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936B1 - Mr 데이터를 획득하고 b1 자기장을 판정하는 방법 및 이에 대응하여 설계된 자기 공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Mr 데이터를 획득하고 b1 자기장을 판정하는 방법 및 이에 대응하여 설계된 자기 공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936B1
KR101617936B1 KR1020140010514A KR20140010514A KR101617936B1 KR 101617936 B1 KR101617936 B1 KR 101617936B1 KR 1020140010514 A KR1020140010514 A KR 1020140010514A KR 20140010514 A KR20140010514 A KR 20140010514A KR 101617936 B1 KR101617936 B1 KR 101617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t
pulse
sequence
gradi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9201A (ko
Inventor
마이클 쾰러
토르스텐 스페크너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99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43Assessment of an electric or a magnetic field, e.g. spatial mapping, determination of a B0 drift or dosi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for 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246Spatial mapping of the RF magnetic field B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01R33/483NMR imaging systems with selection of signals or spectra from particular regions of the volume, e.g. in vivo spectroscop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01R33/54Signal processing systems, e.g. using pulse sequences ; Generation or control of pulse sequences; Operator cons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MR 데이터를 획득하고, B1 자기장을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따라 설계된 자기 공명 시스템. 본 발명은 자기 공명 시스템(5)을 이용하여 볼륨 세그먼트 내에서 MR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MR 데이터는 제1 공명 RF 펄스(31)를 방사하는 단계, 제2 공명 RF 펄스(32)를 방사하는 단계, 제1 공명 RF 펄스(31) 후에 그리고 제2 공명 RF 펄스(32) 전에 적용된 탈위상 제1 그레이디언트를 적용하는 단계, 제2 공명 RF 펄스(32) 후에 제3 공명 RF 펄스(33)를 방사하는 단계, 제1 그레이디언트에 의해 준비된 자화 성분의 자극 에코(SE)를 리포커싱하기 위해 제3 RF 펄스(33) 후에 제2 그레이디언트(42)를 적용하는 단계; 및 MR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퀀스(61; 42)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획득하고, 시퀀스(61)의 정의된 입력에서의 제1 그레이디언트 또는 제2 그레이디언트(42)는 정의된 입력에 직접 후속하는 시퀀스(62)의 추가 입력에서의 제1 그레이디언트 또는 제2 그레이디언트(42)와 상이하다.

Description

MR 데이터를 획득하고 B1 자기장을 판정하는 방법 및 이에 대응하여 설계된 자기 공명 시스템{METHOD TO ACQUIRE MR DATA AND TO DETERMINE A B1 MAGNETIC FIELD, AS WELL AS CORRESPONDINGLY DESIGNED MAGNETIC RESONANCE SYSTEM}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MR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예를 들어, MR 영상들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다른 한편으로는 B1 자기장을 판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구현하기 위해 설계된 자기 공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검사 대상의 조사 영역에 존재하는 B1 자기장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자기 공명 단층촬영 분야의 여러 응용분야, 예를 들어, 멀티채널 전송 동작에서의 RF 펄스의 계산 또는 양적 T1 조사에 상당히 중요하다. 하이(high) 정적 B0 자기장(예를 들어, 3 테슬라(Tesla) 이상의 세기)에서, B1 자기장의 특징적 공간 종속적인 변화가 전도율(conductivity) 및 자화율(susceptibility)의 대상 특정적 변화로 인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존재하는 실제 B1 자기장의 대상 특정적 판정은 소정의 설정 전송 전력이 주어지는 여러 분야에 필수적이다.
실제 B1 자기장을 판정하는 하나의 가능성은 DE102010017315A1 또는 "B1 mapping by Bloch-Siegert shift", L. Sacolick et al., Magn. Reson. Med. 2010; 63: Pages 1315-1322에 설명된 바와 같이 Bloch-Siegert 방법이라고 알려진 것에 의해 제공된다. 비-공명 RF 펄스에 의해 발생된 핵 스핀의 위상 시프트가 측정된다. 비-공명 RF 펄스에 의해 발생된 B1 자기장의 B1 진폭은 위상 시프트의 크기를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실제 B1 자기장을 판정하기 위한 가속 방법(accelerated method)이 "Fast B1 Mapping using a STEAM-based Bloch-Siegert Preparation", K. Nehrke et al., Proc. Intl. Soc. Mag. Reson. Med. 19 (2011); Page 4411에 설명된다.
MR 영상들이 발생되는 다른 공지된 MR 방법에서, 예를 들어 MR 데이터의 판독 시에 검출되는 자극 에코가 발생된다. 이로써 이전 시퀀스에서 준비된 자화(magnetization)가 현재 시퀀스에 대해 획득된 MR 데이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거나 이를 저하(adulterate)시키는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MR 데이터로부터 재구성된 MR 영상에 아티팩트들이 발생할 수 있다. 자극 에코에 기반한 이러한 MR 방법이 B1 자기장을 판정하는데 사용되면, 불리하게도 이러한 문제로 인해 위상 시프트 및 B1 자기장 진폭이 부정확하게 판정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자극 에코에 기반한 일반적인 MR 방법들 및 특히 B1 자기장을 판정하는 방법들이 주어지면 이들 문제점을 적어도 완화시키는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MR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 제7항에 따른 B1 자기장을 판정하는 방법, 제12항에 따른 자기 공명 시스템, 제14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제15항에 따른 전자 판독가능 데이터 매체를 통해 이루어진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자기 공명 시스템을 이용하여 볼륨 세그먼트 내에서 MR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시퀀스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MR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이러한 시퀀스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ㆍ 제1 공명 RF 펄스를 방사하는 단계;
ㆍ 제2 공명 RF 펄스를 방사하는 단계;
ㆍ 제1 공명 RF 펄스 후 제2 공명 RF 펄스 전에 적용된 탈위상(dephasing) 제1 자기장 그레이디언트를 적용하는 단계;
ㆍ 제2 공명 RF 펄스 후에 방사된 제3 공명 RF 펄스를 방사하는 단계;
ㆍ 제1 그레이디언트에 의해 준비된 자화 성분의 자극 에코를 리포커싱(refocusing)하기 위해 제3 RF 펄스 후에 적용되는 제2 자기장 그레이디언트를 적용하는 단계 - 이러한 제2 자기장 그레이디언트는 특히 예를 들어, 양 자기장 그레이디언트들의 극성이 동일하도록 제1 자기장 그레이디언트에 적응됨; 및
ㆍ MR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소정의 시퀀스에서의 제1 그레이디언트 및/또는 제2 그레이디언트는 소정의 시퀀스를 시간 순으로 바로 따르는 추가 시퀀스의 제1 그레이디언트 또는 제2 그레이디언트와 상이하다. 다시 말하면, 추가 시퀀스의 제1 그레이디언트는 소정의 시퀀스의 제1 그레이디언트와 상이하고/하거나, 추가 시퀀스의 제2 그레이디언트는 소정의 시퀀스의 제2 그레이디언트와 상이하다. 제1 그레이디언트와 제2 그레이디언트 양자 모두가 변경되면, 소정의 시퀀스의 제1 그레이디언트에 의해 발생된 그레이디언트 모멘트가 추가 시퀀스의 제1 시퀀스에 의해 생성된 그레이디언트 모멘트와 상이한 차이 모멘트는 이롭게도 소정의 시퀀스의 제2 그레이디언트에 의해 발생된 그레이디언트 모멘트가 추가 시퀀스의 제2 그레이디언트에 의해 생성된 그레이디언트 모멘트와 상이한 차이 모멘트와 동일하다.
공명 RF 펄스는 RF 펄스가 RF 펄스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필수적으로 갖는 핵 스핀을 편향 또는 플립하는 플립각을 갖는다. 이와 반대로, 비-공명 RF 펄스는 플립각을 전혀 갖지 않으며, 이로써 비-공명 RF 펄스는 핵 스핀의 노테이션 각(notation angle)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자기장 그레이디언트의 적용에 의해 이해되는 것은 대응하는 자기장 그레이디언트 모멘트의 적용이다. 그레이디언트 또는 그레이디언트 모멘트가 1개, 2개, 또는 심지어 3개 모두의 공간 방향의 성분들을 가질 수 있다. 상이한 방식으로 표현되면, 제1 그레이디언트와 제2 그레이디언트 양자 모두가 모든 공간 축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그레이디언트 모멘트(즉, 제1 그레이디언트에 의해 생성된 그레이디언트 모멘트)와 제2 그레이디언트 모멘트(즉, 제2 그레이디언트에 의해 생성된 그레이디언트 모멘트) 모두는 다른 이유들을 위한 시퀀스의 성분들인 그레이디언트 모멘트들에 추가될 수 있다.
제1 그레이디언트 또는 제1 그레이디언트 모멘트 및/또는 제2 그레이디언트 또는 제2 그레이디언트 모멘트가 연속 시퀀스 또는 획득에서 상이하게 설정된다는 점에서, 이롭게도 (제1 그레이디언트 모멘트를 통해) 동일한 시퀀스 또는 획득에서도 준비되었던 (종방향) 자화 성분 에코만이 MR 데이터의 판독 시에 리포커싱된다. 앞선 시퀀스들의 (종방향) 자화 성분들은 상이한 탈위상을 가지며, 이롭게도 현재 시퀀스의 판독 시에 리포커싱되지 않는다. 상이한 방식으로 표현하면, 현재 시퀀스의 판독 시점에서, 시퀀스의 관련 준비 부분에서 준비되었던 (종방향) 자화 성분으로부터 기원하는 자극 에코만이 획득된다. 그러므로, 측정된 MR 데이터의 저하가 방지 또는 적어도 감소되며, 이로써 MR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MR 영상들의 영상 아티팩트들도 마찬가지로 적어도 감소된다.
현재 시퀀스 중에 준비되었던 자화 성분으로부터 기원하는 자극 에코만이 현재 시퀀스의 판독 시점에 검출되도록, 제1 그레이디언트 또는 제1 그레이디언트 모멘트 및 제2 그레이디언트 또는 제2 그레이디언트 모멘트는 서로 적응되거나 소정의 관계를 가져야 한다. 판정된 백분위만큼의 제1 그레이디언트 모멘트의 증가(감소)가 동일한 백분위만큼의 제2 그레이디언트 모멘트의 증가(감소)를 초래하는 것은 정상적인 경우이다. 예를 들어, 2개의 그레이디언트 모멘트 사이의 관계는 MR 데이터의 판독의 시간적 길이에 의존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B1 자기장이 판정되어야 하는 볼륨 세그먼트는 슬라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슬라이스 선택 그레이디언트는 공명 RF 펄스들이 슬라이스의 핵 스핀에만 필수적으로 영향을 미치도록 제1 공명 RF 펄스, 제2 공명 RF 펄스, 및 제3 공명 RF 펄스 중에 인가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공명 RF 펄스, 제2 공명 RF 펄스, 및 제3 공명 RF 펄스가 3차원 볼륨 세그먼트를 각각 여기시킬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MR 데이터의 2차원 또는 슬라이스별(per-slice) 획득과 MR 데이터의 3차원 획득 모두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공명 RF 펄스 후 제3 공명 RF 펄스 전에, 자화의 횡단 부분들이 탈위상된 스포일러(spoiler) 그레이디언트가 적용된다.
자화의 횡단 부분들은 이롭게도 스포일러 그레이디언트 또는 스포일러 그레이디언트 모멘트에 의해 강하게 탈위상되어 이들 자화 부분이 MR 데이터의 판독 시에 신호 또는 결과에 사실상 더 이상 기여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공명 RF 펄스 및 제2 공명 RF 펄스는 각각 90°의 플립각을 가질 수 있다.
90°의 플립각을 갖는 제1 공명 RF 펄스의 사용을 통해, (종방향에 수직인) 횡단 평면으로 (다른 플립각들에 비해) 최적으로 강하게 자화가 편향된다. 이와 유사하게, 90°의 플립각을 갖는 제2 공명 RF 펄스는 자화가 수직 방향으로 다시 플립되도록 보장한다. 제1 공명 RF 펄스의 플립각이 90°이면, 원 자화(original magnetization)의 최대 부분이 횡단 평면에서 편향되고, 제1 그레이디언트로 탈위상될 수 있다. 제2 공명 RF 펄스가 90°의 플립각을 가지면, 제1 그레이디언트에 의해 탈위상 또는 준비된 전체 자화는 종방향 자화 성분으로 변환된다(그리고 제3 공명 RF 펄스에 의해 횡단 자화로 다시 변환될 때까지 여기에 필수적으로 저장된다).
그러나, 90°의 플립각은 예를 들어, 이질성으로 인해 항상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공명 RF 펄스 및 제2 공명 RF 펄스가 90°의 플립각이어야 한다는 점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한다.
2개의 공명 RF 펄스가 90°와 상이한 플립각을 가지면, 각각의 공명 RF 펄스의 방사 전에 존재하는 자화 성분의 소정 비율이 남는다. 제1 또는 제2 공명 RF 펄스의 실제 플립각의 편차가 90°보다 클수록, 이전 시퀀스에서 준비되는 자화가 현재 시퀀스의 자극 에코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90°로부터의 실제 플립각의 편차가 클수록 더 중요해진다.
특히, 제3 공명 RF 펄스의 방사 단계, 제2 자기장 그레이디언트의 적용 단계, 및 판독 단계는 여러 차례 구현된다.
k-스페이스 전체(또는 k-스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전술한 단계들이 여러 차례 실행된다는 점에서 유리하게 스캔된다. 이로써, 유리하게도 볼륨 세그먼트의 임의의 지점들에 대한 MR 데이터(진폭 및 위상)가 판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퀀스의 마지막에 - MR 데이터의 (최종) 판독 후에 - 상대적으로 큰 플립각(80° 내지 90°)을 갖는 추가(최종) 공명 RF 펄스를 방사할 수 있고, 그 후 추가 스포일러 그레이디언트를 적용할 수 있다. 추가 공명 RF 펄스는 종방향 자화를 횡단 자화로 변환시키며, 그 후 다음 시퀀스에서 측정 신호에 더 이상 기여하지 않도록 추가 스포일러 그레이디언트에 의해 탈위상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자기 공명 시스템을 이용하여 볼륨 세그먼트 내에서 B1 자기장을 판정하기 위한 방법 또한 제공된다. B1 자기장의 판정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비-공명 RF 펄스의 방사에 의해 생성되는 핵 스핀의 회전 운동의 위상 시프트를 검출하기 위해 MR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한다. B1 자기장을 판정하기 위한 방법은 위상 시프트에 따라 상기 B1 자기장의 진폭을 판정한다. 이를 위해, 비-공명 RF 펄스는 제1 공명 펄스 후 제2 공명 RF 펄스 전에 방사된다. 비-공명 RF 펄스가 제1 그레이디언트 전 또는 제1 그레이디언트 후에 방사된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비-공명 RF 펄스는 판정된 시퀀스 및/또는 추가 시퀀스 중에 방사된다.
다시 말하면, B1 자기장의 판정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의 3가지 변형예를 포함한다.
ㆍ 비-공명 RF 펄스는 판정된 시퀀스와 추가 시퀀스 중에 방사된다.
ㆍ 비-공명 RF 펄스는 추가 시퀀스가 아니라 판정된 시퀀스 중에만 방사된다.
ㆍ 비-공명 RF 펄스는 판정된 시퀀스가 아니라 추가 시퀀스 중에만 방사된다.
비-공명 RF 펄스가 판정된 시퀀스와 추가 시퀀스 모두 중에 방사되면, 비-공명 RF 펄스는 판정된 시퀀스의 제1 주파수 및 추가 시퀀스의 제2 주파수를 갖는데, 여기서 제2 주파수는 제1 주파수와 상이하다.
위상 시프트는 판정된 시퀀스 중에 검출된 MR 데이터를 사용하여 판정된 위상 값과 추가 시퀀스 중에 검출된 MR 데이터를 사용하여 판정된 위상 값의 차이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다시 말하면, 실제 B1 자기장이 판정되는지 여부에 따른 위상 시프트는 판정된 시퀀스와 추가 시퀀스 중에 검출된 2개의 위상 값의 차이를 사용하여 판정된다.
그 후, B1 자기장은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위상 시프트 Φ에 따라 판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4009221047-pat00001
여기서, ωRF는 오프-각 주파수(off-angular frequency)라고 알려진 것에 대응하며, 이로써 비-공명 RF 펄스의 각 주파수와 시스템 각 주파수 사이의 차이에 대응한다. γ는 자기 회전비(gyromagnetic ratio)이다. T는 예를 들어 4 내지 8ms 범위에 있는 비-공명 RF 펄스의 전체 펄스 지속시간에 대응한다.
B1(t)는 B1 자기장의 시간 곡선에 대응하며, 실행되는 비-공명 RF 펄스의 펄스 형상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진폭을 제외하고) 알려져 있다고 가정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B1 진폭은 시간 곡선의 지식을 통해 전술한 수학식 1을 사용하여 판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연속 시퀀스에서의 비-공명 RF 펄스의 주파수는 시스템 주파수 한번은 위에 위치하고, 다른 시간에는 시스템 주파수 아래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제1(제2) 시퀀스에서의 비-공명 RF 펄스의 주파수(f)는 다음의 수학식 2에 따라 판정될 수 있고, 제2(제1) 시퀀스에서의 비-공명 RF 펄스의 주파수(f)는 다음의 수학식 3에 따라 판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시퀀스가 제1 시퀀스 직후에 도입된다고 가정한다.
Figure 112014009221047-pat00002
Figure 112014009221047-pat00003
여기서, fSys는 시스템 주파수에 대응하고, fRF는 비-공명 RF 펄스의 주파수(f)와 (오프-주파수라고 알려진) 시스템 주파수의 차이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오프 주파수(fRF)는 2000 내지 8000Hz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시퀀스가 3번 방사된다. 여기서, 비-공명 RF 펄스는 정확하게 이들 3개의 시퀀스 중 하나에서 방사되지 않고, 이들 3개의 시퀀스 중 2개의 시퀀스에서 방사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비-공명 RF 펄스가 방사되는 2개의 시퀀스에서 비-공명 RF 펄스의 주파수가 상이하게 설정된다.
비-공명 RF 펄스가 순차적으로 방사되지 않는 3개의 시퀀스를 이용하여 B1 자기장이 판정된다는 점에서, 이롭게도 B1 자기장이 단 2개의 시퀀스를 이용하여 판정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변형예에서의 경우보다 시스템 오류가 더 잘 검출될 수 있다.
다수의 전송 채널 또는 다수의 RF 전송 안테나를 갖는 자기 공명 시스템을 고려해 볼 때, 비-공명 RF 펄스는 전송 채널 또는 RF 전송 안테나의 동일한 그룹에 의해 생성된 B1 자기장을 측정 또는 판정하기 위해 2개의 시퀀스에서 이 그룹에 개별 방사된다. 대응하는 그룹은 하나의 전송 채널에 의해서만 또는 하나의 RF 전송 안테나에 의해서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이롭게도 (예를 들어, 각각의 전송 채널을 위해 또는 다수의 전송 채널들의 임의의 조합을 위해 개별적으로) 전송 채널들의 임의의 구성을 위한 B1 자기장을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1 자기장의 판정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 여기서 방법은 비-공명 RF 펄스의 주파수가 (예를 들어) 한번은 시스템 주파수 아래에서 선택되고, 한번은 시스템 주파수 위에서 선택되는 2개의 시퀀스를 개별 포함함 - 은 전송 채널들의 N개의 구성을 위한 B1 자기장을 판정하기 위해 N 번 구현될 수 있다. 비-공명 RF 펄스들은 구성에 대응하는 전송 채널에서만 또는 구성에 대응한 전송 채널의 그룹에서만 개별 실행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 문제가 특정 심각도(severity)로 일어날 것인데, 그 이유는 채널 그룹에 의해 준비된 자화가 이 채널 그룹 다음의 채널 그룹의 측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며, 이는 불리하게도 B1 자기장의 판정에서의 추가적인 저하를 초래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자기 공명 시스템은 또한 볼륨 세그먼트 내에서 MR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로써, 자기 공명 시스템은 기본 필드 마그넷, 그레이디언트 필드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RF 송수신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수신 코일 소자, 및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어 디바이스는 그레이디언트 필드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RF 송수신 안테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RF 송수신 안테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코일 소자에 의해 검출되었던 측정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설계된다. 자기 공명 시스템은 MR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다음의 시퀀스를 여러 차례 구현 또는 입력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자기 공명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RF 안테나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공명 RF 펄스를 방사하고, 제1 공명 RF 펄스 후 제2 공명 RF 펄스 전에 그레이디언트 필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탈위상 제1 그레이디언트를 적용하고, 제2 공명 RF 펄스 후 적어도 하나의 RF 안테나를 이용하여 제3 공명 RF 펄스를 방사하고, 제3 RF 펄스 후 제2 자기장 그레이디언트를 적용하고 - 제2 자기장 그레이디언트를 이용하여 제1 그레이디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자화 성분의 자극 에코가 그레이디언트 필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리포커싱됨 -, MR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설계된다. 또한, 자기 공명 시스템은 시퀀스의 제2 입력에서 제1(제2) 그레이디언트와 상이하게 시퀀스의 제1 입력에서 제1(제2) 그레이디언트를 선택하기 위해 설계되는데, 여기서 제2 입력은 제1 입력을 바로 후속한다.
또한, 자기 공명 시스템은 B1 자기장을 판정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기 공명 시스템은 시퀀스의 제1 입력에서의 제1 주파수를 갖는 비-공명 RF 펄스를 방사하고, 시퀀스의 제2 입력에서의 (제1 주파수와 상이한) 제2 주파수를 갖는 비-공명 RF 펄스를 방사하도록 설계된다. 더구나, 자기 공명 시스템은 시퀀스의 제1 및 제2 입력에서 획득된 MR 데이터로부터 판정된 2개의 위상 값들의 차이로부터 위상 시프트를 판정하고, 위상 시프트에 따라 B1 자기장을 판정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공명 시스템의 이점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점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며, 여기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블 제어 디바이스의 메모리 또는 자기 공명 시스템의 컴퓨터로 로딩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특히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 을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모든 실시예 또는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어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이로써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방법의 대응 실시예들을 실현하기 위해 가능한 프로그램 수단(예를 들어, 라이브러리 및 보조 기능들)을 요구한다. 다시 말하면, 특히,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들 중 하나가 실행될 수 있거나, 이 실시예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청구항에 의해 보호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는 컴파일 및 링크될 필요가 여전히 있거나 단지 해석될 필요만 있는 소스 코드(예를 들어, C++)이거나, 대응 컴퓨터 또는 실행 제어 디바이스로 로딩되기만 하면 되는 실행 소프트웨어 코드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전자적 판독 가능 제어 정보, 특히 소프트웨어(상기 참고)가 저장된 전자적 판독 가능 데이터 매체(예를 들어, DVD, 자기 테이프, 또는 USB 스틱)를 개시한다. 제어 정보(소프트웨어)가 데이터 매체로부터 판독되어 자기 공명 시스템의 제어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저장되면, 전술한 방법의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불완전한 T1 이완(relaxation)으로 인한 시스템 오류들은 MR 데이터 획득 시 및 따라서 B1 자기장의 판정 시에 본 발명에 의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속 시퀀스 또는 시퀀스 실행 사이의 완전한 T1 이완을 대기할 필요 없이 이러한 측정 오류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며, 이로써 유리하게 측정 횟수가 감소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상 아티팩트들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확산 영상화(diffusion imaging) 및 B1 자기장 판정에 적합하다. 당연히, 본 발명은 STEAM 준비에 기반한 사실상 모든 방법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바람직한 응용 분야로 국한되지 않는다. STEAM은 "STimulated Echo Acquisition Mode"를 상징한다.
다음에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공명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퀀스의 제1 입력 및 제2 입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자화 성분들을 도시한다.
도 4는 B1 자기장을 판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자기 공명 촬영 장치 또는 핵자기 공명 단층촬영 장치의) 자기 공명 시스템(5)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로써, 기본 필드 마그넷(1)은 테이블(23) 위에 놓여서 자기 공명 시스템(5)에서 검사되는 대상(O)의 볼륨 세그먼트(예를 들어, 검사 대상인 신체의 일부)에서의 핵스핀의 분극 또는 정렬을 위해 일시적으로 일정하고 강한 자기장을 생성한다. 핵자기 공명 측정에 요구되는 기본 자기장의 높은 균질성은 검사 대상인 신체의 부분들이 배열되는 통상의 구형(spherical) 측정 볼륨(M)에 정의된다. 균질성 요건을 지원하고, 특히 일시적으로 불변인 영향들을 제거하기 위해, 강자성 물질로 형성된 심 플레이트(shim plate)라고 알려진 것이 적절한 위치에 실장된다. 일시적 가변 영향들은 심 코일들(shim coils; 2)에 의해 제거된다.
기본 필드 마그넷(1)에는 3개의 서브 권선(sub-winding)을 포함하는 실린더형 그레이디언트 필드 시스템(3)이 사용된다. 각각의 서브 권선에는 증폭기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어 직교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 system)의 각각의 방향으로 선형의(또한 일시적으로 가변인) 그레이디언트 필드를 생성한다. 이로 인해, 그레이디언트 필드 시스템(3)의 제1 서브 권선은 x축 방향으로 그레이디언트(Gx)를 생성하고, 제2 서브 권선은 y축 방향으로 그레이디언트(Gy)를 생성하고, 제3 서브 권선은 z축 방향으로 그레이디언트(Gz)를 생성한다. 증폭기는 그레이디언트 펄스의 정시 생성(time-accurate generation )을 위한 시퀀스 컨트롤러(18)에 의해 제어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를 포함한다.
무선 주파수 전력 증폭기에 의해 방사된 무선 주파수 펄스들을 검사 대상(O) 또는 검사 대상(O) 영역의 핵 스핀들의 정렬 및 핵들의 여기를 위한 교류 자기장으로 변환하거나 MR 신호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안테나(4)가 그레이디언트 자기장 시스템(3) 내에 위치한다. 각각의 무선 주파수 안테나(4)는 컴포넌트 코일의 고리형 - 이롭게도 선형 또는 그물망 형상의 - 배열의 형태로 하나 이상의 RF 송신 코일 및 하나 이상의 RF 수신 코일을 포함한다. 전술한 핵스핀들 - 즉,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펄스 및 하나 이상의 그레이디언트 펄스로 구성된 펄스 시퀀스에 의해 일어나는 핵스핀 에코 신호들 - 로부터 발산되는 교류 필드는 각각의 무선 주파수 안테나(4)의 RF 수신 코일에 의해, 증폭기(7)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시스템(22)의 무선 주파수 수신 채널(8)로 공급되는 전압(측정 신호)으로 또한 변환된다. 나아가, 무선 주파수 시스템(22)은 무선 주파수 펄스들이 핵자기 공명의 여기를 위해 생성되는 전송 채널(9)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각각의 무선 주파수 펄스들은 시스템 컴퓨터(20)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펄스 시퀀스에 기반한 일련의 복소수들로서 시퀀스 컨트롤러(18)에서 디지털로 표현된다. 이러한 수 시퀀스(number sequence)는 실수부와 허수부로서 개별 입력(12)을 통해 무선 주파수 시스템(22)의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 공급되고,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부터 전송 채널(9)로 공급된다. 전송 채널(9)에서는 베이스 주파수(base frequency)가 중심 주파수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캐리어 신호에 대해 펄스 시퀀스들이 변조된다.
송신 동작으로부터 수신 동작으로의 전환은 송수신 다이플렉서(6)를 통해 일어난다. 무선 주파수 안테나(들)(4)의 RF 송신 코일은 핵스핀의 여기 및 B1 자기장의 생성을 위한 무선 주파수 펄스(공진 및 비공진)를 측정 볼륨(M)으로 방사하고, 그로 인한 에코 신호들이 RF 수신 코일(들)을 통해 스캔된다. 대응적으로 획득된 핵자기 공명 신호들은 무선 주파수 시스템(22)의 수신 채널(8’)(제1 복조기)에서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로 위상 민감 복조되고,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에서 디지털화된다. 이 신호는 0인 주파수로 더 복조된다. 0인 주파수로의 복조 및 실수부와 허수부로의 분리는 디지털 도메인의 제2 복조기(8)에서 발생한다. MR 영상 또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세트가 이러한 방식으로 획득된 측정 데이터로부터 영상 컴퓨터(17)에 의해 재구성된다. 측정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프로그램의 관리는 시스템 컴퓨터(20)를 통해 일어난다. 제어 프로그램에 대한 사양에 기반하여, 시퀀스 컨트롤러(18)는 각각의 원하는 펄스 시퀀스의 생성 및 이에 대응하는 k-스페이스의 스캐닝을 모니터링한다. 특히, 시퀀스 컨트롤러(18)는 그레이디언트의 정시 전환, 소정의 위상 진폭을 갖는 무선 주파수 펄스들의 방사, 및 핵자기 공명 신호들의 수신을 제어한다. 무선 주파수 시스템(22) 및 시퀀스 컨트롤러(18)를 위한 타임 베이스(time base)는 합성기(19)에 의해 제공된다. MR 혈관조영술(angiography)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대응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선택(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이 DVD(21)에 저장됨) 및 생성된 MR 영상의 제시는 키보드(15), 마우스(16), 및 모니터(14)를 포함하는 단말기(13)를 통해 일어난다.
B1 자기장의 판정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퀀스의 가장 중요한 성분들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시퀀스는 준비 부분(preparation part; 51) 및 판독 부분(52)으로 서브분할될 수 있다.
우선, 준비 부분(51)에서, 최선의 90°의 플립각을 갖는 제1 공명 RF 펄스(31)가 방사된 후, 제2 공명 RF 펄스(32)(마찬가지로 최선의 90°의 플립각을 가짐)가 방사된다. 자화는 제1 그레이디언트 모멘트를 갖는 제1 그레이디언트의 적용을 통해 2개의 공명 RF 펄스(31 및 32) 사이에 탈위상된다. 추가적으로, 한편으로는 B1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개별 위치에 존재하는 B1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위상 시프트를 일으키는 비-공명 RF 펄스(34)가 2개의 공명 RF 펄스(31 및 32) 사이에서 방사된다.
제2 공명 RF 펄스(32) 후에 존재하는 자화는 다음의 자기장 성분으로 분할된다.
ㆍ 미준비된 초기 자화에 대응하는 미준비된 종방향 성분;
ㆍ 선택된 그레이디언트 모멘트 또는 제1 그레이디언트의 적용에 의해 탈위상됨으로써 준비된 준비된 종방향 성분; 및
ㆍ 횡단 성분들.
이들 성분 사이의 자화의 상대적 분포는 준비 부분(51)의 2개의 공명 RF 펄스(31 및 32)에 의해 생성되는 편향각들 또는 플립각들에 필수적으로 의존한다.
자화의 횡단 부분들은 강한 스포일러 그레이디언트(43)에 의해 강하게 탈위상되어 다음의 판독 부분(52)의 신호 또는 결과(MR 데이터의 판독)에 더 이상 필수적으로 기여하지 않을 수 있다.
소정의 플립각을 갖는 제3 공명 RF 펄스(33)가 MR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각각 방사된 후, 소정의 그레이디언트 모멘트가 생성되는 제2 재위상 또는 리포커싱 그레이디언트(42)가 뒤따른다. 그 다음, 추가 (판독) 그레이디언트(44)가 전환되면서 MR 데이터가 판독된다.
예를 들어, 완전한 k-스페이스를 판독하기 위해, 새로운 시퀀스가 새로운 준비 부분(51)을 이용하여 실행되기 전에 제3 공명 RF 펄스(33)의 방사 단계, 제2 그레이디언트(42)의 방사 단계, 및 전환 그레이디언트(44)가 주어진 MR 데이터의 판독 단계가 종종 반복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그레이디언트(42 내지 44)뿐 아니라 추가 그레이디언트들(예를 들어, 위상 코딩 그레이디언트, 슬라이스 선택 그레이디언트, 또는 추가 스포일러 그레이디언트)이 임의의 방향으로(예를 들어, 플럭스 보상(flux compensation)을 위해) 전환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소정의 자화 성분 및 이들의 탈위상이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Z0는 미준비된 초기 상태 또는 원래 존재하는 종방향 성분에 대응하고, Z1은 제공 부분(51)에 의해 제공된 종방향 자기장 성분에 대응한다. 그레이디언트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종방향 자기장 성분들이 도 3에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도시된다. 횡단 성분들은 도 3에서 대각으로 이동하며, 이로써 그레이디언트의 탈위상 영향이 도시된다.
제1 공명 RF 펄스(31)의 방사를 통해, 제1 그레이디언트 모멘트에 의해 후속 탈위상되어 준비되는 횡단 성분이 생성된다. 횡단 성분의 소정 비율이 종방향 방향으로 플립되거나, 제2 공명 RF 펄스(32)를 갖는 종방향 성분(Z1)으로 변환된다. 종방향 성분들이 그레이디언트 모멘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종방향 자화의 적어도 소정 부분이 제3 공명 RF 펄스(33) 수단에 의해 횡단 자화로 다시 변환될 때까지 종방향 방향으로 플립된 횡단 성분의 비율은 제2 RF 펄스(32)의 방사에 의해 필수적으로 저장된다. 소정의 시점에 제2 그레이디언트 모멘트(42)의 적용을 통해 자극 에코(SE)가 생성되고, MR 데이터의 판독 시에 판독된다.
비-공명 RF 펄스(34)의 방사를 통해, 그 차원이 (마찬가지로 방사된 비-공명 RF 펄스(34)에 의해 생성되는) 실제 B1 자기장의 세기에 의존하는 핵스핀들의 회전 운동 시의 위상 시프트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시퀀스(62)가 제1 시퀀스(61) 직후에 시간 순으로 도입되면, 제1 시퀀스(61)에 의해 준비된 종방향 성분(53)은 아직 쇠퇴되지 않는다. 제1 RF 펄스(31)의 플립각 또는 여기각이 90°로부터 이탈하면, 제1 시퀀스에 준비된 종방향 자화 성분(Z1)의 일부가 남는다. 이 경우, 본 발명이 사용되지 않았으면, 제2 시퀀스(61)의 판독 부분(52)에 존재하는 Z1 성분은 (이 예시에서 제1 시퀀스(61) 및 제2 시퀀스(62)로부터의) 상이한 시퀀스 실행에서 준비되는 성분들로 구성된다. 제1 시퀀스(61)로부터 기원하는 자화는 참조 문자(53)를 이용하여 지정되는데, 여기서 자화는 제1 공명 RF 펄스(31) 및 제2 공명 RF 펄스(32)에 의해 횡단 및/또는 종단 성분들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그레이디언트 모멘트가 제2 시퀀스(62)에서와 달리 제1 시퀀스(61)에서 상이하게 선택되고/되거나, 제2 그레이디언트 모멘트(42)가 제2 시퀀스(62)에서와 달리 제1 시퀀스(61)에서 상이하게 선택된다는 점에서, 자극 에코가 제2 시퀀스(62)의 판독 부분(52)에서의 제1 시퀀스(61)의 자화 성분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 그레이디언트 모멘트 및/또는 제2 그레이디언트 모멘트(42)가 연속 시퀀스 (61 및 62)에서 상이하게 선택된다는 점에서, 제2 시퀀스(62)의 준비 부분(51)에 준비되었던 종방향 자화 성분의 에코만이 제2 시퀀스(62)의 판독 부분(52)에서 특정 시점에 리포커싱되는 것을 보장한다. 앞선 시퀀스들의 종방향 자화 성분들은 그레이디언트 모멘트들(42)의 상이한 선택으로 인해 상이한 탈위상을 갖는데, 이로써 이롭게도 현재 시퀀스(62)에 의해 준비되었던 자극 에코(SE)만이 MR 데이터의 판독 시에 검출된다. 그러므로, 획득된 MR 데이터의 저하가 방지되며, 이로써 저하되지 않은 위상은 본 발명에 따른 B1 자기장의 판정 시에 측정될 수 있으며, 정확한 B1 자기장이 판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를 위해, 제1 시퀀스(61)의 제2 그레이디언트 모멘트(42)에 비해 제2 시퀀스(62)의 제2 그레이디언트 모멘트(42)에 추가되거나 이로부터 제거되는 차이 모멘트와 동일한 차이 모멘트가 제1 시퀀스(61)의 제1 그레이디언트 모멘트에 비해 제2 시퀀스(62)의 제1 그레이디언트 모멘트에 추가되거나 이로부터 제거된다. 다시 말하면, 이 실시예에서, 그레이디언트 모멘트들 또는 그레이디언트들(42)은 하나의 시퀀스로부터 다음의 후속 시퀀스까지 동일한 차이 모멘트에 의해 수정된다.
B1 자기장을 판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가 도 4에 제시된다.
소정 또는 임의의 시퀀스 중에, 제1 단계(S1)에서는 제1 공명 RF 펄스(31)가 방사되는데, 그 후 제1 탈위상 그레이디언트가 제2 단계(S2)에서 적용된다. 제2 공명 RF 펄스(32)가 제4 단계(S4)에서 방사되기 전에, 제3 단계(S3)에서, 한편으로는 측정 대상 B1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위상 시프트를 발생시키는 비-공명 RF 펄스(34)가 방사된다. 횡단 자화를 파괴하기 위해, 제5 단계(S5)에서, 스포일러 그레이디언트(43)가 적용된다. 단계들(S1 내지 S5)은 시퀀스(61 및 62)의 준비 부분(51)에 속한다.
시퀀스(61 또는 62)의 판독 부분(52)는 제3 공명 RF 펄스(33)의 방사 단계(S6)에서 시작된다. 그 후, 단계(S7)에서, MR 데이터의 판독 시에 검출된 자극 에코(SE)를 생성하기 위해 제2 그레이디언트(42)가 적용된다. 단계들(S6 및 S7)은 예를 들어, k-스페이스가 전부 판독될 때까지 종종 임의로 반복된다.
k-스페이스 전체가 등록되었으면, 획득된 MR 데이터를 사용하여 볼륨 세그먼트 내의 임의의 지점들을 위한 위상 값이 판정될 수 있다. 어떤 B1 자기장이 판정되는지에 따라 위상 시프트가 위상 값들의 차이만으로 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추가 시퀀스(62)가 소정의 시퀀스(61) 직후에 도입된다. 단계(S9)는 제1 그레이디언트 및 제2 그레이디언트(42)가 이전 시퀀스(61)에서와 상이한 그레이디언트 모멘트들을 추가 시퀀스(62)에서 생성한다고 표시한다. 단계들(S1 내지 S5)(준비 부분(51))은 추가 시퀀스(62)를 위해 다시 구현되고, 후속 판독 부분(52)에서, 예를 들어, 단계들(S6 및 S7)은 k-스페이스 전체가 완전히 판독될 때까지 종종 임의로 차례차례 반복된다.
2개의 시퀀스(61 및 62)의 구현 후에, 위상 시프트는 판정된 시퀀스(61)로부터의 위상 값과 추가 시퀀스(62)로부터의 위상 값의 차이로부터 판정될 수 있다(단계(S10) 참조). 단계(S11)에서, 이 위치에서의 B1 진폭은 미리정해진 볼륨 세그먼트 내의 임의의 위치를 위해 계산된 위상 시프트로부터 계산된다.

Claims (15)

  1. 자기 공명 시스템(5)을 이용하여 볼륨 세그먼트 내에서 MR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방법은 시퀀스(61; 62)를 이용하여 상기 MR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획득함 -,
    상기 시퀀스는,
    제1 공명 RF 펄스(31)를 방사하는 단계;
    제2 공명 RF 펄스(32)를 방사하는 단계;
    상기 제1 공명 RF 펄스(31)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공명 RF 펄스(32) 이전에 적용된 탈위상(dephasing) 제1 그레이디언트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제2 공명 RF 펄스(32) 이후에 제3 공명 RF 펄스(33)를 방사하는 단계;
    상기 제1 그레이디언트에 의해 준비된 자화 성분(magnetization component)의 자극 에코(stimulated echo; SE)를 리포커싱(refocus)하기 위해 상기 제3 공명 RF 펄스(33) 후에 제2 그레이디언트(42)를 적용하는 단계; 및
    MR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시퀀스(61)의 정의된 입력에서의 상기 제1 그레이디언트 또는 상기 제2 그레이디언트(42)는 상기 정의된 입력에 바로 후속하는 시퀀스(62)의 추가 입력에서의 제1 그레이디언트 또는 제2 그레이디언트(42)와는 상이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 세그먼트는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슬라이스 선택 그레이디언트가 상기 제1 공명 RF 펄스(31) 동안, 상기 제2 공명 RF 펄스(32) 동안, 및 상기 제3 공명 RF 펄스(33) 동안 각각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전체 3차원 볼륨 세그먼트는 상기 제1 공명 RF 펄스(31), 상기 제2 공명 RF 펄스(32), 및 상기 제3 공명 RF 펄스(33)를 이용하여 각각 여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명 RF 펄스(32) 이후 그리고 상기 제3 공명 RF 펄스(33) 이전에, 상기 자화의 횡단 부분들을 탈위상하기 위해 스포일러(spoiler) 그레이디언트(43)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명 RF 펄스(31) 및 상기 제2 공명 RF 펄스(32)는 각각 90°의 플립각(flip angl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명 RF 펄스(33)를 방사하는 단계, 상기 제2 그레이디언트(42)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시퀀스(61; 62)로 복수회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자기 공명 시스템(5)을 이용하여 볼륨 세그먼트 내에서 B1 자기장을 판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핵스핀들의 회전 이동의 위상 시프트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위상 시프트는 상기 시퀀스의 정의된 입력 동안 또는 상기 시퀀스의 추가 입력 동안 비-공명 RF 펄스(34)의 방사를 통해 발생되고,
    상기 B1 자기장의 진폭은 상기 위상 시프트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비-공명 RF 펄스(34)는 상기 제1 공명 RF 펄스(31)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공명 RF 펄스(32) 이전에 방사되고,
    상기 위상 시프트는 상기 시퀀스(61)의 정의된 입력에서 그리고 상기 시퀀스(62)의 추가 입력에서 획득되는 상기 MR 데이터에 따라 결정된 2개의 위상 값의 차이로부터 판정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명 RF 펄스(34)는 상기 시퀀스(61)의 정의된 입력 동안 및 상기 시퀀스(62)의 추가 입력 동안 발생되고,
    상기 비-공명 RF 펄스(34)는 상기 시퀀스(61)의 정의된 입력에서 제1 주파수를 갖고,
    상기 비-공명 RF 펄스(34)는 상기 시퀀스(62)의 추가 입력에서 제2 주파수를 가지며, 상기 제2 주파수는 상기 제1 주파수와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2개의 연속 시퀀스(61, 62)에서의 상기 비-공명 RF 펄스(34)의 주파수는 한번은 시스템 주파수 위에, 한번은 시스템 주파수 아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는 3회 입력되고, 비-공명 RF 펄스(34)는 시퀀스들 중 2번째 및 3번째에서 방사되지 않고, 상기 시퀀스들 중 2번째에서의 상기 비-공명 RF 펄스(34)의 주파수는 상기 시퀀스들 중 3번째에서의 상기 비-공명 RF 펄스(34)의 주파수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다수의 전송 채널들(9)을 갖는 자기 공명 시스템(5)에서, 상기 전송 채널들(9)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발생된 B1 자기장을 판정하기 위해, 상기 비-공명 RF 펄스(34)는 2개의 시퀀스(61, 62)로 상기 전송 채널들(9)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각각 방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볼륨 세그먼트 내에서 MR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자기 공명 시스템으로서,
    상기 자기 공명 시스템(5)은,
    기본 필드 마그넷(1);
    그레이디언트 필드 시스템(3);
    적어도 하나의 RF 안테나(4);
    적어도 하나의 수신 코일 소자; 및
    상기 그레이디언트 필드 시스템(3)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안테나(4)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안테나에 의해 검출된 측정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측정 신호들을 평가하고 상기 MR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10)
    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공명 시스템(5)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안테나(4)를 이용하여 제1 공명 RF 펄스(31)를 방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안테나(4)를 이용하여 제2 공명 RF 펄스(32)를 방사하고;
    상기 제1 공명 RF 펄스(31)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공명 RF 펄스(32) 이전에 상기 그레이디언트 필드 시스템(3)을 이용하여 탈위상 제1 그레이디언트를 적용하고;
    상기 제2 공명 RF 펄스(32)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안테나(4)를 이용하여 제3 공명 RF 펄스(33)를 방사하고;
    상기 제1 그레이디언트에 의해 준비된 자화 성분의 자극 에코를 리포커싱하기 위해 상기 그레이디언트 필드 시스템(3)을 이용하여 상기 제3 공명 RF 펄스(33) 후에 제2 그레이디언트(42)를 적용하고;
    MR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시퀀스(61; 62)를 반복적으로 구현하여 상기 MR 데이터가 획득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자기 공명 시스템(5)은 시퀀스(61)의 정의된 입력에서의 상기 제1 그레이디언트 또는 상기 제2 그레이디언트(42)를 상기 정의된 입력에 바로 후속하는 시퀀스(62)의 추가 입력에서의 상기 제1 그레이디언트 또는 상기 제2 그레이디언트(42)와 상이하도록 설정하도록 설계되는 자기 공명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공명 시스템(5)은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시스템.
  14.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자기 공명 시스템(5)의 프로그램 가능한 제어 디바이스(10)의 메모리로 직접 로딩될 수 있고, 상기 자기 공명 시스템(5)의 상기 제어 디바이스(10)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모든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5. 삭제
KR1020140010514A 2013-02-01 2014-01-28 Mr 데이터를 획득하고 b1 자기장을 판정하는 방법 및 이에 대응하여 설계된 자기 공명 시스템 KR101617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310201670 DE102013201670B3 (de) 2013-02-01 2013-02-01 Verfahren zum Erfassen von MR-Daten und zur Bestimmung eines B1-Magnetfelds sowie entsprechend ausgestaltete Magnetresonanzanlage
DE102013201670.0 2013-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201A KR20140099201A (ko) 2014-08-11
KR101617936B1 true KR101617936B1 (ko) 2016-05-18

Family

ID=5092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514A KR101617936B1 (ko) 2013-02-01 2014-01-28 Mr 데이터를 획득하고 b1 자기장을 판정하는 방법 및 이에 대응하여 설계된 자기 공명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25546B2 (ko)
JP (1) JP6258050B2 (ko)
KR (1) KR101617936B1 (ko)
CN (1) CN103969610B (ko)
DE (1) DE102013201670B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9295B4 (de) * 2012-06-01 2014-02-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Bestimmung einer objektspezifischen B1-Verteilung eines Untersuchungsobjekts im Messvolumen in der Magnetresonanztechnik
EP2741096A1 (en) * 2012-12-04 2014-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ast B1 mapping based on interleaved three flip angle excitation
DE102013201671B3 (de) * 2013-02-01 2014-07-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Erfassen von MR-Daten und zur Bestimmung eines B1-Magnetfelds sowie entsprechend ausgestaltete Magnetresonanzanlage
DE102017210309A1 (de) * 2017-06-02 2018-12-06 Universität Ul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s Kernspinresonanz-Spektrums von Kernspinmomenten einer Probe
JP7067615B2 (ja) * 2018-03-30 2022-05-1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仕切り部材及び組電池
US11193997B2 (en) 2018-08-21 2021-12-07 Siemens Healthcare Gmbh Operating an MRI apparatus
EP3614161A1 (en) * 2018-08-21 2020-02-26 Siemens Healthcare GmbH Method of ramping a magnet for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EP3715896B1 (en) * 2019-03-27 2023-02-15 Siemens Healthcare GmbH Minimization of signal losses in multi-echo imaging
CN110780249B (zh) * 2019-11-21 2020-08-11 中国科学院武汉物理与数学研究所 使用绝热射频脉冲测量射频b1场分布的磁共振成像方法
CN111537928B (zh) * 2020-03-17 2021-07-23 无锡鸣石峻致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扩散效应的磁共振系统梯度场测量方法
EP3901647A1 (en) * 2020-04-23 2021-10-27 Koninklijke Philips N.V. Mr imaging with t1 compensated b1 mapp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8459A1 (en) 2002-03-15 2003-11-27 Ravinder Reddy Pulse imaging sequences and methods for T1p-weighted MRI
US20040164737A1 (en) 2002-12-02 2004-08-26 Thorsten Feiweier Method for determining the B1 field strength in MR measurements
JP2010284525A (ja) 2009-06-15 2010-12-24 General Electric Co <Ge> 磁気共鳴rf磁場計測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6339A (ja) * 1989-09-19 1991-05-02 Hitachi Medical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DE4023128A1 (de) 1990-07-20 1992-01-23 Philips Patentverwaltung Kernresonanz-spektroskopieverfahren
US5379766A (en) * 1991-04-02 1995-01-10 U.S. Philips Corpora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motion of a part of an object based on stimulated echoes
JP3384944B2 (ja) 1996-07-11 2003-03-10 ジーイー横河メディカルシステム株式会社 Mri装置
US7233818B1 (en) * 1999-08-05 2007-06-19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s and apparatus for mapping internal and bulk motion of an object with phase labeling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JP4732648B2 (ja) * 1999-08-05 2011-07-27 アメリカ合衆国 磁気共鳴映像法において位相ラベル付けにより目標の内部の運動および全体的な運動の写像を得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2143115A (ja) * 2000-10-30 2002-05-21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Mrイメージング方法、位相エラー測定方法およびmri装置
JP3796455B2 (ja) 2002-02-22 2006-07-12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Mri装置
DE102011006230B4 (de) 2011-03-28 2013-01-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Pixelweise Korrektur einer Phaseninformation in MR-Bildern unter Verwendung eines Navigatorsignals
US20140070805A1 (en) * 2011-04-11 2014-03-13 Koninklijke Philips N.V. Mr imaging with b1 mapping
DE102013201671B3 (de) * 2013-02-01 2014-07-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Erfassen von MR-Daten und zur Bestimmung eines B1-Magnetfelds sowie entsprechend ausgestaltete Magnetresonanzanl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8459A1 (en) 2002-03-15 2003-11-27 Ravinder Reddy Pulse imaging sequences and methods for T1p-weighted MRI
US20040164737A1 (en) 2002-12-02 2004-08-26 Thorsten Feiweier Method for determining the B1 field strength in MR measurements
JP2010284525A (ja) 2009-06-15 2010-12-24 General Electric Co <Ge> 磁気共鳴rf磁場計測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69610A (zh) 2014-08-06
DE102013201670B3 (de) 2014-07-03
CN103969610B (zh) 2017-06-09
JP6258050B2 (ja) 2018-01-10
US9625546B2 (en) 2017-04-18
JP2014147747A (ja) 2014-08-21
US20140218021A1 (en) 2014-08-07
KR20140099201A (ko) 201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936B1 (ko) Mr 데이터를 획득하고 b1 자기장을 판정하는 방법 및 이에 대응하여 설계된 자기 공명 시스템
KR101663367B1 (ko) 물의 t1 시간 및 지방의 t1 시간을 결정하는 자기 공명 시스템 및 방법
US808212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gnetic resonance signals through multi-dimensional RF excitation pulses
US10215831B2 (en) Method and magnetic resonance system to determine a resonance frequency deviation
US7863898B2 (en) Method and magnetic resonance system to determine the phase position of a magnetization
US9625552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acquire magnetic resonance data
US9151816B2 (en) Method and magnetic resonance system for acquiring magnetic resonance data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an examination subject
CN103513203B (zh) 在厚片选择性space成像中减少流动伪影的磁共振系统和方法
CN108303661B (zh) 磁共振发射信号的校正
KR101617937B1 (ko) Mr 데이터를 획득하고 b1 자기장을 판단하는 방법 및 이에 대응하여 설계된 자기 공명 시스템
KR101627706B1 (ko) 자기 공명 기법에서 측정 볼륨 내의 검사 대상의 대상-특정 b1 분포를 결정하는 방법, 자기 공명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EP29881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magnetic resonance data
US9417304B2 (en) Method and magnetic resonance system to acquire MR data with diffusion information
US10151812B2 (en) Magnetic resonance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MR signals for determining various parameters
US10578697B2 (en) Method and magnetic resonance apparatus using a spin-echo sequence for the spatially selective acquisition of magnetic resonance data
US9476954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generate magnetic resonance data
US7208949B2 (en) Magnetic resonance method with non-linear magnetic field gradients
US20230288510A1 (en) Three-Dimensional Diffusion 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