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128B1 - Device of pipe connector for ordinary piping - Google Patents
Device of pipe connector for ordinary pip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7128B1 KR101617128B1 KR1020150111491A KR20150111491A KR101617128B1 KR 101617128 B1 KR101617128 B1 KR 101617128B1 KR 1020150111491 A KR1020150111491 A KR 1020150111491A KR 20150111491 A KR20150111491 A KR 20150111491A KR 101617128 B1 KR101617128 B1 KR 1016171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ling
- pipe
- coupling
- compression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26 fusion splic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35 Galvaniz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7 galvaniz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4 heat shrinkabl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58 resili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용 파이프의 설치 및 고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는 이웃하는 서로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단에는 제 1 파이프와 결합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에서 내부를 관통하는 중앙홀과 연계되기 위한 삽입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삽입부에는 제 2 파이프가 결합되며, 상기 제 2 파이프의 길이방향 외부에서 탄성적으로 압착되도록 상기 삽입부에 끼움 결합되는 실링수단 및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실링수단에 압착력을 전달하기 위한 압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ing pipe conne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ing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more stably installing and fixing piping pipes. 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nnecting adjacent pipes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pipe is connected to the first pipe at a front end thereof. The connecting pipe is connected to a center ho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pe. A sealing unit coupled to the insertion unit and coupled to the second pipe to be elastically compressed out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and a rear end of the body unit, And a pressing means for transmitting a pressing force to the sealing means.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용 파이프의 설치 및 고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ing pipe conne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ing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more stably installing and fixing piping pipes.
일반적으로, 파이프(pipe)는 관 또는 튜브(tube)라고도 하며, 수도관 및 가스관 등의 일상생활시설뿐만 아니라 각종 공업용시설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pipe is also referred to as a tube or a tube, and is widely used not only in daily life facilities such as water pipes and gas pipes but also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파이프는 주로 유체(기체 및 액체) 및 분체의 수송에 사용되며, 땅 속이나 옥내의 배선을 할 때나 전선 및 케이블의 보호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Pipes are mainly used for transporting fluids (gas and liquid) and powder, and are also used for wiring in the ground or indoors, and for protecting wires and cables.
파이프에 의해 구성되는 유체의 통로 등을 관로라고 하고, 유체의 유량, 물성값 및 마찰저항 등을 생각해서 합리적으로 관로를 설치하는 것을 배관이라 한다.A pipe, which is formed by a pipe, is referred to as a pipe, and a pipe is referred to as a pipe for reasonably installing the pipe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rate, property value, friction resistance, and the like of the fluid.
즉, 배관용 파이프는 급수, 배수, 급탕, 냉난방, 가스 공사용 등의 관을 배치하는 것 또는 배치된 관을 뜻하는 것으로써, 주로 주철관, 강관(흑가스관), 아연도금강관(백가스관), 합성수지관 등이 사용된다.That is, the pipe for pipes refers to a pipe in which pipes such as water supply, drainage, hot water supply, cooling and heating, and gas construction are disposed or arranged, and is mainly composed of a cast iron pipe, a steel pipe (black gas pipe), a galvanized steel pipe A synthetic resin pipe or the like is used.
배관용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구조물에는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이 설치되며, 이러한 연결수단은 파이프가 특정 경로를 통해 순환되면서 유체의 외부 유출이 방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 connecting means for fixing the pipe is provided in the structure used for connecting the pipe for piping, and the connecting means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ipe is circulated through a specific path to prevent the fluid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즉, 두 개 이상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식에는 소켓방식, 열수축성 밀착수단을 이용한 방식 및 융착접합방식 등이 있다.That is, a method of connecting two or more pipes includes a socket method, a method using heat shrinkable adhesion means, and a fusion bonding method.
파이프 연결수단 중 소켓방식은 소켓 내주면에 반원형의 요홈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링 형상의 고무 패킹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타측 연결대상 관체를 소켓 내부로 밀어넣어 관체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In the socket type of the pipe connecting means, a semicircular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ocket, and a ring-shaped rubber packing is seated in the socket, and the other connecting body is pushed into the socket to connect the body.
하지만, 소켓방식은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패킹의 탄력이 줄어들어 누수의 원인이 되며, 홍수 등으로 인해 관로 내부에 흐르는 수량의 증가로 압력이 급격히 증대되는 때에는 소켓의 연결부위가 압력을 이기지 못하여 관체가 쉽게 터지거나 분리된다.However, in the socket type, the elasticity of the packing decreases as time elapses after the construction, which causes leakage, and when the pressure increases suddenly due to the increase of the water flow inside the pipe due to flood, etc., The tube easily breaks or separates.
열수축성 밀착수단을 이용한 방식은 열수축성 재질의 시트나 튜브로 이루어진 열수축성 밀착수단으로 관체 연결부의 외주면을 감싼다.The system using the heat shrinkable adhesion means is a heat shrinkable adhesion means made of a sheet or a tube of heat shrinkable material and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connection portion.
이러한 상태에서 열을 가하고 그 수축에 의해 열수축성 밀착수단이 관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그 위에 금속재 밴드를 감아붙여 체결구를 체결함으로써 관체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is state, heat is applied and the heat shrinkable adhesion means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by shrinkage thereof. Then, a metal band is wound on the tube and the fastener is fastened to connect the tube.
하지만, 열수축성 밀착수단을 이용한 방식은 열수축성 밀착수단의 단부가 겹쳐지는 부위에서 수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쉽게 누수가 이루어지고, 번거로운 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시공이 복잡하며, 열수축성 밀착수단이 고가여서 소요비용이 증가한다.However, in the system using the heat-shrinkable adhesion means, the water-tightness at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heat-shrinkable adhesion means is so low that leakage is easily generated and the complicated construction is carried out, so that the construction is complicated and the heat- Costs increase.
융착접합방식은 내주면에 단턱부가 구비되고 양측면에 열선으로서의 융착메쉬가 부착된 연결구를 이용하여 열융착에 의한 연결관과 연결대상 관체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다.In the fusion bonding method, a connection is made between the connection pipe and the connection target pipe by thermal fusion using a connection port having a step por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fusion mesh as a heat wire on both sides.
하지만, 융착접합방식은 합성수지재의 연결관을 성형한 후에 별도의 설비를 이용해서 그 내주면상에 융착메쉬를 부착시키는 작업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연결관의 제조비용이 증대된다.However, the fusion splicing method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nnection pipe because the fusion splicing mesh i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after the connection pipe is formed.
또한, 홍수 등의 요인으로 인한 수량의 증가로 내부 압력이 증대되는 경우, 관체와 연결관 사이를 지지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쉽게 관체와 연결관이 분리된다.In addition, when the internal pressure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water quantity due to the flood or the like, there is no device for supporting between the pipe and the pipe, so that the pipe and the pipe are easily separated.
이를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4-0084507호가 제시되었다.For this purpos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4-0084507 has been proposed.
상술한 종래특허에 의한 관 연결구는, 가압부 및 체결부를 몸체부에 결합하여 쉽게 관을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반복적으로 관이 연결 및 분리가능하면서 연결된 관 사이의 연결성 및 밀폐성을 높일 수 있으며, 외면걸림턱 및 내면걸림턱으로 인해 삽입된 관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e tube connecting pip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at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ipe connecting part is easily connected by connecting the pressurizing part and the fastening part to the body part. Thus, the pipes can be connected and separated repeatedly, , The outer jaw jaw and the inner jaw jaw can prevent the inserted tube from being separated.
하지만, 종래 공개특허의 관 연결구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기밀작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관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However, since the structure of the pipe joint of the prior art is complicated and the airtight effect is not sufficiently performed, the problem is that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leaks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용 파이프의 설치 및 고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ing pipe connecting device for more stably installing and fixing a piping pip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는, 이웃하는 서로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단에는 제 1 파이프와 결합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에서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홀과 연계되기 위한 삽입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삽입부에는 제 2 파이프가 결합되며, 상기 제 2 파이프의 길이방향 외부에서 탄성적으로 압착되도록 상기 삽입부에 끼움 결합되는 실링수단 및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실링수단에 압착력을 전달하기 위한 압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iping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adjacent pipes, the piping pipe connecting apparatus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a first pipe at a front end thereof, A second pipe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and a sealing member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to be elastically compressed out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And a pressing means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for transmitting a pressing force to the sealing means.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삽입부가 제 1 삽입홈 및 제 2 삽입홈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 1 삽입홈은 상기 관통홀의 끝단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 2 삽입홈은 상기 제 1 삽입홈의 끝단에서 연장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the first insertion groov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through hole, And may extend from the end of the groove.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제 1 삽입홈에는 상기 제 2 파이프가 결합되고, 상기 제 2 삽입홈에는 상기 실링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ipe may be coupl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sealing means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이 제 1 실링, 제 2 실링 및 제 3 실링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 1 실링은 상기 제 2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삽입홈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실링은 상기 제 2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압착수단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실링은 상기 제 2 삽입홈의 내측면과 상기 압착수단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means is provided by a first sealing, a second sealing and a third sealing, the first sealing being dispos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ipe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The second sealing may be dispos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ip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pressing means, and the third sealing may b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means.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링의 내측면 및 외측면이 다수개의 압착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실링의 선단에는 상기 제 2 삽입홈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first sealing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compression grooves, an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sealing, coupling grooves or coupling protrusions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insertion grooves are provided .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링의 내측면이 다수개의 압착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실링의 외측면에는 상기 압착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ring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compression grooves,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ring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or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with the compression means.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제 3 실링의 외측면이 다수개의 압착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실링의 내측면에는 상기 압착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seal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pression grooves, and an inner surface of the third seal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or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with the compression means.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은 상기 제 2 실링 및 제 3 실링의 사이에 결합된 채, 그 선단이 상기 제 1 실링의 후단과 대면하되, 상기 압착수단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2 실링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 2 실링에는 상기 압착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In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means is coupled between the second sealing and the third sealing, and has a front end facing the rear end of the first sealing, And the second sealing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or a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with the compression means.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은 상기 제 2 실링 및 제 3 실링의 사이에 결합된 채, 그 선단이 상기 제 1 실링의 후단과 대면하되, 상기 압착수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3 실링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 3 실링에는 상기 압착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In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on means is coupled between the second sealing and the third sealing, and has a front end facing the rear end of the first sealing, And the third sealing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or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with the compression means.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제 2 삽입홈의 깊이는 상기 제 1 실링의 두께와 상기 제 2 실링의 두께를 더한 값 또는 상기 제 1 실링의 두께와 상기 제 3 실링의 두께를 더한 값보다 작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is smaller than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thickness of the first sealing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ealing, or a sum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sealing and the thickness of the third sealing .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의 선단에는 상기 제 1 실링을 가압하기 위한 압착턱이 더 마련될 수 있다.In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ression jaw for pressing the first sealing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tip of the compression means.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이 제 1 실링 및 제 4 실링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 4 실링의 내측면 및 외측면이 다수개의 압착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4 실링에는 상기 압착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In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means is provided by a first sealing and a fourth sealing, wherein an inner side surface an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fourth sealing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ression grooves, A coupling groove or a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이 제 5 실링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 5 실링의 내측면 및 외측면이 다수개의 압착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5 실링에는 상기 압착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means is provided as a fifth sealing, and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fifth sealing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ression grooves, and the fifth sealing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groove or engaging project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압착수단에는 다수개의 체결홀이 마련되되, 상기 몸체부 및 압착수단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는 고정수단을 매개로 상호 체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and the pressing mean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d the body and the pressing means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via fastening mean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이프와 상기 연결부가 융착 연결되어 편수칼라 일체형 파이프로 사용될 수 있다.In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ipe and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fused and connected to form a single-color integrated pip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몸체부의 삽입부에는 압착수단을 통해 압착된 실링수단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몸체부와 파이프 간에 밀폐성 및 수밀성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aling means pressed by the compression means is fitted 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hermeticity and water tightness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pipe can be further increased.
또한, 몸체부의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다른 구성수단과의 상호 결합이 간단하여 작업상의 취급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Further, since the structure of the body portion is simple, mutual coupling with other constituent means is simple, and handling and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is easy.
또한, 실링수단은 탄성 소재로 마련된 채 다수개의 압착홈이 형성되어 몸체부의 삽입부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삽입부 또는 파이프와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대면할 수 있으며, 몸체부와 압착수단이 결합된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어도 삽입부 및 파이프에 발생가능한 표면 결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sealing means is formed of a resilient material and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mpression grooves to be fitted 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or the pipe can be more firmly and stably fac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surface defects that may occur i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pipe in advanc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ng device of a pipe for pi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5 ar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Fig. 2. Fig.
FIG. 6 and FIG. 7 ar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relationship of the user and the operator. These terms are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Also,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및 결합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ipe of a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100, 이하 연결장치)는 몸체부(110), 실링수단(120) 및 압착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a connecting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necting device) for a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몸체부(110)는 이웃하는 서로 다른 파이프, 예컨대, 제 1 파이프(10) 및 제 2 파이프(2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단에는 다수개의 체결홀(110a)이 형성되고, 선단에는 제 1 파이프(10)와 결합되는 연결부(111)가 구비되며, 연결부(111)에서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홀(112)과 연계되기 위한 삽입부(113)를 포함한다.The
본 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는 제 1 파이프(10) 및 제 2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용도, 즉 이음관의 용도 이외에, 생산현장에서 연결부(111)에 제 1 파이프(10)를 정밀하게 융착 연결한 상태로 출고하여, 현장에서 제 2 파이프(20)를 연결하기 위한 용도, 즉 편수칼라 일체형 파이프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ecisely weld and connect the
몸체부(110)의 삽입부(113)는 제 1 삽입홈(113a) 및 제 2 삽입홈(113b)으로 마련되되, 제 1 삽입홈(113a)은 관통홀(112)의 끝단에서 연장형성되며, 제 2 삽입홈(113b)은 제 1 삽입홈(113a)의 끝단에서 연장형성된다.The
즉, 몸체부(110)의 선단으로부터 그 내부에는 관통홀(112), 제 1 삽입홈(113a), 제 2 삽입홈(113b)의 순서로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관통홀(112)은 유체를 제 1 파이프(10)에서 제 2 파이프(20) 또는 제 2 파이프(20)에서 제 1 파이프(10)로 유동시키기 위한 통로이다.The through
또한, 제 1 삽입홈(113a)에는 제 2 파이프(20)의 선단이 결합되며, 제 2 삽입홈(113b)에는 실링수단(120) 및 압착수단(130)이 결합되되, 제 2 파이프(20)의 길이방향 외부에 배치된다.The sealing means 120 and the compression means 130 are coupled to the
이때, 연결부(111)의 직경 및 제 1 삽입홈(113a)의 직경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마련가능하므로, 각 직경에 대응하도록 제조된 제 1 파이프(10) 및 제 2 파이프(20)가 결합되어 작업현장의 사용 목적에 따른 유체의 유동 경로로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실링수단(120)은 몸체부(110)의 삽입부(113)에 결합되는 제 2 파이프(20)의 길이방향 외부에서 탄성적으로 압착되도록 삽입부(113)의 제 2 삽입홈(113b)에 끼움 결합된다.The sealing means 120 is inserted into the
더욱이, 실링수단(120)이 제 1 실링(121), 제 2 실링(122) 및 제 3 실링(123)으로 구비되되, 제 1 내지 제 3 실링(121, 122, 123)은 탄성력을 갖는 링 형상으로 마련된다.Further, the sealing means 120 is provided with the
구체적으로, 제 1 실링(121)은 그 내측면 및 외측면이 다수개의 압착홈(121a)으로 이루어지며, 제 1 실링(121)의 선단에는 제 2 삽입홈(113b)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21b)가 마련된다.Specifically, the
탄성체인 제 1 실링(121)의 내측면 및 외측에는 다수개의 압착홈(121a)이 형성됨으로써, 제 1 실링(121)이 결합돌기(121b)를 통해 몸체부(110)의 제 2 삽입홈(113b)에 끼움 결합되어 제 2 삽입홈(113b)의 내측면 및 제 2 파이프(20)의 길이방향 외주면과 상호 긴밀하게 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제 2 실링(122)은 그 내측면이 다수개의 압착홈(122a)으로 이루어지며, 제 2 실링(122)의 외측면에는 압착수단(130)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결합홈(122b)이 마련된다.The
탄성체인 제 2 실링(122)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압착홈(122a)이 형성됨으로써, 제 2 실링(122)이 결합홈(122b)을 통해 압착수단(130)의 내측면에 끼움 결합되어 제 2 파이프(20)의 길이방향 외주면과 상호 긴밀하게 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제 3 실링(123)은 그 외측면이 다수개의 압착홈(123a)으로 이루어지며, 제 3 실링(123)의 내측면에는 압착수단(130)의 외측면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23b)가 마련된다.The outer surface of the
탄성체인 제 3 실링(123)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압착홈(123a)이 형성됨으로써, 제 3 실링(123)이 결합돌기(123b)를 통해 압착수단(130)의 외측면에 끼움 결합되어 제 2 삽입홈(113b)의 내측면과 상호 긴밀하게 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상술한 제 1 내지 제 3 실링(121, 122, 123)이 몸체부(110)의 제 2 삽입홈(113b)에 단순 끼움 및 결합되는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제 1 내지 제 3 실링(121, 122, 123)이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연결장치(100)의 분해 또는 결합의 상황에 따른 제 1 내지 제 3 실링(121, 122, 123)의 변형량에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1 and 2, the first through third sealing rings 121, 122, and 123 are simply fitted and coupled to the
압착수단(130)은 몸체부(110)의 후단에 배치되어 실링수단(120)에 압착력을 전달하며, 압착수단(130)의 내측면에는 제 2 실링(122)의 후단과 대면하는 단턱부(133)가 마련된다.The pressing means 130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압착수단(130)의 일단에는 몸체부(110)의 체결홀(110a)과 연계되는 다수개의 체결홀(130a)이 마련되어 고정수단(140)을 매개로 체결된다.One end of the
여기서, 체결홀(110a, 130a)에는 다수개의 볼트(141)가 삽입되어 이에 대응하는 너트(142)와 결합되며, 이러한 볼트(141) 및 너트(142)에 의해 압착수단(130)의 일단을 몸체부(110)의 후단에 밀착시킴으로써, 압착수단(130)이 실링수단(120)을 가압한 상태에서 몸체부(110)와 압착수단(130)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상술한 도 1 및 도 2에서는 몸체부(110)와 압착수단(130)의 상호 체결을 위한 고정수단(140)이 나사체결식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링수단(120)을 올바르게 압착한 채 몸체부(110)와 올바르게 결속된 상태의 구조라면 다양하게 구현가능하다.1 and 2, the fastening means 140 for fastening the
압착수단(130)은 제 2 실링(122) 및 제 3 실링(123)의 사이에 결합된 채, 그 선단이 제 1 실링(121)의 후단과 대면한다.The compression means 130 is coupled between the
즉, 압착수단(130)의 내측면에는 제 2 실링(122)의 결합홈(122b)에 대응하는 결합돌기(131)가 마련되며, 그 외측면에는 제 3 실링(123)의 결합돌기(123b)에 대응하는 결합홈(132)이 마련된다.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ression means 130 is provided with a
물론 상기 구조는 압착수단(130)의 내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제 2 실링(122)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거나, 압착수단(130)의 외측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제 3 실링(123)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Of course, the structure may be such that a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ression means 130,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따라서, 제 2 파이프(20)가 몸체부(110)의 제 1 삽입홈(113a)에 결합된 경우, 제 2 파이프(20)와 제 1 삽입홈(113a) 사이에는 미세한 이격 공간이 생길 수 있고, 이러한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자 제 1 실링(121)이 제 2 삽입홈(113b)에 결합되어 1 차 밀폐를 구현한다.Accordingly, when the
이때, 압착수단(130)은 제 2 파이프(20)의 외주면에 압착될 제 2 실링(122) 및 제 2 삽입홈(113b)의 타측에 압착될 제 3 실링(123)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되, 제 2 실링(122) 및 제 3 실링(123)의 각 선단이 제 1 실링(121)의 후단에 대면한 채, 압착수단(130)의 선단이 제 1 실링(121)의 후단을 압착하여 2 차 밀폐를 구현한다.At this time, the pressing means 130 is fitted between th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삽입홈(113b)의 깊이(d0) 값보다 제 1 실링(121)의 두께(d1)와 제 3 실링(123)의 두께(d3)를 더한 값이 더 크게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pth (d 0)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 (d 3)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sealing ring (121), (d 1) and the third sealing ring (123) the value of the second groove (113b) .
즉, 제 2 삽입홈(113b)의 깊이(d0) 값보다 큰 값을 가지는 제 1 실링(121)과 제 3 실링(123)을 압착수단(130)이 압착함으로써, 보다 완벽한 기밀을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압착력에 의하여 실링수단(120)이 제 2 파이프(20)를 압착하여 제 2 파이프(20)가 이격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마찬가지로, 제 2 삽입홈(113b)의 깊이(d0) 값보다 제 1 실링(121)의 두께(d1)와 제 2 실링(122)의 두께(d2)를 더한 값이 더 크게 형성되며, 그 이유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다.Similarly, the second groove (113b), the depth (d 0) tha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00)는 상술한 1 차 및 2 차 밀폐를 구현함으로써, 제 2 파이프(20)의 길이방향 외주면 및 제 2 삽입홈(113b)의 일면이 보호된 채, 연결부위의 밀폐성 및 수밀성이 더욱 향상되어 제 1 파이프(10)와 제 2 파이프(20)의 상호 연결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alizes the above-described primary and secondary sealing, so that the longitudin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또한, 실링수단(120) 및 압착수단(130)이 돌기와 홈의 상호 끼움식 결합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서로 긴밀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이격 및 이탈의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 채, 몸체부(110)와 제 2 파이프(20)의 이격 공간을 통해 누출가능한 유체를 밀폐시킬 수 있다.Since the sealing means 120 and the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단,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s. 3 to 5 ar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Fig. 2, Fig. 6 and Fig. 7 ar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와 같이, 압착수단(150)의 선단에는 제 1 실링(121)의 후단에 대면한 채, 제 1 실링(121)을 가압하기 위한 압착턱(150a)이 더 마련될 수 있다.3, a
이와 같이, 압착수단(150)의 선단에 압착턱(150a)이 마련됨으로써, 압착수단(150)은 제 2 실링(122) 및 제 3 실링(123)과 끼움 결합된 채, 그 선단이 제 1 실링(121)의 후단을 가압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전체 구조물의 압착성 및 밀폐성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또한, 제 2 파이프(20)는 몸체부(110)와 상호 고정된 구조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해 부품들이 이탈 및 이격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어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반면에,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실링수단(120)이 제 2 실링(122)과 제 3 실링(123)의 일체형인 제 4 실링(160) 및 제 1 내지 제 3 실링(121, 122, 123)의 일체형인 제 5 실링(170)으로 이루어져 제 2 삽입홈(113b)에 압착 및 결합될 수 있다.4 and 5, the sealing means 120 described above includes a
즉, 도 4에서와 같이, 일체형의 제 4 실링(160)은 그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다수개의 압착홈(160a)이 형성되고, 제 4 실링(160)의 결합홈(161) 및 결합돌기(162)에 대응하는 압착수단(130)의 결합돌기(131) 및 결합홈(132)과 상호 끼움 결합된 압착상태를 구현한다.4, the integral
더욱이, 제 4 실링(160)의 선단으로는 제 1 실링(121)의 후단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돌기부(160b)가 마련되어, 제 1 실링(121)의 후단과 제 4 실링(160)의 선단이 효율적으로 조립된 채, 보다 견고한 압착 및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도 5에서와 같이, 일체형의 제 5 실링(170)은 그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다수개의 압착홈(170a)이 형성되고, 제 5 실링(170)의 결합홈(171) 및 결합돌기(172)에 대응하는 압착수단(180)의 결합돌기(181) 및 결합홈(182)과 상호 끼움 결합된 압착상태를 구현한다.5, the integrated
더욱이, 제 5 실링(170)의 선단으로는 제 2 삽입홈(113b)의 내측면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돌기부(170b)가 마련되어, 제 2 삽입홈(113b)의 내측면과 제 5 실링(170)의 선단이 효율적으로 조립된 채, 보다 견고한 압착 및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
한편,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200, 300)는 작업현장의 상황 및 목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의 파이프 연결 구조를 이룰 수 있다.6 and 7, the connecting
구체적으로, 도 6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연결장치(200)는 이웃하는 제 1 파이프(10) 및 제 2 파이프(20)를 연결하기 위한 직선형으로 마련되되, 그 양단이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된 채,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6, the connecting
도 6에서의 연결장치(200)는 몸체부(210), 한 쌍의 실링수단(120) 및 한 쌍의 압착수단(130)을 포함하되, 대부분의 구성이 상술한 도 1 및 도 2의 연결장치(100)와 같고, 다만 몸체부(210)의 구조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다.6 includes a
즉, 연결장치(200)의 몸체부(210)는 길이방향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112)이 형성된 직선형으로 마련된 채, 그 길이방향 양단에는 동일한 형상의 삽입부(113)가 대칭적으로 마련되며, 이러한 삽입부(113)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압착수단(130)이 고정수단(140)에 의해 몸체부(210)의 후단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반면에, 도 7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연결장치(30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 1 파이프(10) 및 제 2 파이프(20)를 연결하기 위한 엘보(elbow)형으로 마련되되, 그 양단의 구성이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7, the connecting
도 7에서의 연결장치(300)는 몸체부(310), 한 쌍의 실링수단(120) 및 한 쌍의 압착수단(130)을 포함하되, 대부분의 구성이 상술한 도 1 및 2의 연결장치(100)와 같고, 다만 몸체부(310)의 구조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다.7 includes a
즉, 연결장치(300)의 몸체부(310)는 그 길이방향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112)이 형성된 엘보형으로 마련된 채, 그 길이방향 양단으로는 동일한 형상의 삽입부(113)가 마련되며, 이러한 삽입부(113)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압착수단(130)이 고정수단(140)에 의해 몸체부(310)의 후단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직선형 및 엘보형 이외에도 T자 형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조의 배관을 연결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onnecting pipes having various structures, such as the T-shaped type as well as the straight type and the elbow type.
또한 상술한 이음관의 용도 이외에, 생산현장에서 연결부(111)에 제 1 파이프(10)를 정밀하게 융착 연결한 상태로 출고하여, 현장에서 제 2 파이프(20)를 연결하기 위한 용도, 즉 편수칼라 일체형 파이프에도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joint pipe, the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실링수단(120)은 제 1 내지 제 3 실링(121, 122, 123)으로 마련되어 몸체부(110)의 제 2 삽입홈(113b)에 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마련된 제 4 실링(160) 및 제 5 실링(170)이 몸체부(110)의 제 2 삽입홈(113b)에 결합되는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며, 몸체부(110)의 형상을 직선형의 몸체부(210) 및 엘보형의 몸체부(310)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sealing means 120 may be provided as first to third sealing rings 121, 122 and 123 and may be coupled to the
즉, 몸체부(110, 210, 310)의 형상 및 실링수단(120)과 압착수단(130, 150, 180)의 결합구조는 상기 예시한 구조 중의 어느 하나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구조가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at is, the shape of the
더욱이, 몸체부(110, 210, 310)의 형상에 있어서, 이웃하는 서로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여 유체의 유동을 올바르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연결 구조, 예컨대, T자형, 십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Further, if the structure of the
결과적으로,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100, 200, 300)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S. 1 to 7,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through the connecting
즉,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몸체부(110, 210, 310)의 삽입부(113)에는 압착수단(130, 150, 180)을 통해 압착된 실링수단(120)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몸체부(110, 210, 310)와 파이프 간에 밀폐성 및 수밀성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aling
또한, 몸체부(110, 210, 310)의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다른 구성수단과의 상호 결합이 간단하여 작업상의 취급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Further, since the
또한, 실링수단(120)은 탄성 소재로 마련된 채 다수개의 압착홈(121a, 122a, 123a)이 형성되어 몸체부(110, 210, 310)의 삽입부(113)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삽입부(113) 또는 파이프와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대면할 수 있으며, 몸체부(110, 210, 310)와 압착수단(130, 150, 180)이 결합된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어도 삽입부(113) 및 파이프에 발생가능한 표면 결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sealing means 120 includes a plurality of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 1 파이프 20: 제 2 파이프
100, 200, 300: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110, 210, 310: 몸체부 110a, 130a: 체결홀
111: 연결부 112: 관통홀
113: 삽입부 113a: 제 1 삽입홈
113b: 제 2 삽입홈 120: 실링수단
121: 제 1 실링 121a, 122a, 123a: 압착홈
121b, 123b, 131: 결합돌기 122: 제 2 실링
122b, 132: 결합홈 123: 제 3 실링
130, 150, 180: 압착수단 130a: 체결홀
133: 단턱부 140: 고정수단
141: 볼트 142: 너트
150a: 압착턱 160: 제 4 실링
170: 제 5 실링10: first pipe 20: second pipe
100, 200, 300: Connection device of pipe for piping
110, 210, 310:
111: connecting portion 112: through hole
113:
113b: second insertion groove 120: sealing means
121: first sealing
121b, 123b, 131: engaging projection 122: second sealing
122b, 132: coupling groove 123: third sealing
130, 150, 180: pressing means 130a: fastening hole
133: step portion 140: fixing means
141: Bolt 142: Nut
150a: Squeeze jaws 160: Fourth seal
170: Fifth sealing
Claims (15)
상기 삽입부에는 제 2 파이프가 결합되며, 상기 제 2 파이프의 길이방향 외부에서 탄성적으로 압착되도록 상기 삽입부에 끼움 결합되는 실링수단; 및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실링수단에 압착력을 전달하기 위한 압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수단은 제 1 실링, 제 2 실링 및 제 3 실링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 1 실링은 상기 제 2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삽입홈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실링은 상기 제 2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압착수단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실링은 상기 제 2 삽입홈의 내측면과 상기 압착수단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A body portion including a connection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at a tip end thereof and an insertion portion to be connected to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Sealing means coupled to the inserting portion such that the second pipe is coupled to the inserting portion and resiliently pressed out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And
And compression means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for transmitting a pressing force to the sealing means,
Wherein the sealing means is provided by a first sealing, a second sealing and a third sealing, wherein the first sealing is dispos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ip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Wherein the third sealing is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compression means.
상기 몸체부의 삽입부가 제 1 삽입홈 및 제 2 삽입홈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 1 삽입홈은 상기 관통홀의 끝단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 2 삽입홈은 상기 제 1 삽입홈의 끝단에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by a first insertion groove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the first insertion groov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through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a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pipe.
상기 제 1 삽입홈에는 상기 제 2 파이프가 결합되고, 상기 제 2 삽입홈에는 상기 실링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pipe is coupl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sealing means is coupled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상기 제 1 실링의 내측면 및 외측면이 다수개의 압착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실링의 선단에는 상기 제 2 삽입홈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ner side surface an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compression grooves and a coupling groove or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first sealing. Pipe connection device.
상기 제 2 실링의 내측면이 다수개의 압착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실링의 외측면에는 상기 압착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comprises a plurality of compression groove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or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with the compression means. .
상기 제 3 실링의 외측면이 다수개의 압착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실링의 내측면에는 상기 압착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sealing ring is formed of a plurality of compression groove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sealing ring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or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with the compression means. .
상기 압착수단은 상기 제 2 실링 및 제 3 실링의 사이에 결합된 채, 그 선단이 상기 제 1 실링의 후단과 대면하되,
상기 압착수단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2 실링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 2 실링에는 상기 압착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pressing means is coupled between said second sealing and said third sealing and has its tip facing the rear end of said first sealing,
And an engaging groove or an engaging projection for engaging with the pressing means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ing means, wherein the engaging projection or the engaging groove is provided for engaging with the second sealing. Connection device of pipe for piping.
상기 압착수단은 상기 제 2 실링 및 제 3 실링의 사이에 결합된 채, 그 선단이 상기 제 1 실링의 후단과 대면하되,
상기 압착수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3 실링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 3 실링에는 상기 압착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pressing means is coupled between said second sealing and said third sealing and has its tip facing the rear end of said first seal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means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or coupling groove for coupling with the third sealing and a coupling groove or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with the compression means is provided on the third sealing. Connection device of pipe for piping.
상기 제 2 삽입홈의 깊이는 상기 제 1 실링의 두께와 상기 제 2 실링의 두께를 더한 값 또는 상기 제 1 실링의 두께와 상기 제 3 실링의 두께를 더한 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pth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is smaller than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thickness of the first sealing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ealing or a sum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sealing and the thickness of the third sealing. Lt; / RTI >
상기 압착수단의 선단에는 상기 제 1 실링을 가압하기 위한 압착턱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mpression jaw for pressing the first sealing is further provided at the tip of the compression means.
상기 제 2 실링 및 제 3 실링이 서로 일체형으로 마련되되, 내측면 및 외측면이 다수개의 압착홈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에는 상기 압착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ealing and the third sealing ar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and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compression grooves, and one end thereof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or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with the compression means A pipe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pipe for piping.
상기 제 1 실링, 제 2 실링 및 제 3 실링이 서로 일체형으로 마련되되, 내측면 및 외측면이 다수개의 압착홈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에는 상기 압착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ealing, the second sealing and the third sealing ar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and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are formed by a plurality of compression grooves, and at one end thereof, a coupling groove or a coupling projection for coupling with the compression means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pipe.
상기 몸체부 및 압착수단에는 다수개의 체결홀이 마련되되, 상기 몸체부 및 압착수단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는 고정수단을 매개로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and the compression mean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d the body portion and the pressing means are fastened to each other via fastening mean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상기 제 1 파이프와 상기 연결부가 융착 연결되어 편수칼라 일체형 파이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15.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5 to 14,
Wherein the first pipe and the connecting portion are fused and connected to form a single-color integrated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1491A KR101617128B1 (en) | 2015-08-07 | 2015-08-07 | Device of pipe connector for ordinary pip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1491A KR101617128B1 (en) | 2015-08-07 | 2015-08-07 | Device of pipe connector for ordinary pip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7128B1 true KR101617128B1 (en) | 2016-05-13 |
Family
ID=5602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1491A KR101617128B1 (en) | 2015-08-07 | 2015-08-07 | Device of pipe connector for ordinary pip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712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0641U (en) | 2018-09-13 | 2020-03-23 | 조경호 | Pip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32476A (en) | 2002-02-07 | 2003-08-22 | Kawanishi Suido Kiki:Kk | Rubber packing for pipe joint |
KR100992830B1 (en) | 2010-09-03 | 2010-11-08 |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 Socket for connecting pipes |
JP2013200024A (en) | 2012-03-26 | 2013-10-03 | Tokyo Gas Co Ltd | Pipe joint structure |
-
2015
- 2015-08-07 KR KR1020150111491A patent/KR10161712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32476A (en) | 2002-02-07 | 2003-08-22 | Kawanishi Suido Kiki:Kk | Rubber packing for pipe joint |
KR100992830B1 (en) | 2010-09-03 | 2010-11-08 |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 Socket for connecting pipes |
JP2013200024A (en) | 2012-03-26 | 2013-10-03 | Tokyo Gas Co Ltd | Pipe joint structur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0641U (en) | 2018-09-13 | 2020-03-23 | 조경호 | Pip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753863B (en) | Seal, fitting and coupling for connecting pipe elements | |
TW201730470A (en) | Adapter coupling | |
KR200463219Y1 (en) | Connection Port of Pipe | |
KR100942957B1 (en) | Branch connection fitting for piping | |
KR100989990B1 (en) | Detachable packing for a joint of pipeline supply to press the joint securely by forming inclined surface on one side of the packing | |
KR101617128B1 (en) | Device of pipe connector for ordinary piping | |
KR100954524B1 (en) | Branch connection coupling for piping | |
KR200486985Y1 (en) | Joint for connecting pipes with different diameter and expansion type pipe using the same | |
CN216408008U (en) | Metal pipe connecting equipment with good sealing effect | |
KR101555583B1 (en) | Reverse pipe interface device | |
KR100945494B1 (en) | Metal pipe connection structure | |
KR20190105345A (en) | Coupler apparatus for use with high pressure | |
KR20120020715A (en) | Frame for connecting pipe | |
KR101555584B1 (en) | Reverse pipe connection method | |
KR101150212B1 (en) | Hermetic pipe connection | |
CN113154155A (en) | Anti-skid connector for pipeline connection | |
CN220268712U (en) | Rubber sealing ring | |
KR101856509B1 (en) | Sealing apparatus for the connecting part of pipe | |
KR20130075098A (en) | Structure of rubber-seal for mechanical fitting and it's applied mechanical fitting | |
KR101111722B1 (en) | Pipe fittings | |
KR200480413Y1 (en) | Pipe joint structure | |
KR20190091172A (en) | double shut a flange piping joint | |
KR20130025600A (en) | A seal apparatus of pipe connector | |
KR102146593B1 (en) | Sealing element and arrangement | |
KR200458990Y1 (en) | High temperature and high tension gas usual pipe joint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8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