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658B1 - 사진앨범 제작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진앨범 제작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658B1
KR101615658B1 KR1020130061665A KR20130061665A KR101615658B1 KR 101615658 B1 KR101615658 B1 KR 101615658B1 KR 1020130061665 A KR1020130061665 A KR 1020130061665A KR 20130061665 A KR20130061665 A KR 20130061665A KR 101615658 B1 KR101615658 B1 KR 101615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album
album
application
user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1758A (ko
Inventor
이연희
서일석
이주현
신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아에스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아에스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아에스앤에스
Priority to KR1020130061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658B1/ko
Publication of KR20140141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앨범 제작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앨범제작프로그램이 설치된 제1사용자단말과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앨범생성서버에서 사진앨범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앨범생성서버가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편집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앨범생성서버가 상기 편집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앨범생성서버가 생성된 상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단말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사진앨범 제작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PHOTO ALBUMS}
본 발명은 사진앨범 제작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사진앨범 제작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은 개발자가 직접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직접 개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은 Android JDK(자바 개발 킷-자바를 이용한 개발 툴들을 모아 놓은 것) 및 Android SDK(소프트웨어개발 킷-안드로이드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툴들을 모아 놓은 것)등을 이용하여 개발자가 직접 제작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안드로이드, 아이폰 애플리케이션들은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는 소수자에 의해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은 제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92414호는 단체활동 과정에 대해 구성원별로 특화된 사진앨범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개인화된 대량 사진앨범 제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선행문헌에서 기술된 사진앨범은 사진앨범에 삽입되는 사진 이미지와 함께 기재되는 정보(구성원 이름, 단체명 등)의 기재 오류를 실시간 검증해야하므로 사진앨범을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사진앨범 제작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 사용자의 이미지들을 하나의 사진앨범으로 간단하게 제작 가능한 사진앨범 제작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사진앨범을 제작하기 위한 이미지를 직접 선택하고 간단하게 배열, 정리 등을 통해 편집하여 자신이 원하는 사진앨범을 제작할 수 있는 사진앨범 제작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작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상태로 구동하여 열람할 수 있고,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에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으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에 수록된 이미지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사진앨범 제작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방법은 앨범제작프로그램이 설치된 제1사용자단말과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앨범생성서버에서 사진앨범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앨범생성서버가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편집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앨범생성서버가 상기 편집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앨범생성서버가 생성된 상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시스템은 앨범제작프로그램이 설치된 제1사용자단말과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앨범생성서버에서 사진앨범을 제작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편집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편집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생성부; 그리고 생성된 상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수 사용자의 이미지들을 하나의 사진앨범으로 간단하게 제작 가능하다는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진앨범을 제작하기 위한 이미지를 직접 선택하고 간단하게 배열, 정리 등을 통해 편집하여 자신이 원하는 사진앨범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작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상태로 구동하여 열람할 수 있고,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에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으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에 수록된 이미지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시스템의 구성을 개락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시스템의 앨범생성서버를 나타내는 기능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방법에 따라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앨범 편집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방법에 따라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RL을 제2 사용자단말로 전송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방법에 의해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단말로 다운로드 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방법에 의해 생성된 사진앨범의 첫화면이 사용자단말로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방법에 의해 생성된 사진앨범에서 책장넘김 효과에 의해 다음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방법에 의해 생성된 사진앨범을 SNS를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시스템의 구성을 개락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앨범 제작시스템(100)은 네트워크(N)로 연결되는 사용자단말(10)과 앨범생성서버(2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10)은 앨범제작프로그램인 앨범제작프로그램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진앨범을 제작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휴대용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하여 사용자단말(10)에 설치된 앨범제작프로그램은 사진앨범 제작은 물론 사진인화, 브로셔어쿠폰, 청첩장, 화보집, 음악, 게임, 애플리케이션 오픈마켓, 전자책, e쿠폰, 모바일상품권, 전자만화책을 제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치환될 수도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1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10)에는 사진앨범을 제작하기 위한 앨범제작프로그램용 애플리케이션과, 제작(또는 다운로드)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 및 다운로드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사진앨범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사진앨범제작프로그램용 애플리케이션과 사진앨범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은 동일할 수 있다. 관련하여 사진앨범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을 때 제작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사용자단말이 제작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열람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0)은 미리 저장된 사진앨범제작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앨범제작프로그램으로부터 기 설치된 앨범 편집툴을 제공받아 앨범 편집툴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입력함으로써 사진앨범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10)은 미리 저장된 사진앨범제작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사진앨범제작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앨범 편집툴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입력함으로써 사진앨범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10)은 앨범생성서버(20)에서 제공하는 앨범 편집툴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입력함으로써 사진앨범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앨범제작프로그램을 이용한 이미지 입력은 데스크톱(desktop)과 같은 컴퓨터에서 이루어지고, 편집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플레이는 스마트폰(Smart Phone)에서 할 수 있도록 사진앨범 제작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단말(1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편집데이터는 사용자단말(10)에 기저장되어 있는 사진앨범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이미지데이터 또는 앨범 편집툴을 통해 편집된 편집데이터 일 수 있다. 관련하여 앨범 편집툴은 앨범 템플릿, 이미지, 텍스트 배열정보, 디스플레이 방식을 포함한 효과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0)은 앨범 편집툴에 의해 제공되는 앨범 템플릿 중 하나를 선택하고, 앨범에 관련된 사진이나 동영상 및 설명을 위한 텍스트를 구성에 맞도록 배열하여 편집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편집데이터를 앨범생성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앨범생성서버(20)는 사용자단말(10)과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사용자단말(10)로 사진앨범자동생성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처리장치이다.
앨범생성서버(20)에서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에는 이미지데이터와 텍스트데이터 및 효과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앨범생성서버(20)에서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은 내용에 따라 동영상 형식의 앨범과 정지영상 이미지 형식의 앨범 또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이 혼합된 형식의 앨범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앨범생성서버(20)는 사용자단말(10)에서 앨범제작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하나 이상의 앨범 편집툴을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한다. 또한 앨범생성서버(20)는 앨범제작프로그램의 추가사항이 발생하면, 추가사항에 대한 업데이트(update) 목록을 사용자단말(10)에 통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10)은 앨범제작프로그램의 업데이트 목록을 수신하여 앨범제작프로그램의 업데이트(update)를 실행할 수 있다.
반면 앨범제공서버(미도시)는 앨범생성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관련하여 앨범생성서버(20)나 앨범제공서버는 같거나 별도의 정보처리장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앨범생성서버(20)와 앨범제공서버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사진앨범 제작시스템(100)은 서드파티서버(30)와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서드파티서버(30)는 사용자단말(10)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채팅서비스, SNS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드파티서버(30)는 앨범생성서버(20)로 편집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앨범생성서버(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시스템의 앨범생성서버를 나타내는 기능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앨범생성서버(20)는 데이터 처리부(21)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21)는 임의의 사용자단말(10)에 설치된 앨범제작프로그램으로부터 편집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21)는 앨범 편집툴에 의해 제공되는 앨범 템플릿을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1)는 앨범제작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앨범 편집툴에 의해 편집된 앨범제작 편집데이터를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한다.
즉 데이터 처리부(21)는 편집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 텍스트 배열정보, 디스플레이 방식을 포함한 효과데이터, 이미지데이터 및 텍스트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1)는 사용자단말(10)로부터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하나 이상의 편집데이터와 복수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21)는 서드파티서버(30)로부터 편집데이터를 수신받을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앨범생성서버(20)는 애플리케이션 생성부(22)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생성부(22)는 데이터 처리부(21)에서 수신한 편집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즉 애플리케이션 생성부(22)는 편집데이터와, 편집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이미지, 텍스트 배열정보, 디스플레이 방식을 포함한 효과데이터, 이미지데이터 및 텍스트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생성부(22)는 서드파티서버(30)로부터 하나 이상의 편집데이터를 획득하여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도 있다.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 생성부(22)는 사용자단말(10)이 채팅그룹에 포함되어 채팅이 이루어질 경우, 채팅그룹내에서의 각각의 채팅참여 인원의 편집데이터 및 이미지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각각의 편집데이터 및 이미지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의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앨범생성서버(20)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부(23)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제공부(23)는 애플리케이션 생성부(22)에서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앨범생성서버(20)는 푸시메시지 전송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메시지 전송부(24)는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푸시메시지를 사용자단말(10)로 발송하는 것이다. 즉 푸시메시지는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의 생성완료를 사용자단말(10)로 알려주거나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다른 사용자단말(10)과 공유하기 위하여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 다운을 요청하는 것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푸시메시지 전송부(24)는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RL을 다른 사용자단말(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RL을 수신한 사용자단말(10)이 URL에 대한 터치입력을 수신하면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웹페이지, 또는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실행결과 페이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단말(10)은 푸시메시지 전송부(24)로부터 푸시메시지를 수신하여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 제공부(23)와 푸시메시지 전송부(24)는 앨범제공서버로서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시스템을 이용한 사진앨범 제작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앨범생성서버(20)는 앨범 편집툴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앨범 템플릿을 제1사용자단말(1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앨범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사용자단말(10)로부터 선택된 앨범 편집툴은 이하 설명되는 앨범제작프로그램에 의해 제작되는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및 효과를 결정하게 된다.
사용자단말(10)은 앨범제작프로그램으로부터 앨범 편집툴을 제공받아 이미지, 텍스트 배열정보, 디스플레이 방식을 포함한 효과데이터 및 텍스트데이터를 배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방법에 따라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앨범 편집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앨범생성서버(20)는 제1사용자단말(10)로 하나 이상의 앨범 템플릿, 사운드, 효과 등을 저장하는 앨범 편집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공된 앨범 편집툴은 사용자단말(10)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앨범생성서버(20)는 앨범제작프로그램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앨범 편집툴에 대응하는 편집데이터를 수신한다(S11). 이때 S11단계에서 앨범생성서버(20)가 수신한 편집데이터는 이미지데이터 및 앨범제작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앨범 편집툴에 의해 편집된 앨범제작 편집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S11단계에서 앨범생성서버(20)가 수신한 편집데이터는 제1사용자단말(1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다. 한편 S11단계에서 앨범생성서버(20)가 수신한 편집데이터는 서드파티서버(30)로부터 수신한 편집데이터일 수도 있다. 즉 앨범생성서버(20)는 사용자단말(10)에 기설치된 사진공유프로그램의 사진을 관리하는 서드파티서버(30)로부터 편집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S11단계는 앨범생성서버(20)가 이미지데이터, 앨범 편집툴을 통해 편집된 편집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 텍스트 배열정보, 디스플레이 방식을 포함한 효과데이터 및 텍스트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앨범생성서버(20)는 앨범제작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앨범 편집툴에 의해 편집된 앨범제작 편집데이터나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한 편집데이터 또는 서드파티서버(30)로부터 수신한 편집데이터에 기초하여 포토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S12). 즉 사용자단말(10)이 앨범 편집툴에 기초하여 이미지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효과데이터를 입력받고 저장한 후,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명령을 수신하면 앨범생성서버(20)는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이때 앨범생성서버(20)는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에 사운드 데이터 및 음성 녹음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방식 또는 음성 녹음방식 즉 음성편지방식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10)로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을 때,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사진이 전체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터치로 인한 책장넘기기 효과도 추가되도록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S12단계는 앨범생성서버(20)가 채팅그룹내에서의 각각의 채팅참여 인원의 편집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각각의 편집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의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앨범생성서버(20)는 S12단계에서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푸시메시지를 제1사용자단말(10)로 발송할 수 있다(S13). 푸시메시지는 S12단계에서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의 생성을 제1사용자단말(10)로 통지하거나,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의 공유를 위하여 다운로드 요청할 것을 제2사용자단말(10)로 통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S13단계에서 앨범생성서버(20)가 제1사용자단말(10)로 푸시메시지를 발송하면, 앨범생성서버(20)는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제1사용자단말(10)로 제공한다(S14).
한편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은 제2사용자단말(10)로 제공될 수 있는데, 앨범생성서버(20)는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제2사용자단말(10)과 공유할 수 있다(S15).
이때 S15단계에서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방법은 앨범생성서버(20)가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RL을 제2사용자단말(10)로 전송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2사용자단말(10)은 앨범생성서버(20)로부터 수신한 URL에 대한 터치입력을 수신하면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웹페이지, 또는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실행결과 페이지로 하이퍼링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방법에 따라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RL을 제2 사용자단말로 전송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앨범생성서버(20)는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제2사용자단말(10)과 공유하기 위하여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RL이 포함된 푸시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앨범생성서버(20)는 제2사용자단말(10)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앨범생성서버(20)는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제1사용자단말(10)에 미리 저장된 단말기번호 리스트, 연동된SNS (카카오톡, 페이스북, me2day) 및 주소록을 통해 제2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앨범생성서버(20)는 제2사용자단말(10)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때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푸시메시지를 제2사용자단말(10)로 발송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방법에 의해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단말에서 실행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방법에 의해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단말로 다운로드 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10)이 앨범생성서버(20)에 의해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되면, 사용자단말(10)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방법에 의해 생성된 사진앨범의 첫화면이 사용자단말로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에 다운로드 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사진앨범의 첫화면이 사용자단말(10)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사진앨범의 첫화면에는 사진을 비롯하여 사진앨범의 제목, 날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방법에 의해 생성된 사진앨범에서 책장넘김 효과에 의해 다음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10)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면 책장넘김 효과에 의해 다음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앨범 제작방법에 의해 생성된 사진앨범을 SNS를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10)에 표시된 사진앨범의 하나의 이미지 또는 사진앨범 전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경우, 앨범생성서버(20)는 메일 또는 연동된SNS (카카오톡, 페이스북, me2day 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진앨범 제작시스템 10: 사용자단말
20: 앨범생성서버 21: 데이터 처리부
22: 애플리케이션 생성부 23: 애플리케이션 제공부
24: 푸시메시지 전송부 30: 서드파티서버

Claims (18)

  1. 앨범생성서버가, 제1사용자의 제1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사진앨범제작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앨범생성서버가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편집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앨범생성서버가 상기 편집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앨범생성서버가 생성된 상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사용자의 제2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사진앨범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사용자와는 다른 제2사용자의 제3사용자단말과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사용자단말과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앨범생성서버가생성된 상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3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사진앨범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진앨범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앨범제작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앨범 편집툴에 의해 편집된 앨범제작 편집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진앨범 제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앨범 편집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 텍스트 배열정보, 디스플레이 방식을 포함한 효과데이터, 이미지데이터 및 텍스트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앨범 제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앨범생성서버가 상기 편집데이터를 서드파티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진앨범 제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앨범생성서버가 상기 편집데이터를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진앨범 제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푸시(push)메시지를 상기 제2사용자단말로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진앨범 제작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은 사운드 데이터 및 음성녹음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앨범 제작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앨범생성서버가 채팅그룹내에서의 각각의 채팅참여 인원의 편집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각각의 상기 편집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의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진앨범 제작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앨범생성서버가 상기 서드파티서버로부터 수신된 편집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앨범 제작방법.
  13. 제1사용자의 제1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사진앨범제작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편집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편집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생성부; 그리고
    생성된 상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사용자의 제2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사진앨범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운로드 가능하게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부는,
    상기 제1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생성된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사용자와는 다른 제2사용자의 제3사용자단말과 공유하되, 상기 생성된 상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3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사진앨범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사진앨범 제작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사진앨범제작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앨범 편집툴에 의해 편집된 앨범제작 편집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앨범 제작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편집데이터를 서드파티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앨범 제작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이 새로 생성되면, 상기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푸시(push)메시지를 상기 제2사용자단말로 발송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사진앨범 제작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생성부는,
    채팅그룹내에서의 각각의 채팅참여 인원의 편집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의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앨범 제작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생성부는,
    상기 서드파티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편집데이터를 획득하여 사진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앨범 제작시스템.
KR1020130061665A 2013-05-30 2013-05-30 사진앨범 제작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15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665A KR101615658B1 (ko) 2013-05-30 2013-05-30 사진앨범 제작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665A KR101615658B1 (ko) 2013-05-30 2013-05-30 사진앨범 제작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758A KR20140141758A (ko) 2014-12-11
KR101615658B1 true KR101615658B1 (ko) 2016-04-27

Family

ID=52459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665A KR101615658B1 (ko) 2013-05-30 2013-05-30 사진앨범 제작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6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025A (ko) * 2015-07-01 2017-02-08 에이큐 주식회사 이벤트 관련 디지털 앨범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388A (ko) * 2007-06-29 2009-01-08 (주)나우온플레이닷컴 플래시 앨범 제작 및 등록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컴퓨터로 실행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039828A (ko) * 2011-10-13 2013-04-23 주식회사 이투엠커뮤니케이션 포토 스튜디오와 연동하여 스마트 디바이스 포토 앨범을 제작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758A (ko)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14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calable, collaborative, real-time, graphical life-management interface
US9390396B2 (en) Bootstrapping social networks using augmented peer to peer distribution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US8489657B2 (en) Kiosk-based automatic update of online social networking sites
US90024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using, and disseminating customized audio/video clips
EP3188437B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information sharing
CN108886672A (zh) 消息扩展应用程序商店
US20130031486A1 (en) Pushed content notification and display
KR101468294B1 (ko) 소셜 정보 기반의 앨범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173690A1 (en) Online Video Enhancement
JP5985560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10170553A (ja) コミュニティ・ウィジェット提供方法及びその装置
TW201926966A (zh) 資訊發送方法及裝置
US20150312235A1 (en) Methods for generating and publishing a web site based on selected items and devices thereof
US201403590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management
JP2010204738A (ja) コンテンツ推薦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推薦方法
KR101615658B1 (ko) 사진앨범 제작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30054713A1 (en) File upload system us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1584276B1 (ko) 어플리케이션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JP4724706B2 (ja) メニュー情報管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02284587B1 (ko) 반응형 콘텐츠 제작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
KR100971474B1 (ko) 멀티 컨텐츠 원 포스트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다이어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426903A (zh) 媒体数据分享方法
KR101752791B1 (ko) 음악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302989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68393B1 (ko) 플랫폼 앨범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