이 상기 제1 나사산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제2 이송 경사면이 상기 제1 나사산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부는,
    상기 제1 나사산 각각의 상기 제1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이송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1 테이퍼 경사면과,
    상기 제1 나사산 각각의 상기 제2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이송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2 테이퍼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테이퍼 경사면이 상기 제1 나사산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제2 테이퍼 경사면이 상기 제1 나사산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선부는,
    상기 제2 나사산 각각의 상기 제1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직선 이송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3 이송 경사면과,
    상기 제2 나사산 각각의 상기 제2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직선 이송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4 이송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이송 경사면이 상기 제2 나사산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제4 이송 경사면이 상기 제2 나사산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선부는,
    상기 제2 나사산 각각의 상기 제1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테이퍼 이송부 및 상기 최종 이송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3 테이퍼 경사면과,
    상기 제2 나사산 각각의 상기 제2 단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테이퍼 이송부 및 상기 최종 이송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4 테이퍼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테이퍼 경사면이 상기 제2 나사산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제4 테이퍼 경사면이 상기 제2 나사산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지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주입 사면과, 상기 주입 사면으로부터 일정 직경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상기 주입로를 형성하는 연결 실린더와,
    상기 연결 실린더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입로와 연결되는 노즐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주입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주입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주입로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최종 연통로와,
    상기 복수의 최종 연통로 각각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연결 실린더 말단의 면을 통하여 관통 형성되는 최종 배출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
KR1020150152198A 2015-10-30 2015-10-30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 KR101619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198A KR101619123B1 (ko) 2015-10-30 2015-10-30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198A KR101619123B1 (ko) 2015-10-30 2015-10-30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123B1 true KR101619123B1 (ko) 2016-05-10

Family

ID=5602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198A KR101619123B1 (ko) 2015-10-30 2015-10-30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1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2702A (ja) * 2006-11-29 2008-06-12 Hoshi Plastic:Kk 樹脂押出機用スクリュー、樹脂押出機、およびペレット製造方法
JP2014100875A (ja) * 2012-11-21 2014-06-05 Ichikawa Miyoko 多条射出成形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2702A (ja) * 2006-11-29 2008-06-12 Hoshi Plastic:Kk 樹脂押出機用スクリュー、樹脂押出機、およびペレット製造方法
JP2014100875A (ja) * 2012-11-21 2014-06-05 Ichikawa Miyoko 多条射出成形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0632B2 (en) Extruder screw with conveying portions and barrier portions and extrusion methods using the extruder screw and a plurality of barrel blocks
JP5959639B2 (ja) 同心共押出ダイ、および多層熱可塑性フィルムの押出方法
CN1193861C (zh) 机床的主轴装置
WO2015163119A1 (ja) 押出機用スクリュ並びに押出機および押出方法
WO2015170568A1 (ja) 押出機用スクリュ並びに押出機および押出方法
KR20170130552A (ko) 압출기용 스크루 및 압출기 및 압출 방법
KR101662933B1 (ko) 플라스틱 원료에 혼재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플라스틱 사출용 노즐
KR20160105873A (ko) 압출기용 스크루 및 압출기 및 압출 방법
US20110305788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plastic parts interspersed with reinforcing fibres
EP3159135B1 (en) Vent-type extruder
US11731335B2 (en) Multi-component extrusion die head, multi-component extrus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tube
KR101619123B1 (ko) 가스배출 기능을 구비한 사출기
US20080002519A1 (en) Mixing head,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 mixing head
CN105818332A (zh) 注射成形机用喷嘴
JP2013535384A (ja) 粉体吐出インジェクタ用噴射受け取りノズル及び粉体吐出インジェクタ
KR20160012128A (ko) 고분자 재료를 처리하는 기계
US11311844B2 (en) Continuous compounding systems and methods of use
KR101771120B1 (ko) 반용융 성형용 스크류
US20230339177A1 (en) 3d printer
CN211363405U (zh) 抗扭抗拉钢丝管生产模具
KR101559940B1 (ko) 진공흡입수단을 구비한 코팅장치
US7654811B2 (en) Mold for manufacturing a tube by extraction
US6957953B2 (en) Reservoir reducing screw tip
JP2022168922A (ja) 押出装置、ノズルおよびノズルの着脱方法
JP2021024203A (ja) ゴムチューブの押出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