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505B1 - 건물 보수용 장치 - Google Patents

건물 보수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505B1
KR101614505B1 KR1020150186363A KR20150186363A KR101614505B1 KR 101614505 B1 KR101614505 B1 KR 101614505B1 KR 1020150186363 A KR1020150186363 A KR 1020150186363A KR 20150186363 A KR20150186363 A KR 20150186363A KR 101614505 B1 KR101614505 B1 KR 101614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building
adsorption
fixing units
solenoid val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승원
Original Assignee
아이씨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씨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씨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96Repairing or restoring fac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외벽 보수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추락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건물 보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보수용 장치는 케이지(30)가 승강될 때나 케이지(30)가 정지되었을 대,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30)를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시킴으로써, 작업중에 케이지(30)가 유동되어 작업자가 추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물 보수용 장치{building repai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외벽 보수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추락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건물 보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외벽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할 때는 통상 곤돌라라고 불리는 건물 보수용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건물 보수용 장치는 건물의 옥상에 구비되며 건물의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의 단부를 경유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케이블이 구비되어 구동에 따라 상기 케이블을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된 윈치와, 상기 케이블의 하단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된 케이지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지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로, 상기 윈치를 구동시켜 케이블을 풀면 케이지와 함께 작업자가 하강되어 하자가 발생된 부위에 도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건물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건물 보수용 장치는 상기 케이지가 케이블의 하단에 연결됨으로, 작업중에 케이지가 측방향 또는 건물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케이지에서 추락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470517호, 등록특허 10-092586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시 케이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건물 보수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1)의 옥상에 구비되며 건물(1)의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의 단부를 경유하여 건물(1)의 외벽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케이블(21)이 구비되어 구동에 따라 상기 케이블(21)을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된 윈치(20)와, 상기 케이블(21)의 하단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된 케이지(30)를 포함하는 건물 보수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30)의 둘레면에서 상기 건물(1)을 향하는 전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는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과, 제1 및 제2 배기관(51,52)을 통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에 연결된 진공펌프(50)와, 상기 제1 및 제2 배기관(51,52)에 구비되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과 진공펌프(50)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와, 상기 케이지(30)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힌지축(32)에 중간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에 연결되어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회동아암(60)과, 상기 회동아암(60)에 연결되어 회동아암(60)의 회동각도를 측정하는 회동각도측정수단(70)과, 상기 회동아암(60)에 연결되어 회동아암(60)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수단(80)과, 상기 회동각도측정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윈치(20)와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과 제동수단(80)과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케이지(30)가 정지되면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를 개방하여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이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동수단(80)을 작동시켜 회동아암(60)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상기 케이지(30)가 승강되면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를 제어하여,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이 교대로 상기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보수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은 상기 케이지(3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3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블록(43)과, 상기 승강블록(43)의 전면에 건물(1)쪽으로 전후진가능하게 구비되어 전후진구동수단(45)에 의해 전후진되는 지지블록(44)과, 전면에 오목홈(46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블록(44)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흡착헤드(46)와, 상기 흡착헤드(46)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오목홈(46a) 내부의 기압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47)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배기관(51,52)의 선단부는 상기 흡착헤드(46)의 오목홈(46a)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부(51a,52a)로 분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는 상기 연결부(51a,52a)에 각각 1개씩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제1 또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를 개방하여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의 흡착헤드(46)가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되도록 할 때 상기 압력센서(47)의 신호를 수신하여, 오목홈(46a)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지 않는 흡착헤드(46)에 연결된 제1 또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를 제어하여 연결부(51a,52a)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보수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지(30)에 구비된 가속도센서(1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가속도센서(1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케이지(30)가 비정상적으로 하강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이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동수단(80)을 작동시켜 회동아암(60)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보수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보수용 장치는 케이지(30)가 승강될 때나 케이지(30)가 정지되었을 대,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30)를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시킴으로써, 작업중에 케이지(30)가 유동되어 작업자가 추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보수용 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보수용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보수용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보수용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보수용 장치의 진공펌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보수용 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보수용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보수용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보수용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보수용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보수용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건물(1)의 옥상에 구비되며 건물(1)의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의 단부를 경유하여 건물(1)의 외벽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케이블(21)이 구비되어 구동에 따라 상기 케이블(21)을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된 윈치(20)와, 상기 케이블(21)의 하단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된 케이지(30)로 구성된 것은 종래의 건물 보수용 장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건물 보수용 장치에는, 상기 케이지(30)의 둘레면에서 상기 건물(1)을 향하는 전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는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과, 제1 및 제2 배기관(51,52)을 통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에 연결된 진공펌프(50)와, 상기 제1 및 제2 배기관(51,52)에 구비되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과 진공펌프(50)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와, 상기 케이지(3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에 연결된 회동아암(60)과, 상기 회동아암(60)에 연결되어 회동아암(60)의 회동각도를 측정하는 회동각도측정수단(70)과, 상기 회동아암(60)에 연결되어 회동아암(60)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수단(80)과, 상기 회동각도측정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윈치(20)와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과 제동수단(80)과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90)이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지(3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3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블록(43)과, 상기 승강블록(43)의 전면에 건물(1)쪽으로 전후진가능하게 구비되어 전후진구동수단(45)에 의해 전후진되는 지지블록(44)과, 상기 지지블록(44)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흡착헤드(46)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블록(43)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가이드바(43a)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블록(44)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향태로 구성되어 전면에 여러개의 흡착헤드(46)가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바(43a)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전후진구동수단(45)은 상기 지지블록(44)과 케이지(30)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지지블록(44)이 전후진되도록 하는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전후진구동수단(45)으로 지지블록(44)을 전진시키면 상기 흡착헤드(46)가 건물(1)의 외벽면(2)에 밀착되고, 상기 전후진구동수단(45)으로 지지블록(44)을 후퇴시키면 상기 흡착헤드(46)가 건물(1)의 외벽면(2)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흡착헤드(46)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전면에 오목홈(46a)이 형성되어, 전면을 건물(1)의 외벽면(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오목홈(46a)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 흡착헤드(46)가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되어 강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흡착헤드(46)는 다양한 재질과 형상의 것이 개발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음으로, 흡착헤드(46)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진공펌프(5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배기관(51,52)을 통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의 흡착헤드(46)에 연결되어, 흡착헤드(46)의 오목홈(46a)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흡착헤드(46)가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배기관(51,52)의 선단부는 상기 흡착헤드(46)의 오목홈(46a)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부(51a,52a)로 분기된다.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는 상기 제1 및 제2 배기관(51,5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배기관(51,52)을 통해 상기 진공펌프(50)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1 솔레노이드밸브(53)를 개방하면 상기 제1 배기관(51)의 중간부가 개방되고, 상기 좌측 흡착고정유닛(41)의 흡착헤드(46)에 형성된 오목홈(46a)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좌측 흡착고정유닛(41)이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솔레노이드밸브(54)를 개방하면 상기 제2 배기관(52)이 개방되고, 상기 우측 흡착고정유닛(42)의 흡착헤드(46)에 형성된 오목홈(46a)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우측 흡착고정유닛(42)이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배기관(51)과 제2 배기관(52)의 중간부를 개폐함으로써,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의 흡착헤드(46)가 동시에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거나,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의 흡착헤드(46)중 어느 하나만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동아암(60)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지(30)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힌지축(32)에 중간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양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장공(61)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61)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의 승강블록(43)에 구비된 연결핀(43b)에 결합되다.
따라서, 상기 회동아암(60)의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된다.
즉, 좌측 흡착고정유닛(41)이 상승되면 상기 우측 흡착고정유닛(42)은 하강되고, 상기 우측 흡착고정유닛(42)이 상승되면 상기 좌측 흡착고정유닛(41)은 하강된다.
상기 회동각도측정수단(70)은 상기 힌지축(32)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아암(60)에 연결되는 각도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회동아암(60)의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회동아암(60)이 회동된 각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유닛(90)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동수단(80)은 회동아암(60)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축(32)에 결합되는 전자식 브레이크를 이용한다.
상기 제어유닛(90)에는 상기 케이지(30)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91)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지(30)에 탄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91)을 조작하여 상기 윈치(20)를 제어함으로써 케이지(3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케이지(30)가 정지 또는 승강될 때, 상기 진공펌프(50)와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와 상기 전후진구동수단(45) 및 제동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여, 케이지(30)가 건물(1)의 외벽면(2)에 지속적으로 흡착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진공펌프(50)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91)을 조작하여 상기 케이지(30)를 정지시키면, 제어유닛(90)은 상기 제동수단(80)과 전후진구동수단(45)을 작동시켜 상기 회동아암(60)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전후진구동수단(45)을 신장시켜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의 흡착헤드(46)가 건물(1)의 외벽면(2)에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를 개방하여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이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이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면, 상기 케이지(30)가 건물(1)의 외벽면(2)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수단(91)을 조작하여 상기 케이지(30)가 하강되도록 하면,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제동수단(80)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회동아암(60)이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흡착고정유닛(42)의 전후진구동수단(45)을 제어하여 우측 흡착고정유닛(42)의 지지블록(44)을 후퇴시킴으로써, 우측 흡착고정유닛(42)의 흡착헤드(46)가 외벽면(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솔레노이드밸브(54)를 제어하여 제2 배기관(52)을 밀폐한다.
따라서, 상기 좌측 흡착고정유닛(41)은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우측 흡착고정유닛(42)은 외벽면(2)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상기 케이지(30)가 하강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흡착고정유닛(41)과 케이지(30의 상대운동에 의해, 상기 회동아암(60)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우측 흡착고정유닛(42)이 하측으로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아암(60)이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회동각도측정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솔레노이드밸브(54)를 작동시켜 상기 제2 배기관(52)을 개방함과 동시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흡착고정유닛(42)의 전후진구동수단(45)을 제어하여 우측 흡착고정유닛(42)의 지지블록(44)이 전진되도록 하면, 우측 흡착고정유닛(42)의 흡착헤드(46)가 건물(1)의 외벽면(2)에 밀착되어 흡착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우측 흡착고정유닛(42)이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면, 상기 제어유닛(90)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좌측 흡착고정유닛(41)을 제어하여 좌측 흡착고정유닛(41)이 외벽면(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그리고, 우측 흡착고정유닛(42)이 외벽면(2)에 고정된 상태로 케이지(30)가 하강되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아암(60)이 반시계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좌측 흡착고정이 하강되면,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좌측 흡착고정유닛(41)이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고, 우측 흡착고정유닛(42)이 외벽면(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케이지(30)가 하강될 때도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중의 어느 하나는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케이지(30)가 측방향으로 유동되거나, 건물(1)의 외벽면(2)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반대로 상기 케이지(30)가 상승될 때도 전술한 바와 같이,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중의 어느 하나는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물 보수용 장치는 케이지(30)가 승강될 때나 케이지(30)가 정지되었을 대,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30)를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시킴으로써, 작업중에 케이지(30)가 유동되어 작업자가 추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배기관(51,52)의 선단부에 형성된 연결부(51a,52a)에 구비됨으로써, 각각의 흡착헤드(46)의 오목홈(46a)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각각 별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흡착헤드(46)에는 각각의 흡착헤드(46)에 형성된 오목홈(46a) 내부의 기압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47)가 1개씩 구비된다.
상기 압력센서(47)는 일반적인 기압센서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를 개방하여,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에 구비된 흡착헤드(46)의 공기를 배출할 때, 상기 압력센서(47)의 신호를 수신하여, 각 흡착헤드(46)의 오목홈(46a) 내부의 기압을 감시하고, 오목홈(46a) 내부의 기압이 설정된 압력 이하로 낮아지지 않는 흡착헤드(46)가 발생될 경우, 해당 흡착헤드(46)에 연결된 연결부(51a,52a)에 구비된 제1 또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를 제어하여 해당 연결부(51a,52a)를 밀폐한다.
즉,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을 건물(1)의 외벽면(2)에 밀착시킬 때, 건물(1)의 외벽면(2)에 형성된 굴곡이나 건물(1)의 외벽면(2)에 부착된 이물질에 의해 흡착헤드(46)중의 어느 하나가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착헤드(46)는 제1 또는 제2 배기관(51,52)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음으로, 일측의 흡착헤드(46)가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지 못할 경우, 나머지 흡착헤드(46)의 오목홈(46a)에 충분한 진공압이 발생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압력센서(47)의 신호를 수신하여 각 흡착헤드(46)의 오목홈(46a)의 기압을 측정함으로써,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지 못한 흡착헤드(46)를 확인하고, 해당 흡착헤드(46)에 연결된 연결부(51a,52a)에 구비된 제1 또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를 제어하여 해당 연결부(51a,52a)를 밀폐하여, 나머지 흡착헤드(46)가 외벽면(2)에 견고하게 흡착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지(30)에는 가속도센서(1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가속도센서(100)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윈치(20)에 문제가 발생되어 케이지(30)가 순간적으로 비정상적인 속도로 하강될 때 발생되는 급격한 가속도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이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동수단(80)을 작동시켜 회동아암(60)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즉, 상기 윈치(20)의 고정 등에 의해 케이지(30)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하강될 경우, 상기 가속도센서(100)에 측정되는 가속도 역시 정상범위를 벗어나게 됨으로,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가속도센서(1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케이지(30)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하강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에 구비된 전후진구동수단(45)을 작동시켜 상기 흡착헤드(46)가 건물(1)의 외벽면(2)에 강하게 흡착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지(30)가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어 추락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물(1) 보수장치는 건물(1)의 외벽면(2) 상태에 따라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지 못하는 흡착헤드(46)가 발생될 경우, 해당 흡착헤드(46)에 연결된 연결부(51a,52a)의 제1 또는 솔레노이드밸브를 밀폐시킴으로써, 나머지 흡착헤드(46)가 외벽면(2)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윈치(20) 등에 이상이 발생되어 케이지(30)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하강될 경우,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이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케이지(30)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지(30)에 탑승한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지지대 20. 윈치
30. 케이지 41,42.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
50. 진공펌프 60. 회동아암
70. 회동각도측정수단 80. 제동수단
90. 제어유닛 100. 가속도센서

Claims (3)

  1. 건물(1)의 옥상에 구비되며 건물(1)의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의 단부를 경유하여 건물(1)의 외벽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케이블(21)이 구비되어 구동에 따라 상기 케이블(21)을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된 윈치(20)와,
    상기 케이블(21)의 하단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된 케이지(30)를 포함하는 건물 보수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30)의 둘레면에서 상기 건물(1)을 향하는 전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는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과,
    제1 및 제2 배기관(51,52)을 통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에 연결된 진공펌프(50)와,
    상기 제1 및 제2 배기관(51,52)에 구비되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과 진공펌프(50)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와,
    상기 케이지(30)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힌지축(32)에 중간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에 연결되어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회동아암(60)과,
    상기 회동아암(60)에 연결되어 회동아암(60)의 회동각도를 측정하는 회동각도측정수단(70)과,
    상기 회동아암(60)에 연결되어 회동아암(60)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수단(80)과,
    상기 회동각도측정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윈치(20)와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과 제동수단(80)과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케이지(30)가 정지되면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를 개방하여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이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동수단(80)을 작동시켜 회동아암(60)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상기 케이지(30)가 승강되면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를 제어하여,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이 교대로 상기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보수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은
    상기 케이지(3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3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블록(43)과,
    상기 승강블록(43)의 전면에 건물(1)쪽으로 전후진가능하게 구비되어 전후진구동수단(45)에 의해 전후진되는 지지블록(44)과,
    전면에 오목홈(46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블록(44)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흡착헤드(46)와,
    상기 흡착헤드(46)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오목홈(46a) 내부의 기압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47)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배기관(51,52)의 선단부는 상기 흡착헤드(46)의 오목홈(46a)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부(51a,52a)로 분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는 상기 연결부(51a,52a)에 각각 1개씩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제1 또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를 개방하여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의 흡착헤드(46)가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되도록 할 때 상기 압력센서(47)의 신호를 수신하여, 오목홈(46a)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지 않는 흡착헤드(46)에 연결된 제1 또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53,54)를 제어하여 연결부(51a,52a)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보수용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30)에 구비된 가속도센서(1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가속도센서(1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케이지(30)가 비정상적으로 하강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좌, 우측 흡착고정유닛(41,42)이 건물(1)의 외벽면(2)에 흡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동수단(80)을 작동시켜 회동아암(60)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보수용 장치.
KR1020150186363A 2015-12-24 2015-12-24 건물 보수용 장치 KR101614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363A KR101614505B1 (ko) 2015-12-24 2015-12-24 건물 보수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363A KR101614505B1 (ko) 2015-12-24 2015-12-24 건물 보수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505B1 true KR101614505B1 (ko) 2016-04-21

Family

ID=5591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363A KR101614505B1 (ko) 2015-12-24 2015-12-24 건물 보수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5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854B1 (ko) * 2018-05-18 2019-05-29 아이씨엠 주식회사 도로 포장 또는 토목 시설물 유지 보수 장치
KR102491727B1 (ko) * 2022-04-13 2023-01-26 주식회사 대한방수 도장 작업용 분진 방진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854B1 (ko) * 2018-05-18 2019-05-29 아이씨엠 주식회사 도로 포장 또는 토목 시설물 유지 보수 장치
KR102491727B1 (ko) * 2022-04-13 2023-01-26 주식회사 대한방수 도장 작업용 분진 방진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202B1 (ko) 볼체크밸브 내장형 에이비에스용 솔레노이드밸브의 필터조립체 조립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CN102132036B (zh) 能够到达风轮机的设备
KR101614505B1 (ko) 건물 보수용 장치
KR20130025690A (ko) 풍력 발전기의 유지보수 로봇
KR101484169B1 (ko) 외벽도장장치
CN109968317A (zh) 一种室内变电站智能检测抢修机器人
CN108382942A (zh) 一种双层轿厢电梯
KR101384551B1 (ko) 무인 이송 시스템용 셔틀 틸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이송 시스템
CN106966259B (zh) 一种电梯自动润滑装置
CN104889070A (zh) 一种纸管检测机
CN208916761U (zh) 一种曲臂式升降机
JP3905051B2 (ja) 構造物表面の補修検査システム
KR20120108316A (ko) 화재감지 및 배연 창 개방 장치가 있는 집중식 배연 덕트 시스템
CN114132835A (zh) 叶片吊装工装
KR101247560B1 (ko) 소재 이송로봇의 그리퍼 자동교체장치
CN107963408A (zh) 一种自检调整型运输轨道
CN209763858U (zh) 喷水管自动检测定位间冷清洗系统
CN209866888U (zh) 灭火器瓶口在线清洁装置
CN204823008U (zh) 衔铁盘全自动光学尺寸检测设备的输送装置
CN104291186B (zh) 货梯平层锁定装置
CN109877126B (zh) 灭火器瓶口在线清洁装置
US20220252053A1 (en) A device for wind turbine blade and tower maintenance and a system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device
CN106215351A (zh) 一种用于电镀线的防火系统
CN202762694U (zh) 一种旋转式钢管吹吸灰装置
CN113074015B (zh) 通风机倒机系统及通风机倒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4