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728B1 -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728B1
KR101616728B1 KR1020150115825A KR20150115825A KR101616728B1 KR 101616728 B1 KR101616728 B1 KR 101616728B1 KR 1020150115825 A KR1020150115825 A KR 1020150115825A KR 20150115825 A KR20150115825 A KR 20150115825A KR 101616728 B1 KR101616728 B1 KR 101616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fixing
anchor bolt
support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준
한상환
하대환
Original Assignee
운지파워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운지파워텍(주) filed Critical 운지파워텍(주)
Priority to KR1020150115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6Flat foundations made mainly from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4Foundations for machines, engines or ordnan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두 개의 상면판들을 포함하는 거푸집; 상기 상면판들에 각각 위치하는 가이드부재들;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상면판의 임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가이드부재고정유닛;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두 개의 가이드부재들에 걸쳐지며, 앵커볼트어셈블리가 임의의 위치에 지지되는 지지부재들; 및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재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고정유닛;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모듈을 지지하는 모듈지지구조물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기초블록을 시공시 앵커볼트들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에 쉽고 정확하게 맞출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ANCHOR BOLTS}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는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꾼다.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발전시키는 최소 단위를 셀(cell)이라 하고, 다수 개의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일정 크기의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태양전지 모듈이라 한다.
태양광 발전소(일명, 태양광 발전시스템이라고도 함)는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태양전지모듈들과, 태양전지모듈들을 각각 지지하는 모듈지지구조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모듈지지구조물은 육상의 지반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초블록과, 콘크리트 기초블록에 연결되는 지지축과, 지지축에 연결되어 태양전지모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콘크리트 기초블록의 상면에 앵커볼트들이 각각 돌출되고, 지지축의 하단에 관통구멍들이 구비된 플랜지가 결합되며, 플랜지의 관통구멍들에 각각 앵커볼트들이 삽입되고 앵커볼트들에 각각 너트가 체결된다.
태양전지모듈을 지지하는 모듈지지구조물의 콘크리트 기초블록을 시공하는 종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반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의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여 철근구조물을 설치한다. 철근구조물에 네 개의 앵커볼트들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을 결속시키고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거푸집을 제거하여 콘크리트 기초블록을 제작한다. 이때, 콘크리트 기초블록의 상면에 네 개의 앵커볼트 나사부가 돌출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으로 콘크리트 기초블록을 시공하게 될 경우 작업자가 앵커볼트들을 철근구조물에 결속시 앵커볼트들의 설치 위치가 지지축의 플랜지에 형성된 관통구멍들의 위치와 일치되게 결속시켜야 하므로 앵커볼트들을 철근구조물에 설치하는 작업이 난해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앵커볼트들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지 못하게 될 경우 앵커볼트들과 지지축의 플랜지와의 결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지지축이 기울어지게 되어 지지축과 연결되는 태양전지모듈이 기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4985호(2013. 09. 06. 공보일)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5156호(2013. 07. 11. 공보일)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전지모듈을 지지하는 모듈지지구조물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기초블록을 시공시 앵커볼트들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는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앵커볼트들의 위치를 쉽고 빠르게 고정하는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두 개의 상면판들을 포함하는 거푸집; 상기 상면판들에 각각 위치하는 가이드부재들;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상면판의 임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가이드부재고정유닛;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두 개의 가이드부재들에 걸쳐지며, 앵커볼트어셈블리가 임의의 위치에 지지되는 지지부재들; 및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재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고정유닛;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부재고정유닛은 상기 상면판에 배열되는 다수 개의 베이스구멍들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위치고정구멍들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위치고정구멍과 상면판의 베이스구멍에 관통 삽입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길이 방향 가운데를 기준으로 한쪽 부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앵커볼트삽입구멍들로 구성되는 제1 구멍그룹과, 길이 방향 가운데를 기준으로 다른 한쪽 부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앵커볼트삽입구멍들로 구성되는 제2 구멍그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고정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장공과,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고정구멍들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장공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고정구멍과 가이드부재의 장공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유닛은 슬라이딩 볼트와, 상기 슬라이딩 볼트에 체결되는 나비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볼트는 상기 나비너트가 체결되는 수나사산들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장공과 지지부재의 고정구멍에 관통 삽입되는 볼트축부와, 상기 볼트축부의 단부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장공 폭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상기 상면판과 가이드부재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하는 판형머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면에 상기 슬라이딩 볼트의 판형머리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앵커볼트어셈블리의 앵커볼트를 고정하는 볼트고정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볼트고정유닛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앵커볼트의 수나사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체결유닛들에 의해 가이드부재들과 지지부재들이 가결합된 어셈블리의 가이드부재들을 상면판들의 설정된 임의 위치에 위치시켜 위치고정핀들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지지부재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설정된 앵커볼트들의 간격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앵커볼트들을 지지부재들의 앵커볼트삽입구멍들에 각각 삽입하여 앵커볼트들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앵커볼트들을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어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콘크리트 기초블록의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지지축의 플랜지의 관통구멍들과 앵커볼트들을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므로 태양전지모듈을 설정된 위치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들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고 지지부재들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지지부재들의 앵커볼트삽입구멍들에 앵커볼트들을 삽입하여 앵커볼트들을 고정하게 되므로 앵커볼트들을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앵커볼트들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쉽고 빠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콘크리트 기초블록의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기초블록에 지지축을 결합하는 작업을 쉽게 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앵커볼트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볼트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에 앵커볼트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는, 거푸집(100), 가이드부재(200), 가이드부재고정유닛(300), 지지부재(400), 지지부재고정유닛(500)을 포함한다.
거푸집(100)은 콘크리트 기초블록을 제작하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거푸집(100)의 일예로, 거푸집(100)은 네 개의 사각판들이 사각형으로 연결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사각틀 형상의 거푸집(100)을 지반에 설치시 거푸집(100)의 위와 아래가 오픈되도록 지반에 설치된다. 즉, 거푸집(100)을 위에서 볼 때 내부 공간을 갖는 사각 형상이다. 거푸집(100)의 위쪽 네 개의 변을 반시계 방향으로 제1,2,3,4 상측변(101)(102)(103)(104)이라 한다. 제1 상측변(101)과 제3 상측변(103)이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제2 상측변(102)과 제4 상측변(104)이 서로 나란하게 위치한다. 제1,2,3,4 상측변(101)(102)(103)(104)에 각각 상면판(A1)(A2)(A3)(A4)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면판들(A1)(A2)(A3)(A4)은 각각 거푸집(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수평 방향으로 위치한다. 상면판들(A1)(A2)(A3)(A4)은 각각 균일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3,4 상측변에 구비되는 상면판을 제1,2,3,4 상면판(A1)(A2)(A3)(A4)이라 한다.
거푸집(100)의 다른 실시예로, 거푸집(100)은 사각형 판 여섯 개가 육각 형상으로 연결된 육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사각형 판 세 개가 삼각 형상으로 연결된 삼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거푸집(10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거푸집(100)이 사각틀 형상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부재(200)들은 거푸집(100)의 상면판들(A1)(A2)(A3)(A4) 중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두 개의 상면판에 위치한다. 즉, 거푸집(100)의 제1,3 상면판(A1)(A3)에 위치하거나 제2,4 상면판(A2)(A4)에 위치한다. 이하에서, 제1,3 상면판(A1)(A3)에 위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상면판(A1)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200)를 제1 가이드부재라 하고, 제3 상면판(A3)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200)를 제2 가이드부재라 한다. 제1,2 가이드부재는 크기와 형상이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1 상면판(A1)과 제3 상면판(A3)을 통칭하여 상면판(A)이라 한다.
가이드부재(200)는 상면판(A)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폭을 가지며, 또한 상면판(A)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재고정유닛(300)은 가이드부재(200)를 상면판(A)의 임의 위치에 고정시킨다. 가이드부재고정유닛(300)의 일예로, 가이드부재고정유닛(300)은 상면판(A)에 배열되는 다수 개의 베이스구멍(310)들과, 가이드부재(20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위치고정구멍(320)들과, 가이드부재(200)의 위치고정구멍(320)과 상면판(A)의 베이스구멍(310)에 관통 삽입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핀(330)을 포함한다. 베이스구멍(310)들은 상면판(A)의 길이 방향으로 상면판(A)에 일렬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재(200)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에 한 개의 위치고정구멍(320)이 구비되고 길이 방향의 다른 한쪽 단부에 한 개의 위치고정구멍(32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재(200)가 상면판(A)에 위치시 가이드부재(200)의 두 개의 위치고정구멍(320)들과 상면판(A)에 구비된 베이스구멍(310)들의 임의의 두 개의 구멍이 일치한다. 위치고정핀(330)은 가이드부재(200)의 위치고정구멍(320)과 상면판(A)의 베이스구멍(310)에 관통 삽입되는 핀부(331)와, 핀부(331)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가이드부재(200)의 위치고정구멍 테두리에 걸리는 머리부(332)를 포함한다. 위치고정핀(330)은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400)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의 가이드부재(200)들에 걸쳐지며, 앵커볼트어셈블리(BA)가 임의의 위치에 지지된다. 앵커볼트어셈블리(B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네 개의 꼭지점들에 위치하는 네 개의 앵커볼트(10)들과 네 개의 앵커볼트(10)들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바(20)들을 포함하며, 간격유지바(20)들은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앵커볼트(10)들을 연결한다. 지지부재(400)들은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지지부재(400)들은 각각 상면판(A)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되, 두 개의 지지부재(400)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위치한다. 이때, 지지부재(400)의 한쪽 단부가 한 개의 가이드부재(200)의 상면에 놓여지고 다른 한쪽 단부가 다른 한 개의 가이드부재(200)의 상면에 놓여진다. 두 개의 지지부재(400)는 같은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400)는 폭과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400)는 길이 방향 가운데를 기준으로 한쪽 부분에 복수 개의 앵커볼트삽입구멍(401)들로 구성되는 제1 구멍그룹(410)이 구비되고 길이 방향 가운데를 기준으로 다른 한쪽 부분에 복수 개의 앵커볼트삽입구멍(401)들로 구성되는 제2 구멍그룹(420)이 구비된다. 제1 구멍그룹(410)을 구성하는 앵커볼트삽입구멍(401)들은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간격이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구멍그룹(420)을 구성하는 앵커볼트삽입구멍(401)들은 제1 구멍그룹(420)의 앵커볼트삽입구멍(401)들과 같은 크기와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고정유닛(500)은 지지부재(400)를 가이드부재(200)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킨다. 지지부재고정유닛(500)의 일예로, 지지부재고정유닛(500)은 가이드부재(200)에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장공(510)과, 지지부재(40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고정구멍(520)들과, 가이드부재(200)의 장공(510)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지지부재(400)의 고정구멍(520)과 가이드부재(200)의 장공(510)을 통해 지지부재(400)를 고정하는 체결유닛(530)을 포함한다. 가이드부재(200)의 장공(510)은 가이드부재(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가이드부재(200)의 두 개의 위치고정구멍(320)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지지부재(400)의 고정구멍(520)들 사이에 제1,2 구멍그룹(410)(420)이 위치한다.
체결유닛(530)은 슬라이딩 볼트(531)와, 슬라이딩 볼트(531)에 체결되는 나비너트(532)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볼트(531)는 나비너트(532)가 체결되는 수나사산들이 구비되는 볼트축부(531a)와, 볼트축부(531a)의 단부에 가이드부재(200)의 장공(510) 폭보다 큰 면적을 갖는 판형머리부(531b)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볼트(531)의 판형머리부(531b)가 상면판(A)과 가이드부재(200)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하며 볼트축부(531a)가 가이드부재(200)의 장공(510)과 지지부재(400)의 고정구멍(520)에 관통 삽입되어 일부분이 지지부재(400)의 상면 위로 돌출된다. 지지부재(400)의 상면으로 돌출된 볼트축부(531a)에 나비너트(532)가 체결된다. 나비너트(532)를 강하게 체결하게 되면 지지부재(400)가 가이드부재(200)에 압착 고정되며, 나비너트(532)를 체결을 풀게 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400)와 가이드부재(200)의 압착이 해제되어 체결유닛(530)과 지지부재(400)가 가이드부재(200)의 장공(510)을 따라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가이드부재(200)의 하면, 즉 상면판(A)과 대면되는 면에, 도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20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21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홈(210)은 균일한 폭과 깊이를 갖는다.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홈(210)에 슬라이딩 볼트(531)의 판형머리부(531b)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한다.
지지부재(400)에 앵커볼트어셈블리(BA)의 앵커볼트(10)를 고정하는 볼트고정유닛(43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볼트고정유닛(430)의 일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고정유닛(430)은 지지부재(400)에 연결되는 와이어(431)와, 와이어(431)에 연결되어 앵커볼트(10)의 수나사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클립(432)을 포함한다. 와이어(431)는 유연성이 있는 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클립(432)은 일정 길이를 갖는 강철 와이어를 서로 엇갈리게 절곡한 것으로, 타원형 부분(1)과, 타원형 부분(1)에 이어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는 두 개의 직선 단부(2)들을 포함한다. 두 개의 직선 단부(2)를 누르면 타원형 부분(1)의 크기가 커지고, 누름을 해제하면 타원형 부분(1)의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고정클립(432)으로 앵커볼트(10)를 고정시 앵커볼트(10)의 나사부를 지지부재(400)의 앵커볼트삽입구멍(401)에 관통 삽입시킨 상태에서 고정클립(432)의 두 개의 직선 단부(2)를 눌러 타원형 부분(1)의 크기를 크게 하고 타원형 부분(1)에 앵커볼트(10)의 나사부가 관통되게 한 다음 직선 단부(2)들을 누름을 해제하면 타원형 부분(1)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고정클립(532)이 앵커볼트(10)의 나사부에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앵커볼트(10)의 나사부에 고정된 고정클립(532)이 앵커볼트삽입구멍(401)의 테두리에 걸림에 의해 앵커볼트(10)가 고정된다. 볼트고정유닛(430)은 복수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블록을 시공할 위치에 거푸집(100)을 위치시킨다. 한 개의 지지부재(400)의 한쪽 고정구멍(520)과 제1 가이드부재(200)의 장공(510)을 일치시키고 슬라이딩 볼트(531)로 제1 가이드부재의 장공(510)과 지지부재(400)의 고정구멍(520)을 관통시켜 슬라이딩 볼트(531)의 나사부에 나비너트(532)를 가체결하고, 또한 지지부재(400)의 다른 한쪽 고정구멍(520)과 제2 가이드부재의 장공(510)을 일치시키고 다른 슬라이딩 볼트(531)로 제2 가이드부재의 장공(510)과 지지부재(400)의 다른 한쪽 고정구멍(520)을 관통시켜 슬라이딩 볼트(531)의 나사부에 나비너트(532)를 가체결한다. 또한, 다른 한 개의 지지부재(400)를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제1,2 가이드부재와 가체결한다.
앵커볼트어셈블리(BA)를 거푸집(100)의 대략 가운데 부분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2 가이드부재(200)를 각각 거푸집(100)의 제1,3 상면판(A1)(A3)에 올려 놓고 앵커볼트어셈블리(BA)가 위치할 부분에서 제1 가이드부재(200)의 위치고정구멍(320)들과 제1 상면판(A)의 베이스구멍(310)들을 일치시키고 일치된 위치고정구멍(320)과 베이스구멍(310)에 위치고정핀(330)을 삽입시킨다. 또한, 제2 가이드부재(200)의 위치고정구멍(320)들과 제3 상면판(A3)의 베이스구멍(310)들을 일치시키고 일치된 위치고정구멍(320)과 베이스구멍(310)에 위치고정핀(330)을 삽입시킨다.
그리고 두 개의 지지부재(400)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앵커볼트어셈블리(BA)의 앵커볼트(10)들의 간격과 맞추고 앵커볼트어셈블리(BA)를 들어올려 앵커볼트어셈블리(BA)의 앵커볼트(10)들을 두 개의 지지부재(400)들에 구비된 앵커볼트삽입구멍(401)들에 관통 삽입시키고 앵커볼트(10)의 나사부의 나사골에 앵커볼트삽입구멍(401)의 테두리가 걸리도록 앵커볼트어셈블리(BA)를 고정시킨다. 한편, 볼트고정유닛(430)들이 구비된 경우 앵커볼트어셈블리(BA)의 앵커볼트(10)들을 두 개의 지지부재(400)들에 구비된 앵커볼트삽입구멍(401)들에 관통 삽입시킨 상태에서 볼트고정유닛(430)의 고정클립(432)으로 앵커볼트(10)들을 고정시킨다. 앵커볼트어셈블리(BA)를 두 개의 지지부재(400)들에 고정시킨 후 체결유닛(530)의 나비너트(532)를 조여 지지부재(400)를 고정시킨다. 위의 결합순서를 바꿀수 있다.
앵커볼트어셈블리(BA)를 고정시킨 후 거푸집(100)의 내부에 콘트리크를 타설하고 양생시킨 후 볼트고정유닛(430)의 고정클립(432)을 앵커볼트(10)로부터 분리시키고, 위치고정핀(330)들을 빼낸 후 제1,2 가이드부재(200)와 체결유닛(530) 그리고 지지부재(400)들의 어셈블리를 거푸집(100)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거푸집(100)을 분리하여 앵커볼트어셈블리(BA)가 매설된 콘크리트 기초블록을 제작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체결유닛(530)들에 의해 가이드부재(200)들과 지지부재(400)들이 가결합된 어셈블리의 가이드부재(200)들을 상면판(A)들의 설정된 임의 위치에 위치시켜 위치고정핀(320)들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지지부재(400)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설정된 앵커볼트(10)들의 간격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앵커볼트(10)들을 지지부재(400)들의 앵커볼트삽입구멍(401)들에 각각 삽입하여 앵커볼트(10)들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앵커볼트(10)들을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어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콘크리트 기초블록의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지지축의 플랜지의 관통구멍들과 앵커볼트(10)들을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므로 태양전지모듈을 설정된 위치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200)들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고 지지부재(400)들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지지부재(400)들의 앵커볼트삽입구멍(401)들에 앵커볼트(10)들을 삽입하여 앵커볼트(10)들을 고정하게 되므로 앵커볼트(10)들을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앵커볼트(10)들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쉽고 빠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콘크리트 기초블록의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기초블록에 지지축을 결합하는 작업을 쉽게 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100; 거푸집 200; 가이드부재
300; 가이드부재고정유닛 400; 지지부재
500; 지지부재고정유닛

Claims (7)

  1.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두 개의 상면판들을 포함하며,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
    상기 거푸집의 상면판들에 각각 위치하는 가이드부재들;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거푸집의 상면판 임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가이드부재고정유닛;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두 개의 가이드부재들에 걸쳐지며, 앵커볼트어셈블리가 임의의 위치에 지지되는 지지부재들; 및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재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고정유닛;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앵커볼트어셈블리의 앵커볼트를 고정하는 볼트고정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길이 방향 가운데를 기준으로 한쪽 부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앵커볼트삽입구멍들로 구성되는 제1 구멍그룹과, 길이 방향 가운데를 기준으로 다른 한쪽 부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앵커볼트삽입구멍들로 구성되는 제2 구멍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고정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장공과,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고정구멍들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장공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고정구멍과 가이드부재의 장공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면에, 가이드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체결유닛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고정유닛은 상기 상면판에 배열되는 다수 개의 베이스구멍들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위치고정구멍들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위치고정구멍과 상면판의 베이스구멍에 관통 삽입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핀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슬라이딩 볼트와, 상기 슬라이딩 볼트에 체결되는 나비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볼트는 상기 나비너트가 체결되는 수나사산들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장공과 지지부재의 고정구멍에 관통 삽입되는 볼트축부와, 상기 볼트축부의 단부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장공 폭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상기 상면판과 가이드부재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하는 판형머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형머리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고정유닛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앵커볼트의 수나사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
KR1020150115825A 2015-08-18 2015-08-18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 KR101616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25A KR101616728B1 (ko) 2015-08-18 2015-08-18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25A KR101616728B1 (ko) 2015-08-18 2015-08-18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728B1 true KR101616728B1 (ko) 2016-04-29

Family

ID=5591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25A KR101616728B1 (ko) 2015-08-18 2015-08-18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7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1246A (zh) * 2022-06-08 2022-08-30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铝模斜撑杆底座可变动固定装置
KR20220152680A (ko) 2021-05-10 2022-11-17 (주)유창이앤씨 기초 앵커 설치를 위한 정반 고정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14U (ja) * 1992-06-24 1994-01-28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アンカーボルト位置決め治具
KR101285156B1 (ko) * 2013-03-04 2013-07-11 (주)대맥건설산업 현장타설말뚝 거푸집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스페이서의 중심잡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주파일 설치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14U (ja) * 1992-06-24 1994-01-28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アンカーボルト位置決め治具
KR101285156B1 (ko) * 2013-03-04 2013-07-11 (주)대맥건설산업 현장타설말뚝 거푸집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스페이서의 중심잡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주파일 설치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680A (ko) 2021-05-10 2022-11-17 (주)유창이앤씨 기초 앵커 설치를 위한 정반 고정구
KR102591025B1 (ko) * 2021-05-10 2023-10-18 (주)유창이앤씨 기초 앵커 설치를 위한 정반 고정구
CN114961246A (zh) * 2022-06-08 2022-08-30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铝模斜撑杆底座可变动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8951B1 (ja) 構造物設置架台、構造物設置用支持具、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0045346A (ja) 調整可能な連結式ソーラーモジュールおよび設置方法
RU112917U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элементов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каркаса
WO2011099564A1 (ja) 構造物支持構造、構造物用架台、その架台を用いた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616728B1 (ko)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콘크리트기초블록 앵커볼트 지지장치
CA3021875C (en) Photovoltaic array mounting structure
KR102258911B1 (ko) 태양광 발전설비의 앙카 조립 가이드장치
JP2015220845A (ja) ソーラーパネル用架台
KR101509201B1 (ko)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태양광 모듈 지지기둥용 기초 시공 장치
CN212258309U (zh) 一种钢网式电缆汇线桥架的安装结构
CN212000639U (zh) 模板拼接结构
US2396174A (e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concrete walls, beams, and the like
CN209924202U (zh) 一种基于绿色建筑的装配式墙体结构
KR101955162B1 (ko) 조립형 그레이팅
JP2015042802A (ja) ソーラーパネル用架台
CN210713811U (zh) 方柱模板支撑系统
JP6302190B2 (ja) 太陽電池装置、太陽電池装置の施工方法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8007342A (ja)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CN114892963B (zh) 一种密肋楼盖结构体系
CN112663871A (zh) 一种可拆卸桁架模组
JP6592407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US3737730A (en) Lattice assembly, e.g. for mosaic tiles, electric circuit elements and display systems
US20130119211A1 (en) Photovoltaic module mounting system
JP2007191986A (ja) フェンス
KR102604912B1 (ko) 태양광 모듈, 구조물, 접속반, 인버터 및 기초 고정장치가 적용된 태양광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