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559B1 -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 Google Patents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559B1
KR101615559B1 KR1020150109164A KR20150109164A KR101615559B1 KR 101615559 B1 KR101615559 B1 KR 101615559B1 KR 1020150109164 A KR1020150109164 A KR 1020150109164A KR 20150109164 A KR20150109164 A KR 20150109164A KR 101615559 B1 KR101615559 B1 KR 101615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injection
information
equipment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우홍
Original Assignee
신우코스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코스텍(주) filed Critical 신우코스텍(주)
Priority to KR1020150109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서로 현장이나 수요처에 분산되어 있는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에 대한 예방 정비 또는 예정 교체 시기에 관한 정보를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에서 통합 관리함으로써,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효율적인 장비 관리가 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와 통신망에 의하여 연결되어 이를 통합 관리하는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은 DB서버와 장비 관리 서버와, 웹 서버를 포함하되, 장비 관리 서버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에서 에러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에러 모니터링부와;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에서 에러가 발생하거나 교체 주기 또는 점검 주기 도달시 이를 알리는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DB서버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및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부품에 관한 정보가 수록된 정보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A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 manufacturing company of injection streching blowing appartus and an user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서로 현장이나 수요처에 분산되어 있는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에 대한 예방 정비 또는 예정 교체 시기에 관한 정보를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에서 통합 관리함으로써,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효율적인 장비 관리가 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장비는 수지 재료를 용융하여 소정의 금형에 수지 재료를 주입하고, 원하는 형상의 구조물이 얻어질 수 있도록 사출 공법을 이용하여 사출 제품을 생산하는 장비이다.
이러한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장비는 한국 등록 특허 10-0065304 및 한국 등록 특허 10-0027948에 나타난다.
사출 연신 블로잉 장비를 사용하여 가공물을 만듦에 있어서, 가공물의 형상이 복잡해지고 제품생산이 자동화가 가능하게 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기반으로 많이 바뀌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PLC 기반의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장비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통상적으로 작업자가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나 모니터 등을 직접 눈으로 봐가면서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가공 공정이나 진행 과정 등을 확인해야 했다. 이는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에 고장 등이 발생하는 경우 고장을 수리할 수 있는 정비기술자가 공장에 없는 경우 정비기술자가 복귀할 때까지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를 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원격지에 있는 정비기술자와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를 담당하는 담당자가 일반 전화 등을 통하여 통화하면서 수리를 할 수 도 있으나, 정비기술자가 직접 확인하면서 보수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리 및 점검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원격지에서의 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를 이용한 제조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그만큼 가동율이 떨어지게 되어 결국 생산성의 저하로 이어지게 되었다.
공작 가공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수리할 수 있는 기술자가 항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주변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인력낭비에 따른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는 수많은 부품의 조합체로서, 각 부품의 교체 및 점검 시기가 정해져 있어서 이러한 점검 및 교체 주기를 준수해야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가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으나, 일일히 이를 체크하기가 어려워서 장비의 오동작이나 고장을 유발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에서 직접 납품한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를 원격 및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더 나아가 장비의 예방 정비 정보 또는 부품 교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장비에 관한 실시간 관리가 가능하게 한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원격지에 있는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소프트 웨어 버그 또는 코드 이상으로 발생한 경우, 직접 장비가 있는 지역까지 방문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이의 고장을 진단하고,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원격 관리 시스템과 통신하여,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진단하거나 취합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게 제공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와 통신망에 의하여 연결되어 이를 통합 관리하는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은 DB서버와 장비 관리 서버와, 웹 서버를 포함하되, 장비 관리 서버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에서 에러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에러 모니터링부와;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에서 에러가 발생하거나 교체 주기 또는 점검 주기 도달시 이를 알리는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DB서버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및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부품에 관한 정보가 수록된 정보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B서버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식별 코드 정보 저장 영역과;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수리 또는 점검 이력 정보 저장 영역과;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부품별 에러 코드 정보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비 관리 서버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에서 발생한 에러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에러 정보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DB서버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부품 교체 주기 정보 저장 영역과;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부품 점검 주기 정보 저장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비 관리 서버는; 상기 에러 정보 분석부에 의하여 특정 기간동안 누적되어 분석된 에러 정보를 챠트 또는 표 형태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에러 정보 시각화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DB서버는 상기 장비 관리 서버에서 분석되고 가공된 각 장비별 에러 정보를 저장하는 각 장비별 에러 정보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B서버는 각 장비 종류 별 또는 각 장비별로 나타날 수 있거나 나타났던 에러에 관한 솔루션 정보를 저장하는 에러 솔루션 정보 저장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비 관리 서버는 상기 에러 솔루션 정보 저장 영역과 연계되거나 또는 제조사 관리자의 솔루션 입력 명령을 수신 받아서 에러가 발생한 장비에 대한 원격 보수 솔루션 정보를 에러가 발생한 장비에 송신하는 원격 보수 솔루션 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보를 시각화 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는 화면은;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또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종류별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에러 정보를 표 또는 챠트 형태로 보여주는 에러 정보 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보를 시각화 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는 화면은;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부품 교체 주기 정보 화면과,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부품 점검 주기 정보 화면과,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수리 또는 점검 이력 정보 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은 장비 제작사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비 제작사 관리자 단말기는 원격지에 있는 현장에 있는 장비 또는 장비를 감시하는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되, 원격 통신으로 장비의 콘트롤러 또는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서 프로그램 재설치 및 기동, 또는 데이터 백업 또는 복구, 또는 프로그램의 체크 또는 수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와 통신망에 의하여 연결되어 이를 통합 관리하는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배치 상태 또는 부품 교체 주기 및 점검 주기 또는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는 정보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상태 및 레이아웃 정보와,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부품별 교체 및 점검 주기 정보와, 에러 발생시 발생하는 알람 정보와, 소정 기간 동안 누적된 에러 종류별 분석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를 사용하고 있는 수요 기업의 담당자가 일일히 부품 예방 점검 주기 및 부품 교체 주기를 체크하지 않아도 제조사에서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수요 기업의 관리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조사 입장에서도 이미 납품되어 동작 중인 제품에 대한 통합 관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요 기업에 대한 납품 후 사후 관리가 보다 효율적이고도 능동적이 될 수 있다.
각 개별 장비에 대한 세부 정보와 함께 부품에 대한 교체 및 점검 관련 정보(부품명, 점검 및 교체 일자, 경과 기간 등)를 시각적으로 일목 요연 하게 제공하기 때문에 관리가 보다 용이하다.
각 개별 장비에 대한 에러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장비 설계 및 설치 당시에 예측하지 못했던 에러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장비의 성능 및 내구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원격지(예, 외국, 또는 제조사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 있는 장비에서 작동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작동 이상의 원인을 분석한 후, 작동 이상이 장비의 소프트 웨어 이상 또는 소스 코드 이상으로 판명난 경우, 원격지를 방문하지 않고도 온라인 상으로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예측 가능한 점검,수리 청소 계획 수립 및 조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각 장비별 부품에 대한 예방 점검 및 교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 장비의 예측하지 못했던 오동작 및 작동 중단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장비를 이용한 생산 실적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장비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설계 또는 설치 당시 예측 하지 못했던 장비 특유의 데이터를 취합함으로써 사용 현장에 맞는 장비 최적화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장비 제작사 원격 관리 시스템이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및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장비 제작사 원격 관리 시스템의 DB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장비 제작사 원격 관리 시스템의 장비 관리 서버 ㅁ및 기타 구성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4는 디스플레이에서 나타나는 장비의 레이 아웃 화면이다.
도5는 디스플레이에서 나타나는 장비의 세부 정보 및 알람 세부 정보 화면이다.
도6은 디스플레이에서 나타나는 장비의 점검 및 교체 주기 정보 화면이다.
도7은 디스플레이에서 나타나는 장비의 알람 이력 화면이다.
도8은 디스플레이에서 나타나는 장비에 대한 에러 분석 화면이다.
도9는 디스플레이에서 나타나는 장비의 에러 리스트 화면이다.
도10은 사용자 단말기 화면의 종류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나타난 장비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이다.
도12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나타난 장비의 레이 아웃 화면이다.
도13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나타난 장비의 점검 및 교체 주기 화면이다.
도14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나타난 장비의 알람 리스트 화면이다.
도15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나타난 장비의 에러 분석 화면이다.
도16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나타난 장비의 에러 리스트 화면이다.
도17은 장비 제작사 관리자 단말기에서 장비를 관리하는 현장의 단말기를 원격으로 관리 또는 제어하거나, 장비의 콘트롤러를 원격으로 관리 또는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화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작사 원격 관리 시스템(이하, 제작사 원격 관리 시스템)(1)은 다수의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A)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고, 한편으로는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를 직접적으로 관리하거나 담당하고 있는 각 수요처의 관리자 또는 담당자의 사용자 통신 단말기(예,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노트북)(500)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된다.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작사 원격 관리 시스템(1)은 크게 각종 필요 정보를 저장하는 DB서버(100)와, 장비에 대한 모니터링 및 에러 정보 분석, 원격 진단 및 보수를 담당하는 장비 관리 서버(200)와,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버(300)와, 장비 제작사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단말기(400)는 DB서버(100)와, 장비 관리 서버(200)와, 웹 서버(300)와 연결되어, 각 서버의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있으며, 필요한 정보를 각 서버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400)를 통해서 장비 제작사 본사에서 원격지에 있는 납품 장비(10) 또는 장비(10)를 관리 또는 감시하는 현장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기(500)를 관리하고, 원격으로 프로그램 업데이트, 재설치, 재가동, 데이터 백업, 복구, 프로그램 체크, 수정 등을 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초고속 인터넷 망 또는 3G, 또는 4G와 같은 통신사의 데이터 통신망에 의하여 구축되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 통신 단말기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10)는 다수에 서로 다른 수요처에 납품되어 설치된 장비일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수요처 공장에 납품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각 장비(10)는 현장의 사용자 단말기(500)에 의하여 관리, 및 감시되며, 한편으로 원격지에 있는 장비 제작사 관리자 단말기(400)에 의하여 관리 및 감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작사 원격 관리 시스템(1)은 다수의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10)와 실시간으로 통신함으로써, 각 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더 나아가 원격 보수도 가능하게 한다.
원격 모니터링의 경우, 장비(10)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모니터링하는 것은 기본이며, 더 나아가,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도 예방 정비나 각 부품의 교체 주기에 대한 정보를 각 장비별로 점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장비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여 생산 흐름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2는 제작사 원격 관리 시스템(1) DB서버(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DB서버(100)는 여러 종류의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나뉜다.
DB서버(100)는 웹서버(300) 및 장비 관리 서버(200) 또는 외부의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10)들과 통신하는 통신부(110)를 포함한다.
특히 통신부(110)에 의하여 장비 관리 서버(200) 및 웹서버(300)와 통신함으로써 장비 관릿서버(200)에서 취득한 장비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업데이트 하여 저장할 수 있고, 장비 관리 서버(200) 및 웹 서버(300)에서 자료 요청이 들어온 경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DB 서버(100)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식별 정보 저장 영역(120)을 포함한다.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고유 시리얼 넘버, 설치된 수요처(고객사) 및 그 위치, 연계된 다른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들간의 레이아웃(lay-out), 이를 담당하는 수요처(고객사)의 담당자의 무선 단말기 번호 또는 IP가 저장된다.
이를 통해서 제작사 원격 관리 시스템(1)은 각 장비를 개별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DB 서버(100)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상태 정보 저장 영역(130)을 구비한다.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상태 정보 저장 영역(130)에서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130)의 상태가 모니터링 된 결과를 저장하고, 이를 소정의 기간(예, 6개월, 1년) 동안 그 상태를 트래킹하면서 저장을 하고, 어느 시기에 어느 부분에서 고장이 났는지, 또는 부품 교체 수요가 발생하였는지, 가동 시간과, 휴지시간, 또는 생산 실적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제공할 수 있다.
DB 서버(100)는 각 장비별 부품 교체 주기 정보 저장 영역(140)을 구비한다.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10)의 경우, 수많은 부품들이 조립되어 있고, 이러한 부품 들간의 상호 동작으로 인하여 사출 연신 블로윙 작업을 하는데, 이러한 부품들은 주기적으로 교체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 부품 마다 교체되어야 하는 주기가 다른데, 이러한 부품의 수량이나 종류가 많기 때문에, 이를 일일히 기억하면서 관리하거나, 수요 기업에서 실시간으로 관리하기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각 장비별 부품 교체 주기 정보 저장 영역(130)에는 다수 장비에 구비되는 여러 가지 부품의 교체 주기 및 교체 예정일자, 교체 시기 경과 여부 및 경과 일자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DB 서버는 각 장비별 부품 점검 주기 정보 저장 영역(140)도 구비한다. 각 장비별 부품 점검 주기 저장 영역(140)에는 다수 장비에 구비되는 여러 가지 부품의 점검 주기 및 점검 예정일자, 점검 시기 경과 여부 및 경과 일자가 저장되어 있다.
DB 서버는 각 장비별 수리/점검 이력 정보 저장 영역(150)을 구비한다. 이 영역에서는 각 장비별로 언제 어느 부품을 수리하였고, 점검 받았는지를 저장한다. 따라서, 이러한 히스토리가 누적되면, 잦은 고장이나 점검을 유발하는 부분이 어느 곳인지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DB 서버(100)는 각 장비 종류별 에러 코드 정보 저장 영역(160)도 구비한다.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10)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에서 제작사 원격 관리 시스템으로 특정 에러 코드가 전송되는데, 이러한 에러 코드는 일종의 프로토콜이기때문에 사람이 쉽게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용어와 각 에러 코드를 매칭시켜서 이를 테이블화 하고 이를 에러 코드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하고, 특정한 에러 코드가 수신된 경우, 이 에러가 어떤 부분의 이상을 의미하는지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에러 코드 sdPOE2_E04_Rc_A2의 경우, 패널의 온도가 정상범위가 아님을 의미하고, 에러 코드 sdPOE2_E04_Rc_A1의 경우 UPS(무정전 전원 공급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정보가 수록될 수 있다.
DB서버(100)는 각 장비별 에러 정보 저장 영역(18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각 장비별 에러 정보 저장 영역(180)은 특정 기간 동안 각 장비에서 발생했던 에러의 정보를 누적적으로 저장한다. 이러한 에러 정보는 장비 관리 서버(200)에서 전달받아서 업데이트 한다.
이를 통해서 특정 기간(예, 6개월, 1년)에 각 장비에서 발생한 에러가 발생한 부품, 에러 발생 일자 및 시간, 에러 발생으로 인한 현상, 에러 발생 원인, 에러를 치유하기 위해 제공된 해결책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이와 같이 누적적인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에러들 간의 발생 빈도수를 체크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장비의 성능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DB서버(100)는 에러 솔루션 정보 저장 영역(19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에러 솔루션 정보 저장 영역(190)은 마치 FAQ와 같이, 예상되는 에러 발생시 사용될 수 있는 솔루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실제 발생했던 에러를 치유하는데 효과가 있었던 솔루션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이다.
일종의 지식 공유 시스템의 일환으로써 이를 통해서 특정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이 에러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 질 수 있고, 이를 원격 보수 수행에 사용할 수 있다.
장비 관리 서버(200)에서 수신한 에러에 대한 분석이 완료되면, 이에 대한 빠른 솔루션을 찾기 위해서 DB서버(100)에 자료를 요청한다. 이 경우, 에러 솔루션 정보 저장 영역(190)은 해당 에러를 치유하기 위해 예상되는 솔루션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에러를 치유할 때 쓰였던 과거 솔루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장비 관리 서버(200)는 통신부(210)와, 모니터링부(220)와, 에러 정보 분석부(230)와, 에러 코드 해석부(240)와, 에러 정보 시각화 변환부(250)와, 알람부((260)와, 원격 보수 솔루션 수행부(270)와,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80)는 위 구성요소들과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부(210)는 외부의 장비(10)나, DB 서버(100), 웹 서버(300)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된다.
모니터링부(220)는 각 장비로부터 에러 정보나 상태 정보가 송신될 때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된 정보를 소정의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는 신호를 보내는 한편, DB 서버의 저장 영역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에러 코드 해석부(240)는 DB서버(100)의 각 장비별 에러 코드 정보 저장 영역(170)과 연계되어 접수된 에러 코드가 어떤 부분에 대한 에러 또는 이상인지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게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에러 정보 분석부(230)는 각 에러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에서 발생한 에러 정보를 취합하고 분류하고, 체계화 하여 , DB서버의 각 장비별 에러 정보 저장 영역(180)에 전달하는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를 설계하고 완성한 시기 또는 이를 설치한 시기에는 큰 문제가 없거나 그 교체 또는 점검 주기가 장기간이라고 염두에 두었던 부품이나 부분이 실제 필드에서 동작하면서 잦은 고장이나, 빈번한 교체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이를 체계적으로 장기간 동안의 데이터를 정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것의 근본적인 원인을 알지 못하고, 고장 또는 에러 이벤트마다 주먹구구식으로 땜질식 처방만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에러 정보 분석부(130)에 의하여 모든 에러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분류화 하면, 설계 및 완성 당시에 생각하지 못했던 부품이나 장비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러한 구조적이 문제점을 유발한 부분에 대한 재설계나 보완 또는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추후 생산되는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에 대한 발전이 가능하다.
한편, 에러 정보 시각화 변환부(250)는 특정 기간 동안의 에러 종류별 발생 빈도, 발생 비율, 전체 에러 대비 특정 부품의 에러의 비율을 챠트 또는 표로 정리하여 생성하거고 이를 업데이트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런 정보를 에러 솔루션 정보 저장 영역(19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알람부(260)는, 특정 장비의 특정 부품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이를 제작사 원격 관리 시스템(1)의 관리자에 알릴 뿐만 아니라, 이 장비를 직접적으로 사용하고 관리하는 수요 기업의 관리자 및 담당자의 단말기로 이를 알릴 수 있다.
원격 보수 솔루션 수행부(270)는 원격지(예, 중국, 베트남)에 있는 장비에서 소프트 웨어 자체의 업그레이드 미실행 또는 소스 코드 버그 등에 의하여 장비가 이상 동작을 하는 경우에, 해당 장소에 방문하지 않고서도 제작사 원격 관리 시스템이 있는 지역에서 원격으로 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즉, 중국에 있는 00 지역의 XX 회사에 납품된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과열 신호가 포착되는 경우, 이것이 실제 장비의 과열인지 아니면 온도 센서의 이상으로 정상인데도 불구하고 과열로 센싱하는 것인지 문제가 된다.
이 경우,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다른 장비들과 비교하여, 온도 센싱을 담당하는 소스 코드 영역에 이상이 탐지된 경우, 관리자가 입력부(420)를 통해서 소스 코드 수정 명령을 입력하면, 이것이 원격 보수 솔루션 수행부(270)에 전달되고, 원격 보수 솔루션 수행부는 수정된 정보를 해당 장비에 맞는 정보 포맷 등으로 변환한 후, 통신부를 통하여 해당 장비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420)와 디스플레이부(410)는 장비 제작사 관리자 단말기(400)에 속하는 구성요소이다.
관리자는 해당 에러의 원인을 체크하고, DB서버(100)에 있는 에러 솔루션 정보 저장 영역(190)을 참조하거나 또는 자체적인 역량으로서 솔루션을 찾은 후, 이를 원격 보수 솔루션 수행부(270)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장비의 소프트 웨어나 소스 코드의 이상을 치유할 수 있다.
또한, 과잉 작동하거나 과소 작동하는 부품의 동작을 최적화 하는 명령을 내릴 수도 있다.
이에 의해서 원격지의 장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작사 원격 관리 시스템(1)의 입력부(420)를 통해서 제작사 원격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가 특정한 명령이나 업그레이드 된 패치 프로그램, 또는 수정된 코드를 입력할 수 있고, 이는 통신부(210)를 통해서 모든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또는 특정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또는 이 장비들을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기(500)에 수신된다.
수신 받은 장비 내부에 있는 PLC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업그레이드 되거나 소스 코드가 올바르게 수정될 수 있다.
도4는 현재 납품 완료된 복수의 사출 블로윙 장비 장비의 레이 아웃이 디스플레이부(420)에서 나타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통해서 현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중인 장비의 배치 상태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
도5는 특정한 장비의 세부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특정 장비 식별 코드(C)의 사진(P)과, 세부 정보(I)(예, 부스, 스테이션, 사출기 종류, 바디, 블러쉬, Bypass 유무, 운전 모드, 통신 상태 등)이 나타난다. 그리고, 그 특정장비가 레이 아웃상의 어떤 계층적인 트리 구조(T)에 속하여 있는지도 나타나는데, 이 트리 구조(또는 디렉토리 구조)는 좌측 나타난다.
도5에서 나타난 장비는 A공장 - EX_2ST 파트 - R 14이며, 이러한 위치 정보및 장비의 세부 정보는 DB 서버(100)의 각 장비별 식별 정보 저장 영역(120)에 수록되어 있고, 그 변화 추이는 각 장비별 상태 정보 저장 영역(130)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된다.
한편, 장비의 사진 및 세부 정보 아래에는 알람 발생 현황(T1)이 테이블 형태로 표시된다.
여기서, 알람이 발생한 시기와 종료된 시기, 그리고 알람이 발생한 장비으 식별 정보(예, PR_EXT_2ST_R14), 에러코드 명(태그 명), 그리고 에러의 설명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6는 특정 장비의 특정 부품에 대한 교체 주기 정보와 점검 주기 정보가 표 테이블 형태(T2)로 나타난 것을 도시하였다. .
본 화면에서는 예를 들어, 에어모터, 컨트롤 밸브, 광케이블, 고전압 발생기, 펌프 등의 세부 부품명이 표시되고, 그 옆에는 각각 점검 예정 일자와, 경과 기간, 점검 주기가 표시된다. 여기서 경과일자 24일은 점검예정일로부터 24일이 경과되었음을 알리는 것이고, -161일은 아직 161일이 남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간이 도과한 경우에는 경고를 하기 위해서 붉은색이나 기타 눈에 띄는 색상이 표시된다.
그리고, 각 부품의 교체 예정 일자 및 경과 기간, 교체 주기도 표시된다.
따라서, 시스템 관리자는 이를 실시간을 체크할 수 있고, 점검이나 교체가 임박한 부품이 설치된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관리자에게 이를 통지하여 교체나 점검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7은 특정 일자에 수집된 모든 장비의 알람 리스트를 보여주고 있다. 즉, 날짜를 선택하면(예, 2015-05-07), 알람의 시작일과 종료일, 장비의 식별 코드(그룹명, 에러 코드(태그명), 에러의 설명 등이 표시된다.
다만, 대상 장비 선택을 좌측에 있는 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한정할 수 있다(예, A공장에 있는 장비만, 또는 B공장에 있는 장비만 선택하여 알람 보기).
도8은 특정 기간이나 날짜에 특정 장비에서 발생한 에러를 각 종류별로 분류하고, 이를 파이 챠트(원형 챠트) 및 표로 정리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에서는 어떤 부분이 취약한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필드에서 실제적으로 문제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여 이를 차후 제품의 업그레이드 기초 정보로 삼을 수 있다.
도9는 각 부품별 에러 리스트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에러 리스트에는 부품의 코드(component code), 부품명(compoent name), 에러 횟수(error number), 에러의 등급(error class), 에러의 명칭(error text), 에러의 원인(cause) 등이 표시되어, 관리자가 일목 요연하게 에러에 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도10는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사용자 통신 단말기(500)의 화면의 종류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 통신 단말기(500)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데스크톱 PC, 노트북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단말기에는 장비에 관한 정보를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500)으로부터 받아서 표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한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면 도9에서 나타난 여러 종류의 화면이 표시된다.
즉, 예를 들어서, 장비 레이아웃/상태 정보 화면, 장비 부품 교체 주기 정보 화면, 장비 점검 주기 정보 화면, 알람 내역 정보 화면, 에러 분석 정보 화면 등이 표시된다.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1)이 각 장비와 통신하여 각 장비에서 보내온 정보를 가공하고 여러 가지 데이터를 생성하면, 이렇게 가공된 정보는 사용자 통신 단말기로 보내져 사용자가 용이하게 정보를 인식하게 한다,.
도11은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한경우, 메인 화면을 나타내고, 도12은 장비의 레이 아웃 상태 및 운전 상태를 그래픽화 하여 도시한 화면이다.
도13은 특정 장비의 특정 부품 들에 대한 점검 및 교체 주기에 대한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특정 기간 또는 일자 동안 발생한 알람 내역(시작시기, 종료 시기, 장비 식별 코드(그룹명), 에러 코드(태그 명), 에러명(설명))이 표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에러 분포 및 비율을 파이 챠트 형태로 표시한 것을 타나낸 것이며, 도16은 에러 리스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내지 도16에서 나타난 화면에 나타나 정보의 구체적인 설명은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1)의 디스플레이부(420)에서 나타난 각 화면에서의 구체적 정보 설명과 동일하므로 중복을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17은 장비 제작사 관리자 단말기(400)가 현장의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기(500) 또는 현장에 배치된 장비(10)와 통신하고 이를 관리 또는 제어 또는 감시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7에서 나타난 화면은 장비 제작사 관리자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부(420)에서 나타난 화면이며, 그 화면은 각각 현장의 관리자 단말기(400) 또는 장비(10) 자체의 콘트롤러에 대해서 프로그램 재설치, 기동, 데이터 백업 및 복구, 프로그램 체크 및 수정을 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화면이다.
장비 제작사 관리자는 원격지에 있는 현장을 방문을 하지 않아도 현장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기(500) 또는 장비(10)의 콘트롤러를 원격 제어하여 위에서 언급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원격지의 사용자 단말기(500) 또는 장비(10)가 고장나거나, 추가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이에 대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장비 제작사 원격 관리 시스템
10: 사출 연신 블로워 장비
100: DB 서버 200: 장비 관리 서버
300: 웹 서버

Claims (1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와 통신망에 의하여 연결되어 이를 통합 관리하는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은
    DB서버와 장비 관리 서버와, 웹 서버와, 정보를 시각화 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비 관리 서버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에서 에러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에러 모니터링부와;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에서 에러가 발생하거나 교체 주기 또는 점검 주기 도달시 이를 알리는 알람부와;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에서 발생한 에러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에러 정보 분석부와;,
    상기 DB서버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부품 교체 주기 정보 저장 영역과;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부품 점검 주기 정보 저장 영역과;
    상기 에러 정보 분석부에 의하여 특정 기간동안 누적되어 분석된 에러 정보를 챠트 또는 표 형태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에러 정보 시각화 변환부와;
    예상되는 에러 발생시 사용될 수 있는 솔루션 정보를 저장하거나 실제 발생했던 에러를 치유하는데 효과가 있었던 솔루션 정보를 저장하는 에러 솔루션 정보 저장 영역과;
    상기 에러 솔루션 정보 저장 영역과 연계되거나 또는 제조사 관리자의 솔루션 입력 명령을 수신 받아서 에러가 발생한 장비에 대한 원격 보수 솔루션 정보를 에러가 발생한 장비에 맞는 정보 포맷으로 변환하고, 이를 에러가 발생한 장비에 송신하여 에러가 발생한 장비의 에러가 원격지에서 자동적으로 치유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보수 솔루션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DB서버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및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부품에 관한 정보가 수록된 정보 저장 영역과;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식별 코드 정보 저장 영역과;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수리 또는 점검 이력 정보 저장 영역과;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의 부품별 에러 코드 정보 저장 영역과;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부품 교체 주기 정보 저장 영역과;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부품 점검 주기 정보 저장 영역과
    상기 장비 관리 서버에서 분석되고 가공된 각 장비별 에러 정보를 저장하는 각 장비별 에러 정보 저장 영역과,
    각 장비 종류 별 또는 각 장비별로 나타날 수 있거나 나타났던 에러에 관한 솔루션 정보를 저장하는 에러 솔루션 정보 저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는 화면은;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또는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종류별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에러 정보를 표와 이와 연계된 챠트 형태로 보여주는 에러 정보 화면과,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부품 교체 주기 정보 화면과,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부품 점검 주기 정보 화면과,
    각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별 수리 또는 점검 이력 정보 화면을 포함하되,
    상기 교체 주기 정보 화면과 상기 점검 주기 정보 화면에는 세부 부품명과, 점검 예정 일자와, 경과 일자 또는 잔여 일자, 점검 또는 교체 주기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에러 정보 화면에는 특정 기간 동안의 에러의 종류별 발생 빈도, 발생 비율, 전체 에러 대비 특정 부품의 에러 비율이 챠트 및 이와 연관되는 표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09164A 2015-07-31 2015-07-31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KR101615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164A KR101615559B1 (ko) 2015-07-31 2015-07-31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164A KR101615559B1 (ko) 2015-07-31 2015-07-31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559B1 true KR101615559B1 (ko) 2016-04-28

Family

ID=5591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164A KR101615559B1 (ko) 2015-07-31 2015-07-31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426A (ko) * 2018-03-30 2019-10-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원격유지보수서버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800Y1 (ko) * 2003-12-27 2004-03-24 주식회사 우진세렉스 사출성형기의 동작상태 모니터링 장치
KR20120004213A (ko) * 2010-07-06 2012-01-12 트라텍정보통신 주식회사 Pc-nc 기반의 산업기계용 통합정비시스템
KR20140091991A (ko) * 2013-01-14 2014-07-23 (주)신명정보통신 사출 성형기의 금형정보 추출 시스템
JP2015074102A (ja) * 2013-10-07 2015-04-2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圧力異常を検出する射出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800Y1 (ko) * 2003-12-27 2004-03-24 주식회사 우진세렉스 사출성형기의 동작상태 모니터링 장치
KR20120004213A (ko) * 2010-07-06 2012-01-12 트라텍정보통신 주식회사 Pc-nc 기반의 산업기계용 통합정비시스템
KR20140091991A (ko) * 2013-01-14 2014-07-23 (주)신명정보통신 사출 성형기의 금형정보 추출 시스템
JP2015074102A (ja) * 2013-10-07 2015-04-2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圧力異常を検出する射出成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426A (ko) * 2018-03-30 2019-10-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원격유지보수서버 및 방법
KR102541178B1 (ko) * 2018-03-30 2023-06-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원격유지보수서버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4532B2 (ja) 車体組立ラインの駆動部モニタリ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US9975172B2 (en) Preventative maintenance system
US9495717B2 (en) Plant safety design assistance device and plant monitoring and maintenance assistance device
WO2018042940A1 (ja) 設備管理装置、設備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設備管理方法
KR101477943B1 (ko) 산업용 자동 진단 장치
US20070293977A1 (en) Preventative Maintenance Indicator System
KR20060013681A (ko) 승강기 또는 에스컬레이터 설비의 보수관리를 위한 방법 및장치
JP6647824B2 (ja) 異常診断システム及び異常診断方法
WO2007143856A1 (en) Preventative maintenance update system
KR20040029081A (ko) 작업기계의 메인티넌스시스템
JP2003177815A (ja) 産業機械の保全システム
KR102145984B1 (ko) 자동화설비의 고장분석장치 및 방법
KR20120111376A (ko) 실시간 지능형 장비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JP2018185774A (ja) 設備管理装置、設備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設備管理方法
US20090043883A1 (en) Method for Monitoring a Technical Appliance
KR101615559B1 (ko) 사출 연신 블로윙 장비 제조사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CN113625672B (zh) 一种设备监控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40028163A (ko) 산업용 로봇 관리 시스템
JP2018036970A (ja) 設備管理システム、設備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48282B1 (ko) 설비 진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설비 진단 방법
JP4454977B2 (ja) 成形機管理システム、成形機管理装置、携帯情報端末、成形機管理装置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及び携帯情報端末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CN111258868B (zh) 一种自动监测和获取设备数据的方法及系统
CN111046557B (zh) 一种基于iot-bim的机电设备维护保养智慧管理方法
WO2018061142A1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外部制御装置の表示画面
JP2002073158A (ja) リモート監視・診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