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286B1 - 청소 용구 - Google Patents

청소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286B1
KR101616286B1 KR1020150189313A KR20150189313A KR101616286B1 KR 101616286 B1 KR101616286 B1 KR 101616286B1 KR 1020150189313 A KR1020150189313 A KR 1020150189313A KR 20150189313 A KR20150189313 A KR 20150189313A KR 101616286 B1 KR101616286 B1 KR 101616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ody portion
arms
rear arms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즈
Priority to KR1020150189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286B1/ko
Priority to PCT/KR2016/004414 priority patent/WO201711593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2Implements with several different tr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4Securing scouring-cloths to the brush or like body of the imp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003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을 걸레질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 걸레가 하부면에 씌워져서 바닥면을 청소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전,후방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전,후방 아암에는 상기 몸체부의 걸레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몸체부와 아암 사이의 걸레는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서 여유 공간이 형성되며, 밀어서 전진시킬 경우에는 전진하는 방향의 아암이 상승하고, 반대쪽 아암은 하강하여 아암이 바닥면과 면접하며, 반대로 당길 경우에는 당기는 방향의 아암이 상승하고, 반대쪽 아암은 하강하여 아암이 바닥면과 면접하는 동작부;를 포함하고, 걸레질 작동 도중에 링크부의 전,후방 아암들이 몸체부의 걸레 전,후방측으로 밀린 먼지/이물질을 몸체부와의 사이 공간에 가둬서 먼지/이물질이 걸레질 부분에 모이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 도중에 걸레에 의해서 밀리는 먼지/이물질이 바닥의 걸레질 부분으로부터 멀리 날리거나 흩어지지 않고 모인 상태가 되므로, 청소 후에 먼지/이물질을 쉽고,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 용구{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바닥면을 걸레질 청소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걸레질 청소 도중에 중앙의 동작부가 움직이면, 링크부의 전후방에 위치된 아암 중에서, 움직임 방향의 아암은 올라가고, 그 반대 방향의 아암은 내려가며, 반복적인 전,후 걸레질 작동 도중에 전,후방 아암이 각각 상,하로 움직이면서 바닥면에 밀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먼지/이물질을 몸체부와 전,후방 아암의 사이의 공간에 갖히게 하여 멀리 날리거나 흩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걸레질 후에는 걸레질 부분에 모인 먼지/이물질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청소 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용 청소용구는 걸레천이 부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가 전후 또는 좌우로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하는 손잡이 또는 마대봉이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바닥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구조는 잘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바닥 청소용구는 일 회의 걸레질로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바닥 청소용구에 관련되어 다양한 편리성과 여러 기능성을 제안하는 종래 기술들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3633호의 "청정실 청소용 자루걸레 홀더"는, 사용자가 편한 자세로 청소할 수 있고 걸레를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면과 밀착시킬 수 있으며, 걸레를 수시로 세척할 수 있도록 자루와 걸레의 착탈이 용이하여 특히 청정실과 같이 비교적 주의를 요하는 장소에서도 사용가능한 청정실 청소용 자루걸레 홀더를 제공한다.
다른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3862호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밀대의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걸레의 양면 중 청소면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허리를 굽이지 않고 발을 이용하여 손쉽게 걸레의 청소면을 교체할 수 있고, 걸레의 원료가 되는 실을 극세사로 대체함으로써 미세한 먼지를 손쉽게 흡착시킬 수 있으며,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밀대에 걸레를 손쉽게 부착할 수 있는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를 제공한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3021호의 "바닥 청소용구"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선 자세로 바닥을 청소할 수 있도록 손잡이 자루와 걸레판으로 구성되는 바닥 청소용구를 형성하되, 상기 바닥 청소용구의 손잡이 자루와 걸레판이 상호 전후 또는 좌우로 회전되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걸레판이 가구 등의 물체와 부딪쳐서 일정한 힘이 작용되면, 손잡이 자루를 축으로 걸레판이 360도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바닥 청소용구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걸레가 씌워진 몸체부를 전후로 밀면서 바닥을 걸레질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걸레가 장착된 몸체부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바닥면이 걸레질되면서 바닥면으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이 밀리는 방향 쪽, 즉 몸체부의 전방 모서리측 가장자리에 쌓여 밀리게 되면서 걸레질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는 반대로 걸레가 장착된 몸체부를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바닥면이 걸레질되면서 바닥면으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은 당겨지는 방향 쪽, 즉 몸체부의 후방 모서리측 가장자리에 쌓여 밀리면서 걸레질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청소용구로 걸레질을 할 경우에는 한쪽 방향으로 계속 쭉 밀다가, 밀리는 방향 측의 걸레 가장자리에 쌓이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다른 쪽 방향으로 계속 밀어거나 반대로 당겨야만, 바닥면으로부터 발생된 먼지 또는 이물질이 멀리 날리거나 흩어지지 않는다.
즉, 기존 제품은 예컨대, 마대 걸레를 전후 왕복 운동 방식으로 사용하게 되면, 밀리는 측 가장자리에 먼지/이물질 등이 싸여서 밀리고, 그리고 당길 때에는 전방측으로 밀린 먼지는 그 자리에 그대로 둔 상태에서, 당겨지는 측의 가장자리에 새로운 먼지/이물질이 쌓일 수밖에 없고, 이를 반복하면 결과적으로 걸레질 도중에 바닥면으로부터 발생된 먼지 또는 이물질은 걸레질되는 바닥 부분으로부터 멀리 날리거나 흩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닥의 걸레질 청소 후에, 별도로 멀리 날리거나 흩어진 먼지/이물질들을 다시 쓸어 모으고,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초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걸레를 전후 왕복 운동 방식으로 사용하게 되어도, 청소 도중에 걸레에 의해서 밀리는 먼지/이물질이 걸레질 부분으로부터 멀리 날리거나 흩어지지 않고, 걸레질 부분에 모이게 되어 별도로 쓸어 모을 필요없이 먼지/이물질을 쉽고,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청소용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면을 걸레질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구에 있어서,
걸레가 하부면에 씌워져서 바닥면을 청소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전,후방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전,후방 아암에는 상기 몸체부의 걸레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몸체부와 아암 사이의 걸레는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서 여유 공간이 형성되며, 밀어서 전진시킬 경우에는 전진하는 방향의 아암이 상승하고, 반대쪽 아암은 하강하여 아암이 바닥면과 면접하며, 반대로 당길 경우에는 당기는 방향의 아암이 상승하고, 반대쪽 아암은 하강하여 아암이 바닥면과 면접하는 동작부;를 포함하고, 걸레질 작동 도중에 링크부의 전,후방 아암들이 몸체부의 걸레 전,후방측으로 밀린 먼지/이물질을 몸체부와의 사이 공간에 가둬서 먼지/이물질이 걸레질 부분에 모이도록 구성된 청소용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제1 회전축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동작부는 링크부의 내측에서 제2 회전축을 통하여 링크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는 그 상부면으로 한 쌍의 지지대가 상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는 각각 베어링을 내장한 제1 회전축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를 전,후진 시킴과 동시에 링크부를 몸체부에 대해 회동시켜서, 상기 링크부의 전,후방 아암이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측 바닥면에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 상하 승강하여 바닥면에 접촉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부는 몸체부의 한 쌍의 지지대의 내측에서 제1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그 끝단부가 몸체부의 상부에서 전,후방측으로 각각 일정길이 연장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끝단부에는 각각 전,후방 아암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전,후방 아암에는 걸레의 양끝단이 고정됨으로써, 상기 걸레가 몸체부의 하부면과, 전,후방 아암의 하부면을 에워싼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부는 링크부의 제2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대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대 사이의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대의 상부 양측으로는 제1 및 제2 축봉이 돌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축봉은 링크부의 제1 및 제2 프레임에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된 세로 구멍 내에서 회전 및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자가 동작부를 걸레질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면, 상기 동작부는 몸체부의 상부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제1 및 제2 축봉이 세로 구멍 내에서 회전 및 슬라이딩하여 링크부를 몸체부에 대해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링크부의 전,후방 아암이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측 바닥면에 대해 승하강하여 걸레질 작동중에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부의 전, 후방 아암은 하강하여 몸체부의 전,후방측 바닥면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전,후방 아암과 몸체부의 전,후방 모서리 사이에는 먼지/이물질이 모이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링크부의 제1 및 제2 프레임은 몸체부의 상부에서 전,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부는 지지판의 상부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고정되거나, 마대봉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동작부를 통하여 걸레질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부는 몸체부의 전,후방측 제1 및 제2 프레임 상에 탄성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걸레를 몸체부의 하부면과, 전,후방 아암의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링크부의 전, 후방 아암이 하강하여 몸체부의 전,후방측 바닥면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전,후방 아암과 몸체부의 전,후방 모서리 사이에서 먼지/이물질이 모이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걸레를 몸체부의 하부면과, 전,후방 아암의 하부면 사이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 측으로 들어주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부의 전,후방 아암은 각각 그 좌,우측 양끝단이 내측으로 굽어져서 상기 전,후방 아암과 몸체부의 전,후방 모서리 사이에 모인 먼지/이물질이 전,후방 아암의 양측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부의 제1 및 제2 축봉은, 걸레질 작동 이전에는 상기 링크부의 세로 구멍 내에서 상부측에 위치되고, 걸레질 작동 중에 사용자가 동작부를 전,후방으로 밀게 되면, 제1 및 제2 축봉은, 세로 구멍 내에서 하부측으로 이동되어 링크부의 회동을 허용하고, 전,후방 아암이 몸체부의 전,후방측 바닥면에 대해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부는 지지판의 하부면과, 몸체부의 상부면 사이의 마찰계수가, 몸체부 하부면의 걸레와 바닥면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작아서, 걸레질 작동 중에 사용자가 동작부를 전,후방으로 밀게 되면, 몸체부의 걸레가 바닥면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기 전에, 링크부가 회동하고, 전,후방 아암이 몸체부의 전,후방측 바닥면에 대해 접촉한 이후에 몸체부의 걸레가 전,후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부는 3절 링크를 통하여 전,후방 아암들이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며, 상기 3절 링크들은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피봇 또는 긴 구멍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동작부에 대하여 긴 구멍 또는 피봇을 통하여 연결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긴 구멍은 직선형 긴 구멍 또는 원호형 긴 구멍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한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부는 각각 방사상으로 연장하고,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3절 링크들을 통하여 각각의 아암들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각각의 3절 링크들은 그 중간 부분이 스프링을 통하여 몸체부의 측면 모서리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아암들이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당김력을 제공하며, 상기 동작부는 그 전,후진 작동 도중에 측면 모서리의 핀들이 상기 3절 링크의 일측 상부 모서리 경사면을 눌러서 3절 링크의 타측 아암이 바닥면으로부터 상승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부는 전,후진하는 경우, 다수의 3절 링크들을 통해서 다수의 아암들이 동시에 상승되고, 상기 동작부는 몸체부 상에서 방사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며, 상기 동작부가 몸체부상에서 움직이는 방향으로만 상기 아암들이 들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부는 다관절 링크들을 통하여 전,후방 아암들이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며, 상기 다관절 링크들은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다수의 피봇들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동작부에 대하여 각각 상하방향의 긴 구멍을 통하여 연결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후방 아암들은 동작부에 의해서 상승된 경우, 상기 몸체부에 가깝게 위치된 상태로 바닥면으로부터 들려지고, 동작부에 의해서 하강된 경우, 상기 몸체부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바닥면에 접촉됨으로써 건물의 노서리 부분을 청소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부는 3절 링크를 통하여 전,후방 아암들이 연결되어 상기 전,후방 아암들이 몸체부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며, 상기 3절 링크들은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에 대하여 각각 보조 링크와 피봇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동작부에 대하여 피봇을 통하여 연결되어 동작시 슬롯과 같은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링크간 공차를 최소한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링크는 그 상단이 각각 전,후방 3절 링크의 중간에 상부 피봇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하단은 몸체부의 전,후방에서 하부 피봇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3절 링크는 동작부의 양측면에서 공유 피봇을 통하여 연결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걸레질을 전후 왕복 운동 방식으로 하게 되면, 바닥면이 몸체부에 씌워진 걸레에 의해 걸레질되면서 전방 이동중에 몸체부의 전방측으로 밀린 먼지/이물질은, 몸체부의 후방 이동중에 몸체부와 전방 아암 사이의 공간에 갖히게 되어 함께 후방 이동되고, 몸체부의 후방 이동중에 몸체부의 후방측으로 밀려서 쌓인 먼지/이물질은 몸체부의 전방 이동중에 몸체부와 후방 아암 사이의 공간에 갖히게 되어 함께 전방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 도중에 걸레에 의해서 밀리는 먼지/이물질이 바닥의 걸레질 부분으로부터 멀리 날리거나 흩어지지 않고 모인 상태가 되므로, 별도로 쓸어 모을 필요없이 청소 후에 먼지/이물질을 쉽고,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개선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에서, 걸레질 이전에 링크부가 수평으로 유지되고, 전,후방 아암이 모두 바닥면으로부터 들려진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에서, 걸레질 작동시에 링크부가 경사 회동되고, 전,후방 아암 중 어느 하나가 상승되고, 다른 하나는 바닥면으로 하강하여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에서, 전,후방 아암의 양끝단에 절곡부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에서, 좌측(전방) 이동시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에서, 우측(후방) 이동시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6ab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동작상태 및 부분 상세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ab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종단면도 및 평면도 상세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a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따른 종단면도 및 작동 상태를 확대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a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체 링크들이 핀 또는 피봇으로 연결되어 동작시 슬롯과 같은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링크간 공차를 최소한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바닥면(F)을 걸레질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구(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소용구(100)는 도 1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레(102)가 하부면에 씌워져서 바닥면(F)을 청소하는 몸체부(11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몸체부(110)는 그 하부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레(102)에 의해서 에워싸이고, 그 상부면으로는 한 쌍의 지지대(112a,112b)가 상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대(112a,112b)의 상부에는 각각 베어링(미 도시)을 내장한 제1 회전축(114)이 형성되고, 이후에 설명되는 링크부(120)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은 링크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서 몸체부(110)에 대해 제1 회전축(114)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몸체부(110)의 한 쌍의 지지대(112a,112b)의 내측에서 제1 회전축(114)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122a, 122b)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122a, 122b)은 그 끝단부가 몸체부(110)의 상부에서 전,후방측으로 각각 일정길이 연장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122a, 122b)의 끝단부에는 각각 전,후방 아암(124a,124b)이 일체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링크부(120)의 제1 및 제2 프레임(122a, 122b)은 몸체부(110)의 상부에서 전,후방측으로 충분히 길게 연장되는데, 제1 회전축(114)을 중심으로 한 링크부(120)의 회전작동 도중에 전,후방 아암(124a,124b) 중의 하나가 하강하여 몸체부(110)의 전,후방측 바닥면(F)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전,후방 아암(124a,124b)과 몸체부(110)의 전,후방 모서리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공간(S), 또는 간격이 형성되도록 충분히 길게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전,후방 아암(124a,124b)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대(126)와 나사(128)를 통하여 걸레(102)의 양끝단이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걸레(102)는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전,후방 아암(124a,124b)의 하부면을 에워싼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링크부(120)의 내측에서 제2 회전축(130)을 통하여 링크부(120)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된 동작부(1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동작부(140)는 사용자가 걸레질을 위하여 움직이기 위한 부분으로서, 동작부(140)는 몸체부(110)의 전,후진 작동뿐만 아니라, 링크부(120)를 몸체부(110)에 대해 회동시켜서, 링크부(120)의 전,후방 아암(124a,124b)이 상기 몸체부(110)의 전,후방측 바닥면(F)에 상기 몸체부(110)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 상하 승강하여 바닥면(F)에 접촉하도록 구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동작부(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120)의 제2 회전축(130)을 통하여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대(142a,142b)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대(142a,142b) 사이의 지지판(144)을 구비하는 "∪"형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동작부(140)의 지지판(144)의 하부면(144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상부면(110a)에 면접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이와 같은 동작부(140)는 제1 및 제2 연결대(142a,142b)의 상부 양측으로는 제1 및 제2 축봉(132a, 132b)이 돌출되며, 이러한 제1 및 제2 축봉(132a, 132b)은 제2 회전축(130)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링크부(120)의 제1 및 제2 프레임(122a, 122b)에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제2 회전축(130)의 세로 구멍(134a,134b) 내에서 회전 및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2 회전축(130)을 구성하는 상기 링크부(120)의 세로 구멍(134a,134b)은 제1 회전축(114)의 하부에 형성되며, 이와 같은 세로 구멍(134a,134b)에 각각 끼워지는 동작부(140)의 제1 및 제2 축봉(132a, 132b)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레질 작동 이전에는 상기 링크부(120)의 세로 구멍(134a,134b) 내에서 상부측에 위치되며, 링크부(120)는 수평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걸레질 작동을 위해서 사용자가 동작부(140)를 전,후방으로 밀게 되면, 제1 및 제2 축봉(132a, 132b)은, 세로 구멍(134a,134b) 내에서 하부측으로 이동되어 링크부(120)의 회동을 허용하고, 전,후방 아암(124a,124b)이 몸체부(110)의 전,후방측 바닥면(F)에 대해 승,하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사용자가 동작부(140)를 걸레질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면, 상기 동작부(14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44)의 하부면(144a)이 몸체부(110)의 상부면(110a) 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제1 및 제2 축봉(132a, 132b)이 세로 구멍(134a,134b) 내에서 하향 슬라이딩하여 링크부(120)를 몸체부(110)에 대해서 제1 회전축(114)을 중심으로 경사 회동시킨다.
이와 같은 링크부(120)가 경사 회동하면, 제1 및 제2 축봉(132a, 132b)이 세로 구멍(134a,134b) 내에서 하향 슬라이딩하는 도중에, 세로 구멍(134a,134b)은 제1 및 제2 축봉(132a, 132b)에 대하여 경사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 링크부(120)의 전,후방 아암(124a,124b)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몸체부(110)의 전,후방측 바닥면(F)에 대해 승,하강하여 걸레질 작동중에 바닥면(F)에 접촉하고, 나머지 하나의 전,후방 아암(124a,124b)은 그 반대로 상승되어 바닥면(F)으로부터 높게 들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부(140)는, 예를 들면 지지판(144)의 상부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미 도시)가 고정되거나, 또는 마대봉(미 도시)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동작부(140)를 통하여 걸레질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120)의 전,후방 아암(124a,124b)은,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그 좌,우측 양끝단이 내측으로 굽어져서 절곡부(K)를 형성하고, 상기 전,후방 아암(124a,124b)과 몸체부(110)의 전,후방 모서리 사이에 모인 먼지/이물질(160)이 전,후방 아암(124a,124b)의 양측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1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레질 작동 이전에는 동작부(140)의 제1 및 제2 축봉(132a, 132b)이 링크부(120)의 세로 구멍(134a,134b) 내에서 상부측에 위치되고, 링크부(120)는 수평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동작부(140)를 전,후방으로 밀면서 걸레질을 하게 되는데,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140)를 좌측으로 민다고 가정하고, 좌측 부분이 전방이라고 가정하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140)를 우측으로 밀면, 우측 부분이 후방이라고 가정하여 그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140)를 좌측(전방)으로 밀게 되면, 동작부(140)는 지지판(144)의 하부면(144a)이 몸체부(110)의 상부면(110a) 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제1 및 제2 축봉(132a, 132b)이 세로 구멍(134a,134b) 내에서 하향 슬라이딩하여 링크부(120)를 몸체부(110)에 대해서 제1 회전축(11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경사 회동시킨다.
이때, 동작부(140)는 지지판(144)의 하부면(144a)과, 몸체부(110)의 상부면(110a) 사이의 마찰계수가, 몸체부(110)의 하부면의 걸레(102)와 바닥면(F)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작다.
이와 같이, 지지판(144)의 하부면(144a)과, 몸체부(110)의 상부면(110a) 사이의 마찰계수가, 몸체부(110)의 하부면의 걸레(102)와 바닥면(F)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작도록 하기 위하여, 제품 설계시에 동작부(140)와 몸체부(110)의 재질 선택 및 마찰 계수를 고려함은 물론, 그 마찰면에 별도의 마찰 감소 재료, 예를 들면 미끄럼판 등을 별도로 추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몸체부(110)의 하부면에는 걸레(102)와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하기 위하여 벨크로 테이프(미 도시) 등이 부착되어 몸체부(110)의 하부면에 걸레(102)를 견고히 부착시킬 수도 있고, 걸레(102)는 마른 상태나, 젖은 상태나 모두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지지판(144)의 하부면(144a)과, 몸체부(110)의 상부면(110a) 사이의 마찰계수는, 몸체부(110)의 하부면의 걸레(102)와 바닥면(F)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작기 때문에, 동작부(140)를 좌측(전방)으로 밀게 되면, 몸체부(110)를 좌측(전방)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제1 및 제2 축봉(132a, 132b)은 링크부(120)를 몸체부(110)에 대해서 제1 회전축(11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경사 회동시키면서 세로 구멍(134a,134b) 내에서 하향 슬라이딩하여 세로 구멍(134a,134b)의 하단에 도달하고, 이때에는 몸체부(110)의 전방측 전방 아암(124a)은 상승된 상태이고, 후방측의 후방 아암(124b)은 회동되어 바닥면(F)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세로 구멍(134a,134b)의 하단에 도달하면 더 이상 세로 구멍(134a,134b) 내에서 하향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동작부(140)는 링크부(120)를 몸체부(110)에 대해서 경사 회동시키는 대신, 링크부(120)를 당겨서 링크부(120)에 연결된 몸체부(110)를 좌측(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a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몸체부(110)의 전방측 전방 아암(124a)은 상승된 상태이고, 후방측의 후방 아암(124b)은 회동되어 바닥면(F)에 접촉된 상태이며, 이와 같은 상태로 몸체부(110)는 걸레(102)와 함께 좌측(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바닥면(F)을 걸레질한다.
이와 같은 좌측(전방) 이동중에 걸레질되는 바닥면(F)으로부터 발생되는 먼지/이물질(160)은 몸체부(110)의 전방 모서리측 걸레(102)에 의해서 모여서 밀리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140)를 우측(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동작부(140)는 지지판(144)의 하부면(144a)이 몸체부(110)의 상부면(110a) 상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제1 및 제2 축봉(132a, 132b)이 세로 구멍(134a,134b) 내에서 상향 슬라이딩하여 링크부(120)를 몸체부(110)에 대해서 제1 회전축(114)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경사 회동시킨다.
이때에도, 동작부(140)는 지지판(144)의 하부면(144a)과, 몸체부(110)의 상부면(110a) 사이의 마찰계수가, 몸체부(110) 하부면의 걸레(102)와 바닥면(F)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현저히 작기 때문에, 몸체부(110)는 우측(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1 및 제2 축봉(132a, 132b)은 세로 구멍(134a,134b) 내에서 상향 슬라이딩하여 세로 구멍(134a,134b)의 상단에 도달하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140)는 몸체부(110)의 중앙에 위치되고, 링크부(120)는 수평으로 원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 동작부(140)를 우측(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동작부(140)는 지지판(144)의 하부면(144a)이 몸체부(110)의 상부면(110a) 상에서 계속 우측(후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제1 및 제2 축봉(132a, 132b)이 세로 구멍(134a,134b) 내에서 하향 슬라이딩하여 링크부(120)를 몸체부(110)에 대해서 제1 회전축(114)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계속 경사 회동시킨다.
이때에도, 동작부(140)는 지지판(144)의 하부면(144a)과, 몸체부(110)의 상부면(110a) 사이의 마찰계수가, 몸체부(110) 하부면의 걸레(102)와 바닥면(F)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작기 때문에, 몸체부(110)는 우측(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1 및 제2 축봉(132a, 132b)이 세로 구멍(134a,134b) 내에서 하향 슬라이딩하여 세로 구멍(134a,134b)의 하단에 도달하며, 이때에는 몸체부(110)의 전방측 전방 아암(124a)은 하강되어 바닥면(F)에 접촉된 상태이고, 후방측의 후방 아암(124b)은 상승 회동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세로 구멍(134a,134b)의 하단에 도달하면 더 이상 세로 구멍(134a,134b) 내에서 하향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동작부(140)는 링크부(120)를 몸체부(110)에 대해서 경사 회동시키는 대신 링크부(120)를 당겨서 링크부(120)에 연결된 몸체부(110)를 우측(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몸체부(110)의 전방측 전방 아암(124a)은 하강되어 바닥면(F)에 접촉된 상태이고, 후방측의 후방 아암(124b)은 상승 회동된 상태이며, 이와 같은 상태로 몸체부(110)는 걸레(102)와 함께 우측(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바닥면(F)을 걸레질한다.
이와 같은 우측(후방) 이동중에 걸레질되는 바닥면(F)으로부터 발생되는 먼지/이물질(160)은 몸체부(110)의 후방 모서리측 걸레(102)에 의해서 모여서 밀리게 되며, 이전의 좌측(전방)이동 도중에 몸체부(110)의 전방 모서리측 걸레(102)에 의해서 모여진 먼지/이물질(160)은 전방 아암(124a)에 의해서 함께 이끌려서 우측(후방)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작동 과정에서, 링크부(120)의 제1 및 제2 프레임(122a, 122b)은 몸체부(110)의 상부에서 전,후방측으로 충분히 길게 연장된 것이기 때문에, 전,후방 아암(124a,124b) 중의 하나가 하강하여 몸체부(110)의 전,후방측 바닥면(F)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전,후방 아암(124a,124b)과 몸체부(110)의 전,후방 모서리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공간(S), 또는 간격이 충분히 형성되어, 걸레질 도중에 바닥면(F)으로부터 발생되는 먼지/이물질(160)은 해당 공간(S) 내에 수용되고, 전,후방 아암(124a,124b)과 함께 전,후진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전,후방)으로 반복적으로 걸레질하게 되면, 몸체부(110)의 걸레(102)가 바닥면(F) 상에서 좌,우측(전,후방)으로 이동하기 전에, 링크부(120)가 회동하고, 전,후방 아암(124a,124b)이 몸체부(110)의 전,후방측 바닥면(F)에 대해 접촉한 이후에 몸체부(110)의 걸레(102)가 좌,우측(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걸레질 도중에 바닥면(F)으로부터 발생되는 먼지/이물질(160)을 전,후방 아암(124a,124b)과 몸체부(110) 사이의 공간(S), 또는 간격 내에 포집하고 함께 전,후진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링크부(120)는 몸체부(110)의 전,후방측 제1 및 제2 프레임(122a, 122b) 상에 탄성 수단(180)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전,후방 아암(124a,124b)과 몸체부(110)의 전,후방 모서리 사이에서 먼지/이물질(160)이 모이는 공간(S)을 쉽게 형성하도록 걸레(102)를 제1 및 제2 프레임(122a, 122b) 측으로 들어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와 같은 탄성 수단(180)은, 예를 들면 고무 밴드 등일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프레임(122a, 122b)에 끼워져서 걸레(102)를 제1 및 제2 프레임(122a, 122b) 측으로 들어주는 구조일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탄성 수단(180)은 걸레(102)를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전,후방 아암(124a,124b)의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링크부(120)의 전,후방 아암(124a,124b)이 하강하여 몸체부(110)의 전,후방측 바닥면(F)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전,후방 아암(124a,124b)과 몸체부(110)의 전,후방 모서리 사이에서 먼지/이물질(160)이 모이는 공간(S)을 쉽게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탄성 수단(180)은, 걸레(102)가 자체적으로 하부로 처지지 않아서, 공간(S) 형성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 예를 들면 전,후방 아암(124a,124b)이 하강되어도 걸레(102)가 상부측으로 쉽게 접혀져서 공간(S)이 용이하게 형성되는 구조에서는 불필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걸레질을 전후 왕복 운동 방식으로 하게 되면, 몸체부(110)에 씌워진 걸레(102)에 의해서 바닥면(F)이 걸레질되면서, 걸레(102)의 전방 이동중에 몸체부(110)의 전방측으로 밀린 먼지/이물질(160)은, 몸체부(110)의 후방 이동중에 전방 아암(124a)이 하강되어 몸체부(110)와 전방 아암(124a) 사이의 공간(S)에 갖히게 되어 후방으로 함께 이동된다.
또한, 걸레질의 후방 이동중에 몸체부(110)의 후방 모서리에 밀려서 쌓인 먼지/이물질(160)은 몸체부(110)의 전방 이동중에 후방 아암(124b)의 하강 작동에 의해서 몸체부(110)와 후방 아암(124b) 사이의 공간(S)에 갖히게 되어 함께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 도중에 걸레(102)에 의해서 밀리는 먼지/이물질(160)이 바닥면(F)의 걸레질 부분으로부터 멀리 날리거나 흩어지지 않고, 전방 아암(124a)과 몸체부(110)의 전방 모서리 사이 공간(S) 및 후방 아암(124b)과 몸체부(110)의 후방 모서리 사이 공간(S)에 모인 상태가 되므로, 청소 후에 먼지/이물질(160)을 쉽고,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200)의 변형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변형 예의 청소 용구(200)는, 상기 링크부(120)가 3절 링크(220)를 통하여 전,후방 아암(224a,224b)들이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210)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며, 상기 3절 링크(220)들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10)에 대하여 피봇(212)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동작부(240)에 대하여 긴 구멍(242)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긴 구멍(242)은 직선형 긴 구멍 또는 원호형 긴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다르게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절 링크(220)들은 상기 몸체부(210)에 대하여 긴 구멍(242)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동작부(240)에 대하여 피봇(212)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걸레(미 도시)는 몸체부(210)의 하부면을 에워싸고, 전,후방 아암(224a,224b)들에 고정되어 탈착가능한 것임을 당업자들은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예에서는, 상기 긴 구멍(242)이 원호형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동작부(240)가 전,후진하여 전,후방 아암(224a,224b)들이 상승하면, 처음에는 천천히 올라가다가 이후에는 빠르게 상승하며, 하강하는 경우에는 처음에는 빠르게 내려오다가 후에는 천천히 하강하는 작동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도 7a 및 도 7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300)의 다른 변형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변형 예의 청소 용구(300)는, 상기 몸체부(310)는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부(340)는 상기 몸체부(310)의 상부에서 방사상으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한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링크부(120)는 상기 몸체부(310)상에서 동작부(340)로부터 각각 방사상으로 연장하고,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3절 링크(320)들을 통하여 각각의 원호형 아암(324)들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3절 링크(220)들은 그 중간 부분이 스프링(326)을 통하여 몸체부(310)의 측면 모서리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원호형 아암(324)들이 바닥면(F)에 접촉하도록 당김력을 제공하며, 상기 동작부(340)는 그 전,후진 작동 도중에 측면 모서리의 핀(342)들이 상기 3절 링크(320)의 일측 상부 모서리 경사면(344)을 눌러서 3절 링크(320)의 타측 원호형 아암(324)이 바닥면(F)으로부터 상승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변형 예의 청소 용구(300)는, 로봇 청소기에 적용되거나, 또는 원형 걸레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며, 원형의 걸레(미 도시)는 원형의 몸체부(310) 하부면을 에워싸며, 각각의 원호형 아암(324) 들에 연결되어 탈착가능한 것임을 당업자들은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청소 용구(300)는, 동작부(340)의 측면 모서리에 형성된 다수의 핀(342)들이 각각 3절 링크(320)와는 분리되어 있고, 동작부(340)의 작동시에 상기 3절 링크(320)의 일측 상부 모서리 경사면(344)에 접촉되고, 눌러서 3절 링크(320)의 타측 원호형 아암(324)이 바닥면(F)으로부터 상승하도록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예에서는, 상기 동작부(340)가 전,후진하게 되면, 상기 동작부(340)의 핀(342)들과, 다수의 3절 링크(320)들을 통해서 다수의 원호형 아암(324)들이 동시에 상승된다.
이때, 상기 동작부(340)는 몸체부(310) 상에서 상,하,좌,우를 포함하는 방사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며, 상기 원호형 아암(324)들은 동작부(340)가 몸체부(310)상에서 움직이는 방향으로만 상부 측으로 들리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도 8a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400)의 또 다른 변형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변형 예의 청소 용구(400)에서는, 상기 링크부(120)가 다관절 링크(420)들을 통하여 전,후방 아암(424a,424b)들이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410)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며, 상기 다관절 링크(420)들은 상기 몸체부(410)에 대하여 다수의 피봇(412)들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동작부(440)에 대하여 각각 상하방향의 긴 구멍(442)을 통하여 연결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변형 구조에서도, 걸레(미 도시)는 몸체부(410)의 하부면을 에워싸고, 전,후방 아암(424a,424b)들에 고정되어 탈착가능한 것임을 당업자들은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변형 예의 청소 용구(400)는, 건물의 모서리 부분을 청소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전,후방 아암(424a, 424b)들은 동작부(440)에 의해서 상승된 경우, 상기 몸체부(410)에 가깝게 위치된 상태로 바닥면(F)으로부터 들려지고, 동작부(440)에 의해서 하강된 경우, 상기 몸체부(410)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바닥면(F)에 접촉하게 된다.
즉, 도 8b에서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3절 링크(220)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224b)이 상승되면 몸체부(210)에 멀리 위치된 상태로 바닥면(F)으로부터 들려지고, 아암(224b)이 하강되면, 몸체부(210)로부터 가까워진 상태에서 바닥면(F)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 구조로서는, 건물의 모서리 부분에 접근하기가 어려워서 건물 모서리에 쌓인 먼지/이물질을 청소하기가 곤란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8b에서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관절 링크(420)를 이용하게 되면, 아암(424b)이 상승되면, 몸체부(410)에 가깝게 위치된 상태로 바닥면(F)으로부터 들려지고, 아암(424b)이 하강되면, 몸체부(410)로부터 멀리 위치된 상태에서 바닥면(F)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동 구조를 통하여 건물의 모서리 부분에 쌓인 먼지/이물질을 쉽게 청소할 수 있어서 매우 유리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의 또 다른 변형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변형 예의 청소 용구(500)는, 상기 링크부(120)가 각각 3절 링크(520)를 통하여 전,후방 아암(524a,524b)들이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510)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며, 상기 3절 링크(520)들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510)의 전,후방에 대하여 각각 보조 링크(530)와 피봇(532a, 532b)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동작부(540)에 대하여 공유 피봇(544)을 통하여 연결된 것이다.
즉, 상기 보조 링크(530)는 각각 그 상단이 각각 전,후방 3절 링크(520)의 중간에 상부 피봇(532a)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하단은 몸체부(510)의 전,후방에서 하부 피봇(532b)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3절 링크(520)는 동작부(540)의 양측면에서 공유 피봇(544)을 통하여 연결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걸레(미 도시)는 몸체부(510)의 하부면을 에워싸고, 전,후방 아암(524a,524b)들에 고정되어 탈착가능한 것임을 당업자들은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예에서는, 전체 링크부(120)가 피봇(532a, 532b)(544) 또는 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동작시 슬롯과 같은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링크간 공차를 최소한 구조로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걸레질을 전후 왕복 운동 방식으로 하게 되면, 바닥면이 몸체부(510)에 씌워진 걸레에 의해 걸레질되면서 전방 이동중에 몸체부의 전방측으로 밀린 먼지/이물질은, 몸체부(510)의 후방 이동중에 몸체부(510)와 전방 아암(524a) 사이의 공간에 갖히게 되어 함께 후방 이동되고, 몸체부(510)의 후방 이동중에는 몸체부(510)의 후방측으로 밀려서 쌓인 먼지/이물질은 몸체부(510)의 전방 이동중에 몸체부(510)와 후방 아암(524b) 사이의 공간에 갖히게 되어 함께 전방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 도중에 걸레에 의해서 밀리는 먼지/이물질이 바닥의 걸레질 부분으로부터 멀리 날리거나 흩어지지 않고 모인 상태가 되므로, 별도로 쓸어 모을 필요없이 청소 후에 먼지/이물질을 쉽고,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개선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동작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나 마대봉의 구조에 힌지 축을 추가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동작부를 작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로봇 청소기에 적용하여 무인 자동식으로 본 발명을 작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적인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00: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
102: 걸레 110: 몸체부
110a: 상부면 112a,112b: 지지대
114: 제1 회전축 120: 링크부
122a, 122b: 제1 및 제2 프레임 124a,124b: 전,후방 아암
126: 누름대 128: 나사
130: 제2 회전축 140: 동작부
142a,142b: 제1 및 제2 연결대 144: 지지판
144a: 하부면 132a, 132b: 제1 및 제2 축봉
134a,134b: 세로 구멍 160: 먼지/이물질
180: 탄성 수단 200,300,400,500: 청소 용구
210: 몸체부 212: 피봇
220: 3절 링크 224a,224b: 전,후방 아암
240: 동작부 242: 긴 구멍
310; 몸체부 320: 3절 링크
324: 원호형 아암 326: 스프링
340: 동작부 342: 핀
344: 경사면 410: 몸체부
412: 피봇 420: 다관절 링크
424a, 424b: 전,후방 아암 440: 동작부
442: 긴 구멍 510: 몸체부
520: 3절 링크 524a,524b: 전,후방 아암
530: 보조 링크 532a, 532b: 상,하부 피봇
540: 동작부 544: 공유 피봇
F: 바닥면 K: 절곡부
S: 공간

Claims (18)

  1. 바닥면을 걸레질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구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전,후방 아암을 구비하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밀어서 전진시킬 경우에는 전진하는 방향의 아암이 상승하고, 반대쪽 아암은 하강하여 아암이 바닥면과 면접하며, 반대로 당길 경우에는 당기는 방향의 아암이 상승하고, 반대쪽 아암은 하강하여 아암이 바닥면과 면접하는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방 아암에는 걸레의 양끝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상기 걸레가 몸체부의 하부면과, 전,후방 아암의 하부면을 에워싼 상태로 고정되되, 상기 전,후방 아암과 몸체부의 전,후방 모서리 사이에 먼지/이물질이 모이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몸체부와 아암 사이의 걸레는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서 여유 공간(S)을 형성하고, 걸레질 작업 도중에 링크부의 전,후방 아암들이 몸체부의 걸레 전,후방측으로 밀린 먼지/이물질을 상기 여유 공간(S)에 가둬서 먼지/이물질이 모이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제1 회전축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동작부는 링크부의 내측에서 제2 회전축을 통하여 링크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는 그 상부면으로 한 쌍의 지지대가 상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는 각각 베어링을 내장한 제1 회전축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를 전,후진 시킴과 동시에 링크부를 몸체부에 대해 회동시켜서, 상기 링크부의 전,후방 아암이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측 바닥면에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 상하 승강하여 바닥면에 접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몸체부의 한 쌍의 지지대의 내측에서 제1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그 끝단부가 몸체부의 상부에서 전,후방측으로 각각 일정길이 연장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끝단부에는 각각 전,후방 아암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전,후방 아암에는 걸레의 양끝단이 고정됨으로써, 상기 걸레가 몸체부의 하부면과, 전,후방 아암의 하부면을 에워싼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링크부의 제2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대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대 사이의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대의 상부 양측으로는 제1 및 제2 축봉이 돌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축봉은 링크부의 제1 및 제2 프레임에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된 세로 구멍 내에서 회전 및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자가 동작부를 걸레질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면, 상기 동작부는 몸체부의 상부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제1 및 제2 축봉이 세로 구멍 내에서 회전 및 슬라이딩하여 링크부를 몸체부에 대해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링크부의 전,후방 아암이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측 바닥면에 대해 승하강하여 걸레질 작동중에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의 전, 후방 아암은 하강하여 몸체부의 전,후방측 바닥면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전,후방 아암과 몸체부의 전,후방 모서리 사이에는 먼지/이물질이 모이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링크부의 제1 및 제2 프레임은 몸체부의 상부에서 전,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지지판의 상부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고정되거나, 마대봉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동작부를 통하여 걸레질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몸체부의 전,후방측 제1 및 제2 프레임 상에 탄성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걸레를 몸체부의 하부면과, 전,후방 아암의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링크부의 전, 후방 아암이 하강하여 몸체부의 전,후방측 바닥면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전,후방 아암과 몸체부의 전,후방 모서리 사이에서 먼지/이물질이 모이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걸레를 몸체부의 하부면과, 전,후방 아암의 하부면 사이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 측으로 들어주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의 전,후방 아암은 각각 그 좌,우측 양끝단이 내측으로 굽어져서 상기 전,후방 아암과 몸체부의 전,후방 모서리 사이에 모인 먼지/이물질이 전,후방 아암의 양측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의 제1 및 제2 축봉은, 걸레질 작동 이전에는 상기 링크부의 세로 구멍 내에서 상부측에 위치되고, 걸레질 작동 중에 사용자가 동작부를 전,후방으로 밀게 되면, 제1 및 제2 축봉은, 세로 구멍 내에서 하부측으로 이동되어 링크부의 회동을 허용하고, 전,후방 아암이 몸체부의 전,후방측 바닥면에 대해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지지판의 하부면과, 몸체부의 상부면 사이의 마찰계수가, 몸체부 하부면의 걸레와 바닥면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작아서, 걸레질 작동 중에 사용자가 동작부를 전,후방으로 밀게 되면, 몸체부의 걸레가 바닥면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기 전에, 링크부가 회동하고, 전,후방 아암이 몸체부의 전,후방측 바닥면에 대해 접촉한 이후에 몸체부의 걸레가 전,후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3절 링크를 통하여 전,후방 아암들이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며, 상기 3절 링크들은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피봇 또는 긴 구멍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동작부에 대하여 긴 구멍 또는 피봇을 통하여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은 직선형 긴 구멍 또는 원호형 긴 구멍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한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부는 각각 방사상으로 연장하고,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3절 링크들을 통하여 각각의 아암들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각각의 3절 링크들은 그 중간 부분이 스프링을 통하여 몸체부의 측면 모서리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아암들이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당김력을 제공하며, 상기 동작부는 그 전,후진 작동 도중에 측면 모서리의 핀들이 상기 3절 링크의 일측 상부 모서리 경사면을 눌러서 3절 링크의 타측 아암이 바닥면으로부터 상승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전,후진하는 경우, 다수의 3절 링크들을 통해서 다수의 아암들이 동시에 상승되고, 상기 동작부는 몸체부 상에서 방사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며, 상기 동작부가 몸체부상에서 움직이는 방향으로만 상기 아암들이 들리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다관절 링크들을 통하여 전,후방 아암들이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며, 상기 다관절 링크들은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다수의 피봇들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동작부에 대하여 각각 상하방향의 긴 구멍을 통하여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아암들은 동작부에 의해서 상승된 경우, 상기 몸체부에 가깝게 위치된 상태로 바닥면으로부터 들려지고, 동작부에 의해서 하강된 경우, 상기 몸체부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바닥면에 접촉됨으로써 건물의 노서리 부분을 청소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3절 링크를 통하여 전,후방 아암들이 연결되어 상기 전,후방 아암들이 몸체부의 전,후방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며, 상기 3절 링크들은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에 대하여 각각 보조 링크와 피봇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동작부에 대하여 피봇을 통하여 연결되어 동작시 슬롯과 같은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링크간 공차를 최소한 구조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링크는 그 상단이 각각 전,후방 3절 링크의 중간에 상부 피봇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하단은 몸체부의 전,후방에서 하부 피봇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3절 링크는 동작부의 양측면에서 공유 피봇을 통하여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KR1020150189313A 2015-12-30 2015-12-30 청소 용구 KR101616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313A KR101616286B1 (ko) 2015-12-30 2015-12-30 청소 용구
PCT/KR2016/004414 WO2017115935A1 (ko) 2015-12-30 2016-04-27 청소 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313A KR101616286B1 (ko) 2015-12-30 2015-12-30 청소 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286B1 true KR101616286B1 (ko) 2016-04-28

Family

ID=5591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313A KR101616286B1 (ko) 2015-12-30 2015-12-30 청소 용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6286B1 (ko)
WO (1) WO20171159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4209A (zh) * 2018-09-19 2018-12-21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洛阳)机器人与智能装备创新研究院 智能型保姆机器人用辅助拖地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8121B (zh) * 2018-06-01 2023-06-20 深圳银星智能集团股份有限公司 清洁机器人
CN109276199B (zh) * 2018-12-07 2024-04-30 赵靓 一种拖把
CN114587181A (zh) * 2020-12-11 2022-06-07 北京石头世纪科技股份有限公司 清洁机器人及具有其的清洁机器人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962U (ja) * 1993-02-10 1994-09-06 セイワ株式会社 ペ−パ−モップの取付枠
JPH1199114A (ja) * 1997-09-29 1999-04-13 Yoshino Kogyosho Co Ltd 清掃用具
JP2006034604A (ja) * 2004-07-27 2006-02-09 Azuma Industrial Co Ltd ワックス剥離用ワイパー
JP2008168107A (ja) * 2006-06-19 2008-07-24 Hitoshi Minami 粘着テープ掃除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191B1 (ko) * 2014-03-21 2015-03-25 최형선 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962U (ja) * 1993-02-10 1994-09-06 セイワ株式会社 ペ−パ−モップの取付枠
JPH1199114A (ja) * 1997-09-29 1999-04-13 Yoshino Kogyosho Co Ltd 清掃用具
JP2006034604A (ja) * 2004-07-27 2006-02-09 Azuma Industrial Co Ltd ワックス剥離用ワイパー
JP2008168107A (ja) * 2006-06-19 2008-07-24 Hitoshi Minami 粘着テープ掃除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4209A (zh) * 2018-09-19 2018-12-21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洛阳)机器人与智能装备创新研究院 智能型保姆机器人用辅助拖地机构
CN109044209B (zh) * 2018-09-19 2023-08-25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洛阳)机器人与智能装备创新研究院 智能型保姆机器人用辅助拖地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5935A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286B1 (ko) 청소 용구
CA2446011C (en) Floor suction tool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EP1486156A2 (en) Electric vacuum cleaner with a nozzle comprising a detachable cleaning sheet
JPH0711732Y2 (ja) 真空掃除機の吸込み具
CN207785086U (zh) 挤水方式改进的发泡棉头拖把
JPH0624663U (ja) 真空掃除機のクリーナーヘッド
JP2014212837A (ja) 床又は他の平坦な面を清掃するための洗浄用アセンブリ
CA2703657C (en) Squeeze mop
KR20160008647A (ko)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KR101848448B1 (ko) 회전식 걸레 청소기
JP2015509805A (ja) 洗浄器具、洗浄方法及び追加組込方法
CN108338758A (zh) 自挤水发泡棉头拖把
RU2483666C2 (ru) Пылесос и его узел шланга
US8146195B2 (en) Cleaning device
KR100924082B1 (ko) 바닥용 청소도구
KR100893462B1 (ko) 다면 분할 활용식 밀대청소기
CN112823731A (zh) 一种拖把
KR101988593B1 (ko) 청소 장치
CN205612421U (zh) 改良式平板拖把
KR100883551B1 (ko) 청소용 밀대걸레
CN210095634U (zh) 擦地机器人
CN213282774U (zh) 平板拖把
KR101521181B1 (ko) 청소 헤드
GB2459318A (en) Upright vacuum cleaner with height adjustment arrangement
CN205697600U (zh) 折叠式拖把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